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647A -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647A
KR20140138647A KR1020147023506A KR20147023506A KR20140138647A KR 20140138647 A KR20140138647 A KR 20140138647A KR 1020147023506 A KR1020147023506 A KR 1020147023506A KR 20147023506 A KR20147023506 A KR 20147023506A KR 20140138647 A KR20140138647 A KR 20140138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rying
polarizing plate
polarizing
dry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5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64965B1 (en
Inventor
게이지 아미타니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8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6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96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염색, 가교한 후에, 건조하는 제1 건조 공정에 의해 편광 필름을 제조하고,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접합 공정과, 해당 적층체를 건조하는 제2 건조 공정을 행하여 편광판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며, 제2 건조 공정 후의 편광판 중 편광 필름의 두께 Tb에 대한, 제1 건조 공정 후이며 접합 공정 전의 편광 필름의 두께 Ta의 비 Ta/Tb가 1.02 내지 1.30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by dyeing and crosslinking a polyvinyl alcohol film and then drying the polarizing film by a first drying step of drying the polarizing film and bonding a protective film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through an adhesive layer to form a laminate And a second drying step of drying the laminate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wherein the thickness Tb of the polarizing film in the polarizing plate after the second drying step, after the first drying step and before the polarizing film before the bonding step The ratio Ta / Tb of the thickness Ta is 1.02 to 1.30.

Description

편광판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0002]

본 발명은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액정 표시 장치는 소비 전력이 적고, 저전압으로 동작하며, 경량이고 박형인 것 등의 특징을 살려 각종 표시용 디바이스에 이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셀, 편광판, 위상차 필름, 집광 시트, 확산 필름, 도광판, 광 반사 시트 등 많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성 필름의 매수를 줄이거나, 필름 또는 시트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생산성이나 경량화, 명도의 향상 등을 목표로 한 개선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re used in various display devices by taking advantage of features such as low power consumption, low voltage operation, light weight and thinnes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made up of many materials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a polarizing plate, a phase difference film, a light condensing sheet, a diffusion film,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reflection sheet. Therefore, improvements have been actively made with the aim of reducing the number of constituent films or thinning the thickness of the film or sheet, aiming at improvement in productivity, light weight, brightness and the like.

편광판은 통상,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양면 또는 한쪽면에 보호 필름이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41503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색상이 양호하고, 내구성이 좋은 편광판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 염색하고, 그 후 붕산 수용액 중에서 가교함과 함께 1축 연신하여 제작한 편광자의 표면에 보호 필름을 설치한 편광판이 개시되어 있다.The polarizing plate usu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protective film is laminat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a polarizing film includ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which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Kokai) No. 2004-341503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polarizing plate having good color and good durability. The polyvinyl alcohol film is subjected to iodine dyeing and then crosslinked in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Disclose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rotective film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a polarizer produced by axial stretching.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2-40256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합성 수지 필름의 원반의 두께,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 편광자만의 두께 및 전체 연신 배율 사이에 일정한 관계를 성립시킨 편광판이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40256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thickness of a disc of a synthetic resin film, a thickness of only a polarizer after bonding a protective film, and a total stretching magnification are established to be constant .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4150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341503 일본 특허 공개 제2002-4025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40256

특허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통상 가교 처리 후에 편광 필름의 수분율을 적절한 범위로 하기 위해 건조 처리를 행하고,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을 수계 접착제를 통해 접합한 후에, 접착제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 처리를 행한다. 건조 처리에 의하면, 편광 필름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도 있으므로 이 점에서는 편광판의 박형화에 기여하기 위해 바람직하지만, 건조 처리에 의해 편광 필름의 폭이 수축하고, 편광판의 유효 이용 면적이 좁아지는 경우가 있었다.In the method of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a drying treatment is usually carried out after the crosslinking treatment to adjus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arizing film to an appropriate range, and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are bonded through an aqueous adhesive , And drying treatment is performed to remove the solvent of the adhesive. Although the drying treatment may reduc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it is preferable to contribute to the thinning of the polarizing plate in this respect, but the width of the polarizing film shrinks due to the drying treatment and the effective area of the polarizing plate becomes narrow .

본 발명은 편광 필름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 편광 필름의 폭이 수축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건조 처리를 제어하여, 충분한 광학 성능을 갖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having sufficient optical performance by 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so as to suppress the width of the polarizing film from shrinking while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의 결과, 가교 처리 후이며 보호 필름의 접합을 행하기 전의 편광 필름에 대해서 행하는 제1 건조 공정과, 편광 필름에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의 적층체에 대하여 행하는 제2 건조 공정을 포함하는 건조 처리에 대해서, 제1 건조 공정과 제2 건조 공정의 건조 정도를 각 건조 공정 후 편광 필름의 두께가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편광 필름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 편광 필름의 폭의 수축을 억제하여, 보다 우수한 광학 성능을 갖는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As a result of intensive studie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a first drying step is carried out for a polarizing film after a crosslinking treatment and before a protective film is bonded, and a second drying step for a laminated body obtained by bonding a protective film to a polarizing film The degree of drying in the first drying step and the second drying step is controll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after each drying step satisfies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so that the width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suppressed and a polarizing plate having more excellent optical performance can be produced,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즉,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염색 공정과, 염색한 해당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가교제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지하여 가교하는 가교 공정과, 가교한 해당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건조하는 제1 건조 공정을 순서대로 행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을 제조한 후에, 해당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접합 공정과, 해당 적층체를 건조하는 제2 건조 공정을 순서대로 행하여 적층체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며, 제2 건조 공정 후의 편광판 중 편광 필름의 두께 Tb에 대한, 제1 건조 공정 후이며 접합 공정 전의 편광 필름의 두께 Ta의 비 Ta/Tb가 1.02 내지 1.30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dye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ith a dichroic dye, a step of dyeing the dy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 solution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to effect crosslinking, And a first drying step of drying the polarizing film to form a polarizing film comprising a polyvinyl alcohol film and then bonding a protective film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through an adhesive layer to form a laminated body A bonding step and a second drying step for drying the laminate are sequentially perform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laminate,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after the second drying step is subjected to a first drying step And the ratio Ta / Tb of the thickness Ta of the polarizing film before the bonding step is 1.02 to 1.30.

제1 건조 공정과 제2 건조 공정의 건조의 정도를, 편광 필름의 두께가 상술한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편광 필름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 편광 필름의 폭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By controlling the degree of drying of the first drying step and the second drying step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relationship,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width of the polarizing film while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또한, 제1 건조 공정 후이며 접합 공정 전의 편광 필름의 폭 Wa에 대한, 제2 건조 공정 후의 편광판 중 편광 필름의 폭 Wb의 비 Wb/Wa가 0.960 이상 1.000 미만이 되도록 제1 건조 공정과 제2 건조 공정의 건조의 정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atio of the width Wb of the polarizing film to the width Wb of the polarizing film after the first drying step and the width Wa of the polarizing film before the bonding step is 0.960 or more and less than 1.000,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degree of drying of the drying process.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1 건조 공정 후이며 접합 공정 전의 편광 필름의 수분율이 12 내지 45%가 되도록 제1 건조 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order to control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first drying step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arizing film after the first drying step and before the bonding step becomes 12 to 45%.

또한, 본 발명에서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판 중 편광 필름의 붕소의 함유율이 2.5 내지 4.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of boron in the polarizing film of the finally obtained polarizing plate is 2.5 to 4.5% by weight.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건조 공정은, 상기 제1 건조 공정의 최고 건조 온도보다 높은 건조 온도에서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건조 공정은, 공정 개시시의 건조 온도보다 높은 건조 온도에서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rying step includes a step of performing the treatment at a drying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aximum drying temperature of the first drying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rying step includes a step of performing the treatment at a drying temperature higher than the drying temperature at the start of the proces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접합 공정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양단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제거 공정을 더 가질 수도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have a removing step of cutting and removing both end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before the bonding step.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조 단계에서 생기는 편광 필름의 폭의 수축을 억제하면서, 박형이고 우수한 편광 성능을 갖는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having a thin and excellent polarization performance while suppressing the contraction of the width of the polarizing film produced in the production step.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염색 공정과, 염색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가교제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지하여 가교하는 가교 공정과, 가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건조하는 제1 건조 공정을 순서대로 행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을 제조한 후에,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접합 공정과, 적층체를 건조하는 제2 건조 공정을 순서대로 행하여 적층체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2 건조 공정 후의 편광판 중 편광 필름의 두께 Tb에 대한, 제1 건조 공정 후이며 접합 공정 전의 편광 필름의 두께 Ta의 비 Ta/Tb가 1.02 내지 1.30이 되도록 제1 건조 공정과 제2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의 정도를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각 재료 및 각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yeing step of dyeing a polyvinyl alcohol film with a dichromatic dye, a crosslinking step of dipping the dyed polyvinyl alcohol film in a solution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to effect crosslinking, And a first drying step of dry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are sequentially performed to produce a polarizing film comprising a polyvinyl alcohol film and then a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through an adhesive layer to form a laminate And a second drying step of drying the laminate are performed in this order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laminate.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the thickness Ta of the polarizing film before the bonding step to the thickness Ta of the polarizing film after the first drying step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Tb of the polarizing film after the second drying step is 1.02 to 1.30, And controls the degree of drying in the drying step and the second drying step. Hereinafter, the respective materials and respective step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Polyvinyl alcohol film)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이용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통상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한 것이 예시된다. 비누화도로는, 통상 8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몰% 내지 100몰%이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이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로는, 통상 10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 정도이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orm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ified by a saponified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is usually at least 85 mol%, preferably at least 90 mol%, more preferably from 99 mol% to 100 mol%. Examples of the polyvinyl acetate resin include polyvinyl acetate a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s well as copolymers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such as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xamples of other copolymerizable monomers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and unsaturated sulfonic acids.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about 1000 to 10000, and preferably about 1500 to 5000.

