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419A - Method of manufacturing a barley-tea using a germinating barley and the barley-tea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ufacturing a barley-tea using a germinating barley and the barley-tea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419A
KR20140134419A KR20130054233A KR20130054233A KR20140134419A KR 20140134419 A KR20140134419 A KR 20140134419A KR 20130054233 A KR20130054233 A KR 20130054233A KR 20130054233 A KR20130054233 A KR 20130054233A KR 20140134419 A KR20140134419 A KR 20140134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ley
germinated
tea
drying
germi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42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18552B1 (en
Inventor
김정구
Original Assignee
김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구 filed Critical 김정구
Priority to KR1020130054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552B1/en
Publication of KR20140134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4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5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barley tea using germinated barley, and barley tea manufactured thereby, where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arley tea is performed by cutting the root of germinated barley, selecting, and, then, simultaneously heating and roasting with a single roasting when manufacturing barley tea using germinated barle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arley te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collecting hulled barley and malting barley, drying and preserving the collected barle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d washing and immersing the preserved barley in order to homogeneously germinate the preserved barley; manufacturing germinated barley by germinating the immersed barley in a germinating machine; drying the germinated barley in a dryer with hot or cold wind; cutting the root and selecting the dried germinated barley in a selecting machine; roasting the root cut and selected germinated barley in a roasting machine; and moving the roasted germinated barley to a cooler, and cooling at room temperature to manufacture barley tea.

Description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리차 {Method of manufacturing a barley-tea using a germinating barley and the barley-tea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barley tea using germinated barley and a barley tea produc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리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아보리를 이용하여 보리차를 제조할 때에, 발아보리를 제근 및 정선한 후에 한 번의 배전으로 가열 볶음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한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리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ley tea production method using germinated barley and a barley tea produced by the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barley tea using germinated barley, And a barley tea produced by using the germinated barley.

보리차는 보리를 높은 온도에서 잘 볶은 후 물로 추출하여 향미가 단조로우면서도 맛이 강하고 고형분의 수율이 낮은 것이 특징으로, 구수한 맛, 은은한 향기 및 색상을 가지는 무가당 음료수로서, 남녀노소는 물론 영아에까지 음용될 수 있는 풍미 높은 생활 음료수이며, 또한 이용자들의 식생활 습관이나 성격 취향과 더불어 생활의 저변에 정착되어 있는 음료수이다. 이러한 보리차는 겉보리를 원료로 하여 어디에서나 입수할 수 있고 저가로 공급되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타 음료수에 비하여 매우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Barley tea is roasted barley at high temperature and then extracted with water. It is characterized by its flavor that is monotonous but tastes strong and has a low yield of solid content. It is a sugar-free drink with a subtle taste, a subtle flavor and color. And it is also a drink that has been established at the base of daily life with users' eating habits and personality tastes. Such barley tea is available as a raw material for barley tea from anywhere, is supplied at low cost, and is easily available to anyone.

기존에는 보리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탈곡된 일정량의 생보리를 그대로 가열로에 투입한 후, 높은 고온으로 적당한 시간 동안 가열 회전시켜 주었는데, 이때 보리 자체가 높은 열로 인해 연소되어, 껍질은 타고 내부는 완전히 익지 않거나, 너무 익게 되므로, 끓는 물에 보리차를 넣어 끓이더라도 보리 특유의 맛과 향기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Conventionally, in manufacturing barley tea, a certain amount of raw barley is thrown into a heating furnace as it is and then heated and rotat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suitable time. At this time, the barley itself is burned due to high heat, Or too rich, so that the barley tea was put into the boiling water and the boiled barley tea could not obtain the flavor and aroma peculiar to the barley.

한국등록특허 제10-0401273호(2003. 09.29 등록)는 보리차용 보리의 가공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통상의 보리를 수세 후 수분 함량을 30∼60중량%로 하여, 롤러로 압축시켜 보리의 전면 및 후면에 미세한 균열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압축된 보리를 100∼150℃로 10∼20분 가열하여 보리를 볶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보리의 영양분이 파괴되지 않고, 통상의 보리차보다 깊은 맛과 향기를 갖는 보리차를 제조할 수 있으며, 기존의 보리차용 제품에 비해 동일 사용량에서 동일 농도의 보리차를 약 5배 정도 이상 제조할 수 있다.Korean Patent No. 10-0401273 (registered on Mar. 29, 2003) discloses a method of processing barley barley, wherein the water content of ordinary barley is 30 to 60 wt% Generating fine cracks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And heating the compressed barley to 100 to 150 DEG C for 10 to 20 minutes to roast the barley.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produce a barley tea having a taste and a smell that is deep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barley tea without destroying the nutrients of the barley, Can be manufactured.

한국공개특허 제10-1996-0033269호(1996. 10.22 공개)는, 보리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보리를 모래와 혼합하여 가열함으로써 타지 않고 균일하게 볶아 그 맛과 향이 뛰어나도록 한 보리차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불순물을 제거한 보리를 모래와 혼합하여 2중 철판으로 구성된 1차 가열로에서 회전 교반시켜 가며 150℃로 1차 가열한 후, 이를 다시 2차 가열로에서 300℃로 2차 가열하고, 가열볶음 공정이 끝난 보리를 모래와 분리하여 선별한 후, 이에 미세한 냉각수를 분사시켜 냉각 세척하여 건조시켜 제조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6-0033269 (published on October 22, 1996) discloses a barley tea manufacturing method in which barley is mixed with sand and heated to uniformly roast the barley to produce excellent taste and flavor .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ique, the barley from which the impurities have been removed is mixed with the sand, and the mixture is firstly heated at 150 ° C while rotating and stirring in a primary heating furnace composed of a double-walled iron plate. The barley after the heat-roasting process is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the sand, sprayed with fine cooling water, cooled, washed and dried.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보리차 제조 방법은, 보리를 가열로에서 가열 볶음을 수행하는 배전 공정을 보리를 튀기는 1차 공정과 색깔을 내기 위한 2차 공정으로 이루어지므로,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2차 공정에 의한 가열에 의해 이후 자연 발화가 발생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The conventional barley tea manufactu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complicated in that the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the conventional barley tea manufacturing process includes a primary process for frying barley and a secondary process for coloring the barley in a heating process for roasting in a heating furnac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spontaneous ignition occurs later by heating by the car process.

