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351A -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351A
KR20140136351A KR1020130056775A KR20130056775A KR20140136351A KR 20140136351 A KR20140136351 A KR 20140136351A KR 1020130056775 A KR1020130056775 A KR 1020130056775A KR 20130056775 A KR20130056775 A KR 20130056775A KR 20140136351 A KR20140136351 A KR 20140136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ata
user terminal
unit
spectacl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제환
민관식
양근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6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6351A/ko
Publication of KR2014013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를 처리하여 생성한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뷰에 대한 동기화 신호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통신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화 수신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화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복수의 컨텐츠 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안경 장치로부터 전화 연결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이 수신되면,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 DISPLAY APPARATUS, SHUTTER GLASSE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연동하는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컨텐츠 뷰 중 하나에 동기화되어 구동되는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사용이 늘면서 좀 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사용자 니즈(needs)도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각 제조사들의 노력도 커져서, 종래에 없던 새로운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멀티 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멀티 뷰 디스플레이 장치란, 서로 다른 컨텐츠를 이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컨텐츠 뷰를 제공하는 멀티 뷰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멀티 뷰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급되게 되면,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면서도, 각자가 원하는 컨텐츠 뷰를 타 사용자의 간섭 없이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PIP(Picture In Picture) 기능과 달리 멀티 뷰 기능에 따르면, 각 컨텐츠 뷰의 사이즈가 동일하다. 따라서, PIP 기능에 비해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멀티 뷰 기능에 의해 각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 뷰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안경 장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안경 장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입에 따라 셔터 글래스 방식 또는 편광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니즈가 점차 증가하면서 복수의 컨텐츠 뷰를 제공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안경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컨텐츠 뷰를 이용하면서 이와 연결된 스마트 폰을 통해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뷰 기능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안경 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수신된 전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구동되는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를 처리하여 생성한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뷰에 대한 동기화 신호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통신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화 수신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화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상기 전화 연결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상기 전화 연결 종료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안경 장치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전화 연결에 따라 상기 안경 장치에서 멀티 뷰 기능이 OFF 된 시점에 상기 안경 장치에 저장된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 장치에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전화 수신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는,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 상기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는 셔터 글래스 구동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의 컨텐츠 뷰에 대한 동기화 신호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컨텐츠 뷰에 동기화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셔터 글래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수신된 전화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전화 연결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화 연결에 따라 멀티 뷰 기능이 OFF 된 시점에서 현재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화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전화 종료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 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존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안경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를 처리하여 생성한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뷰에 대한 동기화 신호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화 수신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화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상기 전화 연결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안경 장치에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상기 전화 연결 종료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안경 장치에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전화 연결에 따라 상기 안경 장치에서 멀티 뷰 기능이 OFF 된 시점에 상기 안경 장치에 저장된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 장치에 대응되는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전화 수신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의 컨텐츠 뷰에 대한 동기화 신호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컨텐츠 뷰에 동기화되도록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를 구동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외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수신된 전화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전화 연결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전화 연결 수행에 따라 멀티 뷰 기능이 OFF 된 시점에서 현재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전화 종료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저장된 기존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안경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멀티 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뷰 모드에서 핸즈 프리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뷰 모드에서 핸즈 프리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멀티 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에 따르면, 멀티 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안경 장치(200-1, 200-2)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TV로 구현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이외에도, 전자 액자, 키오스크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멀티 뷰 기능을 제공한다. 멀티 뷰 기능이란 복수의 서로 다른 컨텐츠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기능이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이 두 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듀얼 뷰 기능이라고 명명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멀티 뷰 기능이라고 통칭하여 설명한다. 멀티 뷰 기능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 뷰를 생성하고, 각 컨텐츠 뷰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도 1(a)에서는 두 개의 2D 컨텐츠 A, B를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구성하여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각 컨텐츠 뷰를 A, B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컨텐츠 A, B는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 네트워크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저장 소자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A, B는 동영상 컨텐츠 뿐만 아니라, 정지 영상, 텍스트 등과 같이 오디오가 배제된 컨텐츠가 될 수도 있다.
