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154A -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154A
KR20140134154A KR1020130053932A KR20130053932A KR20140134154A KR 20140134154 A KR20140134154 A KR 20140134154A KR 1020130053932 A KR1020130053932 A KR 1020130053932A KR 20130053932 A KR20130053932 A KR 20130053932A KR 20140134154 A KR20140134154 A KR 20140134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bjects
extracting
image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3611B1 (ko
Inventor
오유미
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플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플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플랩
Priority to KR20130053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611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은 단위객체 추출부가 이미지에서 픽셀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단위객체를 추출하는 제1 단계; 단위객체 추출부가 상기 단위객체를 표시부를 통해서 표시하는 제2 단계; 객체 설정부가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위객체들 중에서 입력부를 통해서 둘 이상의 단위객체들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객체 설정부가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단위객체들을 조합하여 객체로 결정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기{Method and Terminal for Extracting a Object from Image}
본 발명은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객체를 그룹화함으로써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많은 디지털 콘텐츠가 정보화되어 축적되고 저장된다.
텍스트/음성/영상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가장 큰 장점 중에 하나는 사용자가 컴퓨터 환경에서 얼마든지 재가공하는 것이 수월하다는 것이다. 예컨대, 문서로 된 텍스트 파일은 문서 편집기를 이용하여 쉽게 편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미지 콘텐츠도 편집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일부 또는 전체를 편집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을 더욱 폭넓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면에서는 콘텐츠가 수없이 재가공되고 전송되는 과정에서 콘텐츠의 원본이 불분명해지고 콘텐츠의 제목도 변경되기 때문에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도 더욱 어렵게 된다. 특히, 이미지 콘텐츠는 텍스트 파일과 같이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미지 콘텐츠 검색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는 이미지 콘텐츠 검색을 기반으로 인터넷 검색 용도 및 기능을 늘리기 위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지만, 아직은 그 효율성이 아직 미미한 편이다. 특히나, 현재에는 이미지 검색을 위한 객체를 특정하는 방안에 대한 대비책이 취약한 상태이다.
예컨대, 텍스트를 검색하는 방안은 하나의 완성된 키워드 이외에 키워드의 조합을 통한 검색방안이 있지만, 이미지 콘텐츠를 검색하는 과정에서는 검색방법이 매우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미지 검색방법의 효율을 위해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은 단위객체 추출부가 이미지에서 픽셀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단위객체를 추출하는 제1 단계; 단위객체 추출부가 상기 단위객체를 표시부를 통해서 표시하는 제2 단계; 객체 설정부가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위객체들 중에서 입력부를 통해서 둘 이상의 단위객체들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객체 설정부가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단위객체들을 조합하여 객체로 결정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서, 입력부는 표시부에 결합되는 터치패널을 이용하고, 제3 단계는 객체 설정부가 터치패널 상의 드래그 영역 내에 단위객체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단계는 객체 설정부가 터치패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터치 동작이 있을 때에, 터치 지점에 단위객체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계에서 둘 이상의 단위객체의 선택 동작이 없을 경우에, 객체 설정부가 각각의 단위객체들을 객체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3 단계에서 객체를 결정한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객체 및 단위객체들의 선택이 있을 경우에, 객체 설정부가 객체 및 단위객체를 그룹화하여 새로운 객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단계에서 객체를 결정한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객체들의 선택이 있을 경우에, 객체 설정부가 객체들을 그룹화하여 객체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기능을 갖는 단말기는 이미지에서 픽셀 간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단위객체를 추출하고, 단위객체를 표시부를 통해서 표시하는 단위객체 추출부;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위객체들을 하나 이상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부에 결합되는 터치패널 또는 컴퓨터용 마우스 장치를 이용하는 입력부; 및 입력부를 통해서 선택되는 단위객체들을 객체로서 결정하는 객체 설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이미지에서 픽셀 정보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단위객체를 추출하고,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선택되는 단위객체를 기반으로 객체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이미지 검색을 위한 객체를 쉽고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간편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단위객체-단위객체, 단위객체-객체, 객체-객체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텍스트의 검색어 조합과 유사하게 이미지의 결합을 통해서 효율적이고 정확한 검색을 위한 이미지의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객체추출 기능을 갖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객체추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단위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 내지 도 6은 단위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7은 단위객체 및 객체를 그룹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객체 및 객체를 그룹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단위객체를 추출하는 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0은 단위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객체 추출 기능을 갖는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기(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테블릿 PC와 같이, 응용프로그램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이미지를 디지털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부(130)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특히 이미지로부터 단위객체를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제공수단이 되기도 한다. 즉, 표시부(13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패널(132)과 결합하여, 표시부(130)를 통해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픽셀을 터치패널(132)을 통해서 선택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단위객체를 추출하고, 선택되는 단위객체를 그룹화하여 객체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단말기(100)가 기본적으로 보유한 하드웨어인 프로세서 칩과 그 칩에 의해 동작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기능은 프로세서 칩에 의해 수행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과, 그 OS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설치(Install)되어 단말기(100) 내부의 하드웨어 구성을 제어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에 의해 수행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40)의 객체 추출부(142)를 포함하는 일부 구성이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서 메모리(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를 중심으로 하는 제어부(140)의 구성인 객체 추출부(142)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객체 추출부(142)는 이미지에서 배경과 구분되는 전경을 객체로서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객체 추출부(142)는 단위객체 추출부(144) 및 객체 설정부(146)를 포함한다.
