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863A -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 Google Patents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863A
KR20140146863A KR20130069709A KR20130069709A KR20140146863A KR 20140146863 A KR20140146863 A KR 20140146863A KR 20130069709 A KR20130069709 A KR 20130069709A KR 20130069709 A KR20130069709 A KR 20130069709A KR 20140146863 A KR20140146863 A KR 20140146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xing
fixed
mounting memb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4869B1 (ko
Inventor
김유진
Original Assignee
현강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강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강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9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869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5Motion detection by distinguishing pan or tilt from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구성부품을 안정적으로 내장하여 보호할 수 있으며 주변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주, 야간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를 제공한다.
그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는, 정방형 금속으로 형성된 플레이트(12) 및 상기 플레이트(12)의 각각의 코너부분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봉(14)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2)에는 설정된 장소에 고정되도록 복수의 관통공(16)이 천공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고정봉(14)에는 볼트가 위치 조절가능하고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타원형의 너트공(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10); 상기 고정판(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각각의 코너에 상기 고정봉(14)이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타원형의 고정공(222)이 천공되어 있는 하부체(22)와, 상기 하부체(22)에 대해 패닝(panning)구동되도록 패닝구동장치(26)가 내장되고 틸팅(tilting)구동장치(28)가 내장된 상부체(24)와, 상기 틸팅구동장치(28)에 연결되어 틸팅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상부체(24)의 양측으로 노출된 샤프트(282)를 구비한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부체(24)의 일측으로 돌출된 샤프트(282)의 일측단에 고정되는 제1측부재(32)와, 상기 본체(20)의 상부체(24)의 타측으로 돌출된 샤프트(282)의 타측단에 고정되는 제2측부재(34)와, 각각의 상기 측부재(32;34)를 상호 일체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상부체(24)의 상부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부부재(36)를 구비한 지지부재(30); 상기 지지부재(30)의 제1측부재(32)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부(42)와, 상기 수직부(42)의 하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된 수평부(44)를 구비한 제1장착부재(40); 상기 지지부재(30)의 제2측부재(34)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부(52)와, 상기 수직부(52)의 하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된 수평부(54)를 구비한 제2장착부재(50); 상기 제1장착부재(40)에 장착되는 입방체형 몸체(62)와, 상기 몸체(62)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커버(64)와, 상기 몸체(62)의 후방을 개방가능하게 폐쇄하기 위한 후방커버(66)와, 상기 몸체(62)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상부커버(67)를 구비한 제1하우징(60); 상기 제1하우징(60)에 내장되는 카메라(72)와, 상기 카메라(72)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하우징(60)의 전방커버(64)를 통해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줌렌즈(74)를 구비한 제1영상장비(70); 상기 제2장착부재(40)에 장착되는 입방체형 몸체(82)와, 상기 몸체(82)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커버(84)와, 상기 몸체(82)의 후방을 개방가능하게 폐쇄하기 위한 후방커버(86)와, 상기 몸체(82)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상부커버(87)를 구비한 제2하우징(80); 및 상기 제2하우징(80)에 내장되는 열상카메라(92)와, 상기 열상카메라(92)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하우징(80)의 전방커버(84)를 통해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열상렌즈(94)를 구비한 제2영상장비(9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Pan-tilt apparatus for a watching system}
본 발명은 관심지역을 상시적이며 실시간으로 감시 및 경계하기 위해 카메라를 3차원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렌즈, 등 다양한 구성부품을 안정적으로 내장하여 보호할 수 있으며 주변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주, 야간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죄예방, 이동체의 동선 추적, 경계지역의 감시 등을 위해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태의 감시 시스템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감시 시스템에는 무인 감시카메라, CCTV 등의 소규모 시스템뿐 아니라, 해안, GOP, 등의 영역을 실시간으로 감시 및 경계하기 위한 대규모의 감시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감시 시스템에는 관심영역 또는 경계영역의 상태 및 그 영역에서의 이동체 또는 관심 물체의 상태 및 이동을 촬영 또는 녹화하기 위한 카메라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 감시 시스템은 물체 또는 이동체를 추적하면서 감시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좌우로 회전 즉, 패닝(panning) 시킴은 물론 상하로 틸팅(tilting) 시켜 3차원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팬틸트(pan-tilt)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팬틸트 장치의 대표적인 종래예로서 특허 제10-946175호가 있다.
