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8097A -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8097A
KR20140148097A KR1020130071580A KR20130071580A KR20140148097A KR 20140148097 A KR20140148097 A KR 20140148097A KR 1020130071580 A KR1020130071580 A KR 1020130071580A KR 20130071580 A KR20130071580 A KR 20130071580A KR 20140148097 A KR20140148097 A KR 20140148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capacitor
voltage
voltage charged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530B1 (ko
Inventor
이규열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071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530B1/ko
Publication of KR20140148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battery ageing, e.g. to the number of charging cycles or the state of health [So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2Measuring rate of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은, 배터리 팩에 캐패시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Battery pack leak diagnosis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 팩에 캐패시터를 연결하고,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배터리 팩의 누설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추가적인 파형 발생 회로를 포함하지 아니하여 회로의 설계가 간단하고 누설 진단 회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쉽고 정확하게 배터리 팩의 누설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화석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 팩을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이차 전지가 주류를 이룬다. 상기 이차 전지는 크게 리튬 계열 전지와 니켈 수소 계열로 분류된다. 상기 리튬 계열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동영상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게임기 등의 소형 제품에 주로 적용되며, 상기 니켈 수소 계열 전지는 자동차와 같이 고출력이 요구되는 제품에 주로 적용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 팩을 사용하는 장치에서는 배터리 팩과 장치 간의 절연상태가 잘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는 배터리 팩의 절연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배터리 팩 누설전류는 예상치 못한 배터리 팩의 방전이나 장치에 구비된 전자기기의 오작동을 일으킨다. 또한, 배터리 팩을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고전압 배터리 팩을 사용하는 장치에서는 사람에게 치명적인 감전피해를 줄 수 있다.
이러한 상해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은 절연진단 기능을 갖는 장치를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의 절연진단 장치는 임의의 파형을 발생시키는 회로 및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발생되는 파형 출력과 그 파형이 캐패시터를 지난 출력의 시간 차를 이용하여 절연을 진단하였다. 하지만 임의의 파형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복잡한 회로가 요구되어 회로 설계가 어려워지고 회로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320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팩에 캐패시터를 연결하고,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배터리 팩의 누설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추가적인 파형 발생 회로를 포함하지 아니하여 회로의 설계가 간단하고 누설 진단 회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쉽고 정확하게 배터리 팩의 누설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은, 배터리 팩에 캐패시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패시터를 배터리 팩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캐패시터를 상기 배터리 팩에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과 상기 배터리 팩이 정상일 때의 전압의 변화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과 상기 배터리 팩이 정상일 때의 전압의 변화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배터리 팩이 누설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은, 전기 자동차에 내장되는 배터리 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는, 배터리 팩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및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는 누설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배터리 팩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누설 판단부는,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과 상기 배터리 팩이 정상일 때의 전압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과 상기 배터리 팩이 정상일 때의 전압의 변화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배터리 팩이 누설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은, 전기 자동차에 내장되는 배터리 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팩에 캐패시터를 연결하고,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배터리 팩의 누설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추가적인 파형 발생 회로를 포함하지 아니하여 회로의 설계가 간단하고 누설 진단 회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쉽고 정확하게 배터리 팩의 누설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서술하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는 추진력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차량을 말한다. 전기 자동차를 추진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및/또는 연료 전지와 같은 전기적 소스(electrical source)를 포함한다. 전기 자동차는 내연 기관(combustion engine)을 또 하나의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가 전기 자동차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는 전기 자동차 이외에도 가정용 또는 산업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이나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시스템 등 이차 전지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라면 어떠한 기술 분야라도 적용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는 배터리(10),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20), ECU(Electronic Control Unit, 30), 인버터(40) 및 모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0)는 모터(5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전기 자동차(1)를 구동시키는 전기 에너지원이다. 배터리(10)는 모터(50) 및/또는 내연 기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인버터(40)에 의해 충전되거나 방전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1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0)는 복수의 전지 셀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팩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배터리(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BMS(20)는 배터리(10)의 상태를 추정하고, 추정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10)를 관리한다. 예컨대, 배터리(10)의 잔존 용량(State Of Charging; SOC), 잔존 수명(State Of Health; SOH), 최대 입출력 전력 허용량, 출력 전압 등 배터리(10) 상태 정보를 추정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10)의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며, 나아가 배터리(10)의 교체 시기 추정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BMS(20)는 후술하는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도 2의 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에 의해 보다 배터리(10)의 누설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ECU(30)는 전기 자동차(1)의 상태를 제어하는 전자적 제어 장치이다. 예컨대,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브레이크(break), 속도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토크 정도를 결정하고, 모터(50)의 출력이 토크 정보에 맞도록 제어한다.
또한, ECU(30)는 BMS(20)에 의해 전달받은 배터리(10)의 SOC, SOH 등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10)가 충전 또는 방전될 수 있도록 인버터(40)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인버터(40)는 ECU(3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10)가 충전 또는 방전되도록 한다.
모터(50)는 배터리(10)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ECU(3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정보(예컨대,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1)를 구동한다.
상술한 전기 자동차(1)는 탑승자 또는 기술자의 안전을 위하여 배터리(10)의 누설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100)는 캐패시터(110), 전압 측정부(120) 및 누설 판단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캐패시터(110)는 배터리 팩(10)에 연결되어, 배터리 팩(10)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패시터(110)는 배터리 팩(10)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팩(10)은 전기 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 팩일 수 있다.
전압 측정부(120)는 캐패시터(110)에 충전되는 전압을 측정한다.
누설 판단부(130)는 일정 시간 동안의 캐패시터(110)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캐패시터(110)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배터리 팩(10)의 누설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누설 판단부(130)는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과 상기 배터리 팩이 정상일 때의 전압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과 상기 배터리 팩이 정상일 때의 전압의 변화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배터리 팩이 누설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 및 상기 기설정된 오차 범위는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100)에 초기값으로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 장치 등을 이용하여 필요에 의해 설정한 것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전류가 누설될 경우 회로 내부의 저항이 커지게 되므로,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이 빠르게 상승하게 될 것이다. 즉,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은 상기 배터리 팩이 정상일 때의 전압의 변화량에 비해 커질 것이다.
이에 따라, 누설 판단부(130)는 이러한 변화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배터리 팩의 누설이 누설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압 측정부(120) 및 누설 판단부(130)는 하나 또는 별개의 마이컴(MICOM)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마이컴은 전기 자동차의 BMS에 포함된 마이컴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이 시작되면, 먼저 배터리 팩에 캐패시터를 연결하고(S201),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을 측정한다(S202). 그리고 일정 시간 동안의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한다(S203).
그리고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과 상기 배터리 팩이 정상일 때의 전압의 변화량을 비교하여(S204),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과 상기 배터리 팩이 정상일 때의 전압의 변화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 이면, 배터리 팩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S205),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과 상기 배터리 팩이 정상일 때의 전압의 변화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배터리 팩이 누설되는 것으로 판단한다(S206).
전술한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 배터리 팩
100: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
110: 캐패시터
120: 전압 측정부
130: 누설 판단부

