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027A - Wire cutting too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Wire cutting too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027A
KR20140134027A KR1020130053623A KR20130053623A KR20140134027A KR 20140134027 A KR20140134027 A KR 20140134027A KR 1020130053623 A KR1020130053623 A KR 1020130053623A KR 20130053623 A KR20130053623 A KR 20130053623A KR 20140134027 A KR20140134027 A KR 20140134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posited layer
layer
grains
electrodeposited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6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6613B1 (en
Inventor
성낙주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613B1/en
Publication of KR20140134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0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6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18Sawing tools of special type, e.g. wire saw strands, saw blades or saw wire equipped with diamonds or other abrasive particles in selected individual positions
    • B23D61/185Saw wires; Saw cables; Twisted saw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 B23D57/0007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using saw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8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a wire cutting tool used for cutting work of a material with high hardness such as a silicon ingot, a sapphire ingot, stone, a brick, or concrete, and to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wire cutting tool has a part of first and second deposition layers removed due to a dressing process of the wire cutting tool, thereby exposing an upper part of an abrasive particle to allow process completion to be checked easily.

Description

와이어 절삭공구 및 그 제조방법{Wire cutting too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utting tool,

본 발명은 와이어 절삭공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검은색을 나타내는 전착층을 포함하는 와이어 절삭공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utting too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 cutting tool including an electrodeposited layer which exhibits a black colo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실리콘 잉곳, 사파이어 잉곳, 석재, 벽돌, 콘크리트 등의 고경도 재료의 절삭가공에 사용되는 절삭공구에는 내마모성과 강인성 및 고온에서도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온경도 등의 기계적 성질이 요구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그 표면에 다이아몬드 입자가 고착되어 있는 다이아몬드공구(Diamond Tool)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cutting tools used for cutting a high hardness material such as a silicon ingot, a sapphire ingot, a stone, a brick, and a concrete are required to hav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abrasion resistance, toughness and high temperature hardness capable of maintaining hardness even at high temperatures. (Diamond Tool) in which diamond particles ar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diamond tool.

이와 같은 종래의 다이아몬드 공구는 공업용 다이아몬드를 연마하여 만든 절삭날에 미립자를 고압 소결한 팁이나, 초경 합금 모재위에 상기 미립자를 엷은 층으로 접착시켜 연강대에 부착한 바이트로서, 절삭날의 수명이 길고 매우 평활하여 미려한 다듬질면을 얻을 수 있으며 세라믹과 같은 난삭재(難削材)의 절삭 가공에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Such a conventional diamond tool is a tip obtained by high-pressure sintering of fine particles in a cutting edge formed by polishing an industrial diamond or a bite attached to a soft steel bar by adhering the fine particles in a thin layer onto a cemented carbide base material. It is very smooth to obtain a beautiful finished surface and has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cutting of difficult-to-cut materials such as ceramics.

상기 다이아몬드 입자를 사용하는 다이아몬드 공구에 관한 기술은 공개특허 제10-2004-0079149호, 공개특허 제10-2006-0119425호 등과 같은 여러 특허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Techniques relating to diamond tools using the diamond particles are already known from various patents such as 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79149, Publication No. 10-2006-0119425, and the like.

상기 공개특허 제10-2004-0079149호에는 모재의 커팅부에 다이아몬드 입자를 전착하여 고정시키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 기술에서는 모재 상에 니켈 전착층을 형성하여 다이아몬드 입자를 고정시키고 도포된 전착층을 제거하여, 상부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드레싱 공정을 수행한다.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04-0079149 discloses a technique of electrodepositing and fixing diamond particles to a cutting portion of a base material. More specifically, in the prior art, a nickel electrodeposition layer is formed on a base material to fix the diamond particles, and the coated electrodeposited layer is removed, and a dressing process is performed so tha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is exp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드레싱 공정 수행 시 다이아몬드 입자 상에 형성된 전착층이 균일하게 제거되는지와 드레싱 공정 완료시점을 확인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드레싱 공정을 통하여 다이아몬드 입자 상부면이 비노출면을 갖게 되면 절삭력이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the electrodeposited layer formed on the diamond particles is uniformly removed during the dressing process and when the dressing process is completed. If the upper surface of the diamond particles has a non-exposed surface through the dressing process, the cutting force is not excellent.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4-0079149호(2004년 09월 14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79149 (September 14, 2004)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119425호(2006년 11월 24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119425 (November 24, 200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검은색을 나타내는 전착층을 이용하여 상기 드레싱 공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절삭력이 우수한 와이어 절삭공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cutting tool and a wire cutting tool, which can confirm that the dressing process is completed by using an electrodeposited lay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절삭공구는 와이어 형태의 모재; 상기 모재 상에 위치하는 연마 입자; 상기 모재 상의 연마 입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전착층; 및 상기 제1 전착층 상에 형성되고 검은색을 나타내는 제2 전착층을 포함한다.A wire cut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shaped base material; Abrasive particles located on the base material; A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for fixing abrasive grains on the base material; And a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and exhibiting a black color.

