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301A - 구강청결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구강용 제품 - Google Patents

구강청결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구강용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301A
KR20140146301A KR1020130068731A KR20130068731A KR20140146301A KR 20140146301 A KR20140146301 A KR 20140146301A KR 1020130068731 A KR1020130068731 A KR 1020130068731A KR 20130068731 A KR20130068731 A KR 20130068731A KR 20140146301 A KR20140146301 A KR 20140146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leaning composition
hydroxy acid
plaque
oral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숙희
최명수
Original Assignee
김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숙희 filed Critical 김숙희
Priority to KR1020130068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6301A/ko
Publication of KR2014014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청결제 조성물에 있어서, 5% 이상의 농도를 가지는 α-하이드록산(AHA)과 1~2%의 농도를 가지는 β-하이드록산(BHA)를 혼합한 산 성분 0.1~15중량%, 불소(F) 성분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약물 0.001~0.1중량%, 녹차 추출물 0.1~10중량%, 프로폴리스 추출물 0.1~1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용제로 포함하는 구강청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글을 하는 경우, 상기 구강청결제 조성물은 구강 내의 치석과 결합하여 고형물 형태로 배출되어 치석과 치태 제거 및 억제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구강청결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구강용 제품{Oral cleaning composition and Oral produc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강청결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구강용 제품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평균 연령이 늘어남에 따라 특별히 치아 및 구강 내 청결에 대한 관심과 시장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치아와 관련된 치주질환 및 충치는 치아상과 잇몸부위에 집단으로 성장하는 박테리아에 의해 야기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충치 및 치주질환의 예방 수단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가 상기 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있다. 그러나, 칫솔질만으로는 이러한 박테리아의 완전한 제거가 힘들기 때문에 주기적인 구강 청결제의 사용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취는 타액 중의 단백질, 음식물 잔사 등이 구강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아미노산이 탈회산 효소나 아미노 효소 등에 의해 분해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생성함으로써 발생된다. 구취를 유발하는 주성분은 휘발성 황화물로 이들 휘발성 화합물에는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디메틸머캅탄 등이 있으며, 이들 휘발성 황화물 이외에 트리에틸아민 등의 휘발성 아민화합물, 알데히드, 지방산, 암모니아 등이 있다.
현재까지, 구취억제, 구취중화, 구강내 미생물의 살균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구강용 조성물은, 민트나 멘톨 등과 같은 특정한 향미 성분의 함량을 높이거나, 피트산염 등을 사용하여 구취를 중화시키거나, 목단피 추출물, 유백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등의 소취효과가 알려진 천연 식물 추출물이나 티몰, 유칼립투스 정유 등의 식물성 정유를 사용하여 구취를 억제하거나, 살균효과가 알려진 트리클로산, 세틸피리듐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하여 구강 미생물을 살균하는 조성물의 개발이 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구강 내에서 발생하는 구취를 억제하기 위해서 구취의 1차 원인인 구강 내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구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현재의 구취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구강 청결제 조성물로는 효과적으로 구취가 억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2001-0111819
이에 본 발명에서는 구취 발생의 주 원인인 구강 내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강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구강청결제 조성물을 이용한 다양한 구강용 제품을 제공하는 데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은, 통상의 구강청결제 조성물에 있어서, 5% 이상의 농도를 가지는 α-하이드록산(AHA)과 1~2%의 농도를 가지는 β-하이드록산(BHA)를 혼합한 산 성분 0.1~15중량%, 불소(F) 성분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약물 0.001~0.1중량%, 녹차 추출물 0.1~10중량%, 프로폴리스 추출물 0.1~1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용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α-하이드록산(AHA)은 물을 용매로 사용하고, 상기 β-하이드록산(BHA)은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α-하이드록산(AHA)과 β-하이드록산(BHA)은 10:1~5: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강청결제 조성물의 pH는 2~4의 범위로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강청결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글 시, 구강 내의 미생물과 반응하여 고형물을 형성하여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강청결제 조성물을 이용한 구강용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강용 제품은 치약, 구강 스프레이, 구강 세정제, 구강 청정제, 및 츄잉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글을 하는 경우, 상기 구강청결제 조성물은 구강 내의 치석과 결합하여 고형물 형태로 배출되어 치석과 치태 제거 및 억제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구취 유발을 하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살균시킬 수 있다.
