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523A - 육류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육류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523A
KR20140147523A KR20130070946A KR20130070946A KR20140147523A KR 20140147523 A KR20140147523 A KR 20140147523A KR 20130070946 A KR20130070946 A KR 20130070946A KR 20130070946 A KR20130070946 A KR 20130070946A KR 20140147523 A KR20140147523 A KR 20140147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at
grill
m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락
Original Assignee
이형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락 filed Critical 이형락
Priority to KR20130070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7523A/ko
Publication of KR20140147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육류를 구우면서 그 굽는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 된 채로, 그 개구 된 하부에 석쇠(110)를 거치하여 상기 석쇠(110) 위에서 육류인 구이대상(10)이 구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익혀질 수 있도록 열을 공급하면서 다수 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열공급부(200); 상기 석쇠(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익혀지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수분 및 기름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기름유입부(300); 상기 석쇠(100)와 상기 열공급부(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익혀지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연기배출부(400); 및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진입되거나 외부로 반출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부(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육류 구이장치{MEAT ROAST EQUIPMENT}
본 발명은 육류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육류를 구우면서 그 굽는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도축 된 가축의 고기를 가지고 구워서 요리를 하는 방법은 널리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방법 또한 다양하다.
육류를 구워서 요리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가축을 도축한 상태로 고기를 회전시켜서 구워서 요리를 하는 방법이 있고, 고기를 소정의 크기로 손질하여 불판에 놓고 구워서 요리를 하는 방법으로 구분되어 진다.
상기의 구이요리방법 중 고기를 소정의 크기로 손질하여 불판에 놓고 구워서 요리를 하는 방법은 일반가정이나 대중음식점에서 구이요리를 하게 되고, 도축 된 가축을 통째로 구이 하는 것은 구이전문점에서만 주로 구이 요리하게 된다.
종래에는 석쇠, 불판 등에 올려놓은 고기가 숯불, 가스불에 직접 닿거나 매우 근접하므로 속이 덜 익은 상태에서 겉만 쉽게 타버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약한 불로 오래 구워야 하는 불편함과 타지 않도록 고기를 자주 뒤집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육류의 구이 시 고기에 함유된 수분이 그대로 가열체 상에 떨어지므로 고기가 쉽게 타고 연기가 발생하는 문제점 및 과도한 탈수에 의해 영양손실이 크고 육질이 부드럽지 못하여 미각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육류의 구이 시 연기 등의 냄새가 그대로 외부로 발산되므로 실내공기가 탁해지고 옷에 냄새가 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고기에 함유된 수분만을 가열하여 익히는 구조이므로, 이러한 전자레인지로는 고기 본래의 맛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육류를 굽기 위해 열을 제공하는 가열체가 부분적으로 훼손될 경우, 가열체를 전부 교체해야하고, 육류를 굽는 본체에서 가열체 부위만 분해해서 교체하기는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에는, 육류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체를 포함하여 육류를 굽는 본체를 전반적으로 청소하기가 곤란하여 청결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020410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는, 육류를 구우면서 육류를 주기적으로 뒤집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면서도 육류가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는 육류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는,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영양손실을 방지하고 고기에 함유된 수분을 유지하여 부드러운 육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는,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연기와 냄새로 인해 실내공기가 탁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옷에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육류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는, 육류를 굽기 위해 열을 제공하는 가열체가 부분적으로 훼손될 경우, 육류를 굽는 본체에서 가열체 부위만 분해해서 교체할 수 있는 육류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는, 육류를 구운 후 육류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체를 포함하여 육류를 굽는 본체를 전반적으로 분해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 된 채로, 그 개구 된 하부에 석쇠(110)를 거치하여 상기 석쇠(110) 위에서 육류인 구이대상(10)이 구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익혀질 수 있도록 열을 공급하면서 다수 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열공급부(200); 상기 석쇠(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익혀지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수분 및 기름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기름유입부(300); 상기 석쇠(100)와 상기 열공급부(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익혀지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연기배출부(400); 및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진입되거나 외부로 반출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열공급부(200)는, 전기를 통해 열을 발생하는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관(210)과, 다수 개가 상호 결합 되면서 판 형태로 상기 발열관(210)의 외면을 감싸는 방열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열공급부(200)를 지지하면서 상기 열공급부(200)에서 발생 되는 열은 상기 구이대상(10)에 공급되도록 하는 지지핀(150)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판(220)은, 상기 발열관(210)에서 