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676A -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676A
KR20140143676A KR1020130126385A KR20130126385A KR20140143676A KR 20140143676 A KR20140143676 A KR 20140143676A KR 1020130126385 A KR1020130126385 A KR 1020130126385A KR 20130126385 A KR20130126385 A KR 20130126385A KR 20140143676 A KR20140143676 A KR 20140143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llection container
mobile terminal
module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4987B1 (ko
Inventor
김학섭
Original Assignee
김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섭 filed Critical 김학섭
Publication of KR20140143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98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수거용기(10)에 장착되어 상기 수거용기(10)의 고유정보(I1), 쓰레기 배출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배출자 정보(I2-1) 및 상기 수거용기(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포함하는 주요정보(A)가 저장된 통신모듈(200); 상기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위해 상기 수거용기(1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인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된 리더(250); 상기 통신 모듈(200)를 인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주요정보(A)를 인가받아 무선 전송하는 휴대용 이동단말기(300); 및 무선 전송된 상기 주요정보(A)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요정보(A)를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에 전송하여,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상기 주요정보(A)를 기반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과금정보(I4)를 전송받는 배출정보 전달 모듈(410)과, 이동통신사의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배출자 정보(I2-1)를 이용하여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에 상기 주요정보(A)를 전송하는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상기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연동되어 상기 과금정보(I4)를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과금 처리 모듈(430)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정액제가 아닌 종량제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관리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의지가 고취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에 맞는 합리적인 비용 청구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ood waste through terminl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설치하고 해당 모듈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통신 망을 사용하여 수거용기의 정보와 배출자 정보를 전송하여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및 배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쓰레기종량제란 쓰레기 배출량에 따라 수수료가 부과되는 제도로서,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부터 전국적으로 실시되었는데, 지정된 규격의 쓰레기봉투를 판매하고, 그 봉투에만 쓰레기를 담아 버리도록 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활용쓰레기는 별도로 수거하고 규격 봉투에 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재활용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반면,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아파트나 소규모 사업장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해당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지정된 수거용기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 수거용기를 통해 수거된 음식물쓰레기의 양과는 무관하게 월마다 일정한 금액으로 부과하는 정액제를 따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정된 수거용기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관리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 측면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가 있을 수 있으나, 정액제라는 개념에서 알 수 있듯이, 음식물쓰레기를 버린 만큼 그 비용이 부과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음식물쓰레기의 감량 의지가 없을 수 있다는 궁극에 가서는, 무분별하게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운영비가 발생하지 않는 통신모듈을 설치하고 배출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 시점에 음식물 수거용기의 통신모듈을 통해 전달받은 수거용기의 정보와 배출자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획득한 배출자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및 음식물 쓰레기 배출 비용을 과금할 수 있도록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수거용기(10)에 장착되어 상기 수거용기(10)의 고유정보(I1), 쓰레기 배출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배출자 정보(I2-1) 및 상기 수거용기(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포함하는 주요정보(A)가 저장된 통신모듈(200); 상기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위해 상기 수거용기(1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인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된 리더(250); 상기 통신 모듈(200)를 인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주요정보(A)를 인가받아 무선 전송하는 휴대용 이동단말기(300); 및 무선 전송된 상기 주요정보(A)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요정보(A)를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에 전송하여,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상기 주요정보(A)를 기반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과금정보(I4)를 전송받는 배출정보 전달 모듈(410)과, 이동통신사의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배출자 정보(I2-1)를 이용하여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에 상기 주요정보(A)를 전송하는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상기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연동되어 상기 과금정보(I4)를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과금 처리 모듈(430)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주요정보(A)는, 배출자가 상기 수거용기(10)에 음식물 쓰레기 배출을 완료한 후 혹은 동시에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되는 센서인 리더(250)를 통해 상기 수거용기(10)의 포화상태 여부를 확인한 정보가 저장된 수거용기 포화상태 확인정보(I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주요정보(A)는, 상기 수거용기(10)의 관리 혹은 보수업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관리 혹은 보수업자 정보(I2-2); 및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되는 고장유무 자가진단부(11)를 통해 상기 수거용기(10)의 고장유무 또는 오작동 여부를 자체적으로 진단하여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가 저장된 수거용기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I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 및 관리 모듈(420)은, 상기 관리 혹은 보수업자 정보(I2-2)를 이용하여 상기 