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041A -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041A
KR20140081041A KR1020120150343A KR20120150343A KR20140081041A KR 20140081041 A KR20140081041 A KR 20140081041A KR 1020120150343 A KR1020120150343 A KR 1020120150343A KR 20120150343 A KR20120150343 A KR 20120150343A KR 20140081041 A KR20140081041 A KR 20140081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authentication
user terminal
web server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897B1 (ko
Inventor
이철민
김판희
박세철
정한욱
천왕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5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89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1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ticket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제한이나 사이트 제한 없이 다양한 인터넷 사이트 또는 웹 사이트에서 미리 등록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를 로그인 ID 등으로 사용하고 사용자 단말의 인증 승낙 과정을 거쳐 보안성도 유지할 수 있는 인증 처리가 가능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Connection of Internet Site using Phone Number}
본 발명은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비스 제한이나 사이트 제한 없이 다양한 인터넷 사이트 또는 웹 사이트에서 미리 등록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를 로그인 ID 등으로 사용하고 사용자 단말의 인증 승낙 과정을 거쳐 보안성도 유지할 수 있는 인증 처리가 가능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사용자는 수많은 웹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별도의 ID를 발급받고 각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게 되는데, 각 사이트마다 ID와 비밀번호를 사용자가 일일이 기억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여러 웹 사이트의 ID와 비밀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ID/비밀번호를 수첩과 같은 오프라인 메모로 관리하는 사용자들이 있는가 하면, 웹 사이트 별 ID/비밀번호를 저장 관리해주는 전자지갑 형태의 PC 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도 한다.
웹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에 ID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지 않고 공인인증서를 이용하기도 한다. 공인인증서는 주로 금용 인터넷 서비스나 공공기관의 사용자 인증 방식에 이용되고 있는데, ID와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 없이 공인인증서를 USB메모리에 가지고 다니면서 인터넷 서비스 이용을 위한 로그인 시 공인인증서에 대한 비밀번호만을 입력함으로써 인증처리가 되도록 하고 있다.
각 웹 사이트의 ID를 각각 발급받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ID를 다양한 제휴된 인터넷 서비스에서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Open ID라는 방식도 있다. ID와 비밀번호는 한 사이트(Open ID 제공자)에서 관리를 하고 제휴 사이트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은 Open ID 제공자에게 맡겨 인증 확인된 ID에 대한 제휴 사이트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하나의 ID 자원을 제휴 사이트에서 공동으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개인별로 이용하고 있는 수많은 인터넷 웹사이트 별로 일일이 기억하기 힘든 ID와 비밀번호를 관리하거나 웹사이트 로그인의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한 상술한 종래기술들을 살펴보면, 먼저, 별도의 ID/비밀번호 저장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오프라인 수첩에 메모하는 것과 별반 다를 것이 없으며 어플리케이션과 인터넷 웹 사이트 사이의 ID/비밀번호 연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도 않는다. 또한 한 곳에 저장관리하고 있는 그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노출되면 돌이킬 수 없는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로그인시 ID와 비밀번호 대신 공인인증서와 공인인증서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으나 금융서비스 등과 같은 제한적인 서비스에만 국한되어 있고, 공인인증서를 하드디스크 저장하거나 별도의 USB메모리에 저장해서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이동성에 제약이 있으며, 운영체제, 웹 브라우저, 모바일 지원 등 서비스 환경에서의 제약사항이 많아 보편적인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
Open ID를 이용한다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하나의 ID와 비밀번호만을 기억하는 편리성이 있지만, 그 하나의 ID/비밀번호가 노출될 경우 그 Open ID를 이용하는 모든 제휴 사이트에 대한 보안 문제가 발생한다. Open ID는 이런 기술적인 문제점 외에 Open ID 제공자가 여러 곳이라 메이저가 없다는 점, 대부분의 인터넷 사이트는 ID 자체를 자산으로 생각하여 별도로 ID 관리를 하는 곳이 많아 Open ID 제휴 사이트가 많지 않다는 점 등의 문제로 인해 Open ID 자체도 다른 여러 사이트의 ID/비밀번호와 같이 개인이 기억하고 관리해야 하는 추가적인 정보가 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ID/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해 이용할 때마다 ID/비밀번호 찾기를 요청하는 불편을 해소하면서 그와 같은 로그인 정보의 노출 위험이 없도록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서비스 제한이나 사이트 제한 없이 로그인 등 인증을 위해 ID 대신 전화번호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기억과 관리가 쉬우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 대신 전화번호와 연계된 스마트폰 등 사용자 단말과 그 어플리케이션을 OTP(One Time Password)와 같은 방식으로 활용함으로써 보안성 확보는 물론이고 스마트폰 등 사용자 단말의 이동 특성을 그대로 따르므로 이동성에도 제약이 없는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제1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사용자가 이미 가입한 서비스 대상 웹서버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웹서버와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하여 상기 웹서버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된 인증토큰을 관리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된 상기 인증토큰을 관리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의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웹서버에 서비스 접속 정보로서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웹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웹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의 상기 인증토큰을 통한 인증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승낙을 거쳐 상기 웹서버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전화번호를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단계; 및 설치 시 