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233A -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233A
KR20140133233A KR1020130053101A KR20130053101A KR20140133233A KR 20140133233 A KR20140133233 A KR 20140133233A KR 1020130053101 A KR1020130053101 A KR 1020130053101A KR 20130053101 A KR20130053101 A KR 20130053101A KR 20140133233 A KR20140133233 A KR 20140133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ounting portion
ion generator
cover memb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충환
장재수
이준우
구본준
이한춘
성봉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3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3233A/ko
Priority to PCT/KR2013/004759 priority patent/WO2014181909A1/ko
Publication of KR20140133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8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안착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향해 이온을 공급하는 이온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 발생기는 첨단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 및 상기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전원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는 이동 단말기의 표면에 부착된 세균이나 미생물을 제거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sterilizing apparatus for mobile teminal}
본 발명은 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표면에 부착된 세균이나 미생물을 제거하는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 됨에 따라 생활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으며,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상시 이용한다. 통화나 문자를 보내는 것 뿐만아니라 인터넷, 게임, 동영상 감상 및 독서 등이 이동 단말기를 통해 가능하여, 이용시간이 길어지고 따라서 손이 이동 단말기의 표면과 빈번하게 접촉하게 된다. 이때, 손에 뭍은 세균이나 미생물이 이동 단말기의 표면으로 옮겨질 수 있다. 또한, 화장실이나 공공장소 등 청결하지 못한 장소에서 사용시 세균 등이 이동 단말기의 표면으로 옮겨질 수 있다.
이렇게 이동 단말기의 표면에 부착된 세균이나 미생물은 사용자가 전화 통화시 코나 입을 통해 체내로 침투될 수 있으며, 손을 청결히 한 후에도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면 다시 손이 오염되므로 이동 단말기 표면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의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동 단말기가 안착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향해 이온을 공급하는 이온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 발생기는 첨단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 및 상기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전원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온 발생기에 인접하여 설치된 교반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온 발생기를 커버하며 상기 거치부의 상면에 결합하는 투명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의 일단은 상기 거치부에 힌지결합하며, 상기 힌지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거치부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커버부재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타단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에 형성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이온 발생기로부터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안착된 이동 단말기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기 위해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전자기 코일을 내장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를 커버하며 상기 거치부의 상면에 결합하고, 내측에 상기 이온발생기가 설치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발생기는 상기 무선충전 코일의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한 유도전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가 서랍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온 발생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면에 이동 단말기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기 위해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무선충전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 또는 상기 거치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안착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이온 살균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에 상기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의 상면에서 상기 거치부를 향해 개방된 반구 형상의 가이드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온발생기는 상기 가이드 캡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를 향해 이온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와 결합되며, 이동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독(dock)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 발생기는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전극과 접촉하거나 상기 전극과 인접하게 배치된 광촉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층은 요철이 형성된 표면 위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층은 상기 거치부의 내측 또는 커버부재의 내측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표면에 부착된 세균이나 미생물을 제거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살균기능 외에 충전기능을 겸비하여, 이동 단말기의 살균과 동시에 또는 별도로 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살균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면 계속 작동할 수 있으므로, 교체할필요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의 이온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100)의 사시도로서, 거치부(110), 이온발생기, 교반팬(140), 커버부재(120), 전원 공급부(150)가 도시되어 있다.
거치부(110)는 이동 단말기(1)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이동 단말기(1)의 사이즈 보다 큰 사이즈의 판형 부재로 플라스틱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거치부(110)에 공급된 이온 또는 이온화된 공기나 물 등의 살균력을 갖는 분자들이 이동 단말기(1) 주변으로 공급되도록 거치부(110)는 둘레에 측벽(115)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또는 거치부(110)의 상면에 결합하는 커버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120)는 거치부(110)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1)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투명한 커버부재(120)를 통해 메시지나 전화가 올 때 확인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100)의 이온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온 발생기(130)는 상기 거치부(110)를 향해 이온을 공급하며, 이온 발생기(130)의 전면에 보호 그리드(139)를 더 구비하여, 이동 단말기를 거치부에 놓을 때 이온 발생기(130)에 직접 접촉하거나 사용자가 손으로 이온 발생기(130)를 직접 만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단부(131')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131)과 전극(131)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전원부(132)로 구성된다. 전극(131)에 고전압전원부(132)로 부터 고전압의 전원을 인가받으면, 첨단부(131')에서 음이온 또는 양이온이 발생한다. 전극(131)은 절연성 유전체 기판(133) 위에 구리와 같은 도전성 물질을 인쇄하고 고온에서 소성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으로 형성한 전극(131)은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 등에 의해 손쉽게 훼손되지 않는다.
