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115A - 컴퓨터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컴퓨터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컴퓨터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컴퓨터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115A
KR20140145115A KR1020147022788A KR20147022788A KR20140145115A KR 20140145115 A KR20140145115 A KR 20140145115A KR 1020147022788 A KR1020147022788 A KR 1020147022788A KR 20147022788 A KR20147022788 A KR 20147022788A KR 20140145115 A KR20140145115 A KR 20140145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rvice
abnormal
architecture
anoma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 루오
차오장 잔
솨이 양
야오 자오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45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06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distributed, e.g. networked systems, clusters, multiprocess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77Localisation of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04L43/0847Transmission err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5Methods of retrieving data using interactive graphical means or pictorial represen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연락처 리스트 및 상기 연락처 리스트 중 친구의 소식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연락처 리스트 중의 친구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친구의 소식을 아이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이다. 상술한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실시간 통신 툴, 및 컴퓨터 기억 매체는 연락처 리스트 중의 친구마다 대응되는 아이콘을 생성하며, 나아가서는 그 친구의 소식을 아이콘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의 아이콘을 통하여 친구의 소식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작을 간소화 하였으며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컴퓨터 기억 매체{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internet service running and computer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업무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컴퓨터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에서는 다양한 업무를 실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오픈 플랫폼 중의 제3자 앱, 가상 인터넷 공동체 및 동영상 재생 웹 사이트 등은 종종 실행 환경에 의존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실행 환경은, 업무를 위한 논리 처리 및 데이터 저장을 제공하는 각종 요소를 포함한다. 업무의 실행 과정 중에서는, 반드시 업무 및 실행 환경에서 발생하는 고장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제때에 분석과 처리를 진행하여야 한다.
종래의 업무 모니터링 방법은 매 유형의 실행 환경에 대하여 각각 실시간 모니터링을 진행하되, 이 실행 환경에는 인터넷 환경, 서버 등 설비, 업무 컴포넌트, 및 업무 소프트웨어 등이 포함되며, 모 실행 환경 중의 이상 상황 발생이 모니터링되면 문자 메세지 혹은 메일 형식으로 경고를 발송하고 나아가서는 업무 유지를 진행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경고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고장 발생 실행 환경을 획득하도록 한다.
그러나, 각종 실행 환경들은 서로 의존한다.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정상적으로 실행하는 업무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업무 소프트웨어는 업무 컴포넌트의 정상적 실행에 의존하고, 업무 소프트웨어와 업무 컴포넌트 양자 모두 인터넷 환경, 서버 등 실행 환경에 의존한다. 따라서, 업무 실행 과정 중 모 실행 환경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이 모니터링되였을 때 종종 대규모의 경고를 유발하며, 더욱이 업무 유지를 진행하는 작업자에게 대량의 경고 내용을 발송하여 고장 위치 파악을 정확하게 실현할 수 없게 한다.
상술한 내용에 근거하여, 업무 모니터링 중 대규모 경고가 발생하는 문제에 대하여, 고장 위치 파악을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 외, 정확하게 고장 위치 파악을 진행할 수 있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제공할 필요도 있다.
또한, 정확하게 고장 위치 파악을 진행할 수 있는 컴퓨터 기억 매체를 더 제공할 필요도 있다.
상기 목적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업무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중에서 이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이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이상 서비스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아키텍쳐 층에서 위치를 파악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업무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중에서 이상 데이터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모니터링 모듈;
상기 이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이상 서비스를 취득하는데 사용되는 이상 서비스 취득 모듈; 및
상기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아키텍쳐 층에서 위치를 파악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데 사용되는 검출 모듈을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기억하기 위한 컴퓨터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방법은,
인터넷 업무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중에서 이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이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이상 서비스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아키텍쳐 층에서 위치를 파악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컴퓨터 기억 매체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한 서비스에 대하여 아키텍쳐 층 레벨(architecture layer level)에 따라 그 서비스와 관련된 아키텍쳐 층을 검출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어, 매개 아키텍쳐 층에서 발생한 고장이 서비스 이상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인지를 확인하고, 더욱이 복수 개의 아키텍쳐 층에서 실행 고장에 대한 위치 파악을 정확하게 실현함으로써, 업무 유지를 진행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대량의 경고 내용을 일일이 분석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 중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 중 아키텍쳐 구조 설명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 중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아키텍쳐 층에서 위치를 파악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방법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 중 기록된 이상점(abnormal point)을 아키텍쳐 층의 아키텍쳐 층 레벨 중에서의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방법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 중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 중 검출 모듈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 중 검출 모듈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10): 인터넷 업무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득하고, 모니터링 데이터 중에서 이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니터링 업무의 실행 과정에서 모니터링 데이터를 얻어, 업무의 정상 여부를 명확하게 반영하는데 사용한다. 예를 들면, 이 모니터링 데이터는 사용자 온라인 수량, 사용자 불만 수량, 및 모 웹페이지 방문시 발생한 지연 등일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는 정상적 실행 상태에서의 데이터, 및 실행 중 고장 발생시의 이상 데이터를 포함하되, 예를 들면, 이상 데이터는 모 웹페이지의 사용불가임을 지시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 (S30): 이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이상 서비스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업무가 실행되는 과정 중, 각종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모 업무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서비스가 제공하는 각종 소(小)기능들은 그 앱들이 갖고 있는 처리 능력을 형성한다. 추출된 이상 데이터에 의하여 고장이 발생한 이상 서비스를 얻고, 나아가서는 후속 처리 과정을 통하여 그 서비스 고장의 발생을 초래하는 근원을 얻는다.
