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544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544A
KR20140135544A KR20130055990A KR20130055990A KR20140135544A KR 20140135544 A KR20140135544 A KR 20140135544A KR 20130055990 A KR20130055990 A KR 20130055990A KR 20130055990 A KR20130055990 A KR 20130055990A KR 20140135544 A KR20140135544 A KR 20140135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electrode
liquid crystal
electrode
pixe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791B1 (ko
Inventor
김훈
신기철
양단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5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791B1/ko
Priority to US14/273,212 priority patent/US20140340623A1/en
Priority to TW103117282A priority patent/TWI629545B/zh
Priority to CN201410209185.7A priority patent/CN104166256A/zh
Publication of KR2014013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42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for homeotropic align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81Hybrid switching mode, i.e.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with components parallel and orthogonal to th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7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the liquid crystal having positive dielectric anisotrop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한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화소 전극 및 제2 화소 전극,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그리고 상기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분자는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상기 제1 기판의 표면과 상기 제2 기판의 표면에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SY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며,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배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 표시 품질을높이기 위하여, 높은 대비비(contrast ratio)와 우수한 광시야각,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질 수 있고, 압력 등과 같은 외부의 영향에 의해, 액정 분자의 배열이 흐트러짐에 따라 얼룩 등의 표시 품질 저하를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액정 표시 장치의 높은 대비비와 광시야각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고, 액정 분자의 응답 속도를 빠르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장치 외부로부터의 압력 등의 영향에관계없이 좋은 표시 특성을나타낼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한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화소 전극 및 제2 화소 전극,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그리고 상기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분자는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상기 제1 기판의 표면과 상기 제2 기판의 표면에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진다.
상기 제1 화소 전극은 복수의 제1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소 전극은 복수의 제2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가지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가지 전극은 서로 교대로 위치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은 동일한 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은 복수의 제1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소 전극은 복수의 제2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가지 전극과상기 복수의 제2 가지 전극은서로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아래에 위치하는 보조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화소 전극 및 상기 제2 화소 전극, 그리고 상기 보조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크기가 다른 일정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극은 판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중 나머지 하나는 판형태를 가지고, 상기 층간 절연막 위에 상기 복수의 가지 전극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한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화소 전극 및 제2 화소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층간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중 나머지 하나는 판형태를 가지고, 상기 액정 분자는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상기 제1 기판의 표면과 상기 제2 기판의 표면에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높은 대비비와 광시야각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고, 액정 분자의 응답 속도를 빠르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압력 등의 영향에관계없이 좋은 표시 특성을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간략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데이터선에 인가되는 전압과 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액정 표시 장치를 IV-I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간략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7은 도 6의 액정 표시 장치를 VII-V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간략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액정 표시 장치를 X-X'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간략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액정 표시 장치를 XIII-X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간략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액정 표시 장치를 XVI-XV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간략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액정 표시 장치를 IV-I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그리고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들어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하부 표시판(100)에는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은 각 화소 영역에 위치하며,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은 같은 층 위에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서로 절연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은 같은 층에 형성되어 서로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가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표시판(200)에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극(270) 위에는 절연막(280)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280)은 공통 전극(27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의 영향을 감소시켜, 공통 전압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인가되는 수평 전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액정층(3)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며, 액정층(3)의 액정 분자는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두 표시판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는 공통 전극(270)에 가해지는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각기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전위차가 생기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표시판(100)의 표면에 평행한 전기장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의 액정층(3)에 가해진다. 액정 분자(31)들이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기 때문에, 액정 분자(31)들은 그 장축이 전기장의 방향에 평행하도록 기울어지며 그 기울어진 정도는 화소 전압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또한 액정 분자(31)들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액정층(3)을 통과하는 빛의 편광의 변화 정도가 달라진다. 이러한 편광의 변화는 편광자에 의하여 빛의 투과율 변화로 나타나며, 이를 통해 각 화소는 원하는 소정의 휘도를 표시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액정층(3)의 액정 분자(31)들은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두 표시판(100, 200)의 표면에 대하여수직을 이루도록 배향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층(3)의 액정 분자(31)들은 표시판(100, 200)에 수평이 되도록기울어진다.
그러나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으로부터 동일한거리에 위치한 액정 분자(31)들과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의 중앙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고, 초기의수직 배향 상태를 유지하여 주위보다 휘도가 낮은 저휘도 부위가 생기게 된다.
액정 표시 장치가 화이트와 같은 고계조의 휘도를 표시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 그리고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의 중앙 부분과 같은 저휘도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이 표시판(100, 200)에 수평으로 누울 수 있다. 이는 액정 표시 장치의 투과율에 기여하여 저휘도 부위가 황색화(yellowish)된 얼룩(bruising)으로 시인될 수 있다. 이러한얼룩은 외부로부터의 압력이제거되어 액정 분자(31)들이 압력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로바로 복원하는 경우 사라질 수 있으나, 저휘도 부위 주변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이 누운 상태이기 때문에, 저휘도 부위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도 그 주변의 액정 분자(31)들의 배열 상태의 영향으로 누운 상태를 유지하여 시간이흘러도 사라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표시판(200)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270)을 포함한다.