안경 장치(200-1, 200-2)는 셔터 글래스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셔터 글래스 방식이란 좌안 글래스에 마련된 액정 셔터 및 우안 글래스에 마련된 액정 셔터를 개별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시켜 편광 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방식이다. 즉, 컨텐츠 A에 매칭된 제1 안경 장치(200-1)는 컨텐츠 뷰 A가 출력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모두 턴-온시키고, 컨텐츠 뷰 B가 출력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모두 턴-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안경 장치(200-1)를 착용한 사용자는 컨텐츠 뷰 A만을 인식할 수 있다.
반면, 컨텐츠 B에 매칭된 제2 안경 장치(200-2)는 컨텐츠 뷰 B가 출력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각 글래스를 턴-온시킨다. 이에 따라, 제2 안경 장치(200-2)를 착용한 사용자는 컨텐츠 뷰 B 만을 인식할 수 있다.
각 안경 장치(200-1, 200-2)가 각 컨텐츠 뷰의 출력 타이밍에 동기화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한다. 동기화 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가령, IR 신호, RF 신호 등을 브로드캐스팅하는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고,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IEEE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블루투스 방식에 따라 동기화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b)에서는 두 개의 3D 컨텐츠 A, B를 이용하여 멀티 뷰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3D 컨텐츠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컨텐츠 A는 좌안 영상 컨텐츠 뷰 AL과, 우안 영상 컨텐츠 뷰 AR로 구성되고, 컨텐츠 B는 좌안 영상 컨텐츠 뷰 BL과, 우안 영상 컨텐츠 뷰 BR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AL, AR, BL, BR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제1 안경 장치(200-1)는 컨텐츠 A의 좌안 영상 컨텐츠 뷰 AL의 출력 타이밍에 동기화시켜 좌안 글래스를 구동시키고, 컨텐츠 A의 우안 영상 컨텐츠 뷰 AR의 출력 타이밍에 동기화시켜 우안 글래스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안경 장치(200-1)를 착용한 사용자는 3D 컨텐츠 A를 입체감 있게 시청할 수 있다. 반면, 제2 안경 장치(200-2)는 컨텐츠 B의 좌안 영상 컨텐츠 뷰 BL의 출력 타이밍에 동기화시켜 좌안 글래스를 구동시키고, 컨텐츠 B의 우안 영상 컨텐츠 뷰 BR의 출력 타이밍에 동기화시켜 우안 글래스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2 안경 장치(200-2)를 착용한 사용자는 3D 컨텐츠 B를 입체감 있게 시청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멀티 뷰 기능 이외에 하나의 3D 컨텐츠를 재생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3D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각 안경 장치(200-1, 200-2)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맞추어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교번적으로 구동시킨다. 3D 컨텐츠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경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기화 신호를 제공한다. 각 안경 장치(200-1, 200-2)는 동기화 신호를 이용하여 각 셔터 글래스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뷰들 중에서 안경 장치(200-1, 200-2)의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컨텐츠 뷰의 출력 타이밍에 동기화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멀티 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안경 장치들(200, 200-1, 200-2) 외에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더 포함한다. 멀티 뷰 기능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도 2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관련된 핸즈 프리(Hands-Free) 기능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전화 기능을 구비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안경 장치들(200, 200-1, 200-2)과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책, 노트북 PC, 데스크 탑 PC 등 전화 기능이 가능한 경우라면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HID(Human Interface Device) profile로 동작하며 Connection Mode(Sniff Mode) 상태를 유지하고, 안경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HFP(Hands Free Profile)로 동작하며 Connection Mode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안경 장치(200)는 Bluetooth Profile로 Connection Mode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안경 장치들(200, 200-1, 200-2)이 멀티 뷰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전화가 수신되면, 특정 안경 장치(200)에서 핸즈 프리 기능을 통해 해당 전화를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안경 장치(200)가 핸즈 프리 키트(hands-free kits)로서 동작함으로써 핸즈 프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각각 안경 장치들(200, 200-1, 200-2)과 페어링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전화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해당 내용을 통지(S210)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해당 오디오 메시지를 안경 장치(200, 200-1, 20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안경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수신된 전화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안경 장치(20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오디오 데이터(또는 오디오 신호) 중단 요청을 전송한다(S220).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경 장치(200)로 오디오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안경 장치(200)로 제공되는 멀티 뷰 기능, 구체적으로 오디오 데이터 전송이 OFF 될 수 있다. 즉, 안경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동기화된 컨텐츠에 대한 셔터링 기능만 수행하고,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게 된다.
