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899A -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 Google Patents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899A
KR20140135899A KR20130055975A KR20130055975A KR20140135899A KR 20140135899 A KR20140135899 A KR 20140135899A KR 20130055975 A KR20130055975 A KR 20130055975A KR 20130055975 A KR20130055975 A KR 20130055975A KR 20140135899 A KR20140135899 A KR 20140135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attery
output terminal
mobile phone
terminal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4605B1 (ko
Inventor
김희철
최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모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모드
Priority to KR102013005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605B1/ko
Publication of KR20140135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는 휴대폰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휴대폰의 후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중 휴대폰에 탈부착되는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는 보조배터리와,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와,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입력단자에 공급된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와,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보조배터리의 전력을 휴대폰에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MOBILE PHONE COVER COMPRISING AUXILIARY BATTERY}
본 발명은 휴대폰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배터리가 일체로 구비된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휴대하고 다니면서 전화 통화, 문자 송수신, 인터넷 접속 등과 같이, 현대인의 생활에서는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서, 휴대가 간편하고 편리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을 별도로 보관하는 수단 없이 휴대하는 경우에는, 활동 중에 휴대폰을 떨어뜨려 충격에 의해 기스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휴대폰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폰에는 교체가 불가능한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 가능한 기본배터리가 배치되어 있는데, 최근 휴대폰의 전력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휴대폰의 배터리 사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휴대폰 배터리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보조배터리 팩이 생산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사용자가 보조배터리 팩을 구입하여 보조배터리 팩을 별도로 충전하여 휴대하다가 휴대폰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보조배터리 팩을 USB 케이블과 같은 별도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기본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보조배터리 팩의 경우는 사용자가 휴대폰과 별도로 보조배터리 팩을 휴대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충전을 시킬 때에도 휴대폰 및 보조배터리 팩을 별도로 각각 충전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KR 20-0446164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폰 커버에 보조배터리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보조배터리를 별도로 휴대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휴대폰 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용 코일 및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무선으로 휴대폰의 기본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휴대폰 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휴대폰의 후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중 휴대폰에 탈부착되는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는 보조배터리와; 상기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와; 상기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단자에 공급된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와; 상기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력을 휴대폰에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단자는 휴대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된 무선 충전용 단자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는 휴대폰의 후면 커버를 대체하여 휴대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는 휴대폰의 외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외부 단자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단자는 USB 단자일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부에 상기 보조배터리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덮여질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실링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부에 덮여질 수 있으며, 상기 출력단자인 말단 전극만이 상기 실링부재로부터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휴대폰의 정격 전압에 맞게 승압시키는 승압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단자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의 충전회로부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에 전달하고,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는 상기 외부 전월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상기 승압회로부는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 및 상기 출력단자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여 휴대폰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충전시키고, 상기 외부 전원 중 상기 출력단자 쪽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으로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전원의 전력값은 휴대폰이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 및 상기 보조배터리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 중 큰 값을 최대 입력 전력의 값으로 가질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 상기 입력단자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의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자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 및 상기 출력단자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전달하고,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는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상기 승압회로부는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 및 상기 출력단자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여 휴대폰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충전시키고, 상기 외부 전원 중 상기 출력단자 쪽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으로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입력단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전원의 전력값은 최대로 휴대폰이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과 상기 보조 배터리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을 더한 값을 최대 입력 전력의 값으로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는, 휴대폰의 후면의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휴대폰의 후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중 휴대폰에 탈부착되는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는 보조배터리와; 상기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와; 상기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단자에 공급된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와; 상기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력을 휴대폰에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와; 