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240A - 윈드스크린 와이퍼용 유압 및/또는 전기 접속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윈드스크린 와이퍼용 유압 및/또는 전기 접속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240A
KR20140134240A KR1020140057130A KR20140057130A KR20140134240A KR 20140134240 A KR20140134240 A KR 20140134240A KR 1020140057130 A KR1020140057130 A KR 1020140057130A KR 20140057130 A KR20140057130 A KR 20140057130A KR 20140134240 A KR20140134240 A KR 20140134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lever
interface
wiper holder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센트 이자벨
장-미셸 자라송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ublication of KR20140134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2Transport of liquid there th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B60S1/524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arranged in 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side walls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2001/406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vered by a removable cover mounted on the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Brush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와이퍼(14)를 이동시키는 와이퍼 홀더의 단부 부품(12), 접속 인터페이스(20) 및 중간 부품(30)을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인터페이스(20)가 상기 단부 부품(12)에 대해 자유로운 작동 위치 및 상기 인터페이스(20)가 상기 중간 부품(30)에 의해 상기 단부 부품(12)에 대해 배향된 방식으로 유지되는 서비스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체, 상기 와이퍼(14)에 고정되는 커넥터(40) 및 커넥터(40)를 상기 와이퍼 홀더에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50)를 포함하는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을 위한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윈드스크린 와이퍼용 유압 및/또는 전기 접속 인터페이스 {HYDRAULIC AND/OR ELECTRICAL CONNECTION INTERFACE FOR WINDSCREEN WIPER}
본 발명은 차량용 장치 분야로서, 더 자세하게는, 자동차의 윈도우를 닦기 위한 장치 분야이다.
자동차는 보통 윈드스크린을 씻어내어 운전자의 주변 시야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에, 이러한 윈드스크린 와이퍼는 각 왕복 운동(angular to-and-fro movement)을 수행하는 아암 또는 와이퍼 홀더에 의해 구동되고, 탄력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스퀴지 블레이드(squeegee blade)를 자체적으로 갖는 긴 와이퍼를 포함한다. 이러한 블레이드는 윈드스크린을 문질러 닦아 내고 물을 운전자의 시야로부터 제거해서 치운다. 와이퍼는, 종래 형태인 스퀴지 블레이드를 다수의 별개의 위치에서 잡고 있는 관절식 요크의 형태이거나, 또는 보다 최신 형태인 “플랫 블레이드(flat blade)” 형태라고 알려진, 스퀴지 블레이드를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잡고 있는 반경성 조립체(semi-rigid assembly)의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두 방식 모두에서, 와이퍼는 기계식 커넥터 및 어댑터로 이루어진 조립체에 의해 윈드스크린 와이퍼의 선회식 와이퍼 홀더에 부착된다. 기계식 커넥터는 요크 상에 클림핑되거나 플랫 블레이드 상에 직접적으로 클림핑되는 부품이며, 어댑터는 커넥터가 윈드스크린 와이퍼의 와이퍼 홀더에 체결되게 하는 중간 부품이다. 이러한 두개의 부품은 윈드스크린에 직교하고 와이퍼 홀더를 통과하는 평면에서 부품들의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하는 가로 핀(transverse pin)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윈드스크린 워셔 액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차량에 설치하는 것도 알려져 있으며, 이때 워셔 액은 보닛 아래에 배치된 탱크로부터 공급되고, 윈드스크린의 근처나 또는 보다 양호한 액체 분배를 위해서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자체에 배치되는 노즐에 의해 윈드스크린의 방향으로 분무된다. 와이퍼 상에 배치된 노즐의 경우에는, 윈드스크린 워셔 액은 윈드스크린 와이퍼 홀더에 고정되고 접속 인터페이스에 의해 기계식 커넥터의 구역에서 와이퍼에 부착되는 파이프를 통해 공급된다. 접속 인터페이스는 적절한 단부 피팅(end fitting)에 의해 기계식 커넥터에 고정되고 상기 기계식 커넥터와의 필수적인 시일을 제공한다.
액체를 위한 파이프와 접속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윈드스크린 와이퍼 홀더에 접속되고, 기계식 커넥터는 와이퍼에 접속되며, 와이퍼를 바꿀 때 접속 인터페이스를 기계식 커넥터에 접속할 필요가 있다. 이 작업은 서비스 위치라고 알려진 위치에서 행해진다.
기계식 커넥터에 설치 시에 접속 인터페이스가 정확히 얼라인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지 못하면, 부정확한 조립으로 인해 두개의 커넥터 사이의 접합점에서 윈드스크린 워셔 액이 누설될 우려를 초래한다.
