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166A - 언어 학습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언어 학습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166A
KR20140137166A KR20130057743A KR20130057743A KR20140137166A KR 20140137166 A KR20140137166 A KR 20140137166A KR 20130057743 A KR20130057743 A KR 20130057743A KR 20130057743 A KR20130057743 A KR 20130057743A KR 20140137166 A KR20140137166 A KR 20140137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script
function
data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주
Original Assignee
전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형주 filed Critical 전형주
Priority to KR2013005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7166A/ko
Publication of KR2014013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언어 학습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콘텐츠 제공장치와 연동하여 언어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학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학습영상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를 영상 영역에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와 매칭하여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하는 스크립트 재생부; 및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 및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아이콘을 제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학습기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언어 학습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Languag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본 실시예는 언어 학습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언어 학습장치를 이용하여 학습영상 및 스크립트를 재생하고, 재생되는 학습영상 및 스크립트를 제어하여 말하기, 쓰기, 듣기, 읽기 및 어휘 등의 학습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언어 학습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하거나 영화나 TV를 시청하는 기능 외에도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어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종래의 언어학습용 동영상 컨텐츠는 단순히 동영상을 재생하고, 그에 따른 자막을 제공하지만, 학습자가 학습하기 원하는 자막에 따른 학습장면을 찾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언어학습용 동영상 컨텐츠를 이용하여 듣기, 말하기, 쓰기 및 어휘에 대한 다수의 학습을 모두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언어 학습에 특화되어 여러 학습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는, 언어 학습장치를 이용하여 학습영상 및 스크립트를 재생하고, 재생되는 학습영상 및 스크립트를 제어하여 말하기, 쓰기, 듣기, 읽기 및 어휘 등의 학습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언어 학습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콘텐츠 제공장치와 연동하여 언어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학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학습영상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를 영상 영역에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와 매칭하여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하는 스크립트 재생부; 및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 및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아이콘을 제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학습기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콘텐츠 제공장치와 연동하여 언어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학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학습영상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를 영상 영역에 재생하는 영상 재생과정;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와 매칭하여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하는 스크립트 재생과정; 및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 및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아이콘을 제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학습기능 제공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 기기에, 입력된 학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학습영상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를 영상 영역에 재생하는 과정;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와 매칭하여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하는 과정; 및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 및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아이콘을 제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언어 학습장치를 이용하여 학습영상 및 스크립트를 재생하고, 재생되는 학습영상 및 스크립트를 제어하여 말하기, 쓰기, 듣기, 읽기 및 어휘 등의 학습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원어민의 발음과 음조, 표정 및 몸짓을 따라 하면서 언어를 학습할 수 있고, 영역별 스토리, 전체 문장 및 어휘를 단계별로 반복할 수 있어 언어학습의 이해, 암기, 소통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언어 학습장치는 이동이 가능한 휴대장치에서 학습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어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a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b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의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의 말하기 및 쓰기 학습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의 듣기 학습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에서 읽기 학습기능을 제공할 때 한글자막을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b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에서 읽기 학습기능을 제공할 때 동시자막을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의 어휘 학습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은 단말기(110), 네트워크(120), 콘텐츠 제공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은 단말기(110), 네트워크(120), 콘텐츠 제공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영어 학습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110)는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데이터 읽고 쓰기 및 저장, 네트워크, 컨텐츠 사용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즉, 단말기(110)는 네트워크(120)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콘텐츠 제공장치(130)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10)는 콘텐츠 제공장치(130)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실제 실시예의 구현에 있어서, 단말기(110)는 콘텐츠 제공장치(130)를 포함하는 형태의 자립형(Stand Alone)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는 언어 학습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언어학습 애플리케이션(112)을 탑재할 수 있다. 즉,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언어학습 애플리케이션(112)을 구동하며, 언어학습 애플리케이션(112)을 통해 언어 학습을 위한 학습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언어학습 애플리케이션(112)의 설치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언어학습 애플리케이션(112)은 단말기(1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 인스톨될 수 있으며, 단말기(110)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통신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VM(Virtual Machine) 상에서 구동될 수 있다.
이하, 단말기(110)가 탑재된 언어학습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탑재된 언어학습 애플리케이션(112)을 구동한다. 이후,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학습 요청신호를 콘텐츠 제공장치(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장치(130)는 기 저장된 복수 개의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 중 학습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를 단말기(110)에 전송한다.