종래의 보리차 제조 방법에는, 보리차의 자연의 단맛과 향을 증폭시켜 주기 위해서 보리를 5일 정도를 발아시켜 발아보리를 이용하여 보리차를 제조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 배전 공정 시에 발아된 보리의 싹에 의해 탄화가 발생하며, 이에 보리차에 탄화 냄새가 존재하게 되며, 또한 탄화에 의한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단점도 있다.
A conventional barley tea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a method of germinating barley for about 5 days to amplify the natural sweetness and flavor of the barley tea to produce a barley tea using germinated barley. In this case, The carbonaceous odor is present in the barley tea, and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that the work for removing debris by carbonization must also be performed separately.

한국등록특허 제10-0401273호Korean Patent No. 10-0401273 한국공개특허 제10-1996-003326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6-003326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아보리를 이용하여 보리차를 제조할 때에, 발아보리를 제근 및 정선한 후에 한 번의 배전으로 가열 볶음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한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리차를 제공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rley te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rley tea production method using germinated barley and a barley tea produced thereby.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겉보리 또는 맥주보리를 채취하여 해당 채취한 보리를 건조 및 보관하는 단계; 상기 보관된 보리의 균일한 발아를 위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보관된 보리를 세척 및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한 보리를 발아기에서 발아시켜 발아보리로 만드는 단계; 상기 발아보리를 건조기에 넣어 열풍 또는 냉풍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발아보리를 정선기에 넣어 제근하고 정선하는 단계; 상기 제근 및 정선된 발아보리를 배전기에 넣어 배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전된 발아보리를 냉각대로 이동시켜 상온에서 냉각시켜 보리차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rley comprising the steps of: collecting barley or barley and drying and storing the harvested barley; Removing foreign matter and washing and dipping the stored barley for uniform germination of the stored barley; Germinating the soaked barley in germination to make germinated barley; Placing the germinated barley in a drier and drying in hot air or cold air; Placing the dried germinated barley in a sifting machine and sifting through the sifting process; Placing the right-handed and left-handed germinated barley in a distributor for distribution; And a step of moving the germinated barley after cooling to cool the barley at room temperature to make barley tea.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건조 및 보관하는 단계는, 채취 기계로 겉보리 또는 맥주보리를 채취한 후에, 해당 채취된 보리를 선별 라인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선별 라인에서 보리 크기 선별기 및 색깔 판별기를 통해 상기 채취한 보리 중에서 발아시킬 보리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보리를 건조장으로 이동시켜 회전기기에 의해 골고루 건조대 위에 깔아 수분 함량이 5~15%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보리를 보리 보관소로 이동시켜 온도 5~15℃, 습도 55~75%로 유지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ying and storing step comprises: collecting the barley or beer barley with a sampling machine, then transferring the collected barley to the selection line; Selecting barley to be germinated from the harvested barley through a barley size separator and a color discriminator in the selection line; Moving the selected barley to a drying zone and spreading the barley uniformly on a drying base by a rotating machine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5 to 15%; And moving the dried barley to a barley storag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at 5 to 15 DEG C and the humidity to 55 to 75%.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 및 침지하는 단계는, 송풍기로 상기 보관된 보리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보리를 세척기기로 이송시켜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된 보리를 20℃ 이하의 물속에 넣어 수분 함량이 40% 되도록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shing and dipping includes removing impurities mixed with the stored barley with a blower;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barley and transferring the barley to a washing machine to clean the barley; And immersing the washed barley in water at 20 DEG C or less for 24 to 48 hours so as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40%.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보리를 세척기기로 이송시켜 수세하는 단계; 2~3시간 동안 수세 물에 상기 수세된 보리를 담가두는 단계; 교반기를 통해 상기 수세 물에 담긴 보리를 교반하는 단계; 상기 수세 물을 교체하는 단계; 및 상기 수세하는 단계, 상기 담가두는 단계, 상기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체하는 단계를 3~4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shing step comprises washing the barley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 has been removed by transferring the barley to a washing machine, Immersing the washed barley in water for 2 to 3 hours; Agitating the barley contained in the washed water through an agitator; Replacing the wash water; And repeating the washing step, the soaking step, the stirring step, and the replacing step three to four tim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아보리로 만드는 단계는, 상기 발아기에서 상기 수분 함량이 40%인 맥아를 보리 몸통 길이의 1 내지 1.5배만큼 되도록 20℃에서 3 내지 10일 동안 배양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making germinated barley may be carried out at 20 ° C for 3 to 10 days so that the malt with the moisture content of 40% in the germ can be 1 to 1.5 times the length of barley bod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열풍 또는 냉풍 건조시키는 단계는, 상기 건조기에서 열풍 또는 복사열에 의해서 상기 발아보리를 60℃ 이하로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t air or the cold air drying step may dry the germinated barley at 60 ° C or less for 12 hours by hot air or radiant heat in the dry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선하는 단계는, 상기 정선기에서 상기 건조된 발아보리를 제근하여 맥아근을 제거한 다음에, 송풍기를 이용해 정선하여 맥아근 및 제근 시에 발생한 이물질을 날려 보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lecting step may be such that the malt sprouts are removed from the dried germinating barley by the rectifier, and then the malt sprouts and the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at the time of extrusion can be blown away by the use of a blow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전기에서 상기 제근 및 정선된 발아보리를 이전의 크기보다 1.2 내지 1.5배만큼 될 때까지 170℃에서 10~30분 동안 한 번 배전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istributing may comprise distributing the fresh roots and the selected germinated barley once at 10O < 0 > C at 170 [deg.] C until they are 1.2 to 1.5 times larger than the previous siz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은, 상기 냉각된 발아보리를 송풍기로 제풍하고 진공 흡입기를 이용하여 부스러기를 빨아들여 제거하면서, 상기 냉각된 발아보리를 2~3mm로 파쇄하고, 해당 파쇄된 발아보리를 티백에 담아 밀봉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rley tea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germinated barle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ed germinated barley is blown with a blower, the cooled germinated barley is crushed to 2 to 3 mm while the debris is sucked and removed using a vacuum inhaler, And sealing the shredded germinated barley with the tea bag.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겉보리 또는 맥주보리를 채취하여 해당 채취한 보리를 건조 및 보관하는 단계; 상기 보관된 보리의 균일한 발아를 위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보관된 보리를 세척 및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한 보리를 발아기에서 발아시켜 발아보리로 만드는 단계; 상기 발아보리를 건조기에 넣어 열풍 또는 냉풍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발아보리를 정선기에 넣어 제근하고 정선하는 단계; 상기 제근 및 정선된 발아보리를 배전기에 넣어 배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전된 발아보리를 냉각대로 이동시켜 상온에서 냉각시켜 보리차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리차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barley, comprising: collecting barley or beer barley and drying and storing the collected barley; Removing foreign matter and washing and dipping the stored barley for uniform germination of the stored barley; Germinating the soaked barley in germination to make germinated barley; Placing the germinated barley in a drier and drying in hot air or cold air; Placing the dried germinated barley in a sifting machine and sifting through the sifting process; Placing the right-handed and left-handed germinated barley in a distributor for distribution; And a step of moving the germinated barley after cooling to a barley tea by cooling at room temperature, thereby providing a barley tea produced b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barley tea using germinated barley.

