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444A -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444A
KR20210020444A KR1020190099750A KR20190099750A KR20210020444A KR 20210020444 A KR20210020444 A KR 20210020444A KR 1020190099750 A KR1020190099750 A KR 1020190099750A KR 20190099750 A KR20190099750 A KR 20190099750A KR 20210020444 A KR20210020444 A KR 20210020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ing device
body portion
treatment apparatus
laundry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석
전호일
박수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0444A/ko
Publication of KR20210020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54Portable devices, e.g. wedges; wedges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후면과 상기 본체의 전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몸체부; 상기 도어의 후면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 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도어 래치를 수용하는 래치 수용부; 및 자성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상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다른 일 면으로 자기력을 형성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OPEN LOCKING APPARATUS OF DOOR FOR LAUNDA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되는 도어 열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의류에 묻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하여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와관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건조 또는 세탁하고자하는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에는 드럼과 연통하는 의류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의 건조 또는 세탁 과정이 완료되면, 도어를 개방하여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환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도어의 열린 각도를 고정시키는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 도어가 과도하게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의 동선을 방해하거나, 도어가 충분히 열리지 않는 경우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도어의 열린 각도를 적정한 크기로 유지시킬 수 있는 도어 열림 고정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의 열린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의류처리장치에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도어 열림 고정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 열림 고정 장치의 사용 후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도어 열림 고정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동선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환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몸체부의 구조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는, 전면에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후면과 상기 본체의 전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몸체부; 상기 도어의 후면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 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도어 래치를 수용하는 래치 수용부; 및 자성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상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다른 일 면으로 자기력을 형성하는 마그넷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래치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일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상기 마그넷을 구비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고리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과 측면을 감싸는 제3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부분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상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래치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를 일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향하여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도어의 열린 정도가 크지 않을 경우에도 도어와 본체의 전면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 래치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마그넷은, 상기 몸체부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편심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 면과, 상기 마그넷과 인접하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으로 상기 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마그넷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인서트되어 상기 몸체부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마그넷은 인서트 사출에 의한 성형으로 상기 몸체부상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인서트 사출 시 상기 마그넷을 고정시키는 지그에 의해 일 면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용 열림 고정 장치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전면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 면상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도어의 열린 각도를 4° 내지 5.2°로 형성시키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의 후면과 의류처리장치의 본체 전면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에 의해 도어의 열린 상태가 일정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고, 몸체부의 일 면에 형성되는 래치 수용부를 통해 도어의 후면에 형성된 도어 래치를 수용한다. 또한, 자성을 갖는 마그넷의 자기력에 의해 몸체부의 다른 일 면이 의류처리장치의 본체 전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 열림 고정 장치는 도어 래치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도어의 열린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는, 자성을 갖는 마그넷이 몸체부상에 구비되어, 도어 열림 고정 장치의 사용 후 자성에 반응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부재에 부착시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아울러, 마그넷은 몸체부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편심되게 배치되어, 몸체부의 일 면과 측면으로 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 열림 고정 장치는 의류처리장치의 본체 전면에 부착 고정 가능하면서도, 사용 후 보관 시 몸체부의 측면을 자성에 반응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부재상에 부착 가능하여, 도어 열림 고정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의 열린 각도를 4° 내지 5.2°로 형성시키는 몸체부의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어의 열린 상태로 인해 사용자의 동선이 방해되지 않으면서도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환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최적화된 도어의 열린 각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열림 고정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와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사이에 도어 열림 고정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후면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좌측면도이다.
도 6a는 도 2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를 배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를 배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도어와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사이에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도어 열림 고정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를 배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8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를 배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12)와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사이에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12)의 후면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어(12)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도어(12)의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가 사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는 본체(10), 의류수용부 및 도어(12)를 포함한다.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는 도어(12)의 열린 상태를 일정 각도(A)로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체(10)는 의류처리장치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전면 패널(10a), 후면 패널, 측면 패널, 상면 패널 및 하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 패널(10a)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을 형성한다. 후면 패널은 의류처리장치의 후면을 형성한다. 측면 패널은 의류처리장치의 좌우 양 측면을 각각 형성한다. 상면 패널은 의류처리장치의 상면을 형성한다. 하면 패널은 의류처리장치의 하면을 형성한다.