상기 연마 입자는 다이아몬드 입자, 입방체 질화붕소 입자, 탄화규소 입자, 탄화티탄 입자, 질화티탄 입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Wherein the abrasive grains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diamond grains, cubic boron nitride grains, silicon carbide grains, titanium carbide grains and titanium nitride grains,

상기 검은색을 나타내는 제2 전착층은 니켈과 아연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며,Wherein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exhibiting black color is made of an alloy containing nickel and zinc,

상기 합금을 이루는 니켈(Ni)의 상대적 성분비는 20 내지 94wt%이고,The relative proportion of nickel (Ni) constituting the alloy is 20 to 94 wt%

상기 검은색을 나타내는 제2 전착층은 블랙니켈 전착층이다.The black electrodeposited layer is a black nickel electrodeposited layer.

상기 제2 전착층은 상기 제1 전착층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고,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has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상기 제2 전착층의 두께는 0.1 내지 6㎛의 범위에 속하며,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is in the range of 0.1 to 6 탆,

상기 연마 입자의 상부는 상기 제1 전착층 및 제2 전착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노출면을 가질 수 있다.
The upper part of the abrasive grains may have an exposed surface by removing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형태의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 형태 모재 상에 위치하는 연마 입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전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착층 상에 검은색을 나타내는 제2 전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2 전착층의 상부면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연마 입자의 상부면을 노출시키는 드레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eparing a wire-shaped prefo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ing a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for securing abrasive particles located on the wire-shaped base material; Forming a black electrodeposited layer on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And removing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o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s to expose the upper surface of the abrasive grains.

상기 와이어 형태의 모재 표면에 대해 탈지공정 또는 산세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 degreasing process or a pickling process on the wire-shaped base material surface,

상기 연마 입자는 다이아몬드 입자, 입방체 질화붕소 입자, 탄화규소 입자, 탄화티탄 입자, 질화티탄 입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The abrasive grains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diamond grains, cubic boron nitride grains, silicon carbide grains, titanium carbide grains and titanium nitride grains,

상기 검은색을 나타내는 제2 전착층은 니켈과 아연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고,Wherein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exhibiting black is made of an alloy containing nickel and zinc,

상기 합금을 이루는 니켈(Ni)의 상대적 성분비는 20 내지 94wt% 범위에 속하고,The relative proportion of nickel (Ni) constituting the alloy is in the range of 20 to 94 wt%

상기 제2 전착층은 블랙니켈 전착층이다.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is a black nickel electrodeposited layer.

상기 제2 전착층은 상기 제1 전착층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고,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상기 제2 전착층의 두께는 0.1 내지 6의 범위에 속하며,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is in the range of 0.1 to 6,

상기 제2 전착층은 0.1 내지 3ASD의 범위에 속하는 전류밀도를 인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current density in the range of 0.1 to 3 ASD.

또한, 상기 연마 입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와이어 절삭공구의 표면 색상이 변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드레싱 공정의 완료 시점을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surface color of the wire cutting too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brasive grain is discolored to determine the completion time of the dressing proces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드레싱 공정 수행으로 연마 입자 상에 형성된 제1 전착층 및 검은색을 나타내 제2 전착층의 일부가 제거되어 노출된 표면을 갖게 되는데, 노출된 표면에 의하여 와이어 절삭공구의 표면색이 변색되는 현상을 관찰함으로써, 상기 드레싱 공정수행이 완료되는 시점을 판별하는데 용이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formed on the abrasive grains and the black colored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are removed to expose the exposed surface, and the surface color of the wire cutting tool By observing the phenomenon of discoloration, it becomes easy to determine the time when the dressing process is completed.

또한, 상기 연마 입자 상에 형성된 제1 전착층 및 제2 전착층의 에칭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연마 입자 상부의 노출면 범위를 제어 가능한 효과를 얻게 된다. 즉, 이렇게 간단하고 편리한 공정을 통하여 절삭력이 우수한 와이어 절삭 공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egree of etching o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formed on the abrasive grains can be controlled, and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exposed surface area of the abrasive grains can be obtained.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 cutting tool having excellent cutting power through such a simple and convenient process.

한편, 상기 제1 전착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착층은 와이어 절삭공구의 표면이 검은색을 나타내어 타회사의 제품과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has a black color on the surface of the wire cutting tool and can be used as a design differentiated from other companies' produc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절삭공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방법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장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
1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wire cut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steps of a wire cutting too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 cutting too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 절삭공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의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wire cutting too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절삭공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 cut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절삭공구는 와이어 형태의 모재(100)와, 상기 모재 상에 위치하는 연마 입자(110), 상기 모재 상의 연마 입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전착층(120) 및 상기 제1 전착층 상에 형성되고 검은색을 나타내는 제2 전착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1, a wire cut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shaped base material 100, abrasive grains 110 disposed on the base material, a first electrodeposition for fixing abrasive grains on the base material, Layer 120 and a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and exhibiting a black color.

