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432A -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432A
KR20140144432A KR1020130066353A KR20130066353A KR20140144432A KR 20140144432 A KR20140144432 A KR 20140144432A KR 1020130066353 A KR1020130066353 A KR 1020130066353A KR 20130066353 A KR20130066353 A KR 20130066353A KR 20140144432 A KR20140144432 A KR 20140144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displaying
window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4432A/ko
Priority to US14/302,364 priority patent/US20140365932A1/en
Publication of KR20140144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자 입력 시 키패드에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서 작성 모드에서 화면에 키패드를 표시하는 입력창과 입력된 문자를 누적하여 문서로 표시하는 표시창을 표시하는 단계, 문자 입력 시 상기 표시창에 입력된 문자를 문서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입력 시 입력창에 키패드와 함께 입력 문자를 설정된 표시 단위로 표시하는 문자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키패드 상에 입력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으며, 자판만을 보며 문자를 입력할 때에도 현재 작성중인 문자를 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키패드를 보면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입력되는 문자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오타 발생시 이를 경고할 수 있어 오타가 발생된 경우 문자를 즉시 수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ACTERS ON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자 입력 시 키패드에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는 확대 사용되는 추세에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터치스크린을 사용한 문자 입력은 스크린상에 표시된 키패드 자판을 통해 입력된다. 그러나 화면상의 키패드는 각각의 키를 구분하기 위한 물리적인 경계가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사용자는 문자 입력 시 표시창 또는 키패드를 보면서 입력하게 된다. 이 중 키패드를 보며 문자를 입력할 때의 문제점은 사용자가 입력되는 문자를 확인하며 문서를 작성할 수 없다는 것과 오타가 발생해도 즉시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경우의 또 다른 문제점은 일정 문장을 입력한 후에 글자들을 바라보고 수정하게 되어, 타자 속도가 느려지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특히, 사용자가 타자 입력에 익숙하지 않거나, 키패드가 표시되는 영역과 표시창의 거리가 먼 경우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문서 작성 모드에서 표시부의 화면에 입력되는 문서를 표시하는 표시창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를 표시하며, 입력되는 문자를 키패드 상에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문서 작성 모드에서 오타의 입력을 감지하여 이를 키패드에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문자 표시 방법에 있어서, 문서 작성 모드에서 화면에 키패드를 표시하는 입력창과 입력된 문자를 누적하여 문서로 표시하는 표시창을 표시하는 단계, 문자 입력 시 상기 표시창에 입력된 문자를 문서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입력 시 입력창에 키패드와 함께 입력 문자를 설정된 표시 단위로 표시하는 문자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문자 표시 장치에 있어서, 문서 작성 모드에서 키패드를 표시하는 입력창과 입력된 문서를 표시하는 표시창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터치되는 입력을 감지하며, 상기 키패드의 터치에 따른 문자 입력을 발생시키는 터치 패널, 문자 입력시 상기 표시창에 입력된 문자를 문서로 표시하고, 입력창에 키패드와 함께 입력되는 문자를 설정 단위로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키패드 상에 입력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으며, 자판만을 보며 문자를 입력할 때에도 현재 작성중인 문자를 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키패드를 보면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입력되는 문자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오타 발생시 이를 경고할 수 있어 오타가 발생된 경우 문자를 즉시 수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 작성 모드에서 입력창에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 작성 모드에서 문자 입력 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 문자가 표시 단위에 따라 입력창에 표시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 문자가 표시 단위에 따라 입력창에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검출 시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한글 입력 시 입력창에 입력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한글 입력 시 입력창에 입력문자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입력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을 '표시창'으로 명명하기로 하며, 문자 입력을 위해 키 패드가 표시되는 영역을 '입력창'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문서'는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문자열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것이며, '설정단위 문자'는 입력창의 키패드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문자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문서는 표시창에 표시되는 문서 열로써, 입력되는 문자들의 열이 문장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단위 문자는 입력창에 표시되는 문자 또는 문자들로써, 구분기호에 의해 구분되는 문자들(예를 들면 단어 등)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문서'는 입력창에 표시되는 '설정 단위 문자'와 대응하는 개념으로 사용하였으며, 표시창에서 표시되는 문자를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문서'는 임의로 표시 내용이 삭제 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대로 누적 표시되는 특징을 가진 문자로의 의미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정 단위 문자'는 입력창에 표시되는 문자이며, 표시 단위가 설정된 문자를 말한다. 