이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편광 필름 제조의 개시 재료로는, 두께가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의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미연신 필름을 이용한다. 또한, 미리 연신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연신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공업적으로는, 필름의 폭은 1500mm 내지 6000mm가 실용적이다.These polyvinyl alcohol resins may be modified, an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polyvinyl acetal, polyvinyl butyral and the like modified with aldehydes may be used. Normally, an unoriented film of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having a thickness of 20 탆 to 100 탆, preferably 30 탆 - 80 탆 is used as a starting material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Further, a stretched film which has been subjected to stretching treatment in advance may be used. The width of the film is practically 1500 to 6000 mm industrially.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는, 우선 미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이용하여 팽윤 공정, 염색 공정, 가교 공정, 수세 공정, 제1 건조 공정에 의한 처리를 행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한다. 미연신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공정 중에, 또는 별도 공정으로서 습식 또는 건식으로 연신 처리를 행한다. 연신은 공지된 연신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공지된 연신 방법으로는, 필름을 반송하는 2개의 닙롤 사이에 주속차를 가하여 연신을 행하는 롤간 연신, 일본 특허 제2731813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열 롤 연신법, 텐터 연신법 등이 있다. 연신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연신 처리를 더 행할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제1 건조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면 5 내지 50㎛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ing film is produced by first performing a swelling process, a dyeing process, a crosslinking process, a washing process, and a first drying process using an unstretched polyvinyl alcohol film. In the case of using an unstretched film, the film is subjected to a wet or dry stretching treatment in any one step or as a separate step. The stretching can be performed by a known stretching method. Examples of known stretching methods include inter-roll stretching in which a main speed difference is applied between two nip rolls for transporting a film, a thermal roll stretching method and a tenter stretching method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2731813, and the like. Even in the case of using a stretched film, stretching processing may be further performed.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finally obtained through the first drying step is, for example, 5 to 50 占 퐉.

[팽윤 공정][Swelling Process]

팽윤 공정은, 필름 표면의 이물질 제거, 필름 중의 가소제 제거, 후속 염색 공정에서의 이(易)염색성의 부여, 필름의 가소화 등의 목적으로 행해진다. 처리 조건은 이들 목적이 달성할 수 있는 범위이면서, 필름의 극단적인 용해, 투명성 상실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미리 기체 중에서 연신한 필름을 팽윤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의 수용액에 필름을 침지하여 행해진다. 필름의 침지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초 내지 300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초 내지 240초 정도이다. 미연신된 원반 필름을 팽윤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의 수용액에 필름을 침지하여 행해진다. 필름의 침지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초 내지 300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초 내지 240초 정도이다.The swelling process i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film surface, removing the plasticizer in the film, imparting easy dyeability in the subsequent dyeing process, plasticizing the film, and the like. The processing conditions are within a range that can achieve these purposes and are determin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problems such as extreme melting of the film and loss of transparency. When the film stretched in advance in a gas is swelled, the film i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of, for example, 20 占 폚 to 70 占 폚, preferably 30 占 폚 to 60 占 폚.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is preferably 30 seconds to 300 seconds, more preferably 60 seconds to 240 seconds. In the case of swelling the unstretched original film, the film i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of, for example, 10 캜 to 50 캜, preferably 20 캜 to 40 캜.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is preferably 30 seconds to 300 seconds, more preferably 60 seconds to 240 seconds.

팽윤 공정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1축 연신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연신 배율은, 통상 1.2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5배이다.The uniaxial stretching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be performed in the swelling step. In this case, the draw ratio is usually 1.2 to 3.0 times, preferably 1.3 to 2.5 times.

팽윤 공정에서는, 필름이 폭방향으로 팽윤하여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확폭 롤(expander roll; 익스팬더 롤), 나선형 롤, 크라운 롤, 클로스 가이더(cloth guider), 벤드 바, 텐터 클립 등 공지된 확폭 장치로 필름의 주름을 잡으면서 필름을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윤욕 중 필름 반송을 안정화시킬 목적으로, 팽윤욕 중에서의 수류를 수중 샤워로 제어하거나, EPC 장치(단부 제어(Edge Position Control) 장치: 필름의 단부를 검출하고, 필름의 사행을 방지하는 장치) 등을 병용하는 것도 유용하다. 본 공정에서는, 필름의 주행 방향으로도 필름이 팽윤 확대되기 때문에, 필름에 적극적인 연신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송 방향의 필름의 느슨함을 없애기 위해, 예를 들면 처리조 전후의 반송 롤의 속도를 조절하는 등의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하는 팽윤욕에는, 순수 이외에 붕산(일본 특허 공개 (평)10-153709호 공보에 기재), 염화물(일본 특허 공개 (평)06-281816호 공보에 기재), 무기산, 무기염, 수용성 유기 용매, 알코올류 등을 0.01중량%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첨가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swelling process, the film tends to swell in the width direction to cause wrinkles in the film.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n expander roll, a spiral roll, a crown roll, a cloth guider, It is preferable to carry the film while grasping the film with a known widening device such as a bar or a tenter clip. In order to stabilize the film transportation during the swelling bath, the water stream in the swelling bath is controlled by an underwater shower, or an EPC apparatus (Edge Position Control apparatus: a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end of the film and preventing the film from skewing) It is also useful to use it in combination. In this process, since the film swells and expands even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ilm, when the film is not actively stretched, in order to eliminate the looseness of the film in the carrying direction,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take measures such as adjustment. In addition to the pure water, boric acid (described in JP-A No. 10-153709), chloride (described in JP-A No. 06-281816), inorganic acid, inorganic salt, An organic solvent, an alcohol, or the like in an amount of 0.01 wt% to 10 wt% may be used.

[염색 공정][Dyeing Process]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공정은, 필름에 2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행해진다. 처리 조건은 이들 목적이 달성할 수 있는 범위이면서, 필름의 극단적인 용해, 투명성 상실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2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1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의 온도이면서, 중량비로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0.003 내지 0.2/0.1 내지 10/100의 농도로 30초 내지 600초, 바람직하게는 60초 내지 300초간 침지 처리를 행한다. 요오드화칼륨 대신에 다른 요오드화물, 예를 들면 요오드화아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요오드화물을 요오드화칼륨과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요오드화물 이외의 화합물, 예를 들면 붕산,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등을 공존시킬 수도 있다. 붕산을 첨가하는 경우, 요오드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하기의 붕산 처리와 구별된다.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를 0.003중량부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이면 염색조라고 간주할 수 있다.The dyeing step with the dichroic dye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dsorbing and orienting the dichroic dye on the film. The processing conditions are within a range that can achieve these purposes and are determin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problems such as extreme melting of the film and loss of transparency. When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sm dye, the concentration of iodine / potassium iodide / water = 0.003 to 0.2 / 0.1 to 10/100, for example, at a temperature of 10 to 45 캜, preferably 20 to 35 캜, For 30 seconds to 600 seconds, preferably 60 seconds to 300 seconds. Instead of potassium iodide, other iodides such as zinc iodide may be used. Other iodides may als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potassium iodide. Further, compounds other than iodide, for example, boric acid, zinc chloride, cobalt chloride, and the like may be coexistent. When boric acid is added,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boric acid treatment described below in that it contains iodine. If it contains 0.003 part by weight or more of iodine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it can be regarded as a dyeing bath.

2색성 색소로서 수용성 2색성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2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의 온도이면서, 중량비로 2색성 염료/물=0.001 내지 0.1/100의 농도로 30초 내지 600초, 바람직하게는 60초 내지 300초간 침지 처리를 행한다. 사용하는 2색성 염료의 수용액은, 염색 보조제 등을 가질 수도 있고, 예를 들면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2색성 염료는 단독일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2색성 염료를 동시에 이용할 수도 있다.When a water-soluble dichroic dye is used as the dichroic dye, for example, a dye having a dichroic dye / water concentration of 0.001 to 0.1 / 100 at a temperature of 20 캜 to 80 캜, preferably 30 캜 to 70 캜, Second to 600 seconds, preferably 60 seconds to 300 seconds. The aqueous solution of the dichroic dye to be used may have a dyeing aid or the like, for example, an inorganic salt such as sodium sulfate, or a surfactant. The dichroic dye may be used singly or two or more dichroic dyes may be used at the same time.