생성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추출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번호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번호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웹서버에 대한 도메인 이름이나 주소 정보, 및 상기 웹서버에 기 등록된 ID와 패스워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웹서버에 대한 도메인 이름이나 주소 정보, 및 상기 웹서버에 기 등록된 ID와 패스워드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웹서버에서 확인 후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된 인증토큰을 생성하며, 생성한 인증토큰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증토큰을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상기 웹서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인증 승낙 요청을 전송하여 해당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된 인증토큰을 검색하며, 검색된 상기 인증토큰을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웹서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전송하는 인증토큰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접속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웹페이지에 대한 서비스 접속 시에 제시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의 다른 단말의 접속에 대한 인증 쿠키를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인증 승낙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승낙 또는 거부에 대한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화면에서 승낙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1단계 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항상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기 위하여 항상 확인하는 정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다른 단말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 셋톱박스, 인터넷 TV 세트, 또는 인터넷 서비스 이용을 위한 다른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웹서버로 접속은 로그인 과정, 결제 처리 과정, 또는 인터넷 상에서의 다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가 이미 가입한 서비스 대상 웹서버 간의 인증 과정을 네트워크 상에서 중계하는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는 식별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이미 가입한 서비스 대상 웹서버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요청 받아, 상기 웹서버가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된 인증토큰을 관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된 상기 인증토큰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는 인증토큰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의 다른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웹서버에 서비스 접속 정보로서의 상기 전화번호가 상기 웹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웹서버와의 상기 인증토큰을 통한 인증 과정을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승낙 과정을 처리하여 상기 웹서버로 접속을 지원하는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전화번호와 그 전화번호와 연결된 스마트폰 등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제한이나 사이트 제한 없이 여러 다양한 인터넷 사이트에 동일한 방식으로 로그인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최초 한번의 각 사이트 인증을 위한 ID/비밀번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면 각 사이트 별로 다른 ID와 비밀번호를 일일이 기억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그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ID와 비밀번호의 보안성 문제와 노출의 위험도를 스마트폰 등 사용자 단말이라는 물리적인 장치와 그 단말 상에 올라가는 전용 클라이언트 앱에 대한 보안 코드 설정을 통해 기존보다 월등한 보안성을 제공함은 물론이고, 공인인증서 사용이 쉽지 않은 모바일 환경 등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비밀번호 대신 단말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보안적인 특징은 금융 서비스 등 보안 레벨이 높은 곳에서 많이 이용하는 OTP(One Time Password)와 유사한 보안 레벨을 제공하여 인터넷 인증 서비스뿐만 아니라 결제와 같은 서비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ID 서비스 클라이언트 앱의 활성화와 전화번호 ID 서비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ID로 인증 하고자 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서비스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와 도 3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전화번호 ID 인증 서비스 사이트로 등록한 웹사이트에서 실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인증 승낙 요청에 대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시스템(10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110, 120),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인터넷 사이트인 웹 서버(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는 식별정보 관리부(131), 인증토큰 관리부(132), 및 서비스 처리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웹 서버(140)에 로그인 등을 위해 이미 회원 가입하여 웹 서버(140)가 관리하는 ID(Identification)와 패스워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웹 서버(140)는 사용자가 이미 가입한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대상 웹서버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서비스에 따라 웹 서버(140)는 로그인을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110, 120)에 대하여 해당 인터넷 사이트의 서비스에 대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서비스를 이용하여 웹 서버(140)가 이와 같은 로그인 과정을 처리하는 것 이외에도, 웹 서버(140)가 결제 처리 과정이나 또는 인터넷 상에서의 다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처리하도록 하는데 적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110은 본 발명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서비스를 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한 단말로서, 하기하는 바와 같이 전화번호나 사용자가 이미 가입한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대상 웹서버(140)에 대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에 등록하며,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시에 OTP(One Time Password)와 같은 방식으로 인증 승낙을 확인 받기 위한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 110은 일반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전화번호가 부여된 이동통신 단말기(스마트폰, 아이폰 등)이다.