상기 모재(100)는 고탄소 강철,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등을 포함하는 강철과 같은 금속 와이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material 100 may be formed of a metal wire such as steel including high carbon steel, tungsten, aluminum, copper, or the like.

상기 연마 입자(110)는 다이아몬드 입자, 입방체 질화붕소 입자, 탄화규소 입자, 탄화티탄 입자, 질화티탄 입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연마 입자는 내마멸성, 강인성 및 고온에서도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온 경도 등의 기계적 성질을 우수하며, 사파이어 잉곳 및 석재 등과 같은 고경도 재료를 절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abrasive grains 110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among diamond grains, cubic boron nitride grains, silicon carbide grains, titanium carbide grains, and titanium nitride grains. Such abrasive grains may have abrasion resistance, toughness, And high temperature hardness, and can be used for cutting high hardness materials such as sapphire ingots and stones.

한편, 상기 연마 입자(110) 표면에 금속 코팅막(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코팅막은 모재 상에 연마 입자의 배열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신속하게 모재에 부착할 수 있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Meanwhile, a metal coating layer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brasive grains 110. The coating layer can easily adjust the direction of the abrasive grains on the base metal and can be quickly attached to the base metal, Can greatly improve.

상기 제1 전착층(120)은 상기 연마 입자(110)를 모재(100)에 전착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1 전착층(120)에는 니켈, 아연, 철, 은, 코발트, 백금, 구리, 크롬 및 텅스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원소를 사용하여 형성되도록 하며, 연마 입자(110)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이들 재료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120 functions to electrodeposit and fix the abrasive particles 110 on the base material 100.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120 may be formed of nickel, zinc, iron, silver, cobalt, , Chromium, and tungsten,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se materials in selecting the abrasive particles (110).

상기 제1 전착층(120)은 전해도금법에 의하여 전착되면서 연마 입자(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전해도금법은 3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먼저, 연마 입자와 음극 사이의 기계적 충돌로 인하여 상기 연마 입자가 상기 모재에 도달하는 제1단계, 전해도금법에 의해 양(+)으로 대전된 연마 입자가 음극과의 정전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모재의 표면에 잠시 머물러 있게 되는 제2단계, 금속 이온의 석출에 의해 연마 입자가 모재에 부착하게 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다.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120 may be electrodeposited by electroplating to fix the abrasive particles 110. Specifically, the electrolytic plating method can be performed in three steps. First, the first step in which the abrasive particles reach the base material due to the mechanical collision between the abrasive particles and the negative electrode, the positive step (+) by the electrolytic plating method A second step in which the abrasive grains are temporarily hel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y electrostatic interaction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nd a third step in which the abrasive grains adhere to the base material by precipitation of metal ions.

상기 제1 전착층(120)은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연마 입자를 와이어 모재(110)에 부착하는 부착층과, 상기 연마 입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층의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120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as two layers. An adhesion layer for attaching the abrasive grains to the wire base material 110, and a fixing layer for stably fixing the abrasive grains.

상기 제1 전착층(120)의 두께는 1 내지 60㎛ 범위에 속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120 may range from 1 to 60 mu m.

상기 제2 전착층(130)은 검은색을 나타내는 전착층으로, 블랙니켈층이라고도 하며, 니켈(Ni)과 아연(Zn) 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may be a black electrodeposited laye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black nickel layer or an alloy including nickel (Ni) and zinc (Zn).

상기 합금(Ni-Zn)을 구성하는 니켈(Ni) 및 아연(Zn)의 전체 함량에 대한 니켈(Ni)의 성분비는 20 내지 94wt%이고, 아연(Zn)의 성분비는 80 내지 6wt%의 성분비를 나타낸다. 여기에, 제2 전착액의 전기전도도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로단나트륨 등의 전도염을 전착액에 첨가하여 전착 및 고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로단나트륨에 포함되어 있는 황(S)등의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ratio of nickel (Ni) to the total content of nickel (Ni) and zinc (Zn) constituting the alloy (Ni-Zn) is 20 to 94 wt%, the composition ratio of zinc (Zn) is 80 to 6 wt% . When the electroconductive salt such as sodium chloride used for controll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econd electrodeposition liquid is added to the electrodeposition solution to perform electrodeposition and fixing, addition of sulfur (S) contained in sodium bromide Component. ≪ / RTI >