단계 (S50):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아키텍쳐 층에서 위치를 파악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업무가 실행되는 아키텍쳐 구조는 액세스 층, 논리 층, 및 데이터 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논리 층은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각종 요구에 응답하며, 또한 논리 처리를 진행한다. 데이터 층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업무는 아키텍쳐 구조에서 실행되어 사용자의 각종 요구에 응답한다. 구체적으로, 아키텍쳐 구조는 레이어 형태의 모델로서, 앞단에서 후단으로의 순서에 따라 액세스 층, 논리 층, 및 데이터 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액세스 층은 사용자의 요구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요구를 후단의 논리 층으로 전송한다. 논리 층은 액세스 층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요구를 처리하고, 데이터 층에 기억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업무 논리 처리를 진행하며, 나아가서는 처리 결과를 액세스 층에 리턴(return)한다. 데이터 층은 데이터를 완충 기억 혹은 지속적으로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키텍쳐 층이 액세스 층이거나 논리 층이거나 혹은 데이터 층인지를 막론하고 매개 레이어 레벨에는 모두 업무 소프트웨어, 업무 컴포넌트, 기초 인터넷, 기초 설비, 및 기초 시설 등 요소를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업무 컴포넌트는 공통 소프트웨어 패키지, 혹은 소프트웨어 프레임 패키지이며 예를 들어, 웹 서버 (WebServer) 컴포넌트, 인터넷 통신 컴포넌트와 데이터 베이스 컴포넌트 등이다. 업무 소프트웨어는 업무 컴포넌트 상에서 실행되며 대부분은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직접 제공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들에게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Common Gateway Interface, cgi로 생략)를 예로 하면, 기초 설비는 서버, 교환기, 및 루터 등 설비이고, 기초 시설은 컴퓨터실, 전력 공급 설비, 및 컴퓨터실 공간 등 시설이다.
그 외, 업무 실행 아키텍쳐 구조는 또한 액세스 층, 논리 층, 및 데이터 층의 구획을 진행하지 않고도 업무 소프트웨어, 업무 컴포넌트, 기초 설비, 및 기초 시설에 따라, 아키텍쳐 층 레벨의 설정을 직접 진행할 수 있다.
업무 실행 아키텍쳐 구조에 있어서,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에 대해 검출을 진행하는 것 외에도, 그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 개의 아키텍쳐 층에 대해서도 검출을 진행함으로써 실행 고장원의 위치 파악을 실현하고 서비스 이상의 발생을 초래하는 고장 근원을 얻도록 해야 한다.
상술한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은, 모니터링 데이터 중의 이상 데이터에 의하여 대응되는 이상 서비스를 얻고,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관련된 아키텍쳐 층 중에서 위치 파악을 진행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지만, 이는 단지 이상 서비스를 인터넷 업무 실행 과정 중에서의 실행 고장원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아키텍쳐 층을 상응하게 검출하여 실행 고장원의 위치 파악을 실현함으로써 모니터링의 정확성을 향상하고, 더 나아가 인터넷 업무의 유지를 더욱 간편화 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S50)의 구체적인 과정은 아래와 같다.