이 후, 안경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화 연결을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안경 장치(200)에서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S230).
이에 따라 안경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안경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구체적 구성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안경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 간의 동작 상태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디오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동기화 신호 생성부(130), 제1 통신부(141), 제2 통신부(142)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비디오 처리부(110)는 각 컨텐츠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검출한 후, 그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한다. 비디오 처리부(110)는 서로 다른 컨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된 비디오 프레임들을 적어도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치하여, 출력 데이터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처리부(110)는 제공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고, 화면 사이즈에 맞게 스케일링한 후, 프레임 레이트를 출력 레이트에 맞추어 변환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멀티 뷰 모드가 개시되는 경우, 비디오 데이터(150)는 서로 다른 컨텐츠의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한 후, 생성된 비디오 프레임을 탑-투-바텀(top-to-bottom) 포맷 또는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포맷으로 연결하여 출력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비디오 처리부(110)에서 구성된 출력 데이터를 제공받아,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및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을 포함하는 LCD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 밖에, OLED 타입이나, PDP 타입 및 기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1000)를 구성한다. 출력부(1000)에는 비디오 처리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20) 이외에도 다양한 추가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설명과 관련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동기화 신호 생성부(130)는 복수의 컨텐츠 뷰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생성한다. 동기화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 안경 장치 사이에 적용된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가령, RF 신호, IR 신호 형태로 생성되거나,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IEEE 기타 각종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데이터 패킷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다.
동기화 신호는 복수의 동기화 주기로 구분될 수 있다. 각 동기화 주기는 동기화 정보를 나타내는 펄스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 또는 폴링 에지(falling edge)에 의해 구분된다. 동기화 신호 생성부(130)는 매 동기화 주기마다 현재 멀티 뷰 기능이 실행 중인 상태인지, 3D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알리기 위한 상태 정보, 각 컨텐츠 뷰의 출력 타이밍과 셔터 글래스 구동 타이밍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타이밍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정보는 각 컨텐츠 뷰의 출력 타이밍을 직접적으로 알리는 sync 정보로 구현될 수도 있고, 기준 타이밍 정보 및 그 기준 타이밍으로부터 각 컨텐츠 뷰의 출력 타이밍까지의 딜레이 타임을 나타내는 딜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동기화 신호에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페어링된 전체 안경 장치의 고유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통신부(141)는 동기화 신호 생성부(130)에서 생성한 동기화 신호를 외부의 안경 장치들로 전송한다. 제1 통신부(141)는 상술한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안경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42)는 외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2 통신부(142) 역시, 상술한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C 등 전화 기능이 가능한 경우라면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멀티 뷰 모드에서 외부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통해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안경 장치(200)를 통해 전화 연결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전화 수신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전화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 정보 및 전화 수신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전화 번호, BT Device Name(예를 들어, ○○○ 님의 폰) 등이 될 수 있다.
이어서, 안경 장치(200)로부터 전화 연결에 따른 오디오 전송 중단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안경 장치(200)에 동기화된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경 장치(200)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오디오 전송 중단 요청 신호가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설정된 버튼은 채널 전환 버튼, 볼륨 버튼 등 안경 장치(200)에 마련된 다양한 버튼이 될 수 있으며 해당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화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시점에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안경 장치(200)에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이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해당 안경 장치(200)는 더 이상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안경 장치(200)는 동기화 신호에 따른 셔터링 동작만 수행하고, 오디오 데이터는 더 이상 수신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해당 안경 장치(200)를 제외한 다른 안경 장치들의 경우 각각 동기화된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여전히 정상적인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안경 장치(200)에서 전화 연결이 종료됨에 따라 중단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안경 장치(200)에 동기화된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다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은 안경 장치(200)에서 전화 연결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시점에 저장된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시점은 안경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전송하는 시점, 안경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화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시점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50)는 안경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에 포함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안경 장치(200)에 동기화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안경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에 포함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은 전화 연결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시점에 저장된 채널 정보 뿐 아니라 볼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안경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에 포함된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에 기초하여 안경 장치(200)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해당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200)의 동작 상태는 전화 연결 전 멀티 뷰 동작 상태로 심리스(Seamless)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안경 장치(200)가 블루투스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블루투스 패킷의 리저브(Reserved) 영역에 기록될 수 있다.