사용자 단말 120은 위와 같은 어플리케이션(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은 단말로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예, 스마트폰, 아이폰, PDA, PMP 등), 컴퓨터(예,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테블릿 PC 등), 인터넷 TV 중계를 위한 셋톱박스, 인터넷 TV 세트, 또는 인터넷 서비스 이용을 위한 다른 전자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 120은 사용자가 웹 서버(14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서비스(이하, 전화번호 접속 인증 서비스로 약칭함)를 위하여,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 110의 전화번호와 그 전화번호로 로그인 등이 가능한 웹서버(140), 그 전화번호와 해당 웹서버(140)에 대해 발급된 인증토큰에 대한 관리를 담당한다.
사용자 단말 11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앱)은 전화번호를 소유한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써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와 직접 통신하는 전용 클라이언트이며, 전화번호 ID에 대한 인증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웹 서버(140)는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와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 통신을 통해 전화번호와 연결된 해당 웹서버(140)의 사용자 ID, 패스워드와 그와 연계된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토큰을 발급하고 관리한다.
하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단말 110의 전화번호와 그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번호 접속 인증 서비스의 인증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3단계의 과정을 통해 동작한다. 이를 위하여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가 사용자 단말 110과 사용자가 이미 가입한 서비스 대상 웹서버(140) 간의 인증 과정을 네트워크 상에서 중계하게 된다.
(1) 전화번호 ID 서비스 가입 및 사용자 단말 11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도 2 참조): 이를 통해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의 식별정보 관리부(131)는, 사용자 단말 110에서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사용자 단말 11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 이후 ID 서비스 서버(130)는 보안성 유지를 위해 사용자 단말 110과의 통신, 즉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110이 전송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항상 확인한 후 통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 110이 전송하는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등 사용자 단말 110의 고유번호를,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의 식별정보 관리부(131)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사용자 단말 110의 전화번호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으며, 보안성 유지를 위해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 110과의 통신에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 110의 고유번호도 역시 참조하여 통신할 수 있다.
(2) 전화번호 ID로 인증 하고자 하는 웹서버(140)에 대한 서비스 등록(도 3 참조): 이를 통해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의 인증토큰 관리부(132)는 사용자 단말 110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이미 가입한 서비스 대상 웹서버(140)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요청 받아, 웹서버(140)가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된 인증토큰을 관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해당 인증토큰을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
(3) 전화번호 ID가 웹서버(140)에서의 전화번호 ID 인증 서비스 이용(도 4 참조): 이를 통해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의 서비스 처리부(133)는 사용자 단말 110 또는 사용자의 다른 단말 120을 통해 입력된, 웹서버(140)에 서비스 접속 정보로서의 해당 전화번호가, 웹서버(140)로 전송된 후, 웹서버(140)와의 상기 인증토큰을 통한 인증 과정을 처리하고 사용자 단말 110의 인증 승낙 과정(도 5 참조)을 처리하여 웹서버(140)로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ID 서비스 클라이언트 앱의 활성화와 전화번호 ID 서비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110을 이용해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전화번호 접속 인증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S110),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110은 해당 서버에서 제공하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S111) 설치하고 실행시킬 수 있다(S112).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11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화면(예, 전화번호 등록 화면)에 사용자 단말 11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S120), 사용자는 소정의 확인키나 전송키를 눌러 해당 입력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의 식별정보 관리부(131)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등 사용자 단말 110의 고유번호도 ID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S121).
이에 따라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 110이 전송한 전화번호를 수신하면, 소정의 인증번호를 생성하여(S122) 문자메시지(예, SMS, LMS, MMS 등)를 이용해 사용자 단말 110로 응답할 수 있다(S123). 사용자 단말 110의 사용자는 문자메시지(예, SMS, LMS, MMS 등)로 수신되는 인증번호를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화면에 수신된 해당 인증번호를 입력하여(S130)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로 인증번호를 재전송할 수 있으며(S131), 이때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등 사용자 단말 110의 고유번호와,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예, 설치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 코드)도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의 식별정보 관리부(131)는, S123 단계에서 전송한 인증번호가 S131 단계에서 수신하는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로 인증되면(S132),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사용자 단말 11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으며, 이때 위와 같은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등 사용자 단말 110의 고유번호도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S133).