본 발명에 의하면, 발아보리를 이용하여 보리차를 제조할 때에, 발아보리를 건조하고 건조된 발아보리를 제근하고 정선한 후에, 한 번의 배전 공정으로 가열 볶음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배전 공정 시에 발아된 보리의 싹에 의한 탄화가 발생하지 않아 보리차에 탄화 냄새가 없고 탄화에 의한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2차 공정이 없어 가열에 의한 이후 자연 발화도 발생되지 않는 효과도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barley tea is produced using germinated barley, the germinated barley is dried, dried germinated barley is thoroughly squeezed, and then heat-roasting is simultaneously performed in a single power distribution step. There is no carbonization odor in the barley tea, and no work for removing debris by carbonization is required, and the process is simple, and there is no conventional secondary process and heating And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no spontaneous ignition is generated afterward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보리 채취, 건조 및 보관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이물질 제거, 세척 및 침지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arley tea manufacturing method using germinated barl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barley harvesting, drying and storage in Fig.
FIG.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foreign matter removal, washing, and soaking in FIG. 1;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리차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rley car using a germinated barl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arley manufactured thereb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arley tea manufacturing method using germinated barl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은, 우선 보리를 채취, 건조 및 보관하도록 하는데(S101), 이때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할 보리는 발아보리차용 보리, 맥아차용 보리로, 겉보리, 맥주보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를 제조하기 위한 보리는 그 수확 시기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즉 봄에 수확한 봄보리 또는 가을에 수확한 가을보리 등으로 구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rley carcass using germinated barley is to first collect, dry and store barley (S101). At this time, the barley to be used as a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barley carcass using germinated barley is barley, It can be used as a barley barley, a barbecue, a beer barley, and the like. In addition, barley for producing barley tea using germinated barley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harvesting time, that is, it can be used without distinguishing into spring barley harvested in spring or autumn barley harvested in autumn.

이하 설명 시에 보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보리를 겉에서 둘러싸고 있는 껍질을 '외피'라고 하고, 낟알을 둘러싸고 있는 외곽 부분을 '종피'라고 하고, 보리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부분을 '배유'라고 하고, 씨눈이 되는 부분을 '배아'라고 하고, 수분을 흡수하고 발아한 보리를 '맥아'라고 하고, 발아할 때 생성되는 뿌리를 '맥아근'이라 한다.For the sake of clarity, the shell surrounding the barley is referred to as the 'outer shell', the outer shell surrounding the kernel is referred to as the 'seeds', and the portion of the barley constituting the majority of the barley is referred to as' , The seeds are called 'embryos', the moisture absorbed and germinated barley is called 'malt', and the root produced when germinating is called 'malt root'.

상술한 단계 S101에서 보관되고 있는 보리가 균일한 발아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보리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보리를 세척 및 침지하도록 하는데(S102), 이때 보리에 섞여 있는 충혜림, 협착물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해당 이물질이 제거된 보리를 정수 등으로 깨끗이 세척하고, 해당 세척된 보리를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20℃) 이하의 물(예를 들어, 생수 또는 지하수 등과 같은 자연수) 속에 넣어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침지시켜 보리의 수분함량을 기 설정된 퍼센트(예를 들어, 40%) 이상으로 해 준다. 여기서, 보리를 담가둘 물은, 산소 부족 또는 약품 처리 등의 요인으로 보리가 발아하지 못한 채 썩거나 발아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끓였다가 식힌 물 또는 수돗물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In order to ensure that the barley stored in step S101 is uniformly germinated,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from the barley and the barley is washed and immersed (S102). At this time, Afte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the barley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 has been removed is cleanly cleaned with purified water, and the washed barley is washed with water (for example, natural water such as bottled water or ground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For example, 24 hours to 48 hours)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arley is made to be a predetermined percentage (for example, 40%) or more. Here, the water in which the barley is immersed should not be boiled or chilled water or tap water because barley can not sprout or germinate due to lack of oxygen or chemical treatment.

상술한 단계 S102에서 침지한 보리를 발아시켜 발아보리로 만드는데(S103), 이때 40% 정도의 수분이 함유된 맥아를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20℃) 전후에서 기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3 내지 10일) 동안 배양시켜 보리 몸통 길이의 기 설정된 배수(예를 들어, 1 내지 1.5배)만큼의 크기(예를 들어, 싹이 0.5~1cm)가 되도록 한다.The barley immers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102 is germinated into germinated barley (S103). At this time, the malt containing about 40% of moisture is preheated to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20 deg. C) , 3 to 10 days) so as to have a size (for example, 0.5 to 1 cm) of a predetermined multiple (for example, 1 to 1.5 times) of the barley body length.

상술한 단계 S103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단계 S102에서 침지하여 40% 정도의 수분이 함유된 맥아를 발아실로 이동시켜, 씨앗의 일반적인 발아 온도에 해당하는 섭씨 12~25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난방 장치 등을 이용하여 보온해 준다. 여기서, 발아실은 건물 내에서 온도 내지는 습도 유지가 가능한 실내일 수 있다.The step S103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step S102, malt containing about 40% of moisture is immersed in the step S102 to the germination chamb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germination chamber can be maintained at 12 to 25 degrees Celsius Use a device to keep warm. Here, the germination chamber may be a room capable of maintaining temperature or humidity in the building.