도 3(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기화 신호 생성부(130), 제1 통신부(141), 제2 통신부(142), 제어부(150), OSD 처리부(160), 리모콘 신호 수신부(170), 출력부(1000), 수신부(181), 인터페이스부(182), 저장부(183)를 포함한다. 도 3(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3(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출력부(1000)는 컨텐츠를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출력부(1000)는 디먹스(184), 비디오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오디오 처리부(191), 오디오 출력부(192),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193)를 포함한다. 출력부(1000)는 수신부(181), 인터페이스부(182), 저장부(183) 등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아 처리한다.
수신부(181)는 방송망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수신부(181)는 방송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 선국된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 복조된 방송 신호를 등화하는 등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8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되는 국가에서 채택한 방송 규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서는 하나의 수신부(181)를 도시하였으나, 수신부(181)는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멀티 뷰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복수의 수신부(181)를 제어하여 서로 다른 방송 채널을 각각 선국한다. 출력부(1000)는 선국된 각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구성하여 화면 상에 교번적으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82)는 인터넷이나 기타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 장치로부터 컨텐츠 파일을 수신하는 구성이다. 특히, 인터넷을 통해 웹 서버에 액세스하여 컨텐츠 파일을 수신하기 위해서, 인터페이스부(18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83)는 각종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저장부(183)는 수신부(181)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녹화한 녹화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고, 인터페이스부(182)를 통해 스트리밍되거나 다운로드되는 컨텐츠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저장부(18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나 기타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각종 설정 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83)는 싱글 뷰 모드에서 선택되었던 컨텐츠에 대한 최종 정보, 멀티 뷰 모드에서 선택되었던 컨텐츠에 대한 최종 정보 등도 저장한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오프 이후에 턴 온 되거나, 싱글 뷰 모드 및 멀티 뷰 모드 사이, 멀티 뷰 모드 및 전화 수신 모드 사이에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저장부(183)에 저장된 최종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선택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먹스(184)는 수신부(181), 인터페이스부(182), 저장부(183)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획득되는 컨텐츠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한다.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처리부(110)로 제공되고,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처리부(191)로 제공된다.
오디오 처리부(191)는 디먹스(184)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 노이즈 필터링, 증폭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91)는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192) 또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193)로 제공한다(S193). 오디오 출력부(192)란 스피커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이고,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193)는 오디오 데이터를 변조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193)는 RF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193)는 안경 장치(200)에 구비된 RF 통신 모듈과 함께 페어링을 수행하여, 오디오 데이터 뿐 아니라 볼륨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193)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전화 수신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전화 수신을 알리는 오디오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 뷰 각각에 동기화된 안경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OSD 처리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OSD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20)로 제공한다.
특히, OSD 처리부(16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OSD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OSD 메시지를 화면 상의 비디오 프레임에 오버레이시켜 렌더링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OSD 메시지를 복수의 컨텐츠 뷰에 렌더링할 수 있다. 그 밖에도, OSD 처리부(160)는 리모콘 제어 권한, 페어링 상태, 채널 번호, 볼륨 레벨, 방송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OSD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리모콘 신호 수신부(170)는 리모콘(미도시)으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한다. 리모콘 신호는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리모콘 신호는 리드 코드, 커스텀 코드, 데이터 코드 등으로 조합된 코드 신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조사 또는 제품 별로 정해진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캐리어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싱글 뷰 모드 또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싱글 뷰 모드 또는 멀티 뷰 모드는 메뉴 화면 상에서 선택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50)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17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본체에 마련된 키 등을 통해 메뉴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 가능한 각종 메뉴들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50)는 메뉴 화면 상에서 멀티 뷰 메뉴가 선택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텐츠 뷰를 생성하여 멀티 뷰 모드를 수행한다.
