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357A -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및 송신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및 송신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357A
KR20140134357A KR1020130053759A KR20130053759A KR20140134357A KR 20140134357 A KR20140134357 A KR 20140134357A KR 1020130053759 A KR1020130053759 A KR 1020130053759A KR 20130053759 A KR20130053759 A KR 20130053759A KR 20140134357 A KR20140134357 A KR 20140134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frequency
frequency digital
analog converter
digita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451B1 (ko
Inventor
이남정
김범만
김동수
진하동
강병창
방정호
이병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3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451B1/ko
Priority to US14/272,638 priority patent/US9634696B2/en
Publication of KR2014013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기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제1 주파수 대역과 구별되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중 데이터 송신 모드(data transmission mode)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임피던스 매칭 모드(impedance matching mode)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및 송신기의 제어 방법{TRANSMITTER FOR SUPPORTING MULTI-MODE AND MULTI-BAND USING MULTIPLE RADIO FREQUENCY DIGITAL-ANALOGUE CONVERTERS(RF DACS) AND CONTROL METHOD OF THE TRANSMITTER}
아래의 실시예들은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및 송신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사업자들은 예를 들어, 2G, 3G,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불연속적인 주파수 대역들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 각 주파수 대역 및 각 통신 시스템에 맞는 통신 장치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adio Frequency Digital to Analog Converter (RF DAC))를 이용하는 디지털 직교 송신기들은 특정 주파수와 특정 통신 시스템에 최적화된 협대역만을 지원할 수 있어, 타 주파수 대역에서의 출력 전력 및 효율 성능은 열악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구별되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중 데이터 송신 모드(data transmission mode)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임피던스 매칭 모드(impedance matching mode)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커패시티브 파워 컴바이너(Capacitive Power Combiner)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혹은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을 저장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을 기초로 결정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또는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제어값들을 기초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또는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구별되는 제3 주파수 대역에서 제3 신호를 송신하는 제3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제3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상기 제3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상기 데이터 송신 모드 및 상기 임피던스 매칭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따라 서로 상보적(complementary)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을 위해 마련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을 위해 마련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을 기초로, 제1 주파수 대역으로 동작하는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혹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구별되는 제2 주파수 대역으로 동작하는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중 데이터 송신 모드(data transmission mode)로 동작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송신 모드(data transmission mode)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게 송신할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송신 모드(data transmission mode)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임피던스 매칭 모드(impedance matching mode)로 동작하는 다른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을 저장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을 기초로 결정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또는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값들을 기초로, 상기 임피던스 매칭 모드(impedance matching mode)로 동작하는 다른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커패시티브 파워 컴바이너(Capacitive Power Combiner)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상기 데이터 송신 모드 및 상기 임피던스 매칭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따라 서로 상보적(complementary)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개념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에 포함된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동작 및 커패시티브 파워 컴바이너(Capacitive Power Combiner)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을 위해 마련된 주파수 대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을 위해 마련된 주파수 대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일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개념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110), 임피던스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110) 각각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 혹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110) 각각은 데이터 송신 모드(data transmission mode) 및 임피던스 매칭 모드(impedance matching mode)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110) 각각은 데이터 송신 모드 및 임피던스 매칭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따라 서로 상보적(complementary)으로 동작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 모드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 혹은 신호를 송신하는 모드이다. 임피던스 매칭 모드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동작하는 다른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동작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임피던스를 매칭시켜 주는 모드이다.