또한, 와이퍼 홀더로부터 와이퍼를 분리 또는 해제 시에, 접속 인터페이스가 와이퍼 홀더에 부착된 채로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윈드스크린 와이퍼 홀더로부터 기계식 커넥터를 분리시키는 동작 시에 기계식 커넥터에 의해 접속 인터페이스가 휩쓸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와이퍼가 아암에 장착되었을 때, 기계식 커넥터에 대한 어댑터의 회전에서의 필요한 운동 자유도를 접속 인터페이스가 제한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이 목적을 위해, 종래에 알려진 윈드스크린 와이퍼에서는, 출원 WO201207274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와이퍼 홀더의 내측에서 중간 부품의 개구 속에 스냅 체결함으로써 서비스 위치에 접속 인터페이스가 유지된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와이퍼 홀더의 내측에서 이것이 수행되기 때문에, 어떤 사용자들은 와이퍼를 서비스 위치에 끼워 맞추는 것에 곤란을 겪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결점을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고치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와이퍼를 이동시키려는 와이퍼 홀더의 단부 부품, 접속 인터페이스 및 중간 부품을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립체는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단부 부품에 대해 자유로운 작동 위치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중간 부품에 의해 상기 단부 부품에 대해 배향된 방식으로 유지되는 서비스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라고 알려진 상기 중간 부품의 적어도 일부는, 작동 위치로부터 서비스 위치로 보내기 위해 회전될 수 있도록 접근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것들이 직관적인 레버 동작을 이용하기 때문에, 장착 작업은 더 용이하게 된다. 또한, 작동될 중간 부품, 즉 레버는 외측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기와 같이 함께 또는 따로따로 취해질 수 있다.
- 상기 조립체는, 상기 레버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요소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제1 스터드(stud) 및 다른 요소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스터드를 서비스 위치에 유지할 수 있으며,
- 상기 제1 스터드는 원통형이고,
-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버 상에 배치되며,
- 상기 하우징은 회전할 수 있고,
- 상기 하우징은 제1 받침대(abutment)를 획정하며,
- 상기 하우징은 후크(hook)이고,
- 상기 후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이며,
- 상기 후크는 개방되고 상기 레버와 함께 단일 부품(one piece)으로 제조되며,
- 상기 단부 부품 및/또는 상기 와이퍼 홀더는 서비스 위치에서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단부 부품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받침대를 획정하고,
-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받침대와 협력할 수 있는 외부의 지오메트리를 가지며,
- 상기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 커넥터 및/또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 상기 인터페이스는 작동 위치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와이퍼의 커넥터 상에서 이동 불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제1 스터드와는 상이한 제2 스터드이고,
- 상기 제2 스터드는 원통형이며 배우 형상(mating shape)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상기 배우 형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이며 와이퍼의 상기 커넥터의 일부를 이루고,
- 상기 인터페이스는 유압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를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위치로 이동시키는 핸들을 포함하고,
- 상기 핸들은 상기 와이퍼 홀더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 상기 핸들은 와이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상기 와이퍼 홀더의 면 상에 배치되고,
- 상기 레버는 작동 위치에서 핸들이 와이퍼 홀더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위치를 취하도록 구성되며,
- 상기 레버는 서비스 위치에서 핸들이 와이퍼 홀더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위치를 취하도록 구성되고,
- 단부 부품은 상기 레버가 통과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며,
- 상기 조립체는 단부 부품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와 상기 단부 부품 사이의 관절식 결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추가 부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립체를 포함하는 접속 장치, 상기 와이퍼에 고정되려는 커넥터 및 커넥터를 상기 와이퍼 홀더에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기와 같이 함께 또는 따로따로 취해질 수 있다.