상기 특허 제10-946175호의 팬틸트 장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지지하기 위한 카메라 홀더로 이루어진 영상취득부;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끼워진 커넥터에 연결되는 샤프트와,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끼워지고, 그 양단이 샤프트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끼워지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베이스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끼워지며,제1 웜기어와 상호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1 웜과, 상기 구동축에 끼워지며, 제2 웜기어와 상호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2 웜으로 이루어진 운동변환부; 상기 제1 및 제2 웜기어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모터축에 각기 연결되는 제1 및 제2 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영상취득부의 카메라 홀더는 패닝 및 틸팅을 하기 위하여 상기 운동변환부의 상기 샤프트에 그 양단이 끼워지고, 상기 운동변환부의 상기 구동축은 그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면의 관통공에 끼워지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샤프트는 상기 커넥터의 관통공과 상기 샤프트의 관통공을 일치시킨 후 핀으로 끼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팬틸트 장치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카메라를 패닝 및 틸팅 작동시키므로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으며, 운동변환부와 모터 장착부가 분리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작용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제10-946175호의 팬틸트 장치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 및 작용효과에도 불구하고 다소의 문제점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팬틸트 장치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외부로부터의 보호를 받을 수 없으며, 구성부품들의 설치될 수 있는 내장 공간이 협소하여 구성부품들의 안전하고 용이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팬틸트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 및 기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어 부품들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선명한 화질을 보장할 수 없어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팬틸트 장치는 대부분 카메라가 본체에 견고하게 장착되지 못함으로 인해 팬틸트 구동시, 특히 고속 팬틸트 구동시 카메라가 흔들리거나 요동하여 선명하고 정확한 화상을 제공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관심 물체를 정확히 탐지 및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대부분의 팬틸트 장치는 하나의 카메라로 주간 및 야간에 모두 감시해야 하므로 특히 감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팬틸트 장치의 다른 예들로서, 특허공개 제2011-81679호, 특허 제10-1023813호 및 제10-1209387호, 실용등록 제20-320712호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또한 대부분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제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부품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그 구성부품들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관리할 수 있으며, 주변 분위기에 적극 대처할 수 있어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유지 및 작동시킬 수 있으며, 주, 야간 구분하여 최상의 감시체계를 구현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는, 정방형 금속으로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각각의 코너부분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봉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설정된 장소에 고정되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천공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고정봉에는 볼트가 위치 조절가능하고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타원형의 너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각각의 코너에 상기 고정봉이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타원형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는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에 대해 패닝(panning)구동되도록 패닝구동장치가 내장되고 틸팅(tilting)구동장치가 내장된 상부체와, 상기 틸팅구동장치에 연결되어 틸팅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상부체의 양측으로 노출된 샤프트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샤프트의 일측단에 고정되는 제1측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부체의 타측으로 돌출된 샤프트의 타측단에 고정되는 제2측부재와, 각각의 상기 측부재를 상호 일체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상부체의 상부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부부재를 구비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제1측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된 수평부를 구비한 제1장착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제2측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된 수평부를 구비한 제2장착부재; 상기 제1장착부재에 장착되는 입방체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커버와, 상기 몸체의 후방을 개방가능하게 폐쇄하기 위한 후방커버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상부커버를 구비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내장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전방커버를 통해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줌렌즈를 구비한 제1영상장비; 상기 제2장착부재에 장착되는 입방체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커버와, 상기 몸체의 후방을 개방가능하게 폐쇄하기 위한 후방커버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상부커버를 구비한 제2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내장되는 열상카메라와, 상기 열상카메라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하우징의 전방커버를 통해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열상렌즈를 구비한 제2영상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에 의하면, 팬틸트 장치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부품들의 노출을 방지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고, 내장공간이 충분하여 구성부품들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보수할 수 있으며, 주변 분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카메라가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어 팬틸트 작동시 카메라의 진동 및 요동이 방지되어 선명하고 정확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주, 야간 구분하여 물체를 감시할 수 있어 경계 및 감시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작용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지지부재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제1 및 제2장착부재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제1하우징 및 제1영상장비를 상세히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에서 제2하우징 및 제2영상상비를 상세히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 따른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부호 10은 경계지역에 일정위치로 이격 설치된 지주 또는 설치대(미도시)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판이다. 상기 고정판(10)은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0)은 정방형 금속으로 형성된 플레이트(12)와, 상기 플레이트(12)의 각각의 코너부분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봉(14)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12)에는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설치대(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16)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고정봉(14)에는 후술되는 본체가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너트공(18)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20은 실제적으로 팬닝 및 틸팅을 구현하기 위한 본체이다. 