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960A -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960A
KR20140147960A KR20130070873A KR20130070873A KR20140147960A KR 20140147960 A KR20140147960 A KR 20140147960A KR 20130070873 A KR20130070873 A KR 20130070873A KR 20130070873 A KR20130070873 A KR 20130070873A KR 20140147960 A KR20140147960 A KR 20140147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over
main body
case
persp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이텍
Priority to KR2013007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7960A/ko
Publication of KR20140147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내측에 수용하고,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커버;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수용된 휴대단말기를 볼 수 있는 투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휴대단말기 측에 포켓부가 형성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상태 파악이 용이하고, 수납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PROTECTIVE CAS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상태 파악이 용이하고, 수납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통신수단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같은 통신수단으로는 유선전화기, 컴퓨터, 휴대 통신단말기 등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 통신단말기로서 휴대전화기와 PDA의 장점을 결합한 스마트폰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음성 통화 기능 외에 일정 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소형의 기기에 통합시켜 그 편의성과 활용도가 더욱 증대되어가고 있는 고가의 장비이다.
이러한 고가의 스마트폰의 외관을 스크래치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현재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보호케이스가 알려져 있으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2677호 등), 대부분의 보호케이스들은 기존의 휴대전화기 보호케이스에 적용되었던 컨셉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못한 것이 대부분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2677호, 2011. 3. 14, 도면 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휴대단말기의 상태 파악이 용이하고, 수납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전술한 기술적 과제에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 사항으로 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내측에 수용하고,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커버;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수용된 휴대단말기를 볼 수 있는 투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휴대단말기 측에 포켓부가 형성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대응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측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각각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 또는 타측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는 각각 상기 본체부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는 상기 본체부 폐쇄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는 상기 본체부 개방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는 상기 제2커버에 형성된 절개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시부는 투시홀 및 투시창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시창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는 복수개로, 각각의 투시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 중 하나의 투시부는 투시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나의 투시부와 이격된 다른 하나의 투시부는 투시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상태 파악이 용이하고, 수납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호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보호케이스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별도 언급이 없는 한,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전화 등 휴대가능한 통신단말기 등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호케이스의 저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보호케이스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는 본체부(10), 제1커버(30), 및 제2커버(5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휴대단말기(T)를 내측에 수용하고,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다. 본체부(10)는 휴대단말기(T)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어, 휴대단말기(T)를 견고하게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휴대단말기(T)의 측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휴대단말기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견고하게 수용할 수 있다. 본체부(10)에는 휴대단말기의 버튼과 같은 조작부(E), 및 단자와 같은 접속부(S) 등에 대응하는 홀(12, 14, 16, 18)이 형성되어, 휴대단말기(T)가 본체부(10)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T)는 이와 같은 본체부(10)의 개방된 일측 또는 타측을 통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부(10)의 내측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개방된 일측과 타측 각각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턱(13, 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턱(13, 15)은 본체부(10)에 수용되는 휴대단말기(T)의 전면과 후면의 일부와 중첩되어, 휴대단말기(T)를 보다 견고하게 본체부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걸림턱(13, 15)은 본체부(10)에 비해 연성인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보다 용이하게 휴대단말기(T)가 삽입되거나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T)의 전면은 일상적인 사용에서 사용자를 향하는 면을 의미하고, 후면은 그와 대척되는 면을 의미하며, 측면은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면을 의미한다.
휴대단말기(T)는 디스플레이부(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는 화상 등이 표시되는 부분으로, 본체부(10)의 일측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D)가 본체부(10)의 일측을 통해 노출됨으로써, 본체부(10)에 휴대단말기(T)가 수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되는 화상 등을 볼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T)는 카메라(P)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P)는 본체부(10)의 타측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P)가 본체부(10)의 타측을 통해 노출됨으로써, 본체부(10)에 휴대단말기(T)가 수용된 상태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다.
