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828A - 싱크대 배수 유닛 - Google Patents

싱크대 배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828A
KR20140145828A KR20130068491A KR20130068491A KR20140145828A KR 20140145828 A KR20140145828 A KR 20140145828A KR 20130068491 A KR20130068491 A KR 20130068491A KR 20130068491 A KR20130068491 A KR 20130068491A KR 20140145828 A KR20140145828 A KR 20140145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blocking water
blocking
pipe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조씽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조씽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조씽크
Priority to KR20130068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5828A/ko
Publication of KR2014014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통 내부에 남아 있는 차단수를 제거할 수 있어서 배수통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싱크대 배수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배수 유닛은, 싱크대 배수 유닛에 있어서, 싱크보울의 배수구에 설치되며, 하면 중앙에 배수 호스가 연결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통; 상기 배수공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수통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차단수 유지관; 상기 차단수 유지관에 상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배수통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차면 상승되어 상기 차단수 유지관을 통하여 물을 배수시키는 악취 방지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싱크대 배수 유닛{THE DRAINNING UNIT FOR SINK BOWL}
본 발명은 싱크대 배수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통 내부에 남아 있는 차단수를 제거할 수 있어서 배수통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싱크대 배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주방에서 요리나 설거지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부와, 캐비넷부의 상부에 장착되어 조리대를 구성하는 상판과, 상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설거지를 하고 과일이나 야채 등을 세척하기 위해 마련된 싱크 보울과, 상기 싱크 보울에 설치되어 설거지한 물이나 음식물 등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유닛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싱크대 배수유닛은 거름망을 통하여 음식물 찌꺼기를 거름으로써 음식물이 배수통 및 배수배관을 통하여 하수구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 배관의 막힘 현상 방지 및 하수구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싱크대 배수 유닛(1)은 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즉, 싱크 보울에 장착되는 배수통(10), 상기 배수통(10) 저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일정량의 물이 상기 배수통(10) 하부에 수납되도록 하는 차단수 유지관(20), 상기 차단수 유지관(20)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악취 방지캡(30), 상기 배수통(1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통(10) 내부로 흘러들어오는 물에서 음식물 찌꺼기를 거르는 거름망(40), 상기 배수통(40) 상부를 단속하는 뚜껑(50) 등을 구비한다.
상기 차단수 유지관(20)에 의하여 상기 배수통(10) 하부에 항상 수납되어 있는 물 즉, 차단수(70)는 배수 배관(60)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 배관(60)을 타고 상기 싱크 보울로 곤충 등이 유입되는 것도 차단하는 기능을한다.
그런데 상기 배수통(10)의 차단수 유지관(20)에 의하여 수납된 차단수(70)는 미세한 음식물 찌꺼기 등과 이물질을 통과하여 유입된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만지기를 꺼려할 만큼 더러운 물이다. 또한 차단수 유지관에 수납된 차단수(70)는 싱크보울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그대로 남아 있어 세균 번식의 온상이 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청소를 꺼리게 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배수통(10)이 상기 싱크보울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청소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수통 내부에 남아 있는 차단수를 제거할 수 있어서 배수통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싱크대 배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배수 유닛은, 싱크대 배수 유닛에 있어서, 싱크보울의 배수구에 설치되며, 하면 중앙에 배수 호스가 연결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통; 상기 배수공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수통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차단수 유지관; 상기 차단수 유지관에 상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배수통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차면 상승되어 상기 차단수 유지관을 통하여 물을 배수시키는 악취 방지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유닛에는, 상기 배수공 내면에 암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수 유지관의 하부 외면에는 숫나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수 유지관이 상기 배수공 내면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수 유지관 상부에는, 상기 차단수 유지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 유닛에는, 상기 배수공 내면에 내측으로 음각되어 형성되는 차단링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수 유지관의 하부 외측에는 차단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수 유지관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 유닛은 차단수 유지관 자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체결시키는 구조이므로, 상기 배수 유닛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상기 차단수 유지관 자체를 상기 배수통으로부터 분리하고, 오염된 차단수가 완전히 배출된 상태에서 배수통 자체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싱크대 및 배수 유닛 자체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곤충이나 악취 등이 싱크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은 그대로 유지한다.
도 1은 종래의 싱크대 배수 유닛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 유닛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수 유지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 유닛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유닛에는 차단수 유지관이 구비되되, 상기 차단수 유지관이 상기 배수통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차단수 유지관을 상기 배수통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배수통 하부에 채워져 있는 차단수를 완벽하게 배수한 상태에서 상기 배수통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청소를 한 이후에는 다시 상기 차단수 유지관을 상기 배수통에 결합하여 상기 배수통 하부에 차단수가 채워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유닛에서 이러한 차단수 유지관의 구조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조는 종래의 싱크대 배수유닛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단수 유지관을 상기 배수통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2가지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수 유지관(120)이 배수통(110)에 나사 구조로 분리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수공(112)의 내면에 암나사면(114)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수 유지관(120)의 하부 외면에 상기 암나사면(114)과 대응되는 숫나사면(12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렇게 체결가능한 나사 구조를 가지는 차단수 유지관(120)이 상기 배수공(112) 내면에 나사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수 유지관(120)의 중간 부분 중 상기 배수통(110)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1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밀봉부재(126)는 상기 차단수 유지관(120)에 형성되는 걸림턱(125)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상기 배수통(110)의 표면과 상기 차단수 유지관(120) 사이의 공간을 밀봉한다.
또한 상기 차단수 유지관(120)의 상단에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수 유지관(120)을 상기 배수공(112)에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걸림부(12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12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수 유지관(120) 상부에 상기 차단수 유지관(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차단수 유지관(120)을 상기 배수공(112)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다른 분리 결합 가능한 구조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수 유지관(220)의 하부에 차단링(222)을 설치하고, 상기 차단수 유지관(220)을 상기 배수공(21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수 유지관(220)의 하부 외측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차단링(222)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 차단링(222)은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공(21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수축되어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배수공(212)과 상기 차단수 유지관(220)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공(21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링이 안착될 수 있는 차단링 걸림홈(2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링 걸림홈(214)은 상기 차단링(222)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음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차단링(222)이 삽입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단수 유지관(220) 상부에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지부(224)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부(224)는 상기 차단수 유지관(220)을 상기 배수공(212)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고,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1 : 종래의 배수 유닛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닛
2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닛
10, 110, 210 : 배수통 20, 120, 220 : 차단수 유지관
30, 130 ,230 : 차단수 유지관 50, 150, 250 : 뚜껑

