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511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511A
KR20150104511A KR1020150001078A KR20150001078A KR20150104511A KR 20150104511 A KR20150104511 A KR 20150104511A KR 1020150001078 A KR1020150001078 A KR 1020150001078A KR 20150001078 A KR20150001078 A KR 20150001078A KR 20150104511 A KR20150104511 A KR 20150104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ent
user gesture
display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우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638,49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253937A1/en
Publication of KR20150104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04N5/445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및 제1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복수의 분할 화면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MULTI VIEW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사용이 늘면서 좀 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사용자 니즈(needs)도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각 제조사들의 노력도 커져서, 종래에 없던 새로운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멀티 뷰 모드란 복수의 서로 다른 컨텐츠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반 모드 및 멀티 뷰 모드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일반 모드에서 멀티 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여러 번 조작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멀티 뷰 모드를 위한 버튼을 누르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에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입력 소스들을 텍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HDMI1, HDMI2, Component 등을 일렬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리모컨에 구비된 상/하 버튼을 누를 때마다, TV, HDMI1, HDMI2, Component를 이동하면서 활성화 상태로 표시한다. TV, HDMI1, HDMI2, Component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 상태로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 버튼을 누르게 되면, 멀티 뷰 모드를 위한 하나의 입력 소스가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술한 방식으로 입력 소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 소스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멀티 뷰 디스플레이를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 모드에서 멀티 뷰 모드로 전환할 경우, 사용자는 다수의 입력 동작을 실행해야 한다. 특히, 컨텐츠가 다양해짐에 따라 입력 소스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입력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 역시 증가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소스들을 텍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입력 소스들로부터 어떠한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 뷰 모드를 위한 입력 소스를 모두 선택한 후에, 멀티 뷰 디스플레이가 실행되면, 그때서야 자신이 선택한 입력 소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원하는 컨텐츠가 아닐 경우, 사용자는 상술한 동작들을 다시 실행해야 한다. 따라서, 멀티 뷰 모드의 실행이 번거로우며, 이로 인해 멀티 뷰 모드의 활용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및 제1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복수의 분할 화면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가,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기 결정된 멀티뷰 모드에 대응되는 멀티뷰 컨텐츠로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컨텐츠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복수 회 감지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의 감지 횟수에 따라 상기 분할 화면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분할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프리뷰 영상을 변경하기 위한 제3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제3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각 분할 화면 내의 컨텐츠 프리뷰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중 하나인 분할 화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타 분할 화면을 연결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연결된 각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사용자 제스쳐는, 복수의 분할 화면을 개별적으로 선택하는 제스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이 각각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 중 기 선택된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만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4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기 선택된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만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은,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 및 복수의 분할 화면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화면의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기 결정된 멀티뷰 모드에 대응되는 멀티뷰 컨텐츠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복수 회 감지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의 감지 횟수에 따라 상기 분할 화면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은 분할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프리뷰 영상을 변경하기 위한 제3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제3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각 분할 화면 내의 컨텐츠 프리뷰 영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중 하나인 분할 화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타 분할 화면을 연결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연결된 각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사용자 제스쳐는, 복수의 분할 화면을 개별적으로 선택하는 제스쳐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은,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이 각각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 중 기 선택된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4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기 선택된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제스쳐에 따른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3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분할 화면 내의 영상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뷰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4 사용자 제스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멀티 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선 사용자는 복수의 컨텐츠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멀티 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안경(200-1, 200-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표시할 경우, 복수의 사용자는 각각 안경(200-1, 200-2)을 착용하여 각자 원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안경(200-1, 200-2)을 착용하여 컨텐츠를 시청하는 실시 예에 대해선 이하 도 6a를 참고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상의 서로 다른 영역에 복수의 컨텐츠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컨텐츠를 한 