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280A - 무선자원 재구성 또는 재설정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자원 재구성 또는 재설정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280A
KR20140137280A KR1020130143468A KR20130143468A KR20140137280A KR 20140137280 A KR20140137280 A KR 20140137280A KR 1020130143468 A KR1020130143468 A KR 1020130143468A KR 20130143468 A KR20130143468 A KR 20130143468A KR 20140137280 A KR20140137280 A KR 20140137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radio
radio bear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표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40137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2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이 무선링크실패를 검출한 경우에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마스터 기지국에 연관된 셀과 세컨더리 기지국에 연관된 셀이 개별 기지국을 통해 중첩되어 구축된 환경에서 단말이 마스터 기지국에 연관된 셀로부터 무선링크실패(Radio Link Failure, RLF)를 검출했을 때 세컨더리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통해 무선자원을 재구성 또는 재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이 무선자원을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 및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제 1 신호를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자원 재구성 또는 재설정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re-configuration or re-establishment of wireless resources and apparatuses thereof}
본 발명은 단말이 무선링크실패를 검출한 경우에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기지국에 연관된 셀과 세컨더리 기지국에 연관된 셀이 개별 기지국을 통해 중첩되어 구축된 환경에서 단말이 마스터 기지국에 연관된 셀로부터 무선링크실패(Radio Link Failure, RLF)를 검출했을 때 세컨더리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통해 무선자원을 재구성 또는 재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을 위해서 소형 셀을 활용하여 단말의 용량을 늘릴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 경우, 단말이 마스터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 및 세컨더리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 및 스몰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종래 단일 기지국 기반의 캐리어 병합 상황에서 프라이머리 셀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 세컨더리 셀을 모두 해제하고 프라이머리 셀과 무선링크실패를 복구하였다.
또한, 전술한 이중 연결 상황에서도 마스터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과 단말 간에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하는 경우에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 중인 세컨더리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한 무선링크실패 처리 방법이 요구된다.
전술한 요구에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이 마스터 기지국 및 세컨더리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한 상황에서 마스터 기지국에 연관된 셀에서 무선링크실패가 검출되면 세컨더리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통해서 연결을 재개하거나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이 무선자원을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 및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제 1 신호를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 추가적인 무선자원을 제공하는 제 2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무선자원 재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과 단말에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 및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단말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자원을 재구성하는 단말에 있어서,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제어부 및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제 1 신호를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의 무선자원 재구성을 제어하는 제 2 기지국에 있어서, 제 1 기지국과 단말에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제어부 및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단말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마스터 기지국 및 세컨더리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한 상황에서 마스터 기지국에 연관된 셀에서 무선링크실패가 검출되면 세컨더리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통해서 연결을 재개하거나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단일 기지국 기반의 캐리어 병합 구성 시 업링크 계층 2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단일 기지국 기반의 캐리어 병합 구성 시 다운링크 계층 2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시나리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다른 시나리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또 다른 시나리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플레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계층 2 구조 프로토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프로토콜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다른 기지국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 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 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 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모바일 트래픽 폭증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저전력 노드를 사용하는 스몰셀이 고려되고 있다. 저전력 노드는 일반적인 매크로 노드에 비해 낮은 송신(Tx) 전력을 사용하는 노드를 나타낸다.
3GPP Release 11 이전의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함) 기술에서는 매크로 셀 커버리지 내에서 지리적으로 분산된 안테나인 저전력 RRH(Remote Radio Head)를 사용하여 스몰셀을 구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전술한 CA 기술 적용을 위해 매크로 셀과 RRH 셀은 하나의 기지국의 제어 하에 스케줄링 되도록 구축되며, 이를 위해 매크로 셀 노드와 RRH 간에는 이상적인 백홀(ideal backhaul) 구축이 요구되었다.
이상적인 백홀이란, 광선로(optical fiber), LOS 마이크로웨이브(Line Of Sight microwave)를 사용하는 전용 점대점 연결과 같이 매우 높은 쓰루풋(throughput)과 매우 적은 지연을 나타내는 백홀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xDSL(Digital Subscriber Line), Non LOS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쓰루풋(throughput)과 큰 지연을 나타내는 백홀을 비이상적 백홀(non-ideal backhaul)이라 한다.
복수의 서빙 셀들은 위에서 설명한 단일 기지국기반의 CA 기술을 통해서 병합되어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함) 연결(CONNECTED) 상태의 단말에 대해 복수의 서빙 셀들이 구성될 수 있으며, 매크로 셀 노드와 RRH 간에 이상적인 백홀이 구축되는 경우 매크로 셀과 RRH셀이 함께 서빙 셀들로 구성되어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일 기지국 기반의 CA기술이 구성될 때, 단말은 네트워크와 하나의 RRC 연결(connection)만을 가질 수 있다.
RRC 연결(connection) 설정(establishment)/재설정(re-establishment)/핸드오버에서 하나의 서빙 셀이 Non-Access Stratum(이하, 'NAS'라함) 이동성(mobility) 정보(예를 들어, TAI: Tracking Area Identity)를 제공하며, RRC connection 재설정/핸드오버에서 하나의 서빙셀이 시큐리티 입력(security input)을 제공한다. 이러한 셀을 PCell(Primary Cell)이라 한다. PCell은 단지 핸드오버 프로시져와 함께 변경될 수 있다. 단말 능력들(capabilities)에 따라 SCells(Secondary Cells)이 PCell과 함께 서빙 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단일 기지국 기반의 캐리어 병합 구성 시 업링크 계층 2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단일 기지국 기반의 캐리어 병합 구성 시 다운링크 계층 2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SCell들의 추가(addition)와 제거(removal)는 RRC에 의해 수행된다. 전술한 단일 기지국 기반의 CA에서 물리계층의 복수 캐리어 속성은 MAC 계층(Medium Access Control)에만 영향을 주었다. MAC 계층은 업링크와 다운링크에서 서빙셀 마다 하나의 독립적인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개체를 가진다. 또한, 각각의 HARQ 개체는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의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한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기지국 기반의 CA에서 SCell 추가 및 제거에 따른 MAC 계층은 업링크와 다운링크에서 서빙셀 각각에 있어 독립적인 HARQ 개체를 구성하여 CC의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였다.