이온 발생기(130)에서 발생한 이온은 거치부(110)로 공급되고, 공기 중의 물분자의 극성결합에 의해 공기를 이온화한다. 이온화된 공기는 거치부(110)에 놓인 이동 단말기(1)의 표면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미생물에 달라붙어 단백질 구조를 파괴한다.
이온 발생기(130)는 전극(131)과 접촉하거나 전극(131)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광촉매층(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촉매층(135)은 자외선을 받으면, 전자(e-)가 튀어나와 공기중에 O2와 반응하여 슈퍼옥사이드음이온(O2,-)를 형성하고, 정공(h+)은 H2O와 반응을 일으켜 수산라디칼(OH)을 형성한다. 전극(131)은 음이온과 양이온 외에 자외선도 함께 생성되며, 상기 전극(131)에서 발생한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층(135)에서 상기 반응이 일어난다.
광촉매층(135)은 전극(131)이 형성된 절연성 유전체 기판(133) 위에 전극(131)을 커버하며 코팅될 수 있고 또는 전극(131)과 마주보는 보호 그리드(139)에 형성할 수도 있다. 광촉매층(135)은 주변 물질의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이므로 표면적이 넓을 수록 반응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바, 광촉매층(135)이 형성된 표면은 요철이 형성되도록 표면처리를 할 수 있다.
광촉매층(135)의 대표적인 예로 이산화티탄(TiO2)을 들 수 있다. 이산화티탄은 내구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자신은 변화하지 않고 촉매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수산라디칼은 높은 산화, 환원 전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NOx, SOx,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및 각종 악취 정화에 탁월하고, 축산폐수, 오수, 공장폐수의 BOD, 색도 및 난분해성 오염물질, 환경호르몬 등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원성대장균, 황색포도구균, O-157 등 각종 병원균과 박테리아를 99%이상 살균하는 등 대상물질을 산화시키는 능력을 갖고 있다.
또한 빛이 조사되면 광촉매층(135)이 공기중의 물(H2O)과 반응하여 친수성이 매우 좋은 친수가(-OH)가 생성되어 유해물질과 반응하여 정화작용을 한다. 이처럼 광촉매층(135)의 촉매 반응에 의해 생성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이나, 수산화라디칼은 거치부(110)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1)의 표면에 부착된 세균이나 미생물과 반응하여 제거한다.
상기 광촉매층(135)은 거치부(110) 또는 커버부재(120)의 내측에 코팅될 수 있다. 전극(131)과 인접한 위치의 측벽(115)이나 커버는 전극(131)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해 전자가 튀어나오고, 상기 전극(131)과 이격된 위치이더라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소재의 커버부재(120)를 이용하면 빛이 투과하여 광촉매의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온 발생기(130)는 일측의 측벽(115)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의 거치면(도면상으로는 배면)에도 이온이 공급될 수 있도록 거치부(110)와 부분적으로 이격시키기 위해 돌기(1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기(1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 발생기(130)가 위치한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바 형상의 돌기(113) 사이를 통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온이 이동하면서 이동 단말기(1)의 거치면에 붙은 세균이나 미생물을 제거한다.
이온 발생기(130)가 위치하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일어날 수 있도록 교반팬(1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교반팬(140)은 이온 발생기(130)에서 발생한 이온이 거치부(110)에 놓인 이동 단말기(1)로 강제이동 시킨다. 일측에 위치한 교반팬(140) 작동시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만 공기가 이동하도록 타측방향의 측벽(11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략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50)는 이온 발생기(130)의 전극(131)에 전원을 인가하고, 교반팬(140)이 작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단자 형태의 전원 공급부(150)도 가능하고, 플러그 형태도 가능하며, 건전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거치부(110)와 거치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이온 발생기(130) 및 거치부(110)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1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120)는 일단이 거치부(110)에 힌지(125)결합하여 회전운동하며 거치부(110)를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다.
