KR20140148196A - 콘텐츠 보안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보안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8196A
KR20140148196A KR20130071826A KR20130071826A KR20140148196A KR 20140148196 A KR20140148196 A KR 20140148196A KR 20130071826 A KR20130071826 A KR 20130071826A KR 20130071826 A KR20130071826 A KR 20130071826A KR 20140148196 A KR20140148196 A KR 20140148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area
content
electronic device
security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1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8196A/ko
Priority to US14/290,371 priority patent/US20140380492A1/en
Publication of KR2014014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 보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 보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콘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보안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DOCUMENT SECURITY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 보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휴대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전자 장치는 음성 및 영상 통화기능, 정보 입출력 기능 및 데이터 송수신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 장치에 저장된 개인 정보 및 콘텐츠(예, 이미지, 메신저)에 대한 보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자 장치 사용자는 보안이 필요한 개인 정보 및 콘텐츠에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보안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101)에서 메모를 작성한 후, 전자 장치 사용자는 "비밀번호 설정 아이콘"(105)을 선택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목록(111)에서 비밀번호가 설정된 메모(113)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비밀번호가 설정된 메모(113)를 표시하기 위해 열쇠모양 아이콘(115)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메모(113)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 확인 메뉴"(121)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메모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의 내용 중에서 중요하지 않은 내용을 확인하는 경우에도 매번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매번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비밀번호가 노출될 확률이 높아지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원본과 보안을 설정한 영역을 별도의 레이어(Layer)로 분리하여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보안 설정 영역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보안 설정 영역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미리보기로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 보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콘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문서, 메모, 이미지, 메신저, 이메일, SMS, MM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 보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보안 설정 영역의 보안 해제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보안이 해제된 경우,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상기 콘텐츠의 원본 내용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콘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고, 상기 콘텐츠는 문서, 메모, 이미지, 메신저, 이메일, SMS, MM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보안 설정 영역의 보안 해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보안이 해제된 경우,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상기 콘텐츠의 원본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보안 설정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장치 사용자가 콘텐츠에서 보안을 설정하지 않은 영역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보안 해제를 수행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즉, 콘텐츠에서 보안이 설정된 영역의 내용을 확인하는 경우에만 보안 해제를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 사용자는 보안 정보 유출 가능성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의 배경 기술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에 보안을 설정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비밀 번호를 이용하여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패턴을 이용하여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 내지 도 7g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비밀번호로 보안이 설정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패턴으로 보안이 설정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보안이 설정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내비게이션, 디지털 시계, 냉장고 및 MP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콘텐츠는 문서, 메모, 이미지, 메신저, 이메일, SMS, MM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는 메모를 콘텐츠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220), 오디오 처리부(230), 통신 시스템(240), 입출력 제어부(250), 표시부(260) 및 입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200)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는 각각 다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210)는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2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10)는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으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에 설정된 보안 설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210)는 콘텐츠의 원본 및 보안 설정 영역을 별도의 레이어(layer)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0)는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된 비밀번호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211)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프로그램(213),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2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부(2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할 수도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은 표시부(260)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은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에 의해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설정된 보안 설정 영역을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은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에 의해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비밀번호 설정 메뉴를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은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에 의해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패턴 설정 메뉴를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은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은 보안 설정 이벤트 발생 시, 콘텐츠에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을 확인한다. 이때,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은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대해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이미지, 블록 지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결정한다. 이때,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은 콘텐츠의 원본 내용을 표시하는 제1레이어(layer)와 별도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레이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은 보안 설정 영역 위에 문자를 입력하거나,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중첩되게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후,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은 보안 설정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비밀번호 설정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비밀번호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및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보안 설정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또한,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은 보안 설정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패턴 설정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패턴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의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패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은 보안 설정 영역 및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한 보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은 보안 설정 영역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은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보안 설정 영역의 보안 해제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은 보안 설정 영역의 보안 해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 확인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비밀번호 확인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및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은 보안 설정 영역의 보안 해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패턴 확인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패턴 확인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의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고려하여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된 패턴과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후,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보안이 해제된 경우,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은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콘텐츠의 원본 내용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응용프로그램(215)은 전자 장치(2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2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2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2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 