단계 (S510):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의 이상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단계 (S520)로 진입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 중의 각 부분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고 그 아키텍쳐 층에서 나타나는 이상점 (abnormal point)을 기록한다. 아키텍쳐 층, 및 아키텍쳐 층 중의 부동한 요소에 따라 대응되는 이상점도 서로 부동하다. 구체적으로, 이상점은 아키텍쳐 층, 및 아키텍쳐 층 중 요소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상 현상에 대한 하나의 설명이다. 예를 들면, 아키텍쳐 층의 기초 설비에 있어서, 이상점은 서버와의 연결 불가에 해당되고, 기초 인터넷 각도에 있어서, 이상점은 인터넷 패킷 손실율 (Packet loss rate)이 30%를 초과하는 것에 해당된다.
단계 (S520):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기록한다.
단계 (S530):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다음의 아키텍쳐 층을 시작층으로 하여 앞단에서 후단으로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매개 층마다 검출하여, 검출된 아키텍쳐 층의 이상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이상이 있을 경우 단계 (S540)로 진입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임의의 아키텍쳐 층의 서비스는 모두 종종 다음의 아키텍쳐 층 중의 일부 서비스에 의존하여 상응한 기능을 실현하는데 이러한 서비스가 바로 하청 서비스이다. 따라서, 다음의 아키텍쳐 층을 시작층으로 하여 매개 층마다 검출을 진행하여 매개 아키텍쳐 층에 존재하는 이상점을 얻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앞단에서 후단으로의 순서에 따라 매개 아키텍쳐 층에 대하여 검출을 진행하여, 검출되는 아키텍쳐 층 중에 하청 서비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하청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하청 서비스에 이상점이 존재하는지를 진일보로 판단한다. 하청 서비스 중에 이상점이 존재할 시 그 이상점을 기록한다. 여기서, 업무 실행 아키텍쳐 구조에 있어서, 앞단에서 후단으로의 순서는 액세스 층, 논리 층, 및 데이터 층의 순서에 따르는 것이거나 혹은 업무 소프트웨어, 업무 컴포넌트, 기초 설비, 및 기초 시설의 순서에 따르는 것을 말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S50)는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에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다음의 아키텍쳐 층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존재하는 경우, 단계 (S530)로 진입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위치 파악에서 기록된 이상점이 실행 고장원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상 서비스가 다음의 아키텍쳐 층 중의 서비스에 의존하지 않고도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이 바로 실행 고장원이며, 이때 순차적으로 매 층마다 검출을 진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장 검출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아키텍쳐 층 중에 관련된 서비스, 즉 하청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하여 얻은 하청 서비스는 판단을 진행하는 이상 서비스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서, 판단을 진행하는 이상 서비스는 하청 서비스에 의존하여 실행된다.
단계 (S540): 상기 검출된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기록한다.
단계 (S550): 기록된 이상점을 아키텍쳐 층의 아키텍쳐 층 레벨 중에서의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된 복수 개의 이상점을 종합하고, 아키텍쳐 층 레벨 중 앞단에서 후단으로의 순서에 따라 처리를 진행하여 실행 고장원의 위치 파악을 실현한다. 업무의 실행 과정 중에서, 임의의 아키텍쳐 층에서 나타나는 이상점은 모두 서비스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이상점을 종합하면 가능성이 가장 큰 고장 원인을 확인할 수 있고, 각 아키텍쳐 층 중에서의 연관 분석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록된 약간의 이상점에 대하여 아키텍쳐 층이 아키텍쳐 층 레벨 중에서의 순서에 따라 연관 분석을 진행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다.
상술한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중에서, 종합된 이상점을 통하여 가능성이 가장 큰 고장 원인을 확인함으로써 각 아키텍쳐 층 중의 연관 분석을 실현하고 상대적으로 이산적인(비연속적인) 이상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나아가서 보다 정확한 고장 원인을 얻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S550)의 구체적 과정은,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기록된 이상점 중에서 최대 우선순위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추출하여 이를 실행 고장원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매개 아키텍쳐 층에 대하여, 아키텍쳐 층 중 이상점이 서비스 이상을 유발하는 가능성의 크기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우선순위를 미리 설정한다. 다시 말하면, 우선순위도 서비스 이상을 발생시키는 영향 요소를 나타낸다. 우선순위가 최대인 이상점은 서비스 이상을 발생시키는 영향 요소가 최대인 이상점으로, 실행 고장원으로 될 가능성이 최대이다. 따라서,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기록된 약간의 이상점중에서 우선순위가 최대인 이상점을 추출하고, 나아가서는 추출된 이상점에 근거하여 고장원의 위치 파악을 실현할 수 있다.