도 1은 Streptococcus gordonii의 살균력 실험결과 사진이고,
도 2는 Streptococcus sobrinus의 살균력 실험결과 사진이고,
도 3은 변형시킨 O'Leary index 이고,
도 4는 가글 전 대조군인 피시험자의 치태제거실험 평가지이고,
도 5는 가글 후 실험군인 피시험자의 치태제거실험 평가지이고,
도 6은 피시험자 3인으로부터 분리된 호기성 세균이고,
도 7은 피시험자 3인으로부터 분리된 혐기성 세균이고,
도 8은 마이크로젠에 의뢰하여 얻은 염기서열(Rothia dentocariosa )이고,
도 9는 Sequencing을 518F로 진행하여 얻은 결과 예이고,
도 10은 Sequencing을 800R로 진행하여 얻은 결과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구강청결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구강용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구강청결제 조성물에 있어서, 5% 이상의 농도를 가지는 α-하이드록산(AHA)과 1~2%의 농도를 가지는 β-하이드록산(BHA)를 혼합한 산 성분 0.1~15중량%, 불소(F) 성분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약물 0.001~0.1중량%, 녹차 추출물 0.1~10중량%, 프로폴리스 추출물 0.1~1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용제로 포함하는 구강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구강청결제 조성물은 α-하이드록산(AHA)을 산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AHA가 수용성이기 때문에 구강청결제 조성물로 사용하는데 용이한 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용성 AHA만을 포함하는 경우 구강 내에 포함되어 있는 지용성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AHA 성분과 지용성 산 성분인 β-하이드록산(BHA)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구강 내의 미생물이나 치석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별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HA 성분은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그 농도를 5%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8~10%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AHA 성분으로는 글리코릭산(Glycolic), 젖산(Lactic), 말릭산(Malic), 구연산(Citric), 타르타르산(tartaric) 등이 있으며, 상기 성분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BHA 성분은 지용성이기 때문에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등에 용해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농도는 1~2%로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α-하이드록산(AHA)과 β-하이드록산(BHA)은 10:1~5:1의 중량비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강청결제 조성물의 pH를 2~4의 범위로 조절하여, 상기 구강청결제 조성물에 포함된 산 성분이 구강 내의 미생물 및 치석 등과 결합하여 고형물을 생성하는 데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 성분은 전체 구강청결제 조성물 중 0.1~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글시 구강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나 치석 등과 결합하여 배출되는 고형물의 생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가글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은 치아 에나멜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와 치환반응으로 불화아파타이트를 형성함으로써 치아의 경도를 증가시켜 충치를 예방할 수 있는 약물로서, 불소를 함유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함유 약물 성분은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불화아민 및 불화주석 등이 있으며, 이중에서 불화나트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프라그 형성억제에 효과적이라고 공지된 인산 계열의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불소(F) 성분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약물은 전체 구강청결제 조성물 중 0.001~0.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은 녹차추출물을 포함하여 녹차추출물에 포함된 탄닌 성분에 의한 해독작용과 살균작용, 플라보노이드성분에 의한 구강내 악취성분에 대하여 강한 소취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녹차추출물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녹차잎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통상의 방법을 적용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청결제 조성물 중 상기 녹차추출물은 0.1~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하는 효과가 미흡하여 녹차추출물이 가지는 구취제거 및 살균 작용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고, 녹차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녹차추출물에 포함된 탄닌 성분으로 인해 사용자에 따라 불쾌감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추출물 