유닛(2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2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4)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221)는 프로세서(222) 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4)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210) 접근을 제어한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4)는 전자 장치(2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2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221)의 연결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200)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프로세서(222)는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222)는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을 실행하여 콘텐츠에 보안 설정을 제어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30)는 스피커(231) 및 마이크로폰(232)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2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시스템(240)은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시스템(240)은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수 개의 통신 서브 모듈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무선랜, Bluetooth 네트워크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250)는 표시부(260) 및 입력장치(270)를 포함하는 입출력 장치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4)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부(260)는 전자장치(2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60)는 프로세서(222)에 의해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부(260)는 GUI 프로그램(213)의 제어에 따라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으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설정된 보안 설정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표시부(260)는 GUI 프로그램(213)의 제어에 따라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으로부터 제공받은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비밀번호 설정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표시부(260)는 GUI 프로그램(213)의 제어에 따라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으로부터 제공받은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패턴 설정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27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25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220)으로 제공한다. 이때, 입력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및 터치 정보를 감지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70)는 터치 패드를 통해 감지한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부(250)를 통해 프로세서(222)로 제공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22)는 정보 제어부(300), 표시 제어부(310) 및 응용프로그램 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어부(300)는 프로그램 저장부(211)의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을 실행하여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정보 제어부(300)는 보안 설정 이벤트 발생 시, 콘텐츠에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을 확인한다. 이때, 정보 제어부(300)는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대해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이미지, 블록 지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결정한다. 이때, 정보 제어부(300)는 콘텐츠의 원본 내용을 표시하는 제1레이어(layer)와 별도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레이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제어부(300)는 보안 설정 영역 위에 문자를 입력하거나,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중첩되게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후, 정보 제어부(300)는 보안 설정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비밀번호 설정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비밀번호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및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보안 설정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또한, 정보 제어부(300)는 보안 설정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패턴 설정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패턴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의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패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정보 제어부(300)는 보안 설정 영역 및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한 보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제어부(300)는 프로그램 저장부(211)의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을 실행하여 보안 설정 영역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어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보안 설정 영역의 보안 해제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정보 제어부(300)는 보안 설정 영역의 보안 해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 확인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비밀번호 확인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및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어부(300)는 보안 설정 영역의 보안 해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패턴 확인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패턴 확인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의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고려하여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된 패턴과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후,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보안이 해제된 경우, 정보 제어부(300)는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콘텐츠의 원본 내용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310)는 프로그램 저장부(211)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을 실행하여 표시부(260)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310)는 정보 제어부(300)에 의해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설정된 보안 설정 영역을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310)는 정보 제어부(300)에 의해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비밀번호 설정 메뉴를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310)는 정보 제어부(300)에 의해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패턴 설정 메뉴를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의 정보 제어부(300)는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을 실행하여 콘텐츠에 대한 보안 설정 및 보안 해제를 제어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정보 보호 프로그램(214)을 포함하는 별도의 정보 보호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 이벤트 발생 시, 콘텐츠에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대해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이미지, 블록 지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결정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콘텐츠의 원본 내용을 표시하는 제1레이어(layer)와 별도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레이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 영역 위에 문자를 입력하거나,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중첩되게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후, 403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에 보안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비밀번호 설정 메뉴를 표시하여 비밀번호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및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보안 설정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패턴 설정 메뉴를 표시하여 패턴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의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패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 영역 및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한 보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비밀 번호를 이용하여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501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콘텐츠 편집 모드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을 구동한 경우, 전자 장치는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을 통해 문자, 필기,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는 "편집 모드(Edit mode)"(703)를 제공한다. 또한, 전자 장치는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을 통해 기 작성된 메모에 대해서도 "편집 모드"(703)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503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된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에서 "보안 설정 아이콘"(705)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편집 중인 메모에 대한 보안을 설정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만일, 보안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메모 응용프로그램에서 편집 모드를 유지하거나, 본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보안 설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505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에서 일부 영역에 블록(711)이 지정된 경우,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으로 인식한다. 이때,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은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이미지, 블록으로 지정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 위에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중첩되게 위치시킬 수도 있다.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을 설정한 후, 507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에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에서 일부 영역에 블록(711)을 지정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 설정 메뉴"(721)를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비밀번호 설정 메뉴"(721)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및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보안 설정을 위한 비밀번호로 인식한다.