최대 우선순위 중의 복수 개의 이상점에 대하여, 또한 아키텍쳐 층 중 요소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어느 이상점이 실행 고장원인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기초 시설에 고장이 발생하면 반드시 기초 설비, 기초 컴포넌트와 기초 소프트웨어에 영향준다. 그러므로 기초 시설과 기초 설비 모두에 이상점이 존재하면, 우선적으로 기초 시설 중의 이상점을 실행 고장원으로 본다. 그 외의 것도 이와 같이 유추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S550)의 구체적 과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551):기록된 이상점 중에서 최후단의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아키텍쳐 층의 앞단에서 후단으로의 순서에 따라, 약간의 기록된 이상점 중에서 최후단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추출하고, 최후단에 위치한 아키텍쳐 층에서 발생하는 이상점은 서비스 이상이 발생하는 근원이 된다.
단계 (S553): 추출된 이상점을 실행 고장원으로 위치 파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은, 실행 고장원 및 이상점을 고장 위치 파악 웹페이지에 표시함으로써, 업무 유지를 진행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쉽게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모니터링 모듈 (10), 이상 서비스 취득 모듈 (30), 및 검출 모듈 (50)을 포함한다.
데이터 모니터링 모듈 (10)은, 인터넷 업무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득하고 모니터링 데이터 중에서 이상 데이터를 추출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니터링 업무의 실행 과정에서 모니터링 데이터를 얻으며, 이는 업무의 정상 여부를 명확하게 반영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이 모니터링 데이터는 사용자 온라인 수량, 사용자 불만 수량, 및 모 웹페이지를 방문할 때 발생되는 지연 등일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는 정상적 실행 상태에서의 데이터, 및 실행 중 고장이 발생할 때의 이상 데이터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이상 데이터는 모 웹페이지의 사용불가를 지시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상 서비스 취득 모듈 (30)은, 이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이상 서비스를 취득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업무가 실행되는 과정 중에서 각종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모 업무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서비스가 제공하는 각종 소기능들은 그 앱들이 갖고 있는 처리 능력을 형성한다. 이상 서비스 취득 모듈 (30)은 추출된 이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고장이 발생된 이상 서비스를 얻고, 나아가서는 후속 처리 과정을 통하여 그 서비스의 고장 발생의 근원을 얻는다.
검출 모듈 (50)은,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아키텍쳐 층에서 위치 파악을 진행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업무가 실행되는 아키텍쳐 구조는 액세스 층, 논리 층, 및 데이터 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논리 층은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각종 요구에 응답하며, 또한 논리 처리를 진행한다. 데이터 층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업무가 아키텍쳐 구조에서 실행되어 사용자의 각종 요구에 응답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아키텍쳐 구조는 레이어 형태의 모델로서, 앞단에서부터 후단으로의 순서에 따라 액세스 층, 논리 층, 및 데이터 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액세스 층은 사용자의 요구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요구를 후단의 논리 층으로 전송한다. 논리 층은 액세스 층에서 입력한 사용자의 요구를 처리하고 데이터 층에 기억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업무 논리 처리를 진행하며, 나아가서는 처리 결과를 액세스 층에 리턴한다. 데이터 층은 데이터를 완충 기억 혹은 지속적으로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아키텍쳐 층이 액세스 층이거나 논리 층이거나 혹은 데이터 층이거나를 막론하고, 매개 레이어 레벨은 모두 업무 소프트웨어, 업무 컴포넌트, 기초 인터넷, 기초 설비, 및 기초 시설 등 요소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업무 컴포넌트는 공통 소프트웨어 패키지 혹은 소프트웨어 프레임 패키지이고; 업무 소프트웨어는 업무 컴포넌트 상에서 실행되고, 대부분은 직접 사용자가 액세스 하도록 제공되는 프로그램이며; 기초 설비는 서버, 교환기 및 루터(router) 등 설비이고; 기초 시설은 컴퓨터실, 전력 공급 설비 및 컴퓨터실 공간 등 시설이다.
그 외, 업무 실행 아키텍쳐 구조는 또한 액세스 층, 논리 층, 및 데이터 층의 구획을 진행하지 않고도 업무 소프트웨어, 업무 컴포넌트, 기초 설비, 및 기초 시설에 따라, 아키텍쳐 층 레벨의 설정을 직접 진행할 수 있다.
업무 실행 아키텍쳐 구조에 있어서,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에 대해 검출을 진행하는 것 외에도, 검출 모듈 (50)은 또한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 개의 아키텍쳐 층을 검출하여 실행 고장원의 위치 파악을 실현함으로써 서비스 이상의 고장 발생의 근원을 얻도록 해야 한다.