0.1~10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치통, 치주염, 치조농루, 설염과 같은 구강계 질환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구강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의 용제로는 정제수를 사용하며, 정제수를 제외한 성분들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100중량%로 맞출 수 있으며, 사용되는 성분에 따라 용제의 함량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습윤제, 감미제, 색소, 착향제, 방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는 구강세정액이 구강 내 잘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글리세린, 소르비톨액,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습윤제의 함량은 1~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각에 영향을 주는 감미제로는 예를 들어 삭카린나트륨, 락토오스, 솔비톨, 이스파탐 등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 함량은 0.001~10 중량%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색소는 천연식용색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카라멜 색소가 적합하고, 상기 색소의 함량은 0.01~10 중량%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향제를 사용할 경우는 별도의 공정에서 착향제를 가용화제나 에탄올 등에 용해시켜 본 발명의 구강청결제 조성물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향제로는 예를 들어, 페파민트 오일계, 멘톨, 스피아민트 오일계, 카르본, 아니스오일계, 아니톨, 유칼립투스 오일계, 유칼립톨(1,8-시네올), 클로브 오일계, 유제놀, 윈터그린 오일계, 메틸실리케이트, 신나몬 오일계, 신나믹알데히드와 기타 향료성분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고분자, 폴리옥시 에틸렌 경화피마자유, 고급알킬 아세테이트류 및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폴리옥시 에틸렌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본 발명은, 상기 구강청결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글 시, 구강 내의 미생물과 반응하여 고형물을 형성하여 배출되는 데 특징을 가진다.
이는 본 발명에 포함된 산 성분인 AHA와 BHA가 구강 내에 포함된 미생물이나 치석과 결합하여 고형물을 형성하여 칫솔질 후 남아 있는 구강 내의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강청결제 조성물을 이용한 구강용 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구강용 제품은 치약, 구강 스프레이, 구강 세정제, 구강 청정제, 및 츄잉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예시하였으나, 이들의 균등물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등 유사한 정도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1
NaF 0.1중량%, 10% 농도가 되도록 α-하이드록산(AHA)을 물에 용해시킨 AHA 수용액과 1%의 농도가 되도록 β-하이드록산(BHA)를 에탄올에 용해시킨 BHA 용액을 10:1의 중량비로 혼합한 산 성분(pH 3) 10중량%, 녹차 추출물 10중량%, 프로폴리스 추출물 10중량%, 글리세린 5중량%, 자일리톨 3중량%, 소듐 사카린 0.9중량%, 카라멜 색소 5중량%, 멘톨 5중량%을 혼합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총 함량이 100중량%인 구강청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구강 내 혐기성 프라그 형성과 충치유발세균에 대한 살균력 실험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 살균력이 검증된 E. coli , S. typhimuriumS. aureus를 제외한 구강내 혐기성 충치 유발균인 Streptococcus sobrinus(KCCM 11898)와 Streptococcus gordonii(KCCM 42281)를 한국미생물보존센터로부터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구강청결제에 대한 살균력을 확인하고자 정상배지에서 배양된 세균수를 구강청결제로 처리한지 30초 경과 후와 1분 경과 후의 세균수를 비교하여 살균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다음 표 1~2와 도 1~2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구강청결제(시험용액) 원액 5ml에 시험 균액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온에서 30±3초, 1분±5초간 처리한 후 Blood agar plate배지에 접종하여 BD Gaspak EZ (anaerobe pouch system)에 넣어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37℃, CO2 농도 5% 조건에서 배양한 후 형성된 집락을 계수하여 생균수를 계수하였고(식1) 살균감소율은 (식2)에 따라 결정하였다. 단 세균이 증식하지 않은 경우는 희석배수를 곱하여 “10미만(<10)”으로 표시하였다.
(식1) 생균수 = 집락수 X 희석배수
(식2) 살균감소율(%) = [(초기세균수-일정시간 경과후 세균수)/초기세균수] × 100
초기(단위 : CFU/ml) 30초±3초 후 1분±5초 후
2.9×105 4.3×104(85.1%) <10(99.9%)
Streptococcus sobrinus에 대한 살균실험을 결과를 나타낸 상기 표 1과 다음 도 1을 참조하면, 초기접종균수가 9.8×104 CFU/ml에서 30±3초 후 1.1×104 CFU/ml (88.8%) 살균력을 보였으며 1분±5초 후에는 <10 CFU/ml으로 99.9% 살균력을 보였다.
