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104A -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104A
KR20140142104A KR1020130063731A KR20130063731A KR20140142104A KR 20140142104 A KR20140142104 A KR 20140142104A KR 1020130063731 A KR1020130063731 A KR 1020130063731A KR 20130063731 A KR20130063731 A KR 20130063731A KR 20140142104 A KR20140142104 A KR 20140142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frame
battery
inner frame
duralu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8366B1 (ko
Inventor
이덕신
김현성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주)진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라이 filed Critical (주)진라이
Priority to KR102013006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366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마그네슘 합금이나 단일의 스틸재질로 제작되던 시트프레임과 합성수지재의 테두리프레임의 재질 및 구조를 변경하여 요구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보다 작은 중량에 방열성능이 더욱 우수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패널이 고정 결합되며, 후면에 메인보드 및 배터리가 각각 결합되는 판상의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테두리프레임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두랄루민(Duralumin)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테두리프레임은,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INNER FRAME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메인보드 사이에 설치되고, 디스플레이패널과 메인보드를 각각 지지하면서 메인보드에 실장된 각종 전자부품 및 디스플레이패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기술 발전에 의해 통신장비가 소형화되고,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의해 통신장비의 이동성이 우수해짐에 따라, 현대인은 PDA와 휴대전화기 등 통신을 위한 각종 휴대용 단말기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와 디스플레이부의 결합 및 개폐방식에 따라 폴더형(Folder Type), 플립형(Flip Type), 슬라이드형(Slide Type), 스윙형(Swing Type), 각각의 복합형(Complex Type) 또는 바형(Bar Type) 등의 휴대용 단말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전자기술 및 이동통신기술의 세대(Generation)가 발전할수록 휴대용 단말기는 본래의 용도인 원거리에서의 의사소통수단을 넘어, 소위 내 손안의 컴퓨터로서 다양한 부가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즉, 고화질의 디지털카메라를 부착시켜 카메라 기능을 부가하였고, 메모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고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하여 엠피쓰리(MP3), 각종 게임 및 영화를 플레이할 수 있으며, 그외 GPS나 온라인 통신 등 복합기능의 휴대폰인 소위 스마트폰 시대가 열렸다.
특히, 터치스크린 기술에 의해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에 필수적으로 구비되던 복수의 버튼이 구비된 자판이 실종되어 상술한 다양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중 바형(Bar Type)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왜냐하면 별도의 자판이 필요없는 대신에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패널이 필요하고, 많은 기능의 추가로 인해 CPU 및 각종 칩이 탑재된 메인보드가 커지기 때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 중 내부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는, 전면케이스(10) 및 후면케이스(20)와, 상기 전면케이스(10) 및 후면케이스(20) 사이에 설치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패널(31)이 고정 결합되며, 후면에 메인보드(32) 및 배터리(33)가 각각 결합되는 내부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부프레임(3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디스플레이패널(31), 메인보드(32) 및 배터리(33)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1) 중 내부프레임(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디스플레이패널(31)이 안착되고, 후면의 메인보드(32) 및 배터리(33)가 결합되는 판상의 시트프레임(30a)과, 상기 시트프레임(30a)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전면케이스(10) 및 후면케이스(20)가 고정 결합되는 테두리프레임(30b)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내부프레임(30)은 시대적 흐름상 박형의 휴대용 단말기(1)를 제작하기 위해, 당연히 내부프레임(30) 역시 초박형으로 형성할 수밖에 없고, 또한 박형의 휴대용 단말기(1)라도 낙하충격에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프레임(30)의 강도도 좋아야 한다. 더불어, 내부프레임(30) 중 시트프레임(30a)은 특히 디스플레이패널(31), 각종 칩(32a)이 실장된 메인보드(32) 및 배터리(33)가 접촉 결합되므로 방열성능도 좋아야 한다. 즉, 상기 내부프레임(30)은 초박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야 하고, 낙하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강도도 좋아야 하며, 방열성능도 뛰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부프레임(30)의 구성 중 테두리프레임(30b)은 합성수지재로서, 상기 시트프레임(30a)을 인서트(insert)로 하여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이때 상기 내부프레임(30) 중 시트프레임(30a)의 재질은,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마그네슘(Mg)과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철금속 합금(Mg-Al계 합금)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순수 마그네슘은 활성이 매우 높고, 주조, 연마 등의 가공시 발화 위험성이 클뿐 아니라 강도 및 부식성 등의 일반적인 특성이 구조재로 사용되기에 적합하지 못하지만, 알루미늄 등과의 합금으로 제공되면 대폭 안정화되는 동시에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진다.