발생 되는 열이 상기 방열판(220)에 열 전도됨과 동시에 상기 구이대상(10)에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방열판(220)에 다수 개가 관통형성되는 방열홈(222)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판(220)은, 내부로 상기 발열관(210)이 관통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방열홈(22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방열판(220)에 다수 개가 관통형성되는 발열관부양홈(224)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판(220)은, 상기 방열판(220)의 일 측에 양각형성되되 상기 발열관부양홈(224)의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226)와, 상기 방열판(220)의 타 측에 음각형성되는 체결홈(228)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판(220)의 체결돌기(226)는, 다른 방열판(220')의 체결홈(228')에 끼워지고, 상기 방열판(220)의 체결홈(228)에는, 또 다른 방열판(220')의 체결돌기(226')가 끼워지면서 체결되어 다수 개의 상기 방열판(220, 220')이 연결되면서 판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석쇠(11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지지편(120)을 포함하고, 상기 석쇠(110)와 지지편(120)은 상호 볼트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름유입부(300)는, 상기 석쇠(110)의 하부에 배치되되 깔때기 형태를 갖으며 상기 구이대상(10)에서 발생 되는 수분 및 기름이 낙하 되면서 한 곳에 저장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는 안내호퍼(310)와, 상기 안내호퍼(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호퍼(310)를 통해 유동 되는 상기 구이대상(10)의 수분 및 기름이 저장되는 저장조(3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안내호퍼(310)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진입된 후 거치 되거나,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홈(130)과, 상기 저장조(320)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판(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기배출부(400)는, 상기 석쇠(100)와 상기 열공급부(200)의 사이의 상기 본체(100) 내벽에 배치되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구이대상(10)에서 발생 되는 연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천공되는 유입공(412)을 갖는 판 형태의 배기판(410)과, 상기 배기판(410)에 연결되면서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배기판(410)으로 유입되는 연기가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관(420)과, 상기 배출관(420)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판(410)의 연기가 상기 배출관(420)에 흡입되어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유동 될 수 있도록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팬(430)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5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상기 구이대상(10)을 진입 또는 반출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개폐문(510)과, 상기 개폐문(5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520)와, 상기 손잡이(520)와 체결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개폐문(510)이 상기 본체(100)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편(530)과, 상기 개폐문(510)의 내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개폐문(510)이 상기 본체(100)의 폐쇄시 상기 본체(100)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패킹(5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는, 육류를 구우면서 육류를 주기적으로 뒤집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육류가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는,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영양손실을 방지하고 고기에 함유된 수분을 유지하여 부드러운 육질의 식감을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는,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연기와 냄새로 인해 실내공기가 탁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옷에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하는 쾌적한 상태로 육류를 구울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는, 육류를 굽기 위해 열을 제공하는 가열체가 부분적으로 훼손될 경우, 육류를 굽는 본체에서 가열체 부위만 분해해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비용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는, 육류를 구운 후 육류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체를 포함하여 육류를 굽는 본체를 전반적으로 분해하여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4에 따른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류를 구우면서 그 굽는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구이장치 [특히, 열공급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는, 구워지게 될 육류인 구이대상(10)이 탄화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구이대상(10)의 영양손실을 방지하고 고기에 함유된 수분을 유지하여 상기 구이대상(10)으로 하여금 부드러운 육질의 식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이대상(10)이 구워지는 위치인 석쇠(110)가 내부에 배치되는 본체(100)를 갖고,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대상(10)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20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의 상기 석쇠(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수분과 기름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기름유입부(300)와, 상기 구이대상(10)으로 인해 발생 되는 연기가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연기배출부(400)와, 상기 구이대상(10)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진입 또는 외부로 반출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부(50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0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 된 채로, 그 개구 된 하부에 석쇠(110)를 거치하여 상기 석쇠(110) 위에서 육류인 구이대상(10)이 구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석쇠(11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지지편(120)을 