단위객체 추출부(144)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에서 유사도가 강한 픽셀들을 단위객체로 그룹화하고, 각각의 단위객체들을 표시부(130)를 통해서 표시한다. 이때, 단위객체 추출부(144)는 픽셀 간의 거리를 고려한 색상 유사도를 기준으로 단위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단위객체 추출부(144)가 단위객체를 추출하는 세부적인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객체 설정부(146)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단위객체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는 단위객체를 그룹화하여 객체로 결정한다. 또한, 객체 설정부(146)는 단위객체와 객체를 그룹화할 수 있고, 객체와 객체를 그룹화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객체 추출부(142)을 이용하여 메모리(130)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을 도 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단위객체 추출 및 표시 : S201 >
단위객체 추출부(144)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검색서버(미도시)로부터 전송받은 원본이미지에서 단위객체를 추출한다. 단위객체는 이미지에서 관련성을 갖는 픽셀들이 조합된 부분 이미지로서, 색상의 유사도를 기준으로 조합된 픽셀들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객체 추출부(144)는 도 3에서와 같이, 추출된 제1 내지 제3 단위객체(401,402,403)를 표시부(130)를 통해서 표시하며, 단위객체 추출부(144)는 제1 내지 제3 단위객체들(401,402,403)의 최외곽 픽셀들을 제1 내지 제3 단위객체들(401,402,403) 단위객체(401,402,403)의 테두리로 표현할 수 있다.
< 선택되는 단위객체들을 객체로 설정 : S203, S205 >
객체 설정부(146)는 S201 단계에서 표시부(130)에 표시된 제1 내지 제3 단위객체들(401,402,403) 중에서 선택되는 단위객체를 조합하여 객체로 설정한다.
이를 위해서 객체 추출부(142)는 터치패널(132)에 접촉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는 단위객체를 확인한다. 즉, 객체 설정부(146)는 터치패널(132)에서 접촉지점의 픽셀이 제1 내지 제3 단위객체들(401,402,403)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픽셀이 제1 내지 제3 단위객체들(401,402,403)에 포함될 경우에 접촉지점의 단위객체를 객체의 일부로 판단한다. 예컨대, 도 4에서 도시된 예에서, ⓐ지점에 접촉 동작이 행해진 경우에, 객체 설정부(146)는 제1 단위객체(401)를 객체에 포함되는 단위객체라고 간주한다. 그리고 ⓑ지점과 같이 제1 내지 제3 단위객체들(401,402,403)에 포함되는 영역이 아닌 픽셀에 접촉 동작이 행해진 경우에, 객체 설정부(146)는 해당 접촉 동작을 무시한다. 또한, 객체 설정부(146)는 한 지점에 대한 접촉 동작뿐만 아니라 드래그 동작에 의해서 연속적인 픽셀들의 접촉 동작이 수행될 때에, 각각의 접촉 동작에 대응하는 픽셀들이 단위객체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객체 설정부(146)는 둘 이상의 단위객체들이 선택될 경우에 선택되는 복수 개의 단위객체들을 조합하여 객체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객체를 그룹화하여 객체를 결정하는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제1 실시 예 - 드래그 동작을 통한 단위객체의 그룹화
도 4에서와 같이, ⓐ지점에 터치 동작이 행해진 경우에, 객체 설정부(146)는 제1 단위객체(401)를 객체의 조합에 포함되는 단위객체라고 간주한다.