상술한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 데이터 중의 이상 데이터에 의하여 대응되는 이상 서비스를 얻고,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관련된 아키텍쳐 층 중에서 위치 파악을 진행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데, 이는 단지 이상 서비스를 인터넷 업무 실행 과정 중에서의 실행 고장원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아키텍쳐 층을 상응하게 검출하여 실행 고장원의 위치 파악을 실현함으로써 모니터링의 정확성을 향상하고, 또한 인터넷 업무의 유지를 더욱 간편화 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검출 모듈 (50)은, 초기 검출 유닛 (510), 레이어 바이 레이어(layer-by-layer) 검출 유닛 (530), 및 처리 유닛 (550)을 포함한다.
초기 검출 유닛 (510)은,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의 이상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상이 있을 경우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기록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 실행을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초기 검출 유닛 (510)은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 중의 각 부분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고 그 아키텍쳐 층에서 나타나는 이상점을 기록한다. 아키텍쳐 층, 및 아키텍쳐 층 중의 부동한 요소에 따라 대응되는 이상점도 서로 부동하다. 구체적으로, 이상점은 아키텍쳐 층, 및 아키텍쳐 층 중의 요소에 이상이 있는지를 판정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상 현상에 대한 하나의 설명이다.
레이어 바이 레이어 검출 유닛 (530)은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다음의 아키텍쳐 층을 시작층으로 하여 앞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순차적으로 매 층마다 검출하여, 검출되는 아키텍쳐 층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상이 있을 경우 검출되는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임의의 아키텍쳐 층의 서비스는 모두 종종 다음의 아키텍쳐 층 중의 일부 서비스에 의존하여 상응한 기능을 실현하는데 이러한 서비스가 바로 하청 서비스이다. 따라서, 레이어 바이 레이어 검출 유닛 (530)은 다음의 아키텍쳐 층을 시작층으로 하여 매개 층마다 검출을 진행하여 매개 아키텍쳐 층에 존재하는 이상점을 얻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레이어 바이 레이어 검출 유닛 (530)은 앞단에서 후단으로의 순서에 따라 매개 아키텍쳐 층에 대하여 검출을 진행하여, 검출되는 아키텍쳐 층 중에 하청 서비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하청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하청 서비스에 이상점이 존재하는지를 진일보로 판단한다. 하청 서비스 중에 이상점이 존재하면, 그 이상점을 기록한다. 여기서, 업무 실행 아키텍쳐 구조에 있어서, 앞단에서 후단으로의 순서는 액세스 층, 논리 층, 및 데이터 층의 순서에 따르거나 혹은 업무 소프트웨어, 업무 컴포넌트, 기초 설비, 및 기초 시설의 순서에 따르는 것을 말한다.
처리 유닛 (550)은, 기록된 이상점을 아키텍쳐 층의 아키텍쳐 층 레벨 중에서의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실행되는 고장원을 얻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유닛 (550)은 기록된 복수 개의 이상점을 종합하고, 아키텍쳐 층 레벨 중 앞단에서 후단으로의 순서에 따라 처리를 진행하여 실행 고장원의 위치 파악을 실현한다. 업무의 실행 과정 중에서, 임의의 아키텍쳐 층에서 나타나는 이상점은 모두 서비스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이상점을 종합하면 가능성이 가장 큰 고장 원인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아키텍쳐 층 중에서의 연관 분석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 유닛 (550)은 기록된 약간의 이상점에 대하여, 아키텍쳐 층의 아키텍쳐 층 레벨 중에서의 순서에 따라 연관 분석을 진행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다.
상술한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 중에서, 종합된 이상점을 통하여 가능성이 가장 큰 고장 원인을 확인하여 각 아키텍쳐 층 중에서 연관 분석을 진행하고 상대적으로 이산적인 이상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나아가서는 정확한 고장 원인을 얻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검출 모듈 (50)은 층 레벨 판단 유닛 (540)을 더 포함한다. 층 레벨 판단 유닛 (540)은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에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다음의 아키텍쳐 층이 존재하는지를 판단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존재하는 경우, 레이어 바이 레이어 검출 유닛 (530)에게 통지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처리 유닛 (550)에게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층 레벨 판단 유닛 (540)이 이상 서비스가 다음의 아키텍쳐 층 중의 서비스에 의존하지 않고도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고 판단할 경우,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이 바로 실행 고장원이며 이때 순차적으로 매 층마다 검출을 진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장을 검출하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층 레벨 판단 유닛 (540)은 다음의 아키텍쳐 층 중에 관련된 서비스, 즉 하청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하여 얻은 하청 서비스는 판단을 진행하는 이상 서비스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판단을 진행하는 이상 서비스는 하청 서비스에 의존하여 실행된다.