Claims (5)

  1. 싱크대 배수 유닛에 있어서,
    싱크보울의 배수구에 설치되며, 하면 중앙에 배수 호스가 연결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통;
    상기 배수공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수통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차단수 유지관;
    상기 차단수 유지관에 상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배수통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차면 상승되어 상기 차단수 유지관을 통하여 물을 배수시키는 악취 방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 내면에는 암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수 유지관의 하부 외면에는 숫나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수 유지관이 상기 배수공 내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 유지관 상부에는,
    상기 차단수 유지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 내면에는 내측으로 음각되어 형성되는 차단링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수 유지관의 하부 외측에는 차단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 유지관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 유닛.
KR20130068491A 2013-06-14 2013-06-14 싱크대 배수 유닛 KR20140145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491A KR20140145828A (ko) 2013-06-14 2013-06-14 싱크대 배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491A KR20140145828A (ko) 2013-06-14 2013-06-14 싱크대 배수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828A true KR20140145828A (ko) 2014-12-24

Family

ID=52675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8491A KR20140145828A (ko) 2013-06-14 2013-06-14 싱크대 배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58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483U (ko) 2015-12-31 2017-07-10 낙 권 김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483U (ko) 2015-12-31 2017-07-10 낙 권 김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2433B2 (ja) シンク台用排水装置
US20180202136A1 (en) Garbage Straining Device for Kitchen Sink Opening with Continuous Water Drainage
US20150321127A1 (en) Sink filter
US20170073948A1 (en) Drain Stopper With Detachable Solid Matter Receptacle
KR100998167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KR101354072B1 (ko) 배수 트랩
CN104013320A (zh) 一种可沥水的洗菜盆
KR101241107B1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KR20140145828A (ko) 싱크대 배수 유닛
KR101737226B1 (ko) 악취의 새어나옴과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된 오수의 배출이 용이한 가정용 음식물쓰레기통
KR101259177B1 (ko) 위생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배수장치
KR101911741B1 (ko) 음식물 거름망
KR20200129691A (ko) 세척 용기
KR200483495Y1 (ko) 배수구용 거름구
KR20130013781A (ko) 배수통 세척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KR200371721Y1 (ko) 씽크대용 배수장치
KR20130003885U (ko) 배수통 세척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KR200448923Y1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1629920B1 (ko) 배수구 거름망
KR20180126204A (ko) 씽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커버
CN204456407U (zh) 卫生级防臭自封地漏
KR20140078809A (ko) 분리가능한 세면대용 레버식 배수구 마개
CN211596946U (zh) 一种不锈钢星盆
KR101265027B1 (ko) 주방 싱크대용 여과기
KR200427620Y1 (ko) 세척기의 세척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