공통 전극(270)과 제1 화소 전극(191a) 사이, 그리고 공통 전극(270)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는 수직 전계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 위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은 수직 전계에 의하여, 수직 배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저휘도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이 외부의 압력 등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누운 상태를 가지다가도,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 위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에 가해지는 수직 전계에 의해 다시 수직 배열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압력 등에 의한 황색화 등의 얼룩이 시인되는 것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액정층(3)에 가해지는 수평 전계가 없어질 경우, 저휘도 부위 주변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은 저휘도 부위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의 수직 배열 상태에 영향을 받아, 다시 수직 배열 상태로 빠르게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응답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각 화소의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이웃하는 4개의 화소의 액정 축전기의 충전 전압이 14V, 10V, 5V 및 1V이며, 액정 표시 장치가 이용할 수 있는 최저 전압이0V이고 최고 전압은 14V일 경우 각 화소의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인가되는 전압의 예를 나타낸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는 공통 전극(Vcom)에 대하여,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며, 이러한 두 전압의 차가 각 화소에서의 화소 전압이 된다.
예를 들어, 공통 전압(Vcom)이 7V인 경우, 첫 번째 화소의 목표 화소 전압은 14V이므로, 제1 화소 전극(191a)에 인가되는 제1 전압(V1)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인가되는 제2 전압(V2)은 각각 14V 및 0V일 수 있고, 두 번째 화소의 목표 화소 전압은 10V이므로 제1 화소 전극(191a)에 인가되는 제1 전압(V1)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인가되는 제2 전압(V2)은 각각 12V 및 2V일 수 있으며, 세 번째 화소의 목표 화소 전압은 5V이므로 제1 화소 전극(191a)에 인가되는 제1 전압(V1)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인가되는 제2 전압(V2)은 각각 9.5V 및 4.5V일 수 있고, 네 번째 화소의 목표 화소 전압은 1V이므로 제1 화소 전극(191a)에 인가되는 제1 전압(V1)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인가되는 제2 전압(V2)은 각각 7.5V 및 6.5V일 수 있다.
이렇게 한 화소에 공통 전압(Vcom)에 대한 극성이 서로 다른 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구동 전압을 높일 수 있고 액정 분자의 응답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한 화소의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인가되는 두 전압의 극성이 서로 반대이므로 데이터 구동부(500)에서의 반전 형태가 열반전 또는 행반전일 경우에도 점반전 구동과 마찬가지로 플리커(flicker)로 인한 화질 열화를 막을 수 있다.
또한 한 화소에서,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가 턴 오프될 때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인가되는 전압이 모두 각각의 킥백 전압(kickback voltage)만큼 하강하므로 화소의 충전 전압에는 거의 변화가 없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도 1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및 이들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먼저, 하부 표시판(100)에 대하여설명한다.
제1 절연 기판(110)위에 게이트선(gate line)(121)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121)은 게이트 신호를전달하며 주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각 게이트선(121)은 상부로 돌출한 제1 게이트 전극(gate electrode)(124a) 및 제2 게이트 전극(124b)을 포함한다.
게이트선(121)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 구조를가질 수 있다.
게이트선(121) 위에는 질화규소(SiNx) 또는 산화규소(SiOx) 따위로 만들어진 게이트 절연막(gate insulating layer)(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반도체(154a)와 제2 반도체(154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반도체(154a)와 제2 반도체(154b)는 수소화 비정질 또는 다결정 규소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반도체(154a)와 제2 반도체(154b) 위에는 저항성 접촉 부재(ohmic contact)(163a, 165a)가 형성되어 있다. 저항성 접촉 부재(163a, 165a)는 인 따위의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n+ 수소화 비정질 규소 따위의 물질로 만들어지거나 실리사이드(silicide)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반도체(154a)와 제2 반도체(154b)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경우, 저항성 접촉 부재는 생략될수 있다.
저항성 접촉 부재(163a, 165a) 및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데이터선(171) 및 제2 데이터선(172), 그리고 제1 드레인 전극(drain electrode)(175a)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을 포함하는 데이터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데이터선(171)과 제2 데이터선(172)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어 게이트선(121)과 교차한다.
제1 데이터선(171)은 제1 게이트 전극(124a)을 향하여 U자형으로 굽은 제1 소스 전극(source electrode)(173a)을 포함하고, 제2 데이터선(172)은 제2 게이트 전극(124b)을 향하여 U자형으로 굽은 제2 소스 전극(173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2 소스 전극(173b)은 제2 데이터선(172)으로부터 뻗어 나온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2 소스 전극(173b)은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선과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2 데이터선(172)이 아닌 전압 인가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24a), 제1 소스 전극(173a) 및 제1 드레인 전극(175a)은 제1 반도체(154a)와 함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이루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channel)은 제1 소스 전극(173a)과 제1 드레인 전극(175a) 사이의 제1 반도체(154a)에 형성된다. 또한, 제2 게이트 전극(124b), 제2 소스 전극(173b)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은 제2 반도체(154b)와 함께 제2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루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은 제2 소스 전극(173b)과 제2 드레인 전극(175b) 사이의 제2 반도체(154b)에 형성된다.
