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005A -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통신 단말들의 배치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통신 단말들의 배치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005A
KR20140137005A KR1020147029342A KR20147029342A KR20140137005A KR 20140137005 A KR20140137005 A KR 20140137005A KR 1020147029342 A KR1020147029342 A KR 1020147029342A KR 20147029342 A KR20147029342 A KR 20147029342A KR 20140137005 A KR20140137005 A KR 20140137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8271B1 (ko
Inventor
제임스 스미스
요한 차이너
Original Assignee
유니파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파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유니파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13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은 그들 디바이스들이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단말 디바이스들을 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배치 서버 및 재지향 서버를 포함한다. 그와 같은 서비스를 배치하는데 도움을 주는 단말 디바이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및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은 단말의 사용자가 코드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코드는 그 후에 사용자와 관련되는 단말을 통해 재지향 서버에 전달된다. 재지향 서버는 배치 서버의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해 코드를 활용한다. 재지향 서버는 그 후에 어드레스를 단말에 제공하며 따라서 단말이 시스템에 의해 호스팅되는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액세싱하기 위해 구성되도록 그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단말은 구성 관리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통신 단말들의 배치를 위한 시스템{SYSTEM FOR DEPLOYMENT OF COMMUNICATION TERMINALS IN A CLOUD COMPUTING SYSTEM}
본 발명은 통신 단말들, 통신 시스템들 및 그와 같은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통신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거나 통신 단말에 접속될 수 있는 통신 서비스를 배치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가 또한 본원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 시스템, 단말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전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들을 능숙하고 보안된 방식으로 배치하도록 허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들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들은 비지니스와 같은 기업체가 그 자신의 기업체 네트워크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비지니스들은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는 기업체 네트워크 또는 그와 같은 네트워크의 피처들이 더 이상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고객에 의해 직접 유지되지 않아도 되도록 고객에게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비스 준수 디바이스들을 롤링 아웃(rolling out)하거나 배치하는 것은 비용이 비쌀 수 있다. 그 비용에 대한 하나의 이유는 클라우드 서비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디바이스들을 준비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 고객 사이트들에서 요구되는 전문가 수동형 상호작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 기업체는 이미 제자리에 있는 많은 통신 인프라구조를 변경해야 할 수 있거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공급되는 서비스들을 준수하지 않는 고용인들에 의해 이용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타입들에 대한 다른 변경들을 행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또는 서로 다른 컴퓨터들, 이동 전화들 또는 다른 단말 디바이스들이 필요할 수 있거나 준수 쟁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전-존재하는 디바이스들을 위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들이 필요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배치들과 관련되는 비용이나 기술적 복잡도들로 인해, 클라우드 서비스가 배치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클라우드 서비스 배치를 더 잘 허용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 시스템, 단말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전화 서비스 배치가 달성될 수 있거나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스들의 배치에 관한 통신 시스템, 단말 디바이스,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가 제공된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제 1 단말 디바이스,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통신하게(communicatively) 접속가능한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 및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통신하게 접속가능한 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단말 디바이스를 위한 배치 코드를 표시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배치 코드를 결정한다. 배치 코드는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subpart)를 포함한다.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포함하는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에 제 1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 1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는 제 1 메시지의 재지향 코드에 대응하는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결정한다.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는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 및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메시지로부터 수신되는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통해 관리 디바이스에 제 3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 3 메시지에 응답하여, 관리 디바이스는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구성을 할당하기 위해 제 1 단말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한다. 제 1 단말 디바이스의 구성은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된다.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3 메시지는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서브파트 또는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구성은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서브파트 또는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부분에 의해 식별되는 구성일 수 있다. 배치 코드는 일련의 문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련의 문자들은 제 1 서브파트 및 제 2 서브파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파트는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일 수 있으며 제 2 서브파트는 배치 기준 서브파트일 수 있다. 배치 코드는 또한 카운트인 제 3 서브파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운트는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정의하는 제 3 서브파트의 최종 문자 이후에 순차적으로 다수의 문자들을 식별할 수 있다. 배치 코드는 또한 체크섬(checksum)인 제 4 서브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섬은 배치 코드를 검증하기 위해 제 1 단말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배치 코드의 일부로서 입력될 수 있다.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클라우드 서비스들을 호스팅하는 컴퓨터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 1 단말은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할당되는 구성을 가진 후에 그리고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할당된 구성을 통해 구성된 후에 서버와의 통신 접속을 형성할 수 있다.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는 제 1 네트워크에 있을 수 있으며,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네트워크에 있을 수 있으며 서버 및 관리 디바이스는 제 3 네트워크에 있을 수 있다.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는 제 2 및 제 3 네트워크들에 독립적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방법은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단말 디바이스를 위한 배치 코드를 표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배치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 코드는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에 제 1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 1 메시지는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포함한다. 제 1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는 제 1 메시지의 재지향 코드에 대응하는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결정한다.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는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 및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메시지로부터 수신되는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통해 관리 디바이스에 제 3 메시지를 송신한다. 관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네트워크과 관련된다. 제 3 메시지에 응답하여, 관리 디바이스는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구성을 할당하기 위해 제 1 단말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한다. 제 1 단말 디바이스의 구성은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할당된 구성으로 구성된 후에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액세스가능하도록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방법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3 메시지는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서브파트 또는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구성은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서브파트 또는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부분에 의해 식별되는 구성이다. 배치 코드는 또한 제 1 서브파트 및 제 2 서브파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파트들을 포함하는 일련의 문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서브파트는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일 수 있으며 제 2 서브파트는 기준 서브파트의 배치 또는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부분일 수 있다. 배치 코드는 또한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정의하는 제 3 서브파트의 최종 문자 후에 순차적으로 다수의 문자들을 식별하는 카운트인 제 3 서브파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치 코드는 또한 체크섬(checksum)인 제 4 서브파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법은 또한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할당되는 구성을 가진 후에 그리고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할당된 구성에 따라 구성된 후에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는 제 1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및 관리 디바이스 및 서버의 네트워크에 독립적으로 포지셔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는 다른 네트워크들을 형성하는 원격인 네트워크에 있으며 단지 인터넷 접속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가능하다.