임피던스 매칭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커패시터들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송신 모드로 동작하는 다른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위해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110)은 커패시티브 파워 컴바이너(Capacitive Power Combiner)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부(130)는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대상 밴드 주파수(Target Band Frequency)가 어디인가에 따라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11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부(130)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135)을 포함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135)은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11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에 제1,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이 있고, 각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마다에는 커패시티브 파워 컴바이너(Capacitive Power Combiner) 구조를 형성하는 5개의 커패시터들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룩업 테이블(135)에는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첫 번째 커패시터에 전원 전압(VDD)이 인가된 경우, 첫 번째 및 두 번째 커패시터에 전원 전압이 인가된 경우,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커패시터에 전원 전압이 인가된 경우 등과 같이 전원 전압이 인가된 커패시터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각 커패시터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전원 전압이 인가된 커패시터들에 대한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 또한 룩업 테이블(135)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각 커패시터에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110)에 인가되는 디지털 입력 값에 의해 전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입력 값이 '1' 이 입력되는 경우에 커패시터에는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디지털 입력 값이 '0'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커패시터에 GND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룩업 테이블(135)은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110) 중 어느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온(On)시키고, 어느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오프(Off)시킬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값들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부(130)는 임피던스 매칭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커패시터들들을 제어하여 데이터 송신 모드로 동작하는 다른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임피던스가 항상 일정 주파수 대역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임피던스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적절히 온(On)/오프(Off)됨으로 데이터 송신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위한 적응적인 임피던스 값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신기의 동작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매칭 임피던스(matching impedance)가 채널 윈도우(channel window), 다시 말해, 임피던스 포인트(Impedance point)들을 이동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송신기는 병렬 커패시터들(shunt capacitors)에 의해 임피던스를 보상해 줌으로써 이동된 채널 윈도우에 맞는 주파수 대역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에 포함된, 커패시티브 파워 컴바이너(Capacitive Power Combiner)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임피던스를 보상할 수 있다.
커패시티브 파워 컴바이너(Capacitive Power Combiner)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은 예를 들어, 가변 병렬 커패시터(variable shunt capacitor)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병렬 커패시터(Shunt capacitor)는 예를 들어, 한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의 외부에 부착된 커패시터로서, 해당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임피던스(impedance)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외부에 별도의 커패시터를 부가하는 경우, 별도의 칩 영역(chip area)을 차지하게 되고, 비용(cost) 또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는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 중 일부가 병렬 커패시터(Shunt capacitor)와 같은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병렬 커패시터가 없이도 임피던스(impedance)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임피던스 매칭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은 병렬 커패시터(Shunt capacitor)와 같은 작용을 수행하여 통신 주파수가 다른 경우에도 하나의 송신기로 통신을 구현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임피던스 제어부(310),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1)(330), 및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2)(350)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부(310)는 룩업 테이블(도 1의 도면 부호 135 참조)에 저장된 제어값들(예를 들어, Adaptive Impedance Control Data)을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1)(330) 및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2)(350)에 인가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135)에는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 및 임피던스 값들을 기초로 결정된 제어값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제어부(310)는 각각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데이터 송신 모드와 임피던스 매칭 모드 중 어떤 모드로 동작할지를 제어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임피던스 보상기(impedance compensator)'라고도 부를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부(310)는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30)에 연결된 제1 스위치(313) 및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에 연결된 제2 스위치(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313)는 임피던스 제어부(310)의 제어 신호(Control signal)에 따라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30)에 데이터 입력 신호(Data Input Signal) 또는 임피던스 제어 신호(RF DAC #1 Impedance control signal) 중 어느 하나를 인가할 수 있다. 제2 스위치(315) 또한 임피던스 제어부(310)의 제어 신호(Control signal)에 따라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에 데이터 입력 신호(Data Input Signal) 또는 임피던스 제어 신호(RF DAC #2 Impedance control signal) 중 어느 하나를 인가할 수 있다.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1)(330)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을 위해 마련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2)(350)는 제1 주파수 대역과 구별되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을 위해 마련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30) 및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는 회로적 구성은 동일하나 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30) 및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는 각각 스위치된 셀들(switched cells)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된 셀들(switched cells)에서 각 셀(cell)은 디지털 믹서(Digital Mixer), 복수 개의 인버터(inverter)들로 구성된 디지털 스위치 및 드라이버 등을 포함하며, VDD 상태와 GND 상태를 가질 수 있다.