표시 단위에는 '음절', '어절'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키 입력부 (110), 무선 통신부(120), 표시부(131), 터치패널(132), 저장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131)와 터치패널(132)는 동일 터치스크린에 일체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가 풀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키 입력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전원 온/오프, 볼륨 조절, 취소 기능을 지원하는 키만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키 입력은 상기 키 입력부(110)를 통해 이뤄진다. 이 때 상기 키 입력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문서 작성 모드 종료 명령을 요청하는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설정 정보 변경을 위한 메뉴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는 특정 키 입력(예컨대, 메뉴 키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20)는 LTE, CDMA 등의 이동통신모듈, DMB, DVB 등의 디지털 방송 모듈, WiFi, Wibro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모듈 및 NFC, 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표시부(131)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Light Emitting Diodes)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131)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문서 작성 모드(예컨대, 텍스트 메시지, 이메일,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입력창과 표시창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31)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입력창과 표시창에 표시한다. 이 때, 상기 상기 표시부(131)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입력창에 문자 입력을 위한 키 패드와 함께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상기 터치 패널(132)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터치 패널(132)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방식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방식이 상기 터치 패널(1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32)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유무와, 터치가 일어난 지점의 위치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터치 패널(132)은 입력창에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문서 작성 모드에서 터치 방식의 문자 키 입력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패널(133)은 입력창에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 설정을 변경하는 데 필요한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상기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140)는 문자 입력 및 메시지 전송 등을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40)는 문자 입력 시 입력창에 문자를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입력된 문자에서 오타를 검출하고 오타 유무에 따라 사용자에게 오타 발생 알람을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이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40)는 입력창에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이미지 데이터, 상기 터치 패널(131) 및 키 입력부(110)을 이용한 입력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문서 작성 모드로 진입을 요청하는 입력 이벤트를 식별하고, 상기 이벤트에 따라 문서 작성 모드 진입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문서 작성 모드에서 입력창에 문자가 표시되거나 혹은 표시되지 않도록 표시부(13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 작성 모드에서 입력창에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입력창에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 2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 작성 모드에서 입력창에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 작성 모드에서 문자 입력 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205단계에서 문서 작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 때 문서 작성 모드는 예컨대 텍스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등이 실행되는 상태이며, 표시창과 입력창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태이다.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문서 작성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131)에 표시되는 화면은 크게 표시창(310)과 입력창(315)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창(310)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입력창(31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입력된 문자열을 그대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입력된 전체 내용을 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창(315)은 키패드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50)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문서 작성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205단계에서 도 3과 같이 표시창(310) 및 입력창(315)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창(315) 에 표시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50)은 210단계에서 터치패널(132)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입력은 상기 입력창(315)에 표시된 키패드 상에서 사용자가 특정 문자열에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상기 과정 이후 제어부(150)는 215단계에서 표시창(310)에 입력된 문자를 문서로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열들을 누적하여 문서의 형태로 표시창(31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215단계에서 표시창(310)에 문서를 표시하며, 220단계에서 입력창(315)에 입력된 문자를 설정 단위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창(315)에 표시창(310)과 달리 기 설정된 표시 단위에 따라 문자 또는 문자들을 표시한다.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표시창(310)에 입력된 문자들을 입력되는 순서대로 누적하여 표시하며, 상기 입력창(315)에는 기 설정된 표시 단위 (예컨대, 음절, 어절 등)에 맞춰 문자를 끊어 표시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입력창에서 보여지는 문자의 표시 단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표시 단위가 설정된 문자를 이하에서는 '설정 단위 문자'라고 명명한다.