통신 단말이 또한 제공된다. 단말은 제 1 트랜시버 유닛;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비-일시적 메모리, 및 제 1 트랜시버 유닛 및 메모리에 통신하게 접속되는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통신 단말은 애플리케이션이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실행될 때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되는 방법을 수행한다.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되는 방법은 통신 단말 디바이스가 통신 단말을 위한 배치 코드를 표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통신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배치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배치 코드는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포함한다. 통신 단말은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가 제 1 메시지의 재지향 코드에 대응하는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결정하며 그리고 통신 단말에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송신하도록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에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한다. 통신 단말이 서비스를 액세싱하기 위해 구성되도록 관리 디바이스가 통신 단말에 구성을 할당하게 하기 위해 통신 단말은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통해 관리 디바이스에 제 2 메시지를 송신한다. 관리 디바이스는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네트워크와 관련된다.
통신 단말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통신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 단말을 위한 명령들을 정의하는 그 위에 저장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가 또한 제공된다.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되는 방법은 통신 단말 디바이스가 통신 단말을 위한 배치 코드를 표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통신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배치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배치 코드는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포함한다. 통신 단말은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가 제 1 메시지의 재지향 코드에 대응하는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통신 단말에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송신하도록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에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한다. 통신 단말이 서비스를 액세싱하기 위해 구성되도록 관리 디바이스가 통신 단말에 구성을 할당하게 하기 위해 통신 단말은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통해 관리 디바이스에 제 2 메시지를 송신한다. 관리 디바이스는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네트워크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상세들, 목적들 및 장점들은 특정의 본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동일한 것을 실시하는 특정 제시된 바람직한 방법들의 다음의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바람직한 통신 시스템들, 통신 단말들 및 통신 디바이스들은 첨부하는 도면들에 도시되며 그리고 동일한 것을 실시하거나 행하는 특정 제시된 바람직한 방법들이 또한 그 내에 예시된다. 도면들에 이용되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식별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제 1 단말 디바이스(7)와 관리 디바이스(11) 사이 및 제 1 단말 디바이스(7)와 클라우드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서버(16) 사이의 설정된 통신 접속들은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 2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는 실시예와 같은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포함될 수 있는 통신 단말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키보드, 원격 제어 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임의선택적 주변 통신 컴포넌트(41)뿐 아니라 주변 통신 컴포넌트와 통신 단말 사이의 접속이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 3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는 실시예와 같은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들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는 실시예와 같은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활용될 수 있는 관리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는 실시예와 같은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활용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서버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단말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배치 코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1 네트워크(1)는 제 2 네트워크(3) 내에 있는 제 1 단말 디바이스(7)에 통신하게 접속가능한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를 포함한다. 제 1 단말 디바이스(7)는 이동 전화, 셀룰러 전화, 태블릿,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전화, 인터넷 전자기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 또는 다른 타입의 단말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7)는 제 2 네트워크(3)의 일부일 수 있거나 기업체 네트워크의 브랜치 네트워크와 같은 제 2 네트워크(3)의 서브파트 내에 있을 수 있거나 제 1 네트워크(1)로부터 원격인 로컬 영역 네트워크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 원격 로컬 영역 네트워크 또는 브랜치 네트워크는 제 2 네트워크(3)로 고려될 수 있다.
제 3 네트워크(5)는 클라우드 서비스 엔티티 또는 다른 사설 네트워크에 의해 호스팅되는 기업체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 3 네트워크(5)는 인터넷 또는 다른 글로벌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제 1 네트워크(1) 또는 제 2 네트워크(3)의 디바이스들에 통신하게 접속가능할 수 있다. 제 3 네트워크(5)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호스팅되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같은, 제 3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서비스들의 제공자에 의해 호스팅되는 서비스에의 등록 및 배치를 관리하고 감독하는 관리 디바이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16)를 호스팅하는 별개 서버는 제 3 네트워크(5) 내에 있을 수 있으며 관리 디바이스(11)에 통신하게 접속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관리 디바이스(11)는 또한 제 3 네트워크(5)를 통해 이용가능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서비스들을 활용하기 위해 제 3 네트워크(5)와 통신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들 및 단말 디바이스들의 구성 및 등록을 관리하고 감독하는데 더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서비스들을 호스팅할 수 있다.