상술한 처리 유닛 (550)은 또한 기록된 이상점이 실행 고장원임을 위치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처리 유닛 (550)은 또한,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기록된 이상점 중에서 최대 우선순위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실행 고장원으로 추출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매개 아키텍쳐 층에 대하여, 아키텍쳐 층 중 이상점이 서비스 이상을 유발하는 가능성의 크기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우선순위를 미리 설정한다. 다시 말하면, 우선순위는 또한 서비스 이상을 발생시키는 영향 요소를 나타낸다. 우선순위가 최대인 이상점은 서비스 이상을 발생시키는 영향 요소가 최대인 이상점으로, 이는 실행 고장원으로 될 가능성이 최대이다. 따라서, 처리 유닛 (550)은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기록된 약간의 이상점중에서 우선순위가 최대인 이상점을 추출하고, 나아가서는 추출된 이상점에 근거하여 고장원의 위치 파악을 실현할 수 있다.
최대 우선순위 중의 복수 개의 이상점에 대하여, 처리 유닛 (550)은 또한 아키텍쳐 층 중 요소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어느 이상점이 실행 고장원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면, 기초 시설에 고장이 발생하면 반드시 기초 설비, 기초 컴포넌트와 기초 소프트웨어에 영향준다. 그러므로 기초 시설과 기초 설비 모두에 이상점이 존재하면, 우선적으로 기초 시설 중의 이상점을 실행 고장원으로 본다. 그 외의 것도 이와 같이 유추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처리 유닛 (550)은 또한, 기록된 이상점중에서 최후단의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상점을 실행 고장원으로 위치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유닛 (550)은 아키텍쳐 층의 앞단에서 후단으로의 순서에 따라, 약간의 기록된 이상점중에서 최후단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추출하고, 최후단에 위치한 아키텍쳐 층에서 발생하는 이상점은 서비스 이상의 발생 근원이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행 고장원 및 이상점을 고장 위치 파악 웹 페이지에 표시함으로써, 업무 유지를 진행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쉽게 확인하도록 한다.
상술한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컴퓨터 기억 매체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한 서비스에 대하여 아키텍쳐 층 레벨에 따라 그 서비스와 관련된 아키텍쳐 층을 검출하여 현재 실행되고 있는 고장원을 얻음으로써, 매개 아키텍쳐 층에서 나타나는 고장이 서비스 이상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되는지를 확인하고, 나아가서는 복수 개의 아키텍쳐 층 중에서 실행 고장의 위치 파악을 정확하게 실현함으로써 업무 유지를 진행하는 작업자가 대량의 경고 내용에 대해 일일히 분석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을 기억한 컴퓨터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컴퓨터가 상술한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 기억 매체 중의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이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구체적 단계는 상술한 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바,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불과하며, 그 설명은 비교적 구체적이고 상세하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이러한 설명에 국한되는 것이라 인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구성에서 이탈하지 않는 전제 하에, 여러 간단한 추론 또는 교체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응당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간주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18)

  1. 인터넷 업무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중에서 이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이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이상 서비스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아키텍쳐 층에서 위치를 파악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아키텍쳐 층에서 위치를 파악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단계는,
    상기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의 이상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상기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다음의 아키텍쳐 층을 시작층으로 하여 앞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순차적으로 매 층마다 검출을 진행하고, 검출된 아키텍쳐 층의 이상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상기 검출된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기록하는 단계; 및
    기록된 이상점을 상기 아키텍쳐 층이 아키텍쳐 층 레벨 중에서의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아키텍쳐 층에서 위치를 파악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이 상기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다음의 아키텍쳐 층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다음의 아키텍쳐 층을 시작층으로 하여 앞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순차적으로 매 층마다 검출을 진행하는 상기 단계로 진입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록된 이상점을 실행 고장원으로 위치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기록된 이상점을 상기 아키텍쳐 층이 아키텍쳐 층 레벨 중에서의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상기 단계는,
    상기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기록된 이상점 중에서 최대 우선순위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추출하여 실행 고장원으로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기록된 이상점을 상기 아키텍쳐 층이 아키텍쳐 층 레벨 중에서의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록된 이상점 중에서 최후단의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이상점을 실행 고장원으로 위치 파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기록된 이상점을 상기 아키텍쳐 층이 아키텍쳐 층 레벨 중에서의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상기 단계 이후에,