미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 공정, 염색 공정, 가교 공정의 순서로 처리하는 경우, 염색조에 있어서도 필름의 연신을 행할 수 있다. 염색 공정에서의 연신 배율을 합친 적산의 연신 배율은, 통상 1.6 내지 4.5배,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4.0배이다. 또한, 염색 공정에서의 연신 배율을 합친 적산의 연신 배율이 1.6배 미만인 경우, 필름의 파단의 빈도가 많아져, 수율을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다.When the unstretched polyvinyl alcohol film is treated in the order of the swelling process, the dyeing process and the crosslinking process, the film can be stretched in the dyeing bath. The stretching ratio of the total of the stretching magnifications combined in the dyeing step is usually 1.6 to 4.5 times, preferably 1.8 to 4.0 times. In addition, when the stretching ratio of the total of the stretching magnifications combined in the dyeing step is less than 1.6 times, the frequency of breaking of the film is increased, and the yield tends to deteriorate.

연신은 염색조 전후의 닙롤에 주속차를 갖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행해진다. 또한, 팽윤 공정과 마찬가지로 확폭 롤(익스팬더 롤), 나선형 롤, 크라운 롤, 클로스 가이더, 벤드 바 등을 염색욕 중에 및/또는 염색욕 출입구에 설치할 수도 있다.Stretching is performed by a method in which the nip rolls before and after the dyeing bath have a main speed difference or the like. 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the swelling step, a widening roll (expander roll), a spiral roll, a crown roll, a cloth guider, a bent bar or the like may be provided in the dyeing bath and / or the dyeing bath entrance.

[가교 공정] [Crosslinking Process]

가교 공정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1 내지 10중량부 함유하는 수용액에, 2색성 색소로 염색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2색성 색소가 요오드인 경우, 요오드화물을 1 내지 30중량부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로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요오드화물 이외의 화합물, 예를 들면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염화지르코늄, 티오황산나트륨, 아황산칼륨, 황산나트륨 등을 공존시킬 수도 있다.The crosslinking step is carried out by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dyed with a dichroic dye into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to 10 parts by weight of boric acid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When the dichroic dye is iodine, iodide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30 parts by weight. Examples of the iodide include potassium iodide and zinc iodide. In addition, compounds other than iodide, for example, zinc chloride, cobalt chloride, zirconium chloride, sodium thiosulfate, potassium sulfite, sodium sulfate and the like may be coexistent.

가교 공정은, 가교에 의한 내수화나 색상 조정(푸른빛이 도는 것을 방지하는 등) 등을 위해 실시된다. 가교에 의한 내수화에는, 필요에 따라 붕산 이외에, 또는 붕산과 함께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의 가교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수화를 위한 가교 공정을 내수화 공정, 고정화 공정 등의 명칭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색상 조정을 위한 가교 공정을 보색 공정, 재염색 공정 등의 명칭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The crosslinking step is carried out for water resistance and color adjustment (such as prevention of blue light) by crosslinking. For hydration by crosslinking,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glyoxal, glutaraldehyde and the like may be used in addition to boric acid or boric acid, if necessary. The crosslinking step for water resistance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waterproofing step, an immobilization step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rosslinking process for color adjustment may be referred to as a complementary process or a re-dyeing process.

가교 공정은, 그 목적에 따라 붕산 및 요오드화물의 농도, 처리욕의 온도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행해진다. 내수화를 위한 가교 공정, 색상 조정을 위한 가교 공정은 특별히 구별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기의 조건으로 실시된다. 미연신된 필름을 이용하여 팽윤 공정을 행하고, 그 후 염색 공정, 가교 공정을 행하는 경우이며, 가교 공정이 내수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3 내지 10중량부, 요오드화물을 1 내지 20중량부 함유하는 붕산 처리욕을 사용하여, 통상 5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53℃ 내지 65℃의 온도에서 행해진다. 침지 시간은, 통상 10 내지 6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초이다. 또한, 미리 연신한 필름을 이용하여 팽윤 공정을 행하고, 그 후 염색 공정, 가교 공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붕산 처리욕의 온도는 통상 5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0℃이다.The crosslinking step is carried out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concentration of boric acid and iodide and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bath,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crosslinking process for water resistance and the crosslinking process for color adjustment are not particularly discriminated but are carried out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When the swelling step is carried out by using an unstretched film and then the dyeing step and the crosslinking step are carried out. When the crosslinking step is aimed at water resistance, boric acid is added in an amount of 3 to 10 parts by weight And a boric acid treatment bath containing iodide in an amount of 1 to 20 parts by weight is usually used at a temperature of 50 캜 to 70 캜, preferably 53 캜 to 65 캜. The immersion time is usually about 10 to 600 seconds, preferably 20 to 300 seconds, and more preferably 20 to 200 seconds. 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swelling step is carried out by using a previously stretched film, and then the dyeing step and the crosslinking step are carried out, the temperature of the boric acid treating bath is usually from 50 캜 to 85 캜, preferably from 55 캜 to 80 캜.

내수화를 위한 가교 처리 후, 색상 조정을 위한 가교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색성 염료가 요오드인 경우, 색상 조정의 목적을 위해서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1 내지 5중량부, 요오드화물을 3 내지 30중량부 함유하는 붕산 처리욕을 사용하여, 통상 10℃ 내지 45℃의 온도에서 행해진다. 침지 시간은 통상 1 내지 300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초이다.After the crosslinking treatment for water resistance, a crosslinking treatment for color adjustment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dichroic dye is iodine, a boric acid treatment bath containing 1 to 5 parts by weight of boric acid and 3 to 30 parts by weight of iodine i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Lt; 0 > C to 45 < 0 > C. The immersing time is usually 1 to 300 seconds, preferably 2 to 100 seconds.

이들 가교 처리는 복수회 행할 수도 있고, 통상 2 내지 5회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사용하는 각 붕산 처리조의 수용액 조성, 온도는 상기한 범위 내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내수화를 위한 붕산 처리, 색상 조정을 위한 붕산 처리를 각각 복수의 공정에서 행할 수도 있다. 그 때,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 편광 필름 중 붕소 함유율을 2.5 내지 4.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가교 공정에서의 붕산 농도를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5.0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se crosslinking treatments may be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usually in two to five times. In this case, the aqueous solution composition and temperature of each boric acid treatment tank to be use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boric acid treatment for the water resistance and the boric acid treatment for the color adjustment may be performed in a plurality of steps, respectively. At that time, in order to sufficiently attai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boron content in the polarizing film to 2.5 to 4.5 wt%. In this case, the boric acid concentration in the crosslinking step is preferably 2.0 to 5.0 parts by weight .

본 실시 형태에서의 편광 필름의 연신의 최종적인 적산 연신 배율은 통상 4.5 내지 7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5배이다.The final integrated stretching magnification of the stretching of the polarizing film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usually 4.5 to 7 times, preferably 5 to 6.5 times.

[수세 공정] [Washing step]

가교 공정 후, 수세 공정에 제공된다. 수세 공정은, 예를 들면 내수화 및/또는 색조 조정을 위해 붕산 처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고, 물을 샤워로서 분무, 또는 침지와 분무를 병용함으로써 행해진다. 수세 공정에서의 물의 온도는 통상 2 내지 40℃ 정도이고, 침지 시간은 2 내지 120초인 것이 좋다.After the crosslinking step, it is provided in the washing step. The water washing step is carried out, for example, by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treated with boric acid for water resistance and / or color tone adjustment in water, spraying water as a shower, or using immersion and spray in combinatio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shing step is usually about 2 to 40 占 폚, and the immersing time is preferably 2 to 120 seconds.

[제1 건조 공정][First drying step]

수세 공정 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제1 건조 공정에 제공한다. 제1 건조 공정에 의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두께가 감소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께의 비에 의해 적절한 건조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제2 건조 공정 후 편광판 중 편광 필름의 두께 Tb에 대한, 제1 건조 공정 후이며 접합 공정 전의 편광 필름의 두께 Ta의 비 Ta/Tb가 1.02 내지 1.30인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제1 건조 공정 및 후술하는 제2 건조 공정의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을 제어한다. 제1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 온도는 예를 들면 20 내지 90℃로 할 수 있고, 건조 시간은 예를 들면 10 내지 300초간으로 할 수 있다. 제1 건조 공정에서 건조 온도가 20 내지 70℃이고, 건조 시간이 10 내지 120초간인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washing step,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provided in the first drying step.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reduced by the first drying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proper drying is indicated by the ratio of the thickness.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Tb of the polarizing film in the polarizing plate after the second drying ste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ratio Ta / Tb of the thickness Ta of the polarizing film before the bonding step after the first drying step is 1.02 to 1.30 The drying temperature and the drying time of the first drying step and the second drying step described later are controlled. The drying temperature in the first drying step may be, for example, 20 to 90 DEG C, and the drying time may be, for example, 10 to 300 seconds. In the first drying step, the dry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20 to 70 DEG C and the drying time is preferably 10 to 120 seconds.

