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111A - 이동국 및 정보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이동국 및 정보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111A
KR20140146111A KR1020147028883A KR20147028883A KR20140146111A KR 20140146111 A KR20140146111 A KR 20140146111A KR 1020147028883 A KR1020147028883 A KR 1020147028883A KR 20147028883 A KR20147028883 A KR 20147028883A KR 20140146111 A KR20140146111 A KR 20140146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ervice
service
radio access
internet protocol
mobil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647B1 (ko
Inventor
이츠마 타나카
신야 타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40146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무선 액세스 기술이 다른 에어리어 사이를 천이한 경우라도, 비음성계 서비스, 특히 메시지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할 수 있는 이동국 및 정보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UE(100)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의해, SMS over IP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판정한다. SMS over IP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 UE(100)는, SMS over IP를 SMS over NAS보다도 우선적으로 이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SMS over NAS를 이용하여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이동국 및 정보 제공 서버 { Mobile sta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server }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 있어서 실행되는 비음성(비디오 전화도 포함)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국 및 정보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에서 제공되는 비음성계 서비스로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2G(GERAN)/3G(UTRAN)의 코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받는 '비음성계 서비스 over NAS'와, IP 베이스의 IMS를 경유하여 서버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받는 '비음성계 서비스 over IP'가 있다. 도 11은, 비음성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다. 비음성계 서비스 중, 특히 메시지 서비스에서는, 주로 GSM(등록상표)에서 제공되는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나,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에 있어서 규정되는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 등이 있다.
USSD에 의한 메시지 서비스 및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도, 단말(이동국 등) 사이의 텍스트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USSD는, 텍스트 채팅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의 이용이나, 텍스트 베이스의 부가 서비스 설정 제어에도 이용된다. USSD는, 크게 구분하면 'USSD over IP'와 'USSD over NAS'의 2 종류가 있다. 도 12는, 이와 같은 USSD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낸다.
3GPP에서 제공되는 SMS에는, 크게 구분하면 'SMS over IP'와 'SMS over NAS'의 2 종류가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SMS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MS over NAS'는, 2G(GERAN)/3G(UTRAN) 및 LTE(E-UTRAN)에 있어서 이용 가능하며, SMS over SGs, SMS over CS 및 SMS over PS의 3 종류를 포함한다. 또, 'SMS over IP'는, LTE(E-UTRAN)에 있어서만 이용 가능하다.
또, 3GPP에서는, SMS over IP를 우선적으로 이용할지, SMS over IP를 이용하지 않는, 즉, SMS over NAS를 이용할지를, 미리 이동국에 설정할 수 있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1: 3GPP TS 23.221 V11.0.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Architectural requirements(Release 11), 2011년 12월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3GPP에 있어서의 규정 내용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상술한 SMS over IP를 우선적으로 이용할지 여부는,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관계없이, 하나의 공통된 설정밖에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기능에 따라서는, 2G/3G에서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을 이용한 베어러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SMS over IP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 있어서, 이동국이 SMS over IP를 우선적으로 이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동국의 접속처가 LTE로부터 2G/3G로 전환되면, SMS를 제공할 수 없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만약 무선 액세스 기술(RAT)마다 이용하는 SMS를 규정할 수 있었다고 해도, 이동국은, 해당 전환 후에 있어서도 타이머가 만료되기까지 IMS로의 Registration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타이머가 만료되어 IMS로의 Registration 상태가 해소되기까지, SMS over SGs(도 1 참조)에 의해서도 SMS를 제공할 수 없고, SMS를 제공할 수 없는 시간이 장기화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들의 문제는, USSD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과제가 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무선 액세스 기술이 다른 에어리어 사이를 천이한 경우라도, 비음성계 서비스, 특히 메시지 서비스(부가 서비스 설정 제어에 적용하는 케이스도 포함)를 계속해서 제공할 수 있는 이동국 및 정보 제공 서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 있어서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인 제1 메시지 서비스(SMS over IP/USSD over IP)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이외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인 제2 메시지 서비스(SMS over NAS/USSD over NAS)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G/LTE)를 통해 이용 가능한 이동국(UE(100))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의해,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판정하는 상태 판정부(상태 판정부(101))와, 상기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를 상기 제2 메시지 서비스보다도 우선적으로 이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기 제2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실행하는 서비스 실행부(서비스 실행부(115))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 있어서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인 제1 메시지 서비스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이외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인 제2 메시지 서비스를, 통신방식이 다른 복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 가능한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각각과,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 또는 상기 제2 메시지 서비스가 대응지어진 설정정보를 보유하는 정보 보유부(정보 보유부(111))와, 