이하에서는, 무선링크실패(Radio Link Failure, RLF) 및 무선링크실패 발생 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은 다음과 같은 경우 무선링크실패(Radio Link Failure)를 감지(detection)한다.
단말이 무선링크실패를 감지하는 경우는 물리 계층(Physical layer)으로부터 PCell에 대한 out-of-synchronization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MAC 계층(layer)에서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RLC 계층(layer)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등이다.
위와 같은 경우가 검출 또는 감지된 경우 단말은 무선링크실패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이 무선링크실패를 감지(detection)하면, 무선링크실패 정보를 VarRLF-Report에 저장한다. 만약, AS security가 활성화(activation) 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은 RRC 연결(Connected) 상태를 떠난다. 즉, RRC IDLE 상태로 바로 이동한다.
다른 경우 즉, AS security가 활성화(activation) 되어 있는 경우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한다.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는 관련된 셀이 준비된 경우에만 성공한다. 즉, 유효한 단말 컨텍스트(UE context)를 가지는 경우에만 성공한다.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Access Network)이 재설정(Re-establishment)을 수락한 경우, 다른 무선 베어러들이 유예(중단)된 동안 SRB1(Signaling Radio Bearer1, 이하 'SRB1'이라 함) 오퍼레이션을 재개한다.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는 무선링크실패뿐만 아니라 핸드오버 실패(failure)나, RRC 연결 재구성 실패(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failure)에 대해서도 개시(initiation)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301)은 PCell(3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였으나(S310), PCell과의 무선링크에서 실패를 감지한다(S320).
단말(301)은 전술한 무선링크실패 등을 검출하여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를 개시하면 SRB0를 제외한 모든 무선베어러들을 서스펜드(suspend)한다(S330). SCell(s)이 구성되었다면 SCell(s)을 해제(release)한다(S340).
단말(301)은 셀 선택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적합한 셀을 선택한다(S350).
셀이 선택되면 단말(301)은 RRC 연결 재설정 요청(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360). 단말(301)은 RRC 연결(Connection) 이후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수신하고(S370), SRB1에 대한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301)은 SRB1에 대한 RLC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301)은 수신된 무선자원구성전용(radioResourceConfigDedicated) 정보에 따라 무선 자원 구성 절차를 수행한다. 단말(301)은 SRB1을 재개(resume)하고(S380),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390).
기존의 단일 기지국 기반의 CA에서는 복수 셀에 접속해 있는 단말의 경우 PCell에 대해서는 RLF를 감지(detection)하지만, SCell에 대해서는 무선링크실패를 감지(detection)하지 않는다. PCell은 SCell에서 무선 링크 문제를 검출하기 위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이하 'CQI'라 함)와 측정 결과(measurement result)를 이용할 수 있다. SCell에 무선 링크 문제가 있다면 PCell은 SCell을 디액티베이트 및/또는 제거할 수 있어 SCell에 대해서는 무선링크실패를 감지(detection)하지 않았다. 단말이 PCell에 대해서 무선링크실패가 감지(detection)되어,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하면 SCell을 해제(release)하게 된다. 그 후 단말은 RRC 연결 재구성(Connection Re-configuration) 절차를 통해 SCell 추가(addition)을 설정하고 나서야 새롭게 SCell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일 기지국 기반의 CA에서는 단말이 복수 셀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단말이 PCell에서 무선링크실패를 감지(detection)하는 경우 SCell을 해제하고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를 개시하는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이상적인 백홀을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된 단말에 있어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하는 경우 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PCell(또는 매크로셀 또는 마스터 기지국 셀)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하더라도 SCell(또는 스몰셀 또는 세컨더리 기지국 셀)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SCell(또는 스몰셀 또는 세컨더리 기지국 셀)을 통해 시그널링을 수행하여 효과적으로 연결을 재개하거나 세컨더리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이 이중 연결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말과 RRC 연결을 형성하고, 핸드오버의 기준이 되는 셀(일 예로, PCell)을 제공하는 기지국 또는 S1-MME를 종단하고,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서 모빌리티 앵커(mobility anchor)역할을 하는 기지국을 마스터 기지국 또는 제 1 기지국으로 기재한다.
마스터 기지국 또는 제 1 기지국은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고, 스몰 셀 간의 이중 연결 상황에서는 어느 하나의 스몰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한편, 이중 연결 환경에서 마스터 기지국과 구별되어 단말에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세컨더리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으로 기재한다.