제 3 네트워크(5)는 또한 제 2 단말 디바이스(8) 및 제 3 단말 디바이스(9)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및 제 3 단말 디바이스들(8 및 9)은 제 2 네트워크(3)에 통신하게 접속되는 단말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제 2 및 제 3 단말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16)를 호스팅하는 서버에 통신하게 접속될 수 있다.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는 제 1 단말 디바이스(7)의 제 2 네트워크(3) 및 관리 디바이스(11)의 제 3 네트워크(5)와 독립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클라우드 서비스들의 이용을 위해 배치되는 디바이스들의 세트에 독립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로부터 독립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단말 디바이스들(7, 8 및 9)은 각각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셀룰러 전화 또는 인터넷 전자기기와 같은 많은 서로 다른 타입들의 통신 단말들 중 하나일 수 있다. 그와 같은 단말 디바이스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다. 제 1, 제 2 및 제 3 단말들은 각각 제 1 트랜시버 유닛(33), 제 2 트랜시버 유닛(32), 입력 디바이스(34), 디스플레이 유닛(38), 스피커(39), 마이크로폰(36) 및 메모리(35)에 통신하게 접속되는 프로세서 유닛(31)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37)은 프로세서 유닛(31)에 의해 실행가능하도록 메모리(35)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31)은 메모리(35)에 저장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 프로세싱 유닛 또는 상호접속된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37)은 애플리케이션이 프로세서 유닛(31)에 의해 실행될 때 수행되는 방법을 정의할 수 있는 코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8)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인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스피커(39)는 오디오를 방출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36)은 사용자 입력으로서 또는 전화 호출과 같은 통신 전송에 포함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오디오를 레코딩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34)는 단말 디바이스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구동가능한(actuatable), 버튼, 키, 카메라 센서, 키보드 또는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34)를 통해 획득된 입력은 메모리(35)에서의 스토리지를 위해, 다른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또는 다른 목적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35)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다른 타입의 비-일시적 메모리일 수 있다. 제 1 트랜시버(3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접속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네트워크 접속들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며 그리고 전송하기 위해 구성되는 수신기 및 전송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네트워크들의 다수의 노드들을 통해 횡단하는 경로에 의해 정의되는 접속 또는 무선 접속과 같은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단말 디바이스의 제 1 트랜시버 유닛(33)에 의해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거나 수신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접속 경로는 중간 노드들에 더하여 유선 부분들 및 무선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 2 트랜시버 유닛(32)은 블루투스 무선 접속 또는 다른 근처 필드 무선 접속과 같은 근처 필드 통신 접속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 유닛은 대안적으로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 또는 주변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에 유선 접속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카메라 센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주변 입력 또는 출력 디바이스는 제 2 트랜시버 유닛(32)을 통해 통신 단말에 주변 통신 컴포넌트(41)로서 접속될 수 있다.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된다.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는 제 1 단말 디바이스(7)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에 그리고 그로부터 데이터 패킷들 및 다른 메시지들과 같은 데이터 및 메시지들을 송신할 수 있으며 그리고 수신할 수 있도록 제 1 트랜시버 유닛(43)에 통신하게 접속되는 프로세서 유닛(42)을 포함하는 컴퓨터 디바이스일 수 있다. 매체 액세스 제어("MAC") 기반된 배치를 활용하는 실시예들과 같은 일부 고려된 실시예들에서, 제 1 트랜시버 유닛(43)은 또한 관리 디바이스(11)에 그리고 그로부터 데이터 패킷들 및 다른 메시지들과 같은 데이터 및 메시지들을 송신할 수 있으며 그리고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네트워크들의 다수의 노드들을 통해 횡단하는 경로에 의해 정의되는 접속 또는 무선 접속과 같은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의 제 1 트랜시버 유닛(43)에 의해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거나 수신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접속 경로는 중간 노드들에 더하여 유선 부분들 및 무선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유닛(42)은 또한 하드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상호접속된 메모리 유닛들 또는 다른 비-일시적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45)에 통신하게 접속된다. 메모리(45)는 프로세서 유닛(42)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들 및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베이스들(48)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8)는 특정 어드레스들에 대응하는 재지향 코드들 또는 재지향 기준 값들 및 할당된 어드레스들의 테이블과 같은 상호링크된(interlinked)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8)는 예를 들어, 관리 디바이스 어드레스들에 재지향 코드들을 맵핑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42)이 애플리케이션(47)을 실행할 때,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47)에 의해 정의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는 서버, 소프트스위치, 워크스테이션 또는 다른 타입의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4로부터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관리 디바이스(11)는 단말 디바이스들이 제 3 네트워크(5)에 의해 호스팅되는 서비스들을 후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단말 디바이스들의 등록 및 구성을 감독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서버 또는 다른 타입의 컴퓨터 디바이스 또는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관리 디바이스(11)는 제 1 트랜시버 유닛(53) 및 메모리(55)에 통신하게 접속되는 프로세서 유닛(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랜시버 유닛(53)은 다수의 네트워크들의 다수의 노드들을 통해 횡단하는 경로에 의해 정의되는 접속 또는 무선 접속과 같은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단말 디바이스와 같은 관리 디바이스에 접속되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전송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MAC 기반된 배치를 활용하는 실시예들과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트랜시버 유닛(53)은 또한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와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접속 경로가 중간 노드들에 더하여 유선 부분들 및 무선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관리 디바이스(11)의 메모리(55)는 비-일시적일 수 있으며 그 위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57)뿐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58)를 가질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이 프로세서 유닛(53)에 의해 실행되거나 러닝(run)될 때 관리 