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653A - 세탁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653A
KR20140142653A KR1020140046922A KR20140046922A KR20140142653A KR 20140142653 A KR20140142653 A KR 20140142653A KR 1020140046922 A KR1020140046922 A KR 1020140046922A KR 20140046922 A KR20140046922 A KR 20140046922A KR 20140142653 A KR20140142653 A KR 20140142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drawer
door
cabin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훈
양진호
유정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BR102014013211-2A priority Critical patent/BR102014013211B1/pt
Priority to EP14170780.2A priority patent/EP2811061B1/en
Priority to RU2014122326/12A priority patent/RU2590879C2/ru
Priority to DE201420102566 priority patent/DE202014102566U1/de
Priority to EP19178768.8A priority patent/EP3561172A1/en
Priority to CN201420291019.1U priority patent/CN204023222U/zh
Priority to AU2014202986A priority patent/AU2014202986B2/en
Priority to CN201410242831.XA priority patent/CN104213365A/zh
Priority to CN201810244564.8A priority patent/CN108505277B/zh
Priority to JP2014115503A priority patent/JP6490352B2/ja
Priority to US14/295,827 priority patent/US10392737B2/en
Publication of KR20140142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653A/ko
Priority to US16/508,593 priority patent/US1133952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캐비닛에 설치되어 세탁물 투입구를 여닫는 도어와; 캐비닛에 배치된 컨트롤패널을 포함하고, 컨트롤패널은 프론트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컨트롤패널 본체를 포함하며, 컨트롤패널 본체의 전면은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캐비닛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컨트롤패널이 표시하는 정보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컨트롤 패널의 조작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물을 세탁 또는 건조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장치는 의류와 같은 세탁물을 세탁 또는 건조하는 장치, 또는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급수부에서 제공되는 세탁수를 통해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높고,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한 세탁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트롤패널의 제작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세탁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여닫는 도어와; 상기 캐비닛에 배치된 컨트롤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프론트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컨트롤패널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전면은 상측으로 경사진다.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과 하면과 측면을 더 갖을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는 하면의 전후 방향 폭이 상면의 전후 방향 폭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상하 방향 폭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전면의 상하 방향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프론트 바디부와; 상기 프론트 바디부에 배치하고 전면이 상향 경사진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는 상기 프론트 바디부의 테두리 및 윈도우의 테두리를 함께 에워싸는 데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바디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간으로 삽입된 피시비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서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게 배치되는 피시비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는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에 배치하고 전면이 상향 경사진 윈도우와;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의 테두리 및 윈도우의 테두리를 함께 에워싸는 데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일부가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하면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도어와 컨트롤패널 본체 사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높이 보다 낮은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프레임을 갖을 수 있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도어를 닫았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외둘레면에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둘레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하면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도어의 전후 방향 최대 돌출 폭은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전후 방향 최대 돌출 폭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전후 방향 최대 돌출 폭과, 상기 도어의 전후 방향 최대 돌출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에 배치되는 드로워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위치되는 경사면을 갖을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경사면을 갖는 드로워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은 드로워 손잡이 후방에 저면이 개방된 손잡이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손잡이 공간은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도어의 외둘레면 일부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에 배치되는 드로워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패널은 전방으로 돌출된 드로어 바디부와; 상기 드로어 바디부에 배치하고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위치되는 경사면을 갖는 드로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어 패널은 상기 드로어 바디부의 상부와 좌측과 우측 및 드로어 커버의 테두리를 함께 에워싸는 드로어 데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상기 캐비닛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전면이 상측으로 경사진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의 전면과 동일평면에 위치되는 경사면을 갖는 드로워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표시부의 전면 옆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에 설치된 도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는 상기 표시부와 실질적으로 돌일한 돌출 폭을 갖을 수 있다.
상기 표시부와 도어와 드로워 패널은 상기 캐비닛에서 전방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패널 본체가 외부로 돌출되어 컨트롤패널의 제작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아우터 프레임이 캐비닛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제작 및 형상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캐비닛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 본체의 전면 하부와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할 수 있고, 컨트롤패널이 표시하는 정보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 본체을 경사진 방향에서 조작할 수 있어, 세탁물 처리장치 앞에서 선 사용자는 손목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컨트롤패널을 보다 손쉽게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전면커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전면커버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 배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과 전면커버의 결합을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세제공급부의 외관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손잡이 배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손잡이 저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도어가 오픈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도어가 도시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도어의 다른 예가 오픈된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도어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 본체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24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드로워 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된 탑로딩 방식과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전면(또는 측면)에 구비된 프론트 로딩 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물 처리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처리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하는 건조기 및 건조기능을 가지는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한다.