제1 건조 공정에서의, 편광 필름의 수분율은 12 내지 45%가 되도록 조정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로 조정된다. 12%보다 낮은 경우, 후술하는 제2 건조 공정에서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작아지고, 45%보다 높은 경우, 보호 필름과의 밀착성이 충분히 발현되기 어려워져, 외관의 불량이나 필름이 라인 중에서 파단하여 공정을 오염시킨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제1 건조 공정은, 온도가 상이한 존이 복수 있을 수도 있다. 복수의 온도, 시간이 상이한 건조 공정을 조합함으로써, 편광 필름을 원하는 수분율까지 건조시키기 쉬울 뿐 아니라, 적절히 채색화할 수 있다.In the first drying step,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arizing film is adjusted to be 12 to 45%, more preferably adjusted to 15 to 40%. If it is lower than 12%, the effect of decreasing the thickness in the second drying ste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ecomes small. If it is higher than 45%, the adhesion with the protective film is difficult to manifest sufficiently,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contamination of the process. In the first drying step, there may be a plurality of zones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By combining a plurality of drying steps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and times, the polarizing film can be easily dried to a desired moisture content, and can be appropriately colored.

여기서 말하는 수분율이란, 건조 중량법으로 요구되는 수분량을 나타내며, 105℃에서 120분의 열 처리 전후에서의 수분량 변화로부터 얻어지며, 다음 식: Here, the moisture content refers to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by the dry weight method and is obtained from the change in water content before and after the heat treatment at 105 占 폚 for 120 minutes,

수분율=(열 처리 전의 중량-열 처리 후의 중량)/열 처리 전의 중량×100(중량/중량%)Moisture content = (weight before heat treatment - weight after heat treatment) / weight before heat treatment x 100 (weight / weight%)

에 의해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Can be obtained.

제1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 방법은 열풍을 분무하는 방법, 열 롤에 접촉시키는 방법, IR 히터로 가열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모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열 롤에 접촉시켜 건조시키는 방법은, 건조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건조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으며, 필름의 폭 방향의 수축을 억제하여 광폭화가 가능하다는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 온도란, 열풍을 분무하는 방법이나 IR 히터 등과 같이 건조로를 설치하는 건조 설비의 경우에는 건조로 내의 분위기 온도를 의미하며, 열 롤과 같은 접촉형의 건조 설비의 경우에는, 열 롤의 표면 온도를 의미한다. 이상의 공정을 거쳐 편광 필름을 제조한다.The drying method in the first drying step includes various methods such as a method of spraying hot air, a method of bringing into contact with a heat roll, a method of heating with an IR heater, all of which can be preferably used. The method of bringing the film into contact with a hot roll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shortening the drying time since the drying efficiency is improved and suppressing shrinka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to enable wide width. The drying temperature in the drying step means the atmospheric temperature in the drying furnace in the case of a drying apparatus in which a drying furnace is installed such as a method of spraying hot air or an IR heater and in the case of a contact type drying equipment such as a heat roll ,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 roll. The polarizing film is produced through the above steps.

[제거 공정][Removal process]

편광 필름의 제조 공정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양단 부분에 두께 불균일이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두께 불균일이 현저한 양단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제거 공정을 가질 수도 있다. 제거 공정은, 예를 들면 가교 공정 후이며 제1 건조 공정 전에, 또는 제1 건조 공정 후이며 다음에 설명하는 접합 공정 전에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편광 필름의 폭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거 공정에 의해 양단부를 제거하여도 충분한 폭을 가지며, 보다 두께가 균일한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조한 편광 필름을 이용하고, 추가로 이하의 공정을 거쳐 편광판을 제조한다.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olarizing film, there may be a thickness unevenness at both end portion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this case, there may be a removal step of cutting off both end portions where thickness unevenness is remarkable. The removing step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after the crosslinking step, before the first drying step, or after the first drying step and before the bonding step described below.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dth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suppressed from shrinking, a polarizing film having a sufficient width and a uniform thickness can be produced even if both ends are removed by a removing step. Using the thus prepared polarizing film, the polarizing plate is further produc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접합 공정][Joining process]

편광 필름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보호 필름을 접합한다.A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through an adhesive layer.

(보호 필름) (Protective film)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 해당 분야에서 종래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필름 재료를 들 수 있다. 편광 필름의 양면에 보호 필름이 접합되는 경우, 각각의 보호 필름은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상이한 종류의 필름일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protective film include a cycloolefin resin, a cellulose acetate resin, a polyester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resin, acrylic resin Resin, and polypropylene, which are conventionally widely used in the field. When a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both sides of a polarizing film, each protective film may be the same or may be a different kind of film.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란,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 다환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와 같은 환상 올레핀(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유닛을 갖는 열가소성의 수지(열가소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라고도 함)이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상기 시클로올레핀의 개환 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시클로올레핀을 이용한 개환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일 수도 있고, 시클로올레핀과 쇄상 올레핀,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 등과의 부가 중합체일 수도 있다. 또한, 극성기가 도입되어 있는 것도 유효하다.The cycloolefin-based resin is a thermoplastic resin (also referred to as a thermoplastic cycloolefin-based resin) having a unit of a monomer containing a cyclic olefin (cycloolefin) such as norbornene or a polycyclic norbornene monomer. The cycloolefin resin may be a hydrogenated product of a ring-opening polymer of the cycloolefin or a ring-opening copolymer using two or more cycloolefins, or an addition polymer with a cycloolefin, a chain olefin, or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vinyl group. It is also effective that a polar group is introduced.

시클로올레핀과 쇄상 올레핀 또는/및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과의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쇄상 올레핀으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으며,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핵알킬 치환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체에 있어서,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유닛이 50몰% 이하(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몰%)일 수도 있다. 특히, 시클로올레핀과 쇄상 올레핀과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과의 삼원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적은 양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삼원 공중합체에 있어서, 쇄상 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유닛은 통상 5 내지 80몰%,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유닛은 통상 5 내지 80몰%이다.When a copolymer of a cycloolefin and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chain olefin and / or a vinyl group is used, examples of the chain olefin include ethylene and propylene. Examples of the aromatic compound having a vinyl group include styrene, Substituted styrene, and the like. In such a copolymer, the unit of the monomer containing the cycloolefin may be 50 mol% or less (preferably 15 to 50 mo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a ternary copolymer of a cycloolefin, a chain olefin and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vinyl group, the unit of the monomer containing the cycloolefin can be a relatively small amount as described above. In such a terpolymer, the unit of the monomer containing the chain olefin is usually 5 to 80 mol%, and the unit of the monomer containing the vinyl group-containing aromatic compound is usually 5 to 80 mol%.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적절한 시판품, 예를 들면 토파즈(Topas)(티코나(Ticona)사 제조), 아톤(JSR(주) 제조), 제오노어(ZEONOR)(니혼제온(주) 제조), 제오넥스(ZEONEX)(니혼제온(주) 제조), 아펠(미쓰이 가가꾸(주) 제조), 옥시스(OXIS)(오쿠라 고교사 제조)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제막하여 필름으로 할 때에는, 용제 캐스팅법, 용융 압출법 등의 공지된 방법이 적절하게 이용된다. 또한, 예를 들면 에스시나(세키스이 가가꾸 고교(주) 제조), SCA40(세키스이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오노어 필름((주)옵테스 제조) 등의 미리 제막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제 필름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cycloolefin resin includ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Topas (manufactured by Ticona), Aton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Zeonor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 Ltd.), Zeonex (ZEONEX)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 Ltd.), APEL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Inc.), and OXIS (manufactured by Okura Kogyo Co., Ltd.). When the cycloolefin resin is formed into a film, known methods such as a solvent casting method and a melt extrusion method are suitably used. Further, a preformed cycloolefin such as, for example, Essen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SCA40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Zeonor film (manufactured by Optesis)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of a resin film may also be used.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된 것일 수도 있다. 연신함으로써,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임의의 위상차값을 부여할 수 있다. 연신은, 통상 필름 롤을 권출하면서 연속적으로 행해지며, 가열로에서 롤의 진행 방향(필름의 길이 방향), 그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필름의 폭 방향), 또는 그의 양쪽으로 연신된다. 가열로의 온도는, 통상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근방에서 유리 전이 온도+100℃의 범위가 채용된다. 연신의 배율은, 통상 1.1 내지 6배이고,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3.5배이다.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may be uniaxially or biaxially stretched. By stretching, an arbitrary retardation value can be imparted to 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The stretching is usually performed continuously while unwinding the film roll, and is stretched in the heating furnace in the direction of advancement of the rol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gressing direction thereof (width direction of the film), or both.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furnace is usually in the range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100 deg. C in the vicinity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ycloolefin resin. The magnification of the stretching is usually 1.1 to 6 times, preferably 1.1 to 3.5 times.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롤 권취 상태에 있으면, 필름끼리 접착하여 블록킹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통상은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에 롤 권취가 된다. 또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일반적으로 표면 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편광 필름과 접착시키는 표면에는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프레임(화염)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 가능한 플라즈마 처리, 특히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가 바람직하다.When 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is in a roll-wound state, since the films tends to adhere to each other and blockage tends to occur, roll-winding is usually carried out after the protective film is bonded. Since 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generally has a low surface activity, the surface to be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is preferably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such as plasma treatment, corona treatment, ultraviolet ray irradiation treatment, frame (flame) treatment and saponification treatment Do. Among them, a plasma treatment, particularly an atmospheric pressure plasma treatment and a corona treatment, which can be carried out relatively easily, is preferable.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란, 셀룰로오스의 부분 또는 완전 에스테르화물이며,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의 아세트산에스테르, 프로피온산에스테르, 부티르산에스테르, 이들의 혼합 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필름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필름,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으로는, 적절한 시판품, 예를 들면 후지태크 TD80(후지 필름(주) 제조), 후지태크 TD80UF(후지 필름(주) 제조), 후지태크 TD80UZ(후지 필름(주) 제조), KC8UX2M(코니카 미놀타 옵트(주) 제조), KC8UY(코니카 미놀타 옵트(주) 제조), 후지태크 TD60UL(후지 필름(주) 제조), KC4UYW(코니카 미놀타 옵트(주) 제조), KC6UAW(코니카 미놀타 옵트(주) 제조)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cellulose acetate resin is a partial or complete esterified product of cellulos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films containing acetic acid ester, propionic acid ester, butyric acid ester, mixed ester thereof and the like of cellulose. More specifically, a triacetylcellulose film, a diacetylcellulose film, a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film, a cellulose acetate butyrate film and the like can be given. Examples of such a cellulose ester based resin film includ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Fuji Tack TD80 (manufactured by Fuji Film), Fuji Tack TD80UF (manufactured by Fuji Film), Fuji Tack TD80UZ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KC8UYW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 Co., Ltd.), KC8UY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ical Co., Ltd.), Fujitack TD60UL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KC4UYW Ltd.) and the like can be preferably used.