단말기(110)는 언어학습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학습영상 데이터를 영상 영역에 재생하고, 스크립트 데이터를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한다. 또한, 단말기(110)는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아이콘을 제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학습기능은 말하기, 쓰기, 듣기, 읽기 및 어휘 등의 언어에 대한 학습을 위한 기능을 말한다. 각각의 학습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서 하도록 한다.
네트워크(120)는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120)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콘텐츠 제공장치(130)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단말기(110)로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장치(130)에 기 저장된 복수 개의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는 학습 레벨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학습영상 데이터는 문장길이, 어휘 난이도, 스토리 내용 등의 기준에 따라 1 내지 5단계 또는 상, 중, 하 등과 같이 학습 레벨별로 구분될 수 있고, 콘텐츠 제공장치(130)는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학습 요청신호에 학습 레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레벨에 대응하는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를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장치(130)에 기 저장된 학습영상 데이터는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식별번호를 포함하고, 스크립트 데이터는 프레임에 대한 식별번호에 매칭되는 대본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대본정보는 하나의 문장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학습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프레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40)는 단말기(110) 및 콘텐츠 제공장치(130)와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데이터베이스(140)는 콘텐츠 제공장치(130)로부터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명칭, 학습 레벨 등의 콘텐츠 기준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단말기(110)로부터 말하기, 쓰기, 듣기, 읽기, 및 어휘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기능에 대한 테스트의 점수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 저장된 콘텐츠 기준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140)는 복수 개의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학습기능에 대한 테스트의 점수 결과정보를 연령별, 학습 레벨별 등의 순위정보 또는 통계정보를 산출하여 단말기(1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200)는 통신부(210), 영상 재생부(220), 스크립트 재생부(230), 학습기능 제공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200)는 통신부(210), 영상 재생부(220), 스크립트 재생부(230), 학습기능 제공부(240) 및 저장부(25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언어 학습장치(2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통신부(210)는 콘텐츠 제공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40)와 단말기(110) 간에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입력된 학습 요청신호를 콘텐츠 제공장치(130)로 전송하고, 학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학습영상 데이터 및 대본정보를 콘텐츠 제공장치(1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하거나, 영상 재생부(220) 및 스크립트 재생부(230)를 통해 재생되도록 한다.
영상 재생부(220)는 콘텐츠 제공장치(130)로부터 수신된 학습영상 데이터를 영상 영역에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부(220)는 학습영상 데이터를 영상 영역에 재생하면서,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자막정보를 스크립트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자막정보는 하나의 문장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재생부(220)는 자막정보를 영상 영역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립트 재생부(230)는 콘텐츠 제공장치(130)로부터 수신된 스크립트 데이터를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립트 재생부(230)는 영상 재생부(220)에서 재생하는 학습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영역에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에 매칭되는 대본정보를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한다. 또한, 스크립트 재생부(230)는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대본정보를 자막색, 음영 및 영역색 등의 표시방식을 이용하여 강조할 수 있다.
학습기능 제공부(240)는 영상 재생부(220) 및 스크립트 재생부(230)에서 재생하는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를 제어하고,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아이콘을 제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학습기능은 말하기, 쓰기, 듣기, 읽기 및 어휘 등의 언어에 대한 학습을 위한 기능을 말한다.
학습기능 제공부(24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말하기 학습기능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학습영상 데이터 중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현재 대본정보를 추출하여, 현재 대본정보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학습기능 제공부(240)는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이전 영상프레임 또는 다음 영상프레임을 요청하기 위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학습기능 제공부(240)는 말하기 학습기능에서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이전 영상프레임에 대한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전 영상프레임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다음 영상프레임에 대한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다음 영상프레임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학습기능 제공부(24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쓰기 학습기능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학습영상 데이터 중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자막정보를 추출하고, 자막정보에 소정의 개수의 빈칸(Blank)을 생성하고, 제어 영역에 힌트, 정답확인, 대본보기 및 점수보기 등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며, 사용자가 빈칸에 단어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학습기능 제공부(240)는 쓰기 학습기능에서 기 설정된 학습 레벨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학습 레벨은 상, 중, 하 또는 1 내지 3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학습 레벨에 따라 자막정보에 생성된 빈칸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기능 제공부(240)는 쓰기 학습기능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쓰기 학습기능에 대한 테스트의 점수 결과정보를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즉, 학습기능 제공부(240)는 자막정보에 생성된 빈칸에 단어정보를 입력받고, 정답확인에 대한 아이콘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단어정보가 정답에 대한 정답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 결과정보를 산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학습기능 제공부(24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듣기 학습기능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 영역에 학습영상 데이터만 재생하고,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되는 대본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듣기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듣기 학습기능을 제공한다.