상기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의 무접점 충전 장치의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충전용 코일과; 상기 무선충전용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배터리 또는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단자는 휴대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된 무선 충전용 단자에 결합되ㄷ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는, 휴대폰의 후면 커버를 대체하여 휴대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는 휴대폰의 외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외부 단자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단자는 USB 단자일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부에 상기 보조배터리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덮여질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상기 무선충전용 코일, 상기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실링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부에 덮여질 수 있으며, 상기 출력단자의 말단 전극만이 상기 실링부재로부터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는,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휴대폰의 정격 전압에 맞게 승압시키는 승압회로부는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단자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보조배터리의 충전회로부에 전달하고,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는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상기 승압회로부는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 및 상기 출력단자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여 휴대폰에 전달하고, 상기 무선충전용 코일은 상기 무선충전회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충전회로부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의 입력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충전시키고, 상기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유도 전력 중 상기 출력단자 쪽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으로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유도 전력은 최대로 휴대폰이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 상기 입력단자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의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자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 및 상기 출력단자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전달하고, 상기 보조배터리의 충전회로부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는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상기 승압회로부는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 및 상기 출력단자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여 휴대폰에 전달하고,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은 상기 무선충전 회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충전회로부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의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자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충전시키고, 상기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유도 전력 중 상기 출력단자 쪽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으로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유도 전력은 최대로 휴대폰이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과 상기 보조배터리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을 더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는 휴대폰 본체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한 휴대폰 커버에 보조배터리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보조배터리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는 휴대폰 커버에 보조배터리 및 무선충전용 코일을 배치함으로써 무접점 충전 방식으로 휴대폰의 기본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가 결합되는 휴대폰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2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의 회로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의 회로 구성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를 휴대폰에 장착한 경우의 보조배터리 및 휴대폰 배터리의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7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의 회로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의 회로 구성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가 결합되는 휴대폰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10)의 후면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휴대폰(10)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후면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폰(10)의 후면의 중앙에는 배터리(14)가 삽입 장착되어 있다. 배터리(14)는 휴대폰(10) 판매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배터리이다.
또한, 휴대폰(10)의 후면에는 외부 전원을 인가 받기 위한 별도의 단자(16)가 있다. 이러한 단자(16)는 휴대폰(10) 제조시 확장성을 위하여 미리 설계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무선충전용 단자일 수 있다. 무선충전용 단자는 휴대폰(10) 제조시, 후면 커버가 무선충전을 지원하는 별도의 후면 커버로 교체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마련된 것으로, 무선충전을 지원하는 별도의 후면 커버에는 무선충전용 단자에 접속할 수 있는 단자가 마련되고, 무선충전을 하기 위한 코일이 설치된다.
이러한, 무선충전을 지원하는 별도의 후면 커버가 휴대폰(10)에 장착된 후, 휴대폰(10)을 별도의 충전패드에 올려놓게 되면 자기유도 방식으로 무선 충전이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폰(10)의 후면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용 단자(180)가 마련된다. NFC용 단자(180)는 NFC 안테나와 연결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휴대폰(10)의 기본 커버 또는 별도로 구매 가능한 커버에 NFC 안테나가 장착된 경우, NFC 안테나(180)를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본 발명은 이렇게 마련된 무선충전용 단자와 같은 단자를 활용하여 보조배터리 팩을 별도로 가지고 다닐 필요 없이 후면 커버에 일체형으로 구성한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에 관하나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에 대해서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100)는 커버 플레이트(110)와, 입력단자(120)와, 보조배터리(160)와, PCB 기판과, 실링부재(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 플레이트(110)는 커버의 몸체를 이루는 플레이트로서 강성 재질의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합성수지재질 이외에도 커버 몸체를 이룰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재질이라면 금속 등의 기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입력단자(120)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 받기 위한 단자로서, 일반적으로 USB 입력단자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USB 입력단자의 종류로는 핀 타입에 따라서 다양한 타입이 존재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Micro 타입의 USB 입력단자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물론, USB 입력단자가 아닌 경우라도, 외부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입력단자라도 무방할 것이다. 이때, USB 입력단자의 경우 외부 전원을 인가 받을 수도 있지만, 컴퓨터 등의 기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력단자(120)는 휴대폰 커버(100)의 하단 측면부에 노출되는 케이블 수용부(120a)가 형성되는데, 이 케이블 수용부(120a)에 외부 USB 케이블 등의 케이블이 연결된다.
보조배터리(160)는 도 1의 휴대폰(10)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된 배터리이다. 보조배터리(160)는 얇은 형태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데, 휴대폰 커버(100) 중 휴대폰(10)의 후면에 탈부착 되는 내부면 상부에 부착된다. 보조배터리(160)는 여러 가지 종류의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들 수 있다.