VDD 상태에서 각 셀(cell)은 입력 신호가 디지털 믹서를 거쳐 동작 주파수로 상향 변환(up-conversion)되어 LO(Local Oscillator) 주파수와 데이터가 믹싱(Mixing)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드라이버를 거쳐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된 셀들(switched cells)에서 출력되는 값은 각 셀의 데이터와 LO(Local Oscillator) 주파수가 곱해진 형태의 합일 수 있다. 이때, 각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온(On)/오프(Off) 동작에 의해 각 셀의 전력이 합쳐 지면서 최종적인 RF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스위치된 셀들(switched cells)은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위치된 셀들(switched cells)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임피던스 제어부(310)는 하나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예를 들어,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30))가 신호 전송 동작을 수행할 때, 나머지 하나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예를 들어,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의 커패시터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임피던스 제어부(310)는 별도의 추가 매칭 회로가 없이도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30)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30)가 원하는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 임피던스 제어부(310)는 제어 신호(Control signal)를 통해 스위치들(313,315)을 조정함으로써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30)의 데이터 입력에 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 입력 신호(Data Input Signal)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30)가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기 위해 주파수를 바꿈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이 틀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임피던스 제어부(310)는 룩업 테이블(135)에 저장된 제어값들 중 해당 주파수에서 최적의 임피던스 값에 해당하는 제어값을 검색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부(310)는 검색한 제어값을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에 대한 임피던스 제어 신호(RFD AC #2 impedance control signal)로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룩업 테이블(135)에는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 및 이를 기초로 결정된 제어값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에 인가된 임피던스 제어 신호(RFD AC #2 impedance control signal)에 의해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의 스위치된 셀들(switched cells)에 연결된 커패시터는 온(On) 혹은 오프(Off)가 될 수 있다. 이때,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에서 온(On) 혹은 오프(Off)된 커패시터들은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30)의 커패시터들과 커패시티브 파워 컴바이너(Capacitive Power Combiner)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는 임피던스를 적절한 값으로 튜닝(Tuning)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서,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30)는 임피던스를 항상 적응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스위치된 셀들 및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스위치된 셀들(switched cells)은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를 입력으로 수신하고, 복수 개의 전압 신호들(voltage signals)을 출력으로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은 커패시티브 파워 컴바이너(Capacitive Power Combiner)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커패시터들은 각 스위치된 셀들(switched cells)의 전력을 합치기 위한 것으로서, 커패시터들의 외부에 병렬(Shunt) 혹은 직렬(Series) 인덕터 본딩(Inductor Bonding)을 함으로써 원하는 저항 값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임피던스 매칭 방법은 협소한 주파수 대역에서만 정상 동작이 가능하고 사용하는 밴드가 달라지는 이유 등으로 주파수가 바뀌면 설계하였던 임피던스가 틀어져 수신기의 성능, 효율, 선형성, 출력 전력 등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디지털 회로의 특징인 제어 가능성(Controllability)을 이용하여 커패시티브 컴바이닝(Capacitive combining) 구조의 커패시터들을 온(On)/오프(Off)로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임피던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송신기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에 의한 커패시티브 컴바이닝 구조를 통해 최소 2개의 주파수와 각 주파수에 인접한 여러 밴드(Band)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커패시티브 컴바이닝(Capacitive combining) 구조의 커패시터들에 의해 임피던스를 조절함으로써 송신기가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커패시터들은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 중 해당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제외한 나머지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서로 독립된 동작을 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함으로써 각기 다른 통신 규격에 따른 복수의 동작 모드 또한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을 위해 마련된 주파수 대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임피던스 제어부(510),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1)(530), 및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2)(5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LTE 신호 송신기(LTE signal transmitter)로 동작할 때,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동작을 살펴볼 수 있다.
