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150A - 위험 차량 판단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험 차량 판단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150A
KR20140136150A KR1020130056265A KR20130056265A KR20140136150A KR 20140136150 A KR20140136150 A KR 20140136150A KR 1020130056265 A KR1020130056265 A KR 1020130056265A KR 20130056265 A KR20130056265 A KR 20130056265A KR 20140136150 A KR20140136150 A KR 20140136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ehicle
information
vehicles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937B1 (ko
Inventor
양정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56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93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4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or light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차량 판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 중 주변 차량의 위험 차량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차량 사고 발생율을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차량 운전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한 위험 차량 판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사용자 차량에 구비되는 영상 획득부가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한 후 이를 상기 사용자 차량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1차 결정한 후 상기 1차 결정 결과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1차 결정 결과 및 상기 차량 관리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2차 결정한 후 상기 2차 결정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1차 결정 결과 및 상기 2차 결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최종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험 차량 판단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judging dangerous vehicle}
본 발명은 위험 차량 판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 중 주변 차량의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서 차량 사고 발생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험 차량 판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 보급의 확대와 함께 최근 차량 주행 중 차량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의 차량 내 탑재가 보편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장치들의 일 예로 차량의 주행 중 주변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차량의 주행 목적지 도착을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이나 차량 주행 중 차량 주변 영상을 기록하여 차량 사고 발생 시 사고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들 중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경우 대부분 이동 경로 안내 목적으로만 활용하고 있으며, 차량용 블랙박스의 경우 대부분 기록된 영상을 기반으로 차량 사고 원인 분석 목적으로만 활용하고 있는 관계로 실제 차량 주행 중 차량 사고 발생을 방지하여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담보하는 데에는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차량 주행 중 주변 차량에 대한 위험 차량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네비게이션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또는 판단 결과에 따라 위험 차량을 회피하기 위한 차량 이동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서 차량 사고 발생율을 낮출 수 있는 위험 차량 판단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 차량 판단 방법은 (a) 사용자 차량에 구비되는 영상 획득부가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한 후 이를 상기 사용자 차량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1차 결정한 후 상기 1차 결정 결과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1차 결정 결과 및 상기 차량 관리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2차 결정한 후 상기 2차 결정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1차 결정 결과 및 상기 2차 결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최종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 이어서 (a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차량 내에 구비되는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차량 주변 감지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감지 정보는 상기 사용자 차량과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거리 정보 및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순간 속도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을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b2)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차량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3)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 개의 영역 별로 상기 타사용자 차량의 포함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b4)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포함 횟수,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거리 정보, 및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순간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를 미리 결정된 순위로 1차 결정하는 단계; 및 (b5)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1차 결정 결과를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미리 결정된 순위로 위험도가 1차 결정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과 상기 차량 관리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 (c2)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를 미리 결정된 순위로 2차 결정하는 단계; 및 (c3)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2차 결정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1) 단계에서 상기 위험도 정보는 이전 시점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된 상기 1차 결정 결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1차 결정 결과에 따른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순위 및 상기 2차 결정 결과에 따른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순위에 따라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를 미리 결정된 순위로 최종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에 이어서 (e)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최종 결정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차량 정보,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상기 사용자 차량 내에 위치하는 경로 설정부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경로 설정부가 상기 위험도, 상기 차량 정보, 상기 거리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결정된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를 상기 경로 설정부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g) 상기 경로 설정부가 상기 위험도, 상기 차량 정보, 상기 거리 정보,타사용및 상기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차량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주행 중 주변 차량에 대한 위험 차량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차량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차량 사고 발생율을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 차량 판단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 차량 판단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도 2의 S200에 대한 상세 순서도,
도 4와 도 5는 도 2의 S200에 대한 참고도, 및
도 6은 도 2의 S300에 대한 상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 차량 판단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 차량 판단 시스템(1)은 영상 획득부(10), 사용자 단말(20), 차량 관리 서버(30), 및 경로 설정부(40)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10)는 사용자 차량(C) 내에 위치하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한 후 이를 사용자 차량(C)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한다.
이때, 영상 획득부(10)는 동영상 형태로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 및 저장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일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부(10)는 상기 동영상 형태로 저장되는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을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정지 영상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1차 결정한 후 상기 1차 결정 결과를 차량 관리 서버(3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은 영상 획득부(10) 및 경로 설정부(40)와 근거리 유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차량 관리 서버(30)와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또는 태블릿 피씨 등의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 차량(C) 내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도시하지 않음)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차량 주변 감지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감지 정보는 사용자 차량(C)과 상기 타사용자 각각의 거리 정보 및 상기 타사용자 각각의 순간 속도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차량 정보(예를 들어,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번호판 정보) 및 방향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차량(c)을 기준으로 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1차 결정하는 상세 과정은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차량 관리 서버(3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1차 결정 결과 및 차량 관리 서버(30)에 미리 저장되는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2차 결정한 후 상기 2차 결정 결과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2차 결정하는 상세 과정은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는 상기 1차 결정 결과 및 상기 2차 결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최종 결정할 수 있다.