- 상기 어댑터는 작동 위치에서 와이퍼 홀더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어댑터를 와이퍼 홀더 상에 유지하도록 상기 유지 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 어댑터는 제1 회전축의 둘레에서 어느 정도 피벗(pivot)하게 와이퍼 홀더 상에 장착되도록 커넥터에 접속되고,
-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 회전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배치되는 장착/해제 방향이라고 알려진 방향으로 와이퍼 홀더 상에 장착되게 구성되며,
- 상기 레버는 제2 회전축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2 축은 단부 부품의 일부를 이루며 제1 회전축에 평행하고,
- 유지 수단은 후퇴 방향이라고 알려진 방향으로 후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러그(lug)를 포함하고, 상기 후퇴 방향은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한 성분을 포함하며,
- 상기 러그는 와이퍼 홀더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슬롯의 내측에서 작동 위치에 수용될 수 있고,
- 상기 슬롯은 관통 슬롯이며,
- 상기 러그 및 상기 슬롯은 상기 러그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각각의 크기를 갖고,
-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후크를 포함하는 레버의 바디(body)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 상기 돌출부는 작동 위치에서 상기 러그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는 제3 받침대를 획정하고,
- 상기 돌출부는 후크의 구역에 배치되며,
- 상기 러그 및/또는 상기 슬롯은 서비스 위치에서 러그의 후퇴를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러그는 제각기 제1 회전축이 배치되는 구역에서 어댑터의 바디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생성되는 탭 상에 배치되며,
- 어댑터의 상기 탭은 상기 러그가 후퇴하게 하도록 굽혀지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퍼, 와이퍼 홀더 및 상기 와이퍼를 상기 와이퍼 홀더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들을 참조하여, 오직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지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한 다음의 상세하게 설명하는 기술로부터, 본 발명이 보다 이해되고,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상세사항, 특징 및 장점이 더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작동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형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투시도로서, 와이퍼 홀더의 단부 부품이 잘라내어져, 상기 시스템의 접속 인터페이스, 레버라고 알려진 중간 부품, 및 커넥터와 어댑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인터페이스를 작동 위치로부터 서비스 위치로 구동하기 위해 레버가 조작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와이퍼를 해제하는 동안의 선행 도면을 반복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서로 협력하는 인터페이스 및 레버 부분의 구역에서, 작동 위치에서의 선행 도면으로부터의 와이퍼 시스템의 접속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서비스 위치에 가까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작동 위치에서 선행 도면으로부터의 와이퍼 시스템의 접속 장치의 저면도로서, 단지 와이퍼 홀더, 어댑터 및 레버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시스템이 서비스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서 와이퍼를 해제하는 동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작동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의 다른 한 예시적 실시형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투시도로서, 와이퍼 홀더의 단부 부품 및 레버의 핸들이 잘라내어져, 상기 시스템의 접속 인터페이스, 상기 레버의 세부사항, 및 커넥터와 어댑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인터페이스를 작동 위치로부터 서비스 위치로 구동하기 위해 레버가 조작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서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와이퍼를 해제하는 동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서로 협력하는 인터페이스 및 레버 부분의 구역에서, 작동 위치에서의 도 9 내지 도 11로부터의 와이퍼 시스템의 접속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서비스 위치에 가까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서비스 위치에서의 상기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15는 작동 위치에서의 도 9 내지 도 14로부터의 와이퍼 시스템의 투시도이다.
다양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다음의 텍스트에서 단부 부품이라고 알려진 단부 부분 또는 아암 헤드(12)를 구비한 아암 또는 와이퍼 홀더(10)를 포함한다. 와이퍼 홀더(10)는 차량용 윈드스크린의 표면 위로 상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14)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와이퍼 시스템의 접속 장치의 기계식 커넥터(40) 및 어댑터(50)에 의해, 와이퍼(14)는 와이퍼 홀더(10)에 부착된다. 기계식 커넥터(40)는, 예컨대, 블레이드(14) 상에 클림핑되는 부품이다. 어댑터(50)는 커넥터(40)를 와이퍼 홀더(10)의 단부 부품(12)에 고정시킬 수 있는 중간 부품이다. 이러한 두개의 부품은, 윈드스크린에 직교하고 와이퍼 홀더(10)를 통과하는 평면에서 부품들의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하는 가로 핀에 의해 함께 접속된다.
이 가로 핀의 축(X)은 도 1 및 도 9에서 확인 가능하다. 상기 접속 장치의 접속 인터페이스(20)도 이 도 1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 접속 인터페이스(20)는, 와이퍼(14)에 윈드스크린 워셔 액 및/또는, 예컨대 상기 와이퍼(14)의 구조체를 가열할 수 있는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부 부품(12)은 접속 인터페이스(20) 및 중간 부품(30, 30')에 의해 조립체를 형성하며, 상기 조립체는 상기 인터페이스(20)가 상기 단부 부품(12)에 대해 자유로운 작동 위치 및 상기 인터페이스(20)가 상기 중간 부품(30, 30')에 의해 상기 단부 부품(12)에 대해 배향된 방식으로 유지되는 서비스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작동 위치는 와이퍼(14)가 와이퍼 홀더(10)에 결합되는 위치이다. 작동 위치에서, 인터페이스(20)는 단부 부품(12)에 대해 자유롭지만, 와이퍼(14)에 대해 유지된다.
서비스 위치는 와이퍼(14)가 와이퍼 홀더(10)로부터 분해되는 위치이다. 서비스 위치에서, 인터페이스(20)는 단부 부품(12)의 내측에서 배향된 방식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간 부품(30, 30')의 적어도 일부는 작동 위치로부터 서비스 위치로 보내기 위해, 특히 단부 부품(12)의 축(Y) 둘레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접근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외측으로부터 유리하게 조작 가능한 레버가 설치된다.
레버(30, 30')는 회전축(Y)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고, 단부 부품(12)의 일부를 이루며, 기계식 커넥터의 어댑터의 회전축(X)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50)는 상기 제1 회전축(X)에 직교하는 평면에 배치되는 장착/해제 방향이라고 알려진 방향(Z)으로 와이퍼 홀더(10) 상에 장착되게 구성된다.