제 1 기지국(마스터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세컨더리 기지국)은 각각 단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제공할 수 있고,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매크로 셀이라고 기재할 수 있고,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스몰 셀이라 기재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몰 셀 클러스터 시나리오에서는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도 스몰 셀로 기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매크로 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 각각을 의미할 수 있고,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전체 셀을 대표하는 의미로 기재될 수도 있다. 또한, 스몰 셀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 각각을 의미할 수 있고,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전체 셀을 대표하는 의미로 기재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스몰 셀 클러스터와 같이 특정 시나리오에서는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기지국의 셀은 다른 스몰 셀 또는 또 다른 스몰 셀로 기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캐리어 병합 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두 개의 기지국 간에 비이상적인 백홀로 연결된 환경에서 기지국들이 단말에 복수의 서빙셀을 제공하는 이중 연결 구성 네트워크 시나리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시나리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매크로 셀(402)과 스몰 셀들(401)은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 F1을 가질 수 있다.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제 1 기지국(410)과 각각의 스몰 셀을 제공하는 제 2 기지국(432, 434, 436)은 비이상적인 백홀(non-ideal backhaul)을 통해 연결된다. 스몰 셀들은 중첩된(overlaid) 매크로 셀(402) 네트워크 내에 구축된다. 실외(outdoor) 스몰셀 환경과 스몰셀 클러스터(401)가 고려될 수 있다.
단말은 스몰셀 클러스터(401) 내에서 매크로 셀 및 스몰 셀과 이중 연결을 통하여 복수의 서빙셀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다른 시나리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매크로 셀(502)과 스몰 셀들(501)은 서로 다른(different)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 F1 및 F2를 가질 수 있다.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제 1 기지국(510)과 각각의 스몰 셀을 제공하는 제 2 기지국(532, 534, 536)은 비이상적인 백홀(non-ideal backhaul)을 통해 연결된다. 스몰 셀들은 중첩된(overlaid) 매크로 셀(502) 네트워크 내에 구축된다. 실외(outdoor) 스몰 셀 환경과 스몰 셀 클러스터(501)가 고려될 수 있다.
단말은 스몰 셀 클러스터(501) 내에서 매크로 셀 및 스몰 셀과 이중 연결을 통하여 복수의 서빙 셀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각 서빙 셀의 주파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 및 F2로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또 다른 시나리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스몰 셀들이 스몰 셀 클러스터(601)를 형성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몰 셀을 제공하는 스몰 셀 기지국(610, 612, 614) 간에는 비이상적인 백홀(non-ideal backhaul)을 통해 연결된다. 실내(Indoor) 스몰 셀 환경과 스몰 셀 클러스터(601)가 고려된다.
단말은 복수의 스몰 셀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형성하여 복수의 서빙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과 같은 스몰 셀 전개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플레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계층 2 구조 프로토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 및 도 5의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제 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기지국을 통해, 또는 제 1 기지국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기지국 간 협력을 통해 제어 플래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 플래인(control plane)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단말은 제 1 기지국과 하나의 RRC 연결(connection)을 설정하며,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s, 이하 'SRB'라 함)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PDCP 개체는 제 1 기지국에만 구성되고 제 2 기지국은 RLC 및 MAC 개체만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RB(s)를 구성하는 구조로 도 7과 같은 구조를 예시적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도 7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단말은 두 개의(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RRC 메시지를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 도 4 및 도 5의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제 1 기지국을 통해, 제어 플래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 플래인(control plane)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단말은 도 4 및 도 5의 제 1 기지국과 하나의 RRC 연결(connection)만을 설정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RBs(Signaling Radio Bearers)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 도 4 및 도 5의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제 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기지국을 통해, 또는 제 1 기지국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기지국 간 협력을 통해, 사용자 플래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 플래인(control plane)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단말은 제 1 기지국과 하나의 RRC 연결(connection)을 설정하며,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s, 이하 'DRB'라 함)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 도 4 및 도 5의 시나리오에서 제 1 기지국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기지국 간 협력을 통해 또는 제 1 기지국만을 통해 또는 제 2 기지국만을 통해 사용자 플래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 플래인(control plane)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단말은 제 1 기지국과 하나의 RRC 연결(connection)을 설정하며, 제 1 기지국만을 통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DRBs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제 1 기지국을 통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DRBs 및/또는 제 2 기지국을 통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DRBs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 4 내지 도 6에서 단말의 RRC 컨텍스트를 유지하고 S1-MME 인터페이스를 종단하기 위한 주 책임을 가지는 기지국을 앵커 기지국(또는 Primary Cell 기지국 또는 마스터 기지국) 또는 제 1 기지국으로 지칭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제 1 기지국은 전술한 앵커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에서 단말을 위한 추가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Assisting 기지국(또는 Secondary Cell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으로 지칭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제 2 기지국은 전술한 Assisting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2 기지국은 Assisting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단말이 전술한 이중연결을 구성하여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해서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일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은 비이상적인 백홀을 통해 연결되며,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은 단말에 무선자원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제 1 기지국(또는 앵커 기지국)만 단말을 위한 RRC 개체를 가지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1 기지국은 RRC 개체, Layer 2 및 Layer 1 개체를 구성하며, 제 2 기지국은 Layer 2 및 Layer 1 개체만을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프로토콜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과는 다르게 구성되는 프로토콜의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은 비이상적인 백홀을 통해서 연결되며,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은 단말에 무선자원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단말에게 무선자원을 제공하는 제 1 기지국(또는 앵커 기지국)과 제 2 기지국(또는 어시스팅 기지국)이 단말을 위한 RRC 개체를 가지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9에서 제 2 기지국의 RRC 개체는 전체 RRC 기능이 아닌 단말이 제 1 기지국(또는 매크로셀 기지국 또는 앵커 기지국)에서 무선링크실패를 감지했을 경우 RRC 시그널링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서브 기능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 8 및 도 9의 프로토콜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 8 및 도 9의 프로토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프로토콜 구조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제 1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를 감지하는 경우 비이상적인 백홀을 통해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서 무선링크실패를 처리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물리 계층(Physical layer)으로부터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일 예로, PCell)에 대한 out-of-synchronization 발생, MAC 계층에서 랜덤 엑세스 문제 발생 및 RLC 계층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 초과 문제 발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문제가 발생한 것을 감지한다. 이 경우, 비이상적인 백홀을 통해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사용하는 단말이 제 2 기지국(또는 Assisting 기지국) 무선링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 제 2 기지국 무선링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무선자원을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 및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제 1 신호를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은 단말의 무선자원 재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과 단말에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 및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단말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1)은 제 1 기지국(1002) 및 제 2 기지국(1003)과 무선 베어러를 구성한다(S1010). 일 예로, 단말(10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 내지 도 6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한 시나리오에서 제 1 기지국(1002) 및 제 2 기지국(1003)과 이중 연결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베어러는 제 1 기지국만을 통해서 또는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모두를 통해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기지국(1002)이 전술한 앵커 기지국 또는 마스터 기지국으로 동작하고, 제 2 기지국(1003)이 전술한 Assisting 기지국 또는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동작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S1010 단계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 1 기지국(1002)은 제 2 기지국(1003)에 특정 E-RAB(EUTRAN Radio Access Bearer, 이하 'E-RAB'라 함)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요청을 결정한다. 즉, 제 1 기지국(1002)은 특정 E-RAB를 제 2 기지국(1003)을 통해서 구성하거나, 특정 E-RAB를 제 1 기지국(1002)과 제 2 기지국(1003)을 통해서 구성하기 위한 요청을 결정한다.