PCB 기판에는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140)와, 승압회로부(170)와, 출력단자(180)가 설치된다.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140)는 입력단자(120)에 인가된 외부 전원을 전달받아 보조배터리(160)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승압회로부(170)는 보조배터리(160)의 출력 전압을 휴대폰(10)의 정격 전압에 맞게 승압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의 경우 약 5V의 전압이 필요하지만, 보조배터리(160)의 출력 전압은 약 3.8 V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 전압을 5V에 맞도록 승압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승압회로부(170)로 DC/DC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출력단자(180)는 보조배터리(160)에서 생성된 전원을 휴대폰(10)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배치된 단자이다. 구체적으로 출력단자(180)는 일단이 승압회로부(170)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타단 즉, 말단 전극(180a)은 도 1의 휴대폰(10)의 단자(16)에 접속된다. 즉, 말단 전극(180a)는 두 개의 전극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휴대폰(10)의 단자(16)는 구멍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말단 전극(180a)이 단자(16)에 끼워지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3은 도 2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폰 커버(100)을 우측면에서 바라본 측면 단면도로서, 승압회로부(170)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맨 하단부에는 휴대폰 커버(100)의 몸체를 이루는 커버 플레이트(110)가 배치되고, 그 내부면 상부에 입력단자(120), 보조배터리(160), 충전회로부(140)와, 승압회로부(170) 및 출력단자(180)가 실장된 PCB 기판이 배치된다.
그리고, 입력단자(120),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140), 보조배터리(160) 및 출력단자(180)의 상부에는 이들 구성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190)가 덮여진다. 실링부재(190)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휴대폰 커버(100)의 사용자에게 입력단자(120),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140), 보조배터리(160) 및 출력단자(180)를 노출시키지 않고, 상기 구성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120)에는 케이블 수용부(120a)가 형성되는데, 케이블 수용부(120a)가 커버 플레이브(110)의 측면에 노출되도록, 케이블 수용부(120a)가 형성된 부분에는 커버 플레이트(110)에 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력단자(180)에는 말단 전극(180a)이 형성되는데, 말단 전극(180a)은 휴대폰(10)의 단자(16)에 접속되기 위한 전극으로서, 실링부재(190)를 관통하여 휴대폰 커버(100)의 맨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4은 도 2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의 회로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자(120)에는 외부 전원이 인가되고, 인가된 외부 전원에 의하여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140)는 보조배터리(160)를 충전시키고, 승압회로부(170)는 보조배터리(160)의 출력전압을 승압하여 출력단자(180)로 전달시킨다.
이때, 외부전원은 USB 케이블로 인하여 인가될 수 있으며, 출력단자(180)은 휴대폰(10)의 후면에 형성된 단자(16)에 접속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자(16)는 확장성을 위하여 휴대폰(10) 제조시 미리 마련된 단자로서, 무선충전용 단자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단자(120)의 출력단은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14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140)에 전달한다.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140)의 출력단은 보조배터리(160)에 연결되어,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140)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보조배터리(16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승압 회로부(170)는 보조배터리(160)의 출력단 및 출력단자(180)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보조배터리(160)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여 휴대폰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구성을 가질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100)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출력단자(180)를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충전시키고, 외부 전원 중 출력단자(180) 쪽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으로 보조배터리(160)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입력단에 공급되는 외부 전력의 전력값은 휴대폰이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 및 보조배터리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을 더한 값을 최대 입력 전력의 값으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시 휴대폰이 약 640mA의 전류를 필요로 하고, 보조배터리(160)가 1A의 전류를 필요로 하는 경우 외부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류의 최대값은 1650mA의 전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입력단자(120)에 1650 mA의 전류가 입력되면 출력단자(180) 쪽으로 650 mA의 전류가 분기되고, 나머지 1A의 전류가 보조배터리(160)로 분기되어 휴대폰과 보조 배터리(160)가 동시에 최대의 용량으로 충전이 가능하다. 이는 입력단자(120)와 출력단자(180) 상호 간에 직접 회로 연결이 되어 있어 입력단자(120)에 공급되는 전력이 출력단자(180) 쪽으로 분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입력단자(120)에 1650 mA의 전류보다 적은 전류값, 예를 들어 1000 mA의 전류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출력단자(180) 쪽으로 650 mA의 전류가 분기되고, 나머지 350 mA의 전류는 보조배터리(160)를 충전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의 회로 구성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회로 구성의 제2 예는 도 4의 회로 구성과 비교하여 입력단자(120)가 출력단자(180)에 바로 연결되지 않고,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140)를 통하여만 연결된 것만이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나머지 구성들의 역할은 도 4에서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가지는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의 회로 구성에서는 역시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출력단자(180)를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충전시키고, 외부 전원 중 출력단자(180) 쪽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으로 보조배터리(160)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되, 입력단자(120)에 공급되는 외부 전원의 전력값은 휴대폰이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 및 보조배터리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을 더한 값을 최대 입력 전력의 값 중 큰 값을 최대 입력 전력의 값으로 가질 수 있다.