전해도금법에 의하여 상기 제2 전착층(130) 형성시 인가하는 전류밀도에 따라, 전착층의 두께, 상기 합금(Ni-Zn)에 대한 성분비, 전착층의 색 , 전착 속도 등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전착층(130) 형성시 인가하는 전류밀도는 0.1 내지 3ASD(Ampere Per Square Deci-Metre)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posited layer, the composition ratio with respect to the alloy (Ni-Zn), the color of the electrodeposited layer, the electrodeposition rate, and the like may vary depending on the current density applied when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is formed by the electroplating method. Here, the current density applied when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is formed may be selected in the range of 0.1 to 3 ASD (Amper Per Square Deci-Meter).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착층(130) 형성 시에 0.2ASD(Ampere Per Square Deci-Metre)이하의 낮은 전류밀도를 인가하여 2분간 공정 수행하는 경우, 제2 전착층(130)은 0.3㎛ 이하의 두께를 형성하고, 상기 합금(Ni-Zn)의 함량에 대한 성분비는 니켈(Ni) 94wt%, 아연(Zn) 6wt%이며, 이때의 전착층은 광택의 블루블랙 색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3ASD(Ampere Per Square Deci-Metre)이하의 높은 전류밀도를 인가하여 2분간 공정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2 전착층(130)은 6㎛ 이하의 두께를 형성하고, 상기 합금(Ni-Zn)의 함량에 대한 성분비는 니켈(Ni) 20wt%, 아연(Zn) 80wt%이며, 이때의 전착층은 무광의 진한블랙 색을 나타낼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is formed by applying a low current density of 0.2 ASD or less for 2 minutes,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may have a thickness of 0.3 탆 And the composition ratio to the content of the alloy (Ni-Zn) is 94wt% of nickel (Ni) and 6wt% of zinc (Zn), and the electrodeposited layer at this time can exhibit a gloss blue black color.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6 탆 or less when the process is performed for 2 minutes by applying a high current density of 3 ASD (Ampere Per Square Deci-Meter) ) Is 20wt% of nickel (Ni) and 80wt% of zinc (Zn), and the electrodeposited layer may exhibit a dark black color of matt.

한편, 본 발명에서 제2 전착층이 나타내는 검은색이란, 광택을 갖는 블루블랙, 무광의 진한블랙 등과 같은 검은색 계열을 모두 포함하고, 종래기술의 와이어 절삭공구가 나타내는 반사광의 색과 구별되는 검은계열의 색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ck color represented by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includes black color such as glossy blue black and dark black, and the like, and black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represented by the prior art wire cutting tool You can include all of the colors in the series.

상기 제2 전착층(130)의 두께는 상기 제1 전착층(120)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게되는데, 이것은 제1 전착층(120)이 상기 연마 입자(1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제2 전착층(13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고, 제2 전착층(130)은 검은색을 나타내는 전착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색상을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면 그걸로 족하기 때문에 상기 제2 전착층(130)의 두께는 제1 전착층(120)보다 얇은 두께를 갖게 되면 충분하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120. This is because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120 has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20 to stably fix the abrasive particles 110. [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is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posited layer 130 and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forms an electrodeposited layer exhibiting a black color, It is sufficient that the first electrode layer 130 has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120.

한편, 상기 제2 전착층(130)의 두께는 0.1 내지 6㎛ 범위로 선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may be selected in the range of 0.1 to 6 mu m.

이때, 상기 제2 전착층(130)의 두께가 0.1㎛ 이하이면 검은색을 나타내는 전착층이 너무 얇아서 하부에 있는 제1 전착층(120)의 색이 그대로 비쳐서 보이고, 추후 드레싱 공정(140) 수행 시 전착층을 형성하는 물질의 색상이 변색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가 어렵다. 반대로 제2 전착층(130)의 두께가 6㎛ 이상이면 제2 전착층(130)의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제1 전착층(120)으로 탈락되기 쉽고,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해 취성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is less than 0.1 탆, the electrodeposited layer showing black color is too thin, so that the color o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120 at the bottom is seen as it is, It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whether the color of the material forming the electrodeposited layer is discolored or not.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is 6 탆 or more, the str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is increased and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120 is likely to fall off, resulting in brittleness due to external impact .

상기 연마 입자 상(110)에 형성되어 검은색을 나타내는 제2 전착층(130)은 드레싱 공정(140) 수행 시 제1 전착층(120)의 일부와 함께 제거되어 상기 연마 입자상의 일부가 노출된 표면을 갖게 된다. 노출된 표면을 통하여 제1 전착층(120), 와이어 모재(100), 연마 입자(110) 등에 의해 나타나는 반사광의 유백색 및 은백색이 관찰되어, 검은색에서 이와 같은 색으로 변색되는 현상을 통하여 상기 드레싱 공정(140)수행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판별하는데 용이하다. 아울러, 상기 제1 전착층(120) 상에 형성되는 제2 전착층 (130)은 검은색을 나타내는 전착층을 형성하여 타회사의 제품과 차별화된 디자인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formed on the abrasive particle image 110 and exhibiting a black color is removed together with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120 during the dressing process 140 so that a part of the abrasive particle image is exposed Surface. Milky white and silver white colors of the reflected light appearing by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120, the wire base material 100, the abrasive particles 110 and the like are observed through the exposed surface, It is easy to determine that the execution of the process 140 is completed.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30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120 may be formed as an electrodeposited layer that exhibits a black color and may be utilized as a design differentiated from other companies' products.