화면에서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원하는 컨텐츠의 오디오가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사용자는 각자의 헤드폰을 착용하여 원하는 컨텐츠의 오디오만을 들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선 이하 도 6b를 참고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휴대폰, PDA, 노트북 PC, 모니터, 태블릿 PC, 전자 책, 전자 액자, 키오스크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한편으론 복수의 서로 다른 컨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2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듀얼 뷰 모드, 3 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트리플 뷰 모드, 4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쿼드러플 뷰 모드 등으로 명명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여 각자 서로 다른 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할 경우, 기 설정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방법이란, 제1 사용자 제스쳐를 취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모컨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선택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복수의 분할 화면에 각각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영상은 서로 다른 컨텐츠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입력 소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분할 화면들은, 각 분할 화면들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 이미지 등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화면들을 의미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경계선을 표시하여 분할 화면들을 구별할 수 있고, 각 분할 화면의 크기 또는 형태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예컨대 비디오 월)으로도 구현 가능하며, 이 경우에 분할 화면이란,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2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영상은, 컨텐츠를 대표하는 이미지(예컨대 영화 포스터),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 등과 같이 컨텐츠에 관련된 영상이거나, 컨텐츠 자체가 재생되고 있는 영상일 수 있다. 또는, 각 분할 화면에는 컨텐츠의 제목, 컨텐츠의 줄거리 등과 같이 컨텐츠를 나타내는 텍스트가 영상과 함께 혹은 단독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영상이란,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미지, 사진, 동영상, 텍스트 등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선,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영상이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 같이 복수의 분할 화면상에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추가적으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사용자 제스쳐의 감지 횟수에 따라 분할 화면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터치한 상태에서 마주하여 오므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분할 화면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이때, 분할 화면이 2개에서 4개로 증가했다면, 서로 다른 4개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이 4개의 분할 화면 각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4개의 분할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제스쳐가 다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분할 화면을 6개 또는 8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이 6개 또는 8개의 분할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분할 화면의 개수가 변경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분할 화면에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과 함께, 각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제공하는 입력 소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의 분할 화면이 생성되면, 사용자는 복수의 분할 화면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제스쳐를 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분할 화면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를 멀티뷰 컨텐츠로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멀티뷰 컨텐츠란, 복수의 컨텐츠가 한 화면에서 함께 표시되도록, 복수의 컨텐츠가 처리되어 생성된 새로운 컨텐츠를 의미하며, 이러한 멀티뷰 컨텐츠는 표시되는 형태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일 예로, 멀티뷰 컨텐츠는 복수의 컨텐츠가 화면 상의 서로 다른 영역을 차지하여 표시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멀티뷰 컨텐츠는 복수의 컨텐츠가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표시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제스쳐는 복수의 분할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분할 화면 중 2 이상의 분할 화면을 선택하는 제스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선택된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를 처리하여 멀티뷰 컨텐츠를 생성한 후 디스플레이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분할 화면에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과, 그에 대응하는 입력 소스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하는 것만으로,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과 입력 소스를 확인하면서 함께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간단한 제스쳐만으로 복수의 컨텐츠들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수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감지부(130), 컨텐츠 처리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컨텐츠 수신부(110)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입력 소스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복수의 입력 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복수의 입력 소스로는, TV1, TV2, HDMI1, HDMI2, USB, 인터넷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입력 소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하나의 컨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경우, 컨텐츠 수신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선택된 하나의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경우, 컨텐츠 수신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두 개 이상의 입력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하나의 컨텐츠는 컨텐츠 처리부(140)에 의해 영상 또는 음성 처리된 멀티미디어 신호일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부 장치(100)가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컨텐츠는 컨텐츠 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되어 멀티뷰 컨텐츠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멀티 뷰 모드와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30)는 멀티 뷰 모드와 관련된 제1 내지 제4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지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제스쳐는, 하나의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시청하고자 할 경우,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복수의 분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스쳐이다. 제1 사용자 제스쳐의 예로는,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터치한 상태에서 마주하여 오므리는 제스쳐가 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제스쳐는 시청하고자 하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화면을 선택하는 제스쳐이다. 제2 사용자 제스쳐의 예로는, 사용자가 손가락(예를 들어, 검지 손가락)을 어느 하나의 분할 화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타 분할 화면을 연결하는 제스쳐가 될 수 있다.