비밀번호를 설정한 후, 509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505동작에서 설정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 및 507동작에서 설정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보안 설정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을 표시하는 제1레이어(layer)(741)와 별도로 제2레이어(747)에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제2레이어(747)에 포함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745)을 제1레이어(741)에 포함된 메모의 일부 영역(743)과 겹쳐지게 표시하고, 메모의 원본 내용을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이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을 표시하는 제1레이어(layer)(741)와 별도로 제2레이어(747)에 다수 개의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제2레이어(747)에 포함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들(745 및 753)을 제1레이어(741)에 포함된 메모의 일부 영역(743 및 751)과 겹쳐지게 표시하고, 메모의 원본 내용을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이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을 표시하는 제1레이어(layer)(741)와 별도로 다수 개의 레이어들(예, 제2레이어(747) 및 제3레이어(761))에 다수 개의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제2레이어(747)에 포함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745)을 제1레이어(741)에 포함된 메모의 일부 영역(743)과 겹쳐지게 표시하고, 제3레이어(761)에 포함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753)을 제1레이어(741)에 포함된 메모의 일부 영역(743)과 겹쳐지게 표시하며, 메모의 원본 내용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패턴을 이용하여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601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콘텐 편집 모드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을 구동한 경우, 전자 장치는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을 통해 문자, 필기,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는 "편집 모드"(703)를 제공한다. 또한, 전자 장치는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을 통해 기 작성된 메모에 대해서도 "편집 모드"(703)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603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된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에서 "보안 설정 아이콘"(705)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편집 중인 메모에 대한 보안을 설정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만일, 보안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메모 응용프로그램에서 편집 모드를 유지하거나, 본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보안 설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605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에서 일부 영역에 블록(731)이 지정된 경우,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으로 인식한다. 이때,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은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이미지, 블록으로 지정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 위에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중첩되게 위치시킬 수도 있다.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을 설정한 후, 607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에 패턴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에서 일부 영역에 블록(731)을 지정한 경우, 전자 장치는 "패턴 설정 메뉴"(733)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패턴 설정 메뉴"(733)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을 보안 설정을 위한 패턴으로 인식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패턴이 그려지는 시작 지점(735) 및 종료 지점(737)을 이용하여 패턴을 인식한다.
패턴을 설정한 후, 609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605동작에서 설정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 및 607동작에서 설정한 패턴을 포함하는 보안 설정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을 표시하는 제1레이어(layer)(741)와 별도로 제2레이어(747)에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제2레이어(747)에 포함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745)을 제1레이어(741)에 포함된 메모의 일부 영역(743)과 겹쳐지게 표시하고, 메모의 원본 내용을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이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을 표시하는 제1레이어(layer)(741)와 별도로 제2레이어(747)에 다수 개의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제2레이어(747)에 포함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들(745 및 753)을 제1레이어(741)에 포함된 메모의 일부 영역(743 및 751)과 겹쳐지게 표시하고, 메모의 원본 내용을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이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701)을 표시하는 제1레이어(layer)(741)와 별도로 다수 개의 레이어들(예, 제2레이어(747) 및 제3레이어(761))에 다수 개의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제2레이어(747)에 포함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745)을 제1레이어(741)에 포함된 메모의 일부 영역(743)과 겹쳐지게 표시하고, 제3레이어(761)에 포함된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753)을 제1레이어(741)에 포함된 메모의 일부 영역(743)과 겹쳐지게 표시하며, 메모의 원본 내용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을 설정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을 설정한 후, 보안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을 설정한 후, 보안 설정을 위한 비밀번호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을 위한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이용하여 보안 설정을 위한 패턴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비밀번호로 보안이 설정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801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콘텐츠 목록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1001)에서 "메모 목록"(1003)을 구동한 경우, 전자 장치는 메모 응용프로그램(1001)을 통해 작성되거나, 다른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되었지만 메모 응용프로그램(1001)을 통해 편집 및 보기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메모 목록"(1003)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에 대해 미리보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메모의 내용 중 일부 영역에 대한 보안이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는 보안이 설정된 영역을 제외한 메모의 내용을 미리보기로 표시할 수도 있다.