즉, 도 5의 회로에서는 충전시 휴대폰이 약 640mA의 전류를 필요로 하고, 보조배터리(160)이 1A의 전류를 필요로 하는 경우, 입력단자(120)에 최대로 공급될 수 있는 전류는 1A로 제한이 된다. 따라서, 1A의 전류가 입력단자(120)에 공급되는 경우 출력단자(180)가 우선적으로 650 mA의 전류를 소비하고, 보조배터리(160)는 나머지 350 mA의 전류로 충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보조배터리(160)는 정격 충전시간보다 충전 시간이 다소 길어질 수 있다.
위의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입력단자(120)와 출력단자(180) 사이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끊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스위치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도 2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를 휴대폰에 장착한 경우의 보조배터리 및 휴대폰 배터리의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조배터리의 전압이 완충되어 4.35 V의 초기 전압을 가지고 있다가 초기에 미세한 전압 강하가 이루어진 후 일정 기간 동안 3.8 V의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다가 시간 t1에서부터 서서히 방전되되기 시작하여 시간 t2의 시점에서 완전히 방전되게 된다.
반면, 휴대폰 배터리 전압은 완충되어 4.35V의 전압을 유지하게 되는데, t2 시간 까지는 보조배터리 전압이 방전되기 전이므로 휴대폰 배터리의 전압은 완충 상태를 유지하며, t2 시간 경과 후에는 t3 시간 까지 3.8V로 전압 강하가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t3 이후에는 전압이 방전되기 시작하여 결국에는 완전 방전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100)을 휴대폰(10)에 장착하게 되면, 보조배터리(160)가 방전되기 전까지는 휴대폰 배터리가 거의 100프로의 충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실제 휴대폰(10)의 사용시간이 현격이 증가하게 됨을 느끼게 될 수 있다. 또한, 휴대폰 커버(100)을 휴대폰(10)의 후면 커버 대신에 장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별도의 보조배터리 팩을 구매하여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사라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100)에 무선충전회로부, 무선충전용 코일을 더 부가한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200)는 커버 플레이트(210)와, 입력단자(220)와, 보조배터리(260)와, , 보조배터리 하부에 배치되는전력 수신부(250)와, 무선충전회로부(230)와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240)와, 승압회로부(270)와, 출력단자(280)와, NFC 단자(285)가 실장된 PCB 기판과, 실링부재(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 플레이트(210), 입력단자(220),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240), 보조배터리(260), 승압회로부(270), 출력단자(280) 및 실링부재(290)는 도 2의 실시예와 도면부호만 상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의 설명을 원용하기도 한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추가된 구성으로 먼저, 전력 수신부(250)를 설명한다. 전력 수신부(250)에는 무선충전용 코일(250)이 중앙에 배치되고, 무선충전용 코일(250a)을 둘러싸는 테두리에는 NFC용 안테나(250b)가 배치된다.