또한, 건조기의 경우 회전 가능한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드럼 건조기와 의류를 거치되는 의류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리프레셔)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탁물을 캐비닛의 전면으로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이며, 회전 가능한 드럼을 구비하는 세탁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다양한 방식의 세탁물 처리장치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세탁물 처리장치(1)는 사용자로부터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컨트롤패널(30)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는 캐비닛(10)에 세탁물 투입구(110)(도 6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110)는 캐비닛(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는 캐비닛(10)에 설치되어 세탁물 투입구(110)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드럼(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물은 드럼(4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를 배제하지 않으며, 이 경우 세탁물 처리장치는 드럼(40)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캐비닛(10)은 세탁물 처리장치(1)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커버(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102)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후면커버(104)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전면커버(102) 및 후면커버(104)의 상단에 구비되는 탑플레이트(1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면에는 베이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은 전면커버(102)와 후면커버(104) 사이에 측면커버(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102), 후면커버(104), 탑플레이트(101) 및 측면커버(103)는 결합되어 내부에 세탁물 및 내부 구성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전면커버(102)는 캐비닛(10)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고, 전면커버(102)에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세탁물 투입구(110)는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고,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 투입구(110)를 통해 드럼(40)으로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드럼(40)에서 세탁물이 인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드럼(40)이 구비될 수 있다. 드럼(40)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드럼(40)의 내부에는 세탁물이 수용된다. 사용자는 처리하고자 하는 세탁물을 드럼(40)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가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인 경우 세탁물 처리장치는 터브(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50)는 드럼(40)의 외측에 구비되며 세탁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캐비닛(10)의 전면, 즉, 전면커버(102)에는 세탁을 위한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공급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세제공급부(60)는 드로워 패널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고, 세제공급부(60)에는 그 인입출을 돕기 위한 드로워 손잡이(6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전면커버(102)에 대해 상술한다.
전면커버(102)는 캐비닛(10)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고, 세탁물 처리장치의 전면에 구비된다. 전면커버(102)는 프론트 플레이트(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102)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상단에서 캐비닛(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플랜지(1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102)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양측단에서 캐비닛(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 플랜지(1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102)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하단에서 캐비닛(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플랜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전면커버(102)의 전면은 프론트 플레이트(105) 또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면을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캐비닛(10)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커버(102) 또는 컨트롤패널(30)의 배면 중 어느 하나는 돌출부(320)를 구비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돌출부(32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리세스(recess)(120)를 구비될 수 있다.
전면커버(102)에 돌출부(320)가 구비될 경우 컨트롤패널(30)의 배면에는 전면커버(102)의 돌출부(320)가 삽입되는 리세스(120)가 구비될 수 있다. 반대로, 컨트롤패널(30)의 배면에 돌출부(320)가 구비될 경우 전면커버(102)에 컨트롤패널(30)의 돌출부(320)가 삽입되는 리세스(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돌출부(320)가 컨트롤패널(30)의 배면에 형성되고 리세스(120)가 전면커버(102)에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돌출부(320) 및 리세스(120)의 위치를 교환하는 변경예를 배제하지 않으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돌출부(320) 및 리세스(120)의 설치위치가 변경된 예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전면커버(102)는 컨트롤패널(30)이 결합되는 리세스(120)를 구비한다. 리세TM(12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에 구비될 수 있고, 리세스(120)에는 컨트롤패널(30)의 배면에 구비된 돌출부(320)가 삽입될 수 있다.
리세스(120)는 폐쇄된 루프(L)를 따라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면에서 캐비닛(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120)는 플랜지(121)에서 연장되며 루프(L)의 내측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120)는 플랜지(121)에 의해 소정의 폭(W1, 도 10 참조)을 가질 수 있다. 리세스(120)의 전면은 개구되어 있으며, 리세스(120)의 배면은 차폐부(12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의 돌출부(320)는 리세스(120)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리세스(120)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리세스(120)는 컨트롤패널(30)의 돌출부(320)에 형성된 접속단자(330)(도 8참조)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연결단자(130)를 구비할 수 있다. 리세스(120)의 차폐부(123)에 연결단자(130)를 구비될 수 있다. 연결단자(130)는 접속단자(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컨트롤패널(30)에 전원을 공급하고 컨트롤패널(30)과 전기적 신호정보를 교환하는 창구역할을 한다.
리세스(12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세스(12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상부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세스(12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상단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리세스(120)의 상단과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상단 사이에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면 중 일부가 구비된다. 리세스(120)의 상단과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는 면은 리세스(120)가 구비되지 않은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중앙부에는 세탁물 투입구(110)가 구비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110)는 개구된 공간으로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110)를 통해 세탁물을 드럼(40)으로 인입하거나 드럼(4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110)의 외측에는 도어(20)의 도어프레임이 안착되는 안착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140)는 도어프레임의 이너프레임(210)이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면에서 캐비닛(10)의 내측방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더불어, 안착부(140)에는 도어(20)의 후크(260)가 결합되는 후크홈(147)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40)에는 도어(20)의 힌지암(250)이 삽입되는 힌지암 삽입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40)에는 도어(20)의 브라켓(240)이 결합되는 브라켓 결합홈(145)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40) 및 도어(20)가 안착부(140)에 결합되는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일측에는 세제공급부(60)가 구비되는 장착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150)는 개구된 공간으로서 세제공급부(60)가 장착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세제공급부(60)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드로워 손잡이(63)가 결합되는 후크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컨트롤패널(30)에 대해 상술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컨트롤패널(30)은 소정의 폭(W2)을 가지는 컨트롤패널 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30)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에 구비되는 돌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20)는 컨트롤패널 본체(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사용자로부터 세탁정보를 입력받거나 세탁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그 전면(311)에 세탁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세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출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소정의 폭(W3)을 가지며,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311)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은 전면커버(102)의 전면과 대향하는 배면(313)을 포함한다. 이때,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전면(311)은 상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는 사용자의 눈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패널(30)은 사용자의 눈 보다 낮은 위치 될 수 있고, 컨트롤패널(30)의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눈 방향으로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이 수직한 경우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측면은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에는 돌출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320)는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에서 캐비닛(10)의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2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에 형성된 리세스(120)에 삽입되어 컨트롤패널(30)이 프론트 플레이트(105)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320)는 소정의 폭(W2)을 가지며, 전면(321)과 배면(323)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20)의 전면(321)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에 결합될 수 있고, 돌출부(320)의 배면(323)은 리세스(120)의 차폐부(123)에 안착될 수 있다.
