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50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503A
KR20140134503A KR20130054477A KR20130054477A KR20140134503A KR 20140134503 A KR20140134503 A KR 20140134503A KR 20130054477 A KR20130054477 A KR 20130054477A KR 20130054477 A KR20130054477 A KR 20130054477A KR 20140134503 A KR20140134503 A KR 20140134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block
disposed
sub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746B1 (ko
Inventor
여길환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746B1/ko
Priority to US14/132,168 priority patent/US9301389B2/en
Publication of KR20140134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05K1/0281Reinforcement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09Reinforced areas, e.g. for a specific part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서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되는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휨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상기 블록들의 전면에 인접한 상기 블록들의 측면은 서로 제1 거리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블록들의 후면에 인접한 상기 블록들의 측면은 서로 평행하고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블록들은 상기 블록들 사이의 경계를 축으로 상기 제1 거리가 좁아지도록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회전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휨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전기 습윤 표시 패널(electro Wetting display panel),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등 다양한 표시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은 기판 및 기판상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화소들은 데이터 신호들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데이터 신호들에 대응하는 계조를 표시함으로서 영상을 표시한다.
최근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플렉서블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휨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서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회전되는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휨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상기 블록들의 전면에 인접한 상기 블록들의 측면은 서로 제1 거리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블록들의 후면에 인접한 상기 블록들의 측면은 서로 평행하고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블록들은 상기 블록들 사이의 경계를 축으로 상기 제1 거리가 좁아지도록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회전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장변을 갖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며, 상기 블록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장변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며, 상기 블록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블록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중심부에 연결된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의 일측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블록들, 및 상기 제1 블록의 타측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블록들과 대칭되는 구성을 갖는 복수의 제3 블록들을 포함한다.
상기 휨 제어부는 상기 제1 블록의 후면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블록 구동부들,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들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도르레 유닛들,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들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도르레 유닛들, 상기 제2 블록들 중 최 일측에 배치된 마지막 제2 블록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제1 와이어 고정부들, 상기 제3 블록들 중 최 타측에 배치된 마지막 제3 블록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제2 와이어 고정부들,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상기 제1 와이어 고정부들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도르레 유닛들을 경유하여 상기 제1 및 제2 블록 구동부들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들, 및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상기 제2 와이어 고정부들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도르레 유닛들을 경유하여 상기 제1 및 제2 블록 구동부들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도르레 유닛들은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마지막 제2 블록을 제외한 제2 블록들로 정의되는 제2 서브 블록들의 후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서브 블록들의 상면 및 하면의 일측에 배치된 제1_1 도르레 유닛들, 및 상기 제2 블록들의 전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2 블록들의 상면 및 하면의 타측에 배치된 제1_2 도르레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르레 유닛들은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마지막 제3 블록을 제외한 제3 블록들로 정의되는 제3 서브 블록들의 후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3 서브 블록들의 상면 및 하면의 타측에 배치된 제2_1 도르레 유닛들, 및 상기 제3 블록들의 전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3 블록들의 상면 및 하면의 일측에 배치된 제2_2 도르레 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블록 구동부의 상측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블록의 상부 경계면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블록 구동부의 하측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블록의 하부 경계면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마지막 제2 블록의 후면에 인접하고 상기 마지막 제2 블록의 상면 및 하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마지막 제3 블록의 후면에 인접하고 상기 마지막 제3 블록의 상면 및 하면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블록 구동부는 상기 제1 블록 구동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모터 유닛 및 상기 제1 블록 구동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모터 유닛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모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 구동부는 상기 제2 블록 구동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3 모터 유닛 및 상기 제2 블록 구동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모터 유닛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4 모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3 모터 유닛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및 제4 모터 유닛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와이어들의 일단은 상기 대응하는 제1 와이어 고정부들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와이어들의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3 모터들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와이어들은 상기 제2 서브 블록들의 후면에 인접한 상기 제1_1 도르레 유닛들의 측면 및 상기 제2 블록들의 전면에 인접한 상기 제1_2 도르레 유닛들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와이어들의 일단은 상기 제2 및 제4 모터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들의 타단은 상기 대응하는 제2 와이어 고정부들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들은 상기 제3 서브 블록들의 후면에 인접한 상기 제2_1 도르레 유닛들의 측면 및 상기 제3 블록들의 전면에 인접한 상기 제2_2 도르레 유닛들의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도르레 유닛들은 각각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도르레 유닛들의 중심부의 외주면의 지름은 상기 제1 및 제2 도르레 유닛들의 상측 및 하측의 외주면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들은 상기 제1 및 제2 도르레 유닛들의 중심부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서브 블록들 각각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길이를 갖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갖는 제2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연장부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제3 연장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갖는 제1 볼록부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볼록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볼록부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지막 제2 블록은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면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2 연장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전면은 상기 제1 방향과 제1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연장부의 일측은 상기 제2 폭보다 작은 상기 제3 폭을 갖고 상기 제3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2 폭을 갖는다.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의 후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길이보다 작은 제3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돌출부의 일측은 상기 제1 연장부의 후면에서 상기 제3 폭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부 평면에서 상기 제1 오목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볼록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1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연장부의 후면부터 상기 제3 폭까지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3 연장부의 일측면과 서로 평행하고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3 서브 블록들 각각은, 상기 제1 연장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연장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4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연장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5 연장부, 상기 제1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3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4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3 연장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3 돌출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6 연장부, 및 상기 제1 볼록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볼록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2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오목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2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지막 제3 블록은 상기 제4 연장부 및 상기 제4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및 제3 블록들은 각각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에 연결된 블록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제2 거리를 두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면의 상측 및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거리를 두고 상기 제5 연장부의 일측면의 상측 및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블록 연결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핀 유닛 및 상기 핀 유닛의 하부에 연결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된 핀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 연결부는 상기 블록 연결부의 단면의 중심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홀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핀 유닛은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에 삽입되고, 상기 핀 결합 유닛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핀 유닛의 하단에 연결되며, 서로 인접한 상기 제2 블록들 및 서로 인접한 상기 제3 블록들은 상기 핀 유닛을 축으로 상기 제1 거리가 좁아지도록 회전하여 상기 표시 패널이 배치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꺽인다.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서브 연장부,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부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서브 연장부,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와 대칭되도록 구성된 제3 서브 연장부,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1 서브 돌출부, 및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서브 돌출부와 대칭되도록 구성된 제2 서브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돌출부는 상기 핀 유닛에 의해 인접한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블록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서브 돌출부는 상기 핀 유닛에 의해 인접한 상기 제3 블록의 상기 블록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블록들과 상기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3 블록들은 상기 핀 유닛을 축으로 상기 제1 거리가 좁아지도록 회전하여 상기 표시 패널이 배치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꺽인다.
상기 제1_1도르레 유닛들 각각은 상기 제3 연장부의 일측 및 상기 제1 서브 돌출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3 연장부의 후면 및 상기 제1 서브 돌출부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_2 도르레 유닛들 각각은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_1도르레 유닛들 각각은 상기 제6 연장부의 타측 및 상기 제2 서브 돌출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6 연장부의 후면 및 상기 제2 서브 돌출부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_2 도르레 유닛들 각각은 상기 제4 연장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4 연장부의 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 팽창률을 가진 제1 바이메탈, 상기 제1 바이메탈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팽창률보다 큰 제2 팽창률을 갖는 제2 바이메탈, 상기 제2 바이메탈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바이메탈에 연결된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휨 제어부,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중심부 및 상기 제1 바이메탈 유닛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이메탈과 마주보는 상기 블록들의 전면에 인접한 블록들의 측면은 서로 제1 거리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블록들의 후면에 인접한 블록들의 측면은 서로 평행하고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블록들은 상기 블록들 사이의 경계를 축으로 상기 제1 거리가 좁아지도록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회전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휨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도시된 휨 제어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휨 제어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블록을 후면에서 바라본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휨 제어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 블록의 확대도이다.
