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545A - 통신시스템, 이동국 및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 이동국 및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545A
KR20140140545A KR1020147024662A KR20147024662A KR20140140545A KR 20140140545 A KR20140140545 A KR 20140140545A KR 1020147024662 A KR1020147024662 A KR 1020147024662A KR 20147024662 A KR20147024662 A KR 20147024662A KR 20140140545 A KR20140140545 A KR 20140140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network
radio access
internet protocol
mobile station
servic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츠마 타나카
마사토 타치키
신야 타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4014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9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adapted for mobile IP [M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hand-off failure or re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IMS)에 따른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국이 IP―CAN으로의 재접속을 시도함에 따른 IP―CAN의 처리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이동국 및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UE(100)는,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에 대응한 LTE와,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3G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P―CAN에 접속 가능하다. UE(100)는, LTE로부터 3G로의 천이 후에 있어서,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SGSN으로부터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접속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경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3G에 재권하고 있을 때에 한해서, IP 액세스 네트워크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한다.

Description

통신시스템, 이동국 및 통신방법 {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시스템, 이동국 및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Long Term Evolution(LTE)에서는, 이동국(UE)이, Session Initiation Protocol(SIP) 및 음성 미디어의 트랜스포트 기능을 제공하는 IP 액세스 네트워크인 IP―Connectivity Access Network(IP―CAN) 상에, SIP 및 음성 미디어용 논리적인 통신로인 IP―CAN Bearer(SIP bearer)를 확립하고, LTE에서의 음성통신(VoLTE)을 실현하는 시스템이 규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또, IP―CAN Bearer가 어떠한 원인(예를 들면, 이동국의 UTRAN/GERAN으로의 핸드오버나 네트워크측의 오버로드 상태 등)으로 해방된 경우, 이동국은, IP―CAN으로의 재접속 수순을 실행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
도 1은, 이동국이 E―UTRAN(LTE) 경유로 IP―CAN Bearer를 확립한 후,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인 UTRAN/GERAN으로의 핸드오버(천이)에 의해 IP―CAN Bearer가 해방된 경우에 있어서의 통신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이 UTRAN/GERAN으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면(S10), IP―CAN Bearer가 해방(removal)된다(S20). 또, 이동국은, 해당 핸드오버의 실행 후, IP―CAN으로의 재접속 수순을 실행한다(S30).
비특허문헌 1: 3GPP TS 24.229 V11.2.1,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Core Network and Terminals; IP multimedia call control protocol based on Session Initiation Protocol(SIP) and Session Description Protocol(SDP); Stage 3(Release 11), 2012년 1월 비특허문헌 2: 3GPP TS 23.228 V11.3.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vices and System Aspects; IP Multimedia Subsystem(IMS); Stage 2(Release 11), 2011년 12월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이동국에 따른 IP―CAN으로의 재접속 수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이동국이 E―UTRAN(LTE)으로부터 UTRAN/GERAN으로 핸드오버함으로써 IP―CAN Bearer가 일단 해방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국은, IP―CAN으로의 재접속 수순을 실행하지만, UTRAN/GERAN은, SIP 및 음성 미디어의 트랜스포트에 필요한 대역을 제공하는 능력을 구비하고 있지 않거나,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PCRF)이나 Primary―Call Session Control Function(P―CSCF) 등에 의해 구성되는 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IMS)을 통한 서비스(예를 들면, SIP를 이용한 음성통화)에 대응하고 있지 않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이동국은, IP―CAN으로의 재접속 수순을 반드시 실행하기 때문에, 해당 재접속 수순이 반복됨으로써, IP―CAN의 처리 부하가 쓸데없이 증대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IMS)에 따른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국이 IP―CAN으로의 재접속을 시도함에 따른 IP―CAN의 처리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이동국 및 통신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대응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P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이동국과,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와 통신 가능한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경유로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재접속 요구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이용하는 APN에 접속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거부 통지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접속 거부 통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천이 후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재권(在圈)하고 있을 때에 한해서,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하는 재접속 중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대응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P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천이 후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와 통신 가능한 교환기로부터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이용하는 APN에 접속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재권하고 있을 때에 한해서,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하는 재접속 중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대응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P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이동국과,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와 통신 가능한 교환기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가,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경유로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재접속 요구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이용하는 APN에 접속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거부 통지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천이 후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IP―CAN Bearer가 해방된 경우에 있어서의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교환기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동작 흐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수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수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하는 것이다. 또,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수치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10)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시스템(10)은, 이동국(100)(이하, UE(100)), IP―Connectivity Access Network(200)(이하, IP―CAN(200)) 및 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300)(이하, IMS(300))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UE(100)는, Long Term Evolution(LTE) 및 3G(W―CDMA) 방식에 따른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UE(100)는, LTE 또는 3G 방식에 따라, IP―CAN(200)에 접속 가능하다. 또, UE(100)는, IP―CAN(200)를 경유하여, IMS(300)로의 UE(100)의 Registration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UE(100)는, 3GPP TS24.229의 제5.1.1.1절이나 L3.1.2절에 있어서 규정되어 있는 Registration 수순에 따라 IMS(300)로의 UE(100)의 등록을 실행할 수 있다.