포함하고, 상기 석쇠(110)와 지지편(120)은 상호 볼트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100)는, 직사각형으로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부에서 상기 구이대상(10)이 구워질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구이대상(10)은, 상기 열공급부(200)를 통해 열을 제공받아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익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구이대상(10)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열공급부(200)에서 방열 되는 고열에 의해 구워져야 되기 때문에 내열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공급부(200)는, 상기 석쇠(11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익혀질 수 있도록 열을 공급하면서 다수 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열공급부(20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열공급부(200)에서 발생 되는 열은 상기 구이대상(10)에 공급되도록 하는 지지핀(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핀(150)은, 상기 열공급부(200)를 안정적으로 부양하면서 상기 열공급부(200)에서 발생 되는 열이 상기 구이대상(10)에 공급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열공급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열을 상기 구이대상(10)에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열공급부(200)는, 외부에서 전원을 제공받아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면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상기 구이대상(10)에 열을 방열하여 상기 구이대상(10)이 원활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공급부(200)는, 다수 개의 세라믹 소재가 상호 결합을 통해 판 형태를 이루는 형상을 갖고,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원활하게 배치 또는 탈거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열공급부(200)에 문제가 발생 될 경우, 상기 본체(100)에서 상기 열공급부(200)를 탈거 하여 부분적으로 교체하거나 수리 또는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열공급부(2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기름유입부(300)는, 상기 석쇠(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익혀지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수분 및 기름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기름유입부(300)는, 상기 구이대상(10)이 익혀지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수분 및 기름이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튀거나 누수 되어 상기 본체(100)의 주변부품들이 훼손되거나 상기 본체(100)의 내부가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기름유입부(300)는, 내열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름유입부(3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이대상(10)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구이대상(10)에서는 연기가 발생 되게 되는데, 이러한 연기는 실내를 탁하게 하고 냄새가 옷에 배이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연기배출부(400)를 통해 상기 구이대상(10)에서 발생 되는 연기를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연기배출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상기 석쇠(100)와 상기 열공급부(200)의 사이 벽면과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익혀지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연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연기배출부(400)는, 상기 열공급부(200)에서 방열 되는 열에 노출되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내열성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개폐부(500)는,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진입되거나 외부로 반출될 수 있도록 개폐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부(5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상기 구이대상(10)을 진입 또는 반출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개폐문(510)과, 상기 개폐문(5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52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500)는, 상기 손잡이(520)와 체결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개폐문(510)이 상기 본체(100)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편(530)과, 상기 개폐문(510)의 내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개폐문(510)이 상기 본체(100)의 폐쇄시 상기 본체(100)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패킹(540)을 포함한다.
즉, 상기 개폐부(500)를 통해, 상기 구이대상(10)을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진입시킨 후, 상기 열공급부(200)의 방열을 통해 상기 구이대상(10)을 익히고, 상기 구이대상(10)이 익는 동안 상기 개폐부(500)는 상기 본체(100)를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문(510) 역시 고열에 노출되기 때문에 내열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520)를 통해 상기 개폐문(510)을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잠금편(530)은, 상기 구이대상(10)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익는 동안 상기 개폐문(510)이 상기 본체(100)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 패킹(540)은, 상기 개폐문(510)이 상기 본체(100)를 폐쇄시, 상기 개폐문(510)의 내면과 상기 본체(100)의 외면 사이에 밀착되어 상기 열공급부(200)에서 방열되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열공급부(20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열공급부(200)에서 발생 되는 열은 상기 구이대상(10)에 공급되도록 하는 지지핀(1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열공급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핀(150)의 상면에 부양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연공급부(200)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상기 구이대상(10)에 방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열공급부(200)는, 전기를 통해 열을 발생하는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관(210)과, 다수 개가 상호 결합 되면서 판 형태로 상기 발열관(210)의 외면을 감싸는 방열판(220)을 포함한다.