Claims (8)

  1. 배터리 팩에 캐패시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를 배터리 팩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캐패시터를 상기 배터리 팩에 병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과 상기 배터리 팩이 정상일 때의 전압의 변화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과 상기 배터리 팩이 정상일 때의 전압의 변화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배터리 팩이 누설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전기 자동차에 내장되는 배터리 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5. 배터리 팩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및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는 누설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배터리 팩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판단부는,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과 상기 배터리 팩이 정상일 때의 전압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량과 상기 배터리 팩이 정상일 때의 전압의 변화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배터리 팩이 누설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전기 자동차에 내장되는 배터리 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누설 진단 장치.
KR1020130071580A 2013-06-21 2013-06-21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1602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580A KR101602530B1 (ko) 2013-06-21 2013-06-21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580A KR101602530B1 (ko) 2013-06-21 2013-06-21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097A true KR20140148097A (ko) 2014-12-31
KR101602530B1 KR101602530B1 (ko) 2016-03-10

Family

ID=5267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580A KR101602530B1 (ko) 2013-06-21 2013-06-21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5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8689B2 (en) 2015-06-19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urrent leakage in battery module
CN117346962A (zh) * 2023-12-05 2024-01-05 杭州华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漏液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76644A1 (en) * 2016-09-14 2018-03-15 Kilowatt Labs, Inc. Supercapacitor based energy storage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167A (ja) * 2001-03-27 2002-10-04 Denso Corp フライングキャパシタ式組電池電圧検出装置
JP2006145293A (ja) * 2004-11-17 2006-06-08 Daihatsu Motor Co Ltd 漏電検出装置
JP2010217146A (ja) * 2009-03-19 2010-09-30 Denso Corp 漏電検出システム
JP2012137422A (ja) * 2010-12-27 2012-07-19 Primearth Ev Energy Co Ltd 電圧検出回路
KR20120103205A (ko) 2011-03-10 2012-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의 누설전류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167A (ja) * 2001-03-27 2002-10-04 Denso Corp フライングキャパシタ式組電池電圧検出装置
JP2006145293A (ja) * 2004-11-17 2006-06-08 Daihatsu Motor Co Ltd 漏電検出装置
JP2010217146A (ja) * 2009-03-19 2010-09-30 Denso Corp 漏電検出システム
JP2012137422A (ja) * 2010-12-27 2012-07-19 Primearth Ev Energy Co Ltd 電圧検出回路
KR20120103205A (ko) 2011-03-10 2012-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의 누설전류 검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8689B2 (en) 2015-06-19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urrent leakage in battery module
CN117346962A (zh) * 2023-12-05 2024-01-05 杭州华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漏液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7346962B (zh) * 2023-12-05 2024-03-12 杭州华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漏液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530B1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29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tate of charge of battery
KR102244141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US8264201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768235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utomotive vehicle
US8463563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498761B1 (ko) 배터리의 수명 예측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498760B1 (ko) 배터리 잔존 용량 추정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675191B1 (ko)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5051552A (zh) 电压传感器的故障检测装置
EP2869074B1 (en)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pre-charge resistance of battery pack
KR101641762B1 (ko) 프리차지 저항 및 릴레이 파손 방지 장치 및 방법
JP6492175B2 (ja) バッテリーラック間の電圧バランシング装置及び方法
KR101486629B1 (ko) 배터리 수명 추정 장치 및 배터리 수명 추정 방법
KR101602530B1 (ko) 배터리 팩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1498764B1 (ko)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748644B1 (ko) 배터리 모듈 시뮬레이션 장치
KR101741303B1 (ko) 배터리 랙 간 전압 밸런싱 장치 및 방법
KR20180008215A (ko)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70365889A1 (en) Battery pack protecting system and method
US11353514B2 (en) Battery system and SOC estimation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CN104769450A (zh) 用于电池组的测试系统和用于测试该电池组的方法
KR101472886B1 (ko) 전지팩의 전압 밸런싱 장치 및 방법
US10266056B2 (en) Battery access system and method
Sundaram et al. A short review on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Bellache et al. Characterization and Electric Behavior Modeling of Lithium-Battery using Temporal Approach for Parameters Compu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