상기 본체(20)는 상기 고정판(10)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체(22)와, 상기 하부체(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체(24)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체(22)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판(10)의 각각의 고정봉(14)에 대응하며 볼트(142)가 관통하는 고정공(22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고정공(222)은 상기 볼트(142)의 용이한 관통 및 정렬을 위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고정공(222)의 폭은 상기 고정봉(14)이 관통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하부체(22)를 지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체(24)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체(24)를 상기 하부체(22)에 회전구동, 즉 패닝구동시키기 위해, 모터, 기어, 등으로 이루어진 패닝구동체(26)가 내장되어 있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상기 패닝구동체(26)는 점선으로 표시하였으며, 상기 패닝구동체(26)는 다양한 공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체(24)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각각의 영상장비를 상, 하로 회전구동, 즉 틸팅구동시키도록 모터, 기어 등으로 이루어진 틸팅구동체(28)가 내장되어 있다. 특히, 상기 상부체(24)의 양측에는, 상기 틸팅구동체(28)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후술되는 지지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틸팅구동체(28)에 연결된 샤프트(282)가 노출되어 있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상기 틸팅구동체(28)는 점선으로 도시하였으며,상기 틸팅구동장치(28)는 다양한 공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20)는 해안가 등 주변 분위기가 열악한 곳에 설치되어도 내구성 및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내후성 및 내염성 재료로 선박도장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20)는 이미 설치된 지주, 지지대, 장착대 등과 같은 설정위치에 상기 하부체(22)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여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부호 30은 상기 본체(20)의 상부체(24)에 일체적으로 장착되는 지지부재이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상부체(24)의 상부 및 측방을 포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부체(24)에 대해 일정범위의 각도로 상, 하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본체(20)의 상부체(24)의 일측으로 돌출된 샤프트 (282)의 일측단에 고정되는 제1측부재(32)를 구비한다. 상기 제1측부재(32)는 상기 상부체(24)의 일측을 포위하며 상기 샤프트(282)의 일측단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몸체부(322)와, 상기 몸체부(322)의 상부 외측에 구비된 상부 지지대(324)와, 상기 몸체부(322)의 하부 외측에 구비된 하부 지지대(3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지지대(324)는 4각 바 형태로 형성되는 반면, 상기 하부 지지대(326)는 상기 제1측부재(32)의 하부 외측면으로부터 하측면을 포위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양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본체(20)의 상부체(24)의 타측으로 돌출된 샤프트(282)의 타측단에 고정되는 제2측부재(34)를 구비한다. 상기 제2측부재(34)는, 상기 제1측부재(32)에 대칭적으로 구성되는바, 상기 상부체(24)의 타측을 포위하며 상기 샤프트(282)의 타측단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몸체부(342)와, 상기 몸체부(342)의 상부 외측에 구비된 상부 지지대(344)와, 상기 몸체부(342)의 하부 외측에 구비된 하부 지지대(346)를 포함한다. 물론, 여기서, 상기 상부 지지대(344)는 4각 바 형태로 형성되는 반면, 상기 하부 지지대(346)는 상기 제2측부재(34)의 하부 외측면으로부터 하측면을 포위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양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0)는 각각의 상기 측부재(32;34)를 상호 일체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상부부재(36)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부재(36)는 상기 본체(30)의 상부체(24)의 상부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상부부재(36)의 하부면 양측에는 각각의 상기 측부재(32;34)의 상부가 해제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362;364)이 전, 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상부부재(36)의 양측부에는 상기 각각의 삽입홈(362;364)에 삽입되는 각각의 상기 측부재(32;34)의 상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가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공(366)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부호 40은 상기 지지부재(30)의 제1측부재(32)에 고정되어 후술되는 제1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제1장착부재이다.
상기 제1장착부재(40)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제1측부재(32)의 몸체부(322)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지지대(324) 및 하부에 구비된 하부 지지대(326)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부(42)와, 상기 수직부(42)의 하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실제적으로 후술되는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수평부(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42)의 중앙 상부에는 상기 상부지지대(324)의 중앙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422)이 천공되어 있어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 지지대(324)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42)와 상기 수평부(44)에 의해 형성되는 연접부는 상기 하부 지지대(326)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326)의 측방으로부터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부호 50은 상기 지지부재(30)의 제2측부재(34)에 고정되어 후술되는 제2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제2장착부재이다.
상기 제2장착부재(50)는, 상기 제1장착부재(40)와 유사하게 형성되는바, 상기 지지부재(30)의 제2측부재(34)의 몸체부(342)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상부 지지대(344) 및 하부에 구비된 상기 하부 지지대(346)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부(52)와, 상기 수직부(52)의 하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실제적으로 후술되는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수평부(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52)의 중앙 상부에는 상기 상부지지대(344)의 중앙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522)이 천공되어 있어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대(344)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52)와 상기 수평부(54)에 의해 형성되는 연접부는 상기 하부 지지대(346)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지지대(346)의 측방으로부터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2장착부재(50)의 수평부(54)의 제위치에는 상기 본체(20)의 상부체(24)에 내장된 다양한 구성부품에 연결된 와이어(미도시)가 상기 수평부(54)를 통해 후술되는 하우징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의 연결공(542)이 천공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 60은 상기 제1장착부재(40)에 장착되어 후술되는 제1영상장비를 내장하기 위한 제1하우징이다. 상기 제1하우징(60)은 6면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다양한 구성부품들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장착 및 유지 보수될 수 있도록 충분한 내장공간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하우징(60)은 후술되는 카메라, 렌즈, 팬, 히터 등을 안정적으로 내장할 수 있고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내장공간을 갖는 입방체형의 몸체(62)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62)는 전방, 후방 및 상부가 다양한 구성부품의 용이한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해 개방되어 있다. 상기 몸체(62)의 일측면(622)은 상기 제1장착부재(40)의 수직면(42)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몸체(62)의 바닥면(624)은 상기 제1장착부재(40)의 수평면(44)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몸체(62)의 일측면(622)에는 후술되는 제2하우징과의 견고한 연결 및 팬틸팅 작동시 요동 및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되는 연결봉이 장착될 수 있도록 2개의 고정공(625)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60)은 상기 몸체(62)의 전방을 폐쇄함은 물론 후술되는 렌즈의 가시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방커버(64)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커버(64)는 주변이 상기 몸체(62)의 전방부에 외삽되어 전방으로부터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몸체부(64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641)의 중앙에는 원형의 개구부(6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642)의 주변에는 4각형의 방수홈(6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수홈(643)을 중심으로 내측 주변에는 평탄하게 형성된 장착부(64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방커버(64)는 상기 방수홈(643)에 삽입되는 방수링(645)과, 상기 개구부(642)를 폐쇄함은 물론 후술되는 줌렌즈를 보호함은 물론 가시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투명체로 형성되며 주변이 상기 방수링(645)에 접하는 투광체(646)와, 상기 