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194A -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 - Google Patents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194A
KR20140133194A KR20130052948A KR20130052948A KR20140133194A KR 20140133194 A KR20140133194 A KR 20140133194A KR 20130052948 A KR20130052948 A KR 20130052948A KR 20130052948 A KR20130052948 A KR 20130052948A KR 20140133194 A KR20140133194 A KR 20140133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mplifier
unit
node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1068B1 (ko
Inventor
이지성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플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플러스텍 filed Critical (주)디에스플러스텍
Priority to KR1020130052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068B1/ko
Publication of KR2014013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77Multiple interfaces, e.g. multihomed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에 관한 것으로, 메인입력부, AC,RF 단자부, 퓨즈 션트부, 포워드 및 백워드 스위칭부, 멀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에 있어서, 증폭기의 메인 입력부 측에 연결되는 입력측 단자부(111) 및 어스부(112)와, 포워드 스위칭 잭(jack)(120)에 연결된 포워드 단자부(121) 및 어스부(122) 및 백워드 스위칭 잭(130)에 연결된 백워드 단자부(131) 및 어스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포워드 스위칭 잭(120) 및 백워드 스위칭 잭(130)에는 각각 포워드 광수신기(32) 및 백워드 광수신기(34)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Multiface Module}
본 발명은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폭기의 RF증폭모듈을 노드의 RF 증폭모듈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주며, 증폭기를 노드로 업그레이드 하는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손쉽게 증폭기를 노드로 업그레이드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의 종래기술로서,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증폭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현재 동축케이블 망에 사용되는 모든 증폭기는 입력단자(2)와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출력단자(4)로 구성된다. 참조부호 10은 전원부를 나타낸다. 이러한 기존 증폭기는 향후 확장성 및 업그레이드(Deep fiber, FTTX)를 위해서는 광 장비 및 상태감시모듈 추가 장착이 가능한 크기와 구조이어야 하며 그에 따른 전원 소비를 감당할 전원 모듈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기존에 사용하던 증폭기를 노드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는 현재는 장비 전체를 통체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동축케이블망용 증폭기에 있어서, 증폭기에 장착된 증폭모듈은 입력전용 포트로 연결된 동축케이블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노드에 장착된 RF 증폭모듈은 노드 전용으로 일반 증폭기에서 사용하는 증폭모듈은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노드에 장착된 증폭모듈은 상,하향 RF 신호를 내부에 장착된 포워드 광수신기 및 백워드 광 송신기(32,34)와 연결되도록 한 구조이다(도 2, 도 4 참조). 또한, 증폭기에 장착된 증폭모듈은 입력전용 포트로 연결된 동축케이블에 연결되는 구조이다(도 1 및 도 3 참조).
동축케이블 전송망의 업그레이드 첫 단계인 딥 파이버(Deep Fiber)로 고도화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증폭기를 노드로 업그레이드 해야 한다. 그런데, 기존 상태에서 증폭기를 노드로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서는 증폭기를 노드로 통체로 교체해야 한다(도 3의 A 및 도 4의 B 참조).
또한 철거된 증폭기는 활용도가 없고, 철거에 많은 비용이 발생되며, 철거공사시간이 장시간 소요됨에 따른 서비스 장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존 노드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현재 동축케이블망에 사용되는 모든 노드는 광송수신기와 RF 증폭부 및 전원부로 구성된다. 노드에 장착된 RF 증폭모듈은 노드 전용이 필요하며 일반증폭기에 사용되는 증폭모듈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폭기의 RF증폭모듈을 노드의 RF 증폭모듈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증폭기를 노드로 업그레이드 하는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손쉽게 증폭기를 노드로 업그레이드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은
메인입력부, AC,RF 단자부, 퓨즈 션트부, 포워드 및 백워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에 있어서,
증폭기의 메인 입력부 측에 연결되는 입력측 단자부(111) 및 어스부(112)와, 포워드 스위칭 잭(jack)(120)에 연결된 포워드 단자부(121) 및 어스부(122) 및 백워드 스위칭 잭(130)에 연결된 백워드 단자부(131) 및 어스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포워드 스위칭 잭(120) 및 백워드 스위칭 잭(130)에는 각각 포워드 광수신기(32) 및 백워드 광수신기(34)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에 의하면, 증폭기의 RF증폭모듈을 노드의 RF 증폭모듈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을 사용할 경우 기존 증폭기를 노드로 업그레이드하는 데 있어서 RF 증폭모듈을 그대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모듈 형태의 광 송수신기 및 파이버 트레이(Fiber Tray)를 손쉽게 장착하여 노드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접속된 함체 및 동축케이블 출력단과 증폭모듈 그 상태 그대로 사용가능하여 업그레이드에 따른 서비스 장애시간 최소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광 송수신기 및 파이버 트레이 추가 장착하여 증폭기를 노드로 업그레이드 하는 예상 소요시간은 1시간이내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시험 및 조정시간 포함).
또한 손쉽게 증폭기를 노드로 업그레이드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증폭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노드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증폭기의 RF 증폭모듈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노드 RF 증폭모듈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입력부와, AC,RF 단자부, 퓨즈 션트부, 포워드 및 백워드 스위칭부, 다이플렉스 필터를 포함하는 종래의 증폭기 모듈에서 다이플렉서로 이루어진 증폭기 모듈을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도 5의 상부 및 하부 참조).
즉, 메인입력부, AC,RF 단자부, 퓨즈 션트부, 포워드 및 백워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종래 증폭기 모듈을 멀티페이스 모듈을 사용하여 노드로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멀티페이스 모듈(100)을 사용하여 기존 증폭기의 RF 증폭모듈을 노드의 RF 증폭모듈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페이스 모듈(100)은
메인 입력부 측에 연결되는 입력측 단자부(111) 및 어스부(112)와, 포워드 스위칭 잭(jack)(120)에 연결된 포워드 단자부(121) 및 어스부(122) 및 백워드 스위칭 ㅈ잭(130)에 연결된 백워드 단자부(131) 및 어스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포워드 스위칭 잭(120) 및 백워드 스위칭 잭(130)에는 각각 포워드 광수신기(32) 및 백워드 광수신기(34)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은 증폭기의 RF증폭모듈을 노드의 RF 증폭모듈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을 사용할 경우 기존 증폭기를 노드로 업그레이드하는 데 있어서 RF 증폭모듈을 그대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모듈 형태의 광 송수신기 및 파이버 트레이(Fiber Tray)를 손쉽게 장착하여 노드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또한 기존 접속된 함체 및 동축케이블 출력단과 증폭모듈 그 상태 그대로 사용가능하여 업그레이드에 따른 서비스 장애시간 최소화가 가능하다.
또한 광 송수신기 및 파이버 트레이 추가 장착하여 증폭기를 노드로 업그레이드 하는 예상 소요시간은 1시간이내로 줄어든다(시험 및 조정시간 포함).
또한 손쉽게 증폭기를 노드로 업그레이드 가능하다.
100: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
111,121,131: 입출력단자
120: 포워드 스위칭 잭
130: 백워드 스위칭 잭