전면 패널(10a)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투입구(10a')가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의류가 의류 투입구(106)를 통해 의류수용부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의류수용부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의류수용부는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드럼을 구비하거나 세탁과 건조 기능을 함께 수행하기 위해 터브와 드럼을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11)은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행정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컨트롤 유닛(11)은 시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유닛(11)은 조작을 입력 받기 위한 원형의 노브 및 복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11)은 본체(10)에 구비되거나 도어(12)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 유닛(11)이 본체(10)의 전면 패널(101) 상측에 위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전면 패널(101)에 도어(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12)는 의류 투입구(10a')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어(12)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12)는 도어 프레임(13), 도어 윈도우(23), 힌지 유닛(24) 및 로킹 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3)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3)의 내측에 개구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3)은 아우터 프레임(14; outer frame)과 이너 프레임(19; inner fram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9)은 아우터 프레임(14)의 후면 측에서 결합된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간의 결합은 핀-홈 결합, 후크 결합, 스크류 결합, 본딩 결합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의 명명 이유를 살펴보면, 도어(12) 닫힘 시 아우터 프레임(14)은 본체(10)의 바깥쪽을 향하여 배치되고, 이너 프레임(19)은 본체(10)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됨으로 명명된 것이다. 아우터 프레임(14)은 제1프레임으로 명명되고, 이너 프레임(19)은 제2프레임으로 명명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10a')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어(12)는 힌지 유닛(24)에 의해 본체(1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12)의 일측에 힌지 유닛(24)이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닫힌 도어(12)를 본체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힌지 유닛(24)은 좌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25)는 본체(10)에 고정되고, 도어 프레임(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25)는 베이스부(26)와 회전 결합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부(26)는 본체(1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결합부(27)는 베이스부(26)로부터 돌출되어 도어 프레임(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결합부(27)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어(12)의 타측에 로킹 유닛(30)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12)를 본체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로킹 유닛(30)은 도어(12)의 우측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로킹 유닛(30)은 도어(12)를 본체(10)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로킹 유닛(30)은 도어 래치(32; door latch)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래치(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의 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래치(32)는 도어(12)를 본체(10)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면 패널(10a)에는 도어 래치(32)와 체결되어 도어(12)를 본체(10)에 잠금 도는 잠금해제하는 로킹 박스(미도시)의 설치 공간(10a")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너 프레임(19)의 후면 상측에 손잡이(35)가 함몰되게 형성된다. 사용자가 손잡이(35)를 잡아당김으로 도어(12)를 개방할 수 있다. 손잡이(35)는 적은 힘으로 도어(12)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로킹 유닛(30)보다 더 높게 도어 프레임(13)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힌지 유닛(24)과 로킹 유닛(30)은 도어 프레임(13)의 중심을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지나는 수평중심선(CL-CL)을 따라 도어 프레임(13)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수평중심선(CL-CL)보다 더 높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열림 고정 장치(100)의 일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a는 도 2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를 배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의 다른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를 배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5와 함께 도 6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는 몸체부(110), 래치 수용부(120) 및 마그넷(130)을 포함한다.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는 도어(12)의 열린 상태를 일정 각도(A)로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몸체부(110)는,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본체(10)의 전면으로부터 도어(12)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전면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0a)일 수 있다. 몸체부(1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제1 부분(111)과 제1 부분(111)으로부터 일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2 부분(112)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외면은 합성수지 재질, 금속 재질, 고무 재질, 유리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도어(12)의 열린 각도(A)를 4° 내지 5.2°로 형성시키는 두께(T)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의 두께(T)는, 예를 들어, 도어 래치(32)가 수용되는 제1 부분(111)을 제외하고, 도어(12)와 본체(10)의 이격 거리를 형성하는 제2 부분(112)이 10 내지 20 mm의 두께(T)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 수용부(120)는, 도어(12)의 후면과 마주하는 몸체부(110)의 일 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게 형성되어, 도어(12)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도어 래치(32)를 수용한다. 