또한, 상기 연마 입자 상부의 노출되는 면에 의하여 변색되는 영역의 크기를 관찰함으로써, 제1 전착층 및 제2 전착층 일부의 에칭 정도를 조절하거나 연마 입자 상부의 노출면 범위를 용이하게 제어 가능하게 된다.
Further, by observing the size of the area discolored by the exposed surface of the abrasive grain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gree of etching of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position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position layer or to easily control the range of the exposed surface of the abrasive grains do.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방법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장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FIG.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step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 cut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 cutting too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방법은 와이어 형태의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S200), 상기 모재 상에 연마 입자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1 전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202), 상기 모재 상에 연마 입자를 더 고정시키기 위해 제1 전착층상에 제2 전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203), 상기 제1 내지 제2 전착층의 상부면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연마 입자의 상부면을 노출시키기 위해 드레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204)로 이루어질 수 있다.2 to 3,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 cutt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wire-shaped base material (S200), forming a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to fix abrasive particles on the base material Forming a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on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to further secure abrasive particles on the base metal (S203); removing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s to remove the abrasive particles And performing a dressing process to expose the upper surface (S204).

상기 모재 상에 연마 입자를 고정시키기 이전에 모재 표면에 대해 탈지공정 또는 산세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2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 degreasing process or a pickling process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efore the abrasive grains are fixed on the base material (S201).

우선적으로 상기 와이어 절삭공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310)에 권선된 와이어 형태의 모재(300)를 준비한 후에, 상기 모재(300)를 탈지조(320)에서 모재 표면의 유기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탈지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다음으로 산세조(330)에서 모재 표면의 금속산화물 등을 제거하고 모재 표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산세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재(300)는 산세공정을 수행하면 모재 표면에 요철이 생기고, 이것은 상기 모재(300)와 연마 입자 간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마 입자의 배열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 하고 신속하게 모재(300)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연마 입자 표면에 금속 코팅막(미도시)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3, a wire-shaped base material 300 wound on a reel 310 is prepared and then the base material 300 is removed from the base material 320 in the degreasing bath 32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pickling process for removing the metal oxide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nd the pickling process for activating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in the pickling tank 330. [ When the pickl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base material 300,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which can increase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base material 300 and the abrasive particles. Also, a process of forming a metal coating film (not shown) on the surface of the abrasive grains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abrasive grains can be easily adjusted and adhered to the base material 300 quickly can be performed.

그런 다음, 상기 연마 입자를 모재 상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제1 전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Then, in order to fix the abrasive particles on the base material, a step of forming a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may be performed.

상기 제1 전착층 형성 단계에서는, 상기 모재(300) 표면에 연마 입자를 전착시키기 위해 제1 전착조(340) 내에 금속원소와 연마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전착액을 저장시킨다. 상기 제1 전착액 내에는 니켈, 아연, 철, 은, 코발트, 백금, 구리, 크롬 및 텅스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원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마 입자는 다이아몬드 입자, 입방체 질화붕소 입자, 탄화규소 입자, 탄화티탄 입자, 질화티탄 입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 입자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이들 재료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내마멸성, 강인성 및 고온 경도 등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사파이어 잉곳이나 석재와 같은 고경도 재료를 절삭할 수 있는 절삭공구의 연마 입자이면 족하다.In the first electrodeposition layer forming step, a first electrodepositing liquid containing metal elements and abrasive particles is stored in the first electrodeposition tank 340 to electrodeposition abrasive p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300. The first electrodeposition liquid may contain at least one metallic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zinc, iron, silver, cobalt, platinum, copper, chromium and tungsten, and the abrasive grains may include diamond particles, cubic boron nitride grains, Silicon carbide particles, silicon particles, titanium carbide particles, and titanium nitride particles. In selecting the abrasive grains, the abrasive grains need not necessarily be limited to these materials. The abrasive grains are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abrasion resistance, toughness and high temperature hardness, and abrasive grains of cutting tools capable of cutting high hardness materials such as sapphire ingots and stones It suffices.

그 다음으로, 상기 제1 전착조(340) 내에 와이어 형태의 모재(300)를 침지 시킨다. Next, the wire-shaped base material 300 is immersed in the first electrodeposition tank 340.

상기 모재(300)가 제1 전착조(340) 내에 침지되면 상기 연마 입자들과 음극 사이의 기계적 충돌에 의해 연마 입자들이 상기 모재(300)에 도달하면서 모재 표면에 배열이 이루어지고, 전해도금법에 의해 모재 표면에 연마 입자를 고정하는 제1 전착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해도금법은 3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먼저 연마 입자와 음극 사이의 기계적 충돌로 인하여 상기 연마 입자가 상기 모재에 도달하는 제1단계, 전해도금법에 의해 양(+)으로 대전된 연마 입자가 음극과의 정전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모재의 표면에 잠시 머물러 있게 되는 제2단계, 금속 이온의 석출에 의해 연마 입자가 모재에 부착하게 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다.When the base material 300 is immersed in the first electrodeposition tank 340, the abrasive grains are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300 by the mechanical collision between the abrasive particles and the negative electrode 300, A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for fixing the abrasive grains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lytic plating method can be performed in three steps. First, the first step in which the abrasive grains reach the base material due to the mechanical collision between the abrasive grains and the negative electrode, the abrasive grains positively charged by the electrolytic plating method And a third step in which the abrasive particles are adhered to the base material by precipitation of metal ions in a second step in which the base particles are temporarily hel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y electrostatic interaction with the negative electrode.