도 1, 도 2,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접속 인터페이스(20) 상에 배치되는 제1 스터드(21) 및 레버라고 알려진 중간 부품(30, 30')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31, 31')도 확인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인터페이스(20)의 측면 상에서, 상기 인터페이스(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는 두개의 상기 제1 스터드(21)가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20)는 단부 부품(12)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스터드(21)는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31, 31')은, 특히 서비스 위치에서 상기 제1 스터드(21)를 유지할 수 있다. 이들은 레버(30, 30') 상에 배치되고, 이들 두개가, 상기 스터드(21)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레버(30, 30')처럼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터드(21)를 위한 제1 받침대(1)를 획정한다. 이 제1 받침대(1)는, 특히 해당 실시형태의 도 14에서 확인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31, 31')은 상기 레버(30, 30')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는 적어도 부분 원통형의 후크이다.
하우징(31, 31')은 인터페이스(20)와 레버(30, 30') 사이의 제1 받침대(1)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스터드(21)에 대한 다른 어떤 형태든 고려할 수 있고, 예컨대 평행 육면체형 또는 피라미드형일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스터드(21)가 특히 유리한 것은, 이들이 작동 위치로부터 서비스 위치까지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이행에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작동 위치에서,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20)가 유지되게 하는 특유의 형상을 갖는 커넥터(40)에 의해, 인터페이스(20)는 와이퍼(14)에 대해 유지된다. 이들은 접속 인터페이스(20)의 일부를 이루는 제2 스터드(22)와 협력하는 부분 원통형인 배우 형상(42)이다. 배우 형상(42)은 폐쇄되어 있지 않으며, 접속 인터페이스의 제2 스터드(22)의 각각이 자리잡고 그 안에 수용될 개구를 제각기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접속 인터페이스의 두개의 이러한 제2 스터드(22)가, 인터페이스(20)의 측면 상에서, 상기 인터페이스(20)의 연장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스터드(22)는 기계식 커넥터(40)에 대해 상기 제1 스터드(21)가 가질 수 있는 거리보다 더 가깝다.
주목할 것은, 작동 위치에서, 레버가 유리하게는 도 1 및 도 9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20)와 접촉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한편, 단부 부품(12)에 의해 획정되는 제2 받침대(2)를 도 14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 제2 받침대는, 특히 제1 원통형 스터드(21)의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20)가 상기 단부 부품(12)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제2 받침대(2)와 협력할 수 있는 상기 인터페이스(20)의 외부의 지오메트리(23)에 의해 가능해진다. 이 제2 받침대(2)는 와이퍼(14)를 단부 부품(12)으로부터 분리시킬 시에 상기 인터페이스(20)가 단부 부품(12)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2 받침대(2)는 인터페이스(20)에 대해, 특히 상기 인터페이스(20)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23)에 대해 지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23)은, 상기 제1 스터드에 대해 상기 인터페이스(20)의 말단 단부의 반대쪽인 상기 인터페이스(20)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위에 기술된 제1 및 제2 받침대(1, 2)의 도움으로 단부 부품(12)의 내측에서 상기 인터페이스(20)의 이중 고정이 생성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받침대 및 제2 받침대(1, 2)는, 접속 인터페이스(20) 상에서 배우 방식으로 제공되는 형상, 즉 제1 스터드(21) 및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23)을 갖고, 새로운 와이퍼를 장착하는 것이 더 쉬워지게 하도록 접속 인터페이스(20)를 배향시킬 수 있게 한다.
작동 위치로부터 서비스 위치로의 이행은, 특히 도 2 및 도 10에서 확인 가능하다.
서비스 위치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도 3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인터페이스(20)가 단부 부품(12)의 내측에서 레버(30, 30')의 후크(31, 31')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 관찰될 수 있다. 또한, 이 도면은 상기 인터페이스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23)에 의해, 단부 부품(12)의 내측에서의 인터페이스(20)의 제2 고정을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제2 스터드(22)가 커넥터(40)의 배우 형상(42)에 더 이상 맞물리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인터페이스(20)가 와이퍼(14)와 더 이상 결합되지 않는 것도 확인 가능하며, 어댑터(50)는 단부 부품(12)으로부터 분해되어 있다.
커넥터(40)를 와이퍼 홀더(10)에 부착하기 위한 커넥터(40) 및 어댑터(50)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립체를 포함한다.