예컨대,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이 첨가되면 기계적 성질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Mn이 첨가되면 내식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함량만큼 Fe, Cu, Ni의 첨가량을 줄일 수 있으며, Ag를 첨가하면 내열 강도를 개선시키게 되고, Zn이 첨가되면 내식성과 강도가 개선되며, Si가 첨가되면 크리프 강도가 개선되며, Zr이 첨가되면 결정립을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마그네슘에 희토류 원소가 첨가되면 주조 특성을 향상시키고, 용해와 주조시 산화를 방지하며, 이때 희토류 원소들은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상술한 각종 원소들이 첨가된 마그네슘 합금은 주조성이 우수하여 치수안정성이 뛰어나고, 다소 높은 강도를 유지하며, 합성수지에 비해 열전도도가 우수하여 장시간 사용에 따른 내부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상기 내부프레임(30)의 구성 중 시트프레임(30a)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그네슘 합금 재질의 시트프레임(30a)을 정밀주조방법인 다이캐스팅으로 제작한 후, 제작된 시트프레임(30a)을 인서트로 하여 합성수지재인 테두리프레임(30b)를 인서트 사출성형함으로써 내부프레임(30)을 일체로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시트프레임(30a)을 마그네슘 합금으로 다이캐스팅으로 제작할 시, 희토류 원소나 기타 비철금속 등을 첨가하여 합금을 형성하는데 생산비용이 너무나 고가이고, 더욱이 시트프레임(30a)을 아무리 초박형으로 제작하더라도 최소한의 요구강도를 맞추기 위해서는 그 두께가 0.8mm는 되어야 하므로 그 이하로 두께를 줄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시트프레임(30a)의 제작상 문제를 해결하고자 SUS(Stainless Use Steel) 재질을 사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 즉, 스틸재질은 마그네슘 합금보다는 생산비용을 확연히 줄일 수 있고, 훨씬 얇은 두께로도 최소한의 요구강도를 맞출 수 있으며, 마그네슘 합금보다는 못하지만 금속재질로서 방열성능도 확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트프레임(30a)을 스틸재질로 형성하여 보다 초박형으로 제작하고, 생산비용을 낮추면서 요구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방열성능도 갖추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틸재질의 시트프레임(30a) 역시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는데, 최근 메인보드(32)에 실장되는 각종 칩(32a)의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고열로 인한 방열성능이 뒤떨어진다는 문제와 함께, 마그네슘 합금보다 박형으로 제작되지만 그 중량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시트프레임(30a)에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있으나, 알루미늄 합금은 저중량에 방열성능도 가장 우수하지만 요구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어 시트프레임(30a)에 알루미늄 합금만을 사용한다는 것은 생각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마그네슘 합금이나 단일의 스틸재질로 제작되던 시트프레임 및 합성수지재의 테두리프레임의 재질 및 구조를 변경하여 요구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보다 작은 중량에 방열성능이 더욱 우수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은,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패널이 고정 결합되며, 후면에 메인보드 및 배터리가 각각 결합되는 판상의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테두리프레임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두랄루민(Duralumin)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테두리프레임은,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프레임은, 두랄루민 재질로 된 판상의 시트에 복수의 리벳홀이 관통 형성되도록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고, 상기 시트프레임의 후면에 상기 배터리의 외측 둘레를 지지하도록 상기 시트프레임의 리벳홀에 리벳을 통해 고정 결합되는 스틸재질로 된 배터리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프레임은, 상기 시트프레임을 인서트로 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은, 종래의 마그네슘 합금이나 단일의 스틸재질로 제작되던 시트프레임 및 합성수지재의 테두리프레임의 재질 및 구조를 변경하여 두랄루민 재질로 된 시트프레임과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로 된 테두리프레임을 통해 요구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마그네슘 합금에 비해 생산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단일의 스틸재질로 제작되던 종래의 시트프레임보다 보다 두랄루민 재질로 된 시트프레임을 통해 작은 중량에도 방열성능은 더욱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두랄루민 재질의 시트프레임에 스틸재질의 배터리고정구를 종래와 같이 용접결합할 수 없으므로 시트프레임에 리벳홀을 관통 형성하여 배터리고정구를 시트프레임에 리벳을 통해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 중 내부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 