수거용기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I6)를 추가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상기 주요정보(A) 및 상기 과금정보(I4)를 조회하여 상기 배출자 정보(I2-1)를 통해 배출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지방자치단체 관리서버(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의 관리자의 단말기로서, 상기 통신 모듈(200)과 통신하여 상기 주요정보(A)를 조회한 후 수신, 이를 관리서버(400)에 무선 전송하는 관리자 이동통신 단말기(10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관리자 이동통신 단말기(1000)를 과금 대상 단말로 인식하지 않아 과금을 부과하지 않으며, 상기 관리자 이동통신 단말기(1000)는 NFC 또는 이어잭을 통해 상기 통신 모듈(200)과 통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수거용기(10)에 장착된 통신 모듈(200)에 저장된 상기 수거용기(10)의 고유정보(I1), 쓰레기 배출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배출자 정보(I2-1) 및 상기 수거용기(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포함하는 주요정보(A)를 상기 통신 모듈(200)을 인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쓰레기 배출자의 휴대용 이동단말기(300)가 상기 주요정보(A)를 인가받아 무선 전송하는 전송 단계(S10); 배출정보 전달 모듈(410)이 무선 전송된 상기 주요정보(A)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요정보(A)를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에 전송하여,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상기 주요정보(A)를 기반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과금정보(I4)를 전송받는 과금정보 연산 단계(S20); 운영 및 관리 모듈(420)이 이동통신사의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배출자 정보(I2-1)를 이용하여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이동통신사의 모바일 서버(600)에 상기 주요정보(A)를 전송하는 주요정보 전송 단계(S30); 및 과금 처리 모듈(430)이 상기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연동되어 상기 과금정보(I4)를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과금정보 전송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 단계(S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 모듈(200)에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의 단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상태 정보 전송단계(S11); 상기 통신 모듈(200)은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가 정상 단말 서비스 상태인지 확인한 후, 상기 통신 모듈(200)과 연결되어 상기 중량정보(I3)를 측정하는 리더(250)가 구동되어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와 근거리 통신 준비상태로 전환하는 근거리 통신 준비상태 전환 단계(S12); 및 상기 통신 모듈(200)이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모듈(200)과 연결된 리더(250)에서 인가받은 상기 중량정보(I3)를 포함한 상기 주요정보(A)를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이동단말 전송단계(S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요정보(A)는, 배출자가 상기 수거용기(10)에 음식물 쓰레기 배출을 완료한 후 혹은 동시에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되는 센서인 리더(250)를 통해 상기 수거용기(10)의 포화상태 여부를 확인한 정보가 저장된 수거용기 포화상태 확인정보(I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요정보(A)는, 상기 수거용기(10)의 관리 혹은 보수업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관리 혹은 보수업자 정보(I2-2); 및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되는 고장유무 자가진단부(11)를 통해 상기 수거용기(10)의 고장유무 또는 오작동 여부를 자체적으로 진단하여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가 저장된 수거용기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I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 및 관리 모듈(420)은, 상기 관리 혹은 보수업자 정보(I2-2)를 이용하여 상기 수거용기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I6)를 추가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지방자치단체 관리서버(700)가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상기 주요정보(A) 및 상기 과금정보(I4)를 조회하여 상기 배출자 정보(I2-1)를 통해 배출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지자체 알림서비스 단계(S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정액제가 아닌 종량제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관리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의지가 고취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에 맞는 합리적인 비용 청구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자 이동단말기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어 전국으로 확대할 경우 언제 어디서나 정확한 쓰레기 종량 과금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본질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양을 줄이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의 절차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 인식 전송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 중 수거용기의 오픈(open)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 중 수거용기의 클로즈(close)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100)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수거용기(10)에 장착되어 상기 수거용기(10)의 고유정보(I1), 쓰레기 배출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또는 쓰레기 배출자의 인증카드와 통신하여 상기 인증카드와 매칭되는 배출자 정보(I2-1) 및 상기 수거용기(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포함하는 주요정보(A)가 저장되는 통신 모듈(200)과, 상기 수거용기(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인 리더(250)를 포함한다.
즉, 쓰레기 배출자는 이동단말기 번호 또는 별도의 인증카드를 통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통신 모듈(200)을 인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주요정보(A)를 인가받아 무선 전송하는 쓰레기 배출자의 휴대용 이동단말기(300); 및 무선 전송된 상기 주요정보(A)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요정보(A)를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에 전송하여,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상기 주요정보(A)를 기반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과금정보(I4)를 전송받는 배출정보 전달 모듈(410)과, 이동통신사의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배출자 정보(I2-1)를 이용하여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에 상기 주요정보(A)를 전송하는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상기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연동되어 상기 과금정보(I4)를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과금 처리 모듈(430)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200)이 상기 쓰레기 배출자의 인증카드와 통신하여 상기 쓰레기 배출자 인증을 수행한 경우,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통신 모듈(200)과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400)와 통신가능하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쓰레기 종량제는 RFID 방식, 칩방식, 봉투 수거 거점 수거 방식이 있으며 세부적인 RFID 방식은 RFID 차량계량 방식, 개별계량 방식, RFID 휴대형 리더기 방식이 있다.