이어서, 도 5와 같이, ⓐ지점에서 ⓒ지점으로 드래그 동작이 행해진 경우에, 객체 설정부(146)는 드래그 동작에 의해서 접촉되는 픽셀들을 포함하는 단위객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드래그 영역에 포함되는 단위객체들을 그룹화하여 객체(410)로 결정한다. 즉, 도 5에서와 같은 드래그 동작이 행해지면, 객체 설정부(146)는 제1 내지 제3 단위객체들(401,402,403)을 조합하여 제1 객체(410)로 설정한다.
만약 이러한 과정에서 객체 설정부(146)는 드래그 동작에서 선택되는 픽셀이 제1 내지 제3 단위객체들(401,402,403)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 해당 픽셀 영역은 무시한다.
* 제2 실시 예-클릭 동작을 통한 단위객체의 그룹화
도 6은 단위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객체 설정부(146)는 도6 에서와 같이, 터치패널(132)상에 클릭되는 동작을 바탕으로 제1 내지 제3 단위객체들(401,402,403)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지점, ⓑ지점 및 ⓒ지점에 대해서 개별적인 클릭 동작이 수행되면, 객체 설정부(146)는 ⓐ지점, ⓑ지점 및 ⓒ지점의 픽셀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3 단위객체들(401,402,403)를 조합하여 제1 객체(410)를 설정한다.
* 제3 실시 예-객체와 단위객체의 그룹화
제1 및 제2 실시 예에 의해서 선택된 단위객체를 바탕으로 객체를 설정한 객체 설정부(146)는 추가적으로 선택되는 단위객체를 조합하여 객체를 재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단위객체들(401,402,403)를 그룹화하여 제1 객체(410)를 결정한 상태에서, 객체 설정부(146)는 추가적인 단위객체가 선택될 경우에 해당 단위객체를 포함하는 새로운 객체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서와 같이 제1 실시 예의 방법과 같이 ⓔ지점에서 ⓕ지점으로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어서 제1 객체(410)와 제4 단위객체(404)가 선택되면, 객체 설정부(146)는 제1 객체(410) 및 제4 단위객체(404)를 그룹으로 하는 제2 객체(420)를 설정한다.
이때, 객체 설정부(146)는 드래그 동작이 아닌 제1 객체(410) 및 제4 단위객체(404)를 클릭하는 동작에 대해서도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2 객체(420)를 설정할 수 있다.
* 제4 실시 예-객체와 객체의 그룹화를 통한 객체쌍 설정
객체 설정부(146)는 제1 내지 제3 실시 예를 통해서 설정한 객체들을 그룹화하여 객체쌍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서와 같이, 제1 객체(410) 및 제3 객체(430)를 드래그 동작으로 선택하였을 때에, 객체 설정부(146)는 제1 객체(410) 및 제3 객체(430)를 포함하는 객체쌍(450)을 설정한다.
이때, 객체 설정부(146)는 드래그 동작이 아닌 제1 객체(410) 및 제3 객체(430)를 클릭하는 동작을 통해서도 객체쌍(450)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객체 설정부(146)는 드래그 동작 과정에서 객체 또는 단위객체가 아닌 픽셀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해당 픽셀 영역을 무시한다.