    실행 고장원 및 이상점을 고장 위치 파악 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7. 인터넷 업무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중에서 이상 데이터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모니터링 모듈;
    상기 이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이상 서비스를 취득하는데 사용되는 이상 서비스 취득 모듈; 및
    상기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아키텍쳐 층에서 위치를 파악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데 사용되는 검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의 이상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기록하는 초기 검출 유닛;
    상기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다음의 아키텍쳐 층을 시작층으로 하여 앞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순차적으로 매 층마다 검출을 진행하고, 검출된 아키텍쳐 층의 이상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검출된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기록하는 레이어 바이 레이어 검출 유닛; 및
    기록된 이상점을 상기 아키텍쳐 층이 아키텍쳐 층 레벨 중에서의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데 사용되는 처리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또한,
    상기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이 상기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다음의 아키텍쳐 층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레이어 바이 레이어 검출 유닛으로 통지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처리 유닛으로 통지하는 층 레벨 판단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기록된 이상점을 실행 고장원으로 위치 파악하는 데에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기록된 이상점 중에서 최대 우선순위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추출하여 실행 고장원으로 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기록된 이상점 중에서 최후단의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이상점을 실행 고장원으로 위치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또한, 실행 고장원 및 이상점을 고장 위치 파악 페이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
  13. 인터넷 업무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중에서 이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이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이상 서비스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아키텍쳐 층에서 위치를 파악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에 사용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기억하기 위한 컴퓨터 기억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아키텍쳐 층에서 위치를 파악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단계는,
    상기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의 이상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상기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다음의 아키텍쳐 층을 시작층으로 하여 앞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순차적으로 매 층마다 검출을 진행하고, 검출된 아키텍쳐 층의 이상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상기 검출된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기록하는 단계; 및
    기록된 이상점을 상기 아키텍쳐 층이 아키텍쳐 층 레벨 중에서의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억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서비스에 근거하여 아키텍쳐 층에서 위치를 파악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상기 단계는 또한,
    상기 이상 서비스가 위치하는 아키텍쳐 층이 상기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다음의 아키텍쳐 층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상 서비스와 관련된 다음의 아키텍쳐 층을 시작층으로 하여 앞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순차적으로 매 층마다 검출을 진행하는 상기 단계로 진입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록된 이상점을 실행 고장원으로 위치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억 매체.
  16. 제14항에 있어서,
    기록된 이상점을 상기 아키텍쳐 층이 아키텍쳐 층 레벨 중에서의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상기 단계는,
    상기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기록된 이상점 중에서 최대 우선순위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추출하여 실행 고장원으로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억 매체.
  17. 제14항에 있어서,
    기록된 이상점을 상기 아키텍쳐 층이 아키텍쳐 층 레벨 중에서의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록된 이상점 중에서 최후단의 아키텍쳐 층에 대응되는 이상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이상점을 실행 고장원으로 위치 파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억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기록된 이상점을 상기 아키텍쳐 층이 아키텍쳐 층 레벨 중에서의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실행 고장원을 얻는 상기 단계 이후에,
    실행 고장원 및 이상점을 고장 위치 파악 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억 매체.
KR1020147022788A 2012-04-17 2013-03-19 컴퓨터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컴퓨터 기억 매체 KR201401451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112854.X 2012-04-17
CN201210112854XA CN103378982A (zh) 2012-04-17 2012-04-17 互联网业务运行监测方法和系统
PCT/CN2013/072852 WO2013155912A1 (zh) 2012-04-17 2013-03-19 互联网业务运行监测方法和系统、计算机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115A true KR20140145115A (ko) 2014-12-22

Family

ID=4938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788A KR20140145115A (ko) 2012-04-17 2013-03-19 컴퓨터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컴퓨터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40164840A1 (ko)