투광체(645)를 상기 몸체부(621)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부(621)에 볼트에 의해 해제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프레임(64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투광체(646)는 빛의 반사를 방지하여 반사율이 0.5%이하로 유지되어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코팅처리되며, 또한 무반사 유리로 형성되어 자외선, 먼지 등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하우징(60)은 후술되는 제1영상장비의 줌렌즈를 상기 몸체(6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렌즈 지지대(65)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지지대(65)는 설치 및 고정의 용이성을 위해 8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렌즈 지지대(65)의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줌렌즈의 전방부가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공(6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60)은 상기 몸체(62)의 개방된 후방을 폐쇄하기 위한 후방커버(66)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커버(66)는 정방형의 폐쇄형으로 형성되며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62)의 후방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60)은 상기 몸체부(62)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상부커버(67)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커버(67)는 상기 몸체(62)의 상부를 페쇄하도록 정방형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62)의 상부에 볼트 고정되는 폐쇄부(671)와, 상기 폐쇄부(671)의 상부면 전방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후술되는 제1가림막이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고정대(672)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제1하우징(60)은 내후성 및 내염성을 확보하도록 알루미늄으로 성형되어 선박도장되며, 직사광선차단성능 및 열전도방지성능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 70은 상기 제1하우징(60)에 내장되어 경계지역 또는 관심영역의 이동 물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촬영하기 위한 제1영상장비이다. 상기 제1영상장비(70)는 주로 주간에 해당 물체를 촬영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영상장비(70)는 적어도 2km 이상의 거리에서도 물체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카메라(72)와, 식별된 물체를 줌인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72)에 장착되는 줌렌즈(7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줌렌즈(74)는 상기 제1하우징(60)의 몸체부(62)의 바닥면(624)에 상기 줌렌즈(74)에 외삽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프레임(74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72)는 200만화소 이상 2메가 픽셀 이상의 해상도를 지니고, 항안개성능, 색상자동조정성능, 노이즈감쇄성능, 오토포커스성능 등 어떠한 주변 분위기에서도 촬영성 및 감시성이 확보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줌렌즈(74)는 36배 이상의 최대초점거리를 확보하고, 전동줌기능, 전동포커스기능 등을 구비하여야 한다.
부호 80은 후술되는 제2영상장비를 내장하기 위한 제2하우징이다. 상기 제2하우징(80)은 제1하우징(60)과 유사하게 형성되는바, 전체적인 형상은 6면체이며, 내부에 다양한 구성부품들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장착, 유지 및 보수될 수 있도록 충분한 내장공간을 지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하우징(80)은 후술되는 제2영상장치는 물론 팬, 히터 등을 안정적으로 내장할 수 있고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내장공간을 갖는 입방체형의 몸체(82)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82)는 전방, 후방 및 상부가 다양한 구성부품의 용이한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해 개방되어 있다. 상기 몸체(82)의 일측면(822)은 상기 제2장착부재(50)의 수직면(52)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몸체(82)의 바닥면(824)은 상기 제2장착부재(50)의 수평면(54)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몸체(82)의 일측면(822)에는 상기 제1하우징(60)과의 견고한 연결 및 팬틸팅 작동시 요동 및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되는 연결봉이 장착될 수 있도록 2개의 고정공(825)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80)은 상기 몸체(82)의 전방을 폐쇄함은 물론 후술되는 렌즈의 가시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방커버(84)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커버(84)는 주변이 상기 몸체(82)의 전방부에 외삽되어 전방으로부터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몸체부(84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841)의 중앙에는 원형의 개구부(8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842)의 주변에는 4각형의 방수홈(8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수홈(843) 주변에는 평탄하게 형성된 장착부(84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방커버(84)는 상기 방수홈(843)에 삽입되는 방수링(845)과, 상기 장착부(844)를 상기 몸체부(821)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외관을 깨끗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821)에 볼트에 의해 해제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프레임(847)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개구부(842)를 폐쇄함은 물론 후술되는 열상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투명체로 형성되며 주변이 상기 방수링(845)에 접하는 투광체(84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투광체(846)는 빛의 반사를 방지하여 반사율이 0.5%이하로 유지되어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코팅처리되며, 또한 무반사 유리로 형성되어 자외선, 먼지 등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하우징(80)은 후술되는 제2영상장비의 렌즈를 상기 몸체(8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렌즈 지지대(85)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지지대(85)는 설치 및 고정의 용이성을 위해 8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렌즈 지지대(85)의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렌즈의 전방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삽입공(8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80)은 상기 몸체(82)의 개방된 후방을 폐쇄하기 위한 후방커버(86)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커버(86)는 정방형으로 형성되며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82)의 후방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80)은 상기 몸체부(82)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상부커버(87)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커버(87)는 상기 몸체부(82)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정방형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82)의 상부에 볼트 고정되는 폐쇄부(871)와, 상기 폐쇄부(871)의 상부면 전방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후술되는 제2가림막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고정대(872)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상기 제2하우징(80)은 상기 제1하우징(60)과 동일하게, 내후성 및 내렴성을 확보하도록 알루미늄으로 성형되어 선박도장되며, 직사광선차단성능 및 열전도방지성능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 90은 상기 제2하우징(80)에 내장되어 경계지역 또는 감시영역의 관심 물체를 실제적으로 촬영하기 위한 제2영상장비이다. 상기 제2영상장비(90)는 주로 야간에 해당 물체를 촬영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영상장비(90)는 적어도 500m 이상의 거리에서도 물체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열상카메라(92)와, 식별된 물체를 줌인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열상카메라(92)에 장착되는 열상렌즈(9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열상카렌즈(94)는 상기 제2하우징(80)의 상기 렌즈 지지대(85)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또한, 상기 열상카메라(92)는 고정프레임(922)으로 상기 제2하우징(80)의 바닥면(824)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상카메라(92)는 비냉각방식으로서 640×480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며, 17㎛의 픽셀크기를 가지고, 또한 307,200 이상의 화소 성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상렌즈(94)는 25mm ~ 225mm의 연속 줌기능과, 광각 24.5도 내지 협각 2.77도의 촬영각을 구비하며, 야간고조도성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 100은 상기 제1하우징(60)과 상기 제2하우징(80)을 상호 연결하여 팬틸팅작동시 각각의 상기 하우징(60;80)이 요동하거나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부재이다.