데이터 도전체(171, 172, 175a, 175b)는 단일막 또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저항성 접촉 부재(163a, 165a)는 그 아래의 반도체(154a, 154b)와 그 위의 데이터 도전체(171, 172, 175a, 175b) 사이에만 존재하며 이들 사이의 접촉 저항을 낮추어 준다. 반도체(154a, 154b)에는 소스 전극(173a, 173b)과 드레인 전극(175a, 175b) 사이를 비롯하여 데이터 도전체(171, 172, 175a, 175b)로 가리지 않고 노출된 부분이 있다.
데이터 도전체(171, 172, 175a, 175b) 및 노출된 반도체(154a, 154b) 부분 위에는 무기 절연물 또는 유기 절연물 따위로 만들어진 보호막(passivation layer)(180)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에는 제1 드레인 전극(175a)을 드러내는 제1 접촉 구멍(185a)과 제2 드레인 전극(175b)을 드러내는 제2 접촉 구멍(185b)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이나 알루미늄, 은, 크롬 또는 그 합금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만들어진 제1 화소 전극(pixel electrode)(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을 포함하는 화소 전극(191)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91)의 전체적인 외곽 모양은 사각형이며,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맞물려 있는 복수의 가지부와 복수의 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줄기부를 포함한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은 전체적으로 가상적인 가로 중앙선(CL)을 경계로 반전 대칭을 이루고 상하의 두 부영역으로 나뉘어진다.
제1 화소 전극(191a)은 하부 줄기부(191a1)와 상부 줄기부(191a2), 하부 줄기부(191a1)와 상부 줄기부(191a2)로부터 각기 뻗어 나온 복수의 제1 가지부(191a3) 및 복수의 제2 가지부(191a4)를 포함하고, 제2 화소 전극(191b)은 하부 줄기부(191b1)와 상부 줄기부(191b2), 하부 줄기부(191b1)와 상부 줄기부(191b2)로부터 각기 뻗어 나온 복수의 제3 가지부(191b3) 및 복수의 제4 가지부(191b4)를 포함한다.
제1 화소 전극(191a)의 하부 줄기부(191a1)와 상부 줄기부(191a2)는 한 화소 전극(191)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고, 제2 화소 전극(191b)의 하부 줄기부(191b1)와 상부 줄기부(191b2)는 한 화소 전극(191)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한 화소 전극(191)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데이터선과 화소 전극(191)이 중첩하여 이루는 기생 용량의 크기를 화소 전극(191)의 좌측과 우측에서 대칭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어,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과 좌우 두 신호선과의 기생 용량 크기를 서로 같도록 할 수 있고, 좌우의 기생 용량 편차에 의해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의 복수의 가지부(191a3, 191a4, 191b3, 191b4)와 가로 중앙선(CL)이 이루는 각은 대략 45도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화소 전극(191b)의 가지부는 서로 맞물려 교대로 배치되어 빗살무늬를 이룬다. 이웃한 가지부 사이의 간격(A1)이 넓은 저계조 영역과 이웃한 가지부 사이의 간격(A2)이 좁은 고계조 영역이 존재하며, 저계조 영역은 고계조 영역의 하부 및 상부에 나뉘어 위치한다. 저계조 영역과 고계조 영역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의 가지부 사이의 간격과 가지부의 폭은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고계조 영역의 면적은 저계조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계조 영역에서의 서로 이웃한 가지부 사이의 간격(A1)과 고계조 영역에서의 서로 이웃한 가지부 사이의 간격(A2)의 차이는 약 2㎛ 이상일 수 있다.
이렇게 한 화소에서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의 간격을다양하게 함으로써 액정층 (3)의 액정 분자(31)들의 기울어진 각도를다양하게 할 수 있고 하나의영상 정보에 대해 서로 다른 휘도를 나타낼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의 가지부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측면에서 바라보는 영상이 정면에서 바라보는 영상에 최대한 가깝게할 수 있으며 측면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계조 영역과 저계조 영역의면적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고계조영역과 저계조 영역을 구분하여 형성한 액정 표시 장치의경우, 저계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상부 표시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제2 절연 기판(210)위에 차광 부재(light blocking member)(220)가 형성되어 있다. 차광 부재(220)는 화소 전극(191) 사이의 빛샘을 막고 화소 전극(191)과 마주하는 개구 영역을 정의한다.
제2 절연 기판(210)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복수의 색필터(230)가 형성되어 있다. 색필터(230)는 차광 부재(220)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대부분 존재하며, 화소 전극(191) 열을 따라서 길게 뻗을 수 있다. 각 색필터(230)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 등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덮개막(overcoat)(250)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막(250)은 (유기) 절연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색필터(23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평탄면을 제공한다. 덮개막(250)은 생략할 수 있다.