무선충전용 코일(250a)는 무접점 충전 방식에서 이용되는 2차 코일의 역할을 한다. 무선충전용 코일(250a)은 휴대폰 커버(200)의 소형화를 위하여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원형의 형태로 코일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무선충전용 코일(250a)은 PCB 기판상에 합성수지재질에 에칭 등의 기법으로 형성되어 크기가 박형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NFC용 안테나(250b)는 NFC 단자(28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NFC 단자(285)의 돌출된 말단 전극(285a)은 도 1의 휴대폰(10)의 NFC용 단자(18)에 결합된다.
또한, 무선충전회로부(230)는 무선충전용 코일(250a)에 인가된 자기유도 전압을 이용하여 휴대폰(10)의 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260)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도 7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에서도 역시 도 3과 비교하여, 전력 수신부(250), 무선충전회로부(230) 및 NFC 단자(285)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을 동일하므로, 도면부호만 다르고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의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커버 플레이트(210)의 내부면 위의 맨 좌측에는 입력단자(220)가 배치되고, 입력단자(220)의 우측에는 전력 수신부(250)가 커버 플레이트(210)의 위에 배치되고, 전력 수신부(250)의 위에 보조배터리(260)이 배치된다. 커버 플레이트(210)의 내부면 상부의 우측에는 PCB 기판이 배치되고, 그 위에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240), 승압회로부(270) 및 무선충전용 단자(280)이 배치된다. 도시의 편의상, 무선충전회로부(230) 및 NFC 단자(285)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하지만, 도 8의 구성은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도 8의 구성의 배치는 가변적으로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은 도 7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의 회로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외부전원이 입력단자(220)에 인가되고, 보조배터리(260) 또는 출력단자(280)를 통해 연결되는 휴대폰의 배터리가 충전되게 된다.
보조배터리(260)는 입력단자(220)에 인가된 외부전원을 기초로 보조배터리(260)을 충전시키고, 승압회로부(270)는 보조배터리(260)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단자(280)로 전달한다.
무선충전회로부(230)는 무선충전용 패드(미도시)의 1차 코일과의 자기 결합을 통하여 무선충전용 코일(250a)에 인가된 자기 유도 전압을 기초로 보조배터리(260) 또는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무선충전회로부(230)는 자기 유도 전압을 출력단자(280)으로 전달하여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자기 유도 전압을 보조배터리(260)로 전달하여 충전시킬 수 있다. 이때, 무선충전회로부(230)는 보조배터리(260)를 충전시킬 때,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240)로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보조배터리(260)를 충전시키거나, 또는 자신이 직업 보조배터리(26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때, NFC용 안테나(250b)은 전기 배선을 통하여 NFC 단자(285)와 연결되며, NFC 단자(285)는 도 1의 무선충전용 단자(18)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감지된 안테나 신호를 전달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200)는 휴대폰(10)의 후면에 형성된 단자(16)에 접속하여 보조배터리(260)를 이용하여 휴대폰(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무선충전용 코일(250a)에 인가되는 자기 유도 전압을 이용하여 휴대폰(10)의 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250)을 충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단자(220)의 출력단은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240)의 입력단 및 출력잔자(28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240) 및 출력단자(280)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전달할 수 있다.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240)의 출력단은 보조배터리(260)에 연결되어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240)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보조배터리(260)를 충전시키고, 승압회로부(270)는 보조배터리(260)의 출력단 및 출력단자(280)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보조배터리(260)의 출력전압을 승압하여 휴대폰에 전달한다.