초기(단위 : CFU/ml) 30초±3초 후 1분±5초 후
9.8×104 1.1×104(88.8%) <10(99.9%)
또한, Streptococcus sobrinus에 대한 살균실험 결과인 상기 표 2와 다음 도 2를 참조하면, 초기접종균수가 9.8×104 CFU/ml에서 30±3초 후 1.1×104 CFU/ml (88.8%) 살균력을 보였으며 1분±5초 후에는 <10 CFU/ml으로 99.9% 살균력을 보였다.
실험예 2 : 치태형성 억제효과 및 치태제거 효과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로 가글 후, 치태형성 억제효과와 치태 제거효과를 평가하였다.
피시험자는 치아상태가 건강하고 관리가 비교적 잘 되고 있는 사람 8명을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1)치태생성 억제효과
대조군은 조식을 마치고 양치한지 3시간 후에 가글하지 않은 상태에서 치태염색액(disclosing solution)으로 일차 염색하여 염색정도를 관찰하였다. 실험군은 중식을 마치고 양치한 다음 30분 간격으로 1분씩 6회 가글한 후 대조군의 염색정도와 비교평가 하였다.
2)치태의 제거효과
대조군은 기상하자마자 양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차 염색을 하여 치태를 관찰하였고, 시험군은 30분 간격으로 1분씩 6회 가글한 다음 치태를 관찰하여 대조군의 염색정도와 비교평가 하였다.
3)치아염색 및 평가기준
치아염색은 치태 염색액(disclosing solution) 원액을 솜에 묻혀서 치아를 염색한 후 몇 번 물로 세척하고 볼쪽면(치아 바깥쪽 면)과 혀쪽면(치아 안쪽 면)의 모든 치아의 염색정도를 관찰하였다.
평가기준은 O'Leary index를 변형(도 3)시켜 가글 전의 상태를 대조군으로 하여 가글 후의 염색상태를 비교하여, 염색된 면적이 적어지면 +1, 염색된 적이 많아지면 -1, 그리고 대조군과 차이가 없으면 0으로 계측하였다. 가글 전과 가글 후의 치태생성억제효과와 제거효과를 관찰하여 score를 비교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도 4~5에 나타내었고, 실험기간동안 양치질의 강도와 방법을 비슷하게 하고 양치 후 간식이나 음료수, 커피 등을 금지시켰다.
 피시험자 치태억제 치태제거
볼쪽 혀쪽 볼쪽 혀쪽
하외 상외 하외 상외 하외 상외 하외 상외
1 1 2 0 0 3 5 4 2
2 1 1 1 0 3 3 2 0
3 0 2 1 2 2 2 3 3
4 2 1 2 0 4 0 1 2
5 2 5 6 4 5 5 0 3
6 2 2 0 1 4 3 1 2
7 0 1 0 0 3 0 0 4
8 3 3 9 2 4 2 2 2
  치태억제 효과 치태제거 효과
치아면 총계 448 448
총Score 56 79
(+) 효과 치아면 평균수(합계) 1.78(57/448) 2.91(93/448)
(-) 효과 치아면 평균수(합계) 0.03(1/448) 0.44(14/448)
평균 score(score합계)(%) 1.75(56/448)(12.25%) 2.47(79/448) (7.63%)
부위별 score : 볼 쪽 1.75(28/224) (12.50%) 3.0(48/224)(21.43%)
부위별 score : 혀 쪽 3.11(28/224) (12.25%) 3.44(31/224)(13.84%)
피시험자별 가글 전후의 치태억제와 치태제거 효과를 나타낸 상기 표 3과 피시험자 종합 치태억제와 치태제거 효과를 나타낸 상기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피실험자 8명의 치아면 개수는 혀쪽과 볼쪽을 모두 합하여 총 448개였다. 