이후에는, 상기 제1 전착층 상에 검은색을 나타내는 제2 전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착조(350) 내에 제2 전착액을 저장시킨다. 상기 제2 전착액은 합금성분을 제공하는 염화니켈, 염화아연과, 상기 제2 전착액의 전기전도도를 제어하기 위한 전도염으로 사용되는 염화나트륨 및 로단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착액에 대한 각각의 성분은 50내지 75g/L 염화니켈, 5 내지 30g/L 염화아연, 5 내지 15g/L 로단나트륨, 10 내지 30g/L 염화암모늄일 수 있다. Thereafter, a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having a black color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position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position liquid is stored in the second electrodeposition bath 350. The second electrodeposition liquid may include nickel chloride, zinc chloride, which provides an alloy component, and sodium chloride and sodium rhodanate, which are used as a conductive salt to control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econd electrodeposition solution. Each component for the second electrodeposition solution can be 50 to 75 g / L nickel chloride, 5 to 30 g / L zinc chloride, 5 to 15 g / L sodium chloride, and 10 to 30 g / L ammonium chloride.

전해도금법에 의하여 상기 제2 전착층 형성시 인가하는 전류밀도에 따라, 전착층의 두께, 상기 합금(Ni-Zn)에 대한 성분비, 전착층의 색, 전착 속도 등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전착층 형성시 인가하는 전류밀도는 0.1 내지 3ASD(Ampere Per Square Deci-Metre)의 범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posited layer, the composition ratio with respect to the alloy (Ni-Zn), the color of the electrodeposited layer, the electrodeposition rate, and the like may vary depending on the current density applied when forming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by the electroplating method. Here, the current density applied when forming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may further include a range of 0.1 to 3 ASD (Amper Per Square Deci-Meter).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착층 형성 시에 0.2ASD(Ampere Per Square Deci -Metre) 이하의 낮은 전류밀도를 인가하여 2분간 공정 수행하는 경우, 제2 전착층은 0.3㎛이하의 두께를 형성하고, 이때, 상기 합금 (Ni-Zn)의 함량에 대한 성분비는 니켈(Ni) 94wt%, 아연(Zn) 6wt%이며, 제2 전착 층은 광택의 블루블랙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3ASD(Ampere Per Square Deci-Metre) 이하의 높은 전류 밀도를 인가하여 2분간 공정 수행하는 경우, 제2 전착층은 6㎛이하의 두께를 형성하고, 상기 합금(Ni-Zn)의 함량에 대한 성분비는 니켈(Ni) 20wt%, 아연(Zn) 80wt%이며, 이때 형성되는 제2 전착층은 무광의 진한블랙을 나타낼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low current density of 0.2 ASD (Amper Per Square Deci -Metre) or less is applied at the time of forming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has a thickness of 0.3 탆 or less At this time, the composition ratio with respect to the content of the alloy (Ni-Zn) is 94wt% of nickel (Ni) and 6wt% of zinc (Zn), and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may show glossy blue black. In addition, when a high current density of 3 ASD (Ampere Per Square Deci-Meter) or less is applied and the process is performed for 2 minutes,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has a thickness of 6 탆 or less and the content of the alloy (Ni-Zn) The composition ratio is 20 wt% of nickel (Ni) and 80 wt% of zinc (Zn), and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formed at this time may show a dark black of matt.

상기 제2 전착층 형성 시에 제2 전착조(350)의 pH는 4 내지 6 범위를 포함하고, 온도는 15 내지 40℃ 범위를 포함한다. In forming the second electrodeposition layer, the pH of the second electrodeposition tank 350 may range from 4 to 6, and the temperature may range from 15 to 40 ° C.

한편, 상기 제2 전착층의 두께는 0.1 내지 6㎛ 범위에 속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may range from 0.1 to 6 mu m.

상기 제2 전착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전착층 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게 되는데, 이는 제1 전착층이 상기 연마 입자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제2 전착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고, 제2 전착층은 검은색을 나타내는 전착 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색상을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면 그걸로 족하기 때문에 상기 제2 전착층의 두께는 제1 전착층 보다 얇은 두께를 갖게 되면 충분하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is thinner than that o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because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to stably fix the abrasive particles, The electrodeposited layer forms a black electrodeposition layer. If the electrodeposition layer is formed so as to exhibit its color, it is sufficient tha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ion layer is thinner than that of the first electrodeposition layer.

이때, 상기 제2 전착층의 두께가 0.1㎛ 이하로 형성되면 검은색을 나타내는 전착층이 너무 얇아서 하부에 있는 제1 전착층의 색이 그대로 비쳐서 보이고, 추후 드레싱 공정(360) 수행 시 전착층을 형성하는 물질의 색상이 변색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제2 전착층의 두께가 6㎛ 이상으로 형성되면, 제2 전착층의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제1 전착층으로 탈락되기 쉽고, 외부 충격에 의해 취성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is less than 0.1 탆, the electrodeposited layer showing black color is too thin, so that the color o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at the bottom can be seen as it is, It may be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color of the material to be formed is discolored. On the contrary,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is formed to be 6 占 퐉 or more, the str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tends to fall of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and brittleness may occur due to an external impact.