제 1 기지국(1002)은 제 2 기지국(1003)에 무선자원 할당 및/또는 수정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경우,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에는 E-RAB의 특성(characteristics)이 지시될 수 있다.
만약, 제 2 기지국(1003)의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이하 'RRM'이라 함) 개체가 자원 요청을 허락하면, 허락된 E-RAB에 대해 각각의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제 2 기지국(1003)은 새로운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제 1 기지국(1002)에 제공한다. 제 1 기지국(1002)이 새로운 무선자원 구성을 단말(1001)이 적용하도록 트리거하면, 단말은 재구성 절차를 수행한다.
단말(1001)은 제 2 기지국(1003)에 연관된 셀과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1003)은 제 1 기지국(1002)에 동기화 탐지를 보고한다. 제 1 기지국은(1002)은 전술한 보고를 수신함으로써, 전체 제 2 기지국 무선 베어러 구성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또는 제 1 기지국(1002)이 제 2 기지국(1003)으로 무선자원 구성 완료를 보고하고 전체 제 2 기지국 무선 베어러 구성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전술한 S1010 단계의 설명은 단말(1001)이 제 1 기지국(1002) 및 제 2 기지국(1003)과 이중 연결을 형성하는 무선 베어러의 구성 절차의 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단계에 있어서 일부 다른 절차를 통해서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10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 연결을 구성한 후 제 1 기지국(1002)과 단말(1001) 간의 무선링크에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하면(S1020), 이를 감지한다(S1030).
이후, 단말(1001)은 제 1 신호를 제 2 기지국(1003)으로 전송한다(S1040). 예를 들어, 제 1 신호는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1003)을 통해 처리하기 위한 정보 및 제 2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말(1001)은 제 2 기지국(1003)으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한다(S1050). 일 예로, 제 2 신호는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1003)을 통해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 제 1 기지국을 유지한 상태로 PCell 베어러 재구성/재설정 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무선자원을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 및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제 1 신호를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는,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제 1 기지국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1101)은 제 1 기지국(1102) 및 제 2 기지국(1103)과 이중 연결을 구성한다(S1110). 이중 연결을 구성하기 위해서 제 1 기지국(1101)만을 통하거나 및/또는 제 1 기지국(1102)과 제 2 기지국(1103) 모두를 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를 구성할 수 있다(S1110).
구체적인 제 2 기지국의 무선 자원 추가 또는 변경 절차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단말(1101)이 제 1 기지국(1102) 및 제 2 기지국(1103)과 이중 연결을 구성한 상황에서 단말(1101)과 제 1 기지국(1102)의 무선 링크에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하면(S1120), 단말(1101)은 무선링크실패(RLF)를 감지한다(S1130).
단말(1101)은 무선링크실패가 감지되면 제 1 신호를 제 2 기지국(1103)으로 전송한다(S1140).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제 1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1103)을 통해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1103)은 단말(1101)로부터 수신된 제 1 신호를 제 1 기지국(1102)로 전달한다(S1142). 제 2 기지국(1103)은 제 1 기지국(1102)과 제 2 기지국(1103) 간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 1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제 1 기지국(1102)는 전술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제 2 기지국(1103)으로 전송한다(S1144). 제 2 기지국(1103)은 제 2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1101)로 전송할 수 있다(S1150).
단말(1101)은 수신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1103)과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한다(S1160). 단말(1101)은 재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통해서 데이터 통신을 재개 또는 수행할 수 있다(S1170).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한 경우에 제 1 기지국과 단말의 무선 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를 감지하면,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 제 2 기지국으로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형성하며, 무선 베어러를 구성할 수 있다(S1210). 무선 베어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 또는 절차가 이용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링크실패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제 1 기지국 무선 링크에서 물리 계층(Physical layer)으로부터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일 예로, PCell)에 대한 out-of-synchronization 발생 등으로 무선링크실패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경우 또는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에 단말은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전송(또는 처리)하기 위한 신호를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S1220).
전술한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의 일 예를 들면, 제 2 기지국과 데이터를 전송 중이거나 동기가 맞춰져 있는 경우 또는 제 2 기지국(또는 제 2 기지국의 서빙 셀)에서 무선링크실패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또는 제 2 기지국(또는 제 2 기지국의 서빙 셀)의 무선채널 품질이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 등이 해당 될 수 있다.