도 7는 도 4에 도시된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분해되어 도시된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분해되어 도시된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을 후면에서 바라본 후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1 도르레 유닛 및 제2 도르레 유닛에 제1 와이어 유닛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도 1에 도시된 휨 제어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휨 제어부의 서로 인접한 블록들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도시된 휨 제어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휨 제어부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10) 및 표시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된 휨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이하 표시 패널(110)과 마주보는 휨 제어부(120)의 면은 전면으로 정의되고, 휨 제어부(120)의 전면과 반대면은 후면으로 정의된다.
표시 패널(110)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0)은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플렉서블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휨 제어부(120)의 평면상의 형상 및 면적은 표시 패널(110)의 형상 및 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로서, 표시 패널(110) 및 휨 제어부(120)는 제1 방향(X1)으로 장변을 갖고 제1 방향(X1)과 수직한 제2 방향(X2)으로 단변을 가질 수 있다. 휨 제어부(120)는 표시 패널(11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X1) 및 제2 방향(X2)과 수직한 방향은 제3 방향(X3)으로 정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휨 제어부(120)는 복수의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 복수의 블록 구동부들(10,20),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들(FIX1,FIX2), 복수의 도르레 유닛들(PUL1,PUL2), 및 복수의 와이어들(W1,W2)을 포함한다.
복수의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은 제2 방향(X2)으로 연장되어, 제1 방향(X1)으로 단변을 갖고 제2 방향(X2)으로 장변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은 제1 방향(X1)으로 배열되어 서로 인접한 블록끼리 연결된다.
복수의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은 제1 블록(BLK1), 복수의 제2 블록들(BLK2_1~BLK2_m), 및 복수의 제3 블록들(BLK3_1~BLK3_m)을 포함한다.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예시적으로, 도 1에는 4개의 제2 블록들(BLK2_1~BLK2_m) 및 제3 블록들(BLK3_1~BLK3_m)이 도시되었으나, 제2 블록들(BLK2_1~BLK2_m) 및 제3 블록들(BLK3_1~BLK3_m)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서 제2 블록들(BLK2_1~BLK2_m) 및 제3 블록들(BLK3_1~BLK3_m)의 개수는 동일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블록들(BLK2_1~BLK2_m)의 개수 및 제3 블록들(BLK3_1~BLK3_m)의 개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정면도에서 각 구성의 좌측은 일측으로 정의되고, 우측은 타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블록(BLK1)은 표시 패널(110)의 중앙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 블록들(BLK2_1~BLK2_m)은 제1 블록(BLK1)의 일측에 제1 방향(X1)으로 배열되어 서로 연결된다.
제3 블록들(BLK3_1~BLK3_m)은 제1 블록(BLK1)의 타측에 제1 방향(X1)으로 배열되어 서로 연결된다. 제3 블록들(BLK3_1~BLK3_m)은 제2 블록들(BLK2_1~BLK2_m)과 대칭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하, 제2 블록들(BLK2_1~BLK2_m)은 제1 블록(BLK1)에 인접한 블록부터 제2_1 블록(BLK2_1) 내지 제2_m 블록(BLK2_m)으로 정의된다. 또한, 제3 블록들(BLK3_1~BLK3_m)은 제1 블록(BLK1)에 인접한 블록부터 제3_1 블록(BLK3_1) 내지 제3_m 블록(BLK3_m)으로 정의된다.
블록 구동부들(10,20)은 제1 블록(BLK1)의 후면의 상측에 배치된 제1 블록 구동부(10) 및 제1 블록(BLK1)의 후면의 하측에 배치된 제2 블록 구동부(20)를 포함한다.
와이어 고정부들(FIX1,FIX2)은 제1 와이어 고정부들(FIX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들(FIX2)을 포함한다. 제1 와이어 고정부들(FIX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들(FIX2)은 각각 두 개씩 준비될 수 있다.
제1 와이어 고정부들(FIX1)은 제2 블록들(BLK2_1~BLK2_m) 중 제1 블록(BLK1)과 가장 멀리 떨어진 블록인 마지막 제2_m 블록(BLK2_m)의 일측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다. 제2 와이어 고정부들(FIX2)은 제3 블록들(BLK3_1~BLK3_m) 중 제1 블록(BLK1)과 가장 멀리 떨어진 블록인 마지막 제3_m 블록(BLK3_m)의 타측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다.
도르레 유닛들(PUL1,PUL2)은 복수의 제1 도르레 유닛들(PUL1) 및 복수의 제2 도르레 유닛들(PUL2)을 포함한다. 제1 도르레 유닛들(PUL1)은 제1 블록(BLK1) 및 제2 블록들(BLK2_1~BLK2_m)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다. 제2 도르레 유닛들(PUL2)은 제1 블록(BLK1) 및 제3 블록들(BLK3_1~BLK3_m)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다.
와이어들(W1,W2)은 제1 와이어들(W1) 및 제2 와이어들(W2)을 포함한다. 제1 와이어들(W1) 및 제2 와이어들(W2)은 각각 두 개씩 준비될 수 있다. 제1 와이어들(W1)은 제2 블록들(BLK2_1~BLK2_m)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다. 제2 와이어들(W2)은 제3 블록들(BLK3_1~BLK3_m)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다.
제1 와이어들(W1)은 대응하는 제1 와이어 고정부들(FIX1)에 연결되어 제1 도르레 유닛들(PUL1)을 경유하여 제1 블록 구동부(10)의 일측 및 제2 블록 구동부(20)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2 와이어들(W2)은 대응하는 제2 와이어 구정부들(FIX2)에 연결되어 제2 도르레 유닛들(PUL2)을 경유하여 제1 블록 구동부(10)의 타측 및 제2 블록 구동부(20)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블록 구동부들(10,20),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들(FIX1, FIX2), 제1 및 제2 도르레 유닛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와이어들(W1,W2)의 연결 구성은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블록을 후면에서 바라본 후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블록 구동부(10)의 하측의 소정의 영역은 제1 블록(BLK1)의 후면의 상측에 연결된다. 제1 블록 구동부(10)의 상측의 소정의 영역은 제1 블록(BLK1)의 상부 경계면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제2 블록 구동부(20)의 상측의 소정의 영역은 제1 블록(BLK1)의 후면의 하측에 연결된다. 제2 블록 구동부(20)의 하측의 소정의 영역은 제1 블록(BLK1)의 하부 경계면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제1 와이어들(W1)은 제1 고정부들(FIX1)에 연결되어 제1 도르레 유닛들(PUL1)을 경유하여 제1 블록 구동부(10)의 일측의 상측 및 제2 블록 구동부(20)의 일측의 하측에 연결된다. 제2 와이어(W2)는 제2 고정부(FIX2)에 연결되어 제2 도르레 유닛들(PUL2)을 경유하여 제1 블록 구동부(10)의 타측의 상측 및 제2 블록 구동부(20)의 타측의 하측에 연결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휨 제어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 블록의 확대도이다.