래치 수용부(120)의 형상은 도어 래치(32)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 래치(32)의 형상에 따라 도어 래치(32)를 수용하는 래치 수용부(120)의 형상 또한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래치 수용부(120)는 몸체부(110) 중 상기 제1 부분(11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래치 수용부(12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일 면에서 일부가 리세스되게 형성되어, 몸체부(110)의 배면 측에서 바라볼 때는 상기 래치 수용부(120)가 보이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수용부(120)는 몸체부(110)를 일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몸체부(110)를 배면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래치 수용부(120)가 보이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마그넷(130)은, 자성(magnetism)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마그넷(130)은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마그넷(130)이 전자석으로 구성되는 경우, 전류의 흐름 여부에 따라 자기력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마그넷(130)은 몸체부(110)상에 구비되어, 몸체부(110)의 다른 일 면 예를 들어,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가 도어(12)에 장착된 상태에서 의류처리장치의 본체(10)의 전면과 마주하는 일 면으로 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그넷(130)의 구성에 의하면, 몸체부(110)의 일 면은 도어 래치(32)를 수용하여 도어(12)상에 고정되며, 몸체부(110)의 다른 일 면은 본체(10)의 전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는 도어(12)의 도어 래치(32)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도어의 열린 각도(A)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마그넷(130)은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마그넷(130)의 개수는 복수가 아닌 한 개로 이루질 수도 있다.
한편, 본체(10)의 전면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자성에 반응하는 본체(10)의 다른 일 면 예를 들어 본체(10)의 측면에 마그넷(130)이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마그넷(130)을 구비하는 몸체부(110)의 제2 부분(112)은 본체(10)의 측면 영역까지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마그넷(130)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내부에 인서트되어 몸체부(110)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넷(130)은 몸체부(110)의 제2 부분(112)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그넷(130)의 구성에 의하면, 마그넷(130)은 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마그넷(130)의 인서트 사출 성형을 위하여 몸체부(110)에는 마그넷(130)의 위치를 잡아주는 금형 구조(지그)를 위한 홀(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10a)은 상기 몸체부(110)의 일 면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넷(13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넷(130)은 몸체부(110)의 제2 부분(112)의 일 면에 압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도어(12)와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사이에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도어(12)와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사이에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를 배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8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의 다른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를 배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몸체부(110)는 위에서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몸체부(110)와 달리 제3 부분(113)을 더 포함한다.
몸체부(110)의 제3 부분(113)은, 제1 부분(111)으로부터 일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2 부분(112)으로부터 고리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도어(12)의 전면과 측면을 함께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부분(111)에는 래치 수용부(120)가 형성되고, 제2 부분(112)에는 마그넷(13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부분(113)의 연장된 단부에는, 도어(12)의 전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113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13a)의 일 면에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 구조를 갖는 요철부(11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의 구조에 의하면, 제1 부분(111)에 형성되는 래치 수용부(120)에 도어 래치(32)가 수용되고, 제2 부분(112)에는 마그넷(130)이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의 본체(10)에 부착 고정될 수 있고, 제3 부분(113)이 도어(12)의 전면과 측면을 함께 감싸면서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제3 부분(113)에 형성되는 돌기부(113a)에 의해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의 장착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래치 수용부(12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측면(110b)을 향하여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2)의 일부만 열린 상태에서도 도어(12)의 개구된 측면을 통하여 몸체부(110)를 삽입하여 래치 수용부(120)에 도어 래치(32)를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래치 수용부(120)의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마그넷(130)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제2 부분(112)의 일 면에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제2 부분(112) 내부에 인서트되어 몸체부(110) 중 제2 부분(110)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마그넷(130)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중심에서 몸체부(110)의 측면(110b)으로 편심되게 배치되어, 본체(10)의 전면과 마주하는 몸체부(110)의 일 면과, 마그넷(130)과 인접하는 몸체부(110)의 측면(110b)으로 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의 사용 후 보관 시 몸체부(110)의 측면(110b)을 자성에 반응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부재상에 부착 가능하여,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 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140)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의류처리장치의 본체(10)의 전면과 마주하는 몸체부(110)의 일 면상에 형성된다. 미끄럼 방지 부재(140)는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140)는 몸체부(110)를 일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래치 수용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부(140a)를 구비할 수 있다.