중 시트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실시예 중 시트프레임으로부터 배터리고정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에에서 시트프레임과 배터리고정구를 리벳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과 종래 기술에 따른 내부프레임들과의 재질별 발열 평가에 따른 시험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과 종래 기술에 따른 내부프레임들과의 재질별 강성 평가에 따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은,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100), 테두리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배터리고정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30)은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휴대용 단말기(1)의 일 구성으로서 전면케이스(10) 및 후면케이스(20) 사이에 설치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패널(31)이 고정 결합되며, 후면에 메인보드(32) 및 배터리(33)가 각각 결합되는 판상의 시트프레임(100)과, 상기 시트프레임(100)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전면케이스(10) 및 후면케이스(20)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테두리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1)의 각 구성인 전면케이스(10), 후면케이스(20), 디스플레이패널(31), 메인보드(32), 배터리(33) 및 내부프레임(30) 중에서 본 발명은 내부프레임(30)에 관한 것이고, 특히 내부프레임(30)의 구성 중 시트프레임(100) 및 테두리프레임(200)의 재질 및 구조 변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의 내부프레임(30) 중 시트프레임(100)은 도 4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랄루민(Duralumin) 재질로 제작된다. 두랄루민은 독일의 알프레드 빌름이 20세기 초에 발명한 것으로 구리 4%, 마그네슘 0.5%를 알루미늄에 넣은 합금이다. 이러한 두랄루미늄은 고온에서 급냉시켜 평온에 방치해 두면 점점 단단해져서 강하게 되는 특성이 있는데, 이를 시효경화라고 한다. 이렇게 제작되는 두랄루민은 첨가되는 마그네슘의 양을 늘려서 보다 강한 합금으로 개량할 수도 있다. 두랄루민의 특징은 고강도를 가지면서도 방열성능이 뛰어나고, 저중량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그에 따라, 시트프레임(100)의 기능적인 측면에 가장 부합하는 재질로서 두랄루민을 사용한 것이다. 다만, 두랄루민 재질의 시트프레임만으로는 일반 알루미늄 재질에 비해 강도가 높더라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재질이나 마그네슘 다이캐스팅보다는 강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10은 시트프레임(100)과 테두리프레임(200)이 결합된 내부프레임(30)을 각 재질별로 X축 3point Bending Test를 통해 5kgf까지 하중 인가시 내부프레임(30)의 변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테두리프레임(200)는 일반 합성수지재이고, 시트프레임(100)을 각각 두랄루민, 마그네슘 다이캐스트 및 스틸재질로 제작하여 실험한 결과, 당연히 스틸재질의 시트프레임(100)이 가장 높은 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두랄루민 재질로 된 시트프레임(100)에 또 다른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 한 시트프레임(100)으로 두랄루민을 사용할 수 없을 것이다. 시트프레임(100)으로 두랄루민 재질을 사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시트프레임(100)을 다른 구성으로 변경하는 것보다 내부프레임(30)을 구성하는 테두리프레임(200)의 재질을 변경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내부프레임(30)을 구성하는 테두리프레임(200)은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제작된다.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는 섬유강화 복합소재(FRP) 중 섬유를 유리섬유로 사용한 것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성형성이 좋다. 이러한 테두리프레임(200)은 유리섬유를 수지로 다층 접착하여 경화시킨 복합재료로서, 유리섬유의 방향성에 따라 일정한 방향성 없이 산개되어 있는 Non-Axial Type, 일방향성을 갖는 Mono-Axial Type, 이방향성을 갖는 Biaxial Type 및 그 이상의 방향성을 갖는 Multi-Axial Type 등으로 구별된다. 상기 테두리프레임(200)은 전술한 유리섬유의 방향성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를 형성하기 위해 전술한 유리섬유를 다층 접착하는 수지로는 일반적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이용된다. 