Claims (1)

  1. 메인입력부, AC,RF 단자부, 퓨즈 션트부, 포워드 및 백워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에 있어서,
    증폭기의 메인 입력부 측에 연결되는 입력측 단자부(111) 및 어스부(112)와, 포워드 스위칭 잭(jack)(120)에 연결된 포워드 단자부(121) 및 어스부(122) 및 백워드 스위칭 잭(130)에 연결된 백워드 단자부(131) 및 어스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포워드 스위칭 잭(120) 및 백워드 스위칭 잭(130)에는 각각 포워드 광수신기(32) 및 백워드 광수신기(34)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

KR1020130052948A 2013-05-10 2013-05-10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 KR101711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948A KR101711068B1 (ko) 2013-05-10 2013-05-10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948A KR101711068B1 (ko) 2013-05-10 2013-05-10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194A true KR20140133194A (ko) 2014-11-19
KR101711068B1 KR101711068B1 (ko) 2017-02-28

Family

ID=5245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948A KR101711068B1 (ko) 2013-05-10 2013-05-10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0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899A (ko) * 1999-03-20 2000-10-16 김용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확장장치
KR20000074015A (ko) * 1999-05-17 2000-12-05 김영환 다중섹터 기지국내 디지털 유니트
KR20050055857A (ko) * 2003-12-09 2005-06-14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Tdd 방식의 양방향 휴대인터넷 rf중계기
KR20120050420A (ko) * 2012-04-26 2012-05-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중앙제어장치를 사용한 다중채널수신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899A (ko) * 1999-03-20 2000-10-16 김용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확장장치
KR20000074015A (ko) * 1999-05-17 2000-12-05 김영환 다중섹터 기지국내 디지털 유니트
KR20050055857A (ko) * 2003-12-09 2005-06-14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Tdd 방식의 양방향 휴대인터넷 rf중계기
KR20120050420A (ko) * 2012-04-26 2012-05-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중앙제어장치를 사용한 다중채널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068B1 (ko)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49511B (zh) 分布式频谱分析仪及应用其进行频谱分析的方法
US91724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qualizing link performance
CN104221311A (zh) 用于监管波分复用无源光网络的远程节点处的布置、远程节点、中央局和其中的各自方法
WO202009458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flection measurements
CN103197160B (zh) 一种电子装置残余相位噪声的检测方法及其装置
CN103888970A (zh) 一种测试设备
KR101711068B1 (ko) 통신망용 멀티페이스 모듈
US20170111111A1 (en) Transevier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scm transmission on fibre cable
WO2016062059A1 (zh) 光模块及调整光模块输入光功率的方法
KR102153396B1 (ko) 딜레이 측정이 가능한 노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US10107982B2 (en) Optical fiber weight tracking system
Gillani et al. Reach extendibility of passive optical network technologies
JP2006174234A (ja) 可変分散補償装置、それを用いた光伝送システムおよび分散補償量の設定方法
US10536227B2 (en) Active antenna device and test method therefor
US10784979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ark section free transport networks
CN116131992A (zh) 光通信方法、系统、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02710322B (zh) 单通道长跨距光传输中ea型激光器的调测方法
CN103220121B (zh) 一种多射频系统和射频模块
US10152852B2 (en) Optical fiber location tracking system
CN205092867U (zh) 激光发射机
CN203014823U (zh) 双频智能光射频一体化终端
CN114422886B (zh) 基于端到端的智能分光管控系统
US20190215092A1 (en) Method And Node For Facilitating Optical Supervisory Channel Communications In An Optical Network
CN203859749U (zh) 一种光放设备
CN102333322A (zh) 一种室内信号覆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