디바이스(11)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정의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8)는 그에 접속되는 단말 디바이스를 인식하기 위해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요구되는 구성 데이터를 식별하며 그리고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8)는 또한 배치 기준 부분 또는 배치 기준 코드, 단말 디바이스들의 어드레스들, 단말 디바이스들과 관련되는 사용자들, 각 사용자에 또는 각 단말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인증 레벨들 또는 다른 정보와 같은 디바이스 식별 데이터에 링크되는 디바이스에 등록되는 단말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5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서버(16)는 서버 또는 서버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컴퓨터 디바이스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서버(16)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전화 서비스들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서비스들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클라우드 서비스들을 호스팅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서버(16)는 프로세서 유닛(61)에 통신하게 접속되는 제 1 트랜시버(6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61)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68) 및 그 위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67)을 가질 수 있는 비-일시적 메모리(65)에 접속될 수 있다. 제 1 트랜시버 유닛(63)은 다수의 네트워크들의 다수의 노드들을 통해 횡단하는 경로에 의해 정의되는 접속 또는 무선 접속과 같은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임의선택적으로 관리 디바이스(11) 또는 단말 디바이스와 같은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서버(16)에 접속되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전송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접속 경로가 중간 노드들에 더하여 유선 부분들 및 무선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이 프로세서 유닛(63)에 의해 실행되거나 러닝될 때 클라우드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서버(16)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정의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68)는 서로 다른 단말 디바이스들에 의해 전송되는 다른 타입들의 메시지들 또는 질문들에 응답하기 위해 프로세서 유닛(61)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거나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에 렌더링되는 서로 다른 서비스들에 관련되는 정보를 관련시키는 데이터의 콜렉션(colle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7)는 특정 통신 서비스들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클라우드 서비스 벤더들을 활용하는 비지니스의 고용인과 같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7)는 클라우드 배치를 위해 요구되는 검출 조건들을 포함하는 재고 공장 세팅들을 공급받을 수 있다. 고용인은 또한 배치 코드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배치 코드 또는 다른 코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배치 코드 또는 배치 코드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코드는 이메일로, 기록된 메모와 같은 기록된 레터로, 고용인에게 송신된 텍스트 메시지, 청취가능하게 또는 다른 포맷으로 고용인에게 제공될 수 있다. 고용인은 그 후에 제 1 단말 디바이스(7)를 턴 온 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7)는 특정 사전 정의된 요건들이 충족되는 것을 검출할 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등록할 때를 자동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등록 프로세스를 구동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시에 그와 같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 디바이스(7)는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어드레스를 갖지 않지만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를 컨택트하기 위해 어드레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할당된 완전히 자격있는 도메인 네임을 단말 디바이스에 할당하기 위한 다른 어드레스들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들로 변환하기 위해 도메인 네임 서버(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도메인 네임 시스템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이용이 제 1 단말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변경들을 요구하지 않고서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의 어드레스가 변경되도록 허용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로,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단말 디바이스(7)가, 사용자가 단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메시지 또는 누를 수 있는 아이콘을 통해 프롬프트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제 3 네트워크(5)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 제 1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방출되도록, 어드레스를 아직 획득하지 않았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구성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입력에 대해 프롬프트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그 후에 등록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그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그 후에 상기에 주목된 바와 같은 도메인 네임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거나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를 컨택트하기 위해 단말 내에 구체적으로 정의되는 어드레스를 활용할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 동안 또는 등록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프롬프트에 응답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입력으로서 사용자에게 이전에 제공된 배치 코드를 입력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 후에 배치 코드를 식별하는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바와 같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서 기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할 수 있거나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배치 코드의 일 예가 도 7에 도시되는데, 이것은 배치 코드를 나타낼 수 있는 문자들의 스트링
Figure pct00001
의 예시를 제공한다. 그와 같은 문자들의 스트링은 재지향 코드의 길이를 식별하는 카운트로서 기능하는 제 1 서브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트는 예를 들어, 첫 번째 2개의 문자들의 값으로서 사전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주목된 예에서, 카운트는 따라서 5의 값인
Figure pct00002
일 것이다. 배치 코드의 제 2 서브파트는 배치 코드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부분인 배치 코드의 일련의 문자들 내의 제 1 서브파트에서 카운트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후속적인 5개의 문자들인 재지향 코드일 수 있다. 배치 코드의 제 3 서브파트는 배치 기준 번호를 정의할 수 있다. 제 3 서브파트는 재지향 코드의 최종 문자 후에 시작하며 제 4 서브파트의 미리 정의된 길이 전에 종료하는 정의되지 않은 수의 문자들인 재지향 코드
Figure pct00005
의 최종 문자 후에 제시되는 일련의 미리 정의된 수의 문자들과 같은 미리 정의된 수의 문자들일 수 있다. 배치 코드
Figure pct00006
에 대한 배치 기준 번호는 배치 코드의 문자들
Figure pct00007
인,
Figure pct00008
재지향 코드의
Figure pct00009
이후의 일련들인 3개의 문자들일 수 있다. 최종 문자들은 배치 코드의 미리 정의된 길이 제 4 서브파트일 수 있으며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바와 같은 배치 코드를 검증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해시(hash) 또는 체크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4 서브파트는 배치 기준 번호의 길이가 사전 정의될 때 배치 기준 번호 후에 배치 코드에 남아있는 문자들로서 취해질 수 있다.