차량계량 방식(수거차량시스템)은 감량의무사업장 및 공동주택에 설치된 120ℓ 대용량 거용기를 수거차량에 부착된 계량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자동계량하고 배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나 개별 감량 파악이 안되며 과금 공동분배에 따른 추가 감량화 노력이 필요하다.
개별계량 방식(거점장비 수거부스)은 공동주택 및 주택가의 거점마다 거점장비인 개별 계량 수거 부스를 설치하고 RFID 배출원 카드와 태그부착 수거용기에 의해 배출원 인식과 전자저울에 의한 배출량 자동계량을 통해 배출 정보를 수집 하는 방식이나 구축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소요된다.
휴대형 리더기 수거방식은 소형 수거용기를 사용하여 배출원의 문전에서 수거가 이루어지고 용기의 용량별 배출 회수를 집계하여 배출량을 정산하여 수수료를 부과하는 부피종량제 방식으로 정확한 중량 파악이 어려우며 수거자의 자료입력의 노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배출자 이동단말기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어 전국으로 확대할 경우 배출자의 거주지와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나 배출자 중심으로 배출량에 맞게 정확한 쓰레기 종량 과금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중심으로 전국 단위로 관리할 수 있어 본질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양을 줄이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통신 모듈(200)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수거용기(10)에 장착되어 수거용기(10)의 고유정보(I1), 음식물 쓰레기 배출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matching)되는 또는 쓰레기 배출자의 인증카드와 통신하여 상기 인증카드와 매칭되는 배출자 정보(I2-1) 및 수거용기(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포함하는 주요정보(A)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00)은 발급기관 코드, 기관코드, 폐기물 구분자, 수거용기/차량/카드종류 또는 일련번호의 17자리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용기(10)에 설정되는 NFC 코드 데이터는 국가표준인 17자리 체계를 준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용 이동단말기(300)는 통신 모듈(200)을 인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주요정보(A)를 읽어들여 저장하고 음식물 쓰레기 관리 서버(400)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이동단말기(300)는 배출자나 수거자의 통상의 스마트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의 경우 현재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의 스마트기기에서만 지원가능한데, 이 경우 NFC 리더(310)가 적용될 것이고, 아이폰 계열의 iOS 운영체제에서는 와이파이(wifi)가 대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어잭(320)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무선 전송은 블루투스(BT)/CDMA/3G/LTE 등 및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등의 일반적인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쓰레기 배출자의 이동단말기(300)에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자의 대부분의 단말기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사용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시킨 어플리케이션이 배포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후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10)의 통신 모듈(200)에 태깅(tagging)할 수 있다.
휴대용 이동단말기(300)는 통신 모듈(200)과의 근거리 통신(tagging)을 통해 안전행정부에 고시된 17자리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의 고유정보(I1), 배출자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된 배출자 정보(I2) 및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읽어들여 저장하고 배출자 등이 이용하는 이동통신사의 CDMA/3G/LTE 망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10)는 안전행정부 지침에 따른 17자리 코드를 사전에 입력하여 배출자 등의 이동단말기 태깅(tagging)시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 정보와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실시간으로 계량하여 업데이트된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 등을 쓰레기 배출자의 이동단말기에 전송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단말기(300)는 쓰레기 배출자 자신의 이동단말 뿐만 아니라, 수거자(청소업체 등)나 관리자(담당 관계 공무원 등) 등의 관리자 이동단말기(1000)를 통해서도 통신 모듈(200)을 태깅하여 음식물 쓰레기 관리 서버(400)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그 쓰레기와 관련된 중량 정보나 과금 정보 등은 통신 모듈(200)에 저장된 배출자 정보를 통해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음식물 쓰레기 관리 서버(400)는, 무선 전송된 주요정보(A)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주요정보(A)를 실시간으로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에 전송하여, 중앙서버(500)로부터 주요정보(A)를 기반으로 현재 시점의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과금정보(I4)를 전송받는 배출 정보 전달 모듈(410)과, 이동통신사의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배출자 정보(I2-1)를 이용하여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휴대용 이동단말기(300)에 주요정보(A)를 전송하는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연동되어 과금정보(I4)를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과금 처리 모듈(430)을 구비할 수 있다.