커버부재(120)를 열어 이동 단말기(1)를 거치부(110)에 안착하고, 커버부재(120)를 닫아 거치부(11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외부와 구분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부재(12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하고 커버부재(120)의 타단은 거치부(110)와 결합하여 커버부재(120)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거치부(110)는 커버부재(120)의 타단과 탈착 가능한 고정부(1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127)에서 거치부(110)의 타단을 분리시키면 힌지(125)를 중심으로 자동으로 커버부재(120)가 열리도록 상기 힌지(125)에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거치부(110)는 4개 측면을 모두 감싸는 측벽(115)을 구비하며, 커버부재(120)는 측벽(115)의 상단과 결합할 수 있다. 커버부재(120)가 거치부(110)와 결합하면 측벽(115) 및 커버부재(120)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되어 이온 발생기(130)에서 생성된 이온이 이동 단말기(1)의 표면에 머무르며 미생물과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온 발생기(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의 측방향에서 이온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돌기(113)는 이온 공급기가 설치된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원 공급부(150)로서, 전원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거치부(110)는 무선충전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치부(110)는 내부에 나선형태로 형성된 전자기 코일(160)을 내장하고 있어, 상기 전자기 코일(160)에 전류를 흘리면 전자기장이 발생한다. 이동 단말기(1)에 구비된 충전코일은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충전된다. 전자기 코일(16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큰 나선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여러 개의 나선형태의 코일이 모여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거치부(110)는 측벽(115)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 대신에 상기 거치부(110)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120)가 이동 단말기(1)의 측면을 감싸는 측벽(115)을 구비하여, 커버부재(120)와 거치부(110) 사이에 이동 단말기(1)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거치부(110)와 커버부재(120) 사이의 공간은 외부와 독립되어 있어, 이동 단말기(1) 주변에 이온이 머물러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온 발생기(130)는 거치부(110)에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커버부재(120)에 결합된다. 커버부재(120)의 일측에 구비된 이온 발생기(130)는 거치부(110)에 연결된 전원 공급부(150)와 별도로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여 전원을 인가받거나, 거치부(110)에 결합시 거치부(110)의 전원 공급부(150)와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하여 거치부(1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거치부(110)는 무선충전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20)에 충전코일(138)을 구비하면, 상기 전자기 코일(160)이 작동시 이동 단말기(1)의 충전코일뿐만 아니라 커버부재(120)의 충전코일(138)에도 전류가 흐르게 되어 이온 발생기(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케이스(170)에 서랍처럼 인입출되는 거치부(110)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10)에 케이스(170)를 안착하고, 도 8과 같이 거치부(110)를 케이스(170) 내부로 밀어 넣어 케이스(170) 내부 공간으로 이동 단말기(1)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온 발생기(130)는 케이스(170) 내부에 위치하며, 케이스(170) 내부 공간으로 거치부(110)가 삽입되면 이온을 방출하여 이동 단말기(1)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70)를 투명하게 만들어 내부가 보이게 할 수도 있고 불투명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70)의 상면에 전술한 제3 실시예와 같이 무선충전을 위한 전자기 코일(16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잦기 코일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이동 단말기(1)를 충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70)의 상면에 안착하여 충전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기(1)를 거치부(110)에 두어 케이스(170) 내부로 삽입하여 충전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의 충전코일(138)은 이동 단말기(1)의 배면쪽에 위치하므로 거치부(110)에 이동 단말기(1)의 배면이 위를 향하고 전면이 거치부(110)를 향하도록 안착하고 상기 케이스(170)에 삽입하면 충전 효과가 더 좋게 나타난다.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100)는 인디케이터(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80)는 살균장치(100)의 작동 시간을 표시하거나, 살균 동작의 진행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살균장치(100)가 충전기능을 구비한 경우 충전의 진행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색상 또는 밝기에 따라 진행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현재 충전기능 또는 살균 기능 중 어느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1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이 다른 복수개의 램프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문양을 갖는 발광부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형 스크린을 구비하여 진행상태를 숫자, 문자 또는 UI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100) 자체에 인디케이터(18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살균장치(100)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1)에 전달하여 이동 단말기(1)의 스크린을 통해 진행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와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한 안테나를 구비하거나 또는 케이블을 통해 이동 단말기(1)와 연결하여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100)의 작동시간을 설정하거나 자체적으로 일정 시간 경과하면 이온 발생기(130)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커버부재(120)를 통해 닫힌 공간에서 이온 발생기(130)가 위치하는 경우 이온이 이동 단말기(1) 주변에 머물러 있을 수 있어, 이온 발생기(130)의 작동을 멈추더라도 살균 작용은 지속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거치부(110)에 이동 단말기(1)의 전면 또는 배면을 안착시키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이동 단말기(1)의 단부를 고정하여 이동 단말기(1)를 세워서 안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부가 안착되기 위해서 거치부(110)에 이동 단말기(1)의 단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거치부(110)는 이동 단말기(1)의 단부에 위치하는 인터페이스에 결합하는 독(16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독(165)은 이동 단말기(1)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기(1)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독(165)을 통해 거치부(110)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1)의 상부에 이온 공급기가 위치한다. 이온 공급기는 이동 단말기(1)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공급하며, 이온이 이동 단말기(1) 쪽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반구형상의 가이드 캡(145)을 구비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30)는 상기 가이드 캡(145)의 내부에 위치시키면 이온 발생기(130)에서 발생한 이온은 가이드 캡(145)을 따라 이동 단말기(1) 쪽으로 이동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캡(145)이 이동 단말기(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46)를 통해 거치부(1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캡(145)은 더 크게 형성하여 이동 단말기(1)를 모두 덮는 종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가 세워진 형태이므로 전면과 배면에 모두 이온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독(165)을 통해 충전도 가능하고 살균장치(100)의 살균 동작 상태(예를 들면 살균 동작 수행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의 표면에 부착된 세균이나 미생물을 제거하여 이동 단말기(1)의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살균기능 외에 충전기능을 겸비하여, 이동 단말기(1)의 살균과 동시에 또는 별도로 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살균장치(100)는 전원을 공급하면 계속 작동할 수 있으므로, 교체할필요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이동 단말기 100: 살균장치