만약, 제 1 기지국(또는 PCell)를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한다면, 단말은 제 1 기지국(또는 PCell)를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모든 무선 베어러를 서스펜드(suspend)하고, 전술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또는 PCell)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들에 대해서는 단말은 제 1 기지국(또는 PCell)를 통한 업링크 전송을 중단하고, 제 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수 있다.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들을 서스펜드(suspend)할 수도 있다.
이후, 단말은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술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여(S1230), 해당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함으로써 제 2 기지국을 통한 통신을 재개 및/또는 수행할 수 있다(S1240).
이상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단말이 제 1 기지국과 무선 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를 감지한 경우에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 베어러 재구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예를 들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는 다양한 신호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신호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므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지는 않는다.
우선, 제 1 신호가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서 전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전술한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전송(또는 처리)하기 위한 제 1 신호는 일 예로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의 ReestablishmentCause 필드에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원인 값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 무선링크실패를 표시하기 위한 새로운 원인 값을 정의하여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단말로부터 제 2 기지국를 통해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전달받은 제 1 기지국은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요청한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전술한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는 SRB0(Signaling Radio Bearer 0)에 의해 제 2 기지국으로 전달될 수 있다. SRB0(CCCH 논리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에 의해 전술한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기지국은 수신한 메시지를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전술한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는 제어 플래인(control plane)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단말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설정한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일 예로, SRB1 또는 SRB2)를 통해 제 2 기지국으로 전송되어 제 1 기지국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플래인(control plane)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단말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RBs(Signaling Radio Bearers)를 구성함으로써 가능하다.
단말은 제 1 기지국 상의 무선링크실패(RLF)를 감지하더라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 구성된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일 예로, SRB1 또는 SRB2)를 통해서 제 2 기지국으로 제 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신호는 제 2 기지국이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제 2 기지국을 통해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전달받은 제 1 기지국은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는 무선자원구성정보요소(radioResourceConfigDedicated information element)를 통해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를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정보는 DRB구성정보에 제 2 기지국 SCellindex(또는 제 2 기지국식별정보 또는 제 2 기지국셀인덱스)를 포함하거나, SCell무선자원구성정보(또는 제 2 기지국 무선자원구성정보)에 SCellindex(제 2 기지국 식별정보 또는 제 2 기지국셀인덱스), DRB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제 2 기지국을 통해 제 1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설정 완료(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 1 기지국이 제 2 기지국을 통해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절차를 수행하여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에 대해 RLC와 PDCP를 재설정(re-establish)을 수행한다.
단말은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구성하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무선자원구성정보요소(radioResourceConfigDedicated information element)를 통해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RB구성정보에 제 2 기지국 SCellindex(제 2 기지국 식별정보 또는 제 2 기지국 셀인덱스)를 포함하거나, SCell무선자원구성정보(또는 제 2 기지국 무선자원구성정보)에 SCellindex(제 2 기지국 식별정보 또는 제 2 기지국 셀인덱스), DRB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단말은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정보를 포함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정보는 DRB구성정보에 제 2 기지국 SCellindex(제 2 기지국 식별정보 또는 제 2 기지국 셀인덱스)를 포함하거나, SCell무선자원구성정보(또는 제 2 기지국 무선자원구성정보)에 SCellindex(제 2 기지국 식별정보 또는 제 2 기지국 셀인덱스), DRB구성정보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에 대해 RLC와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하고,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구성하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 1 신호가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서 전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제 1 신호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통해서 전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전술한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전송(또는 처리)하기 위한 신호의 또 다른 예로 제 1 신호는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의 측정결과정보요소(MeasResults information element)에 새로운 정보를 정의하거나, 새로운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를 정의하여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는 제 2 기지국을 통해 제 1 기지국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플래인(control plane)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단말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RBs(Signaling Radio Bearers)를 구성함으로써 가능하다. 단말은 제 1 기지국 상의 무선링크실패를 감지하더라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 구성된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일 예로, SRB1 또는 SRB2)를 통해 제 2 기지국으로 전술한 제 1 신호을 전송하여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제 2 기지국을 통해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를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전송(또는 처리)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전달받은 제 1 기지국은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무선자원구성정보요소(radioResourceConfigDedicated information element)를 통해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RB구성정보에 제 2 기지국 SCellindex(제 2 기지국 식별정보 또는 제 2 기지국 셀인덱스)를 포함하거나, SCell무선자원구성정보(또는 제 2 기지국 무선자원구성정보)에 SCellindex(제 2 기지국 식별정보 또는 제 2 기지국 셀인덱스), DRB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에 대해 RLC와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은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를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구성하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 1 신호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통해서 전달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였다.
전술한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전송(또는 처리)하기 위한 신호의 또 다른 예로 제 1 신호는 기존 RRC 시그널링 메시지(또는 프로시져)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새로운 RRC 시그널링 메시지(또는 프로시져)가 정의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전술한 기존 RRC 시그널링 메시지(일 예로, UE assistance information, UE Information 메시지 등) 또는 새로운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 제 1 기지국이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를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정보를 정의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존 RRC 시그널링 메시지 또는 새로운 RRC 시그널링 메시지는 제 2 기지국을 통해 제 1 기지국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플래인(control plane)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단말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RBs(Signaling Radio Bearers)를 구성함으로써 가능하다. 단말은 제 1 기지국 상의 무선링크실패를 감지하더라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 구성된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일 예로, SRB1 및/또는 SRB2)를 통해 단말이 제 2 기지국으로 전술한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제 2 기지국을 통해 전술한 기존 RRC 시그널링 메시지 또는 새로운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달받은 제 1 기지국은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무선자원구성정보요소(radioResourceConfigDedicated information element)를 통해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RB구성정보에 제 2 기지국 SCellindex(제 2 기지국 식별정보 또는 제 2 기지국 셀인덱스)를 포함하거나, SCell무선자원구성정보(또는 제 2 기지국 무선자원구성정보)에 SCellindex(제 2 기지국 식별정보 또는 제 2 기지국 셀인덱스), DRB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에 대해 RLC와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은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구성하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신호의 각 실시예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PCell은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의미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과 함께 단말에 전술한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여 이중 연결을 형성한다(S1310).