제1 내지 제3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블록 구동부(10),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들(FIX1, FIX2), 제1 및 제2 도르레 유닛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와이어들(W1,W2)의 연결 구성은 제1 내지 제3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의 하부에 배치된 제2 블록 구동부(20),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들(FIX1, FIX2), 제1 및 제2 도르레 유닛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와이어들(W1,W2)의 연결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3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블록 구동부(10),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들(FIX1, FIX2), 제1 및 제2 도르레 유닛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와이어들(W1,W2)의 연결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제1 내지 제3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의 하부에 배치된 제2 블록 구동부(20),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들(FIX1, FIX2), 제1 및 제2 도르레 유닛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와이어들(W1,W2)의 연결 구성은 도면상으로 도시하지 않고 설명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앙에 배치된 제1 블록(BLK1)에 표시 패널(110)의 중앙부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블록(BLK1)의 전면에 표시 패널(110)의 중앙부의 후면이 연결된다.
제1 내지 제3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의 전면에 인접한 제1 내지 제3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의 측면은 서로 제1 거리(D1)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의 후면에 인접한 제1 내지 제3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의 측면은 서로 평행하고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은 제1 내지 제3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 사이의 경계를 축으로 제1 거리(D1)가 좁아지도록 표시 패널(110)을 향해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2 블록들(BLK2_1~BLK2_m), 제3 블록들(BLK3_1~BLK3_m), 제1 블록(BLK1)과 제2_1블록(BLK2_1), 및 제1 블록(BLK1)과 제3_1 블록(BLK3_1)은 핀 유닛들(3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핀 유닛(3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블록 구동부(10)는 제1 블록 구동부(10)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모터 유닛(M1) 및 제1 블록 구동부(10)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1 모터 유닛(M1)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모터 유닛(M2)을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블록 구동부(20)는 제2 블록 구동부(20)의 일측에 배치된 제3 모터 유닛 및 제2 블록 구동부(20)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3 모터 유닛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4 모터 유닛을 포함한다.
제1 모터 유닛(M1) 및 제3 모터 유닛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모터 유닛(M2) 및 제4 모터 유닛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도르레 유닛들(PUL1)은 복수의 제1_1 도르레 유닛들(PUL1_1) 및 복수의 제1_2 도르레 유닛들(PUL1_2)을 포함한다. 제2 블록들(BLK2_1~BLK2_m) 중 마지막 제2_m 블록(BLK2_m)을 제외한 제2_1 내지 제2_(m-1) 블록들(BLK2_1~BLK2_(m-1))은 제2 서브 블록들(BLK2_1~BLK2_(m-1))로 정의될 수 있다.
제1_1 도르레 유닛들(PUL1_1)은 제1 블록(BLK1) 및 제2 서브 블록들(BLK2_1~BLK2_(m-1))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제1 블록(BLK1) 및 제2 서브 블록들(BLK2_1~BLK2_(m-1))의 상면 및 하면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_2 도르레 유닛들(PUL1_2)은 제2 블록들(BLK2_1~BLK2_m)의 전면에 인접하도록 제2 블록들(BLK2_1~BLK2_m)의 상면 및 하면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1_1 도르레 유닛들(PUL1_1) 및 제1_2 도르레 유닛들(PUL1_2)은 제3 방향(X3)으로 서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제1 방향(X1)에서 서로 인접한 제1_1 도르레 유닛(PUL1_1) 및 제1_2 도르레 유닛(PUL1_2) 중 제1_1 도르레 유닛(PUL1_1)은 우측에 배치되고 제1_2 도르레 유닛(PUL1_2)은 좌측에 배치된다.
제2 도르레 유닛들(PUL2)은 복수의 제2_1 도르레 유닛들(PUL2_1) 및 복수의 제2_2 도르레 유닛들(PUL2_2)을 포함한다. 제3 블록들(BLK3_1~BLK3_m) 중 마지막 제3_m 블록(BLK3_m)을 제외한 제3_1 내지 제3_(m-1) 블록들(BLK3_1~BLK3_(m-1))은 제3 서브 블록들(BLK3_1~BLK3_(m-1))로 정의될 수 있다.
제2_1 도르레 유닛들(PUL2_1)은 제1 블록(BLK1) 및 제3 서브 블록들(BLK3_1~BLK3_(m-1))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제1 블록(BLK1) 및 제3 서브 블록들(BLK3_1~BLK3_(m-1))의 상면 및 하면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2_2 도르레 유닛들(PUL2_2)은 제3 블록들(BLK3_1~BLK3_m)의 전면에 인접하도록 제3 블록들(BLK3_1~BLK3_m)의 상면 및 하면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2_1 도르레 유닛들(PUL2_1) 및 제2_2 도르레 유닛들(PUL2_2)은 제3 방향(X3)으로 서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제1 방향(X1)에서 서로 인접한 제2_1 도르레 유닛(PUL2_1) 및 제2_2 도르레 유닛(PUL2_2) 중 제2_1 도르레 유닛(PUL2_1)은 좌측에 배치되고 제2_2 도르레 유닛(PUL2_2)은 우측에 배치된다.
제1 와이어 고정부들(FIX1)은 제2_m 블록(BLK2_m)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제2_m 블록(BLK2_m)의 상면 및 하면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2 와이어 고정부들(FIX2)은 제3_m 블록(BLK3_m)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제3_m 블록(BLK3_m)의 상면 및 하면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1 와이어들(W1)의 일단은 대응하는 제1 와이어 고정부들(FIX1)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1 와이어들(W1)의 타단은 제1 블록 구동부(10)의 제1 모터 유닛(M1) 및 제2 블록 구동부(20)의 제3 모터 유닛에 연결된다. 제1 모터 유닛(M1) 및 제3 모터 유닛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와이어들(W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와이어들(W1)은 제2 서브 블록들(BLK2_1~BLK2_(m-1))의 후면에 인접한 제1_1 도르레 유닛들(PUL1_1)의 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와이어들(W1)은 제2 블록들(BLK2_1~BLK2_m)의 전면에 인접한 제1_2 도르레 유닛들(PUL1_2)의 측면에 배치된다.
제1_1 도르레 유닛들(PUL1_1) 및 제1_2 도르레 유닛들(PUL1_2)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와이어들(W1)은 회전되는 제1_1 도르레 유닛들(PUL1_1) 및 제1_2 도르레 유닛들(PUL1_2)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제2 와이어들(W2)의 일단은 제1 블록 구동부(10)의 제2 모터 유닛(M2) 및 제2 블록 구동부(20)의 제4 모터 유닛에 연결된다. 제2 와이어들(W2)의 타단은 대응하는 제2 와이어 고정부들(W2)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2 모터 유닛(M2) 및 제4 모터 유닛은 반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와이어들(W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와이어들(W2)은 제3 서브 블록들(BLK3_1~BLK3_(m-1))의 후면에 인접한 제2_1 도르레 유닛들(PUL2_1)의 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와이어들(W2)은 제3 블록들(BLK3_1~BLK3_m)의 전면에 인접한 제2_2 도르레 유닛들(PUL2_2)의 측면에 배치된다.