LTE(E―UTRAN)는, IMS(300)에 의한 서비스에 대응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또, 3G(UTRAN)는,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따른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UE(100)은, LTE와 3G의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IP―CAN(200)에 접속 가능하다. 또한, 3G를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따른 서비스에 대응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하고, LTE를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따른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해도 좋다.
IP―CAN(200)은, 인터넷 프로토콜(IP)에 따른 IP 액세스 네트워크이다. 구체적으로는, IP―CAN(200)은, Session Initiation Protocol(SIP) 및 음성 미디어의 트랜스포트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LTE/Evolved Packet Core(EPC) 네트워크에 상당한다.
IP―CAN(200)은, Mobility Management Entity(MME), Serving Gateway(SGW), Packet Data Network Gateway(PGW),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PCRF) 및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210)(교환기)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UE(100)와 SGSN(210)에 의해 통신시스템을 구성한다.
MME는, eNodeB(무선기지국)를 수용하고, 모빌리티 제어나 베어러 제어 기능 등을 제공하는 교환기이다. SGW는, 3GPP(LTE)의 액세스 시스템을 수용하는 재권(在圈) 패킷 교환기이다. PGW는, IMS 기반과의 접속점이며, IP 어드레스의 할당이나 SGW로의 패킷 전송 등을 수행하는 패킷 교환기이다. 또, PGW는, PCRF와 연계하여, QoS 제어나 베어러 설정 제어 등을 실행한다. PCRF는, 유저 데이터 전송의 QoS 및 과금을 위한 제어를 실행하는 논리 노드이다. SGSN은, UTRAN(3G) 액세스 시스템을 수용하는 패킷 교환기이다.
IMS(300)는,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이며, Primary―Call Session Control Function(P―CSCF), Interrogat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I―CSCF), Serv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S―CSCF) 및 Application Server(AS)를 포함한다.
P―CSCF는, EPC와의 접속점에 배치되는 SIP 중계 서버이며, SIP의 전송뿐 아니라, EPC(PCRF)와 연계하여, QoS 제어를 기동하거나, IP―CAN Bearer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IMS(300)에는, 타망(他網)(고정 전화망 등)이 접속된다.
(2) 통신시스템의 기능 블록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UE(100) 및 SGSN(210)의 기능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2.1) SGSN(210)
도 3은, SGSN(21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SGSN(210)은, IMS(300)와 통신 가능한 교환기이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GSN(210)은, 접속 가능여부 판정부(211) 및 접속 거부 통지부(213)를 구비한다.
접속 가능여부 판정부(211)는, UE(100)로부터 수신한 IP―CAN(200)으로의 재접속 요구, 구체적으로는, Activate PDP Context Request(접속처:IMS APN)를 수신한 경우, UE(100)가 IP―CAN(200)으로의 재접속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접속 가능여부 판정부(211)는, 3G(UTRAN) 경유로 IP―CAN(200)으로의 재접속 요구를 UE(100)로부터 수신한 경우, 3G가 IMS(300)를 통한 서비스(예를 들면, SIP를 이용한 음성통화)에 대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UE(100)의 IP―CAN(200)으로의 재접속을 부정한다. 한편, 접속 가능여부 판정부(211)는, LTE(E―UTRAN) 경유로 IP―CAN(200)으로의 재접속 요구를 UE(100)로부터 수신한 경우, LTE가 IMS(300)를 통한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UE(100)의 IP―CAN(200)으로의 재접속을 긍정한다.