맥아에 수분이 흡수되고 적당한 온도가 더해지면 발아는 시작되는데, 보통은 발아실에서 송풍 장치 등을 이용하여 통풍을 유지해 주면서 2일 정도가 지나면 발아를 시작한다. 이때, 자동 교반기 및 물 분무기 등을 이용하여 하루에 2~3회 보리를 뒤적거리면서 물을 준다.The germination starts when the malt is absorbed and the proper temperature is added. Normally, the germination is started after about 2 days while maintaining the ventilation using a blowing device in the foot acill. At this time, water is added to the barley 2 to 3 times a day by using an automatic stirrer and a water sprayer.

건조된 보리에 수분이 30~50% 이상 흡수되면, 흡수된 수분은 보리의 배유에 저장된 녹말의 분해와 전류를 도와서 물질의 대사를 원활하게 해 준다. 또한, 흡수된 수분은 종피 및 외피를 연화시켜 맥아 눈이 쉽게 종피를 빠져 나와 트일 수 있게 해 주며, 보리의 종피의 가스투과성을 증가시켜 배유 및 배아에 산소 공급과 이산화탄소 배출 작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도와준다.When 30 ~ 50% of moisture is absorbed in dried barley, the absorbed moisture helps the metabolism of the material by helping the decomposition of starch stored in the barley stock and the electric current. In addition, the absorbed moisture softens the seed coat and the outer skin, allowing the maltose to easily escape from the seed coat, increasing the gas permeability of the seed coat of the barley and facilitating oxygen supply and carbon dioxide release action in the embryo and embryo give.

맥아가 발아하는 경우, 씨눈만이 새로 태어나는 생명체가 되며, 나머지 부분은 씨눈이 자라는데 필요한 에너지로 공급된다. 보리는 평상시에 배유에 녹말의 형태로 에너지가 저장되어 있는데, 보리가 발아를 시작하면 발아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보리의 배유에서는 녹말을 분해하여 당분을 만들어 공급하기 위한 '아밀라아제'라는 당화효소가 만들어지고, 이 아밀라아제 효소는 보리의 배유에 저장된 녹말을 당분으로 만드는 촉매 역할을 한다.When malt germinates, only the cilium is the newborn creature, and the rest is supplied with the energy needed to grow the seeds. Barley is usually stored in the form of starch in the form of starch in the ending. When the barley starts to germinate, in order to supply the necessary energy for germination, the saccharification enzyme "Amylase" And this amylase enzyme acts as a catalyst for sugar starch stored in the stock of barley.

일 실시 예에서, 맥아를 5일 동안 발아시켜 맥아 전체 길이(맥아근 포함 길이)가 2~4㎜가 되도록 할 수 있는데, 맥아가 발아를 시작하여 2~4㎜의 길이가 될 때에 발아를 중지시키면, 그 상태의 발아된 맥아는 아밀라아제 효소를 다량 함유하게 되고, 이 아말라아제 효소는 활동성이 매우 강해 다른 녹말을 쉽게 분해하여 당분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lt may be germinated for 5 days to make the total length of the malt (including the malt sprouts) 2 to 4 mm. When the malt starts to germinate and becomes 2 to 4 mm long, , The germinated malt in that state will contain a large amount of amylase enzyme, and this amalgam enzyme is very active and can easily break down other starches into sugar.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단계 S103에서 발아된 맥아(즉, 발아보리)를 증숙기에 넣고 120~140℃의 증기로 20~30분 동안 증숙(찌는 것)하여 익힐 수 있다. 이때, 일단 수분이 공급되어 발아를 시작한 보리는 물을 머금고 있으므로, 더 이상 물을 주지 않더라도 일정기간 동안은 빠른 속도로 계속 자라게 되어 배유의 영양분을 모두 소진하게 될 가능성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보리는 껍질만 남게 되어 양분을 모두 소진하므로, 보리차로써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적정 길이의 발아 상태에서 채취된 발아보리는 시간적 단절 없이 증숙기로 이동하여 증숙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발아보리를 증숙하여 익히는 것은 밥맛에서 느낄 수 있는 은은한 보리밥의 맛과 향을 내기 위한 것으로, 30분 이상 증숙할 경우에는 발아보리가 물러지는 경향이 있고, 20분 이하 증숙할 경우에는 설익게 되어 충분한 증숙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증숙 시간은 20~30분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malt (i.e., germinated barley) germinat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103 may be introduced into a boiler and cooked by steaming at 120 to 140 DEG C for 20 to 30 minutes. In this case, since the barley which has once germinated by supplying water is faded with wat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will continue to grow at a high spe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if water is not supplied any more, Only the husks are left and the nutrients are exhausted, so that they can not be used as barley. Therefore, the germinated barley taken in an appropriate length of germination state can be moved to the steam boiler without time lapse and can be cooked. Here, wheat barley is mixed and cooked to give a flavor and aroma of the gentle barley rice that can be felt in the taste of the rice. When the rice is cooked for 30 minutes or more, the germinated barley tends to be retreated. If the rice is cooked for 20 minutes or less,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ufficient effect of the skillfulness of the skill. Therefore, the skill time can be 20 to 30 minutes.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증숙된 발아보리를 증숙기 내부 온도를 50~70℃로 급강하시켜 약 3시간 동안 숙성시킬 수 있다. 이때, 온도를 급강하하는 이유는 고온의 증숙으로 인한 보리의 효소 파괴를 최소화하고 증숙된 발아보리에 충분한 수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최적 환경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숙성시킨 발아보리는 많은 수분을 머금게 되어 동그랗고 탱탱하게 부풀어 올라 발아 시작 전보다 1.2~2.5배의 부피로 팽창하며, 이러한 숙성 발아보리에서는 한층 숙성된 보리밥의 맛과 향이 생성되어 배어나오게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germinated barley can be aged for about 3 hours by dipp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team boiler to 50-70 ° C. At this time, the reason for the temperature drop is to minimize the destruction of the enzymes of barley due to the high-temperature steaming and to provide an optimal environment for containing sufficient moisture in the cooked germinated barley. Here, the aged germinated barley is swollen with a lot of water, and it is swollen in a round and taut manner, expanding to a volume of 1.2 to 2.5 times larger than that before germination, and in such aged germinated barley, the taste and flavor of aged barley have.