돌출부(320)의 배면(323)에는 리세스(120)의 연결단자(130)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접속단자(330)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320)의 내부에는 컨트롤패널(30)의 마이컴 및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컨트롤패널(30)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인 구성이 돌출부(3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320)의 단면적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에 결합되는 돌출부(320)의 배면(323) 면적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 면적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32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에 형성된 리세스(120)에 삽입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은 상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단축과 장축의 비율이 동일하지 않은 장방향의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즉,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직사각의 바(bar)형태를 가질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장축이 전면커버(102)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가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돌출부(320)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 면적의 1/2 내지 1/1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320)는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 면적의 1/2 내지 1/3일 수 있다.
돌출부(320)는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에서 좌,우 중 일측으로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320)는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의 배면(313) 길이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리세스(12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상부 중앙에 위치할 수 있고, 돌출부(320)를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경우 컨트롤패널 본체(310)와 장착부(150)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320)는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320)는 장착부(15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조하여, 컨트롤패널(30)과 전면커버(102)의 결합에 대해 상술한다.
컨트롤패널(30)의 돌출부(32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에 형성된 리세스(120)에 삽입될 수 있다. 리세스(120)는 돌출부(32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320)는 리세스(120)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리세스(12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리세스(120)의 차폐부(123)와 돌출부(320)의 배면(323)은 밀착하게 결합된다. 이때, 차폐부(123)에 구비된 연결단자(130)와 돌출부(320)의 배면(323)에 구비된 접속단자(330)는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320)의 상면(325), 하면(327) 및 측면은 리세스(120)의 플랜지(121)와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320)가 리세스(120)에 삽입되면 플랜지(121)와 돌출부(320)의 상면(325), 하면(327) 및 측면은 맞닿아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320)의 상면(325), 하면(327)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돌출부(320)의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된다. 리세스(120)의 플랜지(121) 및 차폐부(123)는 돌출부(320)의 외형에 대응되므로, 플랜지(121)는 리세스(120)의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320)의 측면 및 리세스(120)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돌출부(320)를 리세스(120)에 삽입시킬 경우 얼라인(align)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320)의 전면(321)은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20)의 폭(W2)이 리세스(120)의 폭(W1)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돌출부(320)의 폭(W2)은 리세스(120)의 폭(W1)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리세스(120)의 폭(W1)은 리세스(120)가 형성하는 공간의 깊이를 의미한다. 즉, 폭(W1)에서 차폐부(123)의 두께는 제외된다. 따라서, 돌출부(320)의 전면(321)은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320)는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므로, 돌출부(320)가 리세스(120)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전면커버(102)(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방향은 캐비닛(10)의 외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돌출부(320)가 리세스(120)에 삽입되면,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은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면에 맞닿도록 결합된다. 또한,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상면, 하면 및 전면(311)은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더불어,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배면(313)은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세제공급부(60)는 캐비닛(10)의 내부로 인입출이 가능한 드로워 패널(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제공급부(60)는 드로워 패널(61)의 전면에 구비되며 드로워 패널(61)을 인입출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드로워 손잡이(6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패널(61)는 내부에 세제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패널(61)는 캐비닛(10)의 내부로 인입된 경우에는 드로워 패널(61)의 전면이 전면커버(102)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드로워 손잡이(63)는 드로워 패널(61)의 전면에 구비된다. 사용자는 드로워 손잡이(63)를 파자하여 드로워 패널(61)를 캐비닛(10)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시킬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드로워 손잡이(63)의 하면(635) 및 배면(633)의 일부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절개부(650)가 형성된다.
절개부(650)는 드로워 손잡이(63)의 전면에는 형성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절개부(650)로 손을 집어넣어 드로워 손잡이(63)를 파지할 수 있다. 즉, 손가락을 절개부(650)에 집어 넣고 드로워 손잡이(63)의 전면(631)을 밀거나 당길 경우, 드로워 패널(61)는 인입되거나 인출시킬 수 있다.
드로워 손잡이(63)는 컨트롤패널 본체(3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로워 손잡이(63)는 드로워 패널(61)의 전면에 구비되는 경우 컨트롤패널 본체(310)와 일체감을 주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드로워 손잡이(63)의 폭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폭(W3)과 동일하며, 드로워 손잡이(63)의 전면(631)의 높이(H)는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의 높이와 동일하다.
더불어, 드로워 손잡이(63)의 전면(631)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과 동일하게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 패널(61)가 인입되었을 때, 드로워 손잡이(63)의 전면(631)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드로워 손잡이(63)의 배면(633)에는 드로워 손잡이(63)를 드로워 패널(61)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640)가 구비된다.