도 6, 도 7 및 도 8은 상기 어댑터(50)를 도시한다. 이 어댑터(50)는 작동 위치에서 와이퍼 홀더(10)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51)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레버(30, 30')는 어댑터(50)를 와이퍼 홀더(10) 상에 유지하도록 상기 유지 수단(51)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작동 위치는 와이퍼 홀더(10)의 슬롯(11)에 맞물리는 어댑터(50)의 일부를 이루는 러그(51)에 의해 확보된다. 이러한 러그(51)는 아암(10)의 슬롯(1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한, 평행 육면체형, 원통형 또는 피라미드 형상 또는 다른 어떤 형상이든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상기 러그(51)가 있고, 각각은 어댑터(50)의 가요성 탭(flexible tab)(52)의 일부를 이룬다. 자세하게는, 어댑터(50)는 횡축(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와이퍼 홀더(10)를 향해 연장하는 두개의 가요성 탭(52)을 갖는다. 이러한 두개의 가요성 탭(52)은 횡축(X)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대칭적인 방식으로 어댑터(50)의 각각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슬롯(11)은 오목부(recess)이고, 바람직하게는 단부 부품(12)에 배치되는 관통 오목부(through-recess)이다. 슬롯(11)은 상기 러그(51)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오목부는 와이퍼 홀더(10)를 형성하는 동안에 직접적으로, 또는 예컨대 단부 부품(12) 상에서 국소적으로 수행되는 기계 가공 작업에 의한 후속 처리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슬롯(11)이 있고, 횡축(X)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대칭적인 방식으로 단부 부품(12)의 각각의 측부 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러그(51) 및 오목부(11)의 각각의 크기는, 이들을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서, 이들의 치수를 고려하고 오목부(11)의 치수를 고려하면, 특히 이들의 작은 단면 및/또는 단부 부품(12)의 벽의 큰 두께를 고려하면, 러그(51)는 사용자가 손으로 해제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후술하는 방식으로 상기 러그(51)를 슬롯(11)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도 4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고정 수단(3)의 상세도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조립체는 작동 위치에 있다. 상기 고정 수단(3)은 레버(30, 30')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3)는 작동 위치에서 상기 러그(51)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는 제3 받침대의 형태를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상기 받침대가 있고, 각각은 후크(31, 31')의 구역에 배치되며 후크(31, 31')처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그(51)는 후퇴 방향이라고 알려진 방향으로 후퇴 가능하고, 상기 후퇴 방향은 상기 제1 회전축(X)에 평행한 성분을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러그(51)는 어댑터(50)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생성되는 탭(52) 상에 배치된다. 이들의 후퇴는 어댑터(50)의 상기 탭(52)의 굽힘에 의해 이루어진다.
작동 위치에서, 돌출부(3)는 상기 탭(52)에 대해 접합하게 되고, 이들이 후퇴 방향으로 굽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저면도이며, 유지 수단(51)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단지 와이퍼 홀더(10), 어댑터(50) 및 레버(30, 30')만 도시되어 있다.
레버(30, 30')는 제3 받침대(3)를 해제하도록 제2 회전축(Y)에 대해 피벗되었다.
도 5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고정 수단(3)의 상세도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조립체는 서비스 위치에 가깝다. 이 도면에서, 특히, 돌출부(3)는 어댑터(50)의 탭(52)의 굽힘을 더 이상 방지하지 않고, 돌출부(3)는 상기 탭(52)에 대해 더 이상 접합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한 저면도이며, 유지 수단(3)은 단부 부품(12) 속으로 후퇴되어 있고, 단지 와이퍼 홀더(10), 어댑터(50) 및 레버(30)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50)가 와이퍼 홀더(10) 상에 장착되게 구성되는 장착/해제 방향이라고 알려진 방향(Z)을 이 도면에서 확인 가능하다. 도 8에서, 이 방향(Z)에 의해 주어지는 방향은, 어댑터(50)를 상기 단부 부품(12)으로부터 해제하는 방향이다. 상기 방향(Z)은 도 3 및 도 11에서도 표시되어 있다.
상기 러그(51) 및 상기 슬롯(11)은, 서비스 위치에서 상기 러그의 후퇴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자세하게는, 서로 해제되게 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형상은, 예컨대, 모따기(chamfer)와 같은 경사면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위치와 서비스 위치 사이에서의 형상은, 어댑터(50)의 탭(52)이 후퇴 방향으로 굽혀지게 함으로써, 러그(51)를 와이퍼 홀더(12)의 슬롯(11)으로부터 해제하기가 더 쉬워지게 하도록 작용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러그(51)는 이들의 작은 크기를 고려하면 손으로 접근 가능하지 않다. 예컨대, 단부 부품(12)에 대한 상기 레버(30, 30')의 회전인 단일 동작만으로 고정 수단의 해제를 허용할 수 있고, 따라서 어댑터(50)와 아암(12)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후 러그(51)는 아암(10)의 슬롯(11)을 떠나기가 자유로워진다.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는 온보드 세척 기능 (on-board washing function)을 갖는 와이퍼(14) 및/또는 그것의 구조체를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의 유압 및/또는 전기 접속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와이퍼(14)를 와이퍼 홀더(10)로부터 분해 시에 단일 동작으로 와이퍼 홀더(10)로부터 와이퍼(14)를 유압 및/또는 전기 접속 및 분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 설명의 제1 부분은, 작동 위치로부터 서비스 위치로 이행 시에, 특히 접속 인터페이스의 제1 러그(21)를 유지하는 레버(30, 30')를 설명하며, 서비스 위치는 와이퍼(14)와 와이퍼 홀더(10)를 분해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대응하고, 이후 접속 인터페이스(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20)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23)과 협력하는 제2 받침대(2)에 의해 와이퍼 홀더에 대한 배향된 방식으로 유지된다.