상술한 단계 S103에서 발아된 맥아(즉, 발아보리)를 건조기에 넣어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약 60℃) 이하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2시간) 열풍 또는 냉풍 건조시켜 준다(S104). 이때, 발아보리를 건조하는 도중에 전형적인 맥아 향이 형성되는데, 건조 조건의 조작으로 맥아 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열풍 방식에 의한 건조 방식, 또는 복사열에 의한 건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The malt (germinated barley) germinated in the step S103 described above is put into a drier and allowed to be hot air or cold air dried for a preset time (for example, 12 hours)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60 캜) S104). At this time, a typical malt flavor is formed during the drying of the germinated barley. The malt flavor can be incr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drying condition, and a drying method using a hot air method or a radiant heat method can be used.

일 실시 예에서, 발아보리를 건조기에 넣고 60~8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수분함량이 30~50%가 될 때까지 약 4시간 정도 건조시킬 수 있는데, 이때 아밀라아제 효소의 숙성을 위해서 온도를 60~80℃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단계 S103에 의해 팽창된 발아보리를 건조할 시에, 발아보리의 외피와 종피에 균열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발아보리의 수분함유량이 30% 이하이면 향후 배전 시에 발아보리가 검게 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수분함량이 50% 이상 되면 과다한 수분 보유로 인해 배전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수분함량이 4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germinated barley is placed in a drier and allowed to dry for about 4 hours until the moisture content reaches 30-50%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60-80 ° C. At this time, the amylase enzyme is heated to 60 To 80 < 0 > C. When the germinated barley is expanded by the above-mentioned step S103, symptoms of cracks may appear in the outer shell and seed coat of the germinated barley. If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erminated barley is less than 30%, germination barley If the moisture content exceeds 50%, it may take a long time to disperse due to excessive water reten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ake the moisture content 40%.

상술한 단계 S104에서 건조된 발아보리를 정선기에 넣어 제근함과 동시에, 발아보리의 제근에 의해 발생되는 맥아근 및 이물질을 정선하도록 하는데(S105), 맥아근을 미리 제거한 다음에 송풍기 등을 이용해 정선하여 맥아근 및 이물질을 날려 보내어, 추후에 보리를 배전할 시에 맥아근 및 이물질에 의한 탄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보리차에 탄화 냄새가 없고 탄화에 의한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한 추후 작업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이때, 맥아근을 제근할 때에 별도의 제근기를 사용하여 맥아근을 제거할 수도 있다.The germinated barley dried in step S104 described above is put into a machine to be cleaned, and the malt sprouts and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by the germination of the germination barley are selected (S105), and then the malt sprouts are removed in advance, Since malt sprouts and foreign matter are blown off and carbonization by malt sprouts and foreign substances does not occur when the barley is distributed later, there is no smell of carbonization in the barley tea, and further work for removing debris from carbonization is required separately . At this time, the malt sprouts may be removed by using a separate sprocket when the malt sprouts are full.

상술한 단계 S105에서 제근 및 정선된 발아보리를 배전기에 넣고 배전된 발아보리의 크기가 이전의 크기보다 기 설정된 배수(예를 들어, 1.2 내지 1.5배)만큼 될 때까지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170℃)에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0~30분) 동안 한 번 배전시켜 준다(S106). 이때, 배전기는 한 번의 배전으로 발아보리를 가열 볶음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2차 공정이 없어 가열에 의한 이후 자연 발화도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In step S105 described above, the left and right germinated barley are placed in a distributor, and the germinated barley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1 to 2 times) until the size of the germinated barley is larger than the previous size by a predetermined multiple , 170 ° C)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to 30 minutes) (S106). At this time, since the distributor performs the roasting of germinated barley at the same time by one power distribution, the process is simple, and there is no existing secondary process, so that spontaneous ignition after heating is not generated.

일 실시 예에서, 배전기는 가열에 의한 볶음 기기를 사용하거나, 복사열에 의한 배전을 하는 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보리가 짙은 흑갈색을 띠고 종피와 외피에 균열이 올 때까지 배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tributor can use a device for roasting by heating, or a device for distributing by radiant heat, and it can also be distributed until the barley is dark brownish in color and the seed coat and sheath are cracked.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단계 S105에서 제근 및 정선된 발아보리를 배전기에 넣어 200~250℃의 온도에서 10분 정도 한 번만 배전시킬 수 있는데, 이때 배전 시간은 온도 조건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즉, 배전 온도가 낮으면 배전 시간을 길게 하고 배전 온도가 높으면 배전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step S105 described above, the germinated barley and the selected germinated barley may be placed in a distributor for a time of about 1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200 to 250 DEG C, wherein the distribution time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condition. That is, if the distribution temperature is low, the distribution time is long, and if the distribution temperature is high, the distribution time can be shortened.

발아보리의 배전 시에는 발아보리가 캬라멜 반응과 멜라닌 반응을 일으켜 갈색과 풍미를 발달시키고 용해도를 증가시킨다. 캬라멜 반응과 멜라닌 반응 모두가 당이 관여된 반응으로 보리차의 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또한, 발아보리의 배전 시에는 보리의 종피와 외피에 균열이 오고 균열된 상태에서 균열의 틈새에 열이 가해지면서 보리의 배유 부분까지도 배전되므로, 한층 더 구수한 맛을 낼 수 있고, 향후 티백 포장된 보리차를 물에 수용시켰을 때 보리의 배유에 함유되어 있는 구수한 맛과 향이 자연스럽게 우러나올 수 있다.During the distribution of germination barley germination barley caramel reaction and melanin reaction to develop brown and flavor and increase solubility. Both the caramel reaction and the melanin reac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aroma of barley tea due to the sugar-involved reaction. In addition, when the germinated barley is distributed, heat is applied to cracks in cracks in the seed coat and sheath of the barley and cracks are formed, and even the portion of the barley is distributed to the germination portion of the barley so that further delicate taste can be obtained. When barley tea is contained in water, it can naturally bring out the subtle taste and aroma contained in the barley 's endosperm.