또한, 보호 필름으로서, 위상차 특성을 부여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도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위상차 특성이 부여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시판품으로는, WV BZ 438(후지 필름(주) 제조), KC4FR-1(코니카 미놀타 옵트(주) 제조), KC4CR-1(코니카 미놀타 옵트(주) 제조), KC4AR-1(코니카 미놀타 옵트(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셀룰로오스는 아세틸셀룰로오스라고도,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라고도 불린다.As the protective film, a cellulose acetate resin film imparted with a retardation property is also preferably used. Examples of commercial products of the cellulose acetate based resin film to which such retardation characteristics are imparted include WV BZ 438 (manufactured by Fuji Film), KC4FR-1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 KC4CR-1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 ), KC4AR-1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 And the like. Acetic acid cellulose is also referred to as acetylcellulose or cellulose acetate.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보호 필름의 두께는 얇은 것이 바람직한데, 지나치게 너무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고, 가공성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너무 두꺼우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적층 후에 필요한 양생 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보호 필름의 적당한 두께는, 예를 들면 5 내지 200㎛이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이다.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used in the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small, but if it is too thin, the strength is lowered and the workability is lowered. 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is too large, the transparency may deteriorate or the curing time required after lamination may be prolonged. Therefore, the suitabl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for example, 5 to 200 占 퐉, preferably 10 to 150 占 퐉, and more preferably 10 to 100 占 퐉.

접착제와 편광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편광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에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처리, 프라이머 도포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A surface treatment such as a corona treatment, a flame treatment, a plasma treatment, an ultraviolet treatment, a primer coating treatment or a saponification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polarizing film and / or the protective film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adhesive and the polarizing film and / It is possible.

또한, 보호 필름에는 방현 처리(antiglare), 무반사 처리(Anti-Reflection), 하드 코팅 처리, 대전 방지 처리, 방오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보호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 표면 보호층은,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나, 페닐포스페이트계 화합물, 프탈산에스테르 화합물 등의 가소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The protective film may be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such as anti-glare treatment, anti-reflection treatment, hard coating treatment, antistatic treatment and antifouling treatment, either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and / or protective film surface protective layer may contain an ultraviolet absorber such as a benzophenone-based compound or a benzotriazole-based compound or a plasticizer such as a phenylphosphate-based compound or a phthalic acid ester compound.

또한, 보호 필름에 위상차 필름으로서의 기능, 휘도 향상 필름으로서의 기능, 반사 필름으로서의 기능, 반투과 반사 필름으로서의 기능, 확산 필름으로서의 기능,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의 기능 등 광학적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보호 필름의 표면에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반사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확산 필름, 광학 보상 필름 등의 광학 기능성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이러한 기능을 갖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호 필름 자체에 이러한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휘도 향상 필름의 기능을 가진 확산 필름 등과 같이, 복수의 기능을 보호 필름에 갖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can have optical functions such as a function as a retardation film, a function as a luminance enhancement film, a function as a reflective film, a function as a transflective film, a function as a diffusion film, and a function as an optical compensation film. In this case, for example, such functions can be obtained by laminating an optical functional film such as a retardation film, a luminance enhancement film, a reflection film, a transflective film, a diffusion film, or an optical compensation film on the surface of a protective film , The protective film itself may be provided with such a function.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plurality of functions in a protective film, such as a diffusion film having the function of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예를 들면, 상술한 보호 필름에 일본 특허 제2841377호 공보, 일본 특허 제3094113호 공보 등에 기재된 연신 처리를 실시하거나, 일본 특허 제3168850호 공보에 기재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의 위상차 특성은, 예를 들면 정면 위상차값이 5 내지 100nm, 두께 방향 위상차값이 40 내지 300nm의 범위 등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보호 필름에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69025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9030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미세 구멍을 형성하거나, 또는 선택 반사된 중심 파장이 상이한 2층 이상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중첩함으로써, 휘도 향상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retching treatment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2841377, Japanese Patent No. 3094113, etc. is performed on the above-mentioned protective film, or the treatment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3168850 is performed to give a function as a retardation film . The retardation characteristics in the retardation film can be suitably selected, for example, in the range of the front retardation value of 5 to 100 nm and the thickness retardation value of 40 to 300 nm. It is also possible to form fine holes by the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2002-169025 and 2003-29030, or to use two or more cholesteric layers having different center wavelengths By superimposing the steric liquid crystal layers, a function as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can be provided.

상기한 보호 필름에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으로 금속 박막을 형성하면, 반사 필름 또는 반투과 반사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보호 필름에 미립자를 포함한 수지 용액을 코팅함으로써, 확산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보호 필름에 디스코틱 액정성 화합물 등의 액정성 화합물을 코팅하여 배향시킴으로써,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에 위상차를 발현하는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적당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각종 광학 기능성 필름을 편광 필름에 직접 접합할 수도 있다. 광학 기능성 필름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DBEF(3M사 제조, 일본에서는 스미또모 쓰리엠(주)로부터 입수할 수 있음) 등의 휘도 향상 필름, WV 필름(후지 필름(주) 제조) 등의 시야각 개량 필름, 아톤 필름(JSR(주) 제조), 제오노어 필름((주) 옵테스 제조), 에스시나(세키스이 가가꾸 고교(주) 제조), VA-TAC(코미카미놀타 옵트(주) 제조), 스미카라이트(스미또모 가가꾸(주) 제조) 등의 위상차 필름 등을 들 수 있다.When a metal thin film is formed on the protective film by vapor deposition or sputtering, a function as a reflective film or a transflective film can be imparted. By coating the above-mentioned protective film with a resin solution containing fine particles, a function as a diffusion film can be given. In addition, a function as an optical compensation film can be imparted by coating and orienting a liquid crystal compound such as a discotic liquid crystal compound on the above protective film. 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may contain a compound exhibiting a retardation. Further, various optical functional films may be directly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by using a suitable adhesive.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optical functional films include a luminance enhancement film such as DBEF (available from 3M Company, Japan, available from Sumitomo 3M Ltd.), a WV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Trade name)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VA-TAC (manufactured by Komica Minolta Optical Co., Ltd.)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and Sumikarite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접착제층)(Adhesive layer)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는,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수계 접착제를 이용한 경우에는, 제2 건조 공정에서 편광 필름의 건조와 접착제의 건조를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adhesive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include an aqueous adhesive,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nd the like. When an aqueous adhesive is used, it is preferable to dry the polarizing film and dry the adhesive simultaneously in the second drying step.