덮개막(25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극(270) 위에는 절연막(280)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280)은 공통 전극(27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의 영향을 감소시켜, 공통 전압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인가되는 수평 전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의 안쪽 면에는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도포될 수 있으며, 배향막은 수직 배향막일 수 있다. 배향막과 액정층(3) 중 적어도 하나는 광 중합 고분자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의 바깥쪽 면에는 편광자(polarizer)(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액정 분자(31)를 포함하며 액정 분자(31)는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두 표시판(100, 20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향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에 극성이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하면 표시판(100, 200)의 표면에 거의 수평인 전기장(electric field)이 생성된다. 그러면 초기에 표시판(100, 200)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던 액정층(3)의 액정 분자들이 전기장에 응답하여 그 장축이전기장의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액정 분자가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액정층(3)에 입사광의 편광의 변화 정도가달라진다. 이러한 편광의 변화는편광자에 의하여 투과율 변화로나타나며 이를 통하여 액정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수직 배향된 액정 분자(31)를 사용하면 액정 표시 장치의 대비비(contrast ratio)를 크게 할 수 있고 광시야각을 구현할수 있다. 또한 한 화소에공통 전압(Vcom)에 대한 극성이서로 다른 두 데이터 전압을인가함으로써 구동 전압을 높이고응답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킥백 전압의 영향이 없어져 플리커 현상 등을 방지할수 있다.
나아가 표시판(100, 200)에 대해 수직 배향된 액정 분자(31)를 사용하는 경우, 액정 표시 장치의 대비비(contrast ratio)를 크게 할 수 있고 광시야각을 구현할수 있다. 또한 양의 유전율이방성을 갖는 액정 분자(31)는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 분자에 비해 유전율 이방성이 크고 회전 점도가 낮아 빠른 응답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부 표시판(200)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270)에 의한 수직 전계의 영향에 의하여,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의 중앙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이 수직 배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외부 압력 등의 영향으로 액정 분자(31) 들이 수평 배열되더라도, 수직 배열 상태로 빠르게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 그리고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의 중앙 부분과 같은 저휘도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의 응답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그러면,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간략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7은 도 6의 액정 표시 장치를 VII-V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그리고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들어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하부 표시판(100)에는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은 각 화소 영역에 위치하며,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서로 절연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은 같은 층에 형성되어 서로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가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표시판(200)에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극(270) 위에는 절연막(280)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280)은 공통 전극(27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의 영향을 감소시켜, 공통 전압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인가되는 수평 전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액정층(3)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며, 액정층(3)의 액정 분자는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두 표시판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는 달리,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80)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층간 절연막(80)은 제1 화소 전극(191a)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2 화소 전극(191b)의 위에 위치한다.
이처럼,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층간 절연막(80)을 형성함으로써,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을 형성할 때, 오정렬에 따른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는 공통 전극(270)에 가해지는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각기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전위차가 생기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표시판(100)의 표면에 평행한 전기장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의 액정층(3)에 가해진다. 액정 분자(31)들이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기 때문에, 액정 분자(31)들은 그 장축이 전기장의 방향에 평행하도록 기울어지며 그 기울어진 정도는 화소 전압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또한 액정 분자(31)들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액정층(3)을 통과하는 빛의 편광의 변화 정도가 달라진다. 이러한 편광의 변화는 편광자에 의하여 빛의 투과율 변화로 나타나며, 이를 통해 각 화소는 원하는 소정의 휘도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표시판(200)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270)을 포함한다.
공통 전극(270)과 제1 화소 전극(191a) 사이, 그리고 공통 전극(270)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는 수직 전계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 위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은 수직 전계에 의하여, 수직 배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저휘도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이 외부의 압력 등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누운 상태를 가지다가도,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 위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에 가해지는 수직 전계에 의해 다시 수직 배열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압력 등에 의한 황색화 등의 얼룩이 시인되는 것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액정층(3)에 가해지는 수평 전계가 없어질 경우, 저휘도 부위 주변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은 저휘도 부위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의 수직 배열 상태에 영향을 받아, 다시 수직 배열 상태로 빠르게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응답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및 이들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먼저, 하부 표시판(100)에 대하여설명한다.
제1 절연 기판(110)위에 제1 게이트 전극(124a) 및 제2 게이트 전극(124b)을 포함하는 게이트선(121)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선(121) 위에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반도체(154a)와 제2 반도체(154b)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반도체(154a)와 제2 반도체(154b) 위에는 저항성 접촉 부재(163a, 165a)가 형성되어 있고, 저항성 접촉 부재(163a, 165a) 및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데이터선(171) 및 제2 데이터선(172), 그리고 제1 드레인 전극(drain electrode)(175a)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을 포함하는 데이터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데이터선(171)은 제1 소스 전극(173a)을 포함하고, 제2 데이터선(172)은 제2 소스 전극(173b)을 포함한다.