상술한 단계 S106에서 배전된 발아보리를 이송 장치를 통해 냉각대로 이동시켜 해당 냉각대 위에서 상온으로 냉각시켜 보리차로 만들어 준다(S107).The germination barley distribut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106 is cooled through a transfer device and cooled to a room temperature on the cooling bed to make a barley tea (S107).

일 실시 예에서, 냉각대 상면에 회전체를 설치하여 해당 회전체로 이송 장치를 통해 이송된 발아보리를 뒤적이면서 송풍기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다르게는 냉각 장치 등을 통해 이송 장치를 통해 이송된 발아보리를 급속 냉각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추후 발아보리의 자연 발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포장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gob barriers conveyed through the conveying device can be cooled by the blower while the rotating body is instal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ooling bed. Alternatively, the germinated barriers conveyed through the conveying device through the cooling device can be cooled It is possible to rapidly cool the barley so that spontaneous ignition of the germinated barley will not occur later, and at the same time, ease of packaging can be ensured.

상술한 단계 S107에서 냉각된 발아보리(보리차)를 송풍기로 제풍하고 진공 흡입기 등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보리 부스러기 등을 빨아들여 제거하면서, 상술한 단계 S107에서 냉각된 발아보리를 기 설정된 크기(예를 들어, 2~3mm)로 파쇄하고, 해당 파쇄된 발아보리를 1회 음용이 가능하도록 특수여과지인 티백에 담아 밀봉 포장한다(S108).The germinated barley cooled in step S107 described above is aerated with an air blower and the germinating barley cooled in step S107 described above is taken out to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2 to 3 mm), and the shredded germinated barley is packed in a teabag as a special filter paper so as to be able to drink once (S108).

상술한 단계 S101 내지 S108과 같은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리차는, 발아보리차용 보리로 겉보리를 채취, 건조 및 보관하였다가, 해당 보관해 둔 겉보리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고, 겉보리를 세척 및 침지하여 수분함량이 기 설정된 퍼센트(예를 들어, 40%) 되도록 한 후에, 기 설정된 퍼센트의 수분이 함유된 맥아를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20℃)에서 기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5일) 동안 배양시켜 보리 몸통 길이의 기 설정된 배수(예를 들어, 1.3배)만큼 되도록 발아시켜 주며, 발아보리를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60℃)에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에 제근 및 정선을 통해 맥아근을 제거하며, 발아보리의 크기가 기 설정된 배수(예를 들어, 1.3배)만큼 될 때까지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170℃)에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분) 동안 한 번 배전시킨 다음에, 배전된 발아보리를 상온에서 냉각시켜 기 설정된 크기(예를 들어, 2mm)로 파쇄하여 티백 포장함으로써, 중량(예를 들어, 1포에 20g)별로 제품화될 수 있다.
The barley tea produced by the barley tea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germinated barley as in the above-described steps S101 to S108 is obtained by collecting, drying and storing the barley with barley for germination barley,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he stored barnacle, (For example, 40%) by washing and soaking the wetted malt 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20 ° C) for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For example, 5 days) to germinate the germinated barley to a predetermined multiple (for example, 1.3 times) of the barley body length, and germinate the germinated barley at a preset temperature (for example, 60 ° C) After drying for 12 hours, the malt sprouts are removed from the root and the tail, and the malt sprouts are remov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170 DEG C) until the size of germinating barley is increased to a predetermined multiple (for example, 1.3 times) )in After the distribution of the germinated barley once at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0 minutes), the germinated barley i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shredded to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2 mm) , 20g per one capsule).

도 2는 도 1에 있는 보리 채취, 건조 및 보관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barley harvesting, drying and storage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보리의 채취, 건조 및 보관을 수행하는 단계 S101에서는, 곡물을 수확하고 채취하는 기계(예를 들어, 바인더, 콤바인 등)로 보리를 채취한 후에(S201) 해당 채취된 보리를 선별 라인 시스템으로 이송하며(S202), 선별 라인 시스템을 통해 해당 채취한 보리들 중에서 발아력이 좋은 상태에 있는 보리를 선별한다(S203). 이때, 발아 보리 선별 시에 고온 다습한 곳에서 오랫동안 저장된 보리나 가열하여 건조시킨 보리는 피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 in step S101 of collecting, drying and storing barley, barley is harvested by a machine (for example, a binder, a combine, etc.) for harvesting and collecting grain (S201) (S202), and barley having a good germinability is selected from among the collected barley through a line selection system (S203). At this time, avoid barley that has been stored for a long time in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barley which is dried by heating when germinating barley is sorted.

일 실시 예에서, 보리 선별 시에는, 보리 크기 선별기에서 흔들리는 채망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보리만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껍질이 얇게 도정되고 보리의 표면이 부드럽고 보리알이 고르게 광택이 있고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담황색을 띈 보리만을 통과시킬 수도 있는데, 이때 담황색을 띈 보리만을 통과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색깔 판별기 등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색깔 범위 외의 보리를 추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리 크기 선별기, 색깔 판별기 등을 통해 보리알의 구성이 배유 70~80%, 배아 2~3%, 종피 11~18%, 외피 10~14% 정도의 분포를 갖는 보리를 선별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at the time of barley sorting, only the barley having a certain size or more can be automatically passed through using a sling or the like shaken by a barley size sort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ass only barley with a light yellow color and a smooth surface of the barley, a smooth surface of the barley and a uniform gloss and no foreign substance. In order to pass only the barley with light yellow color, May be used to extract barley outside the predetermined color range. Here, the barley size and the color discriminator can be used to select barley having a distribution of 70 ~ 80% of the endosperm, 2 ~ 3% of the embryo, 11 ~ 18% of the seed coat and 10 ~ 14% have.

상술한 단계 S203에서 선별된 보리는 선별 라인기를 따라 건조장으로 이동된다(S204). 이때, 건조장은 선별 라인기를 따라 이동되는 보리를 회전하는 기기 장치에 의해 골고루 건조대 위에 깔아주어 수분 함량이 5~15% 정도로 함유되도록 자연풍 및 자연 채광에서 자연 건조시켜 준 후에(S205), 건조된 보리를 이송 장치를 통해 보리 보관소로 이동시켜 준다(S206).The barley select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203 is moved to the drying area along the selection line machine (S204). At this time, the barley moved along the sorting line machine is laid on the drying bed uniformly by a rotating device, and naturally dried in natural and natural light so as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about 5 to 15% (S205) To the barley storage (S206).