수계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 수계 2액형 우레탄계 에멀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로서 이용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비닐알코올 단독 중합체 이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비누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 나아가 이들의 수산기를 부분적으로 변성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등이 있다. 수계 접착제에는 다가 알데히드, 수용성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지르코니아 화합물, 아연 화합물 등이 첨가제로서 첨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계 접착제를 이용한 경우, 그로부터 얻어지는 접착제층은 통상 1㎛보다도 훨씬 얇다. 수계 접착제는, 그의 제조 후 15 내지 40℃의 온도하에서 도포되고, 접합 온도는 통상 15 내지 30℃의 범위이다.As the water-based adhesive, for example,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queous solution, an aqueous two-component type urethane emulsion adhesive, and the like can be give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used as the adhesive includes a vinyl alcohol homopolymer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 vinyl alcohol obtained by saponifying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an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therewith Based copolymers, and further modified polyvinyl alcohol polymers obtained by partially modifying hydroxyl groups thereof. As the water-based adhesive, polyaldehyde, a water-soluble epoxy compound, a melamine compound, a zirconia compound, a zinc compound and the like may be added as an additive. When such an aqueous adhesive is used, the adhesive layer obtained therefrom is usually much thinner than 1 占 퐉. The water-based adhesive is applied at a temperature of 15 to 40 캜 after its production, and the bonding temperature is usually in the range of 15 to 30 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로는, 내후성이나 굴절률, 양이온 중합성 등의 측면에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에폭시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다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부터 편광판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유기 용제계 접착제, 핫멜트계 접착제, 무용제형 접착제 등)가 채용 가능하다.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include adhesives including an epoxy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epoxy resin which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an active energy ray in view of weatherability, refractive index, cationic polymerizability,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s (organic solvent adhesives, hot melt adhesives, solventless adhesives, etc.) conventionally used in the production of polarizing plates can be employed.

[제2 건조 공정][Second drying step]

접합 공정 후,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2 건조 공정에 제공하여 편광판을 제조한다. 제2 건조 공정에 의해 접착제를 건조시키거나, 편광판이 적절한 수분율이 되도록 건조시킨다. 제2 건조 공정에 의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두께가 더 감소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께의 비에 의해 적절한 건조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건조 공정 후의 편광판 중 편광 필름의 두께 Tb에 대한, 제1 건조 공정 후이며 접합 공정 전의 편광 필름의 두께 Ta의 비 Ta/Tb가 1.02 내지 1.30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제2 건조 공정의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을 제어한다.After the bonding step, a laminate including a polarizing film and a protective film is provided in the second drying step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The adhesive is dried by the second drying step, or the polarizing plate is dried so as to have an appropriate moisture content. By the second drying step,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further re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proper drying is indicated by the ratio of the thickness. That is,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first drying step and the ratio Ta / Tb of the thickness Ta of the polarizing film before the bonding step to the thickness Tb of the polarizing film in the polarizing plate after the second drying step satisfy the relationship of 1.02 to 1.30 The drying temperature and the drying time of the second drying step are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에서 폭의 비에 의해서도 적절한 건조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건조 공정 후이며 접합 공정 전의 편광 필름의 폭 Wa에 대한, 제2 건조 공정 후의 편광판 중 편광 필름의 폭 Wb의 비 Wb/Wa가 0.960 이상 1.000 미만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제2 건조 공정의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을 제어한다. 제2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 온도는 예를 들면 30 내지 100℃로 할 수 있고, 건조 시간은 예를 들면 60 내지 1200초간으로 할 수 있다. 제2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 방법은, 상술한 제1 건조 공정과 마찬가지이다. 제2 건조 공정은 온도가 상이한 존을 복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의 온도, 시간이 다른 건조 공정을 조합함으로써, 편광판을 원하는 수분율까지 건조시키기 쉬워질 뿐 아니라, 편광판의 색상, 외관 품질, 컬링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제2 건조 공정은, 제1 건조 공정의 최고 건조 온도보다 높은 건조 온도에서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건조 공정은, 공정 개시시의 건조 온도보다 높은 건조 온도에서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adequate drying is also indicated by the ratio of the width. 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atio Wb / Wa of the width Wb of the polarizing film in the polarizing plate after the first drying step and before the joining step with respect to the width Wa of the polarizing film after the second drying step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0.960 or more and less than 1.000 The drying temperature and the drying time of the second drying step are controlled. The drying temperature in the second drying step may be, for example, 30 to 100 ° C, and the drying time may be 60 to 1200 seconds, for example. The drying method in the second drying step is similar to the first drying step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drying step,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zones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By combining a plurality of drying steps with different temperatures and times, the polarizing plate can be easily dried up to a desired moisture content, and the color of the polarizing plat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he second drying step preferably includes a step of performing the treatment at a drying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aximum drying temperature of the first drying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rying step includes a step of performing the treatment at a drying temperature higher than the drying temperature at the start of the process.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판의 수분율은 1.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난 경우, 컬링이나 외관 불량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특히 3.0%보다 높은 경우에는, 두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The water content of the finally obtained polarizing plate is preferably 1.5 to 3.0%. Outside of this range, problems of curling and appearance defects tend to occur. Particularly when the content is higher than 3.0%, the effect of reducing the thickness may be reduced.

상기 두께의 비 Ta/Tb에 대해서 1.02 미만인 경우, 편광 필름의 수분율을 조정하기 위해서 행하는 건조의 대부분을 제1 건조 공정에서 행하게 된다. 그러나, 제1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의 정도가 클수록 편광 필름의 폭의 수축이 현저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2 건조 공정에서, 제1 건조 공정의 최고 건조 온도보다 높은 건조 온도에서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적절한 편광 필름의 수분율로 하기 위한 건조의 일부만을 제1 건조 공정에서 행하고,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에 행하는 제2 건조 공정에 의해, 최종 제품으로서 적절한 수분율로 조정하는 나머지 건조를 행함으로써, 편광 필름의 폭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When the ratio of the thickness to the ratio Ta / Tb is less than 1.02, most of the drying to adjus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arizing film is performed in the first drying step. However, the greater the degree of drying in the first drying step, the greater the shrinkage of the width of the polarizing film becomes, which is not preferabl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 treatment at the drying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aximum drying temperature of the first drying step in the second drying step, only a part of the drying for achiev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appropriate polarizing film is performed in the first drying step , And the second drying step performed after the protective film is bonded, the remaining moisture is adjusted as the final product and the remaining drying is performed, so that the shrinkage of the width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suppressed.

또한, 제2 건조 공정에서는, 공정 개시시의 건조 온도보다 높은 건조 온도에서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존이 설치된 제2 건조 공정에서는, 2번째의 존 이후에, 1번째의 존보다도 높은 온도에서 처리하는 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번째의 존의 온도는 60℃ 미만이고, 2번째의 존 이후에 대해서는, 이들 중에서 적어도 1개의 건조로의 온도가 60℃ 이상이고, 온도가 60℃ 이상인 이 건조로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의 범위로 설정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의 접착을 진행시킨 후에, 편광 필름의 두께를 충분히 수축시킬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rying step includes a step of performing the treatment at a drying temperature higher than the drying temperature at the start of the process. That is, in the second drying step in which a plurality of zones are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after the second zone, a zone to be treated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first zone is desired.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zone is less than 60 deg. C, and in the second zone and after,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drying channels is 60 deg. C or more and the temperature is 60 deg. C or more, Lt; RTI ID = 0.0 > 60 C < / RTI > By doing so, after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are allowed to adher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sufficiently shrunk.

한편, 상기 두께의 비 Ta/Tb가 1.30을 초과하는 경우, 제1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의 정도가 충분하지 않아, 제2 건조 공정의 건조 조건을 엄격한 조건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제2 건조 공정에서의 주름의 발생이나 필름 파단 등의 공정 오염의 문제나, 편광판의 외관 불량 등의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atio of the thickness Ta / Tb is more than 1.30, the degree of drying in the first drying step is insufficient and the drying conditions in the second drying step should be strict. In the second drying step The occurrence of wrinkles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the process contamination such as film breakage, and the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polarizing plate may be deteriorated.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건조 공정 및 제2 건조 공정의 건조의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두께의 비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편광 필름의 폭의 수축 정도를 억제할 수 있다. 보호 필름의 접합에 있어서, 수계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제의 용제를 증발시키기 위해서 행하는 건조 공정을 제2 건조 공정으로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drying in the first drying step and the second drying step, the polarizing plate can be manufactured so as to satisfy the relationship of the thickness ratio. The degree of shrinkage of the width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suppressed. In the case of using an aqueous adhesive in the bonding of the protective film, the drying step for evaporating the solvent of the adhesive may be the second drying step.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한 편광판은, 편광 필름과,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접합된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액정 표시 장치의 편광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면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이 41.5% 이상, 시감도 보정 편광도가 99.99% 이상의 광학 특성을 갖는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편광판이 이러한 광학 특성을 가짐으로써,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의 편광판으로서 이용한 경우 양호한 콘트라스트비의 표시가 얻어진다.The polarizing plate thus produced has a polarizing film and a protective film bond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and can be used as a polarizing plat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urther,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having optical properties such that, for example, the visual sensitivity-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is 41.5% or more and the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is 99.99% or more. Since the polarizing plate has such an optical characteristic, when a polarizing plate is used as a polarizing plat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display of a good contrast ratio can be obtained.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편광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두께 75㎛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쿠라레비닐론 VF-PS#7500,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몰% 이상)을 30℃의 순수에, 필름이 느슨하지 않도록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침지하여 필름을 충분히 팽윤시켰다(팽윤 공정). 다음으로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이 중량비로 0.04/2.0/100인 30℃의 수용액에 침지하면서 1축 연신을 행한 후(염색 공정),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이 중량비로 12/4.2/100인 56℃ 수용액에 침지하여 가교 처리하면서 원반으로부터의 적산 연신 배율이 5.7배가 될 때까지 1축 연신을 행하였다(가교 공정 및 연신 공정). 다음으로,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이 중량비로 9/2.9/100인 40℃ 수용액에 침지하고, 계속해서 5℃의 순수로 세정한 후, 건조 온도 30℃, 건조 시간 50초의 건조 조건으로 건조 처리하여 편광 필름을 얻었다(제1 건조 공정). 얻어진 편광 필름은 두께(Ta) 33.1㎛, 폭(Wa) 225mm, 수분율 30%였다.A polyvinyl alcohol film (Kurarabinetron VF-PS # 7500,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400,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9 mol% or more) having a thickness of 75 탆 was immersed in pure water at 30 캜 while keeping the tension so that the film did not become loose, (Swelling process). Subsequently, uniaxial stretching was carried out while immersing iodine / potassium iodide / water 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weight ratio of 0.04 / 2.0 / 100 at 30 ° C (dyeing step), and potassium iodide / boric acid / And then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t 56 deg. C and subjected to crosslinking treatment to perform uniaxial stretching (cross-linking step and stretching step) until the total elongation percentage from the disc was 5.7 times. Subsequently, the substrate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t 40 占 폚 in which potassium iodide / boric acid / water was 9 / 2.9 / 100 by weight, washed with pure water at 5 占 폚 and then dried under a drying condition of 30 占 폚 and a drying time of 50 seconds To obtain a polarizing film (first drying step).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had a thickness (Ta) of 33.1 탆, a width (Wa) of 225 mm and a water content of 30%.