Figure pct00010
의 상기 예에 대해, 제 4 서브파트는
Figure pct00011
의 체크섬일 수 있다.
문자들의 스트링은 서로 다른 값들을 나타낼 수 있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위한 서로 다른 값들에 대응할 수 있는 레터들 또는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값 "E"는 배치 코드의 제 1 서브파트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직렬로 "E" 후에 제시되는 5개의 문자들인 것으로 재지향 코드를 위한 카운트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배치 코드는 특정 숫자, 값 또는 정보의 피스(piece)를 나타내기 위해 느낌표("!")와 같은 심볼들 또는
Figure pct00012
와 같은 일련의 심볼들일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문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7)는 배치 코드의 추측들 또는 벌크 어택들(bulk attacks)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스스로 셧 오프(shut off)하거나 무효한 입력이 미리 결정된 횟수로 공급될 때 재시작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7)는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에 제 1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 1 메시지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행해진 그와 같은 입력을 위한 프롬프트에 응답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표시되는 배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시지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바와 같은 배치 코드를 포함할 수 있거나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입력으로서 입력되는 개인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배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지만 보안 목적들을 위해 완전한 배치 코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이 정보가 도 6에 도시되며 이하에 더 완전히 논의되는 바와 같은 재지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필요한 유일한 정보일 수 있음에 따라 배치 코드의 재지향 코드 부분만이 제 1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단지 재지향 코드 또는 배치 코드의 제 2 서브파트의 송신은 그와 같은 다른 정보가 악의적인 제 3 파티에 의한 공격을 통해 취해지게 될 수 있는 노출을 제한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7)가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는 공개 네트워크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즉시 정보의 신뢰성있는 소스인 것으로 결정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재지향 통신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증명서를 인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신뢰된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빌트인(builtin) 최상위 인증기관(Root Certificate Authority) 증명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로부터 수신되는 증명서가 그 자신의 빌트인 증명서에 대응하는지를 검증할 수 있다. 빌트인 최상위 인증기관 증명서에 의해 정의되는 알고리즘 및 공개 키는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해 이 증명서의 다른 부분 또는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로부터 수신되는 증명서의 서명을 복호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7)는 또한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의 어드레스, 타임스탬프 및 이용과 같은 사전 정의된 파라미터에 따른 올바른 아이덴티티를 갖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증명서를 검사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로부터 수신되는 증명서의 상태가 여전히 유효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온라인 증명 상태 프로토콜 서버(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할 수 있다.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로부터 수신되는 증명서는 그 증명서가 여전히 유효하며 아직 취소되지 않았음을 검증하기 위해 서버를 컨택트하기 위해 그와 같은 서버의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증명서에 의해 제공되는 어드레스가 온라인 증명 상태 프로토콜 서버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도록 실패하거나 이 서버가 제 1 단말 디바이스로부터의 임의의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실패하는 경우에,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를 인증하지 못할 수 있다. 온라인 증명 상태 프로토콜 서버가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응답하며 그리고 그 증명서가 취소되지 않음을 표시하는데 실패하는 경우에,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이것을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증명서의 거절로서 해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로서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 빌트인되는 인증 기관이 업데이트되거나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에,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는 또한 업데이트된 증명서 정보를 지원하기 위해 업데이트되어야 할 수 있다. 새로운 정보는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를 인증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교체 증명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를 위한 새로운 어드레스 및 업데이트된 증명서 또는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를 갖는 단말 디바이스에 응답하기 위한 새로운 또는 추가적인 증명서를 필요로 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업데이팅은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가 일부 상황들에서 소프트웨어의 구 버전들을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응답하기 위한 이전의 증명서들을 여전히 활용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는 제 1 메시지 및 제 1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배치 코드의 재지향 코드 부분 또는 제 2 서브파트를 수신한다. 수신된 제 1 메시지에 응답하여,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는 제 1 단말 디바이스(7)에 대해 적합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관리 디바이스(11)를 선택하기 위해 재지향 코드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는 재지향 코드 부분 또는 제 2 서브파트를 예를 들어, 배치 서버일 수 있는 관리 디바이스(11)의 어드레스로 맵핑한다.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는 후속적으로 관리 디바이스(11)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제 1 단말 디바이스(7)에 송신한다. 그와 같이 제공된 어드레스는 도메인 네임 서버에 의한 다른 직접 어드레싱 형태들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IP 어드레스들로 변환될 수 있는 도메인 네임의 형태로 있을 수 있거나 그와 같이 제공된 어드레스는 IP 어드레스 또는 다른 직접 어드레싱 형태로서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는 또한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구성되는 언어(예를 들어, 영어, 스페인어, 독일어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구성을 위한 언어는 제 1 메시지의 특정 재지향 코드 부분에 의해 표시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 2 메시지의 임의선택적 부분으로서 제 1 단말 디바이스(7)에 리턴될 수 있다.