상기 연마 입자 상에 제1 전착층 및 제2 전착층이 형성된 후에, 드레싱 공정(360)을 수행할 수 있다.After the first electrodeposition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position layer are formed on the abrasive grains, a dressing process 360 may be performed.

상기 연마 입자 상에 형성되어 검은색을 나타내는 제2 전착층은 드레싱 공정(360) 수행 시 제1 전착층의 일부와 함께 제거되어 상기 연마 입자상의 일부가 노출된 표면을 갖게 된다. 노출된 표면을 통하여 제1 전착층, 와이어 모재, 연마 입자 등에 의해 나타나는 반사광의 유백색 및 은백색이 관찰되어, 검은색에서 이와 같은 색으로 변색되는 현상을 통하여 상기 드레싱 공정(360)수행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판별하는데 용이하다. 아울러, 상기 제1 전착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착층은 검은색을 나타내는 전착층을 형성하여 타회사의 제품과 차별화된 디자인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formed on the abrasive grains and exhibiting a black color is removed along with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during the dressing process 360 to have a surface on which a part of the abrasive grains are exposed. Milky white and silver white colors of the reflected light appearing from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the wire base material, the abrasive grains and the like are observed through the exposed surface, and the process of the dressing process 360 is completed through the phenomenon of discoloring from black to such a color It is easy to distinguish.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can be utilized as a design differentiated from products of other companies by forming an electrodeposited layer showing black color.

또한, 상기 연마 입자 상부의 노출되는 면에 의하여 변색되는 영역의 크기를 관찰함으로써, 제1 전착층 및 제2 전착층 일부의 에칭 정도를 조절하거나 연마 입자 상부의 노출면 범위를 용이하게 제어 가능하게 된다.Further, by observing the size of the area discolored by the exposed surface of the abrasive grain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gree of etching of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position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position layer or to easily control the range of the exposed surface of the abrasive grains do.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드레싱 공정 수행으로 연마 입자 상의 상기 제1 전착층 및 제2 전착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경우, 상기 연마 입자 상부의 노출면을 갖게 되어, 검정색을 나타내는 전착층에서 반사광의 유백색 및 은백색의 연마 입자상으로 변색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는 드레싱 공정 수행의 완료 여부를 판별하는 데에 용이하여 드레싱 공정 수행 시 불균일하게 전착층이 제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전착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착층은 검은색을 나타내는 전착층을 형성하여 타회사의 제품과 차별화된 디자인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electrodeposition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position layer on the abrasive grains are removed by performing the dressing process, the abrasive grains have an exposed surface on the abrasive grains,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discoloration occurs on milky white and silver white abrasive grains of reflected light. This makes it easy to discriminate whether or not the completion of the dressing process is completed, and thu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electrodeposition layer is unevenly removed during the dressing process.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may be utilized as a design differentiating from products of other companies by forming an electrodeposited layer showing black color.

또한, 상기 제2 전착층 형성 시 인가하는 전류밀도는 전착층의 두께 및 색상 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취성이 없고 절삭력이 우수한 와이어 절삭공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current density appli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enables the thickness and color of the electrodeposited layer to be adjusted,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 cutting tool having no brittleness and excellent cutting power.

앞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 Accordingly, the describ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300: 모재 110: 연마 입자
120: 제1 전착층 130: 제2 전착층
140, 360: 드레싱 공정 310, 370: 릴
320: 탈지조 330: 산세조
340: 제1 전착조 350: 제2 전착조
100, 300: base material 110: abrasive grain
120: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130: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140, 360: dressing process 310, 370: reel
320: degreasing tank 330: pickling tank
340: first electrodeposition tank 350: second electrodeposition tank

Claims (18)