결합부재(640)는 걸림턱이 구비된 후크일 수 있다. 후크(640)는 드로워 패널(61)의 전면에 형성된 후크홈(미도시)에 삽입되어 드로워 손잡이(63)를 상기 드로워 패널(6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도어(20)에 대해 상술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도어(20)는 전면커버(102)에 형성된 안착부(140)에 안착되는 이너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20)는 이너프레임(210)에 결합되는 아우터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이너프레임(210)과 아우터 프레임(220) 사이에 결합되는 도어글래스(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프레임(210)과 아우터 프레임(220)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아우터 프레임(220)과 이너프레임(210)은 분리가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너프레임(210)은 안착부(14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안착부(14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너프레임(210)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프레임(210)은 내부에 도어글래스(230)가 구비되므로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220)은 이너프레임(210)의 외측에 결합되며, 캐비닛(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220)의 내측면은 전면커버(102)의 전면과 밀착하거나, 전면커버(102)의 전면에서 소정거리 캐비닛(10)의 외측방향에 위치하게 구비된다. 아우터 프레임(220)의 내측면과 이너프레임(210) 사이에 도어글래스(23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아우터 프레임(220)은 전면커버(10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도어(20)가 닫혔을 때 아우터 프레임(220)은 캐비닛(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140)는 캐비닛(10)의 내측방향으로 요입되어 이너프레임(210) 을 수용한다. 반대로, 아우터 프레임(220)은 캐비닛(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220)은 전면커버(102)의 전면에서 캐비닛(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220)은 소정의 폭을 가지고 일부가 안착부(140)에 수용될 수 있으나, 아우터 프레임(220)은 안착부(140)에 수용되지 않고 전체가 캐비닛(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어(20)는 안착부(140)에 결합되는 브라켓(240)를 포함할 있다. 또한, 브라켓(240)에서 전면으로 돌출된 힌지암(25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40)은 안착부(140)에 형성된 브라켓 결합홈(145)(도 7 참조)에 체결된다. 힌지암(250)은 안착부(140)에 형성된 힌지암 삽입홈(141)을 관통하여 캐비닛(1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힌지암(250)은 일단은 이너프레임(210)과 아우터 프레임(220) 사이에 구비된다.
힌지암(250)의 일단에는 힌지 샤프트(미도시)가 구비되며, 힌지샤프트는 이너프레임(210)과 아우터 프레임(220)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너프레임(210)에는 힌지암(250)이 관통하는 힌지암 삽입홈(21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프레임(210)의 일측에는 후크(260)가 구비되며, 후크(260)는 안착부(140)에 형성된 후크홈(147)에 결합될 수 있다. 후크(260)는 후크홈(147)에 구비되는 락킹 스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220)은 이너프레임(210)과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면커버(102)의 전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므로 안착부(140)의 형상 및 이너프레임(210)의 형상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아우터 프레임(220)은 이너프레임(210)과 동일하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아우터 프레임(220)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우터 프레임(220)은 전면커버(102)의 전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므로 이너프레임(210) 및 안착부(140)의 형상에 대응되지 않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 프레임(220)의 제작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컨트롤패널(30)의 컨트롤패널본체(310)는 도 18을 참조하면,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고,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전면커버(102)의 전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므로 도어(20)나 세제공급부(6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종횡비를 가지는 경우 세제공급부(60)의 드로워 패널(61)에 홈(63)으로 형성된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서로 다른 가격대의 다양한 형상의 제품이 출시된다. 다양한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각 제품에 맞는 생산라인을 각각 구비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각 제품마다 생산라인을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각 제품에 맞는 생산라인의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많이 소모되며 생산라인의 설비가 서로 달라 제작비가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패널 본체(310)를 전면커버의 외부로 돌출시켜 컨트롤패널의 제작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서로 다른 가격대의 세탁물 처리장치에서 동일한 전면커버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각 제품마다 동일한 리세스의 규격을 동일하게 형성한 전면커버는 이용하고, 리세스에 결합되는 컨트롤패널의 크기를 달리 구성하여 각 제품간에 차별을 둘 수 있다. 다양한 제품라인에 적용되는 전면커버 및 이에 형성된 리세스를 규격화하여 하나의 전면커버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라인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각 제품들의 기능 및 구성이 상이하므로 이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의 크기 및 기능도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리세스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규격화하고,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본체는 전면커버의 외부로 돌출시켜 본체의 제작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컨트롤패널을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제품군에 맞는 컨트롤패널 본체를 제작하여 규격화된 전면커버에 결합시킴으로써 컨트롤패널의 크기 또는 형상변화에 무관하게 동일한 전면커버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제품군에 따라 전면커버의 생산라인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결과적으로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생산라인의 설비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어의 아우터 프레임은 전면커버의 외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도어의 제작 및 형상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되는 아우터 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사용자는 제품의 심미성을 달리 인식하며 다양한 제품을 서로 달리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아우터 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전면커버의 형상이 달라질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전면커버의 생산라인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아우터 프레임은 전면커버의 외부로 돌출시켜 결합시킴으로써 전면커버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아우터 프레임을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9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에 대해 상술한다.
본 실시예는 컨트롤패널(30')이 컨트롤패널 본체(310')와, 피시비 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프론트 플레이트(105')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의 프론트 플레이트(105')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전면 일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의 프론트 플레이트(10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설명된 전면커버(102)의 프론트 플레이트(105)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플랜지(100a')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옆에 형성된 측부 플랜지(1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측부 플랜지부(100B')의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플랜지(10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전면 커버(102)의 프론트 플레이트(105)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프론트 플레이트(105')와, 상부 플랜지(100a')와, 측부 플랜지(100b')와, 하부 플랜지(100c')의 사이에 피시비 어셈블리(4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리어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드로워 패널(61')이 장착되는 장착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50)는 측부 플랜지(100b')의 옆에 위치될 수 있다. 장착부(150')는 측부 플랜지(100b')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피시비 어셈블리(400)는 조작부와 표시부가 구비된 피시비(402)를 포함할 수 있다. 피시비 어셈블리(400)는 피시비(402)가 설치된 피시비 커버(4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시비 어셈블리(400)는 피시비 커버(404)가 프론트 플레이트(105')와 측부 플랜지(100b')와 상부 플랜지(100a')와, 하부 플랜지(100c') 중 적어도 하나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피시비(402)에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엘이디나 엘시디 등의 각종 전장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는 세탁물 처리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서, 텟 스위치나 터치 스위치 등의 각종 전장부품를 포함할 수 있다.