멀티 뷰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디폴트 값을 이용하여 바로 복수의 소스를 선택하고, 복수의 컨텐츠 뷰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다르게는, 사용자가 임의로 컨텐츠 뷰의 개수, 소스, 컨텐츠 등을 선택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멀티 뷰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컨텐츠뷰의 개수, 컨텐츠 뷰의 소스, 컨텐츠 네임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컨텐츠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뷰의 개수를 2로 선택하고, 각 컨텐츠 뷰의 소스를 TV 방송 신호로 선택하였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50)는 2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두 개의 컨텐츠 뷰를 생성하도록 수신부(181) 및 출력부(1000)를 제어한다. 또는 제어부(150)는 USB 메모리 스틱이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마련된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각 컨텐츠 뷰의 소스로 웹 서버나 저장 매체들이 선택되면 인터페이스부(182)나 저장부(183)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멀티 뷰 모드가 개시되면, 제어부(150)는 복수의 컨텐츠로부터 디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처리하여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오디오 처리부(191)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생성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출력하도록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193)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채널이란 서로 다른 무선 주파수 신호 채널이 될 수 있다. 즉,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193)는 각 오디오 데이터를 서로 다른 무선 주파수를 가지는 반송파로 각각 변조시킨 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안경 장치는 자신이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응되는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주파수 채널을 튜닝한 후, 그 주파수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조하여 오디오를 출력한다. 또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193)는 각 오디오 데이터들을 통신부(140)에 의해 전송 가능한 통신 포맷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여 통신부(140)를 통해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각 안경 장치들은 오디오 스트림 내에서, 현재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검출하여 안경 장치에 부착된 스피커나 이어폰 등을 통해 출력하여 줄 수 있다.
볼륨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50)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 레벨을 디폴트 값으로 동일하게 설정하여 줄 수 있다. 즉,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 레벨은 각 안경 장치에서 조정될 수 있다. 각 안경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50)에 의해 디폴트 값으로 설정된 볼륨 레벨로 오디오 데이터를 증폭(업 또는 다운)시켜 출력한다. 반면, 각 안경 장치는 통신 단절 후 재연결이 이루어지면, 통신 단절 이전에 설정되었던 볼륨 레벨로 오디오 데이터를 증폭시켜 출력한다. 안경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 밖에, 동기화 신호 생성부(130), 제1 통신부(141), 제2 통신부(142)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 3(a)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ROM(Read Only Memory)(151), RAM(random access memory)(152), CPU(Central Processing Unit)(153), GPU(Graphic Processing Unit)(154), 버스(bus)(155)를 포함한다. ROM(151), RAM(152), CPU(153), GPU(154) 등은 버스(15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기타 레지스터나 인터페이스가 제어부(120) 내에 마련될 수도 있다.
CPU(153)는 저장부(183)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83)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83)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51)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53)는 ROM(151)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3)에 저장된 O/S를 RAM(152)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53)는 저장부(183)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52)에 복사하고, RAM(152)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CPU(153)는 멀티 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가 입력되면, 멀티 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RAM(152)으로 로딩시켜, 실행한다.
그 밖에, GPU(154)는 다양한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GPU(154)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전화 수신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제어부(150)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제어부(150)는 이 밖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자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a)에 따르면, 안경 장치(200)는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10, 220), 셔터 글래스 구동부(230), 제어부(240), 제1 통신부(251) 및 제2 통신부(25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10, 220)는 각각, 복수의 투명 전극, 투명 전극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편광판, 이들을 지지하는 투명 기판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투명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액정층의 각 액정들이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 턴-오프 상태에서는 빛의 투과가 차단되고, 턴-온 상태에서는 일반 글래스처럼 빛을 투과시킨다.
셔터 글래스 구동부(230)는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210, 220)에 구비된 투명 전극에 연결된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셔터 글래스 구동부(230)는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10, 220)에 마련된 투명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10, 220)를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시킨다. 셔터 글래스 구동부(230)는 3D 컨텐츠가 재생 중일 때에는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10, 220)를 하나씩 교번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고, 멀티 뷰 기능이 시행 중일 때에는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10, 220)를 일괄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시킨다.
제1 통신부(2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개시되면, 다양한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통신부(2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다.