데이터 도전체(171, 172, 175a, 175b) 및 노출된 반도체(154a, 154b) 부분 위에는 무기 절연물 또는 유기 절연물 따위로 만들어진 보호막(180)이 형성되어 있고, 보호막(180) 위에는 제2 화소 전극(191b)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화소 전극(191b) 위에는 층간 절연막(80)이 형성되어 있고, 층간 절연막(80) 위에는 제1 화소 전극(19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은 보호막(180)과 층간 절연막(8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접촉 구멍(185a)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연결되고, 제2 화소 전극(191b)은 보호막(18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접촉 구멍(185b)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175b)과 연결된다.
제1 화소 전극(191a)은 하부 줄기부(191a1)와 상부 줄기부(191a2), 하부 줄기부(191a1)와 상부 줄기부(191a2)로부터 각기 뻗어 나온 복수의 제1 가지부(191a3) 및 복수의 제2 가지부(191a4)를 포함하고, 제2 화소 전극(191b)은 하부 줄기부(191b1)와 상부 줄기부(191b2), 하부 줄기부(191b1)와 상부 줄기부(191b2)로부터 각기 뻗어 나온 복수의 제3 가지부(191b3) 및 복수의 제4 가지부(191b4)를 포함한다.
다음 상부 표시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절연 기판(210)위에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절연 기판(210)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복수의 색필터(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덮개막(250)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막(25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극(270) 위에는 절연막(280)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280)은 공통 전극(27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의 영향을 감소시켜, 공통 전압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인가되는 수평 전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의 안쪽 면에는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도포될 수 있으며, 배향막은 수직 배향막일 수 있다. 배향막과 액정층(3) 중 적어도 하나는 광 중합 고분자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의 바깥쪽 면에는 편광자(polarizer)(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액정 분자(31)를 포함하며 액정 분자(31)는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두 표시판(100, 20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향되어 있을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많은 특징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간략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액정 표시 장치를 X-X'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들과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그리고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들어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하부 표시판(100)에는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은 각 화소 영역에 위치한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중 제1 화소 전극(191a)은 복수의 가지부를 포함하고, 제2 화소 전극(191b)은 화소 영역에 걸쳐 위치하는 판형태(planar shape)를 가질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80)이 형성되어 있고, 층간 절연막(80)은 제1 화소 전극(191a)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2 화소 전극(191b)의 위에 위치한다.
상부 표시판(200)에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극(270) 위에는 절연막(280)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280)은 공통 전극(27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의 영향을 감소시켜, 공통 전압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인가되는 수평 전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액정층(3)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며, 액정층(3)의 액정 분자는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두 표시판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는 공통 전극(270)에 가해지는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각기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전위차가 생기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표시판(100)의 표면에 평행한 전기장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의 액정층(3)에 가해진다. 액정 분자(31)들이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기 때문에, 액정 분자(31)들은 그 장축이 전기장의 방향에 평행하도록 기울어지며 그 기울어진 정도는 화소 전압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또한 액정 분자(31)들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액정층(3)을 통과하는 빛의 편광의 변화 정도가 달라진다. 이러한 편광의 변화는 편광자에 의하여 빛의 투과율 변화로 나타나며, 이를 통해 각 화소는 원하는 소정의 휘도를 표시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는 달리,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80)이 형성되어 있고, 제1 화소 전극(191a)은 복수의 가지부를 포함하고, 제2 화소 전극(191b)은 판형태를 가진다. 층간 절연막(80)은 제1 화소 전극(191a)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2 화소 전극(191b)의 위에 위치한다.
이처럼,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층간 절연막(80)을 형성함으로써,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을 형성할 때, 오정렬에 따른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표시판(200)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270)을 포함한다.
공통 전극(270)과 제1 화소 전극(191a) 사이, 그리고 공통 전극(270)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는 수직 전계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 위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은 수직 전계에 의하여, 수직 배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저휘도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이 외부의 압력 등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누운 상태를 가지다가도,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 위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에 가해지는 수직 전계에 의해 다시 수직 배열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압력 등에 의한 황색화 등의 얼룩이 시인되는 것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액정층(3)에 가해지는 수평 전계가 없어질 경우, 저휘도 부위 주변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은 저휘도 부위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의 수직 배열 상태에 영향을 받아, 다시 수직 배열 상태로 빠르게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응답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및 이들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먼저, 하부 표시판(100)에 대하여설명한다.
제1 절연 기판(110)위에 제1 게이트 전극(124a) 및 제2 게이트 전극(124b)을 포함하는 게이트선(121)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선(121) 위에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반도체(154a)와 제2 반도체(154b)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반도체(154a)와 제2 반도체(154b) 위에는 저항성 접촉 부재(163a, 165a)가 형성되어 있고, 저항성 접촉 부재(163a, 165a) 및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데이터선(171) 및 제2 데이터선(172), 그리고 제1 드레인 전극(drain electrode)(175a)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을 포함하는 데이터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데이터선(171)은 제1 소스 전극(173a)을 포함하고, 제2 데이터선(172)은 제2 소스 전극(173b)을 포함한다.