상기 연결부재(100)는 안전성 및 견고성을 위해 2개의 연결봉(10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연결봉(102)의 양측 단부에는 고정 너트(104)가 해제가능하게 체결되는 볼트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각각의 연결봉(102)의 일측단에 형성된 볼트부(106)는 상기 제1하우징(60)의 일측면(622)에 형성된 고정공(625)에 삽입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봉(102)의 타측단에 형성된 볼트부(106)는 상기 제2하우징(80)의 일측면(822)에 형성된 고정공(8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고정너트(104)를 각각의 상기 하우징(60;80) 내부에서 상기 각각의 볼트부(106)에 체결함으로써 설치된다.
부호 110은 상기 제1하우징(60)에 대한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그들에 대한 열전도를 차단하기 위한 제1가림막이다.
상기 제1가림막(110)은 상기 제1하우징(60)의 상부커버(67)의 고정대(672)에 위치조절가능하게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그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12)를 중심으로 가림부(114)가 양측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부호 120은 상기 제2하우징(80)에 대한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그들에 대한 열전도를 차단하기 위한 제2가림막이다.
상기 제2가림막(120)은 상기 제2하우징(80)의 상부커버(87)의 고정대(872)에 위치조절가능하게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그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22)를 중심으로 가림부(124)가 양측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하우징(60)의 타측면 전방에는 각각의 상기 제1하우징(60)의 투광체(646)의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습기, 안개 또는 빗물을 제거하기 위한 와이퍼장치(130)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하우징(80)에도 동일 방식으로 와이퍼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상기 하우징(60;80)의 몸체(62;82) 내측에는 각각의 하우징(60;80)내의 구성부품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냉각팬(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온도의 하강시 구성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히터(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의 조립 및 설치방법과, 그 팬틸트 장치의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다.
먼저 작업자는, 해안과 같은 경계지역 또는 감시지역에 사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지주(미도시)에 팬틸트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판(10)을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0)에 상기 본체(20)를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10)의 각각의 코너부분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고정봉(14)에 상기 본체(20)의 하부체(22)에 천공된 각각의 고정공(222)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봉(14)의 상단에 형성된 너트공(18)에 볼트(142)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고정판(10)에 대한 본체(2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후, 상기 본체(20)의 상부체(24)에 지지부재(30)를 틸팅가능하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30)의 제1측부재(32)는 상기 본체(20)의 상부체(24)의 일측에 돌출된 샤프트(282)의 일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재(30)의 제2측부재(34)는 상기 본체(20)의 상부체(24)의 타측에 돌출된 샤프트(282)의 타측단에 고정됨으로써 그 설치가 완료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재(30)의 제1측부재(32)에 제1장착부재(4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장착부재(40)의 수직부(42)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제1측부재(32)의 몸체(322)상부에 구비된 상부 지지대(324) 및 하부에 구비된 하부 지지대(326)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직부(42)의 중앙 상부에는 상기 상부지지대(324)의 중앙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422)이 천공되어 있어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대(324)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며, 또한 상기 수직부(42)와 수평부(44)에 의해 형성되는 연접부는 상기 하부 지지대(326)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지지대(326)의 측방으로부터 볼트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동일 방식으로, 상기 지지부재(30)의 제2측부재(34)에 제2장착부재(5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장착부재(50)의 수직부(52)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제2측부재(34)의 몸체부(342)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상부 지지대(344) 및 하부에 구비된 상기 하부 지지대(346)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직부(52)의 중앙 상부에는 상기 상부지지대(344)의 중앙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522)이 천공되어 있어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대(344)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며, 또한 상기 수직부(52)와 상기 수평부(54)에 의해 형성되는 연접부는 상기 하부 지지대(346)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지지대(346)의 측방으로부터 볼트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에 제1장착부재(40) 및 제2장착부재(50)가 설치되면, 제1장착부재(40)에 제1하우징(60)을 설치한다. 여기서, 제1하우징(60)의 몸체(62)의 일측면(622)은 상기 제1장착부재(40)의 수직면(42)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몸체(62)의 바닥면(624)은 상기 제1장착부재(40)의 수평면(44)에 역시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제1하우징(60)에 제1영상장비(70)를 설치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하우징(60)의 몸체(62)의 바닥면(624)에 고정프레임(742)을 이용하여 줌렌즈(74)를 설치하고, 상기 줌렌즈(74)의 후방에 카메라(72)를 접속시켜 제1영상장비(70)의 설치를 완료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2장착부재(50)에 제2하우징(80)을 설치한다. 