접속 거부 통지부(213)는, 접속 가능여부 판정부(211)에 따른 재접속의 가능여부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IMS(300)에 접속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거부 통지, 구체적으로는, Activate PDP Context Reject를 UE(100)로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거부 통지부(213)는, 3G 경유로 IP―CAN(200)으로의 재접속 요구를 UE(100)로부터 수신한 경우, Activate PDP Context Reject를 UE(100)로 송신한다. 접속 거부 통지부(213)는, 소정의 Cause Value(예를 들면, SM Cause #32(Service Option not supported))를 포함하는 Activate PDP Context Reject를 UE(100)로 송신한다. 또한, Cause Value에 대해서는, #32 이외에도, 예를 들면, #27(Missing/Unknown APN)이나 #31 등을 이용해도 좋다.
(2.2) UE(100)
도 4는, UE(1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100)는, 재접속 실행부(110) 및 재접속 중지부(120)를 구비한다.
재접속 실행부(110)는, IP―CAN(200)으로의 재접속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접속 실행부(110)는, UE(100)와, IP―CAN(200)을 구성하는 PGW와의 사이에 있어서 확립된 논리적인 통신 경로인 IP―CAN Bearer가 어떠한 이유로 해방된 경우, Activate PDP Context Request(접속처:IMS APN)를 SGSN(210)으로 송신하고, IP―CAN(200)의 재접속을 실행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접속 실행부(110)는, UE(100)가 LTE로부터 3G로 천이한 후, 3G에 재권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IP―CAN(200)의 재접속을 시도한다. 또한, 천이에는, LTE로부터 3G로의 핸드오버나 리다이렉션이 포함된다.
재접속 중지부(120)는, 재접속 실행부(110)에 의한 IP―CAN(200)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접속 중지부(120)는, LTE로부터 3G로의 천이 후에 있어서, SGSN(210)으로부터 접속 거부 통지(Activate PDP Context Reject)를 수신한 경우, IP―CAN(200)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한다. 또한, 재접속 중지부(120)는,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3G에 재권하고 있을 때에 한해서, IP―CAN(200)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접속 중지부(120)는, Non―Access―Stratum 레이어(121)(이하, NAS 레이어(121)), 및 NAS 레이어(121)의 상위에 위치하는 상위 레이어(123)로 구성된다.
NAS 레이어(121)는, SGSN(210)으로부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다. 상위 레이어(123)는, 구체적으로는, IMS 애플리케이션이며, NAS 레이어(121)로부터 수신한 접속 거부 통지에 기초하여, IMS(300)를 Deregistered 상태로 설정한다. 즉, 상위 레이어(123)가 IMS(300)를 Deregistered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IMS(300)에 의한 서비스의 이용이 중지된다.
또, NAS 레이어(121)는, UE(100)가 3G로의 접속을 계속하고 있는 동안, IP―CAN(200)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해도 좋다. 즉, NAS 레이어(121)는, 동일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계속해서 접속하는 한에 있어서는, SGSN(210)에 의해 재접속이 거부된 IP―CAN으로의 재접속을 실행하지 않는다.
(3) 통신시스템의 동작
도 5는, UE(100) 및 SGSN(210)에 의한 IP―CAN(200)으로의 재접속의 중지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100), 구체적으로는 NAS 레이어(121)는, IMS용 IP―CAN(IP―CAN(200))으로 재접속 요구를 송신한다(S110). 구체적으로는, NAS 레이어(121)는, Activate PDP Context Request(접속처:IMS APN)를 SGSN(210)으로 송신한다. 또한, 여기서는, UE(100)가 LTE로부터 3G로 천이하여 3G에 재권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Activate PDP Context Request를 수신한 SGSN(210)은, UE(100)가 3G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IP―CAN을 경유하여 IMS(300)로 접속할 수 없다고 판정한다(S120). 그래서, SGSN(210)은, IMS(300)에 접속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거부 통지를 UE(100)로 송신한다(S130). 구체적으로는, SGSN(210)은, 소정의 Cause Value(Cause #32)를 포함하는 Activate PDP Context Reject(Cause #32)를 UE(100)로 송신한다
Activate PDP Context Reject를 수신한 UE(100)의 NAS 레이어(121)는, IMS(300)의 이용이 불가능한 것을 상위 레이어(123)에 통지한다(S140).