데이터 도전체(171, 172, 175a, 175b) 및 노출된 반도체(154a, 154b) 부분 위에는 무기 절연물 또는 유기 절연물 따위로 만들어진 보호막(180)이 형성되어 있고, 보호막(180) 위에는 제2 화소 전극(191b)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화소 전극(191b) 위에는 층간 절연막(80)이 형성되어 있고, 층간 절연막(80) 위에는 제1 화소 전극(19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은 보호막(180)과 층간 절연막(8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접촉 구멍(185a)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연결되고, 제2 화소 전극(191b)은 보호막(18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접촉 구멍(185b)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175b)과 연결된다.
제1 화소 전극(191a)은 하부 줄기부(191a1)와 상부 줄기부(191a2), 하부 줄기부(191a1)와 상부 줄기부(191a2)로부터 각기 뻗어 나온 복수의 제1 가지부(191a3) 및 복수의 제2 가지부(191a4)를 포함하고, 제2 화소 전극(191b)은 판형태를 가진다.
다음 상부 표시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절연 기판(210)위에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절연 기판(210)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복수의 색필터(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덮개막(250)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막(25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극(270) 위에는 절연막(280)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280)은 공통 전극(27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의 영향을 감소시켜, 공통 전압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인가되는 수평 전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의 안쪽 면에는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도포될 수 있으며, 배향막은 수직 배향막일 수 있다. 배향막과 액정층(3) 중 적어도 하나는 광 중합 고분자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의 바깥쪽 면에는 편광자(polarizer)(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액정 분자(31)를 포함하며 액정 분자(31)는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두 표시판(100, 20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향되어 있을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많은 특징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간략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액정 표시 장치를 XIII-X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그리고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들어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하부 표시판(100)에는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은 각 화소 영역에 위치하며,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은 동일한 층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서로 절연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은 서로 다른 층 위에 형성되고,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는 절연막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은 같은 층에 형성되어 서로 교대로배치된 복수의 가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표시판(200)에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극(270) 위에는 절연막(280)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280)은 공통 전극(27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의 영향을 감소시켜, 공통 전압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인가되는 수평 전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액정층(3)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며, 액정층(3)의 액정 분자는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두 표시판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는 달리,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 아래에 층간 절연막(80)이 형성되어 있고, 층간 절연막(80) 아래에는 보조 전극(271)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전극(271)은 화소 영역에 걸쳐 위치하는 판형태(planar shape)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전극(271)에는 공통 전극(27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크기가 다른 일정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인접한 복수의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보조 전극(271)은 서로 연결되어,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동시에 인가될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는 공통 전극(270)에 가해지는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각기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전위차가 생기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표시판(100)의 표면에 평행한 전기장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의 액정층(3)에 가해진다. 액정 분자(31)들이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기 때문에, 액정 분자(31)들은 그 장축이 전기장의 방향에 평행하도록 기울어지며 그 기울어진 정도는 화소 전압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또한 액정 분자(31)들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액정층(3)을 통과하는 빛의 편광의 변화 정도가 달라진다. 이러한 편광의 변화는 편광자에 의하여 빛의 투과율 변화로 나타나며, 이를 통해 각 화소는 원하는 소정의 휘도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표시판(200)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270)을 포함하고, 하부 표시판(100)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 전극(271)을 포함한다.
공통 전극(270)에는 공통 전압이 인가되고, 보조 전극(271)에는 공통 전극(27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크기가 다른 일정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공통 전극(270)과 제1 화소 전극(191a) 사이, 공통 전극(270)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 그리고 공통 전극(270)과 보조 전극(271) 사이에는 수직 전계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 위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 그리고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위치한 액정 분자(31)들은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과 공통 전극(270) 사이의 수직 전계, 그리고 공통 전극(270)과 보조 전극(271) 사이의 수직 전계에 의하여, 수직 배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저휘도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이 외부의 압력 등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누운 상태를 가지다가도, 제1 화소 전극(191a) 및 제2 화소 전극(191b) 위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 그리고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액정 분자(31)들에 가해지는 수직 전계에 의해 다시 수직 배열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압력 등에 의한 황색화 등의 얼룩이 시인되는 것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액정층(3)에 가해지는 수평 전계가 없어질 경우, 저휘도 부위 주변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들은 저휘도 부위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의 수직 배열 상태에 영향을 받아, 다시 수직 배열 상태로 빠르게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응답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및 이들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먼저, 하부 표시판(100)에 대하여설명한다.
제1 절연 기판(110)위에 제1 게이트 전극(124a) 및 제2 게이트 전극(124b)을 포함하는 게이트선(121)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선(121) 위에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반도체(154a)와 제2 반도체(154b)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반도체(154a)와 제2 반도체(154b) 위에는 저항성 접촉 부재(163a, 165a)가 형성되어 있고, 저항성 접촉 부재(163a, 165a) 및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데이터선(171) 및 제2 데이터선(172), 그리고 제1 드레인 전극(drain electrode)(175a)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을 포함하는 데이터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데이터선(171)은 제1 소스 전극(173a)을 포함하고, 제2 데이터선(172)은 제2 소스 전극(173b)을 포함한다.