제2 통신부(252)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며,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수신된 전화를 연결하여 안경 장치(200)에서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부(240)는 안경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4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멀티 뷰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수신된 전화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멀티 뷰 기능을 OFF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동기화된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안경 장치(200)에 구비된 특정 키 입력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기화된 상태에서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4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수신된 전화를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수신된 전화를 연결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안경 장치(200)는 HFP 기능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HFP 기능은 안경 장치(200)에 연결된 HFP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음성 수신을 위한 별도의 마이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HFP 장치는 안경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키와 동일한 키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수신된 전화 통화를 위한 사용자의 음성은 안경 장치(200)에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는 안경 장치(200)에 연결된 HFP장치에 구비된 마이크가 이용될 수 있으나, 별도로 마이크가 안경 장치(200)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음성은 리모콘(미도시)에 구비된 음성 인식용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리모콘(미도시)은 사용자 단말 자치(20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음성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화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별도로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특정 사용자 명령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 및 전화 연결 요청이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동시에 전송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오디오 데이터 전송 중단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현재 시청 중인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40)는 전화 연결이 종료되면, 저장된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멀티 뷰 기능을 재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전화 연결이 종료되면, 저장된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해당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신호에 포함된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안경 장치(200)에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200)는 전화 연결 전 멀티 뷰 상태로 심리스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도 4(b)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안경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b)에 따르면, 안경 장치(200)는 제1 셔터 글래스부(210), 제2 셔터 글래스부(220), 셔터 글래스 구동부(230), 제어부(240), 제1 통신부(251), 제2 통신부(152),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261),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62), 오디오 출력부(263), 입력부(270) 및 저장부(29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210, 220)와 셔터 글래스 구동부(230)의 동작은 도 4(a)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입력부(270)는 사용자가 안경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각종 키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원키, 페어링키, 컨텐츠 뷰 전환 키, 볼륨 조정 키, 멀티 뷰 중단 키 등이 입력부(27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들 키들은 푸쉬 버튼, 다이얼, 죠그셔틀, 휠, 터치 패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뷰 중단 키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수신된 전화를 연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멀티 뷰 중단, 즉 오디오 데이터 전송 중단을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화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키로 별도의 키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기존 키 예를 들어, 페어링 키, 컨텐츠 뷰 전환 키, 볼륨 조정 키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안경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페어링 키가 멀티 뷰 중단 키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멀티 뷰 중단을 요청하기 위한 키와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화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키가 별개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40)는 입력부(270)에 마련된 각종 키의 조작 상태에 따라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한 페어링 키가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제1 통신부(251) 및 제2 통신부(252)를 제어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40)는 제1 통신부(251)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페어링 트리거 신호를 전송한다. 이 후에, 제1 통신부(251)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어드레스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부(280)에 저장한다. 제1 통신부(251)는 저장된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제1 통신부(251)는 페어링 과정에서 획득된 어드레스 정보를 통신 재연결시에도 이용할 수 있다. 즉, 안경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되어 사용 중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턴 오프되었다가 턴-온되면, 제어부(240)는 저장부(280)에 저장된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재연결을 수행하도록 제1 통신부(251)를 제어한다. 한편, 안경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 간 페어링에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저장부(28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어드레스 정보 이외에도 통신부(250)를 통해 수신되는 동기화 신호, 리모콘(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타겟 컨텐츠 뷰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80)에는 안경 장치(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구동 프로그램도 저장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261)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안경 장치(200)에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멀티 뷰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 각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검출하여, 서로 다른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261)는 제어부(240)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뷰에 대응되는 무선 주파수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 채널을 선국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무선 주파수 채널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타겟 컨텐츠 뷰 정보나 동기화 신호 등에 포함되어 함께 전송될 수도 있고, 별도의 신호 포맷으로 안경 장치(200) 측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62)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261)에서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조, 노이즈 필터링, 증폭 등과 같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63)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62)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263)는 스피커 형태 또는 이어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63)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 시에는 그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정해진 볼륨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볼륨 조정은 출력단에 마련된 가변 저항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부(263)는 입력부(270)에 마련된 볼륨 조정 키가 조작되면 그 조작 상태에 따라 가변 저항 값을 변경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263)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서의 전화 수신을 알리는 오디오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입력부(270)를 통해 볼륨 조정 명령이 입력되면, 볼륨 조정 명령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을 조정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63)를 제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수신된 전화 연결을 위해 멀티 뷰 기능이 중단되면, 제어부(240)는 현재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부(280)에 저장한다. 즉,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전송하고, 오디오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면, 이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수신된 전화 연결을 수행한다.