(접착제의 제조)(Preparation of adhesive)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상품명 "고세 파이머 Z-200", 닛본 고세이 가가꾸 고교(주) 제조, 4% 수용액 점도 12.4mPa·초, 비누화도 99.1몰%)를 순수에 용해시키고, 10% 농도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과, 가교제가 되는 글리옥실산나트륨을 전자:후자의 고형분 중량비가 1:0.1이 되도록 혼합하고, 추가로 물 100부에 대하여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1부가 되도록 순수로 희석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4% aqueous solution viscosity of 12.4 mPa · sec and saponification degree of 99.1 mol%, manufactured by Nippon Gosei Kagaku Kogyo Co., Ltd.) was dissolved in deionized water, , 10% aqueous solution. The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queous solution and the sodium glyoxylate serving as a crosslinking agent were mixed so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former solids was 1: 0.1. Further, 100 parts of water was mixed with 100 parts of acetoacetyl modified polyvinyl alcohol And diluted with pure water so that one part of the resin was added to prepare an adhesive composition.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plate)

먼저 얻어진 편광 필름의 양면에 비누화 처리가 실시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두께 80㎛의 필름(KC8UX2MW, 코니카 미놀타 옵트(주) 제조)을 상기 접착제를 통해 닙롤에 의해 접합하고, 건조 온도 75℃, 건조 시간 150초의 건조 조건으로 건조 처리하여(제2 건조 공정)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 중 편광 필름은, 두께(Tb) 27.0㎛, 폭(Wb) 221mm, 붕소 함유율 3.8중량%였다. 즉, Ta/Tb가 1.23, Wb/Wa가 0.982였다.A film (KC8UX2MW,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 having a thickness of 80 占 퐉 and containing triacetylcellulose saponified on both sides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was bonded with a nip roll through the adhesive and dried at 75 占 폚, And dried for a drying time of 150 seconds (second drying step)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The polarizing film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had a thickness (Tb) of 27.0 mu m, a width (Wb) of 221 mm and a boron content of 3.8 wt%. That is, Ta / Tb was 1.23 and Wb / Wa was 0.982.

(편광판의 광학 특성)(Optical Properties of Polarizer)

얻어진 편광판의 광학 성능을 구하기 위해, (주)니혼 분꼬 제조의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 V7100에 편광판을 세팅하고, 투과 방향과 흡수 방향의 편광판의 자외 가시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단체 투과율, 편광도(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JIS-Z8729에 준거하여 계산으로 구하였다. 실시예 1의 편광판의 광학 특성은,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이 42.5%, 시감도 보정 편광도가 99.995%였다.To obtain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a polarizing plate was set on an ultraviolet visible spectrophotometer V7100 manufactured by Nippon Bunko Co., Ltd. and the ultraviolet visible spectrum of the polarizing plate in the transmission direction and the absorption direction was measured. The mass transmittance and the degree of polarization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were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JIS-Z8729.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larizing plate of Example 1 were 42.5% for the visual sensitivity-corrected single-unit transmittance and 99.995% for the visibility-corrected polarization degree.

[실시예 2][Example 2]

(편광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제1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 조건을, 건조 온도 50℃, 건조 시간 50초간으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 필름은, 두께(Ta) 32.1㎛, 폭(Wa) 219mm, 수분율 16%였다.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drying conditions in the first drying step were set at a drying temperature of 50 캜 and a drying time of 50 seconds.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had a thickness (Ta) of 32.1 占 퐉, a width (Wa) of 219 mm and a moisture content of 16%.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plate)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 중 편광 필름은, 두께(Tb) 28.0㎛, 폭(Wb) 217mm, 붕소 함유율 3.8중량%였다. 즉, Ta/Tb가 1.15, Wb/Wa가 0.991이었다. 실시예 2의 편광판의 광학 특성은,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이 42.5%, 시감도 보정 편광도가 99.997%였다.A polarizing pl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polarizing film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had a thickness (Tb) of 28.0 m, a width (Wb) of 217 mm and a boron content of 3.8% by weight. That is, Ta / Tb was 1.15 and Wb / Wa was 0.991.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larizing plate of Example 2 were 42.5% for the visibility-corrected single-unit transmittance and 99.997% for the visibility-corrected polarized light.

[실시예 3][Example 3]

(편광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 필름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두께(Ta) 33.1㎛, 폭(Wa) 225mm, 수분율 30%였다.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had a thickness (Ta) of 33.1 占 퐉, a width (Wa) of 225 mm and a water content of 30% as in Example 1.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plate)

제2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 조건을, 건조 온도 90℃, 건조 시간 150초간으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판 중 편광 필름은, 두께(Tb) 26.6㎛, 폭(Wb) 219mm, 붕소 함유율 3.8중량%였다. 즉, Ta/Tb가 1.24, Wb/Wa가 0.973이었다. 실시예 3의 편광판의 광학 특성은,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이 42.5%, 시감도 보정 편광도가 99.996%였다. 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drying conditions in the second drying step were set at a drying temperature of 90 캜 and a drying time of 150 seconds. The polarizing film of the resulting polarizing plate had a thickness (Tb) of 26.6 占 퐉, a width (Wb) of 219 mm and a boron content of 3.8% by weight. That is, Ta / Tb was 1.24 and Wb / Wa was 0.973.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larizing plate of Example 3 were as follows: the visual sensitivity-corrected single-unit transmittance was 42.5%, and the visibility-corrected polarized light intensity was 99.996%.

[실시예 4][Example 4]

(편광 필름의 제작) (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가교 처리에 있어서의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중량비를 12/3.1/10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 필름은, 두께(Ta) 32.8㎛, 폭(Wa) 226mm, 수분율 22%였다.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weight ratio of potassium iodide / boric acid / water in the crosslinking treatment was 12 / 3.1 / 100.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had a thickness (Ta) of 32.8 占 퐉, a width (Wa) of 226mm and a moisture content of 22%.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plate)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 중 편광 필름은, 두께(Tb) 27.2㎛, 폭(Wb) 223mm, 붕소 함유율 3.2중량%였다. 즉, Ta/Tb가 1.21, Wb/Wa가 0.987이었다. 실시예 4의 편광판의 광학 특성은,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이 42.5%, 시감도 보정 편광도가 99.993%였다.A polarizing pl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The polarizing film of the resulting polarizing plate had a thickness (Tb) of 27.2 占 퐉, a width (Wb) of 223 mm and a boron content of 3.2% by weight. That is, Ta / Tb was 1.21 and Wb / Wa was 0.987.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larizing plate of Example 4 were 42.5% of the visual sensitivity-corrected single-unit transmittance and 99.993% of the visual sensitivity-corrected polarization degre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편광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제1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 조건을, 건조 온도 80℃, 건조 시간 150초간으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 필름은, 두께(Ta) 29.5㎛, 폭(Wa) 213mm, 수분율 9%였다.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drying conditions in the first drying step were set at a drying temperature of 80 캜 and a drying time of 150 seconds.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had a thickness (Ta) of 29.5 占 퐉, a width (Wa) of 213 mm and a moisture content of 9%.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plate)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 중 편광 필름은, 두께(Tb) 29.5㎛, 폭(Wb) 213mm, 붕소 함유율 3.9중량%였다. 즉, Ta/Tb가 1.00, Wb/Wa가 1.00이었다. 비교예 1의 편광판의 광학 특성은,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이 42.5%, 시감도 보정 편광도가 99.996%였다.A polarizing pl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polarizing film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had a thickness (Tb) of 29.5 占 퐉, a width (Wb) of 213 mm and a boron content of 3.9% by weight. That is, Ta / Tb was 1.00 and Wb / Wa was 1.00. In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larizing plate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visual sensitivity-corrected single-unit transmittance was 42.5% and the visibility-corrected polarized light intensity was 99.996%.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편광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적산 연신 배율을 5.0배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 필름은, 두께(Ta) 34.4㎛, 폭(Wa) 227mm, 수분율 9.5%였다. 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total stretching magnification was 5.0 times.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had a thickness (Ta) of 34.4 占 퐉, a width (Wa) of 227 mm and a moisture content of 9.5%.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plate)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 중 편광 필름은, 두께(Tb) 34.2㎛, 폭(Wb) 227mm, 붕소 함유율 3.9중량%였다. 즉, Ta/Tb가 1.01, Wb/Wa가 1.00이었다. 비교예 2의 편광판의 광학 특성은,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이 42.5%, 시감도 보정 편광도가 99.980%였다.A polarizing pl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polarizing film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had a thickness (Tb) of 34.2 占 퐉, a width (Wb) of 227 mm and a boron content of 3.9% by weight. That is, Ta / Tb was 1.01 and Wb / Wa was 1.00. In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larizing plate of Comparative Example 2, the visual sensitivity-corrected single-unit transmittance was 42.5% and the visibility-corrected polarized light intensity was 99.980%.