이후, 제 2 기지국은 단말과 제 1 기지국 간의 무선 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하면, 단말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한다(S1320).
제 2 기지국은 제 1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 1 기지국으로 제 1 신호를 전달한다(S1330).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수신된 제 2 신호를 단말로 전송한다(S1340). 단말이 제 2 신호에 포함된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RLC 및 PDCP를 재설정하면 제 2 기지국은 단말과 통신을 재개 또는 수행할 수 있다(S1350).
이상에서는 단말이 제 2 기지국으로 제 1 기지국의 무선링크실패 발생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설정을 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2 실시예 :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 connection )을 재설정하는 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무선자원을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 및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제 1 신호를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는 제 2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제 1 신호를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제 2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 구성 추가 또는 변경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요청 정보는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 2 기지국(1403)은 제 1 기지국(1402)으로부터 제 2 기지국(1403)의 무선자원 구성 추가 또는 변경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400). 요청 정보에는 단말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1401)은 제 1 기지국(1402) 및 제 2 기지국(1403)과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여 이중 연결을 형성한다(S1410). 단말(1401)이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여 이중 연결을 형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 또는 절차가 될 수 있다.
이후, 단말(1401)과 제 1 기지국(1402) 간의 무선 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하면(S1420), 단말(1401)은 무선링크실패 발생을 감지한다(S1430).
단말(1401)은 제 1 기지국(1402)과의 무선링크에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하면 제 2 기지국(1403)과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제 2 기지국(1403)으로 전송한다(S1440).
이후, 단말(1401)은 제 2 기지국(1403)으로부터 전술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450). 제 2 신호를 수신한 단말(1401)은 제 2 기지국(1403)과 무선 베어러를 재설정 또는 재구성하여(S1460),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S1470).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말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전술한 방법 또는 절차를 이용하여 무선 베어러를 구성한다(S1510). 이후, 단말은 제 1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의 발생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제 1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에서 물리 계층(Physical layer)으로부터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PCell에 대한 out-of-synchronization 발생 등으로 무선링크실패를 감지하더라도, 단말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경우 단말은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520).
또는, 제 1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에서 물리 계층(Physical layer)으로부터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PCell에 대한 out-of-synchronization 발생 등으로 무선링크실패를 감지하더라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 단말은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520).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의 예를 들면, 단말이 제 2 기지국과 데이터를 전송 중이거나 동기가 맞춰져 있는 경우 또는 제 2 기지국(또는 제 2 기지국의 서빙 셀)에서 무선링크실패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또는 제 2 기지국(또는 제 2 기지국의 서빙 셀)의 무선채널 품질이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 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SRB0를 제외한 모든 무선 베어러를 서스펜드 하고 RRC 연결(connection)을 재설정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제 2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만약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한다면, 단말은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만을 서스펜드하고, 제 1 기지국(또는 PCell)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들에 대해서는 제 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플래인(control plane)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단말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SRB1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를 구성한 경우, SRB1은 계속해서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일 예로, 스몰셀)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하도록 할 수 있다.
단말은 제 1 신호를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한다(S1530). 단말은 수신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과의 RRC 연결을 재설정하고 통신을 재개 또는 수행할 수 있다(S1540).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예를 들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는 다양한 신호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신호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므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우선, 제 1 신호가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서 전달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본다.
전술한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제 1 신호의 일 예로 제 1 신호는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의 ReestablishmentCause 필드에 제 1 기지국(또는 PCell) 무선링크실패를 표시하기 위한 새로운 원인값을 정의하여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또는 PCell) 무선링크실패로 RRC 연결(Connection)을 재설정하도록 요청한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전술한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 내에서 사용되는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PCI(Physical Cell ID) 및 shortMAC-I 정보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요소를 포함한다. 전술한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는 SRB0에 의해 제 2 기지국으로 전달될 수 있다.
SRB0를 통해 상기한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기지국은 RRC 연결(Connection)을 재설정(또는 재구성)하기 위한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기지국은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를 조회해오거나(interrogate) 가져올(fetch) 수 있다. 즉, 제 2 기지국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제 1 기지국(또는 PCell) 내에서 사용되는 C-RNTI, PCI(Physical Cell ID) 및 shortMAC-I 정보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요소를 이용하여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제 1 기지국(또는 PCell) 내에서 사용되는 C-RNTI, PCI(Physical Cell ID) 및 shortMAC-I 정보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요소를 포함하여 제 1 기지국으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한다.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에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 2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또는 PCell)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때 수신할 수 있고, 제 1 기지국의 결정에 따라 수신할 수도 있다.
즉,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 또는 절차에서 제 1 기지국이 제 2 기지국에 특정 E-RAB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요청을 결정하여 제 2 기지국으로 무선자원 할당 및/또는 수정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때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단말 컨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를 조회(interrogate)해 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의 표시 또는 제 2 기지국의 결정에 따라 조회해 올 수 있다.
또는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가져올(fetch) 수도 있다.