보리 보관소는 이송 장치를 통해 이송된 보리를 보관하도록 하는데(S207), 이때 보리 보관소의 온도 5~15℃, 습도 55~75% 정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통풍 장치나 냉난방 장치를 가동시켜 줌으로써, 보리의 호흡에 좋을 뿐만 아니라, 이화학적, 생리학적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The barley storage unit stores the barley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unit (S207). At this time, by operating the ventilation unit or the heating / cooling uni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arley storage unit can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5 to 15 DEG C and a humidity of 55 to 75% Not only is it good for breathing, it also minimizes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도 3은 도 1에 있는 이물질 제거, 세척 및 침지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foreign matter removal, washing, and soaking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와, 보리의 세척 및 침지를 수행하는 단계 S102에서는, 상술한 단계 S101에서 보관되고 있는 양질의 보리를 송풍기 등을 이용하여 1~2회 까부르면서 보리에 섞여 있던 이물질(예를 들어, 충혜림, 협착물 등)을 제거한 후에(S301), 해당 이물질을 제거한 보리를 이송 장치를 통해 세척기기로 이송시켜 준다(S302).Referring to FIG. 3, in step S102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d washing and immersing the barley, the barley stor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101 is mixed with the barley Afte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e.g., charcoal, stenosis, etc.) (S301), the barley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 has been removed is transferred to the cleaner through the transfer device (S302).

세척기기는 이송 장치를 통해 이송된 보리를 깨끗이 수세하고(S303), 2~3시간 동안 물에 흠뻑 담가둔다(S304). 이때, 수세 물에 담긴 보리는 교반기를 통해서 천천히 교반해 준 후에(S305), 수세 물을 교체해 준다(S306). 그리고 소정 회수(예를 들어, 3~4회)가 될 때까지 상술한 단계 S303 내지 S306을 반복하도록 하며(S307), 이에 비교적 비중이 큰 이물질까지도 제거하고 또한, 보리 낟알이 튼실하지 않아 발아에 부적합한 보리도 제거하도록 한다.
The washing machine flushes the barley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device (S303) and immerses it in the water for 2 to 3 hours (S304). At this time, the barley contained in the washed water is slowly stirred through the stirrer (S305), and the washed water is replaced (S306). The above steps S303 to S306 are repeated until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3 to 4 times) is reached (S307), so that foreign matter having a relatively large specific gravity is also removed and the barley kernel is not robust. Remove any unsuitable barley.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pparatuses and / or methods, but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for realizing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such an embodimen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S101: 채취, 건조 및 보관 단계
S102: 이물질 제거, 세척 및 침지 단계
S103: 발아 단계
S104: 건조 단계
S105: 제근 및 정선 단계
S106: 배전 단계
S107: 냉각 단계
S108: 제풍, 파쇄 및 포장 단계
S101: Picking, drying and storing steps
S102: Foreign matter removal, washing and immersion steps
S103: Germination step
S104: drying step
Step S105:
S106: Distribution phase
S107: Cooling step
S108: Sawing, shredding and packing steps

Claims (10)