송신기의 대상 밴드 주파수(Target Band Frequency)로 LTE 주파수 대역 혹은 이에 근접한 주파수 대역이 입력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송신기는 제어 신호를 통해 제1 스위치(513)를 LTE 데이터에 연결시키고, 제2 스위치(515)를 임피던스 제어 신호(RFD AC #2 impedance control signal)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0)에는 LTE 신호가 입력되고,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0)는 LTE 신호 송신기(LTE signal transmitter)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는 임피던스 제어 신호(RF DAC #2 Impedance control signal)에 의해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0)의 임피던스를 보상해 주는 임피던스 보상기(impedance compensator)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0)가 LTE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임피던스 제어부(510)는 LTE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로 인가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부(510)는 LTE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로 인가함으로써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0) 만이 동작할 때, 출력 스펙스럼(Output Spectrum)은 점선으로 표시된 제1 주파수 대역(f1)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0)가 다른 밴드(다시 말해 다른 주파수 대역)를 지원해야 할 경우, 입력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대역(f1)에서 우측으로 바뀌게 되고 출력 임피던스 매칭 또한 틀어지게 된다.
이때, 임피던스 제어부(510)는 룩업 테이블 등에 저장된 제어값들을 참조하여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에 포함된 커패시터들에 전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적응적으로 임피던스를 제1 주파수 대역(f1)에서 우측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0)는 LTE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의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0)와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의 역할이 바뀐 경우에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0)와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50)의 역할이 바뀐 경우에 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을 위해 마련된 주파수 대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임피던스 제어부(610),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1)(630), 및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2)(6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가 WCDMA 신호 송신기(WCDMA signal transmitter)로 동작할 때,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0)의 동작을 살펴볼 수 있다.
송신기의 대상 밴드 주파수(Target Band Frequency)로 WCDMA 주파수 대역 혹은 이에 근접한 주파수 대역이 입력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송신기는 제어 신호를 통해 제2 스위치(615)를 WCDMA 데이터에 연결시키고, 제1 스위치(613)를 임피던스 제어 신호(RFD AC #1 impedance control signal)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에는 WCDMA 신호가 입력되고,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는 WCDMA 신호 송신기(WCDMA signal transmitter)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0)는 임피던스 제어 신호(RFD AC #1 impedance control signal)에 의해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의 임피던스를 보상해 주는 임피던스 보상기(impedance compensator)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가 WCDMA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임피던스 제어부(610)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0)로 인가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부(610)는 WCDMA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0)로 인가함으로써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 만이 동작할 때, 출력 스펙트럼(Output Spectrum)은 점선으로 표시된 제2 주파수 대역(f2)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가 다른 밴드(다시 말해 다른 주파수 대역)를 지원해야 할 경우, 입력 주파수가 제2 주파수 대역(f2)에서 좌측으로 바뀌게 되고 출력 임피던스 매칭 또한 틀어지게 된다.
이때, 임피던스 제어부(610)는 룩업 테이블 등에 저장된 임피던스 제어값들을 참조하여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0)의 커패시터들에 전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적응적으로 임피던스를 제2 주파수 대역(f2)에서 좌측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50)는 WCDMA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의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임피던스 제어부(710),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1)(730), 및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2)(7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1)(730), 및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2)(750)에 포함된 스위치된 셀들(switched cells)은 도 7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위치된 셀들(switched cells)에서 각 셀(cell)은 디지털 믹서(Digital Mixer)(731), 복수 개의 인버터(inverter)들로 구성된 디지털 스위치(733) 및 드라이버(미도시)를 포함하며, VDD 상태와 GND 상태를 가질 수 있다.