피시비 어셈블리(400)는 디스플레이의 광을 안내하는 광가이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광 가이드는 피시비(402)에 설치될 수 있다. 광 가이드는 후술하는 윈도우(350)을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캐비닛(10)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전면(311)이 상측으로 경사진 표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은 상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314)과 하면(315)과 측면(316)을 더 갖을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하면(315)의 전후 방향 폭(L1)이 상면(314)의 전후 방향 폭(L2) 보다 클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상하 방향 폭(H1)은 컨트롤패널(30)의 프론트 플레이트(105') 전면의 상하 방향 폭(H2) 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상하 방향 폭(H1)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높이일 수 있다.
즉,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면에 전방 방향으로 향해 입체적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고,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은 프론트 플레이트(105)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부분 중, 가장 전방 위치에서 소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만약, 컨트롤패널 본체(310')가 프론트 플레이트(105')에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이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면과 동일한 수직평면에 위치하게 되면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은 세탁물 처리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세탁물 처리장치의 전방 방향만을 향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물 처리장치의 전방 상측에서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 전체가 잘 보이지 않을 수 있고,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조작도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컨트롤패널 본체(310')가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된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이 세탁물 처리장치의 전방 상측을 향하게 소정 각도 경사지면, 사용자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전방 상측에서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을 볼 때, 경사 방향으로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 전체를 잘 볼 수 있고,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을 통해 세탁물 처리장치의 조작 명령을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패널 본체(310')가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컨트롤패널(30')의 상면 일부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게 되면, 상기와 같이, 컨트롤패널(30')이 함몰된 부분이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전방 상측에서 잘 보일 수 있고, 그 조작도 편리할 수 있다. 그러나, 컨트롤패널(30')의 상면 일부 경사구조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내부 공간은 축소할 수 있고, 세탁물 처리장치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낮아질 수 있다.
즉, 컨트롤패널 본체(310')가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이 세탁물 처리장치의 전방 상측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되면, 세탁물 처리장치의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면서, 동시에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이 잘 보일 수 있고,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을 통해 세탁물 처리장치의 조작 명령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어(20)는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프레임(220)을 갖고, 아우터 프레임(220)은 도어(20)를 닫았을 때,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10)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어(20)는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을 수 있고, 이하,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20)와 드로워 패널(61')과 표시부(350)는 캐비닛(10)에서 전방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어(20)는 표시부(3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돌출 폭을 갖을 수 있다.
도어(20)는 일부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하면(315)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도어(20)와 컨트롤패널 본체(310') 사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높이(H1) 보다 낮은 틈(G)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틈(G)은 사용자가 캐비닛(10)의 외부로 돌출된 아우터 프레임(220)을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빈 공간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후술하는 손잡이(400) 이외를 통해 도어(20)를 손쉽게 잡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20)와 컨트롤패널 본체(310') 사이의 틈(G)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될 수 있는 최소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어(20)와 컨트롤패널 본체(310')가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줄 수 있는 최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20)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틈(G)이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높이(H1) 보다 낮을 경우, 도어(20)와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전면커버(102)와 함께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줄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220)은 외둘레면(220B)에 손잡이(220C)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는 아우터 프레임(220)의 외둘레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20C)는 아우터 프레임(220) 중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하면(315)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는 그 닫힘시, 적어도 일부가 전면커버(102)의 프론트 플레이트(105) 전방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도어(20)의 전후 방향 최대 돌출 폭(L3)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후 방향 최대 돌출 폭(L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후 방향 최대 돌출 폭(L2) 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후 방향 최대 돌출 폭(L2)은 컨트롤패널 본체(310') 하면(315)의 전후 방향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드로워 패널(61')은 컨트롤패널(30')에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 패널(61')는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을 수 있고, 이하,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드로워 패널(61')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위치되는 경사면(61A)을 갖을 수 있다. 드로워 패널(61')은 표시부(350)의 전면(311)과 동일 평면에 위치되는 경사면(61A)을 갖을 수 있다. 경사면(61A)은 표시부(350)의 전면(311) 옆에 위치될 수 있다.
드로워 패널(60')은 경사면(61A)을 갖는 드로워 손잡이(6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패널(61')은 드로워 손잡이(63) 후방에 저면이 개방된 손잡이 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패널(61')에 형성된 손잡이 공간(S4)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은 절개부(6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공간(S4)은 도어(20)의 닫힘시 도어(20)의 외둘레면(220B) 일부를 마주볼 수 있다.
이하, 도 23을 참조하여 컨트롤패널 본체(31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프론트 바디부(340)와; 프론트 바디부(350)에 배치하고 전면(311)이 상향 경사진 윈도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프론트 바디부(340)의 테두리 및 윈도우(350)의 테두리를 함께 에워싸는 데코(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부(340)는 내부에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부(34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S2)은 리어 공간(S1)의 전방에 형성되는 프론트 공간(S2)일 수 있고, 프론트 공간(S2)은 그 크기가 리어 공간(S1) 보다 작을 수 있다.
프론트 바디부(340)는 프론트 패널 본체(310')의 프론트 플레이트(105')에서 전방으로 일체로 돌출된 상부(341), 하부(342) 및 측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부(340)의 상부(341)와 프론트 바디부(340)의 하부(342)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고, 그 각각은 프론트 패널 본체(310')의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부(340)의 하부(342)는 전후 방향의 폭이 프론트 바디부(340)의 상부(341)의 전후 방향 폭 보다 클 수 있다.