상기 정보 보유부에 보유되어 있는 상기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하고 있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대응지어져 있는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 또는 상기 제2 메시지 서비스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메시지 서비스를 실행하는 서비스 실행부(서비스 실행부(115))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 있어서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인 제1 메시지 서비스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이외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인 제2 메시지 서비스를, 통신방식이 다른 복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 가능한 이동국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정보 제공 서버(400)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각각과,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 또는 상기 제2 메시지 서비스가 대응지어진 설정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정보 제공부(정보 제공부(403))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10)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UE(1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UE(100)에 의한 쇼트 메시지 서비스의 실행 동작예(동작예 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UE(100)에 의한 쇼트 메시지 서비스의 실행 동작예(동작예 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UE(100)에 의한 쇼트 메시지 서비스의 실행 동작예(동작예 3)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UE(100)에 의한 쇼트 메시지 서비스의 실행 동작예(동작예 4)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4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UE(1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UE(100) 및 정보 제공 서버(400)에 의한 쇼트 메시지 서비스의 실행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비음성계 서비스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USSD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수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수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하는 것이다. 또,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수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1 실시형태]
(1)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10)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시스템(10)은, 이동국(100)(이하, UE(100)), Mobility Management Entity(200)(이하, MME(200)), Serving GPRS Support Node(이하, SGSN(210)), 및 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300)(IMS(300))을 포함한다. 또, 이동통신시스템(10)에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구체적으로는, 3G(U-TRAN) 및 LTE(E-UTRAN)와, Serving Gateway(SGW)가 포함된다. 또한,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장치나 네트워크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동통신시스템(10)에는, 다른 장치(예를 들면, Packet Data Network Gateway(PGW),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PCRF) 등)도 포함된다.
UE(100)는, Long Term Evolution(LTE) 및 3G(W-CDMA) 방식에 따른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UE(100)는, 복수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 구체적으로는, SMS over IP와 SMS over NAS를, 해당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 가능하다.
SMS over IP는,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 있어서 실행되는 쇼트 메시지 서비스(제1 메시지 서비스)이다. 또, SMS over NAS는, 인터넷 프로토콜 이외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행되는 쇼트 메시지 서비스(제2 메시지 서비스)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UE(100)는, SMS over IP를 SMS over NAS보다도 우선적으로 이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MME(200)는, eNodeB(무선기지국)를 수용하고, 모빌리티 제어나 베어러 제어 기능 등을 제공하는 교환기이다. SGSN(210)은, 3G(UTRAN) 액세스 시스템을 수용하는 패킷 교환기이다.
IMS(300)는,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이며, Proxy―Call Session Control Function(P―CSCF), Interrogat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I―CSCF), Serv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S―CSCF) 및 Application Server(AS) 등(미도시)을 포함한다.
(2) 이동국의 기능 블록 구성
도 3은, UE(1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100)는, 상태 판정부(101) 및 서비스 실행부(103)를 구비한다.
상태 판정부(101)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의해, SMS over IP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상태 판정부(101)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IMS(300)에 의한 음성 통화 서비스가 서포트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비(非) 서포트 정보, 구체적으로는, IMS Voice over PS=not supported를 수신한 경우, SMS over IP가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판정한다.
상태 판정부(101)는, IMS(300)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SIP 베어러의 설정이 거절된 경우, SMS over IP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판정해도 좋다. 또한, 상태 판정부(101)는, SMS over IP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SIP 베어러의 발신이 거절된 경우, SMS over IP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판정할 수도 있다.
또, 상태 판정부(101)는, SIP에 의해 설정되는 논리적 통신로이며, 발신의 요구에 이용되는 SIP 베어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SMS over IP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판정할 수도 있다.
서비스 실행부(103)는, 상태 판정부(101)에 의해 SMS over IP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 SMS over IP를 SMS over NAS보다도 우선적으로 이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SMS over NAS를 이용하여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실행부(103)는, SMS over IP를 이용하기 위해, SIP에 의해 설정되는 논리적 통신로인 SIP 베어러의 설정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한다. 또, 서비스 실행부(103)는, SMS over IP를 이용하기 위해,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서 동작하는 SIP에 따른 SIP 베어러의 발신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할 수도 있다.
(3) 이동국의 동작
다음으로, 상술한 이동국(UE(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UE(100)에 따른 쇼트 메시지 서비스의 실행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도 7은, UE(100)에 의한 쇼트 메시지 서비스의 실행 동작예를 나타낸다.