데이터 도전체(171, 172, 175a, 175b) 및 노출된 반도체(154a, 154b) 부분 위에는 무기 절연물 또는 유기 절연물 따위로 만들어진 보호막(180)이 형성되어 있고, 보호막(180) 위에는 보조 전압선(131)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 전극(271)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전극(271) 위에는 층간 절연막(80)이 형성되어 있고, 층간 절연막(80) 위에는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은 보호막(180)과 층간 절연막(8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접촉 구멍(185a)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연결되고, 제2 화소 전극(191b)은 보호막(180)과 층간 절연막(8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접촉 구멍(185b)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175b)과 연결된다.
제1 화소 전극(191a)은 하부 줄기부(191a1)와 상부 줄기부(191a2), 하부 줄기부(191a1)와 상부 줄기부(191a2)로부터 각기 뻗어 나온 복수의 제1 가지부(191a3) 및 복수의 제2 가지부(191a4)를 포함하고, 제2 화소 전극(191b)은 하부 줄기부(191b1)와 상부 줄기부(191b2), 하부 줄기부(191b1)와 상부 줄기부(191b2)로부터 각기 뻗어 나온 복수의 제3 가지부(191b3) 및 복수의 제4 가지부(191b4)를 포함한다.
다음 상부 표시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절연 기판(210)위에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절연 기판(210)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복수의 색필터(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덮개막(250)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막(25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극(270) 위에는 절연막(280)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280)은 공통 전극(27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의 영향을 감소시켜, 공통 전압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인가되는 수평 전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의 안쪽 면에는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도포될 수 있으며, 배향막은 수직 배향막일 수 있다. 배향막과 액정층(3) 중 적어도 하나는 광 중합 고분자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의 바깥쪽 면에는 편광자(polarizer)(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액정 분자(31)를 포함하며 액정 분자(31)는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두 표시판(100, 20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향되어 있을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많은 특징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많은 특징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간략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액정 표시 장치를 XVI-XV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앞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그리고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들어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하부 표시판(100)에는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은 각 화소 영역에 위치한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중 제1 화소 전극(191a)은 복수의 가지부를 포함하고, 제2 화소 전극(191b)은 화소 영역에 걸쳐 위치하는 판형태(planar shape)를 가질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80)이 형성되어 있고, 층간 절연막(80)은 제1 화소 전극(191a)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2 화소 전극(191b)의 위에 위치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상부 표시판(200)에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액정층(3)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며, 액정층(3)의 액정 분자는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두 표시판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에 각기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 전위차가 생기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표시판(100)의 표면에 평행한 전기장이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의 액정층(3)에 가해진다. 액정 분자(31)들이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기 때문에, 액정 분자(31)들은 그 장축이 전기장의 방향에 평행하도록 기울어지며 그 기울어진 정도는 화소 전압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또한 액정 분자(31)들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액정층(3)을 통과하는 빛의 편광의 변화 정도가 달라진다. 이러한 편광의 변화는 편광자에 의하여 빛의 투과율 변화로 나타나며, 이를 통해 각 화소는 원하는 소정의 휘도를 표시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화소 전극(191a)과 제2 화소 전극(191b)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80)이 형성되어 있고, 제1 화소 전극(191a)은 복수의 가지부를 포함하고, 제2 화소 전극(191b)은 판형태를 가진다. 층간 절연막(80)은 제1 화소 전극(191a)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2 화소 전극(191b)의 위에 위치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및 이들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먼저, 하부 표시판(100)에 대하여설명한다.
제1 절연 기판(110)위에 제1 게이트 전극(124a) 및 제2 게이트 전극(124b)을 포함하는 게이트선(121)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선(121) 위에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반도체(154a)와 제2 반도체(154b)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반도체(154a)와 제2 반도체(154b) 위에는 저항성 접촉 부재(163a, 165a)가 형성되어 있고, 저항성 접촉 부재(163a, 165a) 및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데이터선(171) 및 제2 데이터선(172), 그리고 제1 드레인 전극(drain electrode)(175a)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을 포함하는 데이터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데이터선(171)은 제1 소스 전극(173a)을 포함하고, 제2 데이터선(172)은 제2 소스 전극(173b)을 포함한다.
데이터 도전체(171, 172, 175a, 175b) 및 노출된 반도체(154a, 154b) 부분 위에는 무기 절연물 또는 유기 절연물 따위로 만들어진 보호막(180)이 형성되어 있고, 보호막(180) 위에는 제2 화소 전극(191b)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화소 전극(191b) 위에는 층간 절연막(80)이 형성되어 있고, 층간 절연막(80) 위에는 제1 화소 전극(19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191a)은 보호막(180)과 층간 절연막(8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접촉 구멍(185a)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연결되고, 제2 화소 전극(191b)은 보호막(18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접촉 구멍(185b)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175b)과 연결된다.