하기 표 1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의 상기 결과를 나타낸다.Table 1 below shows the results of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건조 공정 및 제2 건조 공정의 건조 조건을, Ta/Tb가 1.02 내지 1.30이 되도록 조정한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르면, 비교예 1, 2보다 얇고, 폭이 넓으며, 광학 성능이 양호한 편광 필름을 갖는 편광판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 the drying conditions of the first drying step and the second drying step were thinner than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ccording to Examples 1 to 4 in which the Ta / Tb was adjusted to be 1.02 to 1.30, It was found that a polarizing plate having a wide polarizing film and a good optical performance was obtained.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를 비롯한 각종 표시 장치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various display devices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laims (7)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염색 공정과,
염색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가교제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지하여 가교하는 가교 공정과,
가교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건조하는 제1 건조 공정을 순서대로 행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을 제조한 후에,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접합 공정과,
상기 적층체를 건조하는 제2 건조 공정을 순서대로 행하여 상기 적층체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제2 건조 공정 후의 상기 편광판 중 상기 편광 필름의 두께 Tb에 대한, 상기 제1 건조 공정 후이며 상기 접합 공정 전의 상기 편광 필름의 두께 Ta의 비 Ta/Tb가 1.02 내지 1.30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A dyeing step of dye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ith a dichroic dye,
A crosslinking step of immersing the dy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 solution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and crosslinking;
And a first drying step of drying the crosslink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re sequentially performed to produce a polarizing film compri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 bonding step of bonding a protective film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through an adhesive layer to form a laminated body;
And a second drying step of drying the laminate are performed in this order to form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laminate,
Wherein the ratio of the thickness Ta of the polarizing film to the thickness Tb of the polarizing film in the polarizing plate after the second drying step after the first drying step and before the bonding step is 1.02 to 1.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 공정 후이며 상기 접합 공정 전의 상기 편광 필름의 폭 Wa에 대한, 상기 제2 건조 공정 후의 상기 편광판 중 상기 편광 필름의 폭 Wb의 비 Wb/Wa가 0.960 이상 1.000 미만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atio Wb / Wa of the width Wb of the polarizing film in the polarizing plate after the first drying step to the width Wa of the polarizing film before the bonding step is not less than 0.960 and not more than 1.000 ≪ / RTI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 공정 후이며 상기 접합 공정 전의 상기 편광 필름의 수분율이 12 내지 45%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larizing film after the first drying step and before the bonding step has a water content of 12 to 4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 공정 후의 상기 편광판 중 상기 편광 필름의 붕소의 함유율이 2.5 내지 4.5중량%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ntent of boron in the polarizing film of the polarizing plate after the second drying step is 2.5 to 4.5 w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 공정은, 상기 제1 건조 공정의 최고 건조 온도보다 높은 건조 온도에서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econd drying step includes a step of performing a treatment at a drying temperature higher than a maximum drying temperature of the first drying step.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 공정은, 공정 개시시의 건조 온도보다 높은 건조 온도에서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econd drying step includes a step of performing a treatment at a drying temperature higher than a drying temperature at the start of the proces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공정 전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양단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제거 공정을 더 갖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further comprising a removing step of cutting and removing both ends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 before the joining step.
KR1020147023506A 2012-02-28 2013-02-22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KR1017649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41662 2012-02-28
JP2012041662A JP5722255B2 (en) 2012-02-28 2012-02-28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PCT/JP2013/054567 WO2013129259A1 (en) 2012-02-28 2013-02-22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647A true KR20140138647A (en) 2014-12-04
KR101764965B1 KR101764965B1 (en) 2017-08-03

Family

ID=4908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506A KR101764965B1 (en) 2012-02-28 2013-02-22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22255B2 (en)
KR (1) KR101764965B1 (en)
CN (1) CN104136948B (en)
TW (1) TWI570456B (en)
WO (1) WO2013129259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5923A (en) * 2014-12-12 2017-08-2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KR20170095924A (en) * 2014-12-12 2017-08-2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5727B2 (en) * 2014-07-14 2020-02-14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d film
KR20170065531A (en) * 2014-10-01 2017-06-1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JP6460732B2 (en) * 2014-11-10 2019-01-30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333168B2 (en) 2014-12-25 2018-05-30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KR101839672B1 (en) * 2015-02-12 2018-03-1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US10479870B2 (en) 2015-06-03 2019-11-19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and polarizer manufactured thereby
JP2017003954A (en) * 2015-06-12 2017-01-05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JP6144731B2 (en) * 2015-07-22 2017-06-07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er
TWI568579B (en) * 2015-11-02 2017-02-0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Polarizing plate
KR101803675B1 (en) * 2016-01-19 2017-11-3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7227893A (en) * 2016-06-21 2017-12-28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Set
KR102535102B1 (en) * 2016-08-18 2023-05-19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CN110361804B (en) * 2018-04-09 2022-11-04 日东电工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WO2020175372A1 (en) * 2019-02-26 2020-09-03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for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for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for laminated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for imag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image display device
CN114126820A (en) * 2019-09-20 2022-03-01 日东电工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KR20220063121A (en) * 2019-09-20 2022-05-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film,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film
KR20220063120A (en) * 2019-09-20 2022-05-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film,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fil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0247A (en) * 2000-07-21 2002-02-06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3916857B2 (en) * 2000-07-31 2007-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3894537B2 (en) * 2001-10-11 2007-03-22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measuring warpage stress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JP2005222013A (en) * 2004-01-06 2005-08-18 Nitto Denko Corp Fabrication method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4581689B2 (en) * 2005-01-05 2010-11-17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JP4581690B2 (en) * 2005-01-05 2010-11-17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US20070048457A1 (en) * 2005-08-25 2007-03-01 Fuji Film Corporation Producing method of film having coated layer, film having coated layer,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286331A (en) * 2006-04-17 2007-11-01 Fujifilm Corp Optical compensation sheet,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8129427A (en) * 2006-11-22 2008-06-05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ing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1354457B (en) * 2007-07-23 2010-06-30 达信科技股份有限公司 Optical film, form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JP5105425B2 (en) * 2008-01-31 2012-12-26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JP5048120B2 (en) * 2010-03-31 2012-10-17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5923A (en) * 2014-12-12 2017-08-2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KR20170095924A (en) * 2014-12-12 2017-08-2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70456B (en) 2017-02-11
CN104136948B (en) 2016-08-24
WO2013129259A1 (en) 2013-09-06
JP2013178356A (en) 2013-09-09
KR101764965B1 (en) 2017-08-03
JP5722255B2 (en) 2015-05-20
TW201339663A (en) 2013-10-01
CN104136948A (en)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965B1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KR101483793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and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er
KR101420584B1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double-sided polarizing laminated film
KR101606594B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plate and an optical laminate
KR101553411B1 (en) A polarizing film a polarizer and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se
KR101427017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polarizing plate
JP525764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JP6120779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JP6499115B2 (en) Polarizer
KR101638196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KR101811489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er
TWI498608B (en)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er
WO2015079968A1 (en) Polariser and polarising plate including same
KR2018010560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JP202004229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 film
KR20140131892A (en) A polarized film,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ed film, and a method for producing polarizer
KR101981358B1 (en) Polarization plate manufacturing method
KR101947852B1 (en)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laminated film
KR101828213B1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puc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923709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laminate
KR2017010122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TW202125005A (en)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37132A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p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