제3 사용자 제스쳐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변경하기 위한 제스쳐이다. 제3 사용자 제스쳐의 예로는, 사용자가 손가락(예를 들어, 검지 손가락)을 어느 하나의 분할 화면에 터치한 상태에서 상, 하, 좌, 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스쳐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프리뷰 영상이 변경되는 과정이 보여질 수 있다.
제4 사용자 제스쳐는 멀티 뷰 모드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멀티 뷰 모드의 실행을 종료하기 위한 제스쳐이다. 제4 사용자 제스쳐의 예로는,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터치한 상태에서 마주하여 벌리는 제스쳐가 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감지부(130)가 터치 스크린일 수 있음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사용자를 촬영하여, 그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장치(예컨대, 스마트 워치)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같이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터치할 필요가 없이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디스프레이 장치(100)의 제어가 가능하다.
컨텐츠 처리부(140)는 컨텐츠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경우, 컨텐츠 수신부(110)는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처리부(140)는 하나의 컨텐츠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경우, 컨텐츠 수신부(110)는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소스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처리부(140)는 복수의 컨텐츠를 멀티뷰 컨텐츠로 생성한 후, 디스플레이부(120)로 제공한다.
이 경우, 컨텐츠 처리부(140)는 복수의 컨텐츠를 기 결정된 멀티뷰 모드에 대응되는 멀티뷰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멀티뷰 모드가 존재하며, 컨텐츠 처리부(140)는 이 중에서 미리 결정된 멀티뷰 모드에 대응되는 멀티뷰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멀티뷰 모드의 결정은 사용자 설정에 의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감지되는 외부 장치의 특성에 따라 멀티뷰 모드가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안경(200-1, 200-2)을 감지한 경우(예를 들어 안경이 턴-온 되는 경우), 안경(200-1, 200-2)에 적합한 멀티뷰 모드에 대응하는 멀티뷰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멀티뷰 모드에 대응하는 멀티뷰 컨텐츠에선, 복수의 컨텐츠가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의 프레임과 제2 컨텐츠의 프레임이 교번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맨눈으로 멀티뷰 컨텐츠를 시청한다면 제1 컨텐츠와 제2 컨텐츠가 섞여 보일 테지만, 특수한 안경(200-1, 200-2)을 착용한다면 제1 컨텐츠의 프레임만이, 혹은 제2 컨텐츠의 프레임만이 착용한 안경을 통해 보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만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선 이하 도 6a을 참고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제2 멀티뷰 모드에 대응하는 멀티뷰 컨텐츠에선, 복수의 컨텐츠가 화면 상의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된다. 이때 제어부(150)는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컨텐츠를 각자의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볼 수 있으며, 헤드폰 등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만을 청취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폰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 가능한 것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는 휴대용 장치(스마트폰, 리모콘 등)에 연결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선 이하 도 6b을 참고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먼저, 제어부(150)는 감지부(130)를 통해 제1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1 사용자 제스쳐가 복수 회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제1 사용자 제스쳐의 감지 횟수에 따라 분할 화면의 개수를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각 분할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 소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복수의 분할 화면에 추가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분할 화면 중 적어도 2 이상의 분할 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되면, 제2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입력 소스들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멀티뷰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컨텐츠 수신부(110) 및 컨텐츠 처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분할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변경하기 위한 제3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제3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분할 화면 내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30)는 제3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된 분할 화면의 입력 소스를 변경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하면, 복수의 입력 소스 중 기 선택된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기 선택된 하나의 입력 소스란, 제1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분할 화면들이 표시되기 전에 표시되던 컨텐츠의 입력 소스이거나, 디폴트로 설정된 입력소스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4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기 선택된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제 4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표시되는 상태를종료할 수 있다.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표시되는 상태가 종료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표시되기 전에 선택되었던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제4 사용자 제스쳐의 감지 횟수에 따라 분할 화면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결국 하나의 컨텐츠만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스쳐를 취하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함께 표시되는 컨텐츠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제스쳐에 따른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하나의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30)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제스쳐를 취할 경우, 도 3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2개의 분할 화면(311, 312)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화면상에 터치한 상태에서 마주하여 오므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는 제1 분할 화면(311)과, 제2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는 제2 분할 화면(312)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제1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과 함께, 제1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즉, 제1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정보인 "TV1"을 제1 분할 화면(31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제2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과 함께, 제2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정보인 "HDMI1"을 제2 분할 화면(31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분할 화면(311)에 디스플레이된 제1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TV1"로부터 수신되는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제2 분할 화면(3110)에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HDMI"로부터 수신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같이 사용자는 각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확인하면서, 함께 시청할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2개의 분할 화면(311, 312)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컨텐츠는 2개에 불과하다. 