상기 220단계에 입력창에 문자를 표시한 후, 상기 제어부(150)는225단계에서 사용자의 특정 키 입력 혹은 터치 입력을 통해 문서 작성 모드를 종료하는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확인하게 된다. 만약 제어부(150)가 문서 작성 모드를 종료하는 요청을 수신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150)는 210단계에서 문자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반면, 225단계에서 제어부(150)가 문서 작성 모드를 종료하는 요청을 수신하였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수행 과정은 종료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2의 220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4내지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 문자가 표시 단위에 따라 입력창에 표시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220단계를 더욱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도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 문자가 표시 단위에 따라 입력창에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검출 시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 내지도 6은 영문 입력인 경우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살펴보면, 먼저 40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구분 기호키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구분 기호키는 스페이스, 엔터, 각종 문장 부호 키가 될 수 있다. 40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구분 기호키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410단계에서 오타 검사를 시행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150)는 구분 기호 키 이전의 문자까지 한 단어(한글인 경우 어절)로 인식하고 상기 단어를 오타 검사 대상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415단계에서 오타가 검출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오타가 검출되면 제어부(150)는 420단계에서 오타 발생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오타 발생 알람은 오타 발생 시 입력창(315)에 특정 효과를 주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오타의 발생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오타 발생 알람이 표시된 이후 제어부(150)는 425단계에서 사용자가 오타 검사 대상 단어(한글인 경우 어절)를 수정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오타의 수정은 기존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치환하는 것뿐 아니라 이전 문자열 삭제와 표시창(310)에서의 커서 이동 및 추가 입력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오타 수정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50)는 430단계에서 오타 발생 알람을 종료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오타 발생 알람이 종료되면 도 4에서 도시하는 순서는 끝나게 된다. 반면, 405단계에서 제어부(150)가 구분 기호키 입력을 인식하지 못하였다면 435단계에서 입력된 문자가 구분 기호키 이후의 첫 문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입력된 문자가 구분 기호키 이후 첫 문자라면 제어부(150)는 440단계에서 입력창 내용을 삭제하고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435단계에서 제어부(150)가 상기 입력된 문자가 구분 기호키 이후 첫 문자가 아니라고 판단하게 되면 445단계에서 문자를 입력창에 누적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440단계와 445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제어부(150)는 도 4에서 도시하는 순서를 끝내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도 4에서 설명한 문자 입력 및 표시방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영문 입력 시 표시창(310) 및 입력창(315)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문자 입력 시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표시창(310)과 입력창(315)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입력창(315)에 문자를 표시할 때, 상기 제어부(150)는 표시되는 키패드에 문자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창(315)에 문자를 키패드와 구별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문자의 색상과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혹은 키패드의 색상과 투명도를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a의 표시창(310)에는 'Good'이라는 문자를 표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Good'이 첫번째 단어이면 입력창(315)에도 동일하게 'Good'이라는 문자가 키패드에 오버레이되어 함께 표시된다. 'Good'이 표시되는 과정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G', 'Go', 'Goo', 'Good'와 같이 입력되는 알파벳의 순서에 따라 표시창(310)에 표시된다. 또한 입력 문자는 입력창(315)에도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하나씩 누적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구분 기호키인 스페이스 키(325)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4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에서 오타 검사를 하여 오타 발생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 구분 기호키는 스페이스 키(323)뿐 아니라 마침표 키(330), 엔터 키(335) 및 부호키(340)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부호키들이 될 수 있다.