프론트 바디부(340)의 측부(343)은 프론트 바디부(340)의 상부(341)와 프론트 바디부(340)의 하부(342)를 잇게 형성될 수 있고, 프론트 플레이트(105')에서 전방으로 일체로 돌출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부(340)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부(340)는 상부(341)와 하부(342)와 측부(343)의 사이에는 피시비 어셈블리(4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프론트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부(340)의 프론트 공간(S2)에는 피시비 어셈블리(400)의 광 가이드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부(340)는 전면이 전방 상측을 향해 경사진 전판(3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부(340)의 전판(344)은 윈도우(350)가 안착될 수 있는 윈도우 안착면을 갖을 수 있다. 프론트 바디부(340)의 전판(344)은 전방 상측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부(340)가 전판(344)을 포함할 경우, 프론트 바디부(340)의 전판(344)에는 피시비(402)에 설치된 전장부품 특히, 터치 스위치의 일부가 윈도우(350)에 접촉되게 위치될 수 있는 개구부(345)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는 전판(344)이 수평면에 대해 예각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는데, 전판(344)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가 작을수록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이 최대한 상측 방향을 향하게 경사질 수 있고, 전판(344)이 수평면 사이의 각도가 클수록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이 최대한 전방 방향을 향하게 경사질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데코(360)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프론트 바디부(340)의 상면과 하면과 측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이 경우, 프론트 바디부(340)의 상면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상면(314)이 될 수 있고, 프론트 바디부(340)의 하면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하면(315)이 될 수 있으며, 프론트 바디부(340)의 측면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측면(316)이 될 수 있다.
윈도우(350)는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46)는 세탁물 처리장치가 외부로 표시하는 정보가 표현되는 표시부일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캐비닛(10)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그 전면(311)이 상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서 조사된 광은 윈도우(350)로 조사될 수 있고, 사용자는 윈도우(350)를 보고 세탁물 처리장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350)는 사용자가 세탁물 처리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터치 또는 가압하는 조작판일 수 있다. 윈도우(340)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윈도우(350)를 터치하거나 가압할 수 있고, 피시비 어셈블리(400)의 스위치는 조작될 수 있다. 윈도우(350)는 프론트 바디부(34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윈도우(350)는 프론트 바디부(340)와, 피시비 어셈블리(400) 및 데코(360) 중 적어도 하나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후크 등의 걸이수단으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양면 테이프 등의 접작부재로 부착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윈도우(350)는 그 전면이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이 될 수 있다.
데코(360)는 상부(361)와, 하부(362)와, 측부(36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코(360)는 컨트롤 바디부(340)의 상,하,좌,우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데코(36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부(363)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361)와, 하부(362)와, 한 쌍의 측부(363)가 컨트롤 바디부(340)의 상,하,좌,우를 둘러쌀 수 있으며, 상부(361)와, 하부(362)와, 한 쌍의 측부(363)가 윈도우(350)의 상,하,좌,우를 둘러 쌀 수 있다.
데코(360)는 상부(361)와, 하부(362)와, 측부(363) 사이에 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데코(360)는 윈도우(350)가 전방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윈도우(350)를 구속하는 걸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는 데코(360)에서 공간(S3)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데코(360)는 윈도우(350)를 고정하는 윈도우 홀더로 기능할 수 있다. 데코(360)는 상부(361)와, 하부(362)와, 측부(363)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코(360)는 외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데코(360)는 외표면이 크롬 도금될 수 있고, 이러한 도금층은 세탁물 처리장치의 장식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데코(360)는 프론트 바디부(340)의 상,하,좌,우를 둘러쌀 경우, 데코(360)의 상면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상면(314)이 될 수 있고, 데코(350)의 하면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하면(315)이 될 수 있으며, 데코(350)의 측면은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측면(316)이 될 수 있다.
피시비 어셈블리(400)는 적어도 일부가 프론트 바디부(340)의 공간(S2)으로 삽입될 수 있다. 피시비 어셈블리(400)는 광 가이드가 피시비(402)와 윈도우(350)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광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가 프론트 바디(340)의 프론트 공간(S2)에 위치될 수 있으며, 피시비 커버(404)는 적어도 일부가 리어 공간(S1)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4을 참조하여 드로워 패널(61')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로워 패널(61')은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6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패널(61')은 외부로 노출되는 아우터 바디(64)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박스(62)는 세제가 수용될 수 있는 세제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세제박스(62)는 아우터 바디(64)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아우터 바디(64)와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우터 바디(64)는 프론트 플레이트(105")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64)의 프론트 플레이트(105")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전면 일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64)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플랜지(100a")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64)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의 옆에 형성된 측부 플랜지(1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64)는 측부 플랜지부(100b")의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전면 커버(102)의 프론트 플레이트(105)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드로워 패널(61')은 전방으로 돌출된 드로어 바디부(610)와; 드로어 바디부(610)에 배치하고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위치되는 경사면(61A)을 갖는 드로어 커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 패널(61')은 드로어 바디부(610)의 상부와 좌측과 우측 및 드로어 커버(620)의 테두리를 함께 에워싸는 드로어 데코(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바디부(610)는 드로워 패널(61')의 프론트 플레이트(105")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64)에는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은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드로어 바디부(610)는 드로어 커버(620)와 함께 손잡이로 기능할 수 있다. 드로워 바디부(610)는 드로워 패널(61')의 프론트 플레이트(105")에서 입체적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드로워 바디부(610)는 도 23에 도시된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프론트 바디부(340)의 옆에 위치될 수 있고, 그 좌우 방향 폭이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프론트 바디부(340) 보다 짧을 수 있다.