이와 같은 객체쌍(450)은 동일한 형태의 객체를 그룹화하여 복수 객체를 단일의 객체쌍으로 선택하거나, 서로 다른 형태의 객체들을 그룹화하여 쌍이 되는 객체들의 조합으로 객체쌍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즉, 객체쌍(450)은 객체가 복수 개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이나, 찻잔과 받침대 또는 숟가락과 젓가락 등과 같이 쌍으로 구성되는 객체의 검색을 위한 조건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S203 단계에서, 복수 개의 단위객체들이 선택되지 않는다면, 객체 설정부(146)는 제1 내지 제3 단위객체들(401,402,403)을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객체 추출부(142)는 단위객체들을 그룹화하여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단위객체들(401,402,403)는 원본 이미지에서 유사도를 기반으로 추출될 수 있고, 일례로 색상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단위객체를 추출하는 방법을 도 9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픽셀 간의 결합력 산출 : S901 >
원본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해서 단위객체 추출부(144)는 먼저 색상 유사도를 기준으로 이미지를 분할한다. 이때 단위객체 추출부(144)는 픽셀 간의 거리에 따른 색상 유사도를 근거로 산출되는 '결합력'을 기준으로 원본 이미지를 분할한다. 결합력은 대비되는 두 개의 픽셀 간의 결합 정도에 관한 상대적인 값으로서 동일한 객체에 속할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색상유사도'는 대비되는 픽셀 쌍에 포함된 두 개 픽셀의 색상 값의 유사도를 나타낸다. '픽셀간거리'는 픽셀 쌍에 포함된 두 개 픽셀 간의 상대적 거리를 나타낸다. 즉, 결합력은 두 개 픽셀의 색상이 유사하고 두 픽셀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큰 값을 갖는 픽셀 쌍의 결합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와 같은 결합력을 구하기 위해서 단위객체 추출부(144)는 원본 이미지에서 두 개의 픽셀로 이루어지는 픽셀 쌍을 선택한다. 단위객체 추출부(144)가 픽셀 쌍을 선택하는 방법은 조합가능한 모든 픽셀 쌍을 선택하거나,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픽셀들에 한해서 픽셀 쌍을 선택할 수 있다.
< 결합력이 기준치 이상인 픽셀들을 조합하여 단위객체로 결정 : S902 >
S902 단계에서 계산한 결합력을 바탕으로 단위객체 추출부(144)는 두 개의 픽셀 조합인 픽셀 쌍 각각에 대한 결합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합력이 일정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픽셀들을 조합하여 단위객체로 설정한다. 이때 기준값은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단위객체 추출부(144)는 색상이 크게 다르거나 서로 간의 거리가 멀리 배치된 픽셀 쌍은 배제하고, 결합력이 강한 픽셀 쌍들을 연계함으로써 단위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단위객체 추출부(144)는 도 10에서와 같이, 원본 이미지를 P1~P7의 픽셀, P8~P13의 픽셀, P14~P18의 픽셀 및 P19~P20의 픽셀끼리 조합하여 단위객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단위객체 추출부(144)는 결합력이 강하다고 할지라도 단위객체에 포함되는 픽셀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적을 경우에는, 해당 단위객체를 표시부(130)에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P19~P20의 픽셀들은 서로 색상 유사성이 강하더라도 표시부(130)에 단위객체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단말기(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전제로 하여, 표시부(130)에 터치패널(132)이 결합된 단말기에 대해서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른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로도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할 경우에, 객체 추출부(142)는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에 설치될 수 있고,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이미지에서 픽셀들을 선택받기 위한 터치패널(132)은 컴퓨터용 마우스 장치를 이용하여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객체 추출을 위한 객체 추출부(142)는 검색기능을 갖는 서버의 구성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서버는 단말기(100)에 저장되는 이미지 또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에서 단위객체를 추출하여, 추출된 단위객체를 단말기(100)의 표시부(130)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마우스장치 또는 터치패널(132)을 이용하여 픽셀을 선택하고, 서버는 단말기가 선택한 픽셀이 단위객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객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 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Claims (7)

  1.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단위객체 추출부가 이미지에서 픽셀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단위객체를 추출하는 제1 단계;
    상기 단위객체 추출부가 상기 단위객체를 표시부를 통해서 표시하는 제2 단계;
    객체 설정부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단위객체들 중에서 입력부를 통해서 둘 이상의 단위객체들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객체 설정부가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단위객체들을 조합하여 객체로 결정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표시부에 결합되는 터치패널을 이용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객체 설정부가 상기 터치패널 상의 드래그 영역 내에 상기 단위객체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객체 설정부가 상기 터치패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접촉 동작이 있을 때에, 상기 접촉지점에 상기 단위객체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둘 이상의 단위객체의 선택 동작이 없을 경우에,
    상기 객체 설정부가 각각의 상기 단위객체들을 객체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객체를 결정한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객체 및 상기 단위객체들의 선택이 있을 경우에,
    상기 객체 설정부가 상기 객체 및 상기 단위객체를 그룹화하여 새로운 객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객체를 결정한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객체들의 선택이 있을 경우에,
    상기 객체 설정부가 상기 객체들을 그룹화하여 객체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
  7.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서,
    이미지에서 픽셀 간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단위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단위객체를 표시부를 통해서 표시하는 단위객체 추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단위객체들을 하나 이상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표시부에 결합되는 터치패널 또는 컴퓨터용 마우스 장치를 이용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서 선택되는 상기 단위객체들을 객체로서 결정하는 객체 설정부;를 구비하는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기능을 갖는 단말기.