도 5b는 단어가 표시창(310)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단어 또는 문장을 구분하기 위한 구분 기호키가 입력 된 이후 다음 단어의 문자가 입력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b에서 제어부(150)는 구분 기호 키인 스페이스 키가 입력된 이후 'm'이 입력된 상황을 표시하고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50)은 435단계에서 구분 기호키 이후 첫 문자키(즉, 스페이스 키 입력 후 첫번째 문자인 'm'을 입력한 경우)임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440단계에서 입력창(315)에 표시되었던 단어(여기서는 Good이 될 수 있음)의 표시를 종료하고 새롭게 입력된 문자(여기서는 'm'이 될 수 있음)를 표시한다. 따라서 구분 기호키가 입력되면 상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창(310)에는 입력되는 문자열(즉, 문서, 'Good m')이 표시되고, 입력창(315)에는 구분 기호키 입력 후 첫번째 문자인'm'만이 표시된다. 즉, 영문 입력에 있어서, 입력 문자의 표시단위는 띄어쓰기 단위인 단어가 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 문자를 영문표시 단위인 단어 단위로 표시한다. 그러므로 제어부(150)는 띄어쓰기 단위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Good'을 스페이스 키(325) 입력과 동시에 한 단어로 규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구분 기호 이후 입력되는 문자부터 새롭게 입력창(315)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m'은 구분 기호 키 이후에 입력된 문자이므로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 'm'만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5c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Good mornig'라고 입력했을 때, 입력창(315)에 표시되는 문자는 'mornig'이 된다. 앞서 설명한 대로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 구분 기호 이후의 문자부터 표시하기 때문에, 'm'이후의 문자를 누적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표시창(310)에 'Good mornig'를 표시하고, 입력창(315)에 구분 기호키 이후에 입력된 문자인'mornig'를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는 입력된 문자의 수에 따라 변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4개의 문자가 4개 문자 'Good'가 입력된 상태이고 도 5b는 구분 기호키 입력 후 하나의 문자'm'이 입력된 상태이다. 이런 경우 입력창(315)에 문자를 표시할 때, 상기 제어부(150)은 전자의 경우 도 5a와 같이 4개의 문자 'Good'를 표시하여야 하며, 후자의 경우 도 5b와 같이 한 개의 문자 'm'만 표시하면 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 도 5b의 'm'을 도 5a의 'good'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440 단계 및445단계에서 입력창(315)에 문자를 표시할 때,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를 문자 수에 따라 변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 문자를 표시할 때 표시창(310)에 표시된 커서를 기준으로 커서 위치에서 구분 기호 사이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뒤에 커서가 있고'm'앞에 구분 기호의 입력이 있었으면, 상기 제어부(150)은 입력창(315)에 도 5b와 같이 'm'만 표시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문자 수정을 위하여 사용자가 커서를 표시창(310)에 표시되는 문서의 임의 단어(단어의 앞, 중간 또는 뒤)에 위치시킨 경우, 상기 제어부(15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창(310)에 표시되는 커서를 기준으로 커서 앞의 문자(즉, 커서와 이전 구분기호 사이에 위치된 문자 또는 문자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창(310)에 'Good'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서를 'Good'의 'Go'뒤에 위치시키면, 상기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Go'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어를 구성하는 문자의 수가 많아 입력창(315)에 한줄로 문자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 문자들을 두 줄 이상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단어를 구성하는 문자의 수가 많아 입력창(315)에 한줄로 문자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 문자들을 일정 방향으로 스크롤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분 기호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50)은 4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0단계에서 입력된 문자들(즉, 단어)의 오타 발생 여부를 검사한다. 도 6a - 도 6c를 참조하면, 도 6a는 표시창(310)에 'Good mornig'이 표시되고, 입력창(315)에'mornig'가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영문의 경우 입력창(315)에서의 문자 표시 단위가 띄어쓰기 단위인 단어이기 때문에 'g'가 아닌 'mornig'로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가 'mornig'를 입력하고 스페이스 키 혹은 물음표 등의 구분 기호키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150)는 405단계에서 입력된 'mornig'를 한 단어로 규정하고, 410단계에서 입력된 단어의 오타 검사를 실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타검사는 사전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입력된 단어가 사전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 오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대문자로 구성된 단어 또는 대문자로 시작되는 단어가 입력되는 경우, 오타 검사 시 오타가 아닌 것으로 판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약어(예를 들면 USA, EU, LTE 등), 특수한 단어(예를 들면 Facebook, Bluetooth, Twitter, Google 등), 사람 이름 및 지명 등과 같은 고유명사(예를 들면 John, Merry, Seoul, Busan 등) 등과 같은 경우의 예외 단어들을 오타로 판정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도 6a와 같이 'mornig'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415단계에서 오타로 판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mornig'는 'morning'의 오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가 'mornig'에 대해 오타 판단을 하게 되면, 420단계에서 오타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오타 알람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오타 알람의 예로는 입력창(315)에 표시된 문자를 깜박거리는 방법이 있다. 