이 설명의 제2 부분은, 작동 위치에서, 즉 와이퍼(14)와 와이퍼 홀더(10)가 조립되어 있을 때, 접속 인터페이스(20)가 커넥터(40)에 의해 와이퍼(14) 상에 유지되지만, 와이퍼(14)가 축(X) 둘레에서 와이퍼 홀더(1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설명의 제3 부분은, 어댑터(50)의 역할을 설명하며, 가요성 탭(52)은 와이퍼 홀더(10)의 내측, 더 자세하게는 와이퍼 홀더(10)의 단부 부품(12)의 내측에 유지하는 러그(51)를 구비한다. 이 제3 부분에서, 레버(30, 30')의 상호 보완적 기능, 즉 작동 위치에서의 상기 러그(51)의 고정 기능이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이 설명을 완료하기 위해, 주목해야 할 것은, 레버(30, 30')가 와이퍼 홀더(10)의 단부 부품(12)에 대해 회전되었을 때, 분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작동 위치로부터 서비스 위치로 보내지게 조작될 수 있도록, 레버(30, 30')의 적어도 한 부분이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해진다. 예컨대, 이 부분은 레버(30, 30')의 핸들(35, 35')을 형성한다.
상기 핸들(35, 35')은 상기 와이퍼 홀더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와이퍼(14)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려는 와이퍼 홀더(10)의 면 상에 배치된다. 이 핸들(35, 35')은, 작동 위치에서 와이퍼 홀더(1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위치를 취하고, 서비스 위치에서 와이퍼 홀더(10)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위치를 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핸들(35)은 와이퍼 홀더(10)의 단부 부품(12)의 단지 일부만 덮는다. 또한, 작동 위치에서, 핸들(35)의 말단 부분은 와이퍼 홀더(10)를 향한다.
서비스 위치로 보내기 위해서는, 도 2에서 화살표 A로 나타낸 반시계 방향으로 원의 4분의 1에 걸쳐 레버(3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것은 동일하게 원의 4분의 1에 걸쳐 후크(31)가 회전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후크(31)는 제1 스터드(21)를 유지하고, 러그(51)가 와이퍼 홀더(10)의 단부 부품(12)에 설치된 슬롯(11)으로부터 해제되도록 가요성 탭(52)의 고정을 푼다. 이후, 사용자는 방향(Z)의 와이퍼(14) 상의 길이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와이퍼(14)를 와이퍼 홀더(10)로부터 분해할 수 있고, 그러한 와이퍼 조립체의 접속 인터페이스(20)는 단부 부품(12) 내에 유진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한다.
도 9 내지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핸들(35')은 와이퍼 홀더(10)의 단부 부품(12), 커넥터(40) 및 어댑터(50)를 덮는 것이다. 이때, 핸들(35')은 와이퍼(14)에 클립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덮개 캡이다. 또한, 작동 위치에서, 핸들(35')의 말단 부분은 와이퍼 홀더(10)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한다.
서비스 위치로 보내기 위해서는, 도 10에서 화살표 B로 나타낸 시계 방향으로 원의 4분의 1에 걸쳐 레버(3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것은 동일하게 원의 4분의 1에 걸쳐 후크(31')가 회전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후크(31')는 제1 스터드(21)를 유지하고, 러그(51)가 와이퍼 홀더(10)의 단부 부품(12)에 제공된 슬롯(11)으로부터 해제되도록 가요성 탭(52)의 고정을 푼다. 그러면, 사용자는 방향(Z)의 와이퍼(14) 상의 길이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와이퍼(14)를 와이퍼 홀더(10)로부터 분해할 수 있고, 와이퍼 조립체의 접속 인터페이스(20)는 단부 부품(12) 내에 유지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한다.
두개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서비스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행은 역작업으로 수행된다.
위에 기술된 예에서 주목할 것은, 특히 도 3 및 도 11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접속 인터페이스(20)는 유압 커넥터(61) 및 전기 커넥터(62)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20)는 유압 커넥터(61)를 전기 커넥터(62)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고정 수단은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음).