학습기능 제공부(24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읽기 학습기능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 영역 및 스크립트 영역에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를 재생한다. 여기서, 읽기 학습기능은 영상 재생부(220) 및 스크립트 재생부(230)에서 재생하는 메인 화면과 동일한 화면으로서, 말하기, 쓰기, 듣기 및 어휘에 대한 학습기능에서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학습기능 제공부(24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어휘 학습기능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학습영상 데이터 중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어휘학습 정보를 스크립트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저장부(250)는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를 저장하고, 학습기능 제공부(240)에서 학습기능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학습기능에 대한 테스트의 점수 결과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기능에 대한 테스트는 쓰기 학습기능의 테스트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부(250)는 말하기 및 읽기 학습기능에서 입력된 음성신호의 엑센트, 발음 및 호흡 등의 기준으로 판단하여 생성된 점수 결과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a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말기(110)는 입력된 학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수신한다(S310).
단말기(110)는 단계 S310에서 수신된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를 영상 영역 및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한다(S320). 여기서, 단말기(110)는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아이콘을 제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단말기(110)는 말하기, 쓰기, 듣기, 읽기, 및 어휘 등 중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학습기능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고(S350), 말하기 학습기능인 경우(S350) 영상 영역에 현재 재생되는 학습영상에 대응하는 대본정보를 추출하고, 대본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S352). 여기서, 단말기(110)는 말하기 학습기능에서 녹음, 정지 및 들어보기 등과 같은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S354).
한편, 단말기(110)가 쓰기 학습기능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한 경우(S360), 현재 재생되는 학습영상에 대한 대본정보를 추출하고, 대본정보에 소정의 개수의 빈칸을 생성하여 스크립트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S362). 또한, 단말기(110)는 힌트, 정답확인, 대본보기 및 점수확인 등과 같은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S364).
도 3b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도 3b는 도3a의 A, B 및 C 부분과 연결되는 하나의 순서도로서, 도3a와 연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360에서 단말기(110)는 듣기 학습기능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370) 학습영상 데이터에 대한 학습영상만을 재생하고, 스크립트 데이터에 대한 대본정보는 재생하지 않고 스크립트 영역을 숨긴다.
단계 S370에서 단말기(110)는 어휘 학습기능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380), 대본정보를 재생하는 스크립트 영역에 대본정보 대신 영상 영역에 재생되는 학습영상에 대응하는 어휘학습 정보를 출력한다(S380). 한편, 단계 S350 내지 S380에서 말하기, 쓰기, 듣기 및 어휘에 대한 학습기능에 대한 입력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읽기 학습기능으로 판단하여 학습영상 및 대본정보를 재생하는 단계 S320을 수행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82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a 및 도 3b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82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a 및 도 3b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레임워크 지원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레임워크 지원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의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어 학습장치(200)는 학습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영상 영역(410), 스크립트 데이터를 재생하는 스크립트 영역(420) 및 학습영상 데이터 및 스크립트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언어 학습장치(200)는 학습영상 데이터를 영상 영역(410)에 재생하면서,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자막정보를 스크립트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자막영역(412)에 표시하며, 자막정보는 하나의 문장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언어 학습장치(200)는 스크립트 데이터를 스크립트 영역(420)에 재생하고, 스크립트 데이터는 영상프레임의 식별번호(422) 및 대본정보(424)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된다.