배출 정보 전달 모듈(410)은, 휴대용 이동단말기(300)로부터 무선 전송된 주요정보(A)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주요정보(A)를 실시간으로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는 배출정보 전달 모듈(410)로부터 수신한 주요정보(A)를 기반으로 현재 시점의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부과금을 연산하여 과금정보(I4)를 생성하여 다시 배출 정보 전달 모듈(410)로 전송할 수 있다.
운영 및 관리 모듈(420)은, 이동통신사의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배출자 정보(I2-1)를 이용하여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휴대용 이동단말기(300)에 주요정보(A)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운영 및 관리 모듈(420)은, 관리 혹은 보수업자 정보(I2-2)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운영 및 관리 모듈(420)은 이동통신사의 모바일 서버(600)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정보(I3) 등을 배출자 이동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에: Push 알림 서비스 등).
과금 처리 모듈(430)은,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연동되어 과금정보(I4)를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과금정보(I4)를 수신한 배출자는 일반적인 금융거래 납부방법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비용을 납부할 수 있다. 또한, 과금정보(I4)가 배출자가 이용하는 이동통신사에서 부과하는 배출자의 이동단말기 요금에 합산되어 청구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관리 서버(400)내에 상기 각각의 모듈외에 별도로 구비되거나, 혹은 운영 및 관리 모듈(420) 내에 구비되는 배출자 가입통신사 구분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자 가입통신사 구분 모듈(미도시)은 쓰레기 배출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또는 쓰레기 배출자의 인증카드와 통신하여 상기 인증카드와 매칭되는 배출자 정보(I2-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배출자가 가입되어 있는 이동통신사 서비스업체를 구분하여 각각의 배출자를 해당 이동통신사 모바일 서버(600)에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요정보(A)는, 배출자가 상기 수거용기(10)에 음식물 쓰레기 배출을 완료한 후 혹은 동시에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되는 센서인 리더(250)를 통해 상기 수거용기(10)의 포화상태 여부를 확인한 정보가 저장된 수거용기 포화상태 확인정보(I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수거용기 포화상태정보(I5)는 배출자가 수거용기(10)에 음식물 쓰레기 배출을 완료한 후이거나 또는 완료와 동시에 수거용기(10)에 구비되는 중량(또는 무게) 센서인 리더(250)가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 혹은 무게를 측정하여 수거용기(10)의 가용용량의 과부하 여부를 확인한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수거용기(10)가 일정 가용용량 혹은 일정 중량(또는 무게)을 초과되었음이 상기 리더(250)를 통해 감지되면, 수거용기(10)가 포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정보가 통신 모듈(200)에 주요정보(A)로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자가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에 음식물 쓰레기 배출완료와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는 가용용량의 과부하 여부를 확인하여 배출자의 이동단말기를 통해 음식물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여 수거용기(10)의 포화 여부를 실시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요정보(A)는, 상기 수거용기(10)의 관리 혹은 보수업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관리 혹은 보수업자 정보(I2-2); 및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되는 고장유무 자가진단부(11)를 통해 상기 수거용기(10)의 고장유무 또는 오작동 여부를 자체적으로 진단하여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가 저장된 수거용기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I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 및 관리 모듈(420)은, 상기 관리 혹은 보수업자 정보(I2-2)를 이용하여 상기 수거용기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I6)를 추가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10)의 고장유무를 자가 진단하여 수거용기(10)에 고장 또는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 배출자의 스마트폰(이동단말기) 태깅(tagging)시 수거용기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I6)를 음식물 쓰레기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관리 서버(400)의 운영 및 관리 모듈(420)은 수거용기(10)의 관리 혹은 보수업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관리 혹은 보수업자 정보(I2-2)를 이용하여 수거용기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I6)를 전송하여 해당 관리 혹은 보수업자에게 고장정보를 접수하여 신속하게 사후관리(A/S) 직원이 출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상기 주요정보(A) 및 상기 과금정보(I4)를 조회하여 상기 배출자 정보(I2-1)를 통해 배출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지방자치단체 관리서버(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 관리서버(700)는,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로부터 주요정보(A) 및 과금정보(I4)를 조회하여 배출자 정보(I2-1)를 통해 관리 서버(400)를 거쳐 배출자의 이동단말기로 주요정보(A) 및 과금정보(I4)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400)는 과금정보(I4)를 수신할 경우 과금서버(통신사 과금서버(800), 금융사 과금서버(900))에 과금요청을 하여 과금승인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관리서버(700)는,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로부터 주요정보(A) 및 과금정보(I4)를 인가받아 배출자 정보(I2-1)를 통해 배출자의 이동단말기로 주요정보(A) 및 과금정보(I4)를 전송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사 모바일 서버(600)에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지방자치단체는 각각의 배출자들에게 푸쉬(push) 알림을 보낼수 있게 하여 단문메세징 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의 절차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 인식 전송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NFC 기능 사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에 대한 각각의 단계는 도 1의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수거용기(10)에 장착된 통신 모듈(200)에 저장된 상기 수거용기(10)의 고유정보(I1), 쓰레기 배출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또는 쓰레기 배출자의 인증카드와 통신하여 상기 인증카드와 매칭되는 배출자 정보(I2-1) 및 상기 수거용기(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포함하는 