여기서, 제2하우징(80)의 몸체(82)의 일측면(822)은 상기 제2장착부재(50)의 수직면(52)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몸체(82)의 바닥면(824)은 상기 제2장착부재(50)의 수평면(54)에 역시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80)에 제2영상장비(90)를 설치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영상장비(90)의 열상렌즈(94)를 상기 제2하우징(80)의 렌즈 지지대(85)에 삽입하여 제2하우징(80)의 몸체(82) 내부 전방부에 설치한 후, 상기 제2영상장비(90)의 열상카메라(92)를 상기 열상렌즈(94)에 접속하고, 상기 열상카메라(92)를 고정프레임(922)으로 상기 제2하우징(80)의 바닥면(824)에 고정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하우징(60)과 제2하우징(80)을 연결부재(10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00)를 이루는 2개의 연결봉(102)의 일측단에 형성된 볼트부(106)를 상기 제1하우징(60)의 일측면(622)에 형성된 고정공(625)에 삽입하고, 상기 각각의 연결봉(102)의 타측단에 형성된 볼트부(106)를 상기 제2하우징(80)의 일측면(822)에 형성된 고정공(825)에 삽입한 후, 상기 각각의 볼트부(106)에 고정너트(104)를 각각의 상기 하우징(60;80) 내부에서 체결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이어서, 상기 제1하우징(60)을 그 몸체(62) 내부에 설치된 구성부품들의 보호를 위해 폐쇄한다. 상기 몸체(62)의 전방은 전방커버(64)로 폐쇄하고, 상부는 상부커버(67)로 폐쇄하며, 후방은 후방커버(68)로 폐쇄한다. 상기 전방커버(64)의 상기 몸체(62)의 전방폐쇄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64)의 몸체부(641)를 상기 몸체(62)의 전방부에 외삽하여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몸체부(641)의 개구부(642) 주변에 형성된 방수홈(643)에 방수링(645)을 삽입하며, 상기 방수홈(643) 주변의 장착부(644)에 줌렌즈의 가시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투광체(646)를 설치한 후, 고정프레임(647)을 상기 몸체부(621)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60)의 폐쇄가 완성된다.
유사하게, 상기 제2하우징(80)을 그 몸체(82) 내부에 설치된 구성부품들의 보호를 위해 폐쇄한다. 상기 몸체(82)의 전방은 전방커버(84)로 폐쇄하고, 상부는 상부커버(87)로 폐쇄하며, 후방은 후방커버(88)로 폐쇄한다. 상기 전방커버(84)의 상기 몸체(82)의 전방폐쇄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84)의 몸체부(841)를 상기 몸체(82)의 전방부에 외삽하여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몸체부(841)의 개구부(842) 주변에 형성된 방수홈(843)에 방수링(845)을 삽입한 후, 고정프레임(847)을 상기 몸체부(821)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2하우징(80)의 전방의 폐쇄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하우징(60)을 보호함은 물론 상기 제1하우징(60)내에 설치된 제1영상장비(70)의 안정적인 촬영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하우징(60)의 상부에 제1가림막(11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가림막(110)의 중앙부가 볼트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60)의 상부커버(67)의 고정대(672)에 고정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 제1가림막(110)은 계절에 따라, 즉 햇빛의 조사각도에 따라 또는 평균적인 풍향 또는 풍속에 따라 그 설치위치를 전, 후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하우징(80)을 보호함은 물론 상기 제2하우징(80)내에 설치된 제2영상장비(90)의 안정적인 촬영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하우징(80)의 상부에 제2가림막(12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가림막(120)의 중앙부가 볼트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80)의 상부커버(87)의 고정대(872)에 고정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 제2가림막(120)은 계절에 따라, 즉 햇빛의 조사각도에 따라 또는 평균적인 풍향 또는 풍속에 따라 그 설치위치를 전, 후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팬틸트 장치가 조립되어 해안가와 같은 감시 또는 경계구역에 설치된 후, 전체적인 경계시스템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팬틸트 장치를 작동시키면, 별도의 경계병 또는 소초병 없이 관심있는 지역의 감시 및 경계를 완벽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팬틸트 장치를 전체적인 경계시스템에서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시키면, 상기 고정판(10)에 고정된 상기 본체(20)의 상부체(24)는 패닝구동장치(26)에 의해 상기 하부체(22)에 대해 좌, 우방향으로 화살표(A)와 같이 패닝구동하며, 동시에 상기 상부체(24)에 설치된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틸팅구동장치(28)에 의해 상기 상부체(24)에 대해 상, 하방향으로 화살표(B)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틸팅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0)의 제1측부재(32)에 고정된 제1장착부재(40)에 설치된 제1하우징(60)과, 상기 지지부재(30)의 제2측부재(34)에 고정된 제2장착부재(50)에 설치된 제2하우징(80)이 팬틸팅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하우징(60) 및 제2하우징(80)이 팬틸팅 구동됨으로써, 각각의 하우징(60;80)에 내장된 제1영상장비(70) 및 제2영상장비(90)가 감시영역내의 동작물체 또는 이상물체의 상태 및 이동상태를 삼차원적으로 촬영하여 감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제1하우징(60)에 내장된 제1영상장비(70)는 그 줌렌즈(74) 및 카메라(72)에 의해 주로 주간에 적어도 2km 이상의 거리로부터 근거리 까지 물체를 식별하고 그 식별된 물체를 줌인하여 촬영하며, 이와 같이 포착된 영상은 전체 감시 시스템의 전송라인을 통해 상황실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황실의 근무자는 이를 식별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하우징(80)에 내장된 제2영상장비(90)는 그 열상렌즈(94) 및 열상카메라(92)에 의해 주로 야간에 적어도 500m 이상의 거리로부터 최근거리 까지 물체를 식별하고 그 식별된 물체를 줌인하여 촬영하며, 이와 같이 포착된 영상은 전체 감시 시스템의 전송라인을 통해 