이후 ID 서비스 서버(130)는 보안성 유지를 위해 사용자 단말 110과의 통신, 즉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110이 전송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항상 확인한 후 통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보안성 유지를 위해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 110과의 통신에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 110의 고유번호도 역시 참조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ID로 인증 하고자 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서비스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2) 단계는 전화번호를 ID로 이용하기 위해 제휴된 제3의 인터넷 사이트인 웹서버(140)에 사용자가 이미 가입할 때 부여받은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연결시키는 과정이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110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화면(예, 웹서버 등록 화면)에서 이미 가입한 서비스 대상 웹서버(140)에 대한 도메인 이름이나 주소 정보, 및 웹서버(140)에 기 등록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S210), 사용자는 소정의 확인키나 전송키를 눌러 해당 입력한 정보들을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의 인증토큰 관리부(132)로 전송하여 서비스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S211).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가 해당 정보들과 함께 인증토큰 관리부(132)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미 가입한 서비스 대상 웹서버(140)에 대한 도메인 이름이나 주소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화면(예, 웹서버 등록 화면)에 직접 글자, 기호, 문자, 숫자의 조합으로 입력할 수도 있고, 또는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가 제휴된 하나 이상의 웹서버(140)에 대한 도메인 이름(예, A.com 등)이나 주소 정보(예, 256. 256. 11. 25 등)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 110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화면(예, 웹서버 등록 화면)에 제공하고, 사용자는 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도메인 이름이나 주소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인증토큰 관리부(132)는 사용자 단말 110이 전송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함께 웹서버(140)에 대한 도메인 이름이나 주소 정보, 및 웹서버(140)에 기 등록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수신하면, 먼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할 수 있다(S212). 전화번호를 추출하면 인증토큰 관리부(132)는 추출한 해당 전화번호와 함께 수신된 해당 웹서버(140)에 대한 도메인 이름이나 주소 정보, 및 웹서버(140)에 기 등록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웹서버(140)로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한다(S213).
웹서버(140)에서는 인증토큰 관리부(132)가 전송한 기 등록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함을 판단한 후, 인증토큰 관리부(132)가 전송한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된 인증토큰을 생성할 수 있으며(S214), 생성한 인증토큰을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의 인증토큰 관리부(132)로 전송할 수 있다(S220). 웹서버(140)에서는 기 등록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와 함께, 해당 사용자 단말 110의 전화번호 ID와 인증토큰을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토큰 관리부(132)는 웹서버(140)로부터 수신된 인증토큰을 상기 식별정보(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사용자 단말 110의 전화번호와 고유 번호 등)에 대응시켜 관리한다(S221). 이와 같이 인증토큰 관리부(132)가 매핑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면, 웹서버(140)(예, A.com)에 대한 전화번호 접속 인증 서비스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문자메시지, 푸시메시지 등으로 사용자 단말 110에 알려 줄 수 있다(S222).
이와 같이 (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 11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이미 가입한 서비스 대상 웹서버(140)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함에 따라,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의 인증토큰 관리부(132)는 웹서버(140)가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된 인증토큰을 관리하도록 제어하고, 식별정보(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사용자 단말 110의 전화번호와 고유 번호 등)에 대응되도록 해당 인증토큰을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함으로써, 인증토큰을 매개로 한 전화번호와 해당 웹서버(140)의 사용자 ID 간의 관계가 맺어지게 된다.
도 4는 도 2와 도 3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전화번호 ID 인증 서비스 사이트로 등록한 웹사이트에서 실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 단계는 (1), (2) 단계를 통해 전화번호 ID 인증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등록된 A.com 등 인터넷 웹서버(140)에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 등 접속을 인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사용자는 A.com 등 인터넷 웹서버(140)에 로그인(또는 결제 처리 과정이나 인터넷 상에서의 다른 사용자 인증 과정에 적용 가능)하기 위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110, 120 등)을 통해 웹서버(140)에 접속하고 로그인 등 서비스 접속을 요청하는 페이지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 110의 전화번호를 로그인 등 서비스 접속을 위한 창(예, 전화번호 입력 창)에 서비스 접속을 위한 ID 정보로서 입력하고, 확인키나 전송키 등을 선택하여 웹서버(140)로 전송한다(S310). 이에 따라 웹서버(140)는 사용자 단말 120로부터 수신하는 서비스 접속을 위한 ID 정보인 사용자 단말 110의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한다(S311).