콘텐츠 목록을 표시한 후, 803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콘텐츠 목록에서 콘텐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된 "메모 목록"(1003)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콘텐츠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801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콘텐츠 목록의 표시를 유지한다.
한편, 콘텐츠가 선택된 경우, 805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콘텐츠 내용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된 "메모 목록"(1003)에서 메모(1005)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메모를 메모 응용프로그램(1001)의 "보기 모드(View mode)"(1011)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메모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1013 및 1015)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안 설정 영역은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이미지, 블록으로 지정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설정 영역 위에는 문자,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중첩되게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메모에 대한 제목을 설정한 경우, 메모의 제목을 표시부 상단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807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1013 및 1015)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보안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805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콘텐츠 내용 표시를 유지한다.
한편, 보안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809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비밀번호 입력 메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안 설정 영역(1013)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 확인 메뉴"(1021)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비밀번호 입력 메뉴를 표시한 후, 811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된 비밀번호가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한 "비밀번호 확인 메뉴"(1021)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및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보안 설정 영역에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입력된 비밀번호가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 809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비밀번호 입력 메뉴의 표시를 유지한다.
한편, 비밀번호가 일치한 경우, 813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해당 보안 설정 영역의 내용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 확인 메뉴"(1021)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제1보안 설정 영역(1013)에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안 설정 영역(1013)에 해당하는 내용(1031)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패턴으로 보안이 설정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901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콘텐츠 목록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1001)에서 "메모 목록"(1003)을 구동한 경우, 전자 장치는 메모 응용프로그램(1001)을 통해 작성되거나, 다른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되었지만 메모 응용프로그램(1001)을 통해 편집 및 보기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메모 목록"(1003)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에 대해 미리보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메모의 내용 중 일부 영역에 대한 보안이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는 보안이 설정된 영역을 제외한 메모의 내용을 미리보기로 표시할 수도 있다.
콘텐츠 목록을 표시한 후, 903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콘텐츠 목록에서 콘텐츠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된 "메모 목록"(1003)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콘텐츠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901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콘텐츠 목록의 표시를 유지한다.
한편, 코텐츠가 선택된 경우, 905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콘텐츠 내용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된 "메모 목록"(1003)에서 메모(1005)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메모를 메모 응용프로그램(1001)의 "보기 모드(View mode)"(1011)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메모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1013 및 1015)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안 설정 영역은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이미지, 블록으로 지정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설정 영역 위에는 문자,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중첩되게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메모에 대한 제목을 설정한 경우, 메모의 제목을 표시부 상단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907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1013 및 1015)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보안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905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콘텐츠 내용 표시를 유지한다.
한편, 보안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909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패턴 확인 메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안 설정 영역(1015)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확인 메뉴"(1041)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패턴 확인 메뉴를 표시한 후, 911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된 패턴이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된 패턴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한 "패턴 확인 메뉴"(1041)를 통해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제2보안 설정 영역(1015)에 대한 보안 설정 해제를 시도하기 위한 패턴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패턴 확인 메뉴"(1041)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과 제2보안 설정 영역(1015)에 기 설정된 패턴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패턴이 그려지는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이용하여 패턴이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된 패턴과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만일, 입력된 패턴이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된 패턴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 909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패턴 확인 메뉴의 표시를 유지한다.