상황실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황실의 근무자는 이를 식별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하우징(60)과 상기 제2하우징(80)이 상기 지지부재(30) 및 각각의 장착부재(40;50)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있을 뿐 아니라, 제1하우징(60)과 제2하우징(80)이 연결부재(100)에 의해 상호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본체(20)의 팬틸팅작동시 각각의 하우징(60;80)의 진동 및 요동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영상장비(70;90)가 항상 선명하고 명확한 촬영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하우징이 완전 방수 및 방진 처리되어 있고, 안개, 비, 및 눈에 대해 대비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지역 온도 변화에 따라 팬 및 히터가 작동되어 하우징 내부의 구성부품들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어 최상의 촬영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 고정판 20: 본체
30: 지지부재 40: 제1장착부재
50: 제2장착부재 60: 제1하우징
70: 제1영상장비 80: 제2하우징
90: 제2영상장비 100: 연결부재
110: 제1가림막 120: 제2가림막

Claims (5)

  1. 정방형 금속으로 형성된 플레이트(12) 및 상기 플레이트(12)의 각각의 코너부분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봉(14)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2)에는 설정된 장소에 고정되도록 복수의 관통공(16)이 천공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고정봉(14)에는 볼트가 위치 조절가능하고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타원형의 너트공(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10);
    상기 고정판(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각각의 코너에 상기 고정봉(14)이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타원형의 고정공(222)이 천공되어 있는 하부체(22)와, 상기 하부체(22)에 대해 패닝(panning)구동되도록 패닝구동장치(26)가 내장되고 틸팅(tilting)구동장치(28)가 내장된 상부체(24)와, 상기 틸팅구동장치(28)에 연결되어 틸팅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상부체(24)의 양측으로 노출된 샤프트(282)를 구비한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부체(24)의 일측으로 돌출된 샤프트(282)의 일측단에 고정되는 제1측부재(32)와, 상기 본체(20)의 상부체(24)의 타측으로 돌출된 샤프트(282)의 타측단에 고정되는 제2측부재(34)와, 각각의 상기 측부재(32;34)를 상호 일체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상부체(24)의 상부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부부재(36)를 구비한 지지부재(30);
    상기 지지부재(30)의 제1측부재(32)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부(42)와, 상기 수직부(42)의 하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된 수평부(44)를 구비한 제1장착부재(40);
    상기 지지부재(30)의 제2측부재(34)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부(52)와, 상기 수직부(52)의 하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된 수평부(54)를 구비한 제2장착부재(50);
    상기 제1장착부재(40)에 장착되는 입방체형 몸체(62)와, 상기 몸체(62)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커버(64)와, 상기 몸체(62)의 후방을 개방가능하게 폐쇄하기 위한 후방커버(66)와, 상기 몸체(62)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상부커버(67)를 구비한 제1하우징(60);
    상기 제1하우징(60)에 내장되는 카메라(72)와, 상기 카메라(72)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하우징(60)의 전방커버(64)를 통해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줌렌즈(74)를 구비한 제1영상장비(70);
    상기 제2장착부재(40)에 장착되는 입방체형 몸체(82)와, 상기 몸체(82)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커버(84)와, 상기 몸체(82)의 후방을 개방가능하게 폐쇄하기 위한 후방커버(86)와, 상기 몸체(82)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상부커버(87)를 구비한 제2하우징(80); 및
    상기 제2하우징(80)에 내장되는 열상카메라(92)와, 상기 열상카메라(92)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하우징(80)의 전방커버(84)를 통해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열상렌즈(94)를 구비한 제2영상장비(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60)의 몸체(62)의 일측면(622)은 상기 제1장착부재(40)의 수직면(42)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62)의 바닥면(624)은 상기 제1장착부재(40)의 수평면(44)에 고정되고:
    상기 제1하우징(60)의 전방커버(64)는, 중앙에 원형의 개구부(6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642)의 주변에 4각형의 방수홈(6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수홈(643) 주변에 평탄하게 형성된 장착부(644)가 구비되어 있는 몸체부(641)와,
    상기 방수홈(643)에 삽입되는 방수링(645)과,
    상기 개구부(642)를 폐쇄하고 상기 제1영상장비(70)의 줌렌즈(74)를 보호하며 가시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투명체로 형성되며 주변이 상기 방수링(645)에 접하는 투광체(646)와,
    상기 투광체(645)를 상기 몸체부(621)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몸체부(621)를 상기 몸체(62)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프레임(6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60)은 상기 제1영상장비(70)의 줌렌즈(74)를 상기 몸체(62)에 고정시키기 위한 렌즈 지지대(65)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지지대(65)의 중앙부에는 상기 줌렌즈(74)의 전방부가 삽입 지지되도록 삽입공(6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하우징(60)의 상부커버(67)는 상기 몸체(62)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정방형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62)의 상부에 볼트 고정되는 폐쇄부(671)와, 상기 폐쇄부(671)의 상부면 전방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대(6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80)의 몸체(82)의 일측면(822)은 상기 제2장착부재(50)의 수직면(52)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82)의 바닥면(824)은 상기 제2장착부재(50)의 수평면(54)에 고정되며:
    상기 제2하우징(80)의 전방커버(84)는, 중앙에 원형의 개구부(8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842)의 주변에 4각형의 방수홈(8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수홈(843) 주변에 평탄하게 형성된 장착부(844)가 구비되어 있는 몸체부(841)와,
    상기 방수홈(843)에 삽입되는 방수링(845)과,
    상기 방수링(845)을 상기 몸체부(841)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몸체부(841)를 상기 몸체(82)의 전방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프레임(8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80)은 상기 제2영상장비(90)의 열상렌즈(94)를 상기 몸체(82)에 고정시키기 위한 렌즈 지지대(85)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지지대(85)의 중앙부에는 상기 열상렌즈(84)의 전방부가 삽입 지지되도록 삽입공(8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하우징(80)의 상부커버(87)는 상기 몸체(82)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정방형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82)의 상부에 볼트 고정되는 폐쇄부(871)와, 상기 폐쇄부(871)의 상부면 전방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대(8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20130069709A 2013-06-18 2013-06-18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1494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709A KR101494869B1 (ko) 2013-06-18 2013-06-18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709A KR101494869B1 (ko) 2013-06-18 2013-06-18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863A true KR20140146863A (ko) 2014-12-29
KR101494869B1 KR101494869B1 (ko) 2015-03-19

Family

ID=5267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709A KR101494869B1 (ko) 2013-06-18 2013-06-18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8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511B1 (ko) * 2019-09-03 2020-03-23 주식회사 레젠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폴
KR102088711B1 (ko) * 2019-09-03 2020-05-29 주식회사 레젠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등기구
CN112492259A (zh) * 2019-09-12 2021-03-1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监控设备及监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596Y1 (ko) * 1997-12-30 2000-04-01 윤종용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
KR200286338Y1 (ko) * 1998-06-30 2002-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콤비 돔형 감시 카메라의 구동모터축 지지장치
KR100371848B1 (ko) * 2000-06-13 2003-02-25 이병호 감시용 카메라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511B1 (ko) * 2019-09-03 2020-03-23 주식회사 레젠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폴
KR102088711B1 (ko) * 2019-09-03 2020-05-29 주식회사 레젠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등기구
CN112492259A (zh) * 2019-09-12 2021-03-1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监控设备及监控方法
CN112492259B (zh) * 2019-09-12 2023-07-0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监控设备及监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869B1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3259C (en) All weather camera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 thereof
US8050551B2 (en) Covert camera with a fixed lens
RU2012137375A (ru) Камера слежения и наблюдения и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наблюдения с таким же применением
KR101128367B1 (ko) 광대역 영상 감시 카메라
CN206878992U (zh) 一种联动的车载全景摄像机
KR100693316B1 (ko) 서로 다른 영역을 촬영하는 2대의 카메라가 일체화된차량용 후방 감시카메라와 이의 구동 제어를 위한 시스템
KR101332231B1 (ko) 안개 투시 기능을 가지는 근적외선 카메라
CN105516572A (zh) 一种全景智能图像采集设备
KR101494869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1494872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CN113472992A (zh) 摄像设备
KR101440871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1494871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JP2008529446A (ja) 補助カメラを具備するパンチルトカメラ装置
GB2594455A (en) Surveillance camera surround
JP2004328296A (ja) 監視カメラ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メンテナンス維持装置
KR102502389B1 (ko) 빗물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감시 카메라
KR20150002061A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CN202394034U (zh) 全方位摄像装置
KR102334883B1 (ko) 모듈 탈착식 서라운드 카메라 시스템
KR100902016B1 (ko) 옥외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
CN211209764U (zh) 一种高速抓拍下全景与云台联动快速安装装置
KR101321006B1 (ko) 돌발검지용 어레이카메라 장치
CN220440820U (zh) 摄像装置
CN217590904U (zh) 图像采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