주요정보(A)를 상기 통신 모듈(200)을 인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쓰레기 배출자의 휴대용 이동단말기(300)가 상기 주요정보(A)를 인가받아 무선 전송하는 NFC 태그 인식 전송 단계(S10); 배출정보 전달 모듈(410)이 무선 전송된 상기 주요정보(A)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요정보(A)를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에 전송하여,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상기 주요정보(A)를 기반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과금정보(I4)를 전송받는 과금정보 연산 단계(S20); 운영 및 관리 모듈(420)이 이동통신사의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배출자 정보(I2-1)를 이용하여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휴대용 이동단말기(300)에 상기 주요정보(A)를 전송하는 주요정보 전송 단계(S30); 및 과금 처리 모듈(430)이 상기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연동되어 상기 과금정보(I4)를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과금정보 전송 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FC 태그 인식 전송 단계(S1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수거용기(10)에 장착된 통신 모듈(200)에 저장된 수거용기(10)의 고유정보(I1), 쓰레기 배출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배출자 정보(I2-1) 및 수거용기(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포함하는 주요정보(A)를 통신 모듈(200)을 인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휴대용 이동단말기(300)가 상기 주요정보(A)를 인가받아 배출정보 전달 모듈(410)로 무선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과금정보 연산 단계(S20)는, 배출정보 전달 모듈(410)이 무선 전송된 주요정보(A)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주요정보(A)를 실시간으로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에 전송하여, 중앙서버(500)로부터 주요정보(A)를 기반으로 현시점의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과금정보(I4)를 전송받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주요정보 전송 단계(S30)는, 운영 및 관리 모듈(420)이 이동통신사의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배출자 정보(I2-1)를 이용하여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에 주요정보(A)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과금정보 전송 단계(S40)는, 과금 처리 모듈(430)이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연동되어 과금정보(I4)를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NFC 태그 인식 전송 단계(S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가 근거리 통신(NFC)을 통해 상기 통신 모듈(200)에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의 단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상태 정보 전송단계(S11); 상기 통신 모듈(200)은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가 정상 단말 서비스 상태인지 확인한 후, 상기 통신 모듈(200)과 연결되어 상기 중량정보(I3)를 측정하는 장치인 리더(250)가 구동되어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와 근거리 통신 준비상태로 전환하는 근거리 통신 준비상태 전환 단계(S12); 및 상기 통신 모듈(200)이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모듈(200)과 연결된 측정 장치에서 인가받은 상기 중량정보(I3)를 포함한 상기 주요정보(A)를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이동단말 전송단계(S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NFC 태그 인식 전송 단계(S10)의 각각의 세부 수행 단계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 상태 정보 전송 단계(S1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휴대용 이동단말기(300)가 근거리 통신(NFC)을 통해 통신 모듈(200)에 휴대용 이동단말기(300)의 단말 상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준비상태 전환 단계(S12)는, 통신 모듈(200)이 휴대용 이동단말기(300)의 정상 단말 서비스 상태인지 확인한 후, 통신 모듈(200)과 연결되어 중량정보(I3), 내부온도정보(I7) 등을 측정하는 장치인 리더(250)가 구동되면서 휴대용 이동단말기 (300)와 근거리 통신(NFC) 준비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동단말 전송 단계(S13)는, 통신 모듈(200)이 근거리 통신(NFC)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 모듈(200)과 연결된 측정 장치인 리더(250)에서 인가받은 중량정보(I3), 내부온도정보(I7) 등을 포함한 주요정보(A)를 휴대용 이동단말기(300)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 상태 정보는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의 이동전화번호 정보, 단말기 서비스 상태 정보 및 보안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emergency mode, in service mode, out of service mode 또는 power off mode를 포함하며, 상기 정상 단말 서비스 상태는 in service mod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말 상태 정보는 휴대용 이동단말기(300)의 이동전화번호 정보, 단말기 서비스 상태 정보 및 보안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비상통화 모드(emergency mode), 정상 서비스 모드(in service mode), 서비스 불가능 모드(out of service mode) 또는 전원 오프 모드(power off mode) 등을 예시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정상 단말 서비스 상태는 정상 서비스 모드(in service mode)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에서 상기 주요정보(A)는, 배출자가 상기 수거용기(10)에 음식물 쓰레기 배출을 완료한 후 혹은 동시에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되는 센서인 리더(250)를 통해 상기 수거용기(10)의 포화상태 여부를 확인한 정보가 저장된 수거용기 포화상태 확인정보(I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에서 상기 주요정보(A)는, 상기 수거용기(10)의 관리 혹은 보수업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관리 혹은 보수업자 정보(I2-2); 및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되는 고장유무 자가진단부(11)를 통해 상기 수거용기(10)의 고장유무 또는 오작동 여부를 자체적으로 진단하여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가 저장된 수거용기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I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 및 관리 모듈(420)은, 상기 관리 혹은 보수업자 정보(I2-2)를 이용하여 상기 수거용기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I6)를 추가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은 지방자치단체 