제2_1 도르레 유닛들(PUL2_1) 및 제2_2 도르레 유닛들(PUL2_2)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와이어들(W2)은 회전되는 제2_1 도르레 유닛들(PUL2_1) 및 제2_2 도르레 유닛들(PUL2_2)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서브 블록(BLK2_i)은 제1 연장부(EX1), 제1 연장부(EX1)의 일측에 연결된 제2 연장부(EX2), 제2 연장부(EX2)의 일측에 연결된 제1 돌출부(P1), 및 제1 연장부(EX1)의 타측에 연결된 제2 돌출부(P2)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제2 서브 블록들도 제2 서브 블록(BLK2_i)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로 인접한 제2 서브 블록들(BLK2_(i-1),BLK2_i,BLK2_(i+1))만이 도시되었다. i는 0보다 크고 m보다 작은 정수이다.
제1 연장부(EX1)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제1 방향(X1)으로 장변 및 제3 방향(X3)으로 단변을 갖는다. 제1 연장부(EX1)는 제1 방향(X1)으로 제1 길이(L1)를 갖고 제3 방향(X3)으로 제1 폭(W1)을 갖는다.
제2 연장부(EX2)는 제1 방향(X1)으로 제1 길이(L1)보다 작은 제2 길이(L2)를 갖는다. 제2 연장부(EX2)의 일 측면은 제3 방향(X3)으로 제1 폭(W1)보다 작은 제2 폭(W2)을 갖는다. 제2 연장부(EX2)의 타측면은 제3 방향(X3)으로 제1 폭(W1)을 갖는다. 제2 연장부(EX2)의 타측은 제1 연장부(EX1)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2 연장부(EX2)의 전면은 제1 방향(X1)과 제1 각도(θ1)를 갖는 경사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P1)는 제3 방향(X3)으로 연장된 제3 연장부(EX3) 및 제3 방향(X3)으로 제3 연장부(EX3)의 하부에 연결되고,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갖는 제1 볼록부(CVX1)를 포함한다.
제3 연장부(EX3)의 일측은 제3 방향(X3)으로 제2 폭(W2)보다 작은 제3 폭(W3)을 갖고, 타측은 제3 방향(X3)으로 제2 폭(W2)을 갖는다. 제3 연장부(EX3)는 제1 방향(X1)으로 제2 길이(L2)보다 작은 제3 길이(L3)를 갖는다.
제1 연장부(EX1)의 후면, 제2 연장부(EX2)의 후면, 및 제3 연장부(EX3)의 후면은 제1 방향(X1)으로 서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2 돌출부(P2)의 일측은 제1 연장부(EX1)의 후면에서 제3 폭(W3) 만큼 이격되어 제1 연장부(EX1)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2 돌출부(P2)는 제1 방향(X1)으로 연장되며, 제1 볼록부(CVX1)와 마주보고 제1 볼록부(CVX1)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제3 방향(X3)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제1 오목부(CCV1)를 포함한다.
상부 평면에서 제1 오목부(CCV1)의 길이는 제1 볼록부(CVX1)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 돌출부(P2)의 타측면은 제2 연장부(EX2)의 경사면과 제1 거리(D1)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연장부(EX1)의 후면부터 제3 폭(W3) 까지 제1 연장부(EX1)의 타측면은 제1 돌출부(P1)의 제3 연장부(EX3)의 일측면과 서로 평행하고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_1 도르레 유닛(PUL1_1)은 제1 돌출부(P1)의 제3 연장부(EX3)의 일측에서 제3 연장부(EX3)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1_2 도르레 유닛(PUL1_2)은 제1 연장부(EX1)의 타측에서 제1 연장부(EX1)의 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_m 블록(BLK2_m)은 전술한 제1 연장부(EX1) 및 제2 돌출부(P2)를 포함한다.
제3 블록들(BLK3_1~BLK3_m)은 제2 블록들(BLK2_1~BLK2_m)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방향만 반대로 배치된다. 즉, 제2 블록들(BLK2_1~BLK2_m) 및 제3 블록들(BLK3_1~BLK3_m)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제1 블록(BLK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3 서브블록들(BLK3_1~BLK3_(m-1))은 각각 제4 연장부, 제5 연장부, 제3 돌출부, 및 제4 돌출부를 포함한다.
제4 연장부는 제1 연장부(EX1)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제1 블록(BLK1)을 기준으로 제1 연장부(EX1)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제5 연장부는 제2 연장부(EX2)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제1 블록(BLK1)을 기준으로 제2 연장부(EX2)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제3 돌출부는 제1 돌출부(P1)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제1 돌출부(P1)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제4 돌출부는 제2 돌출부(P2)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제2 돌출부(P2)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제3 돌출부는 제3 연장부(EX3)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제3 연장부(EX3)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6 연장부 및 제1 볼록부(CVX1)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제1 볼록부(CVX1)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2 볼록부를 포함한다. 제4 돌출부는 제1 오목부(CCV1)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제1 오목부(CCV1)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2 오목부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_m 블록(BLK3_m)은 제2_m 블록(BLK2_m)과 대칭되도록 전술한 제4 연장부 및 제4 돌출부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_1 도르레 유닛(PUL2_1)은 제3 돌출부의 제6 연장부의 타측에서 제6 연장부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2_2 도르레 유닛(PUL2_2)은 제4 연장부의 일측에서 제4 연장부의 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방향으로 제1 블록(BLK1)의 전면의 길이로 정의되는 제4 길이(L4)는 제1 블록(BLK1)의 후면의 길이로 정의되는 제5 길이(L5)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1 블록(BLK1)의 일측 및 타측은 대칭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블록(BLK1)은 제1 서브 연장부(EX_S1), 제1 서브 연장부(EX_S1)의 일측에 연결된 제2 서브 연장부(EX_S2), 제1 서브 연장부(EX_S1)의 타측에 연결된 제3 서브 연장부(EX_S3), 제2 서브 연장부(EX_S2)의 일측에 연결된 제1 서브 돌출부(P_S1), 및 제3 서브 연장부(EX_S3)의 타측에 연결된 제2 서브 돌출부(P_S2)를 포함한다.
제1 서브 연장부(EX_S1)는 제1 방향(X1)으로 연장되며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제1 서브 연장부(EX_S1)는 제1 방향(X1)으로 장변 및 제3 방향(X3)으로 단변을 갖는다. 제1 서브 연장부(EX_S1)는 제3 방향(X3)으로 제1 폭(W1)을 갖는다.
제2 서브 연장부(EX_S2) 및 제1 서브 돌출부(P_S1)의 구성은 제2 연장부(EX2) 및 제1 돌출부(P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3 서브 연장부(EX_S3) 및 제2 서브 돌출부(P_S2)는 제2 서브 연장부(EX_S2) 및 제1 서브 돌출부(P_S1)와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3 서브 연장부(EX_S3) 및 제2 서브 돌출부(P_S2)는 제2 서브 연장부(EX_S2) 및 제1 서브 돌출부(P_S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방향만 반대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제2, 및 제3 서브 연장부들(EX_S1,EX_S2,EX_S3)과 제1 및 제2 서브 돌출부들(P_S1,P_S2)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나의 제1_1 도르레 유닛(PUL1_1)은 제1 서브 돌출부(P_S1)의 일측에서 제1 서브 돌출부(P_S1)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하나의 제2_1 도르레 유닛(PUL2_1)은 제2 서브 돌출부(P_S2)의 타측에서 제2 서브 돌출부(P_S2)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서, 도 4 내지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각각의 제1_1도르레 유닛(PUL1_1)은 제3 연장부(EX3)의 일측 및 제1 서브 돌출부(P_S1)의 일측에서 제3 연장부(EX3)의 후면 및 제1 서브 돌출부(P_S1)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제2_1 도르레 유닛(PUL2_1)은 제6 연장부의 타측 및 제2 서브 돌출부(P_S2)의 타측에서 제6 연장부의 후면 및 제2 서브 돌출부의 후면(P_S2)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도 7는 도 4에 도시된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분해되어 도시된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분해되어 도시된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을 후면에서 바라본 후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의 연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 연결블록들의 연결 구성, 제1 블록과 제2 블록의 연결구성 및 제1 블록과 제3 블록의 연결 구성은 제2 블록들의 연결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_1 도르레 유닛(PUL1_1) 및 제1_2 도르레 유닛(PUL1_2)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_1 및 제1_2 도르레 유닛들(PUL1_1,PUL1_2)은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제1_1 및 제1_2 도르레 유닛들(PUL1_1,PUL1_2)의 상측 및 하측의 외주면의 지름은 중심부의 외부면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_1 도르레 유닛(PUL1_1)의 중심부의 원통형의 외주면은 제1 홈(G1)으로 정의되고, 제1_2 도르레 유닛(PUL1_2)의 중심부의 원통형의 외주면은 제2 홈(G2)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_1 및 제2_2 도르레 유닛들(PUL2_1,PUL2_2)도 제1_1 및 제1_2 도르레 유닛들(PUL1_1,PUL1_2)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각각 제1 홈(G1) 및 제2 홈(G2)을 포함한다.