제1 화소 전극(191a)은 하부 줄기부(191a1)와 상부 줄기부(191a2), 하부 줄기부(191a1)와 상부 줄기부(191a2)로부터 각기 뻗어 나온 복수의 제1 가지부(191a3) 및 복수의 제2 가지부(191a4)를 포함하고, 제2 화소 전극(191b)은 판형태를 가진다.
다음 상부 표시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절연 기판(210)위에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절연 기판(210)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복수의 색필터(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덮개막(250)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의 안쪽 면에는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도포될 수 있으며, 배향막은 수직 배향막일 수 있다. 배향막과 액정층(3) 중 적어도 하나는 광 중합 고분자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의 바깥쪽 면에는 편광자(polarizer)(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액정 분자(31)를 포함하며 액정 분자(31)는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두 표시판(100, 20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향되어 있을 수 있다.
앞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많은 특징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한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화소 전극 및 제2 화소 전극,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그리고
    상기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분자는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상기 제1 기판의 표면과 상기 제2 기판의 표면에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화소 전극은 복수의 제1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소 전극은 복수의 제2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가지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가지 전극은 서로 교대로 위치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은 동일한 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인가 받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아래에 위치하는 보조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화소 전극 및 상기 제2 화소 전극, 그리고 상기 보조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크기가 다른 일정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보조 전극은 판형태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은 복수의제1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소 전극은 복수의 제2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가지 전극과상기 복수의 제2 가지 전극은서로 교대로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인가 받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아래에 위치하는 보조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화소 전극 및 상기 제2 화소 전극, 그리고 상기 보조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크기가 다른 일정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보조 전극은 판형태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 가지 전극을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중 나머지 하나는 판형태를 가지고,
    상기 층간 절연막 위에 상기 복수의 가지 전극이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인가 받는 액정 표시 장치.
  14.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한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화소 전극 및 제2 화소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층간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 가지 전극을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 중 나머지 하나는 판형태를 가지고,
    상기 액정 분자는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상기 제1 기판의 표면과 상기 제2 기판의 표면에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인가 받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30055990A 2013-05-16 2013-05-16 액정 표시 장치 KR102060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990A KR102060791B1 (ko) 2013-05-16 2013-05-16 액정 표시 장치
US14/273,212 US20140340623A1 (en) 2013-05-16 2014-05-08 Liquid crystal display
TW103117282A TWI629545B (zh) 2013-05-16 2014-05-16 液晶顯示器
CN201410209185.7A CN104166256A (zh) 2013-05-16 2014-05-16 液晶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990A KR102060791B1 (ko) 2013-05-16 2013-05-16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544A true KR20140135544A (ko) 2014-11-26
KR102060791B1 KR102060791B1 (ko) 2019-12-31

Family

ID=5189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990A KR102060791B1 (ko) 2013-05-16 2013-05-16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340623A1 (ko)
KR (1) KR102060791B1 (ko)
CN (1) CN104166256A (ko)
TW (1) TWI6295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7699B2 (en) * 2010-08-12 2015-01-20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WO2017041167A1 (en) * 2015-09-12 2017-03-16 Lensvector Inc. Liquid crystal beam control device and manufacture
TWI610286B (zh) * 2016-12-07 2018-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及其控制方法
CN107065327B (zh) * 2017-05-15 2020-02-18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液晶显示装置
TWI706204B (zh) * 2019-08-12 2020-10-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結構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139B1 (ko) * 2000-06-30 2007-02-15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전계를 향상시킨 다중 도메인 수직배향-프린지전계스위칭모드 액정표시장치
US7777481B2 (en) * 2007-07-02 2010-08-17 Danaher Motion, Llc Linear motion assembly having a self-energizing sensing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moving ferrous elements in a linear motion assembly
JP5235363B2 (ja) * 2007-09-04 2013-07-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KR101421627B1 (ko) * 2007-10-09 2014-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201120516A (en) * 2009-12-03 2011-06-16 Chunghwa Picture Tubes Ltd Multista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CN102012587A (zh) * 2010-11-25 2011-04-13 河北工业大学 垂面排列快速响应的fis-va-3t液晶显示器
KR101806351B1 (ko) * 2011-02-01 2018-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2629028A (zh) * 2011-08-26 2012-08-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面内开关液晶显示器及其制造方法
JP5906043B2 (ja) * 2011-09-01 2016-04-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66256A (zh) 2014-11-26
US20140340623A1 (en) 2014-11-20
TWI629545B (zh) 2018-07-11
KR102060791B1 (ko) 2019-12-31
TW201503096A (zh) 201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380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46902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830274B1 (ko) 액정 표시 장치
JP5925479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10102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99112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2009037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10101894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707212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807729B1 (ko) 액정 표시 장치
US7220992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2060791B1 (ko) 액정 표시 장치
US894180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777323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33150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10041139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0100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67481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296070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794283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50146109A (ko) 액정 표시 장치
US899490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6005831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46894A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71031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