제 2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제 1 단말 디바이스(7)는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로부터 수신되는 관리 디바이스(11)의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관리 디바이스(11)에 제 3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 3 메시지는 완전한 배치 코드 또는 제 3 서브파트와 같은 배치 코드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디바이스(11)는 제 3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그리고 배치 코드 또는 배치 코드의 제 3 서브파트가 제 1 단말 디바이스를 위한 유효한 코드인 것을 검증할 수 있다. 관리 디바이스(11)는 또한 배치 코드의 제 3 서브파트 또는 완전한 배치 코드가 유효하다는 결정시에 제 1 단말 디바이스(7)를 구성하기 위해 제 1 단말 디바이스(7)와 통신들을 교환함으로써 제 3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7)에 대한 구성 프로세스는 제 3 메시지에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디바이스(1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관리 디바이스(11)는 구성 프로세스(예를 들어, MAC 어드레스에 의한 인식)를 개시하기 전에 제 1 단말 디바이스(7)를 인식하기 위해 일부 다른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구성 프로세스는 제 1 단말 디바이스(7)가 관리 디바이스(11)에 의해 제 3 네트워크(5)과의 통신에서 이용하기 위한 특정 어드레스를 할당받게 할 수 있다. 구성은 또한 배치 코드 내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방식들로 제 1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부분 또는 배치 코드의 제 3 서브파트는 제 1 단말 디바이스(7)에 할당되도록 인증 또는 승인들을 정의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승인들 및 인증은 제 1 단말 디바이스(7)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서로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들로 액세스의 양을 제한할 수 있거나 제 3 네트워크(5)에 의해 제공되는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액세스하기 위해 제 1 단말 디바이스(7)를 위해 활용되는 요금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7)를 구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부분에서 식별되는 승인들 및 인증은 제 1 단말 디바이스(7)의 사용자가 제 3 네트워크(5)를 액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이용을 위해 로그인될 때, 제 1 단말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단말 디바이스(7)가 예를 들어, 제 3 네트워크(5)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서버들과 통신하게 허용하지 않는 제한된 승인 파라미터를 갖게 할 수 있다.
배치 기준 부분, 또는 배치 코드의 제 3 서브파트는 또한 제 3 네트워크(5)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서버들을 액세싱하는데 이용하기 위해 임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제 1 단말 디바이스(7)에 의해 다운로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관리 디바이스(11)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은 디바이스가 후속적으로 애플리케이션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제 1 단말 디바이스(7)에 전송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갖기 위해 다른 서버와 통신하는 관리 디바이스(11)에 의해 또는 관리 디바이스(11)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어드레스 기반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실시예들에 대해, 관리 디바이스(11)는 특정 MAC 어드레스에 서로 다른 단말 디바이스들을 링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7)가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에 제 1 메시지를 송신할 때, 제 1 단말 디바이스(7)의 MAC 어드레스는 배치 코드 또는 배치 코드의 일부분 대신에 포함될 수 있다. MAC 어드레스는 제 1 단말 디바이스(7)에 대한 관리 디바이스(11)의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해 관리 디바이스(11)의 어드레스를 매핑하기 위해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가 활용하는 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는 제 1 단말 디바이스(7)의 MAC 어드레스를 인식하며 그리고 제 2 메시지에서 제 1 단말 디바이스(7)에 매칭 관리 디바이스(11)의 어드레스를 리턴하는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각 가능한 관리 디바이스에 질문할 수 있다.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는 그 후에 제 1 단말 디바이스(7)에 관리 디바이스(11)의 결정된 어드레스를 갖는 제 2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7)는 그 후에 이 디바이스에 대해 수신된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관리 디바이스(11)에 제 3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 3 메시지는 배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MAC 어드레스 실시예에 대해, 제 1 단말 디바이스(7)의 MAC 어드레스는 또한 관리 디바이스(11)에 송신된다. 관리 디바이스(11)는 그 후에 상기에 논의된 구성 프로세스에 유사하게 제 1 단말 디바이스(7)를 구성할 수 있다.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관리 디바이스(11)를 통해 구성된 후에, 제 1 단말 디바이스(7)는 제 3 네트워크(5)의 클라우드 서비스(16)를 호스팅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이 서버와의 통신들은 클라우드 서비스(16)를 호스팅하는 서버를 통해 제 2 또는 제 3 단말 디바이스들(8 및 9)과 같은 다른 단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들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서버가 예시되는 한편,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호스팅하는 다수의 서로 다른 서버들이 제 3 네트워크(5)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 및 구성 프로세스 동안 제 1 단말 디바이스(7)에 할당되는 승인 또는 인증 레벨에 따라 제 1 단말의 구성을 통해 제 1 단말에 모두 액세스가능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방법의 실시예들은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이용을 위해 구성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의 관리 디바이스에 대한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사용자에 의한 용이하게 입력된 코드의 이용을 허용하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단말 디바이스 상에 이용되는 언어는 또한 코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방법 및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또는 다른 네트워크 제공자에게 대규모 집단의 고객들을 지원할 수 있는 가변적이며 많은 수의 서로 다른 코드들을 여전히 허용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코드의 길이가 최소화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을 허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코드들이 또한 서로 다른 고객 그룹들에 할당될 수 있으며 그리고 타협된 코드들이 그와 같은 보안성 위험들을 해결하기 위해 더 용이하게 구식이 되게 허용할 수 있다. 본 방법 및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따라서 네트워크의 관리, 개선된 배치 및 유연성의 관점에서 다수의 장점들을 제공하며, 그리고 또한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배치 및 그와 같은 네트워크의 관리 및 유지와 관련된 비용들의 감소를 허용한다. 본 방법 및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또한 이전에 분배된 디바이스들의 배치 능력을 유지하면서 개발되거나 이후에 판매되는 새로운 디바이스들을 위한 보안성 메커니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수단을 허용한다.