무선충전용 코일(250a)은 무선충전회로부(230)에 연결되고, 무선충전회로부(230)의 출력단은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240)의 입력단 및 출력단자(280)의 입력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200)는 외부 전원 또는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출력단자(280)를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충전시키고, 외부 전원 또는 유도 전력 중 상기 출력단자 쪽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으로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되, 외부 전원 또는 유도 전력은 최대로 휴대폰이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과 보조배터리(260)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을 더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공급되는 전력이 외부 전원은 물론 유도 전력일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의 회로 구성과 원리가 동일하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7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의 회로 구성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도 4의 구성과 비교하여 무선충전회로부(230), 무선충전용 코일(250a)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9의 회로와 비교하여 입력단자(220)와 출력단자(280)가 직접 연결되지 않는 점을 차이를 가지는데, 이는 도 9의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서 입력단자(2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전원은 물론 무선충전용 코일(250a)로부터 인가되는 유도 전력을 통하여 보조배터리(260) 또는 출력단자(280) 쪽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입력단자(220)에 공급되는 외부 전원 또는 무선충전회로부(230)에 공급되는 유도 전력의 값은 보조배터리(260)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과 출력단자(280) 쪽으로 전달되는 전력의 값 중 큰 값을 최대 입력 전력의 값으로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보조배터리 일체형 커버(200)는 휴대폰의 기본 후면 커버를 대체하여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휴대폰에 기본 커버가 장착된 채로 휴대폰의 외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형태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셔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기술된 것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하기 위하여 기술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항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110: 커버 플레이트
120: 입력단자
140: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
160: 보조배터리
170: 승압회로부
180: 출력단자
190: 실링부재

Claims (22)

  1. 휴대폰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휴대폰의 후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 중 휴대폰에 탈부착되는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는 보조배터리;
    상기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
    상기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단자에 공급된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 및
    상기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력을 휴대폰에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자는 휴대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된 무선 충전용 단자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는 휴대폰의 후면 커버를 대체하여 휴대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는 휴대폰의 외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외부 단자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는 USB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부에 상기 보조배터리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실링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부에 덮여질 수 있으며,
    상기 출력단자의 말단 전극만이 상기 실링부재로부터 노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휴대폰의 정격 전압게 맞게 승압시키는 승압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 회로부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에 전달하고,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는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상기 승압회로부는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 및 상기 출력단자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여 휴대폰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충전시키고, 상기 외부 전원 중 상기 출력단자 쪽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으로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입력단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전원의 전력값은 휴대폰이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 및 상기 보조배터리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 중 큰 값을 최대 입력 전력의 값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커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 회로부의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자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 및 상기 출력단자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전달하고,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 회로부는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상기 승압회로부는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 및 상기 출력단자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여 휴대폰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충전시키고, 상기 외부 전원 중 상기 출력단자 쪽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으로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입력단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전원의 전력값은 휴대폰이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과 상기 보조 배터리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을 더한 값을 최대 입력 전력의 값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커버.
  12. 휴대폰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휴대폰의 후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 중 휴대폰에 탈부착되는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는 보조배터리;
    상기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
    상기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단자에 공급된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
    상기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력을 휴대폰에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
    상기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의 무접점 충전 장치의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충전용 코일; 및
    상기 무선충전용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배터리 또는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자는 휴대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된 무선 충전용 단자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는 휴대폰의 후면 커버를 대체하여 휴대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는 휴대폰의 외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외부 단자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는 USB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부에 상기 보조배터리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상기 무선충전용 코일, 상기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실링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부에 덮여질 수 있으며,
    상기 출력단자의 말단 전극만이 상기 실링부재로부터 노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휴대폰의 정격 전압에 맞게 승압시키는 승압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 회로부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에 전달하고,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 회로부는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상기 승압회로부는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 및 상기 출력단자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여 휴대폰에 전달하고,
    상기 무선충전용 코일은 상기 무선충전 회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충전회로부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의 입력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충전시키고, 상기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유도 전력 중 상기 출력단자 쪽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으로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유도 전력의 전력값은 휴대폰이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 및 상기 보조배터리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 중 큰 값을 최대 입력 전력의 값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커버.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 회로부의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자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 및 상기 출력단자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전달하고,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 회로부는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상기 승압회로부는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 및 상기 출력단자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여 휴대폰에 전달하고,
    상기 무선충전용 코일은 상기 무선충전 회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충전회로부의 출력단은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회로부의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자의 입력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충전시키고, 상기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유도 전력 중 상기 출력단자 쪽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으로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유도 전력의 전력값은 휴대폰이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과 상기 보조배터리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값을 더한 값을 최대 입력 전력의 값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커버.