제 2 기지국은 전술한 단말 컨텍스트를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또는 조회 또는 가져와서 보유 또는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단말 컨텍스트는 MME UE S1AP ID, UE Security Capabilities, AS Security Information, UE Aggregate Maximum Bit Rate Subscriber Profile ID for RAT/Frequency priority, E-RABs 정보(E-RAB QoS parameters, Tunnel endpoint) 및 RRC Contex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AS Security Information은 단말과 AS Security를 위해 사용되는 키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요소로 KeNB와 Next Hop Chaining Count를 포함한다. 제 1 기지국이 제 2 기지국과 이중연결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동시에 이용하는 무선 베어러의 경우 제 1 기지국에서 PDCP 계층을 가지기 때문에 AS Security Information은 제 1 기지국만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제 1 기지국의 무선링크실패 시 제 2 기지국을 통해 RRC Connection Re-establish 프로시져를 지원하기 위해, 제 1 기지국이 제 2 기지국에 특정 E-RAB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요청을 결정하여 제 2 기지국으로 무선자원 할당 및/또는 수정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AS Security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RRC Context는 무선자원구성정보,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 정보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 표시정보를 DRB구성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는 무선자원구성정보요소 (radioResourceConfigDedicated information element)를 통해 모든 무선 베어러 정보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수신하고, 서스펜드 되었던 SRB1을 재개한다. 단말은 AS 시큐리티를 리액티베이트하기 위해 KeNB(The eNB Key)를 업데이트하고 3개의 AS 키를 유도할 수 있다.
단말은 AS 시크리티 리액티베이션 후 RRC 연결 재설정 완료(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 메시지를 재개된 SRB1을 통해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설정 완료(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 메시지를 보낸다.
제 2 기지국은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절차를 수행하여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에 대해 RLC와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또한, 단말은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재개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에 대해 RLC와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하고,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를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구성하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예로, 제 1 신호가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예로, 제 1 신호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또는 재설정을 트리거 하기 위한) 제 1 신호의 다른 예로 제 1 신호는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의 측정 결과 정보요소(MeasResults information element)에 새로운 정보를 정의하여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여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새로운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를 정의하여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여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말로부터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또는 재설정을 트리거 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전달받은 제 2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한다. 또한, 제 2 기지국은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기 위한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즉,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전술한 제 2 신호이거나 제 2 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무선자원구성정보요소 (radioResourceConfigDedicated information element)를 통해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에 대해 RLC와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은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재구성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수신하면,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여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는데에 필요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조회(interrogate)해오거나 가져올(fetch)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 2 기지국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수신하기 전에,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또는 PCell)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때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제 1 기지국 결정에 따라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제 2 기지국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수신하기 전에,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를 조회(interrogate)해 올 수도 있다. 일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의 표시 또는 제 2 기지국의 결정에 따라 조회해 올 수 있다.
또는, 제 2 기지국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수신하기 전에,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를 가져(fetch)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 2 기지국은 단말 컨텍스트를 보유하여 RRC 연결 재설정을 준비하고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단말 컨텍스트는 MME UE S1AP ID, UE Security Capabilities, AS Security Information, UE Aggregate Maximum Bit Rate Subscriber Profile ID for RAT/Frequency priority, E-RABs 정보(E-RAB QoS parameters, Tunnel endpoint) 및 RRC Contex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RC Context는 무선자원구성정보,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 정보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 표시정보를 DRB구성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예로, 전술한 제 1 신호가 측정 보고를 통해서 제 2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 전술한 제 1 신호가 기존 RRC 시그널링 또는 새로운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또는 재설정을 트리거 하기 위한) 제 1 신호의 또 다른 예로 제 1 신호는 기존 RRC 시그널링 메시지(또는 프로시져) 또는 새롭게 정의되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또는 프로시져)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기존 RRC 시그널링 메시지(또는 프로시져)의 새로운 정보요소를 통해서 또는 새로운 RRC 시그널링 메시지(또는 프로시져)를 정의하여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전술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또는 재설정을 트리거 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 2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여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기 위한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 2 신호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이거나,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무선자원구성정보요소(radioResourceConfigDedicated information element)를 통해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을 통해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를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에 대해 RLC와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또한, 단말은 서스펜드 되었던 모든 무선 베어러 또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도록 재구성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또는 재설정을 트리거 하기 위한) 시그널링를 수신한 제 2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을 재설정하여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조회(interrogate)해오거나 가져올(fetch)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 2 기지국은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기존 RRC 시그널링 또는 새로운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기지국(또는 PCell) 및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때 수신하거나 제 1 기지국의 결정에 따라 수신하라 수 있다.
또는, 제 2 기지국은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기존 RRC 시그널링 또는 새로운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를 조회(interrogate)해 올 수 있다. 일 예로, 단말로부터의 표시 또는 제 2 기지국의 결정에 따라 조회해 올 수 있다.