참고로, 이상에서 도 8 내지 도 10b을 참조하여 설명한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의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의 동일한 참조번호와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0 : 도어 열림 고정 장치 110 : 몸체부
110a : 홀 110b : 몸체부의 측면
111 : 제1 부분 112 : 제2 부분
113 : 제3 부분 113a : 돌기부
113a' : 요철부 120 : 래치 수용부
130 : 마그넷 140 : 미끄럼 방지 부재
140a : 개구부 10 : 본체
10a : 전면 패널 10a' : 의류 투입구
10a" : 로킹 박스 11 : 컨트롤 유닛
12 : 도어 13 : 도어 프레임
14 : 아우터 프레임 19 : 이너 프레임
23 : 도어 윈도우 24 : 힌지 유닛
25 : 힌지 26 : 베이스부
27 : 회전 결합부 30 : 로킹 유닛
32 : 도어 래치 35 : 손잡이

Claims (11)

  1. 전면에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후면과 상기 본체의 전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몸체부;
    상기 도어의 후면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 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도어 래치를 수용하는 래치 수용부; 및
    자성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상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다른 일 면으로 자기력을 형성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래치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일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상기 마그넷을 구비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고리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과 측면을 감싸는 제3 부분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를 일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향하여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용 열림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몸체부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편심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 면과, 상기 마그넷과 인접하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으로 상기 자기력을 형성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인서트되어 상기 몸체부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인서트 사출에 의한 성형으로 상기 몸체부상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인서트 사출 시 상기 마그넷을 고정시키는 지그에 의해 일 면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전면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 면상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용 열림 고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도어의 열린 각도를 4° 내지 5.2°로 형성시키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용 열림 고정 장치.
KR1020190099750A 2019-08-14 2019-08-14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KR20210020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750A KR20210020444A (ko) 2019-08-14 2019-08-14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750A KR20210020444A (ko) 2019-08-14 2019-08-14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444A true KR20210020444A (ko) 2021-02-24

Family

ID=7468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750A KR20210020444A (ko) 2019-08-14 2019-08-14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04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952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65073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772971B1 (ko) 세탁물 처리장치
US1020842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detergent insert door
KR20110013007A (ko) 도어 어셈블리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US20140319983A1 (en) Door assembly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738405B2 (en) Washing machine
US979063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5780399A (zh) 衣物处理装置
TW201702456A (zh) 洗衣處理裝置
US20070209403A1 (en) Washing machine
RU2329341C2 (ru) Стиральная/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JP2018506313A (ja) 衣類処理装置
KR20210020444A (ko)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열림 고정 장치
KR20160084327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도어
US20140265781A1 (en) Panel with magnetic hinge
CN111041785B (zh) 衣物处理设备和衣物处理设备的门体组件
CN117980555A (zh) 具有打开和关闭前门组件的家用电器
KR102257624B1 (ko) 의류처리장치
EP2740832A1 (en) Laundry treatment device with door assembly
KR100776593B1 (ko) 드럼세탁기
KR100452371B1 (ko) 건조기의 도어
US8459065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housing thereof
JP2021029724A (ja) 洗濯機
KR20170081469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