KR1020130055975A 2013-05-16 2013-05-16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KR101554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975A KR101554605B1 (ko) 2013-05-16 2013-05-16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975A KR101554605B1 (ko) 2013-05-16 2013-05-16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899A true KR20140135899A (ko) 2014-11-27
KR101554605B1 KR101554605B1 (ko) 2015-09-22

Family

ID=5245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975A KR101554605B1 (ko) 2013-05-16 2013-05-16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60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5704A (zh) * 2015-07-02 2015-09-23 常州市龙润机械有限公司 新型手机充电架
CN104967715A (zh) * 2015-07-02 2015-10-07 常州市龙润机械有限公司 手机充电散热支架
CN104967708A (zh) * 2015-07-02 2015-10-07 常州市龙润机械有限公司 散热式手机壳
KR101667884B1 (ko) * 2015-06-23 2016-10-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Rf 에너지 하비스팅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스
US9807483B1 (en) 2016-12-07 2017-10-31 BassCase LLC Mobile device case with foldable speaker system
KR20180062591A (ko) 2016-12-01 2018-06-11 신승민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10069529B2 (en) 2015-11-19 2018-09-04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Portable charging case module
US10616386B2 (en) 2017-01-31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wirelessly receiving power from an auxiliary battery
KR20200065756A (ko) * 2018-11-30 2020-06-09 신승민 무선충전을 지원하는 단말 케이스
US11175699B2 (en) * 2019-03-29 2021-11-16 Dong In Kim Case for mobile device
KR20220018419A (ko) * 2020-08-06 2022-02-15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충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72Y1 (ko) 2017-02-03 2020-03-11 주식회사 엘투엠에이 탈부착 사용 구조를 갖는 휴대폰 보조 배터리
KR101868289B1 (ko) 2017-08-04 2018-06-15 신승민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N207460255U (zh) 2017-10-16 2018-06-05 辛承玟 移动终端用保护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661B1 (ko) 2010-12-09 2012-08-03 (주)엠에이피테크 차폐효과가 우수한 무선충전수신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884B1 (ko) * 2015-06-23 2016-10-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Rf 에너지 하비스팅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스
CN104935704A (zh) * 2015-07-02 2015-09-23 常州市龙润机械有限公司 新型手机充电架
CN104967715A (zh) * 2015-07-02 2015-10-07 常州市龙润机械有限公司 手机充电散热支架
CN104967708A (zh) * 2015-07-02 2015-10-07 常州市龙润机械有限公司 散热式手机壳
US10069529B2 (en) 2015-11-19 2018-09-04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Portable charging case module
KR20180062591A (ko) 2016-12-01 2018-06-11 신승민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9807483B1 (en) 2016-12-07 2017-10-31 BassCase LLC Mobile device case with foldable speaker system
US10616386B2 (en) 2017-01-31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wirelessly receiving power from an auxiliary battery
KR20200065756A (ko) * 2018-11-30 2020-06-09 신승민 무선충전을 지원하는 단말 케이스
US11175699B2 (en) * 2019-03-29 2021-11-16 Dong In Kim Case for mobile device
KR20220018419A (ko) * 2020-08-06 2022-02-15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605B1 (ko)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605B1 (ko)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US10069529B2 (en) Portable charging case module
US9444284B2 (en) Bi-directional wireless charger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EP2876777B2 (en) Portable device, charging system, power supply circuit board, etc.
US8368515B2 (en) Dual mode RFID communication device operating as a reader or tag
WO2015098908A1 (ja) 回路装置、携帯機器、及び充電システム等
CN108701878B (zh) 能够收发无线电力的辅助电池
KR101437948B1 (ko)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KR2012013672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
KR101441677B1 (ko) 휴대용 충전 케이스 구조
JP200712965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電力送受電方法
KR102061350B1 (ko)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50170866A1 (en) Multi-mode power supply device of wireless earphone
KR102196543B1 (ko)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290321B1 (ko) 유에스비 포트와 충전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CN209608716U (zh) 一种多功能手机壳
KR102258966B1 (ko)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20935B1 (ko) 무선충전 기능을 구비한 다이어리 설치용 다용도 충전장치
KR20080004844U (ko) 이동기기에 대한 휴대용 크레들 충전기
KR101906006B1 (ko)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60107145A (ko) 무선 충전기 거치형 메모판
CN211209702U (zh) 无线模块
CN113271809B (zh) 电力屏幕保护装置
KR20170122994A (ko) 착탈식 충전 플러그 내장 보조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