VDD 상태에서 각 셀(cell)은 입력 신호가 디지털 믹서(731)를 거쳐 동작 주파수로 상향 변환(up-conversion)되어 LO(Local Oscillator) 주파수와 데이터가 믹싱(Mixing)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드라이버를 거쳐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된 셀들(switched cells)에서 출력되는 값은 각 셀의 데이터와 LO(Local Oscillator) 주파수가 곱해진 형태의 합일 수 있다. 이때, 각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730, 750)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온(On)/오프(Off) 동작에 의해 각 셀의 전력이 합쳐 지면서 최종적인 RF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이하, '송신기')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유지할 수 있다(810).
이때,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은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룩업 테이블은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을 기초로 결정된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또는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들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는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820).
송신기는 대상 주파수 대역을 기초로, 제1 주파수 대역으로 동작하는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혹은 제1 주파수 대역과 구별되는 제2 주파수 대역으로 동작하는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중 데이터 송신 모드(data transmission mode)로 동작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830).
송신기는 데이터 송신 모드(data transmission mode)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임피던스 매칭 모드(impedance matching mode)로 동작하는 다른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840). 이때 송신기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제어값들을 기초로, 임피던스 매칭 모드(impedance matching mode)로 동작하는 다른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임피던스 매칭 모드(impedance matching mode)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송신기는 데이터 송신 모드(data transmission mode)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게 송신할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8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패시티브 파워 컴바이너(Capacitive Power Combiner) 구조를 가지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이용함으로써 대상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통신 방식이거나 혹은 하나의 통신 방식에서 여러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송신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사업자마다 할당된 통신 주파수가 다른 경우에도 하나의 송신기로 통신을 구현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10: 임피던스 제어부
230: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250: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Claims (19)

  1.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RF DAC);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구별되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중 데이터 송신 모드(data transmission mode)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임피던스 매칭 모드(impedance matching mode)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커패시티브 파워 컴바이너(Capacitive Power Combiner)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혹은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을 저장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을 기초로 결정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또는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제어값들을 기초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또는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 인가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 인가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구별되는 제3 주파수 대역에서 제3 신호를 송신하는 제3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제3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상기 제3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 인가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상기 데이터 송신 모드 및 상기 임피던스 매칭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따라 서로 상보적(complementary)으로 동작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을 위해 마련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을 위해 마련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13.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을 기초로, 제1 주파수 대역으로 동작하는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혹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구별되는 제2 주파수 대역으로 동작하는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중 데이터 송신 모드(data transmission mode)로 동작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송신 모드(data transmission mode)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게 송신할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송신 모드(data transmission mode)로 동작하는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임피던스 매칭 모드(impedance matching mode)로 동작하는 다른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을 저장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주파수 별로 미리 계산된 임피던스 값들을 기초로 결정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또는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값들을 기초로, 상기 임피던스 매칭 모드(impedance matching mode)로 동작하는 다른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커패시티브 파워 컴바이너(Capacitive Power Combiner)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상기 데이터 송신 모드 및 상기 임피던스 매칭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따라 서로 상보적(complementary)으로 동작하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30053759A 2013-05-13 2013-05-13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및 송신기의 제어 방법 KR101872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759A KR101872451B1 (ko) 2013-05-13 2013-05-13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및 송신기의 제어 방법