입력창(315)에 보이는 문자가 깜박거리도록 하기 위해 도 6a와 6b가 번갈아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 표시되는 키패드가 깜박거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키패드가 깜박거리도록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420단계에서 상기 도 6a와 6c와 같이 표시되는 화면을 번갈아 가면서 표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오타 발생 알람으로 입력창(315)에 표시된 문자의 색을 변화시키는 방법, 문자의 색이 변한 채로 깜박거리게 하는 방법, 키패드의 색을 변화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오타 수정 시 상기 입력창(315)에 오타가 발생된 단어를 표시하면서 오타 수정을 표시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150)는 425단계에서 오타의 수정(예컨대, 문자열의 삭제 및 추가 입력, 커서의 위치 변경 등)이 감지되면, 430단계에서 상기 표시창(310)에 수정 문자를 포함한 전체 내용을 그대로 표시하고, 입력창(315)에는 수정 단어를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수정 단어란 커서를 기준으로 하여 커서 이전에 표시된 단어를 말한다. 즉, 표시창(310)에 표시되는 문서(또는 문자열)의 임의 위치에 커서가 위치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커서가 위치된 단어의 앞에 위치되는 구분기호와 커서 사이의 문자들을 입력창(315)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6c와 같이 표시창(310)에 'Good mornig'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서의 위치를 'i'와 'g' 사이에 위치시키면, 상기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 'morni'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n'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창(315)에 'mornin'을 표시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표시창(310)에 입력된 'n'을 표시하며, 커서를 'n'와 'g' 사이에 위치시켜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오타 수정을 감지하고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어부(150)는 405단계에서 이를 구분 기호키의 입력으로 감지하고, 410단계에서 커서 위치의 단어에 대한 오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오타의 수정 이후 구분 기호 키가 입력됨을 인식하면, 오타 검사를 재 실행하게 된다. 도 4에서 설명한 순서와 같이 오타 수정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50)는 오타 발생 알람을 종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50)는 구분 기호 키가 입력된 이후 계속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오타 발생 알람을 종료하게 된다. 제어부(150)는 구분 기호 키 입력 이후 추가로 문자를 입력하는 행위를 오타를 인정하는 것으로 간주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영어 등과 같은 경우, 문자는 단어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한글의 경우 문자 표시는 음절 또는 어절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한글은 하나의 음절이 초성+중성, 초성+중성+중성, 초성 +중성+종성, 초성 +중성+중성+종성, 또는 초성 +중성+중성+종성+종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한글의 경우 명사는 조사 등과 결합되어 띄어쓰기를 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창(315)에 한글 표시 시, 상기 제어부(150)는 음절 단위로 문자를 표시하면 오타 발생 여부를 검사할 수 없으며, 띄어쓰기 단위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오타 검사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7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한글 입력 시 입력창에 입력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한글 입력 시 입력창에 입력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한글 입력 시 입력창에 입력문자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70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가 입력창에 입력문자를 표시할 때의 표시단위가 음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이 때 입력창에 표시되는 문자의 표시단위가 음절인 경우, 제어부(150)는 710단계에서 음절 완성 이후 문자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음절 완성이란 더 이상 음소를 추가 할 수 없을 때까지 누적 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즉, 사용자가 '안자'라는 문자열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앉'까지 표시한 후 'ㅏ'의 입력이 인식되면 '자'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안자'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창(315)에서의 표시 순서는 'ㅇ', '아', '안', '앉', '자'와 같다.