이러한 테두리프레임(200)은 상기 시트프레임(100)을 인서트로 하여 일체로 사출성형 됨으로써 내부프레임(3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두리프레임(200)이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로 제작되고, 시트프레임(100)을 두랄루민 재질로 제작하여 본 발명의 내부프레임(30)을 형성할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100)을 스틸재질이나 마그네슘 다이캐스팅으로 제작할 때보다 월등히 높은 강도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높은 강도의 내부프레임(30)에도 불구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100)이 두랄루민 재질이므로 종래의 스틸재질이나 마그네슘 다이캐스트보다 방열성능은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시트프레임(100)의 후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보드(32)의 칩(32a)이나 배터리(33)가 안착되는데, 시트프레임(100)의 후면에 식각 공정을 통해 메인보드(32)의 칩(32a)이나 배터리(33)가 안착되도록 함몰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휴대용 단말기(1)의 박형화 및 접촉에 따른 방열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이다. 물론, 시트프레임(100)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종래 요구되는 강도를 만족한다면 별도의 칩(32a)이나 배터리(33)가 안착되는 함몰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여하튼 시트프레임(100)의 후면에 배터리(33)가 안착될 때 배터리(33)를 고정시키기 위해 배터리고정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고정구(300)는 종래부터 배터리(33)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스틸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배터리고정구(300)는 종래 시트프레임(100)의 후면에 용접 결합되어 왔으나,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0)은 두랄루민 재질로서 스틸재질의 배터리고정구(300)와 용접 결합될 수 없다. 이를 위하여,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프레임(100)은 두랄루민 재질로 된 판상의 시트에 복수의 리벳홀(110)이 관통 형성되도록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고정구(300)는 상기 시트프레임(100)의 후면에 상기 배터리(33)의 외측 둘레를 지지하도록 상기 시트프레임(100)의 리벳홀(110)에 리벳(310)을 통해 고정 결합된다. 즉, 배터리고정구(300)와 시트프레임(100)은 상호 이종재질로서 용접결합이 아닌 리벳결합을 통해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각각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1)의 내부프레임(30)의 제작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두랄루민 재질로 된 판상의 시트를 복수의 리벳홀(110)이 형성되도록 프레스 가공하여 시트프레임(100)을 제작한다(S1). 이렇게 제작된 시트프레임(100)의 후면에 식각을 통해 메인보드(32)의 칩(32a)이나 배터리(33)가 안착되도록 함몰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S2). 시트프레임(100)의 제작이 완료되면, 시트프레임(100)의 후면에 배터리고정구(300)를 위치시킨 후 리벳홀(110)에 리벳(310)을 통해 배터리고정구(300)를 시트프레임(100)의 후면에 고정 결합한다(S3). 배터리고정구(300)가 결합된 시트프레임(100)을 인서트로 하여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 재질의 테두리프레임(200)을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내부프레임(30)의 제작이 완료된다(S4).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의 내부프레임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시트프레임(100)을 스틸재질이나 마그네슘 다이캐스팅으로 제작한 것에 비하여 두랄루민으로 제작함으로써 우수한 방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프레임(200)을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GFRP)로 제작함으로써 고강도를 이루어낼 수 있다. 특히, 두랄루민 재질의 시트프레임(100)과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GFRP) 재질의 테두리프레임(200)의 결합으로 인해 우수한 방열성능 및 고강도를 담보하면서도 저중량의 내부프레임(30)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 휴대용 단말기
10 : 전면케이스
20 : 후면케이스
30 : 내부프레임 31 : 디스플레이패널
32 : 메인보드 32a : 칩
33 : 배터리
100 : 시트프레임 110 : 리벳홀
200 : 테두리프레임
300 : 배터리고정구 310 : 리벳

Claims (3)

  1.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패널이 고정 결합되며, 후면에 메인보드 및 배터리가 각각 결합되는 판상의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테두리프레임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두랄루민(Duralumin)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테두리프레임은,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두랄루민 재질로 된 판상의 시트에 복수의 리벳홀이 관통 형성되도록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고,
    상기 시트프레임의 후면에 상기 배터리의 외측 둘레를 지지하도록 상기 시트프레임의 리벳홀에 리벳을 통해 고정 결합되는 스틸재질로 된 배터리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프레임은,