드로워 바디부(610)는 드로워 패널(61')의 프론트 플레이트(105")에서 전방으로 일체로 돌출된 상부(611) 및 측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바디부(610)의 상부(611)는 아우터 바디(64)의 프론트 플레이트(105")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바디부(610)의 측부(613)는 아우터 바디(64)의 프론트 플레이트(105")에서 전방으로 일체로 돌출될 수 있다. 드로워 바디부(610)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 바디부(610)는 전면이 전방 상측을 향해 경사진 전판(6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 바디부(610)의 전판(614)은 드로워 커버(620) 가 안착될 수 있는 커버 안착면을 갖을 수 있다. 드로어 바디부(610)의 전판(614)은 전방 상측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드로어 바디부(610)의 전판(614)은 도 23에 도시된 프론트 바디부(340)의 전판(344)과 동일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드로워 바디부(610)는 하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고, 드로어 바디부(610)는 상부(611)와 측부(613)와 전판(614)의 사이에는 손잡이 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커버(620)는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커버(620)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캐비닛(10)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그 전면(61A)이 상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드로워 커버(620)는 그 전면(61A)이 경사면일 수 있다. 드로워 커버(620)는 드로워 바디부(6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 커버(620)는 윈도우(350)와 높이가 동일할 수 있고, 도 23에 도시된 윈도우(350)의 옆에 위치될 수 있다. 드로워 커버(620)는 도 23에 도시된 윈도우(350)의 옆 위치되어 윈도우(350)와 일체감을 줄 수 있으며, 세탁물 처리장치 상부를 고급화할 수 있다.
드로워 커버(620)는 드로워 바디부(610) 및 드로워 데코(630) 중 적어도 하나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후크 등의 걸이수단으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양면 테이프 등의 접작부재로 부착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윈도우(350)는 그 전면이 컨트롤패널 본체(310')의 전면(311)이 될 수 있다.
드로워 데코(630)는 상부(631)와, 하부(632)와, 측부(6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데코(630)는 드로워 바디부(610)의 상부와 좌측과 우측을 둘러싸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드로워 데코(63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부(634)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631)와, 하부(632)와, 한 쌍의 측부(634)가 드로워 바디부(610)의 상부과, 좌측과, 우측을 둘러쌀 수 있다.
드로워 데코(630)는 상부(631)와, 하부(632)와, 측부(634) 사이에 공간(S5)이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데코(630)는 드로워 커버(620)가 전방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드로워 커버(620)를 구속하는 걸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는 드로워 데코(630)에서 공간(S5)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드로워 데코(630)는 드로워 커버(620)를 고정하는 커버 홀더로 기능할 수 있다. 드로워 데코(630)는 상부(611)와, 하부(612)와, 측부(634)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로워 데코(630)는 상부(611)와, 하부(612)와, 측부(634)는 드로워 커버(620)의 테두리를 둘러쌀 수 있다.
드로워 데코(630)는 외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데코(630)는 외표면이 크롬 도금될 수 있고, 이러한 도금층은 세탁물 처리장치의 장식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피시비 어셈블리(400)는 적어도 일부가 프론트 바디부(340)의 공간(S2)으로 삽입될 수 있다. 피시비 어셈블리(400)는 광 가이드가 피시비(402)와 윈도우(350)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광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가 프론트 바디(340)의 프론트 공간(S2)에 위치될 수 있으며, 피시비 커버(404)는 적어도 일부가 리어 공간(S1)에 위치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는 피시비 어셈블리(400) 중 리어 공간(S1)에 위치하는 부분이 적고, 프론트 공간(S2)에 위치하는 부분이 많을수록, 세탁물 처리 장치 내부에 더 많은 빈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최대한 많은 부분이 프론트 바디부(340)의 프론트 공간(S2)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에 대해 상술한다.
본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장치는 컨트롤패널(30")이 프론트 플레이트(105')에서 형성된 개구부(105A)를 관통하게 배치되는 피시비 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피시비 어셈블리(400)에 배치하고 전면이 상향 경사진 윈도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 본체(310")는 피시비 어셈블리(400")의 테두리 및 윈도우(350)의 테두리를 함께 에워싸는 데코(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장치는 컨트롤패널(3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2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피시비 어셈블리(400")는 앞부분이 개구부(105A)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뒷부분이 개구부(105A) 후방에 위치될 있다. 피시비 어셈블리(400")는 전면(401)이 전방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질 수 있다.