여기에서, 제1 러그 및 제2 러그(21, 22)는 유압 커넥터(61) 상이 아니라 전기 커넥터(62) 상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들을 유압 커넥터 상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주목해야 할 것은, 다른 변화적 실시형태들도 물론 가능하다는 점이다. 특히, 또 고려할 수 있는 것은, 추가적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립체의 제1 러그 및 제2 러그가 레버(30, 30') 상에 배치되고, 받침대들은 이들의 부분이 인터페이스(20) 상에 배치된다는 점이다.
또 주목해야 할 것은, 단부 부품(12)은 상기 레버(30, 30')가 통과할 윈도우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전술한 조립체는 단부 부품(12)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30, 30')와 상기 단부 부품(12) 사이의 관절식 결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추가 부품(70)을 포함한다.

Claims (20)

  1.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와이퍼(14)를 이동시키려는 와이퍼 홀더(10)의 단부 부품(12), 접속 인터페이스(20) 및 중간 부품(30, 30')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인터페이스(20)가 상기 단부 부품(12)에 대해 자유로운 작동 위치 및 상기 인터페이스(20)가 상기 중간 부품(30, 30')에 의해 상기 단부 부품(12)에 대해 배향된 방식으로 유지되는 서비스 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레버 (30, 30')라고 알려진 상기 중간 부품의 적어도 일부는 작동 위치로부터 서비스 위치로 보내기 위해 회전될 수 있도록 접근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0, 30') 및 상기 인터페이스(20)를 포함하는 요소들 중 하나에 배치되는 적어도 제1 스터드(stud) 및 다른 요소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구비하며, 하우징은 상기 제1 스터드를 서비스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것인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 31')은, 상기 레버(30, 30') 상에 배치되는 것인 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 31')은, 회전 가능한 것인 조립체.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 31')은, 제1 받침대(abutment)(1)를 획정하는 것인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품(12) 및/또는 상기 와이퍼 홀더(10)는, 서비스 위치에서 상기 인터페이스(20)가 상기 단부 부품(12)의 내측에서 피벗(pivot)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받침대(2)를 획정하는 것인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20)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 커넥터(61) 및/또는 전기 커넥터(62)를 포함하는 것인 조립체.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0, 30')는, 상기 레버(30, 30')를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35, 35')을 포함하는 것인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35, 35')은, 와이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려는 상기 와이퍼 홀더(10)의 면 상에 배치되는 것인 조립체.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부 부품(12)은, 상기 레버(30, 30')가 통과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인 조립체.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부 부품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30, 30')와 상기 단부 부품(12) 사이의 관절식 결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추가 부품(70)을 포함하는 것인 조립체.
  12.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을 위한 접속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체, 상기 와이퍼(14)에 고정되는 커넥터(40) 및 이 커넥터(40)를 상기 와이퍼 홀더(10)에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50)를 포함하는 것인 접속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50)는 작동 위치에서 와이퍼 홀더(10)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30, 30')는 작동 위치에서 어댑터(50)를 와이퍼 홀더(10) 상에 유지하도록 상기 유지 수단(51)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어댑터(50)는 제1 회전축(X) 둘레에서 어느 정도 피벗하게 와이퍼 홀더 상에 장착되도록 커넥터(40)에 접속되고, 상기 어댑터(50)는 상기 제1 회전축(X)에 직교하는 평면에 배치되는 장착/해제 방향이라고 알려진 방향(Z)으로 와이퍼 홀더(10) 상에 장착되게 구성되는 것인 접속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0, 30')는 제2 회전축(Y)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2 축(Y)은 단부 부품(12)의 일부를 이루며 제1 회전축(X)에 평행한 것인 접속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유지 수단은 후퇴 방향이라고 알려진 방향으로 후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러그(lug)(51)를 포함하고, 상기 후퇴 방향은 상기 제1 회전축(X)에 평행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51)는, 와이퍼 홀더(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11)의 내측에서 작동 위치에 수용 가능한 것인 접속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레버(30, 30')의 바디(body)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3)는 작동 위치에서 상기 러그(51)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는 제3 받침대를 획정하는 것인 접속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51) 및/또는 상기 슬롯(11)은, 서비스 위치에서 러그(51)의 후퇴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접속 장치.