따라서, 트리플 뷰 모드 또는 쿼드러플 뷰 모드 등을 위해서는 더 많은 분할 화면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손(30)을 이용하여 다시 한번 제1 사용자 제스쳐를 취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 각각을 포함한 4개의 분할 화면(321, 322, 323, 324)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제1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는 제1 분할 화면(321)과, 제2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는 제2 분할 화면(322), 제3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는 제3 분할 화면(323) 및 제4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는 제4 분할 화면(324)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제1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과 함께, 제1 컨텐츠 의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정보인 "TV1"을 제1 분할 화면(321)에 디스플레이하고, 제2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과 함께, 제2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정보인 "HDMI1"을 제2 분할 화면(3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3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과 함께, 제3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정보인 "인터넷"을 제3 분할 화면(323)에 디스플레이하고, 제4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과 함께, 제4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정보인 "USB"를 제4 분할 화면(324)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컨텐츠의 개수가 4개 이상인 경우, 도 3c에 도시된 화면상에서 제1 사용자 제스쳐를 다시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서로 다른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는 6개, 8개 또는 16개의 분할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제스쳐의 감지 횟수에 따른 분할 화면의 개수는 2N 또는 2N등으로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제1 사용자 제스쳐의 감지 횟수가 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제3 사용자 제스쳐에 따른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서로 다른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4 분할 화면(411, 412, 413, 414)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분할 화면(411, 412, 413, 414)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내지 제4 분할 화면(411, 412, 413, 414)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각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들과, 그에 따른 입력 소스를 확인하면서, 시청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제3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제1 내지 제4 분할 화면(411, 412, 413, 414)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손(40)을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제1 분할 화면(411) 상에 터치한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손(40)의 움직임에 따라 제3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TV1"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 대신, "DVD"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제1 분할 화면(41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이, 제3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된 분할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이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쉽게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과, 그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입력 소스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 분할 화면(411, 412, 413, 414)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컨텐츠 또는 그 입력 소스가 없을 경우, 어느 하나의 분할 화면에 제3 사용자 제스쳐를 취함으로써, 시청하고자 하는 컨텐츠 또는 입력 소스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도 4a에서는 사용자가 손(40)을 제1 분할 화면(411) 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의 제3 사용자 제스쳐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3 사용자 제스쳐는 어느 하나의 분할 화면에서 손(40)을 아래로 이동하거나, 좌 또는 우로 이동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제2 사용자 제스쳐에 따른 멀티 뷰 모드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서로 다른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4 분할 화면(511, 512, 513, 514)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분할 화면(511, 512, 513, 514)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방법이나,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2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제1 내지 제4 분할 화면(511, 512, 513, 514)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분할 화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분할 화면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컨텐츠들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복수의 컨텐츠들을 기 결정된 멀티 뷰 모드에 대응되는 멀티뷰 컨텐츠로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손(50)을 제1 분할 화면(511) 상에 터치한 상태에서 제2 분할 화면(512)으로 이동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손(50)이 움직이는 동안 터치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분할 화면(511) 및 제2 분할 화면(512)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되는 컨텐츠들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5b는 3개의 분할 화면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제스쳐에 따른 멀티 뷰 모드 실행 방법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50)을 제1 분할 화면(511) 상에 터치한 상태에서, 제2 분할 화면(513)을 거쳐 제3 분할 화면(513)으로 이동할 경우, 터치에 의해 제1 분할 화면(511), 제2 분할 화면(512) 및 제3 분할 화면(513)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이와 같은 제2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선택된 제1 분할 화면(511), 제2 분할 화면(512) 및 제3 분할 화면(513)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되는 컨텐츠들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는, 멀티뷰 컨텐츠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500)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멀티뷰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b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뷰 컨텐츠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제1 분할 화면(511) 및 제2 분할 화면(512)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1 분할 화면(511) 및 제2 분할 화면(512)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들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에 대응되는 각 영상 신호가 수신되면, 각 영상 신호에 대해 디코딩, 디인터리빙, 스케일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영상 프레임을 생성한다. 