한편, 패턴이 일치한 경우, 913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해당 보안 설정 영역의 내용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확인 메뉴"(1041)를 통해 입력된 패턴이 제2보안 설정 영역(1015)에 기 설정된 패턴과 일치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안 설정 영역(1015)에 해당하는 내용(1051)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에 포함된 다수 개의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해 일괄적으로 보안 설정을 해제할 수 있는 마스터 비밀번호 또는 마스터 패턴이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 보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문서, 메모, 이미지, 메신저, 이메일, SMS, MM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설정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대해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이미지, 블록 지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보안 설정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설정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콘텐츠의 원본 내용을 표시하는 제1레이어(layer)와 별도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레이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 위에 문자를 입력하거나,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중첩되게 위치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는 동작은,
    비밀번호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비밀번호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및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는 동작은,
    패턴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패턴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의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설정 영역 및 상기 영역에 설정한 보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보안 설정 영역의 보안 해제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보안이 해제된 경우,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상기 콘텐츠의 원본 내용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해제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비밀번호 확인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비밀번호 확인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및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해제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패턴 확인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패턴 확인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의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된 패턴과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콘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고,
    상기 콘텐츠는 문서, 메모, 이미지, 메신저, 이메일, SMS, MM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대해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이미지, 블록 지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보안 설정 영역을 결정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콘텐츠의 원본 내용을 표시하는 제1레이어(layer)와 별도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레이어를 생성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 위에 문자를 입력하거나, 도형, 그림, 아이콘, 사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중첩되게 위치시키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비밀번호 설정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비밀번호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및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패턴 설정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패턴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의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보안을 설정하는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안 설정 영역 및 상기 영역에 설정한 보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
  18.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설정 영역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보안 설정 영역의 보안 해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보안이 해제된 경우,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상기 콘텐츠의 원본 내용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비밀번호 확인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비밀번호 확인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및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패턴 확인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패턴 확인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의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보안 설정 영역에 설정된 패턴과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
KR20130071826A 2013-06-21 2013-06-21 콘텐츠 보안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148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826A KR20140148196A (ko) 2013-06-21 2013-06-21 콘텐츠 보안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4/290,371 US20140380492A1 (en) 2013-06-21 2014-05-29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securit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826A KR20140148196A (ko) 2013-06-21 2013-06-21 콘텐츠 보안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196A true KR20140148196A (ko) 2014-12-31

Family

ID=52112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826A KR20140148196A (ko) 2013-06-21 2013-06-21 콘텐츠 보안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380492A1 (ko)
KR (1) KR201401481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5430A1 (en) * 2020-02-03 2021-08-12 Tritium Holdings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display of electronic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481B1 (ko) * 2014-06-05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7087531B2 (ja) * 2018-03-23 2022-06-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9560A1 (en) * 2006-07-31 2010-10-14 Gabriel Jakobson Enhancing privacy by affecting the screen of a computing device
US8615581B2 (en) * 2008-12-19 2013-12-24 Openpeak Inc. System for managing devices and method of operation of same
US20120131471A1 (en) * 2010-11-18 2012-05-24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tecting privacy of content
AU2011202415B1 (en) * 2011-05-24 2012-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icture gesture authentication
US9076008B1 (en) * 2011-06-27 2015-07-07 Amazon Technologies, Inc. Content protection on an electroni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5430A1 (en) * 2020-02-03 2021-08-12 Tritium Holdings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display of electronic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80492A1 (en) 2014-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6233B2 (e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EP3012732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22464B1 (ko)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그 전자장치
EP2950192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EP3151507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device
EP3252637B1 (en) Mobile terminal privacy protection method, protection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EP328975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6453052B (zh) 消息交互方法及装置
JP2006303701A (ja) 電子機器、その動作抑止制御方法及び動作抑止制御プログラム
US992796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30131106A (ko)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120196A (ko) 전자 장치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70083208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409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information in voice service
KR20140139764A (ko)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52699B1 (ko) 전자 장치에서 컨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KR20140144056A (ko) 객체 편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148196A (ko) 콘텐츠 보안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107909A (ko) 가상 키패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31961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voice service
US10198170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6211377A (ja) 無線端末装置
CN112416210A (zh) 信息加密和解密方法、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7133531B (zh) 应用锁的使用提醒方法和装置
EP24931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notes in a wireles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