경로 설정부(40)는 사용자 차량(C) 내부에 위치하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상기 최종 결정 결과, 사용자 차량(C)과 상기 타사용자 각각의 거리 정보 , 및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방향 정보를 전송받은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를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에 따라 사용자 차량(C)의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이때, 경로 설정부(40)는 사용자 차량(C)이 주행 중인 지역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도로 및 건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고, 특정 조건(예를 들어, 목적지 주소)의 지정에 따라 사용자 차량(C)의 이동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사용자 차랑(C)내에 사용자 단말(20) 및 경로 설정부(40)가 각각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경로 설정부(40)가 사용자 단말(20)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 차량 판단 방법의 순서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0에서 사용자 차량(C) 내에 위치하는 영상 획득부(10)가 사용자 차량(C) 주변 영상을 획득한 후 이를 사용자 차량(C)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한다.
이때, S100에 이어서 사용자 차량(C) 내에 위치하는 근접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사용자 차량(C) 주변 감지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변 감지 정보는 사용자 차량(C)과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거리 정보 및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순간 속도 정보일 수 있다.
S200에서 사용자 단말(20)이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1차 결정한 후 상기 1차 결정 결과를 차량 관리 서버(30)로 전송한다. 이때, S200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으로부터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차량 정보 및 방향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으며, S200의 상세 과정은 이하 도 3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S300에서 차량 관리 서버(30)가 상기 1차 결정 결과 및 차량 관리 서버(30)에 미리 저장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2차 결정한 후 상기 2차 결정 결과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한다. 이때, S300의 상세 과정은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S400에서 사용자 단말(20)이 상기 1차 결과 및 상기 2차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최종 결정하면 종료가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2의 S200에 대한 상세 순서도, 도 4와 도 5는 도 2의 S200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에서 사용자 단말(20)이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을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영역(도 4의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으로 구분한다.
S230에서 사용자 단말(20)이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에 대한 패턴 분석에 의해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차량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에서,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번호판 정보일 수 있고, 상기 방향 정보는 사용자 차량(C)을 기준으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이 위치한 방향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S250에서 사용자 단말(20)이 상기 복수 개의 영역 별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포함 횟수를 산출한다. 다시 말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은 각 영역(도 5의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별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이(도 5의 C1, C2, C3) 몇 회 포함되었는지를 산출한다.
S270에서 사용자 단말(20)이 상기 포함 횟수와 앞서 획득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거리 정보 및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순간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를 미리 결정된 순위(예를 들어, 상·중·하)로 1차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은 타사용자 차량 A가 각 영역에 포함된 횟수의 합이 5회 이상인 경우 상기 타사용자 차량 A의 위험도를 '상'으로 결정하고, 타사용자 차량 B가 각 영역에 포함된 횟수의 합이 3회 이상 5회 미만인 경우 상기 타사용자 차량 B의 위험도를 '중'으로 결정하며, 타사용자 차량 C가 각 영역에 포함된 횟수의 합이 3회 미만인 경우 상기 타사용자 차량 C의 위험도를 '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각 영역에 포함된 횟수 외에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거리 정보 및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순간 속도 정보를 더 반영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를 1차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타사용자 차량 B가 각 영역에 포함된 횟수의 합이 3회 이상 5회 미만인 경우(다시 말해서, 상기 각 영역에 포함된 횟수만 고려하는 경우에는 위험도가 '중'인 경우)라도 사용자 차량(C)과 상기 타사용자 차량 B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기준 거리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타사용자 차량 B의 접근 속도가 마리 결정된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타사용자 차량 B의 위험도를 ‘상’으로 1차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타사용자 차량 C가 각 영역에 포함된 횟수의 합이 3회 미만인 경우(다시 말해서, 상기 각 영역에 포함된 횟수만 고려하는 경우에는 위험도가 '하'인 경우)라도 사용자 차량(C)과 상기 타사용자 차량 C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기준 거리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타사용자 차량 C의 접근 속도가 마리 결정된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타사용자 차량 B의 위험도를 ‘중’으로 1차 결정할 수 있다.
S290에서 사용자 단말(20)이 상기 1차 결정 결과를 차량 관리 서버(30)로 전송하면 종료가 이루어지고, S300이 수행된다.