KR20130053932A 2013-05-13 2013-05-13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기 KR101483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3932A KR101483611B1 (ko) 2013-05-13 2013-05-13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3932A KR101483611B1 (ko) 2013-05-13 2013-05-13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154A true KR20140134154A (ko) 2014-11-21
KR101483611B1 KR101483611B1 (ko) 2015-01-21

Family

ID=5245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3932A KR101483611B1 (ko) 2013-05-13 2013-05-13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6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121B1 (ko) 2019-10-30 2020-02-19 주식회사 뉴로메카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물체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80145B1 (ko) 2019-10-30 2020-02-24 주식회사 뉴로메카 오토 엔코더의 잠재 변수 사전을 이용한 물체 자세 추정 방법 장치
KR102177445B1 (ko) 2020-02-17 2020-11-11 주식회사 뉴로메카 오토 엔코더의 잠재 변수 사전을 이용한 물체 자세 추정 방법 장치
KR20210052138A (ko)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뉴로메카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물체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4061A (en) * 1996-06-26 1998-07-21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apsing and expanding selected regions on a work space of a computer controlled display system
US5861886A (en) * 1996-06-26 1999-01-19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ing graphic objects on a computer based system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5155250B2 (ja) 2009-05-29 2013-03-06 セコム株式会社 対象物検出装置
JP5567448B2 (ja) * 2010-10-15 2014-08-06 Kddi株式会社 画像領域分割装置、画像領域分割方法および画像領域分割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121B1 (ko) 2019-10-30 2020-02-19 주식회사 뉴로메카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물체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80145B1 (ko) 2019-10-30 2020-02-24 주식회사 뉴로메카 오토 엔코더의 잠재 변수 사전을 이용한 물체 자세 추정 방법 장치
KR20210052138A (ko)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뉴로메카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물체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177445B1 (ko) 2020-02-17 2020-11-11 주식회사 뉴로메카 오토 엔코더의 잠재 변수 사전을 이용한 물체 자세 추정 방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611B1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5195B (zh) 移动设备上的改进的拖放操作
JP638447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6484266A (zh) 一种文本处理方法及装置
JP594884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5897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200073903A1 (en) Method and device of tagging links included in a screenshot of webpage
CN107368550B (zh) 信息获取方法、装置、介质、电子设备、服务器及系统
US9411839B2 (en) Index configuration for searchable data in network
CN102520843A (zh) 一种采集图像作为候选项的输入法及系统
US201101257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3678704A (zh) 一种基于图片信息的识图方法、系统、设备及装置
JP6419969B2 (ja) 画像の提示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機器
KR101483611B1 (ko)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기
CN103646122A (zh) 一种基于拖拽图片的识图方法、系统、设备及装置
JP620620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9791545B (zh) 用于包括图像的显示的资源的上下文信息
JP2024064941A (ja) 表示方法、装置、ペン型電子辞書、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EP3910496A1 (en) Search method and device
JP2022091686A (ja) データ注釈方法、装置、電子機器および記憶媒体
CN103544166A (zh) 一种用于实现页面分块浏览的方法与设备
KR20150097250A (ko) 태그 정보를 이용한 스케치 검색 시스템,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3892110A (zh) 基于图像的菜肴识别装置和方法
US10496241B2 (en) Cloud-based inter-application interchange of style information
CN103885970A (zh) 一种图像显示方法和装置
US11301620B2 (en) Annotati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