그리고나서, 그 영상 프레임을 조합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1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과 제2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프레임 단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프레임이 프레임 단위로 설정된 경우라면, 제1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2개를 표시하고나서 제2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2개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프레임들이 교번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1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타이밍 및 제2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타이밍과 각 안경 장치들(200-1, 200-2)의 동작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각 안경 장치들(200-1, 200-2)에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500) 및 안경 장치(200-1, 200-2) 사이에 적용된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가령, RF 신호, IR 신호 형태로 생성되거나,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IEEE 기타 각종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데이터 패킷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1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 및 제1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각각의 안경 장치(200-1, 200-2)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각 안경 장치(200-1, 200-2)를 통해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 각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6a에서는 두 개의 안경 장치(200-1, 200-2)를 도시하고 있으나, 안경 장치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많은 수의 안경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a에선 안경 장치를 이용하여 멀티뷰 컨텐츠를 시청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방식으로 멀티뷰 컨텐츠를 시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뷰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를 참고하면,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제1 분할 화면(511) 및 제2 분할 화면(512)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1 분할 화면(511) 및 제2 분할 화면(512)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들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화면의 제1 영역(611)과 제2 영역(612)에 각각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컨텐츠와 제2 컨텐츠를 한 화면에서 동시에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1 컨텐츠의 오디오와 제2 컨텐츠의 오디오를 각각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500)에는 복수의 헤드폰 단자가 마련되어 있으며,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표시되는 경우에 각 단자는 하나의 컨텐츠의 오디오만을 출력한다. 따라서, 제1 단자에 연결된 헤드폰을 통해 사용자는 제1 컨텐츠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고, 제2 단자에 연결된 헤드폰을 통해 사용자는 제2 컨텐츠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헤드폰 연결 단자가 마련된 외부 장치(스마트폰, 리모컨,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로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500)로부터 외부 장치로 수신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중, 원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사용자 제스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서와 같이, 제1 컨텐츠의 프레임 및 제2 컨텐츠의 프레임 (720)이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4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복수의 분할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사용자 제스쳐는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종료하기 위한 제스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손(70)을 이용하여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화면상에 터치한 상태에서 마주하여 벌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할 화면 내지 제4 분할 화면(711, 712, 713, 714)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1 분할 화면 내지 제4 분할 화면(711, 712, 713, 714)은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디스플레이되기 직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화면들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은 화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4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될 경우, 기 설정된 개수의 분할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분할 화면은 제4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기 직전에 함께 디스플레이되던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에 대한 2개의 분할 화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제4 사용자 제스쳐가 복수 회 감지되면, 제4 사용자 제스쳐의 감지 횟수에 따라 분할 화면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분할 화면 내지 제4 분할 화면(711, 712, 713, 714)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4 사용자 제스쳐가 다시 감지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할 화면(711) 및 제2 분할 화면(712)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분할 화면을 4개에서 2개로 감소시킨다. 이 같은 방법으로 제4 사용자 제스쳐가 다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c에서는 제4 사용자 제스쳐의 감지 횟수에 따라 분할 화면이 감소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4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동작 없이 바로 기 결정된 하나의 컨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기 결정된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입력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S810), 그리고, 제1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S820), 복수의 분할 화면에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한다(S830). 제1 사용자 제스쳐는 복수의 입력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한 화면에서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될 수 있다. 이 제1 사용자 제스쳐가 1회 감지될 경우, 서로 다른 컨텐츠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는 2개의 분할 화면이 생성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2회 감지될 경우, 서로 다른 컨텐츠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는 4개의 분할 화면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사용자 제스쳐의 감지 횟수에 따라 분할 화면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분할 화면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S840),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선택된 분할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한다(S850). 여기서 제2 사용자 제스쳐는 함께 표시할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분할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복수의 분할 화면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분할 화면에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2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초)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복수의 분할 화면에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던 것을 중단하고, 기존에 표시되던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기록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나 안경 장치 등과 같은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컨텐츠 수신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감지부 140: 컨텐츠 처리부