제1 돌출부(P1)는 실질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X2)으로 제2 거리(D2)를 두고 제2_i 블록(BLK2_i)의 제2 연장부(EX2)의 일측면의 상측 및 하측에 연결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 돌출부도 제1 돌출부(P1)와 같이, 제2 방향(X2)으로 제2 거리(D2)를 두고 제4 연장부의 일측면의 상측 및 하측에 연결된다. 또한, 제1 블록(BLK1)의 제1 및 제2 서브 돌출부들(P_S1,P_S2)도 제2 방향(X2)으로 제2 거리(D2)를 두고 제2 및 제3 서브 연장부들(EX_S2,EX_S3) 각각의 일측의 상측 및 하측에 연결된다.
제2 연장부(EX2)의 일측면의 상측에 연결된 제1 돌출부(P1)의 제1 볼록부(CVX1)는 상면에서 하부로 함몰된 제3 홈(G3)을 포함한다. 제2 연장부(EX2)의 일측면의 하측에 연결된 제1 돌출부(P1)의 제1 볼록부(CVX1)는 하면에서 상부로 함몰된 제4 홈(G4)을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 돌출부 및 제1 서브 돌출부(P_S1)도 제3 홈(G3) 및 제4 홈(G4)을 포함한다.
제1 볼록부(CVX1)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홀(H1)을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볼록부도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홀(H1)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서브 돌출부들(P_S1,P_S2)도 제1 홀(H1)을 포함한다.
제1 홀(H1)은 제3 홈(G3)의 중심부 및 제4 홈(G4)의 중심부에 연결된다. 제1 홀(H1)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_(i+1) 블록(BLK2_(i+1))은 제2 돌출부(P2)의 제1 오목부(CCV1)에 연결된 블록 연결부(50)를 포함한다. 즉, 제2 블록들(BLK2_1~BLK2_m) 각각은 제1 오목부(CCV1)에 연결된 블록 연결부(50)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 블록들(BLK3_1~BLK3_m) 각각은 제2 오목부에 연결된 블록 연결부(50)를 포함한다.
블록 연결부(50)의 평면상의 단면은 곡면을 갖는다. 블록 연결부(50)는 제2 방향(X2)으로 연장된다. 블록 연결부(50)는 제2 방향(X2)으로 제2 거리(D2)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블록 연결부(50)의 단면의 중심에서 제2 방향(X2)으로 연장된 제2 홀(H2)이 형성된다. 제2 홀(H2)은 제1 홀(H1)에 대응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록 연결부(50)는 제1 돌출부들(P1)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돌출부(P1)의 제1 홀(H1) 및 블록 연결부(50)의 제2 홀(H2)은 서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핀 유닛(30)은 헤드부(31) 및 헤드부(31)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2 방향(X2)으로 연장된 삽입부(32)를 포함한다. 헤드부(31)의 평면상의 크기는 삽입부(32)보다 크게 형성된다. 삽입부(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31)는 제3 홈(G3)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핀 유닛(30)은 제1 홀들(H1) 및 제2 홀(H2)에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BLK2_i, BLK2_(i+1))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핀 유닛(30)의 삽입부(32)는 제1 홀(H1) 및 제2 홀(H2)에 삽입된다. 핀 유닛(30)의 헤드부(31)는 제3 홈(G3)에 삽입된다. 삽입부(32)의 하단에는 핀 결합 유닛(40)이 연결된다. 핀 결합 유닛(40)은 제4 홈(G4)에 삽입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핀 유닛(30)은 제1 홀(H1) 및 제2 홀(H2)에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제3 블록들을 연결한다. 또한, 핀 유닛(30)은 제1 홀(H1) 및 제2 홀(H2)에 삽입되어 제1 서브 돌출부(P_S1) 및 제1 서브 돌출부(P_S1)에 인접한 제2_1 블록(BLK2_1)의 블록 연결부(50)를 연결하고, 제2 서브 돌출부(P_S2) 및 제2 서브 돌출부(P_S2)에 인접한 제3_1 블록(BLK3_1)의 블록 연결부(50)를 연결한다.
제1 홀(H1), 제2 홀(H2), 및 핀 유닛(30)의 연결부(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BLK2_1~2_m) 및 서로 인접한 제3 블록들(BLK3_1~3_m)은 핀 유닛(30)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제1 블록(BLK1) 및 제2_1 블록(BLK2_1)과 서로 인접한 제1 블록(BLK2_1) 및 제3_1 블록(BLK3_1)은 핀 유닛(30)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회전될 수 있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1 도르레 유닛 및 제2 도르레 유닛에 제1 와이어 유닛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와이어(W1)는 제2_i 블록(BLK2_i)의 후면에 인접한 제1_1 도르레 유닛들(PUL1_1)의 제1 홈(G1)의 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와이어(W1)는 제2_(i+1) 블록(BLK2_i)의 전면에 인접한 제1_2 도르레 유닛(PUL1_2)의 제2 홈(G2)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와이어(W2)는 제3 서브 블록들(BLK3_1~BLK3_(m-1))의 후면에 인접한 제2_1 도르레 유닛들(PUL2_1)의 제1 홈의 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와이어(W2)는 제3 블록들(BLK3_1~BLK3_m)의 전면에 인접한 제2_2 도르레 유닛들(PUL2_2)의 제2 홈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도 1에 도시된 휨 제어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모터(M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모터(M2)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 모터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4 모터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는 도 11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2 블록들(BLK2_1~BLK2_m), 제3 블록들(BLK3_1~BLK3_m), 제1 블록(BLK1)과 제2_1 블록(BLK2_1), 및 제1 블록(BLK1)과 제3_1 블록(BLK3_1)은 핀 유닛(30)을 축으로 하여 제1 거리(D1)가 좁혀지도록 회전된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거리(D1)가 좁혀 지도록 제2 블록들(BLK2_1~BLK2_m), 제3 블록들(BLK3_1~BLK3_m), 제1 블록(BLK1)과 제2_1 블록(BLK2_1), 및 제1 블록(BLK1)과 제3_1 블록(BLK3_1)이 회전되어 이동된다.