실험결과 억제 효과는 1.75개(56면/총 448 치아면, 12.25%), 치태제거 효과는 평균 2.47개(79면/총 448 치아면, 17.63%)로 치태억제 효과보다 치태를 제거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볼쪽 치아면과 혀쪽 치아면을 비교하였을 때, 치태 억제효과 실험에서는 볼쪽 평균 1.75(12.50%), 혀쪽 평균 3.11(12.25%)로 나타났으며 치태제거실험에서는 볼쪽 평균 3.0(21.43%), 혀쪽 평균 3.4(13.84%)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실험샘플이 볼쪽 치아면 보다는 구강 안쪽의 치아면에 새로운 치태가 생성되는 것을 더 억제해 주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가글을 한 후, 대부분은 처음 상태를 유지하거나 더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가글 후의 positive 효과로는 치태의 두께와 면적이 감소하거나, 치태가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가글 전의 치아관리 상태가 나쁠수록 가글 후의 치태제거 효과와 치태 억제효과가 더 큰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치태억제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로 가글하지 않은 군 보다 12.25% 증가하였으며 치태제거 효과는 17.63%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은 치태억제 효과와 치태제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 가글 배출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동정 임상시험
피시험자 3인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로 15초간 구강을 세척한 후 이 용액 속에 섞여 나오는 균을 동정하여 가글 시 배출되는 균의 종류를 확인하였다.
상기 피시험자로 치아와 잇몸의 상태가 좋지 않은 3인을 선정하였고 각 피시험자의 정보는 다음 표 5와 같다.
순번 성 명 연령 성별 구 강 상 태
S1 윤○태 54 치아 1군데 봉하고 발치 1개, 구취가 심함
S2 최○용 78 위쪽 틀니, 치주질환 있음
S3 김○수 52 1주일 전 임플란트, 치주질환 있음
세균동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구강청결제 조성물로 균이 모두 살균되지 않도록 15초 동안 간단히 가글 한 후 페트리디쉬에 뱉어 10초 내에 백금이를 이용하여 균을 채취하였다. 호기성 세균을 동정하기 위하여 blood agar plate에, 혐기성 세균을 동정하기 위한 경우는 PEA plate에 평판획선 배양법으로 샘플을 도말하고 호기성 세균은 호기성 조건에서, 혐기성 세균은 gas pack pouch system을 이용하여 혐기성 조건(37℃, CO2 5%)의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순수배양을 위하여 형태가 서로 다른 colony들을 각각 분리하여 subculture 과정을 반복하였고 순수배양을 하는 동안 호기성과 혐기성 조건을 각각 유지시켜 주었다.
순수하게 분리된 세균들은 전문업체(마크로젠, 서울)로 보내어 각 세균들은 27F, 1492R로 PCR한 후, sequencing을 518F, 800R로 진행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BLAST(http://blast.ncbi.nlm.nih.gov/Blast.cgi?PROGRAM=blastn&BLAST_PROGRAMS=megaBlast&PAGE_TYPE=BlastSearch&SHOW_DEFAULTS=on&LINK_LOC=blasthome)를 통해 가장 identity가 높은 균을 동정하였다.(도 8~10)
다음 도 6과 7에서와 같이, 순수분리 결과 피시험자 3인에서 호기성 세균과 혐기성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세균은 다음 표 6에서와 같이 혐기성 세균 2종과 호기성 세균 7종으로 확인되었다.