또한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는 제 1 단말 디바이스(7)가 서비스에 등록하기 위해 또는 구성되도록 컨택트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로 고려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와 같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는 관리 디바이스(11)에 제 1 단말 디바이스(7)를 재지향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것을 제조하고 이용하는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및 방법들의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의 변형들이 존재함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은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전화, 데스크톱 전화, 셀룰러 전화, 랩톱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 또는 다른 모바일 컴퓨터 디바이스일 수 있다.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는 서버일 수 있거나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그 위에 저장되는 재지향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메모리에 통신하게 커플링되는 프로세서를 활용하는 라우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관리 디바이스(11)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단말을 구성하기 위해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 또는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관리 디바이스는 또한 구성 프로세스 후에 디바이스에 등록되는 단말에 이용가능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서비스들을 제공 또는 호스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입력 디바이스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출력 디바이스들은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4), 관리 디바이스(11),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16)를 호스팅하는 서버에 동작적으로 접속되거나 통신하게 접속될 수 있다.
동일한 것을 제조하고 이용하는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및 방법들의 특정 제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는 한편,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속하는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달리 다양하게 구체화되고 그리고 실시될 수 있음이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Claims (15)

  1.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 1 단말 디바이스;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통신하게(communicatively) 접속가능한 재지향(redirecting)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통신하게 접속가능한 관리 디바이스
    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배치 코드를 표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배치 코드를 결정하며, 상기 배치 코드는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subpart)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에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메시지의 재지향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결정하며;
    상기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 및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메시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통해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제 3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 3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구성을 할당하기 위해 제 1 단말과의 통신을 설정하며,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의 구성은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부분 또는 상기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서브파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구성은 상기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부분 또는 상기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서브파트에 의해 식별되는 구성인, 통신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코드는 일련의 문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련의 문자들은 제 1 서브파트 및 제 2 서브파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파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파트는 상기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이며 상기 제 2 서브파트는 상기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부분 또는 상기 배치 기준 서브파트인, 통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코드는 카운트인 제 3 서브파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운트는 상기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정의하는 상기 제 3 서브파트의 최종 문자 후에 순차적으로 다수의 문자들을 식별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코드는 또한 체크섬인 제 4 서브파트로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섬은 상기 배치 코드를 검증하기 위해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에 의해 식별되는, 통신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할당되는 구성을 가진 후에 그리고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할당된 구성을 통해 구성된 후에, 상기 서버와의 통신 접속을 형성하는, 통신 시스템.
  8.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배치 코드를 표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배치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배치 코드는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subpart)을 포함함―;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에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포함함―;
    상기 제 1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메시지의 상기 재지향 코드에 대응하는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 및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메시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통해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제 3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네트워크와 관련됨―;
    상기 제 3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구성을 할당하기 위해 제 1 단말과의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의 구성은,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할당된 구성으로 구성되고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액세스가능하도록,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부분 또는 상기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서브파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구성은 상기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부분 또는 상기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서브파트에 의해 식별되는 구성인,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코드는 일련의 문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련의 문자들은 제 1 서브파트 및 제 2 서브파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파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파트는 상기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이며 상기 제 2 서브파트는 상기 배치 코드의 배치 기준 부분 또는 배치 기준 서브파트인,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코드는 또한 카운트인 제 3 서브파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운트는 상기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정의하는 상기 제 3 서브파트의 최종 문자 후에 순차적으로 다수의 문자들을 식별하는,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코드는 체크섬인 제 4 서브파트로 이루어지는,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할당되는 구성을 가진 후에 그리고 상기 제 1 단말 디바이스가 할당된 구성에 따라 구성된 후에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14. 통신 단말로서,
    제 1 트랜시버 유닛;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비-일시적 메모리; 및
    상기 제 1 트랜시버 유닛 및 상기 메모리에 통신하게 접속되는 프로세서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하며,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되는 방법을 수행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되는 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통신 단말 대한 배치 코드를 표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배치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배치 코드는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포함함―;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가 제 1 메시지의 상기 재지향 코드에 대응하는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 단말에 상기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단말이 상기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이 서비스를 액세싱하도록 구성되게 상기 관리 디바이스가 상기 통신 단말에 구성을 할당하도록, 상기 통신 단말이 상기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통해 관리 디바이스에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상기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네트워크와 관련되는, 통신 단말.