도 11c는 설명의 편의를 위핸 도 11b에 도시된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BLK2_i~BLK2_(i+1))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BLK2_i~BLK2_(i+1))은 핀 유닛(30)을 축으로 회전되어 이동된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BLK2_i~BLK2_(i+1))은 핀 유닛(30)을 축으로 회전하여 표시 패널(110)이 배치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꺽일 수 있다.
다시 도 11b를 참조하면,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BLK2_1~BLK2_m), 서로 인접한 제3 블록들(BLK3_1~BLK3_m), 서로 인접한 제1 블록(BLK1)과 제2_1 블록(BLK2_1), 및 서로 인접한 제1 블록(BLK1)과 제3_1 블록(BLK3_1)은 핀 유닛(30)을 축으로 회전하여 표시 패널(110)이 배치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꺽일 수 있다. 그 결과, 제2 블록들(BLK2_1~BLK2_m), 제3 블록들(BLK3_1~BLK3_m)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을 밀어내어 표시 패널(110)을 휘어지게 할 수 있다.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이 회전되어 이동되는 거리가 증가될 수록 제1 거리(D1)가 작아진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이 많이 꺽일 수 있다.
제2 블록들(BLK2_1~BLK2_m), 제3 블록들(BLK3_1~BLK3_m), 제1 블록(BLK1)과 제2_1 블록(BLK2_1), 및 제1 블록(BLK1)과 제3_1 블록(BLK3_1)이 서로 동일하게 제1 간격(D1)을 갖도록 설정되었으나, 제1 간격(D1)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 블록들(BLK2_1~BLK2_m), 제3 블록들(BLK3_1~BLK3_m), 제1 블록(BLK1)과 제2_1 블록(BLK2_1), 및 제1 블록(BLK1)과 제3_1 블록(BLK3_1)은 서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꺽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110)의 영역들이 서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개별적으로 꺽일 수 있다.
따라서,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110)의 영역들이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개별적으로 꺽일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패널(110)은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에 대응되는 영역들마다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휘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의 휨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1d 및 도 11e를 참조하면, 제1 모터(M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모터(M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1)는 도 11d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은 도 11a에 도시된 상태로 복구된다. 그 결과, 표시 패널(110)은 평면 상태로 복구된다.
도 12 및 도 13은 휨 제어부의 서로 인접한 블록들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13에 도시된 제2 블록들(BLK2_i,BLK2_(i+1))은 제1 돌출부(P1) 및 제2 돌출부(P2)의 구성이 다른 것을 제외하면 도 7에 도시된 제2 블록들(BLK2_i,BLK2_(i+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도 7에 도시된 제2 블록들(BLK2_i,BLK2_(i+1))과 다른 구성만이 설명될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돌출부(P1)는 제3 방향(X3)으로 연장된 제3 연장부(EX3) 및 제3 방향(X3)으로 제3 연장부(EX3)의 하부에 연결된 제1 볼록부(CVX1)를 포함한다. 제1 볼록부(CVX1)는 제3 연장부(EX3)의 일측면보다 일측 방향으로 둘출되고 제3 방향(X3)으로 돌출되어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갖는다.
제3 연장부(EX3)의 일측은 제3 방향(X3)으로 제2 폭(W2)보다 작은 제3 폭(X3)을 갖고, 제3 연장부(EX3)의 타측은 제3 방향(X3)으로 제2 폭(W2)을 갖는다. 제3 연장부(EX3)는 제1 방향으로 제2 길이(L2)보다 작은 제3 길이(L3)를 갖는다.
제2 블록들(BLK2_i,BLK2_(i+1))은 각각 제1 연장부(EX1)의 일측의 후면에서 제1 연장부(EX1)의 전면 방향으로 제3 폭(W3) 만큼 이격되고, 제1 연장부(EX1)의 일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제1 서브 오목부(CCV1_1) 및 제1 서브 오목부(CCV_1)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1 방향(X1)으로 연장된 제2 돌출부(P2)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과 마주보는 제2 돌출부(P2)의 면은 제2 돌출부(P2)의 외측면으로 정의되고, 제2 돌출부(P2)의 외측면의 반대면은 제2 돌출부(P2)의 내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돌출부(P2)의 내측면은 제3 방향(X3)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제2 서브 오목부(CCV2)를 포함한다. 제1 서브 오목부(CCV1_1) 및 제2 서브 오목부(CCV2)는 서로 연결되어 제1 볼록부(CVX1)와 마주보고 제1 볼록부(CVX1)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상부 평면에서 제1 서브 오목부(CCV1_1)의 길이 및 제2 서브 오목부(CCV2)의 길이의 합은 제1 볼록부(CVX1)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 블록들(BLK2_i,BLK2_(i+1))의 다른 구성들은 도 7에 도시된 제2 블록들(BLK2_i,BLK2_(i+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는 표시 패널(210), 표시 패널(210)의 후방에 배치된 바이메탈 유닛(230), 및 바이메탈 유닛(230)의 후방에 배치된 휨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휨 제어부(220)는 복수의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을 포함한다. 휨 제어부(220)의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은 도 1에 도시된 휨 제어부(220)의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휨 제어부(220)는 도 1에 도시된 휨 제어부(120)와 달리 복수의 블록 구동부들(10,20),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들(FIX1,FIX2), 복수의 도르레 유닛들(PUL1,PUL2), 및 복수의 와이어들(W1,W2)을 포함하지 않는다.
바이메탈 유닛(230)은 제1 팽창률을 갖는 제1 바이메탈 유닛(231) 및 제1 팽창률보다 높은 제2 팽창률을 갖는 제2 바이메탈 유닛(232)을 포함한다. 제1 바이메탈 유닛(231)은 표시 패널(2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2 바이메탈 유닛(232)은 제1 바이메탈 유닛(231)의 후방에 배치된다. 휨 제어부(220)는 제2 바이메탈 유닛(232)의 후방에 배치된다.
표시 패널(210)과 바이메탈 유닛(230)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서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표시 패널(210)의 중심부는 연결부(60)를 통해 바이메탈 유닛(230)의 중심부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210)의 후면의 중심부는 연결부(60)를 통해 제1 바이메탈 유닛(231)의 전면의 중심부에 연결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부(60)는 제2 방향(X2)으로 연장된다.
바이메탈 유닛(230)은 휨 제어부(220)와 서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바이메탈 유닛(230)의 후면은 휨 제어부(220)의 전면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바이메탈 유닛(232)의 후면은 휨 제어부(220)의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의 전면에 연결된다.
제1 바이메탈 유닛(231) 및 제2 바이메탈 유닛(232)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제1 바이메탈 유닛(231) 및 제2 바이메탈 유닛(232)이 팽창될 수 있다. 제1 바이메탈 유닛(231)보다 제2 바이메탈 유닛(232)의 팽창률이 높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메탈 유닛(230)는 표시 패널(210) 방향으로 휘어진다.