IMS(300)의 이용이 불가능한 것을 통지받은 상위 레이어(123)는, IMS(300)를 Deregistered 상태로 설정한다(S150). 또, NAS 레이어(121)는, UE(100)가 동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T), 구체적으로는 3G에 재권하고 있는 동안, IP―CAN(200)으로의 재접속을 중지한다(S160). 구체적으로는, NAS 레이어(121)는, Activate PDP Context Request의 송신을 중지한다.
(4) 작용·효과
상술한 UE(100) 및 SGSN(210)에 의하면, LTE로부터 3G로의 천이 후에 있어서, SGSN(210)으로부터 접속 거부 통지(Activate PDP Context Reject)를 수신한 경우, IP―CAN(200)의 재접속 요구(Activate PDP Context Request)의 송신이 중지된다. 이 때문에, IMS(300)에 의한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G)를 통해 UE(100)가 IP―CAN(200)으로의 재접속을 시도함에 따른 IP―CAN(200)의 처리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UE(100)가 3G에 재권하고 있는 동안, IP―CAN(200)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UE(100)가 IP―CAN(200)으로의 재접속을 시도함에 따른 IP―CAN(200)의 처리 부하의 증대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5) 그 외의 실시형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으나,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가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UTRAN(3G)를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한 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UTRAN 대신에 GERAN(2G)이나 E―UTRAN(LTE)이어도 좋으며, 그 외의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이어도 좋다.
또한, E―UTRAN(LTE)인 경우, 상술한 실시형태의 SGSN(210)을 MME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UE(100)가 MME로 송신하는 신호는 Activate PDP Context가 아니라, PDN Connectivity Request가 된다. 또, MME가 UE(100)에 응답하는 신호는 PDN Connectivity Reject가 된다. 이 경우, UE(100)는 LTE에 재권하고 있는 동안, IP―CAN(200)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재접속 중지부(120)가 NAS 레이어(121) 및 상위 레이어(123)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은 반드시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NAS 레이어(121)가 IMS(300)에 의한 서비스의 이용이 중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SGSN(210)이 접속 거부 통지를 송신했으나, 다른 장치(예를 들면, SGW)가 접속 거부 통지를 UE(100)로 송신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표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MS(300)(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따른 서비스에 대응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P―CAN(200)(IP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UE(100)(이동국)와, 상기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경유로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재접속 요구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접속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거부 통지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접속 거부 통지부(213)(접속 거부 통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천이 후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하는 재접속 중지부(120)(재접속 중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중지부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하는 NAS 레이어(121)(NAS 레이어)와, 상기 NAS 레이어로부터 수신한 상기 접속 거부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을 Deregistered 상태로 설정하는 상위 레이어(123)(상위 레이어)를 포함해도 좋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중지부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계속하고 있는 동안,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따른 서비스에 대응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P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UE(100)(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천이 후에 있어서, 상기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교환기로부터 상기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접속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재권하고 있을 때에 한해서,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하는 재접속 중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따른 서비스에 대응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P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UE(100)(이동국)과, 상기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SGSN(210)(교환기)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가,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경유로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재접속 요구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에 접속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거부 통지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천이 후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청구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사항에 의해서 규정되는 것이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2―045977호(2012년 3월 1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로,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IMS)에 따른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국이 IP―CAN으로의 재접속을 시도함에 따른 IP―CAN의 처리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이동국 및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10…이동통신시스템
100…UE
110…재접속 실행부
120…재접속 중지부
121…NAS 레이어
123…상위 레이어
200…IP―CAN
210…SGSN
211…접속 가능여부 판정부
213…접속 거부 통지부
300…IMS

Claims (10)

  1.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대응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P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이동국과,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와 통신 가능한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경유로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재접속 요구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이용하는 APN에 접속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거부 통지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접속 거부 통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천이 후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재권(在圈)하고 있을 때에 한해서,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하는 재접속 중지부를 구비하는 통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는,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인 통신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중지부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하는 NAS 레이어;
    상기 NAS 레이어로부터 수신한 상기 접속 거부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을 Deregistered 상태로 설정하는 상위 레이어;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중지부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재권하고 있는 동안,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하는 통신시스템.