JP (1) JP5982015B2 (ko)
KR (1) KR20140145115A (ko)
CN (1) CN103378982A (ko)
WO (1) WO2013155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78982A (zh) * 2012-04-17 2013-10-30 深圳市腾讯计算机系统有限公司 互联网业务运行监测方法和系统
CN103580933B (zh) * 2013-11-26 2017-01-04 力合科技(湖南)股份有限公司 环境在线分析仪的故障点识别方法及系统
WO2015109443A1 (zh) 2014-01-21 2015-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服务故障处理方法,服务管理系统和系统管理模块
JP6295801B2 (ja) * 2014-04-18 2018-03-20 富士通株式会社 分析方法、分析装置、及び分析プログラム
CN104486406A (zh) * 2014-12-15 2015-04-01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云数据中心的分层式资源监控方法
CN105608517B (zh) * 2015-09-24 2020-05-29 华青融天(北京)软件股份有限公司 基于流的业务交易性能管理及可视化方法和装置
US20170317960A1 (en) * 2016-04-28 2017-11-02 Jamdeo Canada Ltd. Device and methods for messaging application control and presentation
CN106789335B (zh) * 2017-01-13 2019-12-17 泰康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处理信息的方法和系统
CN108933708B (zh) * 2017-05-27 2021-03-09 中国互联网络信息中心 一种分布式dns服务的多维度校验方法和系统
CN107562601A (zh) * 2017-09-12 2018-01-09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告警方法及装置
CN108183821B (zh) * 2017-12-26 2021-03-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信息通信公司 一种面向电网业务的应用性能获取方法及装置
CN110875832B (zh) * 2018-08-31 2023-05-12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异常业务监控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874876A (zh) 2019-06-05 2021-12-31 万事达卡国际公司 用于分布式计算系统的安全模型
CN115150253B (zh) * 2022-06-27 2024-03-08 杭州萤石软件有限公司 一种故障根因确定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770B2 (ja) * 1997-04-30 2000-10-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障害情報管理方式
US6701459B2 (en) * 2000-12-27 2004-03-02 Egurkha Pte Ltd Root-cause approach to problem diagnosis in data networks
JP4183602B2 (ja) * 2003-11-04 2008-11-19 富士通株式会社 障害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55366B2 (ja) * 2003-11-28 2009-04-15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監視プログラム、ネットワーク監視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監視装置
JP4610240B2 (ja) * 2004-06-24 2011-01-12 富士通株式会社 分析プログラム、分析方法及び分析装置
JP4523444B2 (ja) * 2005-02-10 2010-08-1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障害の原因を特定する障害管理装置および方法
JP4594258B2 (ja) * 2006-03-10 2010-12-08 富士通株式会社 システム分析装置およびシステム分析方法
CN101075919A (zh) * 2006-06-22 2007-11-2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互联网业务的监控系统和监控方法
CN101159617B (zh) * 2007-11-22 2010-06-16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一种融合全网全业务的二维故障管理方法和系统
JP5505930B2 (ja) * 2010-02-24 2014-05-28 株式会社Kddi研究所 監視装置、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158360B (zh) * 2011-04-01 2013-10-30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时间因子因果关系定位的网络故障自诊断方法
CN103378982A (zh) * 2012-04-17 2013-10-30 深圳市腾讯计算机系统有限公司 互联网业务运行监测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9431A1 (en) 2014-07-03
US20140164840A1 (en) 2014-06-12
CN103378982A (zh) 2013-10-30
JP5982015B2 (ja) 2016-08-31
WO2013155912A1 (zh) 2013-10-24
JP2015513722A (ja)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5115A (ko) 컴퓨터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업무 실행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컴퓨터 기억 매체
CN106062719B (zh) 根据使用数据的结构化日志模式的服务度量分析
JP5267736B2 (ja) 障害検出装置、障害検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1883028B (zh) 网络文件系统服务器的检测方法及装置
CN104182683B (zh) 一种联机事务的监控方法、装置及系统
US20170351560A1 (en) Software failure impact and selection system
US8914798B2 (en) Production control for service level agreements
CN104065526A (zh) 一种服务器故障报警的方法和装置
JP5342082B1 (ja) ネットワーク障害解析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障害解析プログラム
CN104956331A (zh) 管理计算机系统的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JP2010009411A (ja) 仮想化環境運用支援システム及び仮想環境運用支援プログラム
CN110311802A (zh) 网络运营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7954062B2 (en) Application status board mitigation system and method
JP2011090429A (ja) 統合監視システム
CN105025179A (zh) 呼叫中心座席的监控方法及系统
CN108650123A (zh) 故障信息记录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5623333B2 (ja) 監視サーバ、及び、監視評価方法
CN108170561B (zh) 一种容灾备份方法、装置及系统
CN109274533A (zh) 一种基于规则引擎的Web服务故障的定位装置和方法
CN114338688B (zh) 一种数据管理方法及装置
WO2023087308A1 (zh) 设备维护方法及计算机设备
US115139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uptime monitoring of internet-based software
KR20180027161A (ko) 장애 복구 최적화를 위한 규칙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4091653A1 (ja) 監視制御装置及び監視制御方法
JP2024521357A (ja) Mlモデルを用いて準リアルタイムデータ/オフラインデータでデータセンタの大規模な故障の検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