  20. 와이퍼(14), 와이퍼 홀더(10) 및 상기 와이퍼(14)를 상기 와이퍼 홀더(10)에 부착하기 위한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속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
KR1020140057130A 2013-05-13 2014-05-13 윈드스크린 와이퍼용 유압 및/또는 전기 접속 인터페이스 KR20140134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4274 2013-05-13
FR1354274A FR3005441B1 (fr) 2013-05-13 2013-05-13 Interface de connexion hydraulique et/ou electrique pour balai d’essuie-gl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240A true KR20140134240A (ko) 2014-11-21

Family

ID=4897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130A KR20140134240A (ko) 2013-05-13 2014-05-13 윈드스크린 와이퍼용 유압 및/또는 전기 접속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566950B2 (ko)
EP (1) EP2808207B1 (ko)
JP (1) JP2015006869A (ko)
KR (1) KR20140134240A (ko)
CN (1) CN104210461B (ko)
BR (1) BR102014011516A2 (ko)
FR (1) FR3005441B1 (ko)
MX (1) MX344307B (ko)
PL (1) PL2808207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5882A1 (ko) * 2015-12-28 2017-07-06 고수연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06427910B (zh) * 2016-12-07 2019-07-26 丹阳镇威汽配有限公司 一种雨刮连接器
CN106965775B (zh) * 2017-03-21 2023-08-11 北京理工大学 一种抗腐蚀雨刷器及操作方法
US11465590B2 (en) 2017-07-28 2022-10-11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CN111051154B (zh) 2017-07-28 2023-09-12 电缆塔制造有限公司 挡风玻璃擦拭器连接器和组件
DE102019212235A1 (de) * 2019-08-15 2021-02-18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ervorrichtung
DE102020216568A1 (de) * 2020-12-23 2022-06-23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ischervorrichtung, fluidisches Koppelelement und Verfahren zur Montage der Wischer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6343A (en) * 1939-04-03 1940-07-02 Zaiger Max Wiper blade attachment
US2974341A (en) * 1956-09-24 1961-03-14 Gen Motors Corp Connector for windshield wiper blade
DE4415065A1 (de) * 1994-04-29 1995-11-02 Teves Gmbh Alfred Windleitschaufel für ein Wischblatt einer Scheibenwischervorrichtung
DE10000372B4 (de) * 2000-01-07 2016-10-06 Valeo Auto-Electric Wischer Und Motoren Gmbh Wischleiste für ein Wischblatt sowie Wischblatt
DE102004056835B4 (de) * 2004-11-25 2018-02-15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blatt
DE102008049269B4 (de) * 2008-09-26 2020-08-27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arm/Wischblatt-Verbindung sowie Wischblatt
FR2968256B1 (fr) * 2010-12-02 2016-08-05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eur hydraulique pour balai d'essuie-glace a bouton escamotable
ES2431615T3 (es) 2010-12-02 2013-11-27 Valeo Systemes D'essuyage Conector hidráulico para una rasqueta de limpiaparabrisas
FR2968258B1 (fr) * 2010-12-02 2016-08-05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eur hydraulique pour balai d'essuie-glace a guidage par bras longitudinal
DE102010056366A1 (de) * 2010-12-29 2012-07-05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und Wischar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5882A1 (ko) * 2015-12-28 2017-07-06 고수연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US10953854B2 (en) 2015-12-28 2021-03-23 Gos Co. Ltd. Wiper blade adapt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10461A (zh) 2014-12-17
MX344307B (es) 2016-12-13
EP2808207A1 (fr) 2014-12-03
CN104210461B (zh) 2018-04-10
BR102014011516A2 (pt) 2016-01-05
MX2014005770A (es) 2014-11-21
EP2808207B1 (fr) 2016-09-07
JP2015006869A (ja) 2015-01-15
US20140331435A1 (en) 2014-11-13
FR3005441B1 (fr) 2015-05-29
US9566950B2 (en) 2017-02-14
PL2808207T3 (pl) 2017-06-30
FR3005441A1 (fr) 2014-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4240A (ko) 윈드스크린 와이퍼용 유압 및/또는 전기 접속 인터페이스
JP6445782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拭きシステムを構築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およびこのアセンブリを含む接続デバイス
US9908510B2 (en) Hydraulic and/or electrical connection interface for windscreen wiper
US9003594B2 (en) Bolt built into a connector of a wiper arm for an on-board washing line
US9908511B2 (en) Windscreen wiper fixing device and wiping system comprising said fixing device
JP2013544213A (ja) 垂直方向摺動支持を有する風防ガラスワイパブレード用の液圧コネクタ
US20130298348A1 (en) Assembly comprising an end piece of a windshield wiper arm and an electrical connector
KR20140145080A (ko) 앞유리 와이퍼 시스템을 위한 암 헤드와 어댑터 조립체, 상응하는 암 어댑터 및 상응하는 암 헤드 그리고 와이퍼 시스템
US20160190729A1 (en) End-position fixing of a plug-in connection for increasing the vibration resistance
CN105209305A (zh) 擦拭器刮片和驱动臂之间的连接器
US9821773B2 (en) Connecting assembly for a windscreen wiper blade
JP6403986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拭きシステムを構築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およびこのアセンブリを含む接続デバイス
FR2992609A1 (fr) Connecteur hydraulique pour balai d'essuie-g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