관리서버(700)가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상기 주요정보(A) 및 상기 과금정보(I4)를 조회하여 상기 배출자 정보(I2-1)를 통해 배출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지자체 알림서비스 단계(S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자체 알림서비스 단계(S50)는, 지방자치단체 관리서버(700)가 중앙서버(500)로부터 주요정보(A) 및 과금정보(I4)를 조회하여 배출자 정보(I2-1)를 통해 배출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지자체 알림서비스 단계(S50)는, 지방자치단체 관리서버(700)가,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로부터 주요정보(A) 및 과금정보(I4)를 인가받아 배출자 정보(I2-1)를 통해 배출자의 이동단말기로 주요정보(A) 및 과금정보(I4)를 전송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사 모바일 서버(600)에 요청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 중 수거용기의 오픈(open)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 중 수거용기의 클로즈(close)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의 흐름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도 6 및 도 7에서는 NFC 기능 사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는 관리서버(400)와 통신을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를 소지한 배출자는 NFC를 활성화시키고 관리서버(400)에 단말기 인증을 요청한다.
이후 상기 관리서버(400)로부터 상기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에 대해 단말기 승인이 되면, 배출자는 상기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를 수거용기(10)에 태깅(tagging #1)을 수행하며, 수거용기(10)는 상기 수거용기(10)에 대한 고유 정보를 상기 배출자의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하고 수거용기(10)를 오픈(open)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이후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수거용기(10)가 클로즈(close)되고, 상기 수거용기(10)를 포함하는 종량기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한다.
무게 측정이 완료되고, 배출자가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를 종량기에 태깅(tagging #2)하면, 상기 종량기는 측정한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상기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는 수신한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포함한 배출정보를 관리서버(400)에 전송하고, 관리서버(400)는 수신한 상기 배출정보를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 또는 지방자치단체 관리서버(700)로 송신한 후,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에 해당하는 과금정보를 수신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는 관리서버(400)를 통하지 않더라도 직접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 또는 지방자치단체 관리서버(700)와 통신할 수도 있어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상기 과금정보를 토대로 통신사 과금서버(800) 또는 금융사 과금서버(900)에 과금요청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사 과금서버(800) 또는 금융사 과금서버(900)로부터 과금 승인이 이루어지면 이를 상기 배출자의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에 알린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과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 중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100)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정액제가 아닌 종량제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관리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의지가 고취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에 맞는 합리적인 비용 청구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
100 :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200 : 통신 모듈
300 : 휴대용 이동단말기
310: NFC 리더
320: 이어잭
400 : 음식물 쓰레기 관리 서버
410 : 배출정보 전달 모듈
420 : 운영 및 관리 모듈
430 : 과금 처리 모듈
500 :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
600 : 모바일 서버
700 : 지방자치단체 관리서버
800: 통신사 과금 서버
900: 금융사 과금 서버
1000: 관리자 이동통신 단말기

Claims (12)

  1.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수거용기(10)에 장착되어 상기 수거용기(10)의 고유정보(I1), 쓰레기 배출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배출자 정보(I2-1) 및 상기 수거용기(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포함하는 주요정보(A)가 저장된 통신모듈(200);
    상기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위해 상기 수거용기(1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인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된 리더(250);
    상기 통신 모듈(200)를 인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주요정보(A)를 인가받아 무선 전송하는 휴대용 이동단말기(300); 및
    무선 전송된 상기 주요정보(A)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요정보(A)를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에 전송하여,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상기 주요정보(A)를 기반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과금정보(I4)를 전송받는 배출정보 전달 모듈(410)과, 이동통신사의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배출자 정보(I2-1)를 이용하여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에 상기 주요정보(A)를 전송하는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상기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연동되어 상기 과금정보(I4)를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과금 처리 모듈(430)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정보(A)는,
    배출자가 상기 수거용기(10)에 음식물 쓰레기 배출을 완료한 후 혹은 동시에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되는 센서인 리더(250)를 통해 상기 수거용기(10)의 포화상태 여부를 확인한 정보가 저장된 수거용기 포화상태 확인정보(I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정보(A)는,
    상기 수거용기(10)의 관리 혹은 보수업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관리 혹은 보수업자 정보(I2-2); 및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되는 고장유무 자가진단부(11)를 통해 상기 수거용기(10)의 고장유무 또는 오작동 여부를 자체적으로 진단하여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가 저장된 수거용기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I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 및 관리 모듈(420)은,