이때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의 서비스 처리부(133)는 도 2와 도 3과 같은 과정에 따라 전화번호 접속 인증 서비스에 등록되었는지 확인하고, 즉,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는 식별정보(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사용자 단말 110의 전화번호와 고유 번호 등)와 해당 인증토큰을 참조하여 해당 전화 번호가 존재하면(S312), 서비스 처리부(133)는 해당 전화번호를 이용해 사용자 단말 110로 도 5와 같이 인증 승낙 요청 메시지(예, SMS, LMS, MMS 등 문자메시지 또는 푸시메시지)를 전송(푸시)할 수 있다(S320).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 5와 같이 인증 승낙 요청 메시지(예,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110의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내용에 따라 해당 요청을 거부 또는 승낙할 수 있으며, 승낙을 선택하면(S321) 사용자 단말 110은 해당 인증 승낙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323). 이에 따라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의 서비스 처리부(133)는 해당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S11 단계에서 수신한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된 인증토큰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S323), 검색된 해당 인증토큰을 웹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S330).
웹서버(140)에서는 도 3의 S221 단계에서와 같이 기 등록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와 함께, 해당 사용자 단말 110의 전화번호 ID와 인증토큰을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고 있으며,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인증토큰을 수신하면(S330), 해당 인증토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유효성 검증을 통해 S310 단계의 사용자 단말(110, 120)에 대한 접속 인증을 처리한다(S331).
이때 웹서버(140)에서는 접속 인증(예, 로그인 인증 등)을 처리하면서 S310 단계의 사용자 단말(110, 120)이 웹서버(140)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웹페이지에 대한 서비스 접속 시에 제시될 사용자 단말(110, 120)의 접속에 대한 인증 쿠키를 발급할 수 있다(S332). 발급된 인증 쿠키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 120)이 웹서버(140)의 다양한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시 사용자 ID나 패스워드에 대한 별도의 재인증 없이 자동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인터넷 사이트에 로그인 할 경우 각각의 인터넷 웹서버(140)(예, A.com, B.com, C.com 등)에 기존에 등록된 서로 다른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통해 로그인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전화번호와 스마트폰 등 사용자 단말(110)의 앱을 통한 인증 확인을 통해 각 사이트에 동일한 방식으로 로그인을 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로그인에 대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위와 같은 전화번호 접속 인증 서비스는 결제 처리 과정이나 인터넷 상에서의 다른 사용자 인증 과정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사용자 단말(110, 120)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130)
웹 서버(140)
식별정보 관리부(131)
인증토큰 관리부(132)
서비스 처리부(133)

Claims (12)

  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제1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사용자가 이미 가입한 서비스 대상 웹서버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웹서버와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하여 상기 웹서버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된 인증토큰을 관리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된 상기 인증토큰을 관리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의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웹서버에 서비스 접속 정보로서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웹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웹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의 상기 인증토큰을 통한 인증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승낙을 거쳐 상기 웹서버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전화번호를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단계; 및
    설치 시 생성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추출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번호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번호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웹서버에 대한 도메인 이름이나 주소 정보, 및 상기 웹서버에 기 등록된 ID와 패스워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웹서버에 대한 도메인 이름이나 주소 정보, 및 상기 웹서버에 기 등록된 ID와 패스워드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웹서버에서 확인 후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된 인증토큰을 생성하며, 생성한 인증토큰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증토큰을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상기 웹서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인증 승낙 요청을 전송하여 해당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된 인증토큰을 검색하며, 검색된 상기 인증토큰을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웹서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전송하는 인증토큰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접속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웹페이지에 대한 서비스 접속 시에 제시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의 다른 단말의 접속에 대한 인증 쿠키를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인증 승낙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승낙 또는 거부에 대한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화면에서 승낙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 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항상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기 위하여 항상 확인하는 정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다른 단말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 셋톱박스, 인터넷 TV 세트, 또는 인터넷 서비스 이용을 위한 다른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로 접속은 로그인 과정, 결제 처리 과정, 또는 인터넷 상에서의 다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12.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가 이미 가입한 서비스 대상 웹서버 간의 인증 과정을 네트워크 상에서 중계하는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화번호 ID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는 식별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이미 가입한 서비스 대상 웹서버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요청 받아, 상기 웹서버가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된 인증토큰을 관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된 상기 인증토큰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는 인증토큰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의 다른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웹서버에 서비스 접속 정보로서의 상기 전화번호가 상기 웹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웹서버와의 상기 인증토큰을 통한 인증 과정을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승낙 과정을 처리하여 상기 웹서버로 접속을 지원하는 서비스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시스템.