본체부(10)의 개방된 일측과 타측을 통해, 디스플레이부(D)와 카메라(P)가 노출되어, 휴대단말기(T)가 본체부(10)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부와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본체부(10)의 개방된 일측은 제1커버(30)가 개폐하고, 제1커버(30)에는 본체부(10)의 내측에 수용된 휴대단말기(T)를 볼 수 있는 투시부(3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커버(30)에 의해 본체부(10)의 개방된 일측을 필요에 따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30)에 의해 본체부(10)의 일측을 폐쇄한 상태에서도, 투시부(31)에 의해 본체부(10)에 수용된 휴대단말기(T)를 볼 수 있어, 휴대단말기(T)의 상태 확인 등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D)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T)의 디스플레이부(D)가 본체부(10)의 일측을 통해 노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되는 화상 등을 투시부(31)를 통해 보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투시부(31)는 디스플레이부 대응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본체부(10)에 휴대단말기(T)를 수용하고, 제1커버(30)로 본체부(10)의 일측을 폐쇄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부(D)에 나타나는 착신의 확인, 동영상 감상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커버(30)에는 휴대단말기(T)의 수화부의 대응부에 홀 형상의 통신홀(33)이 형성되어, 제1커버(30)에 의해 본체부(10)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제2커버(50)는 본체부(10)의 개방된 타측을 개폐하고, 휴대단말기 측에 포켓부(5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커버(50)에 의해 본체부(10)의 개방된 타측을 필요에 따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50)의 휴대단말기 측에 포켓부(51)가 형성되어, 카드 등의 수납품(C)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제2커버(50)에 의해 본체부(10)의 개방된 타측을 개방하여 휴대단말기(T)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폐쇄함으로써 카메라 렌즈 등을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도 있다. 포켓부(51)는 카드 등의 수납품(C)을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50)에 형성된 절개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커버(50)는 휴대단말기 측의 내층과 휴대단말기 반대 측의 외층 사이에 공간을 갖되, 외주는 폐쇄된 2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휴대단말기 측의 층에 절개선을 형성하여, 카드 등을 용이하게 삽입하고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50)에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대응부에 카메라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도 있다.
제1커버(30)와 제2커버(50)는 각각의 일측이 본체부(10)에 힌지결합되어,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다. 제1커버와 제2커버는 본체부에 각각의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도 2 참조). 제1커버(30)와 제2커버(50)는 각각 본체부(10)와 연성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결합될 수 있다. 제1커버(30)와 제2커버(50)는 인조가죽을 포함하는 가죽,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본체부(10)에 수용되는 휴대단말기(T)를 외부의 충격이나 흠집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연결부 역시 제1커버, 제2커버와 동일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커버(30)와 제2커버(50)는 본체부(10) 폐쇄시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되어, 휴대가 용이한 구조일 수 있다. 즉, 한 손으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를 파지하여도 마주 보는 손가락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1커버(30)와 제2커버(50)가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용이하게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를 휴대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제1커버(30)와 제2커버(50)는 본체부(10) 개방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30)와 제2커버(50)가 본체부(10)에 힌지 결합되되, 본체부(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 바람직하게는 선대칭되는 위치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부 개방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본체부(10)는 제1커버(30) 및 제2커버(50) 각각과 수직이 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체부(10) 개방시 제1커버(30)와 제2커버(50)가 동일 평면인 지지면에 위치함으로써, 본체부(10)가 용이하게 기립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요시 본체부(10)가 기립 상태가 되도록 하여, 내측에 수용되는 휴대단말기(T) 역시 기립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단말기(T)가 기립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휴대단말기(T)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 등을 보다 용이하게 볼 수 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가 사용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의 본체부(10)에 힌지결합된 제1커버(30)와 제2커버(50)를 개방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T)를 본체부(10)에 삽입하여 수용되도록 한다. 제1커버(30)와 제2커버(50)는 평면인 지지면과 접하도록 함으로써, 제1커버(30)와 제2커버(50)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도 2 참조), 본체부(10)는 기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1 참조). 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T)의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되는 동영상 등을 용이하게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후, 제1커버(30)와 제2커버(50)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를 폐쇄할 수 있다. 제1커버(30)와 제2커버(50)는 서로 마주 보는 상태가 되므로,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부(51)에 수납품(C)을 수납하고자 할 경우, 제2커버(50)를 개방시켜, 카드와 같은 수납품(C)을 포켓부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 후, 화살표 방향으로 제2커버(50)를 이동시켜 다시 도 3에 도시된 폐쇄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투시부(3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투시창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와 크기일 수 있다. 일 예로, 투시부는 투시홀 및 투시창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시창은 투시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본체부의 내측에 수용된 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볼 수 있음과 동시에 외력에 의한 손상 등을 막아줄 수 있다. 