와이어 형태의 모재;
상기 모재 상에 위치하는 연마 입자;
상기 모재 상의 연마 입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전착층; 및
상기 제1 전착층 상에 형성되고 검은색을 나타내는 제2 전착층;을 포함하는 와이어 절삭공구.
Wire-shaped base metal;
Abrasive particles located on the base material;
A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for fixing abrasive grains on the base material; And
And a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and exhibiting a black col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입자는 다이아몬드 입자, 입방체 질화붕소 입자, 탄화규소 입자, 탄화티탄 입자, 질화티탄 입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절삭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brasive grains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diamond grains, cubic boron nitride grains, silicon carbide grains, titanium carbide grains, and titanium nitride grai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은색을 나타내는 제2 전착층은 니켈과 아연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 절삭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exhibiting black is made of an alloy including nickel and zinc.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을 이루는 니켈(Ni)의 상대적 성분비는 20 내지 94wt%인 와이어 절삭공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lative proportion of nickel (Ni) constituting the alloy is 20 to 94 w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은색을 나타내는 제2 전착층은 블랙니켈 전착층인 와이어 절삭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exhibiting the black color is a black nickel electrodeposited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착층은 상기 제1 전착층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와이어 절삭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has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착층의 두께는 0.1 내지 6㎛의 범위에 속하는 와이어 절삭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is in the range of 0.1 to 6 占 퐉.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입자의 상부는 상기 제1 전착층 및 제2 전착층 일부를 제거하여 노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절삭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brasive grains has a surface exposed by removing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position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position layer.
와이어 형태의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 형태 모재 상에 위치하는 연마 입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전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착층 상에 검은색을 나타내는 제2 전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2 전착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연마 입자의 상부면을 노출시키는 드레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방법.
Preparing a base material in the form of a wire;
Forming a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for securing abrasive particles located on the wire-shaped base material;
Forming a black electrodeposited layer on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And
And performing a dressing process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s to expose an upper surface of the abrasive grain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형태의 모재 표면에 대해 탈지공정 또는 산세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degreasing process or a pickling process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in the form of a wir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입자는 다이아몬드 입자, 입방체 질화붕소 입자, 탄화규소 입자, 탄화티탄 입자, 질화티탄 입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brasive grains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diamond grains, cubic boron nitride grains, silicon carbide grains, titanium carbide grains, and titanium nitride grain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은색을 나타내는 제2 전착층은 니켈과 아연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exhibiting black color is made of an alloy including nickel and zinc.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을 이루는 니켈(Ni)의 상대적 성분비는 20 내지 94wt% 범위에 속하는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relative proportion of nickel (Ni) constituting the alloy is in the range of 20 to 94 w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착층은 블랙니켈 전착층인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is a black nickel electrodeposited lay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착층은 상기 제1 전착층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has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posited lay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착층의 두께는 0.1 내지 6㎛의 범위에 속하는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is in the range of 0.1 to 6 占 퐉.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착층은 0.1 내지 3ASD의 범위에 속하는 전류밀도를 인가하여 형성하는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electrodeposited layer is formed by applying a current density in the range of 0.1 to 3 AS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입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와이어 절삭공구의 표면 색깔이 변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드레싱 공정의 완료 시점을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절삭공구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surface color of the wire cutting too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brasive grain is discolored to determine the completion time of the dressing process.
KR1020130053623A 2013-05-13 2013-05-13 Wire cutting too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066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623A KR101506613B1 (en) 2013-05-13 2013-05-13 Wire cutting too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623A KR101506613B1 (en) 2013-05-13 2013-05-13 Wire cutting too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027A true KR20140134027A (en) 2014-11-21
KR101506613B1 KR101506613B1 (en) 2015-03-27

Family

ID=5245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623A KR101506613B1 (en) 2013-05-13 2013-05-13 Wire cutting too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6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910B1 (en) * 2019-12-24 2022-03-29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Grinding wheel of surface processing for workpiece and method of truing or dressing the whe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7037A1 (en) 1999-05-03 2002-06-20 Tietz James V. Fixed abrasive articles
JP5356071B2 (en) 2009-03-02 2013-12-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Diamond wire saw, diamond wire saw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613B1 (en) 2015-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9810B2 (en) Electrodeposition wire tool
CN102166792B (en) Diamond fret saw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N102770240A (en) Super-abrasive grain fixed type wire saw,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per-abrasive grain fixed type wire saw
JP6687331B2 (en) Electrolytic bath for the deposition of a bright nickel layer, or a mixture for use in an electrolytic bath for the deposition of a bright nickel layer, and a method of making an article having a bright nickel layer
KR101734454B1 (en) Nickel plating liqui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coated with solid microparticles
JP2007152485A (en) Manufacturing method of saw wire
JP2002515090A (en) Electrodeposition of amorphous and microcrystalline nickel-tungsten coatings
US11208715B2 (en) Method for decorating a timepiece component
KR20130124389A (en) Metal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TWI636841B (en) Line tool with diamond abrasive grain and wire tools
RU2015145429A (en) ABRASIVE WIRE FOR CUTTING, METHOD OF ITS MANUFACTURE AND ITS APPLICATION
JP2006181701A (en) Electro-deposited wire too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338386B1 (en) Wire saw with adhesive diamond electrodeposited on 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506613B1 (en) Wire cutting too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321556A (en) Wire coated with solid micro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wire coated with solid microparticles
TW201139757A (en) Glossy nickel plating material, electronic component comprising glossy nickel plating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glossy nickel plating material
US2389131A (en) Electrodeposition of antimony
KR20140061292A (en) Metal wire having abrasive grains bonded thereto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wire having abrasive grains bonded thereto
WO2019054483A1 (en) Hot-dip plated checkered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835387A (en) Plating solu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plated product
JP6130247B2 (en) Abrasive electrodeposition liquid, method for producing fixed abrasive saw wire, and fixed abrasive saw wire
KR20060119425A (en) Diamond cutting too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552820B (en) A fixed abrasive sawing wir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JPS5845871A (en) Production method of grindstone
Such et al. An Improvement in the Zincate Method for Plating on Alumin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