이 후에, 전화 연결이 종료되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오이오 신호 전송 요청을 전송한다. 이 경우 제어부(240)는 저장부(280)에 저장된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200)는 전화 연결이 종료되면,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전에 설정한 볼륨 레벨로 바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안경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 안경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페어링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안경 장치(200)가 멀티 뷰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S510).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안경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와 동기화되어 있으며, 동기화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전화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S52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53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안경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수신된 전화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안경 장치(2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로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전송한다(S540).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안경 장치(200)에 마련된 특정 버튼에 대한 누름 조작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안경 장치(200)는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시 동기화된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안경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고(S550), 안경 장치(200)는 멀티 뷰 기능을 중단 즉, 오디오 데이터 수신없이 셔터링 기능만 수행하게 된다(S560).
이어서, 안경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전화 연결을 요청하고(S570), 안경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 간에 전화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뷰 모드에서 핸즈 프리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고, 안경 장치(200-1, 200-2)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동기화되고, 동기화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를 가정하도록 한다.
상술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안경 장치(200-1, 200-2)와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전화가 수신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 정보 및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610)가 각 컨텐츠 뷰(A, B)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컨텐츠 뷰(A, B)에 동기화된 각 안경 장치(200-1, 200-2)는 해당 메시지(610)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ㅇㅇㅇ님께 전화가 왔습니다. 연결하시겠습니까?"라는 내용의 메시지가 각 컨텐츠 뷰(A, B)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메시지는 "YES"(611) 및 "NO"(612)의 선택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리모콘(10)을 통해 "YES" 항목(611)이 선택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사용자의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메시지가 각 컨텐츠 뷰(A, B)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고자 하는 안경의 채널 switch 버튼을 누르세요"라는 내용의 가이드 메시지(620)가 각 컨텐츠 뷰(A, B)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컨텐츠 뷰(A, B)에 동기화된 안경 장치(200-1, 200-2)를 착용한 각 사용자는 해당 메시지(620)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NO"(612)의 선택 항목이 선택되거나, 기설정된 시간 내에 특정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수신된 전화는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시지(610) 디스플레이 후, 안경 장치(200-1, 200-2)로부터 특정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해당 내용을 통지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수신된 전화를 종료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서 수신된 전화가 자동으로 종료될 때까지 메시지(6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이드 메시지에 따라 특정 안경 장치(200-1)의 채널 switch 버튼이 누름 조작되면, 해당 안경 장치(20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전송하고, 멀티 뷰 기능을 중단하고 셔터링 기능만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어느 안경 장치에서도 채널 switch 버튼이 누름 조작되지 않으면,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수신된 전화는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다.
이 후, 안경 장치(200-1)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수신된 전화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뷰 모드에서 핸즈 프리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안경 장치(200-1, 200-2)와 동기화된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에 전화가 수신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의 식별 정보 및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에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710)가 각 컨텐츠 뷰(A, B)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ㅇㅇㅇ님께 전화가 왔습니다. 사용자고자 하는 안경의 채널 switch 버튼을 누르세요"라는 내용의 가이드 메시지(710)가 각 컨텐츠 뷰(A, B)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컨텐츠 뷰(A, B)에 동기화된 안경 장치(200-1, 200-2)를 착용한 각 사용자는 해당 메시지(620)를 확인하고, 채널 switch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수신된 전화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컨텐츠를 처리하여 생성한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S810).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뷰에 대한 동기화 신호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820).
이 후,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화 수신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화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830).
이어서, 안경 장치로부터 전화 연결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이 수신되면, 안경 장치에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한다(S840).