(3.1) 동작예 1
도 4(a)는, UE(100)가 3G에 재권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4(b)는, UE(100)가 LTE에 재권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에 도시한다. 도 4(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100)가 SMS over IP를 우선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3G/LTE에서의 Attach 또는 위치 등록시에 있어서, SGSN(210) 또는 MME(200)로부터 'IMS Voice over PS=not supported'를 통지받은 경우, UE(100)는, SMS over IP가 아니라 SMS over NAS를 이용한다.
한편, 3G/LTE에서의 Attach 또는 위치 등록시에, SGSN(210) 또는 MME(200)로부터 'IMS Voice over PS=supported'를 통지받은 경우, UE(100)는, SMS over IP를 이용한다.
(3.2) 동작예 2
도 5(a)는, UE(100)가 3G에 재권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5(b)는, UE(100)가 LTE에 재권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5(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100)가 SMS over IP를 우선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 후 UE(100)가 SMS over IP를 이용하기 위해, SIP 베어러의 발신을 실행하고, 해당 발신 요구가 'IMS를 이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Cause value에서 Reject된 경우, UE(100)는, SMS over IP가 아니라 SMS over NAS를 이용한다.
또한, Cause는, #32(Service option not supported) 등이어도 좋으며, 그 외, IMS(300)을 이용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어도 좋다.
(3.3) 동작예 3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100)가 SMS over IP를 우선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UE(100)가 SMS over IP를 이용한 SMS의 발신(SIP MESSAGE 수순)을 실행하고, 그리고 해당 발신이 특정한 SMS over IP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cause에서 reject된 경우, UE(100)는, SMS over IP가 아니라 SMS over NAS를 이용한다. Reject되는 Response의 예로서는, 스테이터스 코드의 수치가 503(Service Unavailable), 603(Decline), 혹은 항구(恒久)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3.4) 동작예 4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100)가 SMS over IP를 우선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UE(100)가 SMS over IP를 이용한 SMS의 발신(SIP MESSAGE 수순)을 실행하고자 하지만 SIP 베어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UE(100)는, SMS over IP가 아니라 자동적으로 SMS over NAS로 전환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제공 서버(400)(도 2 참조)를 이용하여, 쇼트 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설정정보가 UE(100)로 송신된다.
정보 제공 서버(400)는, UE(100)에 대해 각종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제공 서버(400)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각각과, SMS over IP 또는 SMS over NAS가 대응지어진 설정정보를 UE(100)로 송신한다.
(1) 이동국 및 정보 제공 서버의 기능 블록 구성
도 8은, 정보 제공 서버(4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또는,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UE(1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서버(400)는, 설정부(401) 및 정보 제공부(403)를 구비한다.
설정부(401)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각각과, SMS over IP 또는 SMS over NAS가 대응지어진 설정정보를 생성한다.
정보 제공부(403)는, 설정부(401)에 의해 생성된 해당 설정정보를 UE(100)로 송신한다. 정보 제공부(403)는, 해당 설정정보를 미리 UE(100)에 통지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설정정보의 통지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OMA DM 등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UE(100)는, 정보 보유부(111), 정보 취득부(113) 및 서비스 실행부(115)를 구비한다.
정보 보유부(111)는,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송신된 설정정보를 보유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보유부(111)는, 정보 취득부(113)에 의해 취득된 설정정보를 보유한다. 즉, 정보 보유부(111)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각각과, SMS over IP 또는 SMS over NAS가 대응지어진 설정정보를 보유한다.
혹은, 정보 보유부(111)는, UE(100)의 제조시 등에 입력된 해당 설정정보를 보유해도 좋다.
정보 취득부(113)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면, 무선 LAN)를 통해,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설정정보를 취득한다.
서비스 실행부(115)는, 정보 보유부(111)에 보유되어 있는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UE(100)가 접속하고 있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대응지어져 있는 SMS over IP 또는 SMS over NAS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실행한다.
(2) 이동국 및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UE(100)와 정보 제공 서버(400)에 의한 쇼트 메시지 서비스의 실행 동작예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서버(400)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각각(3G 및 LTE)과, SMS over IP 또는 SMS over NAS가 대응지어진 설정정보를 UE(100)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3G와 SMS over NAS가 대응지어지고, LTE와 SMS over IP가 대응지어진다. 즉, UE(100)가 이용하는 SMS 방식이, 3G, LTE마다 설정된다.