상기 710단계에서 제어부(150)가 음절 완성 이후 문자 입력을 확인하였다면, 715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150)는 715단계에서 입력창(315)에 표시되어있던 완성된 음절을 삭제하고 새로 입력된 음소 혹은 음절을 표시하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안자'를 입력한 경우, 표시창(310)에는 '안자'가 표시되지만 '앉'이 표시된 이후 'ㅏ'가 입력될 시 입력창(315)에서는 '앉'이 삭제되고 '자'만이 표시된다. 반면, 제어부(150)는 710단계에서 입력된 문자가 음절 완성 이후 입력된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면, 720단계에서 입력 문자를 그대로 입력창(315)에 누적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705단계에서 입력창(315)에서의 문자 표시단위가 음절이 아닌 경우, 제어부(150)는 725단계에서 입력창(315)에 입력 문자를 어절 단위로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725단계는 도 4와 동일하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구분 기호키가 입력되면 오타 검사를 수행하며, 오타가 발생된 것으로 판정되면 입력창(315)에서 오타 발생 알람을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표시창(310)의 커서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어부(150)는 이를 오타 수정으로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 커서 앞에 위치한 문자를 표시하며, 추가적인 문자를 입력할 시 이를 표시창(310) 및 입력창(315)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50)는 표시창(310)과 입력창(315)에 오타 수정 결과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문자 구분 기호키 입력 후 첫번째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 이전 단어의 표시를 제거하고 새롭게 입력된 문자를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순서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8을 참고하기로 한다. 먼저 도 8a는 입력창(315)에서의 문자 표시 단위가 음절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창(310)에 표시된 문서의 전체 내용은 '안녕하세요 고맙습미'이다. 도 8a는 문자 입력창(315)에서의 표시 단위가 음절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 커서 앞의 한 음절만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입력창(315)에 '미'라는 글자만 표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반면 도 8b는 입력창(315)에서의 문자 표시 단위가 어절(띄어쓰기 단위)인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입력창(315)에 커서 앞의 한 어절이 입력창(315)에 표시된다. 도 8b에서는 구분기호와 커서 사이의 문자인 '고맙습미'가 입력창(315)에 표시된다.
여기서 입력창(315)에 표시되는 한글의 크기는 영문에서와 마찬가지로 문자의 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도 8a에서와 같이 표시단위가 음절인 경우에 입력창(315)에 한 음절만 표시하면 되고, 도8b와 같이 표시단위가 어절인 경우에 입력창(315)에 다수개의 음절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도 8a에서와 같이 '미'라는 한 음절만 표시하는 경우에 도8b의 '고맙슴미'라는 4개의 음절을 표시할 때보다 글자를 더 크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한글 입력 시 영문 입력에서와 마찬가지로 구분 기호 키의 입력 이후 오타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도 8a와 같이 표시 단위가 음절인 경우에 오타 검사 단계를 건너 뛸 수 있다. 그리고 도 8b와 같이 표시단위가 어절인 경우에 제어부(150)는 구분 기호키 입력 이후 오타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오타 검사를 수행하여 오타가 발생한 경우 도 6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오타 발생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휴대 단말기
110: 키 입력부
120: 무선통신부
131: 표시부
132: 터치 패널
140: 저장부
150: 제어부

Claims (18)

  1. 휴대 단말기의 문자 표시 방법에 있어서,
    문서 작성 모드에서 화면에 키패드를 표시하는 입력창과 입력된 문자를 누적하여 문서로 표시하는 표시창을 표시하는 단계;
    문자 입력 시 상기 표시창에 입력된 문자를 문서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입력 시 입력창에 키패드와 함께 입력 문자를 설정된 표시 단위로 표시하는 문자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문서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창의 키패드에 입력된 문자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문서로 표시하는 단계에서
    구분 기호가 입력됨에 따라 입력된 문자에서 오타 유무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문자에 오타가 있으면 상기 입력 창에 오타 발생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 기호는 스페이스, 엔터, 문장 부호들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오타 발생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알람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오타가 수정되는 경우, 상기 알람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타 발생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창의 키패드 혹은 표시되는 문자의 색을 바꾸는 방법, 키패드 혹은 표시되는 문자를 깜박이는 방법, 입력창의 키패드 혹은 표시되는 문자의 색을 바꿔 깜박이는 방법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문서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구분 기호 입력 후 추가 문자 입력 시 입력창에 표시되는 문자를 제거하고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문서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문서에서 구분기호 이후에 입력되고 커서 이전에 위치된 문자를 상기 입력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9.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문서 작성 모드에서 화면에 키패드를 표시하는 입력창과 입력된 문자를 연속되는 순서로 표시하는 표시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자 입력시 한글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문자가 한글이면 문자의 표시단위가 음절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문자의 표시단위가 음절이면 음절 완성 이후 추가 음소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추가 음소가 확인되면 입력창의 표시 내용을 삭제하고 추가 입력 음소를 누적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10. 휴대 단말기의 문자 표시 장치에 있어서,
    문서 작성 모드에서 키패드를 표시하는 입력창과 입력된 문서를 표시하는 표시창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터치되는 입력을 감지하며, 상기 키패드의 터치에 따른 문자 입력을 발생시키는 터치 패널;