110: 거치부 115: 측벽
113: 돌기 120: 커버부재
125: 힌지 127: 고정부
130: 이온 발생기 131: 전극
132: 고전압전원부 133: 기판
138: 충전코일 139: 보호 그리드
140: 교반팬 145: 가이드 캡
150: 전원 공급부 160: 전자기 코일
165: 독(dock) 170: 케이스
180: 인디케이터

Claims (20)

  1. 이동 단말기가 안착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향해 이온을 공급하는 이온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 발생기는
    첨단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 및 상기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전원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기에 인접하여 설치된 교반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온 발생기를 커버하며 상기 거치부의 상면에 결합하는 투명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일단은 상기 거치부에 힌지결합하며,
    상기 힌지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거치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커버부재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타단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 형성된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이온 발생기로부터 연장된 바(bar)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안착된 이동 단말기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기 위해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전자기 코일을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를 커버하며 상기 거치부의 상면에 결합하고, 내측에 상기 이온발생기가 설치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는 상기 무선충전 코일의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한 유도전류에 의해 구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가 서랍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온 발생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면에 이동 단말기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기 위해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무선충전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 또는 상기 거치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안착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살균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에 상기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상면에서 상기 거치부를 향해 개방된 반구 형상의 가이드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온발생기는 상기 가이드 캡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를 향해 이온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와 결합되며, 이동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독(dock)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기는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작동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과 접촉하거나 상기 전극과 인접하게 배치된 광촉매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층은
    요철이 형성된 표면 위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층은 상기 거치부의 내측 또는 커버부재의 내측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KR1020130053101A 2013-05-07 2013-05-10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KR20140133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101A KR20140133233A (ko) 2013-05-10 2013-05-10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PCT/KR2013/004759 WO2014181909A1 (ko) 2013-05-07 2013-05-30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101A KR20140133233A (ko) 2013-05-10 2013-05-10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233A true KR20140133233A (ko) 2014-11-19

Family

ID=5245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101A KR20140133233A (ko) 2013-05-07 2013-05-10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32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87B1 (ko) * 2016-01-14 2016-09-01 주식회사 제일기획 스마트폰용 자외선살균 무선충전모듈
KR20170016910A (ko) * 2017-02-06 2017-02-14 주식회사 대창 나노섬유부재
KR102207062B1 (ko) * 2020-05-13 2021-01-22 황은태 휴대용 접촉팁 살균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87B1 (ko) * 2016-01-14 2016-09-01 주식회사 제일기획 스마트폰용 자외선살균 무선충전모듈
KR20170016910A (ko) * 2017-02-06 2017-02-14 주식회사 대창 나노섬유부재
KR102207062B1 (ko) * 2020-05-13 2021-01-22 황은태 휴대용 접촉팁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492B1 (ko) 휴대용 이온 발생장치
US8698100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a door opening device or other point of contact
KR20140133233A (ko) 이동 단말기 살균장치
CN104548164A (zh) 紫外线杀菌装置
TW201438773A (zh) 移動終端的殺菌裝置
KR101466886B1 (ko)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 장치
CN104575334A (zh) 一种新型多媒体智能互动展示机
KR102450235B1 (ko) 제균 케이스
KR101798619B1 (ko) 음이온 발생 조명기구
KR101103709B1 (ko) 용기 뚜껑에 장착하기 위한 uv-led 살균장치
KR20130006662U (ko) 휴대폰 살균충전기
WO2015079594A1 (ja) 水素水製造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電極
KR20170029781A (ko) 살균기능이 포함된 휴대폰용 음이온 발생장치
KR20190087911A (ko) 모바일 단말기의 살균 충전기
CN113826957A (zh) 一种电子雾化装置
KR20220000488A (ko) 살균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충전기
CN212313233U (zh) 一种便携式车载空气杀菌器
KR101836923B1 (ko) 휴대용 가습기
CN213191373U (zh) 杀菌盒结构
JP2014018519A (ja) 口腔衛生装置
CN215023042U (zh) 杀菌装置及杀菌器
CN217851324U (zh) 一种电子雾化装置
JP2013236120A (ja) 携帯端末用ケース
CN207638961U (zh) 一种等离子发生装置
CN218917929U (zh) 一种图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