UE(100)는, 수신한 설정정보를 참조하고, 재권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T)에 따라, 이용하는 SMS 방식(SMS over IP 또는 SMS over NAS)을 선택한다.
[작용·효과]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10)에 의하면, UE(100)(상태 판정부(101))에 의해 SMS over IP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 SMS over IP를 SMS over NAS보다도 우선적으로 이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SMS over NAS를 이용하여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10)에 의하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각각과, SMS over IP 또는 SMS over NAS가 대응지어진 설정정보가 UE(100)로 송신된다.
이 때문에, 무선 액세스 기술이 다른 에어리어 사이를 UE(100)가 천이(핸드오버 등)한 경우라도, 종래와 같이 장시간에 걸쳐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 회피되고,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지 서비스로서 3GPP에서 규정되는 쇼트 메시지 서비스로 설명했으나, USSD에서도 대략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을 USSD over IP와 USSD over NAS를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경우, USSD over IP 또는 USSD over NAS를 적절히 이용하고, 그리고 메시지 서비스/부가 서비스 설정 제어(USSD)를 계속해서 이용 가능해진다. 특히, USSD를 적용한 부가 서비스 설정 제어는 텍스트 베이스의 통신에서 수행되고, 상술한 메시지 서비스와 대략 동일한 동작이기 때문에, 상술한 메시지 서비스를 부가 서비스 설정 제어라 바꿔 불러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으나,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가 명백해질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3G와 LTE를 예로서 설명했으나, 예를 들면, 3G 대신에 2G(GERAN)를 이용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청구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사항에 의해서만 규정되는 것이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2―089771호(2012년 4월 10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로,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무선 액세스 기술이 다른 에어리어 사이를 천이한 경우라도, 비음성계 서비스, 특히 메시지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할 수 있는 이동국 및 정보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10…이동통신시스템
100…UE
101…상태 판정부
103…서비스 실행부
111…정보 보유부
113…정보 취득부
115…서비스 실행부
200…MME
210…SGSN
300…IMS
400…정보 제공 서버
401…설정부
403…정보 제공부

Claims (9)

  1.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 있어서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인 제1 메시지 서비스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이외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인 제2 메시지 서비스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 가능한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의해,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판정하는 상태 판정부;
    상기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를 상기 제2 메시지 서비스보다도 우선적으로 이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기 제2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실행하는 서비스 실행부;를 구비하는 것을 이동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정부는,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의한 음성통화 서비스가 서포트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비(非) 서포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판정하는 이동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실행부는,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서 동작하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에 의해 설정되는 논리적 통신로인 베어러의 설정을,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고,
    상기 상태 판정부는,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베어러의 설정이 거절된 경우,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판정하는 이동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실행부는,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서 동작하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에 따른 발신을,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고,
    상기 상태 판정부는,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발신이 거절된 경우,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판정하는 이동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실행부는,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서 동작하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에 따른 발신을,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고,
    상기 상태 판정부는,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서 동작하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에 의해 설정되는 논리적 통신로이며, 상기 발신의 요구에 이용되는 베어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판정하는 이동국.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 있어서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인 제1 메시지 서비스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이외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인 제2 메시지 서비스는, 텍스트 커뮤니케이션 또는 텍스트 베이스의 부가 서비스 제어인 이동국.
  7.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 있어서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인 제1 메시지 서비스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이외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인 제2 메시지 서비스를, 통신방식이 다른 복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 가능한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각각과,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 또는 상기 제2 메시지 서비스가 대응지어진 설정정보를 보유하는 정보 보유부;
    상기 정보 보유부에 보유되어 있는 상기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하고 있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대응지어져 있는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 또는 상기 제2 메시지 서비스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메시지 서비스를 실행하는 서비스 실행부;를 구비하는 이동국.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나, 또는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설정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보유부는,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설정정보를 보유하는 이동국.
  9.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 있어서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인 제1 메시지 서비스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이외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인 제2 메시지 서비스를, 통신방식이 다른 복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 가능한 이동국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각각과, 상기 제1 메시지 서비스 또는 상기 제2 메시지 서비스가 대응지어진 설정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정보 제공부를 구비하는 정보 제공 서버.