도 6은 도 2의 S300에 대한 상세 순서도 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10에서 차량 관리 서버(30)가 사용자 단말(20)에서 미리 결정된 순위(예를 들어, 상·중·하)로 위험도가 1차 결정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과 상기 차량 관리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 정보를 매칭시킨다. 이때, S310에서 상기 위험도 정보는 이전 시점에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차량 관리 서버(30)로 전송된 상기 1차 결정 결과일 수 있다.
S330에서 차량 관리 서버(30)가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를 미리 결정된 순위(예를 들어, 상·중·하)로 2차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타사용자 차량 A, B, C 중 타사용자 차량 B가 상기 위험도 정보에 매칭되지 않는 경우(다시 말해서, 최초로 위험도가 1차 결정된 타사용자 차량인 경우), 차량 관리 서버(30)는 상기 타사용자 차량 B의 1차 결정 결과가 ‘상’인 경우 상기 타사용자 차량 B의 위험도를 ‘중’으로 2차 결정하고, 상기 1차 결정 결과가 ‘중’또는 ‘하’인 경우 상기 타사용자 차량 B의 위험도를 ‘하’로 2차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사용자 차량 A, B, C중 타사용자 차량 A 및 C가 상기 위험도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다시 말해서, 이전 시점에 위험도가 1차 결정된 타사용자 차량인 경우), 차량 관리 서버(30)는 상기 타사용자 차량 A 및 C의 1차 결정 결과가 ‘상’ 또는 ‘중’인 경우 상기 타사용자 차량 A 및 C의 위험도를 ‘상’으로 2차 결정하고, 상기 1차 결정 결과가 ‘하’인 경우 상기 타사용자 차량 A 및 C의 위험도를 ‘중’으로 2차 결정할 수 있다.
S350에서 차량 관리 서버(30)가 상기 2차 결정 결과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하면 S300이 종료되며, S400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1차 결정 결과에 따른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순위(예를 들어, 상·중·하) 및 상기 2차 결정 결과에 따른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순위(예를 들어, 상·중·하)에 따라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를 미리 결정된 순위로 최종 결정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최종 결정된 위험도에 대한 일 예를 아래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차 결정 결과 2차 결정 결과 최종 결정 결과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S400에 이어서 사용자 단말(20)이 상기 최종 결과 및 상기 S200에서 획득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차량 정보, 사용자 차량(C)과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거리 정보, 및 사용자 차량(C)을 기준으로 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방향 정보를 경로 설정부(40)로 전송하는 단계, 경로 설정부(40)가 상기 최종 결과, 상기 거리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설정부(40)의 화면상에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경로 설정부(40)가 상기 최종 결과, 상기 거리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에 따라 사용자 차량(C)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위험 차량 판단 시스템 (10) : 영상 획득부
(20) : 사용자 단말 (30) : 차량 관리 서버
(40) : 경로 설정부

Claims (8)

  1. (a) 사용자 차량에 구비되는 영상 획득부가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한 후 이를 상기 사용자 차량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1차 결정한 후 상기 1차 결정 결과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1차 결정 결과 및 상기 차량 관리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2차 결정한 후 상기 2차 결정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1차 결정 결과 및 상기 2차 결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를 최종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차량 판단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이어서,
    (a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차량 내에 구비되는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차량 주변 감지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차량 판단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감지 정보는 상기 사용자 차량과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거리 정보 및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순간 속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차량 판단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을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b2)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차량 주변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차량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3)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 개의 영역 별로 상기 타사용자 차량의 포함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b4)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포함 횟수,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거리 정보, 및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순간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를 미리 결정된 순위로 1차 결정하는 단계; 및
    (b5)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1차 결정 결과를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차량 판단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미리 결정된 순위로 위험도가 1차 결정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과 상기 차량 관리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에 대한 위험도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
    (c2)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를 미리 결정된 순위로 2차 결정하는 단계; 및
    (c3)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2차 결정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차량 판단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에서,
    상기 위험도 정보는 이전 시점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된 상기 1차 결정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차량 판단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1차 결정 결과에 따른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순위 및 상기 2차 결정 결과에 따른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순위에 따라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를 미리 결정된 순위로 최종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차량 판단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 이어서,
    (e)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최종 결정된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 상기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차량 정보,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상기 사용자 차량 내에 위치하는 경로 설정부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경로 설정부가 상기 위험도, 상기 차량 정보, 상기 거리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결정된 타사용자 차량 각각의 위험도를 상기 경로 설정부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g) 상기 경로 설정부가 상기 위험도, 상기 차량 정보, 상기 거리 정보,타사용및 상기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차량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차량 판단 방법.