    상기 관리 혹은 보수업자 정보(I2-2)를 이용하여 상기 수거용기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I6)를 추가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상기 주요정보(A) 및 상기 과금정보(I4)를 조회하여 상기 배출자 정보(I2-1)를 통해 배출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지방자치단체 관리서버(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관리자의 단말기로서, 상기 통신 모듈(200)과 통신하여 상기 주요정보(A)를 조회한 후 수신, 이를 관리서버(400)에 무선 전송하는 관리자 이동통신 단말기(10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관리자 이동통신 단말기(1000)를 과금 대상 단말로 인식하지 않아 과금을 부과하지 않으며,
    상기 관리자 이동통신 단말기(1000)는 NFC 또는 이어잭을 통해 상기 통신 모듈(200)과 통신하는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6.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수거용기(10)에 장착되어 상기 수거용기(10)의 고유정보(I1), 쓰레기 배출자의 인증카드와 통신하여 상기 인증카드와 매칭되는 배출자 정보(I2-1) 및 상기 수거용기(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포함하는 주요정보(A)가 저장된 통신모듈(200);
    상기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위해 상기 수거용기(1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인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된 리더(250);
    상기 통신 모듈(200)을 인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주요정보(A)를 인가받아 무선 전송하는 휴대용 이동단말기(300); 및
    무선 전송된 상기 주요정보(A)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요정보(A)를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에 전송하여,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상기 주요정보(A)를 기반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과금정보(I4)를 전송받는 배출정보 전달 모듈(410)과, 이동통신사의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배출자 정보(I2-1)를 이용하여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휴대용 이동 단말기(300)에 상기 주요정보(A)를 전송하는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상기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연동되어 상기 과금정보(I4)를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과금 처리 모듈(430)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200)이 상기 쓰레기 배출자의 인증카드와 통신하여 상기 쓰레기 배출자를 인증한 경우,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400),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 지방자치단체 관리서버(700)와 통신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8.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수거용기(10)에 장착된 통신 모듈(200)에 저장된 상기 수거용기(10)의 고유정보(I1), 쓰레기 배출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배출자 정보(I2-1) 및 상기 수거용기(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량정보(I3)를 포함하는 주요정보(A)를 상기 통신 모듈(200)을 인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쓰레기 배출자의 휴대용 이동단말기(300)가 상기 주요정보(A)를 인가받아 무선 전송하는 전송 단계(S10);
    배출정보 전달 모듈(410)이 무선 전송된 상기 주요정보(A)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요정보(A)를 한국환경공단 중앙서버(500)에 전송하여,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상기 주요정보(A)를 기반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과금정보(I4)를 전송받는 과금정보 연산 단계(S20);
    운영 및 관리 모듈(420)이 이동통신사의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배출자 정보(I2-1)를 이용하여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이동통신사의 모바일 서버(600)에 상기 주요정보(A)를 전송하는 주요정보 전송 단계(S30); 및
    과금 처리 모듈(430)이 상기 운영 및 관리 모듈(420)과 연동되어 상기 과금정보(I4)를 배출자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과금정보 전송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S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 모듈(200)에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의 단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상태 정보 전송단계(S11);
    상기 통신 모듈(200)은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가 정상 단말 서비스 상태인지 확인한 후, 상기 통신 모듈(200)과 연결되어 상기 중량정보(I3)를 측정하는 리더(250)가 구동되어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와 근거리 통신 준비상태로 전환하는 근거리 통신 준비상태 전환 단계(S12); 및
    상기 통신 모듈(200)이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모듈(200)과 연결된 리더(250)에서 인가받은 상기 중량정보(I3)를 포함한 상기 주요정보(A)를 상기 휴대용 이동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이동단말 전송단계(S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정보(A)는,
    배출자가 상기 수거용기(10)에 음식물 쓰레기 배출을 완료한 후 혹은 동시에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되는 센서인 리더(250)를 통해 상기 수거용기(10)의 포화상태 여부를 확인한 정보가 저장된 수거용기 포화상태 확인정보(I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정보(A)는,
    상기 수거용기(10)의 관리 혹은 보수업자의 이동단말기 번호와 매칭되는 관리 혹은 보수업자 정보(I2-2); 및
    상기 수거용기(10)에 구비되는 고장유무 자가진단부(11)를 통해 상기 수거용기(10)의 고장유무 또는 오작동 여부를 자체적으로 진단하여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가 저장된 수거용기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I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 및 관리 모듈(420)은,
    상기 관리 혹은 보수업자 정보(I2-2)를 이용하여 상기 수거용기 고장 또는 오작동 정보(I6)를 추가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 관리서버(700)가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상기 주요정보(A) 및 상기 과금정보(I4)를 조회하여 상기 배출자 정보(I2-1)를 통해 배출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지자체 알림서비스 단계(S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방법.