투시창은 투시 가능한 한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다양한 투시부를 갖는 예인 제1변형예와 제2변형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의 설명에서 언급된 사항은 모순되지 않는 한, 제1변형예 내지 제2변형예와 서로 동일하게 적용되며 중복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변형예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1)는 투시창 방식의 투시부(31)가 제1커버 면적의 50% 이상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도 있다. 즉, 투시창을 제1커버 면적의 50%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보다 넓은 부분을 볼 수 있게 된다. 휴대단말기 전면 전체를 볼 수 있도록, 휴대단말기 전면 대응부 전체가 투시창이 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대응부 전체가 투시창이 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투시부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변형예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2)는 투시부(31)가 복수개로, 각각의 투시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투시부가 복수개로 서로 이격 형성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원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보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복수개의 투시부는 모두 동일한 형태 또는 상이한 형태의 것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시부 모두가 투시홀이거나 투시창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투시부는 투시홀(313)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투시부는 투시창(3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투시부(31)의 형태를 상이하게 구성함으로써, 투시창(311)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등을 봄과 동시에 투시홀(313)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등을 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의해 휴대단말기를 보호함과 동시에, 수납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조작하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1-1, 1-2: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10: 본체부
12, 14, 16, 18: 홀 13, 15: 걸림턱
30: 제1커버 31: 투시부
33: 통신홀 50: 제2커버
51: 포켓부 311: 투시창
313: 투시홀
C: 수납품 D: 디스플레이부
E: 조작부 P: 카메라
S: 접속부 T: 휴대단말기

Claims (10)

  1. 휴대단말기를 내측에 수용하고,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커버;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수용된 휴대단말기를 볼 수 있는 투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휴대단말기 측에 포켓부가 형성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통해 노출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각각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는 각각 상기 본체부에 힌지결합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는 상기 본체부 폐쇄시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는 상기 본체부 개방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는 투시홀 및 투시창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는 복수개로, 각각의 투시부는 서로 이격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 중 하나의 투시부는 투시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나의 투시부와 이격된 다른 하나의 투시부는 투시창으로 이루어진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30070873A 2013-06-20 2013-06-20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40147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873A KR20140147960A (ko) 2013-06-20 2013-06-20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873A KR20140147960A (ko) 2013-06-20 2013-06-20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960A true KR20140147960A (ko) 2014-12-31

Family

ID=5267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0873A KR20140147960A (ko) 2013-06-20 2013-06-20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79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116A1 (ko) * 2016-10-25 2018-05-03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화면 투과창이 적용된 하부 커버를 갖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구비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116A1 (ko) * 2016-10-25 2018-05-03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화면 투과창이 적용된 하부 커버를 갖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구비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US20200037716A1 (en) * 2016-10-25 2020-02-06 Ganahandongjidul Inc. Protective case of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lower cover to which screen transmission window is appli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8832A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storage compartment and pivot stand
US10715197B2 (en) Exterior cover
US20120244918A1 (en) Cell Phone Case
US9408446B2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116895A1 (en) Electronic device case
KR20220057491A (ko) 카드수납구조를 포함하는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
KR101419199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1464254B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246026B1 (ko)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
KR200474129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73012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40147960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255559B1 (ko)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
KR10139205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210110527A (ko) 카드 및 지폐 수납구조를 포함하는 도어형 휴대폰 케이스
KR101422169B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JP3211909U (ja) 携帯端末用ケース
KR20170117694A (ko)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KR20130087954A (ko) 휴대폰 케이스
KR20150001869U (ko) 수납칸 및 거울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30005319U (ko)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KR200477848Y1 (ko) 휴대단말 케이스
JP3185032U (ja) タッチパネル機器携帯用ポーチ
KR200463461Y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468989B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