언어 학습장치(200)는 제어 영역에 학습영상 데이터의 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이전 문장(431), 플레이(432), 다음문장(433), 리플레이(435) 및 반복(436) 등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소정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언어 학습장치(200)는 제어 영역에 학습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말하기 아이콘(448), 듣기 아이콘(437), 쓰기 아이콘(450), 읽기 아이콘(446), 자막설정 아이콘(438) 및 어휘 아이콘(444)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복수 개의 아이콘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의 예시도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의 말하기 및 쓰기 학습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언어 학습장치(200)는 말하기 아이콘(448) 또는 쓰기 아이콘(450)에 대한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말하기 학습기능 화면(500) 및 쓰기 학습기능 화면(51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5에서는 언어 학습장치(200)가 말하기 학습기능 화면(500) 및 쓰기 학습기능 화면(510)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분리된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말하기 학습기능 화면(500)은 학습영상 데이터 중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대본정보를 추출하여, 대본정보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말하기 학습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말하기 학습기능 화면(500)은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이전 문장 및 다음 문장을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을 구비하고, 녹음, 정지 및 들어보기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녹음 기능은 마이크를 동작시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녹음하는 기능을 의미하고, 정지 기능은 음성신호의 녹음을 중단하는 기능을 의미하며, 들어보기 기능은 녹음된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쓰기 학습기능 화면(510)은 학습영상 데이터 중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자막정보를 추출하고, 자막정보에 소정의 개수의 빈칸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제어 영역에 힌트, 정답확인, 대본보기 및 점수보기 등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쓰기 학습기능 화면(510)은 학습 레벨별로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을 구비하여, 각각의 학습 레벨에 따라 자막정보에 생성된 빈칸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레벨은 상, 중, 하 또는 1 내지 3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쓰기 학습기능 화면(510)은 테스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테스트 기능은 자막정보에 생성된 빈칸에 단어정보를 입력받고, 정답확인에 대한 아이콘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단어정보가 정답에 대한 정답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 결과정보를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기능에 대한 테스트는 쓰기 학습기능의 테스트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말하기 학습기능에서 입력된 음성신호의 엑센트, 발음 및 호흡 등의 기준으로 판단하여 산출된 점수 결과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의 듣기 학습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언어 학습장치(200)는 듣기 아이콘(437)에 대한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듣기 학습기능 화면(600)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듣기 학습기능 화면(600)은 영상 영역에 학습영상 데이터만 재생하고,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되는 대본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듣기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a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에서 읽기 학습기능을 제공할 때 한글자막을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b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에서 읽기 학습기능을 제공할 때 동시자막을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화면은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 즉, 읽기에 대한 학습기능 화면에서 자막설정 아이콘(438)에 대한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한글 자막정보(710)를 스크립트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나타내고, 도 7b에 도시된 화면은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 즉, 읽기에 대한 학습기능 화면에서 자막설정 아이콘(438)에 대한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한글과 원문을 포함하는 동시 자막정보(720)를 스크립트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장치의 어휘 학습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언어 학습장치(200)는 어휘 아이콘(444)에 대한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어휘 학습기능 화면(810)을 디스플레이하고, 어휘 학습기능 화면(810)에 학습영상 데이터 중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어휘학습 정보를 대본정보를 대체하여 표시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단말기 112: 언어 학습 애플리케이션
120: 네트워크 130: 콘텐츠 제공장치
140: 데이터베이스
200: 언어 학습장치 210: 통신부
220: 영상 재생부 230: 스크립트 재생부
240: 학습기능 제공부 250: 저장부

Claims (18)

  1. 콘텐츠 제공장치와 연동하여 언어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학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학습영상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를 영상 영역에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와 매칭하여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하는 스크립트 재생부; 및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 및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아이콘을 제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학습기능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부는,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 중 상기 영상 영역에 재생되는 소정의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자막정보를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영상 영역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 재생부는,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 중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 이전 영상프레임 및 다음 영상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 매칭되는 대본정보를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스크립트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에 대한 상기 대본정보는 자막색, 음영 및 영역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방식을 이용하여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 재생부는,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 개의 프레임에 기 설정된 식별번호를 각각의 상기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대본정보와 매칭하여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능 제공부는,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 중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현재 대본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현재 대본정보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프레임의 이전 영상프레임 또는 다음 영상프레임에 대한 이동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전 영상 프레임 또는 상기 다음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이전 또는 다음 대본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전 또는 다음 대본정보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말하기 기능을 상기 학습기능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능 제공부는,
    상기 말하기 기능을 제공할 때, 녹음, 정지 및 들어보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며, 상기 녹음 기능은 마이크를 동작시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녹음하고, 상기 정지 기능은 상기 음성신호의 녹음을 중단하고, 상기 들어보기 기능은 녹음된 상기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능 제공부는,
    상기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되는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자막정보에 소정의 개수의 빈칸(Blank)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쓰기 기능을 상기 학습기능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능 제공부는,
    상기 쓰기 기능을 제공할 때, 상기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되는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상기 자막정보에 대한 난이도 레벨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난이도 레벨에 따라 상기 빈칸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능 제공부는,
    상기 쓰기 기능을 제공할 때, 상기 제어 영역에 힌트, 정답확인, 대본보기 및 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능 제공부는,
    상기 빈칸에 단어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정답확인에 대한 아이콘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어정보가 정답에 대한 정답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 결과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능 제공부는,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상기 영상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를 재생하는 스크립트 영역을 표시하지 않는 듣기 기능을 상기 학습기능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능 제공부는,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를 재생하는 상기 스크립트 영역에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어휘학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휘 기능을 상기 학습기능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장치.