150: 제어부

Claims (22)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및
    제1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복수의 분할 화면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가,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기 결정된 멀티뷰 모드에 대응되는 멀티뷰 컨텐츠로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컨텐츠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복수 회 감지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의 감지 횟수에 따라 상기 분할 화면의 개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분할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프리뷰 영상을 변경하기 위한 제3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제3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각 분할 화면 내의 컨텐츠 프리뷰 영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중 하나인 분할 화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타 분할 화면을 연결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연결된 각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제스쳐는,
    복수의 분할 화면을 개별적으로 선택하는 제스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이 각각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 중 기 선택된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만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4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기 선택된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만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 및
    복수의 분할 화면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화면의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복수의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기 결정된 멀티뷰 모드에 대응되는 멀티뷰 컨텐츠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복수 회 감지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의 감지 횟수에 따라 상기 분할 화면의 개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분할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프리뷰 영상을 변경하기 위한 제3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제3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각 분할 화면 내의 컨텐츠 프리뷰 영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중 하나인 분할 화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타 분할 화면을 연결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연결된 각 분할 화면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제스쳐는,
    복수의 분할 화면을 개별적으로 선택하는 제스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이 각각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 중 기 선택된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의 프리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소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4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면, 기 선택된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50001078A 2014-03-05 2015-01-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104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38,498 US20150253937A1 (en) 2014-03-05 2015-03-0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ing a multi view displa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6030 2014-03-05
KR1020140026030 2014-03-05
KR1020140064872 2014-05-29
KR20140064872 2014-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511A true KR20150104511A (ko) 2015-09-15

Family

ID=5424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078A KR20150104511A (ko) 2014-03-05 2015-01-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45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898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부림 입출력을 공유하는 영상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898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부림 입출력을 공유하는 영상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539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ing a multi view display thereof
US1065231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and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ata
US11202119B2 (en) Video play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1021208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CN107113226B (zh) 用于识别周边设备的电子装置及其方法
US8743021B1 (en) Display device detecting gaze lo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310941B1 (ko)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컨텐츠 뷰 중 하나에 동기화되어 구동되는 안경 장치 및 그 방법들
US201601707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utput
EP3039476B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50339026A1 (en) User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and multimedia system thereof
KR20130040547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제어 장치 및 방법
EP3156908A1 (en) User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multimedia system
KR201600608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00676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based application grouping in virtual reality
CN104090709A (zh) 图片切换方法和装置
US201401461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view display
CN106464976B (zh) 显示设备、用户终端设备、服务器及其控制方法
KR102518295B1 (ko) 이동 단말기
KR102310106B1 (ko)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EP31129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based application grouping in virtual reality
KR201501045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0456B1 (ko)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24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877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17294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vide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