바이메탈 유닛(230)이 휘어질 때, 바이메탈 유닛(230)에 연결된 제2 블록들(BLK2_1~BLK2_m), 제3 블록들(BLK3_1~BLK3_m), 제1 블록(BLK1)과 제2_1 블록(BLK2_1), 및 제1 블록(BLK1)과 제3_1 블록(BLK3_1)은 핀 유닛(30)을 축으로 하여 제1 간격(D1)이 좁혀 지도록 회전되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제2 블록들(BLK2_1~BLK2_m), 서로 인접한 제3 블록들(BLK3_1~BLK3_m), 서로 인접한 제1 블록(BLK1)과 제2_1 블록(BLK2_1), 및 서로 인접한 제1 블록(BLK1)과 제3_1 블록(BLK3_1)은 핀 유닛(30)을 축으로 회전하여 표시 패널(210)이 배치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꺽일 수 있다. 그 결과,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에 대응되는 바이메탈 유닛(230)의 영역들이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개별적으로 꺽일 수 있다. 바이메탈 유닛(230)은 표시 패널(210) 방향으로 휘어져 표시 패널(210)을 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210)은 바이메탈 유닛(230)에 의해 블록들(BLK1,BLK2_1~BLK2_m,BLK3_1~BLK3_m)에 대응되는 영역들마다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휘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표시 장치(200)는 표시 패널(210)의 휨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200: 표시 장치 110,210: 표시 패널
120,220: 휨 제어부 230: 바이메탈 유닛
10,20: 제1 및 제2 블록 구동부 30: 핀 유닛
40: 핀 결합 유닛 50: 블록 연결부
BLK1,BLK2_1~BLK2_m,BLK3_1~BLK3_m: 제1, 제2, 및 제3 블록
FIX1,FIX2: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
PUL1,PUL2: 제1 및 제2 도르레 유닛
W1,W2: 제1 및 제2 와이어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서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회전되는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휨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상기 블록들의 전면에 인접한 상기 블록들의 측면은 서로 제1 거리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블록들의 후면에 인접한 상기 블록들의 측면은 서로 평행하고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블록들은 상기 블록들 사이의 경계를 축으로 상기 제1 거리가 좁아지도록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회전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장변을 갖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며, 상기 블록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장변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며, 상기 블록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중심부에 연결된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의 일측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블록들; 및
    상기 제1 블록의 타측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블록들과 대칭되는 구성을 갖는 복수의 제3 블록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휨 제어부는
    상기 제1 블록의 후면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블록 구동부들;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들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도르레 유닛들;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들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도르레 유닛들;
    상기 제2 블록들 중 최 일측에 배치된 마지막 제2 블록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제1 와이어 고정부들;
    상기 제3 블록들 중 최 타측에 배치된 마지막 제3 블록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제2 와이어 고정부들;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상기 제1 와이어 고정부들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도르레 유닛들을 경유하여 상기 제1 및 제2 블록 구동부들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들; 및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상기 제2 와이어 고정부들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도르레 유닛들을 경유하여 상기 제1 및 제2 블록 구동부들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들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르레 유닛들은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마지막 제2 블록을 제외한 제2 블록들로 정의되는 제2 서브 블록들의 후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서브 블록들의 상면 및 하면의 일측에 배치된 제1_1 도르레 유닛들; 및
    상기 제2 블록들의 전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2 블록들의 상면 및 하면의 타측에 배치된 제1_2 도르레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르레 유닛들은,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마지막 제3 블록을 제외한 제3 블록들로 정의되는 제3 서브 블록들의 후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3 서브 블록들의 상면 및 하면의 타측에 배치된 제2_1 도르레 유닛들; 및
    상기 제3 블록들의 전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3 블록들의 상면 및 하면의 일측에 배치된 제2_2 도르레 유닛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 구동부의 상측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블록의 상부 경계면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블록 구동부의 하측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블록의 하부 경계면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마지막 제2 블록의 후면에 인접하고 상기 마지막 제2 블록의 상면 및 하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마지막 제3 블록의 후면에 인접하고 상기 마지막 제3 블록의 상면 및 하면의 타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 구동부는 상기 제1 블록 구동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모터 유닛 및 상기 제1 블록 구동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모터 유닛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모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 구동부는 상기 제2 블록 구동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3 모터 유닛 및 상기 제2 블록 구동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모터 유닛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4 모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3 모터 유닛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및 제4 모터 유닛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들의 일단은 상기 대응하는 제1 와이어 고정부들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와이어들의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3 모터들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와이어들은 상기 제2 서브 블록들의 후면에 인접한 상기 제1_1 도르레 유닛들의 측면 및 상기 제2 블록들의 전면에 인접한 상기 제1_2 도르레 유닛들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와이어들의 일단은 상기 제2 및 제4 모터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들의 타단은 상기 대응하는 제2 와이어 고정부들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들은 상기 제3 서브 블록들의 후면에 인접한 상기 제2_1 도르레 유닛들의 측면 및 상기 제3 블록들의 전면에 인접한 상기 제2_2 도르레 유닛들의 측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르레 유닛들은 각각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도르레 유닛들의 중심부의 외주면의 지름은 상기 제1 및 제2 도르레 유닛들의 상측 및 하측의 외주면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들은 상기 제1 및 제2 도르레 유닛들의 중심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블록들 각각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길이를 갖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갖는 제2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연장부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제3 연장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갖는 제1 볼록부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볼록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볼록부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지막 제2 블록은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면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2 연장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전면은 상기 제1 방향과 제1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연장부의 일측은 상기 제2 폭보다 작은 상기 제3 폭을 갖고 상기 제3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2 폭을 갖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의 후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길이보다 작은 제3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돌출부의 일측은 상기 제1 연장부의 후면에서 상기 제3 폭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부 평면에서 상기 제1 오목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볼록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1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연장부의 후면부터 상기 제3 폭까지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3 연장부의 일측면과 서로 평행하고 인접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서브 블록들 각각은,
    상기 제1 연장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연장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4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연장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5 연장부;
    상기 제1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3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4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3 연장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3 돌출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6 연장부; 및
    상기 제1 볼록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볼록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2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오목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2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지막 제3 블록은 상기 제4 연장부 및 상기 제4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블록들은 각각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에 연결된 블록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제2 거리를 두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면의 상측 및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거리를 두고 상기 제5 연장부의 일측면의 상측 및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블록 연결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핀 유닛 및 상기 핀 유닛의 하부에 연결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된 핀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 연결부는 상기 블록 연결부의 단면의 중심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홀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핀 유닛은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에 삽입되고, 상기 핀 결합 유닛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핀 유닛의 하단에 연결되며, 서로 인접한 상기 제2 블록들 및 서로 인접한 상기 제3 블록들은 상기 핀 유닛을 축으로 상기 제1 거리가 좁아지도록 회전하여 상기 표시 패널이 배치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꺽이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서브 연장부;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부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서브 연장부;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와 대칭되도록 구성된 제3 서브 연장부;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1 서브 돌출부; 및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서브 돌출부와 대칭되도록 구성된 제2 서브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돌출부는 상기 핀 유닛에 의해 인접한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블록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서브 돌출부는 상기 핀 유닛에 의해 인접한 상기 제3 블록의 상기 블록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블록들과 상기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3 블록들은 상기 핀 유닛을 축으로 상기 제1 거리가 좁아지도록 회전하여 상기 표시 패널이 배치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꺽이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_1도르레 유닛들 각각은 상기 제3 연장부의 일측 및 상기 제1 서브 돌출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3 연장부의 후면 및 상기 제1 서브 돌출부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_2 도르레 유닛들 각각은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_1도르레 유닛들 각각은 상기 제6 연장부의 타측 및 상기 제2 서브 돌출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6 연장부의 후면 및 상기 제2 서브 돌출부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_2 도르레 유닛들 각각은 상기 제4 연장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4 연장부의 전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블록들 각각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길이를 갖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갖는 제2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연장부의 일측면보다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어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갖는 제1 볼록부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의 후면에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전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제1 서브 오목부; 및