  5.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대응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P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천이 후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와 통신 가능한 교환기로부터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이용하는 APN에 접속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재권하고 있을 때에 한해서,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하는 재접속 중지부를 구비하는 이동국.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는,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인 이동국.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중지부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하는 NAS 레이어;
    상기 NAS 레이어로부터 수신한 상기 접속 거부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을 Deregistered 상태로 설정하는 상위 레이어;를 포함하는 이동국.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중지부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재권하고 있는 동안,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하는 이동국.
  9.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대응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IP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이동국과,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와 통신 가능한 교환기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가,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경유로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재접속 요구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에 이용하는 APN에 접속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거부 통지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천이 후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접속 거부 통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IP 액세스 네트워크의 재접속 요구의 송신을 중지하는 단계;를 갖는 통신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서비스는, IP 멀티 미디어 서브 시스템인 통신방법.

KR1020147024662A 2012-03-01 2013-02-26 통신시스템, 이동국 및 통신방법 KR201401405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45977 2012-03-01
JP2012045977A JP5290447B2 (ja) 2012-03-01 2012-03-01 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通信方法
PCT/JP2013/054874 WO2013129365A1 (ja) 2012-03-01 2013-02-26 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545A true KR20140140545A (ko) 2014-12-09

Family

ID=4908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662A KR20140140545A (ko) 2012-03-01 2013-02-26 통신시스템, 이동국 및 통신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20071B2 (ko)
EP (1) EP2822330B1 (ko)
JP (1) JP5290447B2 (ko)
KR (1) KR20140140545A (ko)
CN (1) CN104145507B (ko)
RU (1) RU2014138140A (ko)
WO (1) WO2013129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6435B2 (ja) 2013-10-22 2015-06-17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115674A (ko) * 2014-04-03 2015-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롱 텀 에볼루션 네트워크에서 보이스 오버 롱 텀 에볼루션을 위한 등록 향상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4228A (ja) * 2003-09-16 2005-04-07 Sharp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端末の自動再接続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690433B1 (en) * 2003-11-12 2008-04-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Data-capable network prioritization with reduced delays in data service
JP4355749B2 (ja) * 2008-04-03 2009-11-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移動交換局及び移動通信方法
CN101330691A (zh) * 2008-07-28 2008-12-2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多模移动终端以及VoIP业务实现方法
JP4493707B2 (ja) * 2008-08-07 2010-06-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交換局
JP5042939B2 (ja) * 2008-08-08 2012-10-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局
ES2355561B1 (es) * 2008-11-07 2012-02-02 Vodafone España, S.A.U. Establecimiento de llamada en una red de comunicacion
JP5108826B2 (ja) * 2009-04-27 2012-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配信サーバ、加入者情報管理サーバ及びセッション管理サーバ
US9392626B2 (en) * 2009-11-09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to support single radio video call continuity during handover
US9398517B2 (en) * 2010-01-11 2016-07-1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discovery of local service availability in local cellular coverage
US8934336B2 (en) * 2011-03-16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eserving session context during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service retry
ES2539910T3 (es) * 2011-07-05 2015-07-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étodo y dispositivo para gestionar el traspaso de un servicio de comunicaciones
EP3407644B1 (en) * 2011-07-05 2019-1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tran to lte hand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45507A (zh) 2014-11-12
JP5290447B2 (ja) 2013-09-18
US20150063235A1 (en) 2015-03-05
US9320071B2 (en) 2016-04-19
WO2013129365A1 (ja) 2013-09-06
CN104145507B (zh) 2018-04-13
RU2014138140A (ru) 2016-04-20
EP2822330B1 (en) 2018-08-08
JP2013183296A (ja) 2013-09-12
EP2822330A1 (en) 2015-01-07
EP2822330A4 (en)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636E1 (en) Method and apparatus of improving quality of cal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772093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handle bearers during circuit switched fallback operation
US9554364B2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EP2838283B1 (en) Mobile station for messaging services
WO2012108423A1 (ja)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管理ノード
JP5865161B2 (ja)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EP2819469A1 (en)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40140545A (ko) 통신시스템, 이동국 및 통신방법
WO2013137035A1 (ja) 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511576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