즉, 상기 발열관(210)은,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열판(220)은, 다수 개의 조각이 상기 발열관(210)의 외면을 감싸면서 판 형태를 이루게 되고, 상기 발열관(210)에서 발생 되는 열을 전도 받아 그 열에 의해 가열되면서 열기가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발열관(210)의 열이 상기 구이대상(10)으로 방열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열판(220)은, 상기 발열관(210)에서 발생 되는 열이 전도되면서 점차 뜨거워지게 되고, 상기 발열판(220)이 데워지면서 형성되는 열기는 상기 발열관(210)에서 발생 되는 열기와 더불어 상기 본체(100) 내부에 열기가 유지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익혀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발열판(220)은, 세라믹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발열관(210)에 의해 열이 전도되어 천천히 뜨거워진 후, 상기 발열관(210)에서 열의 발생이 멈추어도 상기 발열판(220)은 천천히 식으면서 상기 본체(100) 내부의 온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관(210)에서 발생 되는 열은 상기 방열판(220)에 열 전도되고, 상기 방열판(220)은, 상기 구이대상(10)에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방열판(220)에 다수 개가 관통형성되는 방열홈(222)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방열홈(222)을 통하여 상기 발열관(210)에서 발생 되는 열이 상기 구이대상(10)에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열판(220)은, 내부로 상기 발열관(210)이 관통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방열홈(22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방열판(220)에 다수 개가 관통형성되는 발열관부양홈(224)을 포함한다.
즉, 상기 발열관부양홈(224)을 통해 상기 발열관(210)이 관통되면서 밀착 거치 되어 상기 발열관(210)에서 발생 되는 열이 상기 발열판(220)에 원활하게 열전도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열판(220)은, 상기 방열판(220)의 일 측에 양각형성되되 상기 발열관부양홈(224)의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226)와, 상기 방열판(220)의 타 측에 음각형성되는 체결홈(228)을 포함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방열판(220)의 체결돌기(226)는, 다른 방열판(220')의 체결홈(228')에 끼워지고, 상기 방열판(220)의 체결홈(228)에는, 또 다른 방열판(220')의 체결돌기(226')가 끼워지면서 체결되어 다수 개의 상기 방열판(220, 220')이 연결되면서 판 형태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방열판(220)은 세라믹으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가 상호 결합 되면서 판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발열관(210)의 외면을 밀착한 채로 감싸면서 상기 발열관(210)과 함께 상기 구이대상(10)이 구워질 수 있도록 열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220)은, 상기 발열관(21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면서 상기 구이대상(10)에 열을 공급하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열기를 유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발열부(200)에 의해 열을 공급받아 구워지는 상기 구이대상(10)은, 구워지는 과정에서 연기가 발생 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기배출부(400)가 상기 본체(100)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기배출부(400)는, 상기 석쇠(100)와 상기 열공급부(200)의 사이의 상기 본체(100) 내벽에 배치되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구이대상(10)에서 발생 되는 연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천공되는 유입공(412)을 갖는 판 형태의 배기판(41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연기배출부(400)는, 상기 배기판(410)에 연결되면서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배기판(410)으로 유입되는 연기가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관(420)을 갖는다.
더불어, 상기 연기배출부(400)는, 상기 배출관(420)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판(410)의 연기가 상기 배출관(420)에 흡입되어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유동 될 수 있도록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팬(4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기판(410)은, 판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100)의 내벽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기 배기판(410)은 상기 본체(100)에 볼트(미도시)에 의해 상호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입팬(430)의 동력으로 인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발생 되는 연기가 상기 배기판(410)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배기판(410)으로 흡입된 연기는 상기 배출관(420)을 통해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기판(410)은, 상기 본체(100)의 내벽에 배치되면서 내부로 연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공(412)이 다수 개 천공되게 되고, 상기 배기판(410)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가 상기 배기판(410)의 내부에서 유동 되어 상기 배출관(420)으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배기판(410)은, 내열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구이장치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발열부(200)에 의해 열을 공급받아 구워지는 상기 구이대상(10)은, 구워지는 과정에서 수분과 기름(30)이 상기 구이대상(10)의 외면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석쇠(110)는, 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이대상(10)에서 발생 되는 상기 기름(30)이 상기 석쇠(110)의 하부로 낙하 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석쇠(110)의 하부로 낙하 되는 상기 기름(30)은 상기 기름유입부(300)로 낙하 되면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기름(30)이 낙하 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100) 내부의 사방으로 튀게되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가 청결함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고온을 유지하는 상기 기름(30)에 의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주변 부품들이 훼손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기름유입부(300)는, 상기 석쇠(110)의 하부에 배치되되 깔때기 형태를 갖으며 상기 구이대상(10)에서 발생 되는 수분 및 기름(30)이 낙하 되면서 한 곳에 저장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 되는 안내호퍼(31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기름유입부(300)는, 상기 안내호퍼(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호퍼(310)를 통해 유동 되는 상기 구이대상(10)의 수분 및 기름(30)이 저장되는 저장조(320)를 포함한다.