US14/272,638 US9634696B2 (en) 2013-05-13 2014-05-08 Transmitter for supporting multimode and multiband using multiple radio frequency (RF) digital-to-analog converters (DAC) and control method of the transmi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759A KR101872451B1 (ko) 2013-05-13 2013-05-13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및 송신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357A true KR20140134357A (ko) 2014-11-24
KR101872451B1 KR101872451B1 (ko) 2018-06-29

Family

ID=5186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759A KR101872451B1 (ko) 2013-05-13 2013-05-13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및 송신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34696B2 (ko)
KR (1) KR101872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1012612A2 (pt) 2018-12-28 2021-09-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e aparelho de processameto de sinal, e dispositivo de rede de acesso
KR102656705B1 (ko) 2020-05-25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 전력 조절 범위를 선택하는 rf 송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724A (ko) * 2001-05-02 2002-11-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속 유선 통신용 액티브 하이브리드 회로
JP2004519150A (ja) * 2001-01-26 2004-06-24 エリクソ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適応アンテナ最適化ネットワーク
US20080107213A1 (en) * 2006-06-14 2008-05-08 Hypres Inc. Digital receiver for radio-frequency signals
US20110267127A1 (en) * 2010-04-29 2011-11-03 Robert Bogdan Staszewski 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for improved amplitude resolution of an RF-DAC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3398A (ja) 1995-09-20 1997-03-28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装置
JPH1141118A (ja) 1997-07-15 1999-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装置
EP1365507A1 (en) 2002-05-22 2003-11-26 Lucent Technologies Inc. Universal tuning and matching device
US7312750B2 (en) 2004-03-19 2007-12-25 Comware, Inc. Adaptive beam-forming system using hierarchical weight banks for antenna arr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955324B2 (ja) 2006-07-10 2012-06-20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8299867B2 (en) 2006-11-08 2012-10-30 Research In Motion Rf, Inc. Adaptive impedance matching module
JP4641021B2 (ja) 2006-11-16 2011-03-02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アエレクトロニクス マルチバンド無線機及び半導体集積回路
US7893856B2 (en) 2009-04-15 2011-0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gital-to-analog conversion circuit
US8072272B2 (en) * 2009-08-19 2011-12-06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 tunable inter-stage matching circuit
JP2011234155A (ja) 2010-04-28 2011-11-17 Renesas Electronics Corp 送信器
US8611834B2 (en) * 2010-11-01 2013-12-17 Cree, Inc. Matching network for transmission circuitry
EP2501095B1 (en) 2011-03-16 2017-10-25 BlackBerry Limited Quadrature communications device with power combiner and related methods
JP5679193B2 (ja) 2011-04-22 2015-03-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送信機及び送受信機
US20130285873A1 (en) * 2012-04-20 2013-10-31 Ethertronics, Inc. Multi-band communication system with isolation and impedance matching provision
US8964881B2 (en) * 2012-08-16 2015-02-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efficiency, high dynamic range digital RF power amplification
US9306613B2 (en) * 2013-01-10 2016-04-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Variable antenna match linear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9150A (ja) * 2001-01-26 2004-06-24 エリクソ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適応アンテナ最適化ネットワーク
KR20020084724A (ko) * 2001-05-02 2002-11-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속 유선 통신용 액티브 하이브리드 회로
US20080107213A1 (en) * 2006-06-14 2008-05-08 Hypres Inc. Digital receiver for radio-frequency signals
US20110267127A1 (en) * 2010-04-29 2011-11-03 Robert Bogdan Staszewski 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for improved amplitude resolution of an RF-DA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35804A1 (en) 2014-11-13
US9634696B2 (en) 2017-04-25
KR101872451B1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090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velope tracking system
US10361892B2 (en) Selective power amplifier
US2015023687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velope tracking system
US6871049B2 (e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ower amplifiers in devices using transmit beamforming
US10547488B2 (en) Polar transmitter with tunable matching network
US9107167B2 (en) Envelope tracking signal bandwidth control
US9634695B1 (en) Wireless devices having multiple transmit chains with predistortion circuitry
KR100984984B1 (ko) 다중 대역 무선 주파수 변조기
US84171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efficiency in a power supply modulated system
JP2007180782A (ja) 極座標変調送信装置及び適応歪補償処理システム並びに極座標変調送信方法及び適応歪補償処理方法
WO1999043083A1 (fr) Amplificateur pour radiotransmission
WO2005057781A1 (en) Compensating for load pull in electromagnetic signal propagation using adaptive impedance matching
KR101872451B1 (ko)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송신기 및 송신기의 제어 방법
EP258203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US20150171800A1 (en) Tunable loadline
KR10216967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증폭부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1595329A2 (e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ower amplifiers in devices using transmit beamfor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