KR1020120150343A 2012-12-21 2012-12-21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2055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343A KR102055897B1 (ko) 2012-12-21 2012-12-21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343A KR102055897B1 (ko) 2012-12-21 2012-12-21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041A true KR20140081041A (ko) 2014-07-01
KR102055897B1 KR102055897B1 (ko) 2019-12-16

Family

ID=5173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343A KR102055897B1 (ko) 2012-12-21 2012-12-21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8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471B1 (ko) * 2014-08-28 2014-12-24 주식회사 인포바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웹 페이지 로그인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123112A (ko) * 2016-03-15 2018-11-14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웹사이트 로그인 방법 및 장치
KR20190009862A (ko) 2017-07-19 2019-01-30 라온시큐어(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간편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인증 서비스 장치
WO2020197160A1 (ko) * 2019-03-27 2020-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의 인증을 이용하여 서비스에 엑세스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117247A (ko) * 2019-04-03 2020-10-14 최낙일 보험수리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416B1 (ko) * 2020-10-14 2021-12-07 전성훈 웹 사이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핸드폰 번호에 결합하고 웹 사이트에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여 핸드폰 고유의 본인확인을 통해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시스템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161B1 (ko) * 2007-06-25 2008-04-16 (주) 엘지텔레콤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통합 아이디를 이용한 로그인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471B1 (ko) * 2014-08-28 2014-12-24 주식회사 인포바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웹 페이지 로그인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123112A (ko) * 2016-03-15 2018-11-14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웹사이트 로그인 방법 및 장치
US10721231B2 (en) 2016-03-15 2020-07-21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Website login method and apparatus
US10868813B2 (en) 2016-03-15 2020-12-15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Website login method and apparatus
KR20190009862A (ko) 2017-07-19 2019-01-30 라온시큐어(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간편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인증 서비스 장치
WO2020197160A1 (ko) * 2019-03-27 2020-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의 인증을 이용하여 서비스에 엑세스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114075A (ko) * 2019-03-27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의 인증을 이용하여 서비스에 엑세스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117247A (ko) * 2019-04-03 2020-10-14 최낙일 보험수리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897B1 (ko) 201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16960B (zh) 用户认证方法和系统
CN106716918B (zh) 用户认证方法和系统
JP2019519827A (ja) アプリの偽変造が探知可能な2チャンネル認証代行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9124571B1 (en) Network authentication method for secure user identity verification
JP5764501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55897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11165768B2 (en) Technique for connecting to a service
CN111628871B (zh) 一种区块链交易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222100B2 (en) Client server system
KR20150133944A (ko) 식별값과 인증서버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EP2916509B1 (en) Network authentication method for secure user identity verification
KR20150135171A (ko) 고객 전화번호 입력에 기초한 로그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914725B2 (ja) 認証システム、認証プログラム
KR20150052897A (ko) 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장치
CN105490988B (zh) 提高数据传输安全性的方法、装置及系统
CN102946397A (zh) 用户认证方法及系统
KR20070092917A (ko) 이동통신 망을 통한 인터넷 사용자의 인증 및 개인별보안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22913A (ko) 연계 정보에 기반한 휴대폰 번호의 유효성 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101463545B1 (ko)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13810426B (zh) 即时通讯服务的接入系统及方法、装置
US10581799B2 (en) Method for a losing registrar to transfer a domain name from the losing registrar to a gaining registrar
JP2017045100A (ja) 移動通信端末、アプリ判定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端末の制御方法
KR101571199B1 (ko) 고객 전화번호 입력에 기초한 로그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WI536299B (zh) Online system and method of registration and certification
KR101537410B1 (ko) 오프라인 청약을 위한 회선 아이디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