상기 석쇠(110)를 통과하여 낙하 되는 상기 기름(30)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 되는 안내호퍼(310)의 상부를 통해 상기 안내호퍼(310)의 내부로 진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호퍼(310)는, 개구 된 상부가 넓고 하부는 상부보다 좁게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석쇠(110)를 통과하여 낙하 되는 모든 기름(30)은 상기 안내호퍼(31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안내호퍼(31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기름(30)은, 상기 안내호퍼(310)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 되면서 상기 저장조(320)로 유동 되게 된다.
즉, 상기 안내호퍼(310)는, 상기 기름(30)이 상기 석쇠(110)를 통과하여 낙하 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를 훼손하거나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상기 안내호퍼(310)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진입된 후 거치 되거나,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홈(130)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저장조(320)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판(140)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안내호퍼(310)는, 상기 안내호퍼(310)의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홈(130)에 진입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안내호퍼(310)가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간편하게 진입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안내호퍼(310)는, 상기 안내호퍼(310)의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홈(130)에 상기 본체(100)의 외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안내호퍼(310)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간편하게 반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320)의 내부에 상기 기름(30)이 가득 차게 되면, 상기 개폐판(140)을 개구 하여 상기 저장조(320)를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반출한 후, 상기 저장조(320) 내부의 상기 기름(30)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기름(30)이 배출되어 내부가 비어있는 상기 저장조(320)를 다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수납한 후, 상기 개폐판(140)을 닫아 상기 본체(100)의 외관을 미려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육류를 구우면서 육류를 주기적으로 뒤집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육류가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영양손실을 방지하고 고기에 함유된 수분을 유지하여 부드러운 육질의 식감을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연기와 냄새로 인해 실내공기가 탁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옷에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하는 쾌적한 상태로 육류를 구울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육류를 굽기 위해 열을 제공하는 가열체가 부분적으로 훼손될 경우, 육류를 굽는 본체에서 가열체 부위만 분해해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비용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육류를 구운 후 육류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체를 포함하여 육류를 굽는 본체를 전반적으로 분해하여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구이대상 30 : 기름
100 : 본체 110 : 석쇠
120 : 지지편 130 : 슬라이딩홈
140 : 개폐판 150 : 지지핀
200 : 열공급부 210 : 발열관
220 : 발연판 222 : 방열홈
224 : 발열관부양홈 226 : 체결돌기
228 : 체결홈
300 : 기름유입부 310 : 안내호퍼
320 : 저장조
400 : 연기배출부 410 : 배기판
412 : 유입공
420 : 배출관 430 : 흡입팬
500 : 개폐부 510 : 개폐문
520 : 손잡이 530 : 잠금편
540 : 패킹

Claims (10)

  1. 상부와 하부가 개구 된 채로, 그 개구 된 하부에 석쇠(110)를 거치하여 상기 석쇠(110) 위에서 육류인 구이대상(10)이 구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익혀질 수 있도록 열을 공급하면서 다수 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열공급부(200);
    상기 석쇠(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익혀지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수분 및 기름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기름유입부(300);
    상기 석쇠(100)와 상기 열공급부(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익혀지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연기배출부(400); 및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어 상기 구이대상(10)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진입되거나 외부로 반출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부(500);를 포함하는 육류 구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부(200)는,
    전기를 통해 열을 발생하는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관(210)과,
    다수 개가 상호 결합 되면서 판 형태로 상기 발열관(210)의 외면을 감싸는 방열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열공급부(200)를 지지하면서 상기 열공급부(200)에서 발생 되는 열은 상기 구이대상(10)에 공급되도록 하는 지지핀(150)을 포함하는 육류 구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220)은,
    상기 발열관(210)에서 발생 되는 열이 상기 방열판(220)에 열 전도됨과 동시에 상기 구이대상(10)에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방열판(220)에 다수 개가 관통형성되는 방열홈(222)을 포함하는 육류 구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220)은,
    내부로 상기 발열관(210)이 관통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방열홈(22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방열판(220)에 다수 개가 관통형성되는 발열관부양홈(224)을 포함하는 육류 구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220)은,