KR1020130126385A 2013-06-07 2013-10-23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14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183 2013-06-07
KR1020130065183 2013-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676A true KR20140143676A (ko) 2014-12-17
KR101614987B1 KR101614987B1 (ko) 2016-04-29

Family

ID=5267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385A KR101614987B1 (ko) 2013-06-07 2013-10-23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609A (ko) 2022-01-04 2023-07-11 주식회사 유니네트워크 블록체인을 기반한 음식물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보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753B1 (ko) * 2019-03-19 2019-06-26 준토탈서비스(주) Pet병 파쇄장치의 관리비 정산 시스템
KR102647894B1 (ko) 2023-12-04 2024-03-15 (주)콘포테크 Rfid 음식물 종ㆍ감량기의 단지별 분산 네트워크 구현시스템 및 구현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519B1 (ko) * 2009-02-25 2010-01-13 광주광역시 남구 쓰레기 수거 처리시스템
KR101003659B1 (ko) * 2009-10-07 2010-12-23 신현목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음식물류폐기물 종량처리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00217A (ko) * 2009-06-26 2011-01-03 주식회사 플레닉스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의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519B1 (ko) * 2009-02-25 2010-01-13 광주광역시 남구 쓰레기 수거 처리시스템
KR20110000217A (ko) * 2009-06-26 2011-01-03 주식회사 플레닉스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의 관리시스템
KR101003659B1 (ko) * 2009-10-07 2010-12-23 신현목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음식물류폐기물 종량처리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609A (ko) 2022-01-04 2023-07-11 주식회사 유니네트워크 블록체인을 기반한 음식물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보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987B1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037B1 (ko)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US9396453B2 (en) Waste management system for associating refuse bins to corresponding users
KR101427138B1 (ko) 단독주택의 지역별 음식물 쓰레기 수거 및 중량 측정 시스템
CN105938587A (zh) 基于物联网和二维码技术的智能快件寄送存取系统及解决方案
CN105957266A (zh) 一种多功能快递收寄柜及其应用方法
CN105046832A (zh) 一种智能自理快件箱
KR101003659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음식물류폐기물 종량처리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463515A (zh) 智能集装箱化存储系统及物流方法
CN101615312A (zh) 医疗废物追踪管理方法和系统
CN107358726A (zh) 废品回收处理系统
CN106297030A (zh) 一种基于终端的充电服务智能实现方法、装置
CN106022980A (zh) 垃圾投放回收系统
CN204515921U (zh) 一种智能自理快件箱
KR101614987B1 (ko)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중인 단말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978648A (zh) 一种实现自动化称重交接收运的设备与方法
CN109178724A (zh) 分类回收客户端、回收箱、验收装置、回收系统和方法
CN108346017A (zh) 一种快递派取系统
CN104036574A (zh) 组群停车场管理系统
CN105955118A (zh) 垃圾投放回收系统
CN103606088A (zh) 基于手机应用系统的物品回收方法
CN106570795A (zh) 一种客人住店期间的酒店换房服务系统及方法
KR102097759B1 (ko) 실시간 이동형 서비스를 이용한 근거리 도어개폐와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및 방법
CN111583507A (zh) 一种智能再生资源回收系统
CN105954578A (zh) 一种具有数据完整响应及时信息安全的抄表系统
KR20090002120A (ko) Rfid기반 공동주택 음식물류폐기물 수거관리시스템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