피시비 어셈브리(400")는 프론트 플레이트(105')에 형성된 개구부(105A)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2실시예의 피시비 어셈블리(4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윈도우(350")는 앞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된 피시비 어셈블리(4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피시비 어셈블리(400")의 전면(401)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350")는 피시비 어셈블리(400")의 전면(401) 전방에 배치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윈도우(350)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데코(360")는 본 발명 제2실시예와 같이, 상부(361), 하부(363) 및 측부(363)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상부(361), 하부(363) 및 측부(363)가 피시비 어셈블리(400")의 테두리 및 윈도우(350)의 테두리를 함께 에워쌀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세탁물 처리장치 10 캐비닛
110 세탁물 투입구 120 리세스
121 플랜지 123 차폐부
130 연결단자 140 안착부
141 힌지암 삽입홈 145 브라켓 결합홈
147 후크홈 150 장착부
20 도어 210 이너프레임
220 아우터 프레임 30 컨트롤패널
310 컨트롤패널 본체 320 돌출부
40 드럼 50 터브
60 세제공급부 61 드로워
63 손잡이 640 후크
650 절개부

Claims (26)

  1.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여닫는 도어와;
    상기 캐비닛에 배치된 컨트롤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프론트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컨트롤패널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전면은 상측으로 경사진 세탁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과 하면과 측면을 더 갖는 세탁물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는 하면의 전후 방향 폭이 상면의 전후 방향 폭 보다 큰 세탁물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상하 방향 폭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전면의 상하 방향 폭 보다 작은 세탁물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프론트 바디부와;
    상기 프론트 바디부에 배치하고 전면이 상향 경사진 윈도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는 상기 프론트 바디부의 테두리 및 윈도우의 테두리를 함께 에워싸는 데코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바디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간으로 삽입된 피시비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서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게 배치되는 피시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는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에 배치하고 전면이 상향 경사진 윈도우와;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의 테두리 및 윈도우의 테두리를 함께 에워싸는 데코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부가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하면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세탁물 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컨트롤패널 본체 사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높이 보다 낮은 틈이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프레임을 갖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도어를 닫았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외둘레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둘레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하면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손잡이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도어의 전후 방향 최대 돌출 폭은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전후 방향 최대 돌출 폭 보다 큰 세탁물 처리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전후 방향 최대 돌출 폭과, 상기 도어의 전후 방향 최대 돌출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세탁물 처리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에 배치되는 드로워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위치되는 경사면을 갖는 세탁물 처리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경사면을 갖는 드로워 손잡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패널은 드로워 손잡이 후방에 저면이 개방된 손잡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공간은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도어의 외둘레면 일부를 마주보는 세탁물 처리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에 배치되는 드로워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패널은
    전방으로 돌출된 드로어 바디부와;
    상기 드로어 바디부에 배치하고 상기 컨트롤패널 본체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위치되는 경사면을 갖는 드로어 커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 패널은 상기 드로어 바디부의 상부와 좌측과 우측 및 드로어 커버의 테두리를 함께 에워싸는 드로어 데코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22.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상기 캐비닛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전면이 상측으로 경사진 표시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전면과 동일평면에 위치되는 경사면을 갖는 드로워 패널을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표시부의 전면 옆에 위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설치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표시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돌출 폭을 갖는 세탁물 처리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도어와 드로워 패널은 상기 캐비닛에서 전방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KR1020140046922A 2013-06-04 2014-04-18 세탁물 처리장치 KR20140142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102014013211-2A BR102014013211B1 (pt) 2013-06-04 2014-05-30 Aparelho de tratamento de vestuário
EP14170780.2A EP2811061B1 (en) 2013-06-04 2014-06-02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control panel
RU2014122326/12A RU2590879C2 (ru) 2013-06-04 2014-06-02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DE201420102566 DE202014102566U1 (de) 2013-06-04 2014-06-02 Wäschebehandlungsapparat
EP19178768.8A EP3561172A1 (en) 2013-06-04 2014-06-02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CN201420291019.1U CN204023222U (zh) 2013-06-04 2014-06-03 洗涤物处理装置
AU2014202986A AU2014202986B2 (en) 2013-06-04 2014-06-03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1410242831.XA CN104213365A (zh) 2013-06-04 2014-06-03 洗涤物处理装置
CN201810244564.8A CN108505277B (zh) 2013-06-04 2014-06-03 洗涤物处理装置
JP2014115503A JP6490352B2 (ja) 2013-06-04 2014-06-04 洗濯物処理装置
US14/295,827 US10392737B2 (en) 2013-06-04 2014-06-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6/508,593 US11339525B2 (en) 2013-06-04 2019-07-1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077 2013-06-04
KR1020130064077 2013-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653A true KR20140142653A (ko) 2014-12-12

Family

ID=5246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922A KR20140142653A (ko) 2013-06-04 2014-04-18 세탁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42653A (ko)
RU (1) RU2590879C2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375B1 (ko) * 2003-11-10 2011-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EP2380479A1 (de) * 2010-04-23 2011-10-26 Miele & Cie. KG Bedieneinrichtung für Haushaltgeräte wie Herde, Dampfgarer, Wäschebehandlungs- oder Spül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90879C2 (ru) 2016-07-10
RU2014122326A (ru)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0352B2 (ja) 洗濯物処理装置
CN108532235B (zh) 门体组件、衣物处理装置和电器设备
KR20150051465A (ko)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EP316835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8049124B2 (en) Button for control panel assembly and clothes handl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80256984A1 (en) Washing or Drying Machine Having Position Changeable Controller
CN109965709B (zh) 一种家用电器的门体结构
KR20140142653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70067464A (ko) 세탁 장치
KR102521489B1 (ko) 세탁기
KR20140142650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265588B1 (ko) 세탁 장치
KR101259108B1 (ko) 세탁 장치
CN220057389U (zh) 盖体结构及洗衣机
KR101227478B1 (ko) 세탁 장치
JP2004154387A (ja) 洗濯機
KR20070070960A (ko) 세탁 장치
KR101306699B1 (ko)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세탁장치
KR20230067130A (ko) 전원 플러그 거치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및 가전제품
CN111394953A (zh) 一种衣物处理装置
CN118773892A (zh) 用于护理物品的衣物护理设备
CN111379123A (zh) 一种衣物处理装置
KR20210020444A (ko)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KR20070075545A (ko)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KR20070075544A (ko)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6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502

Effective date: 2017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