  15. 통신 단말에 대한 명령들을 정의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통신 단말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상기 통신 단말에 의해 수행되며, 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통신 단말을 위한 배치 코드를 표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배치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배치 코드는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포함함―;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가 제 1 메시지의 재지향 코드에 대응하는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상기 통신 단말에 상기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단말이 상기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재지향 코드 서브파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이 서비스를 액세싱하게 구성되도록 상기 관리 디바이스가 상기 통신 단말에 구성을 할당하도록, 상기 통신 단말이 상기 재지향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관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통해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상기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네트워크와 관련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147029342A 2012-12-28 2012-12-28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통신 단말들의 배치를 위한 시스템 KR101588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2/005392 WO2014101929A1 (en) 2012-12-28 2012-12-28 System for deployment of communication terminals in a cloud compu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005A true KR20140137005A (ko) 2014-12-01
KR101588271B1 KR101588271B1 (ko) 2016-01-25

Family

ID=4756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342A KR101588271B1 (ko) 2012-12-28 2012-12-28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통신 단말들의 배치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860118B2 (ko)
EP (1) EP2803179B1 (ko)
KR (1) KR101588271B1 (ko)
CN (1) CN104170351B (ko)
WO (1) WO20141019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4669B2 (en) * 2014-04-09 2018-09-25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cloud computing adaptive cloud services
US20150332351A1 (en) 2014-05-16 2015-11-19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Provider Cloud Services - Cloud Marketplace
CN105335112B (zh) * 2014-05-30 2020-08-1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多屏显示的信息处理和主控端内容发送方法、装置
US10212029B2 (en) * 2016-06-15 2019-02-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rvice provisioning in cloud computing systems
US11349871B2 (en) * 2019-01-24 2022-05-31 The Toronto-Dominion Bank Dynamic and cryptographically secure augmentation of programmatically established chatbot sessions
CN113395368B (zh) * 2020-03-13 2024-05-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访问配置方法、访问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28305A1 (en) 2011-05-27 2012-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connection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device, device adopting the same, cloud computing networ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7910B2 (en) * 2000-10-04 2008-03-04 Verisign,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esponding to request for unregistered domain name to indicate a predefined type of service
US20040196312A1 (en) * 2003-04-07 2004-10-07 Joseph Powers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US20050159149A1 (en) * 2003-12-27 2005-07-21 Wen Kuei-Ann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852208B2 (en) * 2004-08-02 2010-12-14 Hill-Rom Services, Inc. Wireless bed connectivity
CN101309447A (zh) * 2007-05-15 2008-11-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终端上进行业务配置的方法及系统
US8949434B2 (en) * 2007-12-17 2015-02-03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ally provisioning a WWAN device
CN101304334A (zh) * 2008-06-27 2008-1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关键业务配置命令下发顺序的方法及系统
US20100157850A1 (en) * 2008-12-23 2010-06-24 Qualcomm Incorporated In-band provisioning for a closed subscriber group
JP5174747B2 (ja) * 2009-06-18 2013-04-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計算機システムおよび管理装置
US8477350B2 (en) * 2010-03-16 2013-07-02 Google Inc. Cloud-based print service
KR101417194B1 (ko) * 2010-10-06 2014-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식별자 관리 서버, 응용 서비스 플랫폼, 센서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한 장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US9710628B2 (en) * 2012-12-21 2017-07-18 Nokia Technologies Oy Unlocking an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28305A1 (en) 2011-05-27 2012-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connection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device, device adopting the same, cloud computing networ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01651B2 (en) 2020-03-24
CN104170351B (zh) 2017-08-01
KR101588271B1 (ko) 2016-01-25
US9860118B2 (en) 2018-01-02
US10257034B2 (en) 2019-04-09
US20190182112A1 (en) 2019-06-13
US20180091367A1 (en) 2018-03-29
EP2803179B1 (en) 2016-10-05
US20150039737A1 (en) 2015-02-05
CN104170351A (zh) 2014-11-26
WO2014101929A1 (en) 2014-07-03
EP2803179A1 (en)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1651B2 (en) System for deployment of communication terminals in a cloud computing system
TWI713855B (zh) 憑證管理方法及系統
US9894630B2 (en) ADSS enabled global roaming system
US20200329032A1 (en) Secure gateway onboarding via mobile devices for internet of things device management
TWI477163B (zh) 用於即時通訊之基於使用者之驗證
US1172710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erifying applications
WO2020016480A1 (en) Electronic device update management
KR20140081041A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N114500082A (zh) 接入认证方法及装置、设备、服务器、存储介质和系统
US8689304B2 (en) Multiple independent authentications for enhanced security
CN103546426A (zh) 信息共享方法、管理服务器
KR20140116422A (ko)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인증 제공자와 통합하는 기법
CN104541488A (zh) 保护机密数据机密性的验证系统
WO2019185709A1 (en) Electronic device management
CN108228280A (zh) 浏览器参数的配置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JP2022070222A (ja) 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デバイスプロビジョニング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モノのインターネットデバイスのプロビジョニング)
JP6988525B2 (ja) 登録システムおよび登録方法
US2021006475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erifying applications
US8850032B2 (en) System and method of resolving a domain name
US11695750B2 (en) Mutually authenticated voice communications
KR101409348B1 (ko) 통합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및 관리 방법
CN110198235B (zh) 一种应用于多系统服务端接口调用的中转系统及方法
WO2015154411A1 (zh) 信息共享的方法及装置
JP2018129756A (ja) 機器リスト作成システム、及び機器リスト作成方法
KR20150103987A (ko) 통합 로그아웃 방법, 인증 처리 서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사용자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