또는, 제 2 기지국은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기존 RRC 시그널링 또는 새로운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를이 가져(fetch)올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 2 기지국은 단말과 RRC 연결 재설정을 하는데에 필요한 단말 컨텍스트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단말 컨텍스트는 MME UE S1AP ID, UE Security Capabilities, AS Security Information, UE Aggregate Maximum Bit Rate Subscriber Profile ID for RAT/Frequency priority, E-RABs 정보(E-RAB QoS parameters, Tunnel endpoint) 및 RRC Contex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RRC Context는 무선자원구성정보 및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 정보는 제 1 기지국(또는 PCell)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 표시정보를 DRB구성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신호의 각 실시예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PCell은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의미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 1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다른 기지국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은 단말의 무선자원 재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과 단말에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 및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단말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과 함께 단말에 이중 연결을 형성한다. 즉,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과 함께 단말에 무선 베어러를 구성할 수 있다(S1620). 무선 베어러 구성의 일 예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 또는 절차와 같을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단말과 제 1 기지국 간의 무선 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하면, 단말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63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는, 제 2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신호는 다양한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 또는 측정 보고 또는 기존의 RRC 시그널링 또는 새로운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전술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640).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신호는 단말과 제 2 기지국간의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다양한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제 2 기지국은 단말과 RRC 연결을 재설정하여 통신을 수행 또는 재개할 수 있다(S165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은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 구성 추가 또는 변경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요청 정보는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610).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컨텍스트를 수신 또는 조회 또는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단말 컨텍스트에는 위에서 설명한 정보 외에도 단말과 제 2 기지국이 RRC 연결을 재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는 요청 정보가 무선 베어러 구성 단계 이전에 수신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요청 정보는 제 1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수신될 수도 있다. 만약, 요청 정보가 제 1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수신되는 경우에는 단말 컨텍스트에 일부 정보가 가감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비이상적인 백홀을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된 단말에 대해, 제 1 기지국(또는 PCell 또는 마스터 기지국 셀)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하더라도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또는 스몰셀 또는 제 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또는 스몰셀 또는 제 2 기지국)을 통한 시그널링을 통해 빠르게 연결을 재설정 및/또는 재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이 모두 수행될 수 있는 단말 및 제 2 기지국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700)은 수신부(1710), 제어부(1720) 및 송신부(17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을 재구성하는 단말(1700)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제어부(1720) 및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제 1 신호를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17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무선 베어러는 제 1 기지국만을 통해서 또는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모두를 통해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1700)은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술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수신부(1710)는 제 1 및 제 2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또는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72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제 1 기지국과 단말의 무선링크실패 발생을 감지하고, 처리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730)는 제 1 및 제 2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또는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800)은 제어부(1810), 송신부(1820) 및 수신부(18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무선자원 재구성을 제어하는 제 2 기지국(1800)은 제 1 기지국과 단말에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제어부(1810) 및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단말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8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기지국(1800)은 전술한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1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는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에 따라서 전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1800)의 수신부(1830)는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 구성 추가 또는 변경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더 수신하되, 요청 정보는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수신부(1830)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제어부(18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단말과 제 1 기지국 간의 무선링크에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처리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820)와 수신부(18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과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이 이중 연결을 형성하는 경우에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하면, 단말은 제 2 기지국으로 무선 베어러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 또는 제 2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을 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무선링크실패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제 1 기지국) 및 스몰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제 2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한 상황에서 매크로 셀에서 무선링크실패가 검출되면 스몰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연결을 재개하거나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여 효율적인 통신수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단말이 무선자원을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제 1 신호를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는,
    상기 제 1 기지국만을 통해서 또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 모두를 통해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2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단말에 추가적인 무선자원을 제공하는 제 2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무선자원 재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과 상기 단말에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는,
    상기 제 1 기지국만을 통해서 또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 모두를 통해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2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 구성 추가 또는 변경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요청 정보는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무선자원을 재구성하는 단말에 있어서,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제 1 신호를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는,
    상기 제 1 기지국만을 통해서 또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 모두를 통해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2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
  17. 단말의 무선자원 재구성을 제어하는 제 2 기지국에 있어서,
    제 1 기지국과 상기 단말에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무선링크에서 무선링크실패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는,
    상기 제 1 기지국만을 통해서 또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 모두를 통해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해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2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 구성 추가 또는 변경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더 수신하되, 상기 요청 정보는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30143468A 2013-05-22 2013-11-25 무선자원 재구성 또는 재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372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971 2013-05-22
KR20130057971 2013-05-22
KR1020130129554 2013-10-29
KR20130129554A KR20140137277A (ko) 2013-05-22 2013-10-29 무선자원 재설정/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80A true KR20140137280A (ko) 2014-12-02

Family

ID=524572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9554A KR20140137277A (ko) 2013-05-22 2013-10-29 무선자원 재설정/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30143468A KR20140137280A (ko) 2013-05-22 2013-11-25 무선자원 재구성 또는 재설정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9554A KR20140137277A (ko) 2013-05-22 2013-10-29 무선자원 재설정/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1372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5090A (ko) * 2015-05-15 2016-11-24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의 무선연결 구성방법 및 그 장치
WO2017034279A1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35786A (ko) * 2015-09-08 2017-03-31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사용자 장비에 의해 무선 베어러 릴리즈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904A (ko) 2018-09-27 2020-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접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5090A (ko) * 2015-05-15 2016-11-24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의 무선연결 구성방법 및 그 장치
WO2017010693A1 (ko) * 2015-05-15 2017-01-19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의 무선연결 구성방법 및 그 장치
US10616932B2 (en) 2015-05-15 2020-04-07 Kt Corporation Method for configuring wireless connection of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WO2017034279A1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12010B2 (en) 2015-08-21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70035786A (ko) * 2015-09-08 2017-03-31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사용자 장비에 의해 무선 베어러 릴리즈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77A (ko)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874B1 (ko) 무선링크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10721118B2 (en) Method for configuring dual-connectivity by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KR101632277B1 (ko) 복수의 기지국과 연결된 상황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KR102106134B1 (ko) 단말의 무선연결 구성방법 및 그 장치
KR101625552B1 (ko) 스몰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US10362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dual conn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656248B1 (ko) 스몰셀 환경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EP34811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dual connectivity state
US1014919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user's plane data in small cell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for
KR101602999B1 (ko) 이동통신망에서 이중 연결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102211470B1 (ko)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37280A (ko) 무선자원 재구성 또는 재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2077780B1 (ko) 무선 링크 실패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354136A1 (e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930114B1 (ko) 업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15923A (ko) 소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73467A (ko) 이중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물리제어채널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155148B1 (ko) 이중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별 서빙셀 그룹 구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