겉보리 또는 맥주보리를 채취하여 해당 채취한 보리를 건조 및 보관하는 단계;
상기 보관된 보리의 균일한 발아를 위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보관된 보리를 세척 및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한 보리를 발아기에서 발아시켜 발아보리로 만드는 단계;
상기 발아보리를 건조기에 넣어 열풍 또는 냉풍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발아보리를 정선기에 넣어 제근하고 정선하는 단계;
상기 제근 및 정선된 발아보리를 배전기에 넣어 배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전된 발아보리를 냉각대로 이동시켜 상온에서 냉각시켜 보리차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Collecting barley or beer barley, drying and storing the collected barley;
Removing foreign matter and washing and dipping the stored barley for uniform germination of the stored barley;
Germinating the soaked barley in germination to make germinated barley;
Placing the germinated barley in a drier and drying in hot air or cold air;
Placing the dried germinated barley in a sifting machine and sifting through the sifting process;
Placing the right-handed and left-handed germinated barley in a distributor for distribution; And
And transferring the germinated barley after cooling to cool the barley at room temperature to make barley t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보관하는 단계는,
채취 기계로 겉보리 또는 맥주보리를 채취한 후에, 해당 채취된 보리를 선별 라인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선별 라인에서 보리 크기 선별기 및 색깔 판별기를 통해 상기 채취한 보리 중에서 발아시킬 보리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보리를 건조장으로 이동시켜 회전기기에 의해 골고루 건조대 위에 깔아 수분 함량이 5~15%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보리를 보리 보관소로 이동시켜 온도 5~15℃, 습도 55~75%로 유지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ying and storing comprises:
Collecting barley or beer barley with a sampling machine, and then transferring the harvested barley to a selection line;
Selecting barley to be germinated from the harvested barley through a barley size separator and a color discriminator in the selection line;
Moving the selected barley to a drying zone and spreading the barley uniformly on a drying base by a rotating machine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5 to 15%; And
Wherein the dried barley is moved to a barley storage and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5 to 15 ° C and a humidity of 55 to 7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및 침지하는 단계는,
송풍기로 상기 보관된 보리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보리를 세척기기로 이송시켜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된 보리를 20℃ 이하의 물속에 넣어 수분 함량이 40% 되도록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eaning and dipping comprises:
Removing foreign matters mixed in the stored barley with an air blower;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barley and transferring the barley to a washing machine to clean the barley; And
And immersing the washed barley in water at 20 DEG C or lower for 24 to 48 hours so as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4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보리를 세척기기로 이송시켜 수세하는 단계;
2~3시간 동안 수세 물에 상기 수세된 보리를 담가두는 단계;
교반기를 통해 상기 수세 물에 담긴 보리를 교반하는 단계;
상기 수세 물을 교체하는 단계; 및
상기 수세하는 단계, 상기 담가두는 단계, 상기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체하는 단계를 3~4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Washing the barley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removed by transferring the barley to a washing machine;
Immersing the washed barley in water for 2 to 3 hours;
Agitating the barley contained in the washed water through an agitator;
Replacing the wash water; And
Wherein the washing step, the soaking step, the stirring step, and the replacing step are repeated three to four tim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보리로 만드는 단계는,
상기 발아기에서 상기 수분 함량이 40%인 맥아를 보리 몸통 길이의 1 내지 1.5배만큼 되도록 20℃에서 3 내지 10일 동안 배양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lt having the moisture content of 40% in the germ is cultivated at 20 ° C for 3 to 10 days so as to be 1 to 1.5 times the length of the barley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또는 냉풍 건조시키는 단계는,
상기 건조기에서 열풍 또는 복사열에 의해서 상기 발아보리를 60℃ 이하로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t air or cold air-
Wherein the germinating barley is dried at 60 DEG C or lower for 12 hours by hot wind or radiant heat in the dr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선하는 단계는,
상기 정선기에서 상기 건조된 발아보리를 제근하여 맥아근을 제거한 다음에, 송풍기를 이용해 정선하여 맥아근 및 제근 시에 발생한 이물질을 날려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lt sprouts are removed from the dried germinated barley by the rectifier, and then the malt sprouts are selectively removed by using a blower to blow away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malt sprouts and fresh sprou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전기에서 상기 제근 및 정선된 발아보리를 이전의 크기보다 1.2 내지 1.5배만큼 될 때까지 170℃에서 10~30분 동안 한 번 배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oots and the selected germinated barley are once distributed at 170 DEG C for 10 to 30 minutes until the former is 1.2 to 1.5 times larger than the previous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된 발아보리를 송풍기로 제풍하고 진공 흡입기를 이용하여 부스러기를 빨아들여 제거하면서, 상기 냉각된 발아보리를 2~3mm로 파쇄하고, 해당 파쇄된 발아보리를 티백에 담아 밀봉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oled germinated barley is vortexed with a blower, the debris is sucked and removed using a vacuum inhaler, the cooled germinated barley is crushed to 2 to 3 mm, the germinated barley is crushed and sealed in a teabag Wherein the germinating barley is used as a barley.
겉보리 또는 맥주보리를 채취하여 해당 채취한 보리를 건조 및 보관하는 단계;
상기 보관된 보리의 균일한 발아를 위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보관된 보리를 세척 및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한 보리를 발아기에서 발아시켜 발아보리로 만드는 단계;
상기 발아보리를 건조기에 넣어 열풍 또는 냉풍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발아보리를 정선기에 넣어 제근하고 정선하는 단계;
상기 제근 및 정선된 발아보리를 배전기에 넣어 배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전된 발아보리를 냉각대로 이동시켜 상온에서 냉각시켜 보리차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리차.
Collecting barley or beer barley, drying and storing the collected barley;
Removing foreign matter and washing and dipping the stored barley for uniform germination of the stored barley;
Germinating the soaked barley in germination to make germinated barley;
Placing the germinated barley in a drier and drying in hot air or cold air;
Placing the dried germinated barley in a sifting machine and sifting through the sifting process;
Placing the right-handed and left-handed germinated barley in a distributor for distribution; And
And a step of moving the germinated barley after cooling to a barley tea by cooling at room temperature to produce barley tea.
KR1020130054233A 2013-05-14 2013-05-14 Method of manufacturing a barley-tea using a germinating barley and the barley-tea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KR1015185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233A KR101518552B1 (en) 2013-05-14 2013-05-14 Method of manufacturing a barley-tea using a germinating barley and the barley-tea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233A KR101518552B1 (en) 2013-05-14 2013-05-14 Method of manufacturing a barley-tea using a germinating barley and the barley-tea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419A true KR20140134419A (en) 2014-11-24
KR101518552B1 KR101518552B1 (en) 2015-05-07

Family

ID=5245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233A KR101518552B1 (en) 2013-05-14 2013-05-14 Method of manufacturing a barley-tea using a germinating barley and the barley-tea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55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254A (en) 2015-03-06 2016-09-19 석보영 Method for preparing of barley tea powder containing rice bran
CN106720714A (en) * 2016-11-07 2017-05-31 永昌县震藩农产品农民专业合作社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baked barley te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874B1 (en) 2021-06-28 2022-05-31 수정영농조합법인 Manufacturing Method of barley te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254A (en) 2015-03-06 2016-09-19 석보영 Method for preparing of barley tea powder containing rice bran
CN106720714A (en) * 2016-11-07 2017-05-31 永昌县震藩农产品农民专业合作社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baked barley t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552B1 (en)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81062A1 (en) Process for Neutralizing Enzymes in Corn
JP4505393B2 (en) Crop roasting method and storage method
KR10151855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arley-tea using a germinating barley and the barley-tea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US70297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 dehydrated whole food product
JP2006122050A (en) Method for producing brown rice
KR100623991B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tea using fragrance of white lotus flower
JP5509420B2 (en) Food production method and food using immature wheat seeds
USRE41885E1 (en) Method for producing a dehydrated whole food product
KR100671420B1 (en) A cereals oil and making method
CN106551016B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green tea
KR100405921B1 (en) Method for producing germinated brown rice and for producing the extracts of rice straw and hulls used therein
KR10177897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erilla oil
KR101918214B1 (en) Process for producing liquor using Job's-tear and method for producing liquor
CN105192128A (en) Novel process for producing hierochloe odorata tea based on combination of blanch fixation and multi-stage fixation
KR20090090652A (en) Manufacturing method of lotus sik-hae
CN105192127A (en) Novel continuous production line for producing hierochloe odorata type tea through secondary enzyme deactivation
JP2931757B2 (en) Method for producing malt tea
KR100305515B1 (en) The manufacture method of MEJU
CN107874214A (en) A kind of peanut production technology
KR10043959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malt tea
JP201408727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oasted wholegrain buckwheat flour
CN107156359A (en) A kind of black tea drinks production technology
CN108157151A (en) A kind of shoot vegetable and its production technology
EP0907324A1 (en) Drying method for cacao beans
KR101573257B1 (en) Method for manufactruring germinated brown rice using rice seeds rice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