KR1020130056265A 2013-05-20 2013-05-20 위험 차량 판단 방법 및 시스템 KR102045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265A KR102045937B1 (ko) 2013-05-20 2013-05-20 위험 차량 판단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265A KR102045937B1 (ko) 2013-05-20 2013-05-20 위험 차량 판단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150A true KR20140136150A (ko) 2014-11-28
KR102045937B1 KR102045937B1 (ko) 2019-11-19

Family

ID=5245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265A KR102045937B1 (ko) 2013-05-20 2013-05-20 위험 차량 판단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93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704A (ko) * 2016-10-28 201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의 동작 방법
US10422652B2 (en) 2015-03-19 2019-09-2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015365A1 (ko) * 2019-07-25 2021-01-28 한국통합민원센터 주식회사 사고 유발 고위험 차량의 접근 경고 시스템
KR20210063597A (ko) * 2019-11-25 2021-06-02 한국자동차연구원 주변 차량 위험행동 이력 기반 안전운전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300079B1 (ko) * 2020-12-07 2021-09-10 (주)더게러지 후측방 위험 감지 알림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11130501B2 (en) * 2017-07-04 2021-09-28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1200A (ja) * 1999-03-02 2000-09-14 Mazda Motor Corp 車両の障害物検出装置
JP2009128486A (ja) * 2007-11-21 2009-06-11 Hitachi Ltd 安全運転診断システム及び自動車保険料設定システム
JP2012048310A (ja) * 2010-08-24 2012-03-08 Denso Corp 運転支援システム、車載装置、情報配信装置
JP2012207941A (ja) * 2011-03-29 2012-10-25 Denso Corp 車載用情報提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1200A (ja) * 1999-03-02 2000-09-14 Mazda Motor Corp 車両の障害物検出装置
JP2009128486A (ja) * 2007-11-21 2009-06-11 Hitachi Ltd 安全運転診断システム及び自動車保険料設定システム
JP2012048310A (ja) * 2010-08-24 2012-03-08 Denso Corp 運転支援システム、車載装置、情報配信装置
JP2012207941A (ja) * 2011-03-29 2012-10-25 Denso Corp 車載用情報提示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2652B2 (en) 2015-03-19 2019-09-2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46704A (ko) * 2016-10-28 201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의 동작 방법
US11130501B2 (en) * 2017-07-04 2021-09-28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vehicle
WO2021015365A1 (ko) * 2019-07-25 2021-01-28 한국통합민원센터 주식회사 사고 유발 고위험 차량의 접근 경고 시스템
KR20210063597A (ko) * 2019-11-25 2021-06-02 한국자동차연구원 주변 차량 위험행동 이력 기반 안전운전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300079B1 (ko) * 2020-12-07 2021-09-10 (주)더게러지 후측방 위험 감지 알림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937B1 (ko)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48408A1 (en) Vehicle Positioning Method and Vehicle Positioning Apparatus
KR20140136150A (ko) 위험 차량 판단 방법 및 시스템
WO2018161774A1 (zh) 驾驶行为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621450B2 (en) Road shoulder extraction
CN107749194B (zh) 一种变道辅助方法及移动终端
KR101586706B1 (ko) 카스토퍼 지자기 무선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JP735515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09275090B (zh) 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7941222B (zh) 导航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615369B (zh) 一种道路限高预警方法、装置及终端设备
WO2014208154A1 (ja) 位置情報共有システム、位置情報共有方法、及び位置情報共有プログラム
US20200342239A1 (en) People-gathering analysis device, movement destination prediction creation device, people-gathering analysis system, vehicle, and recording medium
CN103871244B (zh) 交通信息处理方法和系统以及车载系统
US20220207997A1 (en) Traffic Flow Estimation Apparatus, Traffic Flow Estimation Method, Traffic Flow Estimation Program, And Storage Medium Storing Traffic Flow Estimation Program
CN108230680B (zh) 一种车辆行为信息获取方法、装置及终端
CN110231033B (zh) 商户导航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459646B1 (ko) 차량 정보 공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보 공유 방법
US20150308823A1 (en) Computing apparatus and method
CN115359671A (zh) 一种路口车辆协同控制方法及相关设备
WO2015170385A1 (ja) 移動手段判別システム、移動手段判別方法、及び計算機読み取り可能な非一時的な記憶媒体
CN111238495A (zh) 一种定位车辆的方法和终端设备
KR20210003508A (ko) 상호작용을통한증강현실구현시스템
JP710546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22000533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KR102661996B1 (ko) 복권판매점 관리서버의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