    상기 제1 서브 오목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지막 제2 블록은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1 서브 오목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내측면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제2 서브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오목부 및 상기 제2 서브 오목부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볼록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볼록부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면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2 연장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전면은 상기 제1 방향과 제1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연장부의 일측은 상기 제2 폭보다 작은 제3 폭을 갖고 상기 제3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의 후면에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전면 방향으로 상기 제3 폭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의 후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길이보다 작은 제3 길이를 갖고, 상부 평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오목부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제1 볼록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2 연장부의 경사면과 상기 제1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연장부의 후면부터 상기 제3 폭 까지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3 연장부의 일측면과 서로 평행하고 인접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19. 영상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 팽창률을 가진 제1 바이메탈;
    상기 제1 바이메탈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팽창률보다 큰 제2 팽창률을 갖는 제2 바이메탈;
    상기 제2 바이메탈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바이메탈에 연결된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휨 제어부;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중심부 및 상기 제1 바이메탈 유닛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이메탈과 마주보는 상기 블록들의 전면에 인접한 블록들의 측면은 서로 제1 거리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블록들의 후면에 인접한 블록들의 측면은 서로 평행하고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블록들은 상기 블록들 사이의 경계를 축으로 상기 제1 거리가 좁아지도록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회전하는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중심부에 연결된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의 일측에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블록들; 및
    상기 제1 블록의 타측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블록들과 대칭되는 구성을 갖는 복수의 제3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휨 제어부는,
    상기 제1 블록의 후면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블록 구동부들;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들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도르레 유닛들;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들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도르레 유닛들;
    상기 제2 블록들 중 최 일측에 배치된 마지막 제2 블록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제1 와이어 고정부들;
    상기 제3 블록들 중 최 타측에 배치된 마지막 제3 블록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제2 와이어 고정부들;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상기 제1 와이어 고정부들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도르레 유닛들을 경유하여 상기 제1 및 제2 블록 구동부들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들; 및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상기 제2 와이어 고정부들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도르레 유닛들을 경유하여 상기 제1 및 제2 블록 구동부들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들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30054477A 2013-05-14 2013-05-14 표시 장치 KR102143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477A KR102143746B1 (ko) 2013-05-14 2013-05-14 표시 장치
US14/132,168 US9301389B2 (en) 2013-05-14 2013-12-18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477A KR102143746B1 (ko) 2013-05-14 2013-05-14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503A true KR20140134503A (ko) 2014-11-24
KR102143746B1 KR102143746B1 (ko) 2020-08-13

Family

ID=5189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477A KR102143746B1 (ko) 2013-05-14 2013-05-1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01389B2 (ko)
KR (1) KR1021437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043A (ko) * 2015-08-11 201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70778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WO2018070764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WO2018070782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KR20210001914A (ko) * 2019-06-25 2021-01-06 페가트론 코포레이션 권취 또는 연신용 위치결정 구조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67457B (zh) * 2014-04-07 2017-01-21 瑞儀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組件、背光模組及液晶顯示器
CN104006358A (zh) * 2014-06-17 2014-08-2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率可调节的背板及其应用
TWI525421B (zh) * 2014-07-17 2016-03-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折疊之電子裝置及其限位結構
CN104318869B (zh) * 2014-10-31 2017-0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102370015B1 (ko) * 2014-11-25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42761B1 (ko) * 2014-12-0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756744B2 (en) * 2015-03-12 2017-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rigidity of flexible displays
CN106205395A (zh) * 2016-09-08 2016-1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器模组和显示装置
US10303211B2 (en) * 2017-02-01 2019-05-28 Facebook Technologies, Llc Two part cone display using flexible substrates
US10409080B2 (en) * 2017-02-01 2019-09-10 Facebook Technologies, Llc Spherical display using flexible substrates
CN109523919A (zh) * 2018-10-30 2019-03-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设备及其控制方法
CN115755464A (zh) * 2022-11-14 2023-03-07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以及背光模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8545B2 (en) * 2006-07-24 2011-01-1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device
US20130114193A1 (en) * 2011-11-08 2013-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3856B2 (en) 1998-04-17 2009-04-28 Diebold Self-Service Systems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with flexible display
KR100769783B1 (ko) 2002-03-29 2007-10-2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표시 입력 장치 및 표시 입력 시스템
US7446757B2 (en) * 2002-09-17 2008-11-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oldable display, input device provided with the display and foldable keyboard, and personal computer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EP1565900B1 (en) * 2002-11-21 2013-04-10 Creator Technology B.V. Flexible display
US7337569B2 (en) 2004-08-13 2008-03-04 American Louver Company Portable sign frame assembly with changeable signage
WO2006090434A1 (ja) * 2005-02-22 2006-08-31 Fujifilm Corporation 塑性変形を抑制する可撓性基材及び可撓性画像表示装置
KR101222963B1 (ko) 2006-02-08 201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평탄화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KR20080035709A (ko) 2006-10-20 2008-04-24 김종억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3단 폴더형 휴대폰
TWI413037B (zh) 2007-06-15 2013-10-21 Creator Technology Bv 具有可改變角度的可撓性顯示器的電子裝置
KR101472021B1 (ko)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1219B1 (ko)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I424385B (zh) * 2009-03-18 2014-01-21 Prime View Int Co Ltd 撓式顯示裝置
KR101649156B1 (ko) 2010-06-07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259415B1 (ko) 2011-05-03 2013-04-29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특성 측정을 위한 지그장치
US20120283878A1 (en) 2011-05-06 2012-11-08 Bruce Richard Roberts Controller and solid state lighting device for large area applications
KR101832958B1 (ko) 2011-06-01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3d영상 표시방법
KR101320385B1 (ko)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8545B2 (en) * 2006-07-24 2011-01-1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device
US20130114193A1 (en) * 2011-11-08 2013-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043A (ko) * 2015-08-11 201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70778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WO2018070764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WO2018070782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US10855824B2 (en) 2016-10-11 2020-12-01 Auflex Co., Ltd. In-folding hinge structure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installed thereon
KR20210001914A (ko) * 2019-06-25 2021-01-06 페가트론 코포레이션 권취 또는 연신용 위치결정 구조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40856A1 (en) 2014-11-20
KR102143746B1 (ko) 2020-08-13
US9301389B2 (en) 201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4503A (ko) 표시 장치
US10473844B2 (en) Backlight uni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901466B1 (ko) 면광원 장치 및 프리즘 시트와 액정 표시 장치
CN102297361B (zh) 背光单元和显示装置
JP4714451B2 (ja) 可撓性印刷回路基板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102515094B1 (ko) 백라이트 유닛,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70995B1 (ko) 바텀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2007183560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利用した液晶表示装置モジュール
US10197833B2 (en) Supporting cover for curved display and curv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3915043A (zh) 显示器件
JP2007199658A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に使用される実装ボタン
KR10256061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92955B1 (ko) 표시 장치
TW201640201A (zh) 具有輸出方向控制的顯示裝置及用於此種顯示裝置的背光以及光導向方法
JP2007057855A (ja) 画像表示モジュール及び画像表示装置
KR10078402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190155087A1 (en) Display apparatus
JP2009117272A (ja) 液晶表示装置
WO2016170621A1 (ja) 光源装置、表示装置、基板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光源装置の製造方法
CN109188769A (zh) 一种背光源、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I289716B (en) Panel module for an LCD module
KR102490010B1 (ko) 표시 장치
JP2011096662A (ja) Blu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11042065B2 (en) Display device
JP2008233674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