종명 비고
혐기성 세균 Bifidobacterium inopinatum 구강세균
Scardovia wiggsiae 구강세균
호기성 세균 Neisseria meningitidis 뇌수막염 유발균
Rothia mucilaginosa 기회성 병원균
Rothia dentocariosa 치주질환과 심내막염 유발
Streptococcus mitis 심장내막염 유발가능성 균
Septococcus oralis 기회성 병원균
Streptococcus australis 구강세균
Parascardovia denticolens 구강세균

Claims (7)

  1. 구강청결제 조성물에 있어서,
    5% 이상의 농도를 가지는 α-하이드록산(AHA)과 1~2%의 농도를 가지는 β-하이드록산(BHA)를 혼합한 산 성분 0.1~15중량%, 불소(F) 성분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약물 0.001~0.1중량%, 녹차 추출물 0.1~10중량%, 프로폴리스 추출물 0.1~1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용제로 포함하는 구강청결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α-하이드록산(AHA)은 물을 용매로 사용하고, 상기 β-하이드록산(BHA)은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인 구강청결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α-하이드록산(AHA)과 β-하이드록산(BHA)은 10:1~5: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구강청결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청결제 조성물의 pH는 2~4의 범위로 조절되는 것인 구강청결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청결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글 시, 구강 내의 미생물과 반응하여 고형물을 형성하여 배출되는 것인 구강청결제 조성물.
  6. 제1항에 따른 구강청결제 조성물을 이용한 구강용 제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제품은 치약, 구강 스프레이, 구강 세정제, 구강 청정제, 및 츄잉검 중 어느 하나인 구강용 제품.
KR1020130068731A 2013-06-17 2013-06-17 구강청결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구강용 제품 KR20140146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731A KR20140146301A (ko) 2013-06-17 2013-06-17 구강청결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구강용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731A KR20140146301A (ko) 2013-06-17 2013-06-17 구강청결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구강용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301A true KR20140146301A (ko) 2014-12-26

Family

ID=5267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731A KR20140146301A (ko) 2013-06-17 2013-06-17 구강청결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구강용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63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9915A (zh) * 2016-05-30 2016-09-07 美伊琳水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漱口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9915A (zh) * 2016-05-30 2016-09-07 美伊琳水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漱口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61646C (zh) 橄榄油在制备用于消除或减少口腔中菌斑和/或细菌的口腔卫生产品中的应用
CN107281013B (zh) 一种去除牙渍抑制牙菌斑牙膏
CN107184476A (zh) 一种抑菌漱口水及其制备方法
JPH08502970A (ja) 抗菌性口腔洗浄液
TW200812637A (en) Vegetable composition for cleaning oral cavity
EP2520278B1 (en) Means for removing tobacco tars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urian et al. Effect of herbal and fluoride toothpaste on Streptococcus mutans-a comparative study
Putt et al. Enhancement of plaque removal efficacy by tooth brushing with baking soda dentifrices: results of five clinical studies
CN106924162A (zh) 一种植物添加剂、抑菌剂、口腔护理产品以及植物添加剂在制备口腔护理产品中的应用
CN107028784A (zh) 一种清新口气的口腔护理用品及其制备方法
CN113244131A (zh) 一种清凉清新的口香组合物和口香牙膏及其制备方法
Pretty et al. A study to assess the effects of a new detergent-free, olive oil formulation dentifrice in vitro and in vivo
JP2016504279A (ja) テアフラビン抽出物を含むオーラルケア組成物
KR102502829B1 (ko) 티트리 오일 및 알로에베라 겔을 포함하는 가글용 액상 조성물
KR101622230B1 (ko) 충치균인 뮤탄스균과 치주질환원인균인 진지발리스균에 대한 살균효과를 가지는 천연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한 치은염, 치주염 예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46301A (ko) 구강청결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구강용 제품
CN111050747B (zh) 洁齿剂组合物
Pasiga et al. Clinical effects of alkaline ionization water (AIW) as a mouthwash against the reduction of dental plaque
Botoacǎ et al. COMPARIS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WO COMMERCIAL TOOTHPASTES
JP7177568B1 (ja) 水溶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im et al. Oral Malodor Control Effect of Mouth Wash Containing Sodium Fluorophosphate and Green Tea Extract
Bhat et al. A Comparative Clinical Study to Assess the Immediate Antimicrobial Effect of Miswak and Toothbrush on Cariogenic Bacteria
RU2777156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для пациентов с бронхиальной астмой
Ogunshe et al. Users’ perceptions and efficacy of indigenous adjunct teeth-cleansing agents on the bacterial flora of human dental caries
CN114767571A (zh) 一种美白清洁牙膏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