    상기 방열판(220)의 일 측에 양각형성되되 상기 발열관부양홈(224)의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226)와,
    상기 방열판(220)의 타 측에 음각형성되는 체결홈(228)을 포함하는 육류 구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220)의 체결돌기(226)는,
    다른 방열판(220')의 체결홈(228')에 끼워지고,
    상기 방열판(220)의 체결홈(228)에는,
    또 다른 방열판(220')의 체결돌기(226')가 끼워지면서 체결되어 다수 개의 상기 방열판(220, 220')이 연결되면서 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구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석쇠(11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지지편(120)을 포함하고,
    상기 석쇠(110)와 지지편(120)은 상호 볼트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구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유입부(300)는,
    상기 석쇠(110)의 하부에 배치되되 깔때기 형태를 갖으며 상기 구이대상(10)에서 발생 되는 수분 및 기름이 낙하 되면서 한 곳에 저장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는 안내호퍼(310)와,
    상기 안내호퍼(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호퍼(310)를 통해 유동 되는 상기 구이대상(10)의 수분 및 기름이 저장되는 저장조(3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안내호퍼(310)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진입된 후 거치 되거나,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홈(130)과,
    상기 저장조(320)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판(140)을 더 포함하는 육류 구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배출부(400)는,
    상기 석쇠(100)와 상기 열공급부(200)의 사이의 상기 본체(100) 내벽에 배치되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구이대상(10)에서 발생 되는 연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천공되는 유입공(412)을 갖는 판 형태의 배기판(410)과,
    상기 배기판(410)에 연결되면서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배기판(410)으로 유입되는 연기가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관(420)과,
    상기 배출관(420)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판(410)의 연기가 상기 배출관(420)에 흡입되어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유동 될 수 있도록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팬(430)을 포함하는 육류 구이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5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상기 구이대상(10)을 진입 또는 반출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개폐문(510)과,
    상기 개폐문(5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520)와,
    상기 손잡이(520)와 체결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개폐문(510)이 상기 본체(100)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편(530)과,
    상기 개폐문(510)의 내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개폐문(510)이 상기 본체(100)의 폐쇄시 상기 본체(100)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패킹(540)을 포함하는 육류 구이장치.
KR20130070946A 2013-06-20 2013-06-20 육류 구이장치 KR20140147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946A KR20140147523A (ko) 2013-06-20 2013-06-20 육류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946A KR20140147523A (ko) 2013-06-20 2013-06-20 육류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523A true KR20140147523A (ko) 2014-12-30

Family

ID=5267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0946A KR20140147523A (ko) 2013-06-20 2013-06-20 육류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75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4590B2 (en) 2015-06-22 2021-04-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tank baffle with pivotable vanes
KR20220047941A (ko) * 2020-09-18 2022-04-19 (주)사이이 에어프라이어 열선 기름막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4590B2 (en) 2015-06-22 2021-04-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tank baffle with pivotable vanes
KR20220047941A (ko) * 2020-09-18 2022-04-19 (주)사이이 에어프라이어 열선 기름막이
KR20220051039A (ko) * 2020-09-18 2022-04-26 (주)사이이 에어프라이어 열선 기름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49905B1 (en) Ceramic pellet grill
CN103690065A (zh) 充分均匀加热食品的空气炸锅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KR101887468B1 (ko) 구이 및 보온장치
KR20140147523A (ko) 육류 구이장치
KR101114290B1 (ko) 전기 로스터
KR101398520B1 (ko) 사용이 편리한 고기구이기
KR100526776B1 (ko) 할로겐히터 조리기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JP5612792B1 (ja) 調理器用のグリル装置
KR200487893Y1 (ko) 구이용 로스팅장치
KR101493896B1 (ko)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구비하는 숯불 구이기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101530810B1 (ko) 육류 구이용 화덕 및 육류 구이 방법
KR100642020B1 (ko) 구이장치
KR20130068339A (ko) 구이기
KR200471351Y1 (ko) 연기 발생방지 기능이 구비된 구이장치
KR102039707B1 (ko) 불가마용 증기발생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불가마
KR101281088B1 (ko) 이중 구이판
KR20080074446A (ko) 전열식 구이기
KR20150047847A (ko) 육류 구이기
JP6010446B2 (ja) 複合加熱調理器
KR200467555Y1 (ko) 직화구이판
KR200372896Y1 (ko) 숯판을 이용한 서랍식 닭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