    상기 시트프레임을 인서트로 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KR1020130063731A 2013-06-03 2013-06-03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KR101498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731A KR101498366B1 (ko) 2013-06-03 2013-06-03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731A KR101498366B1 (ko) 2013-06-03 2013-06-03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104A true KR20140142104A (ko) 2014-12-11
KR101498366B1 KR101498366B1 (ko) 2015-03-03

Family

ID=5245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731A KR101498366B1 (ko) 2013-06-03 2013-06-03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3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235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6204339A1 (en) * 2015-06-19 2016-12-22 Tianjin M&C Electronics Co., Ltd. Metal fr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etal fram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60149792A (ko) * 2015-06-19 2016-12-28 천진엠앤씨전자유한공사 이동통신단말기용 금속프레임의 제조방법
WO2017104933A1 (ko) * 2015-12-14 2017-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하우징 제작 방법
US10575414B2 (en) 2015-12-15 2020-02-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878Y1 (ko) * 2008-07-02 2009-06-11 (주)대영케이티엑스 휴대폰용 슬라이더 유닛
US8735874B2 (en) * 2011-02-14 2014-05-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64103B1 (ko) * 2012-08-20 2013-05-14 주식회사 영진전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235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6204339A1 (en) * 2015-06-19 2016-12-22 Tianjin M&C Electronics Co., Ltd. Metal fr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etal fram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60149792A (ko) * 2015-06-19 2016-12-28 천진엠앤씨전자유한공사 이동통신단말기용 금속프레임의 제조방법
US10320960B2 (en) 2015-06-19 2019-06-11 Tianjin M&C Electronics Co., Ltd. Metal fr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etal fram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7104933A1 (ko) * 2015-12-14 2017-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하우징 제작 방법
US10627858B2 (en) 2015-12-14 2020-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using of same
US10575414B2 (en) 2015-12-15 2020-02-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366B1 (ko) 201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3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US6996425B2 (en) Cellular phone housing
JP5012825B2 (ja) 携帯機器の筐体
JP5244282B2 (ja) 電子機器用およ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ー用の改良金属フレーム
CN102763295B (zh) 具有模塑塑料支撑架的阳极化处理多层金属壳体的外壳及制造方法
US827959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nic apparatus
WO2007023846A1 (ja) 表示ユニットを有する携帯機器
US20110223382A1 (en) Housing structure
US8456824B2 (en) Housing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5072218A (zh) 显示屏结构及移动终端设备
US7700180B2 (en) Components integrating structure
US20120155052A1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629669A (ja) 電子機器用匡体
KR1013590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TW200908851A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assembly
US8724299B2 (en) External componen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264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KR101966949B1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022891A (ja) 携帯端末
JP7300277B2 (ja) 電子機器用筐体、展開図状金属樹脂接合板、電子機器用筐体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装置
CN200965582Y (zh) 镜头连接器
US7782598B2 (e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CN116782551A (zh) 用于电子设备的壳体、电子设备及可折叠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