KR1020147028883A 2012-04-10 2013-04-10 이동국 및 정보 제공 서버 KR101632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89771 2012-04-10
JP2012089771A JP5487239B2 (ja) 2012-04-10 2012-04-10 移動局及び情報提供サーバ
PCT/JP2013/060830 WO2013154134A1 (ja) 2012-04-10 2013-04-10 移動局及び情報提供サー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111A true KR20140146111A (ko) 2014-12-24
KR101632647B1 KR101632647B1 (ko) 2016-06-22

Family

ID=4932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883A KR101632647B1 (ko) 2012-04-10 2013-04-10 이동국 및 정보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74691B2 (ko)
EP (1) EP2838283B1 (ko)
JP (1) JP5487239B2 (ko)
KR (1) KR101632647B1 (ko)
CN (1) CN104221406B (ko)
ES (1) ES2682766T3 (ko)
WO (1) WO20131541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4744B2 (en) * 2015-08-28 2021-11-23 Apple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short message service over internet protocol
US10623914B2 (en) 2016-02-17 2020-04-14 Tracfone Wireless, Inc. Device, system, and process for providing real-time short message data services for mission critical communications
US9992643B2 (en) * 2016-07-06 2018-06-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ssion establishment, maintenance, and termination by end device based on SMS messaging
CN108809565B (zh) * 2017-05-04 2020-08-14 华为技术有限公司 消息的传输方法、及设备
CN109104448B (zh) 2017-06-20 2021-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会话管理方法、及装置
CN109429363B (zh) 2017-06-20 202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会话管理方法、及装置
CN109788446B (zh) * 2017-11-10 2020-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短消息发送方法及装置
WO2020003576A1 (en) * 2018-06-25 2020-01-02 Nec Corporation A method and system of indicating sms subscription to the ue upon change in the sms subscription in a network
EP4046402A4 (en) * 2019-10-19 2022-12-14 Sarath Kakumanu SENDING OR RECEIVING SMS THROUGH INTERNET MESSAGING WITHOUT USING INTERN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9244A1 (en) * 2009-06-29 2010-12-30 Adrian Buckley System And Method For Voice Service In An Evolved Packet System
US20110002327A1 (en) * 2009-06-03 2011-01-06 Johanna Lisa Dwyer Voice service in evolved packet system
US20110188448A1 (en) * 2009-08-10 2011-08-04 Qualcomm Incorporated Identifying a domain for delivery of message service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3676B (en) 2001-03-19 2004-08-04 Motorola Inc Communications op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03070021A (ja) * 2001-08-27 2003-03-07 Sanyo Electric Co Ltd ポータブル三次元データ入力装置及び立体モデル生成装置
GB2431827B (en) * 2005-10-28 2007-10-24 Motorola Inc Radio bearer management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2008258844A (ja) * 2007-04-03 2008-10-23 Ntt Docomo Inc 通信端末
US8811936B2 (en) * 2009-07-30 2014-08-19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call origin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2327A1 (en) * 2009-06-03 2011-01-06 Johanna Lisa Dwyer Voice service in evolved packet system
US20100329244A1 (en) * 2009-06-29 2010-12-30 Adrian Buckley System And Method For Voice Service In An Evolved Packet System
US20110188448A1 (en) * 2009-08-10 2011-08-04 Qualcomm Incorporated Identifying a domain for delivery of message service inform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24.301 V11.2.0* *
비특허문헌 1: 3GPP TS 23.221 V11.0.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Architectural requirements(Release 11), 2011년 12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80035A1 (en) 2015-03-19
JP2013219636A (ja) 2013-10-24
EP2838283A1 (en) 2015-02-18
EP2838283B1 (en) 2018-05-30
US9374691B2 (en) 2016-06-21
ES2682766T3 (es) 2018-09-21
JP5487239B2 (ja) 2014-05-07
CN104221406B (zh) 2018-07-17
CN104221406A (zh) 2014-12-17
WO2013154134A1 (ja) 2013-10-17
KR101632647B1 (ko) 2016-06-22
EP2838283A4 (en)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647B1 (ko) 이동국 및 정보 제공 서버
US9432897B2 (en) Handling of access capability information in a mobile network
EP2514251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EP2291014B1 (en) Method and corresponding terminal for association relationship updating
US8755766B2 (en) Handling reachability of mobile device when serving core network node changes
US8848666B2 (en) Handover of emergency calls from a circuit switched to a packet switched access network
JP5383854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通信方法
US20160072852A1 (en) Network Initiated CS Services During IMS Call
KR101364263B1 (ko)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 관리 노드
US9596342B2 (en) Mobil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EP2330852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a voice connection to mobile station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JP5337889B2 (ja) 移動局及び通信方法
JP5290447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通信方法
JP5848997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3154120A1 (ja) 移動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1405544B1 (ko) 가입자 위치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