  13. 콘텐츠 제공장치와 연동하여 언어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학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학습영상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를 영상 영역에 재생하는 영상 재생과정;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와 매칭하여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하는 스크립트 재생과정; 및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 및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아이콘을 제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학습기능 제공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제공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능 제공과정은,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 중 현재 재생되는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현재 대본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현재 대본정보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프레임의 이전 영상프레임 또는 다음 영상프레임에 대한 이동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전 영상 프레임 또는 상기 다음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이전 또는 다음 대본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전 또는 다음 대본정보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말하기 기능을 상기 학습기능으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제공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능 제공과정은,
    상기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되는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자막정보에 소정의 개수의 빈칸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쓰기 기능을 상기 학습기능으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제공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능 제공과정은,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를 재생하는 상기 스크립트 영역에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어휘학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휘 기능을 상기 학습기능으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제공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능 제공과정은,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상기 영상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를 재생하는 스크립트 영역을 표시하지 않는 듣기 기능을 상기 학습기능으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제공방법.
  18. 데이터 처리 기기에,
    입력된 학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학습영상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를 영상 영역에 재생하는 과정;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와 매칭하여 스크립트 영역에 재생하는 과정; 및
    상기 학습영상 데이터 및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아이콘을 제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30057743A 2013-05-22 2013-05-22 언어 학습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40137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743A KR20140137166A (ko) 2013-05-22 2013-05-22 언어 학습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743A KR20140137166A (ko) 2013-05-22 2013-05-22 언어 학습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166A true KR20140137166A (ko) 2014-12-02

Family

ID=5245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7743A KR20140137166A (ko) 2013-05-22 2013-05-22 언어 학습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71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867B1 (ko) * 2019-07-17 2020-08-27 김인숙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867B1 (ko) * 2019-07-17 2020-08-27 김인숙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6396A1 (en) Following teaching system having voice evaluation function
Gambier The position of audiovisual translation studies
US20040152054A1 (en) System for learning language through embedded content on a single medium
US201802261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multimedia creation
US20050010952A1 (en) System for learning language through embedded content on a single medium
US20120276504A1 (en) Talking Teacher Visualization for Language Learning
WO2012086356A1 (ja) ファイルフォーマット、サーバ、電子コミックのビューワ装置および電子コミック生成装置
JP5634853B2 (ja) 電子コミックのビューワ装置、電子コミックの閲覧システム、ビューワプログラム、ならびに電子コミックの表示方法
CN109348145B (zh) 基于字幕生成关联弹幕的方法及设备、计算机可读介质
KR102093938B1 (ko) 학습자가 선택한 동영상을 학습 콘텐츠로 활용하는 외국어 학습시스템 및 이의 학습 콘텐츠 생성방법
JP2018116190A (ja) 語学教材作成システム
JP5083155B2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TW200509089A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storing scenario,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the scenario on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of searching for the scenario
KR102396263B1 (ko) 스크립트를 이용한 스마트 어학학습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20140137166A (ko) 언어 학습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01022265A (ja) ディジタルムービーソフト利用語学学習システム
KR102235789B1 (ko) 강의 콘텐츠를 이용한 외국어 교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88572B1 (ko) 외국어 학습용 영상 재생 장치, 외국어 학습용 영상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477492B1 (ko) 동영상 콘텐츠 편집 및 재생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15918A (ko) 학습자 및 문장의 수준을 고려한 어학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제공 방법
Oujezdský Creation of educational video tutorials and their use in education
CN114494951B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4354337B2 (ja) 手話学習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KR102235788B1 (ko) 외국어 강의를 위한 콘텐츠 생성 및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osario Jr APPLIED CYBER OPERATIONS CAPSTONE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