또한, 안경 장치로부터 전화 연결 종료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이 수신되면, 안경 장치에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은, 전화 연결에 따라 안경 장치에서 멀티 뷰 기능이 OFF 된 시점에 안경 장치에 저장된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안경 장치에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화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전화 수신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우선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의 컨텐츠 뷰에 대한 동기화 신호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S910).
이어서, 수신된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하나의 컨텐츠 뷰에 동기화되도록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를 구동한다(S920).
이 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외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수신된 전화 연결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화 연결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전송한다(S930).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안경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전화 연결 수행에 따라 멀티 뷰 기능이 OFF 된 시점에서 현재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화 연결이 종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화 종료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을 전송하며,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은, 저장된 기존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안경 장치가 셔터 글래스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편광 글래스 방식의 경우에도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현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적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컨텐츠 뷰를 제공하는 멀티 뷰 기능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안경 장치를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수신된 전화를 연결할 수 있게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이나, 안경 장치의 구동 방법들은 소프트웨어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나 안경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복수의 컨텐츠를 처리하여 생성한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 신호 및 오디오 데이터를 안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화 수신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화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안경 장치로부터 전화 연결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이 수신되면, 안경 장치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경 장치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의 컨텐츠 뷰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하나의 컨텐츠 뷰에 동기화되도록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를 구동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외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수신된 전화 연결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화 연결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가 설치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비디오 처리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동기화 신호 생성부
141: 제1 통신부 142: 제2 통신부
150: 제어부 200: 안경 장치
210: 제1 셔터 글래스부 220: 제2 셔터 글래스부
230: 셔터 글래스 구동부 240: 제어부
251: 제1 통신부 252: 제2 통신부

Claims (16)

  1. 복수의 컨텐츠를 처리하여 생성한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뷰에 대한 동기화 신호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통신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화 수신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화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상기 전화 연결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상기 전화 연결 종료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안경 장치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전화 연결에 따라 상기 안경 장치에서 멀티 뷰 기능이 OFF 된 시점에 상기 안경 장치에 저장된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 장치에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전화 수신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
    상기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는 셔터 글래스 구동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의 컨텐츠 뷰에 대한 동기화 신호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컨텐츠 뷰에 동기화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셔터 글래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수신된 전화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전화 연결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화 연결에 따라 멀티 뷰 기능이 OFF 된 시점에서 현재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화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전화 종료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존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안경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장치.
  9.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를 처리하여 생성한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뷰에 대한 동기화 신호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화 수신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화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상기 전화 연결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안경 장치에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상기 전화 연결 종료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안경 장치에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전화 연결에 따라 상기 안경 장치에서 멀티 뷰 기능이 OFF 된 시점에 상기 안경 장치에 저장된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 장치에 대응되는 동기화된 컨텐츠 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전화 수신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복수의 컨텐츠 뷰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의 컨텐츠 뷰에 대한 동기화 신호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컨텐츠 뷰에 동기화되도록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부를 구동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외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수신된 전화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전화 연결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중단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전화 연결 수행에 따라 멀티 뷰 기능이 OFF 된 시점에서 현재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전화 종료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저장된 기존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안경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30056775A 2013-05-20 2013-05-20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KR20140136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775A KR20140136351A (ko) 2013-05-20 2013-05-20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775A KR20140136351A (ko) 2013-05-20 2013-05-20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351A true KR20140136351A (ko) 2014-11-28

Family

ID=5245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775A KR20140136351A (ko) 2013-05-20 2013-05-20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63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941B1 (ko)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컨텐츠 뷰 중 하나에 동기화되어 구동되는 안경 장치 및 그 방법들
EP3029650B1 (en) Electronic device, audio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audio device power supply
US20130169765A1 (en) Display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display method and imaging processing thereof
KR1013097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573027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8886632B (zh) 数字装置以及在所述数字装置中处理数据的方法
US10631039B2 (en) Image display device
JP5674756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401461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view display
KR20140007708A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안경장치
US10529225B2 (en) Electronic device, audio out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JP2014050109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メガネ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40136351A (ko)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JP2015104101A (ja) 映像受信装置、映像送信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KR201501045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US2014014591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40368623A1 (en) Display apparatus providing multi-view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5032867A (ja) 端末装置及び連携システム
KR20120039162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백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