    문자 입력시 상기 표시창에 입력된 문자를 문서로 표시하고, 입력창에 키패드와 함께 입력되는 문자를 설정 단위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창에 키패드와 함께 입력되는 문자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창에 구분기호에 의해 구분되는 단어의 문자들을 표시하며, 상기 문자 입력 시 구분기호가 입력되면 표시되는 단어의 오타 검사를 시행하며, 오타 검출 시 오타 발생 알람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페이스, 엔터, 문장 부호의 입력을 구분 기호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타 발생 알람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추가 문자 입력 시, 상기 알람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타 발생시 입력창에 표시되는 키패드 혹은 문자의 색을 바꾸는 방법, 키패드 혹은 문자를 깜박이는 방법, 키패드 혹은 문자의 색을 바꿔 깜박이는 방법들 중의 한가지 방법으로 오타 발생 알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분 기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창에 표시되는 문자를 제거하고 이후 입력되는 문자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창에 구분 기호 이후 입력되고 커서 이전에 위치되는 문자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장치.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문자가 한글이고, 표시 단위가 음절이면, 음절 완성 이후 추가 음소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추가 음소가 확인되면 입력창의 기존의 표시 내용을 삭제하고 추가 입력 음소를 누적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장치.
KR1020130066353A 2013-06-11 2013-06-11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44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353A KR20140144432A (ko) 2013-06-11 2013-06-11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14/302,364 US20140365932A1 (en) 2013-06-11 2014-06-11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acter in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353A KR20140144432A (ko) 2013-06-11 2013-06-11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432A true KR20140144432A (ko) 2014-12-19

Family

ID=5200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353A KR20140144432A (ko) 2013-06-11 2013-06-11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365932A1 (ko)
KR (1) KR201401444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1879B2 (ja) * 2015-03-26 2017-03-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表示入力装置の制御方法、表示入力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04699407B (zh) * 2015-03-31 2021-04-20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字符输入方法及装置
GB201612509D0 (en) * 2016-07-19 2016-08-31 Loughran Nick Messaging application
KR102519698B1 (ko) * 2017-09-29 2023-04-07 (주)한화 로봇 제어 장치의 코딩 방법 및 프로그램과 로봇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2118B2 (en) * 2006-06-19 2013-06-11 Nuance Communications, Inc. Data entry system and method of entering data
US20090058823A1 (en) * 2007-09-04 2009-03-05 Apple Inc. Virtual Keyboards in Multi-Language Environment
KR101558211B1 (ko) * 2009-02-19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10071612A (ko) * 2009-12-21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
CA2789827C (en) * 2012-01-19 2017-06-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Virtual keyboard providing an indication of received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65932A1 (en)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4516B2 (en) Metho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a touch screen for ambiguous word review or correction
KR101673068B1 (ko) 텍스트 선택 및 엔터
US20130002553A1 (en) Character entr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426937B1 (ko) 제스쳐 기반 키보드를 위한 제스쳐 컴플리션 경로 표시
KR20150049700A (ko) 전자 장치에서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009624B2 (en) Keyboard gestures for character string replacement
WO2015088669A1 (en) Multiple character input with a single selection
US8463597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nabling identification of previously entered data for transliteration of an input
KR20140144432A (ko)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EP3485361B1 (en) Pressure-based gesture typing for a graphical keyboard
US20120169607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40006937A1 (en) Character function user interface
KR10128477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71797B1 (ko) 핸드헬드 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101744124B1 (ko) 문자 출력 영역에서 입력과 출력의 듀얼 기능을 하는 문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WO2014134769A1 (en)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JP5647393B2 (ja) 表示機器および表示方法
US11086410B2 (en) Apparatus for text entry and associated methods
US20110173573A1 (en)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portable terminal
KR101624255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CN103123572A (zh) 一种输入字符的方法和电子装置
WO2014144388A1 (en) Handling inappropriate input method use
JP201419178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CN108733227B (zh) 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JP6605921B2 (ja) ソフトウエアキーボードプログラム、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