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072A -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072A
KR20140133072A KR20130052633A KR20130052633A KR20140133072A KR 20140133072 A KR20140133072 A KR 20140133072A KR 20130052633 A KR20130052633 A KR 20130052633A KR 20130052633 A KR20130052633 A KR 20130052633A KR 20140133072 A KR20140133072 A KR 20140133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s
touch input
display unit
touch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석
정창용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52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3072A/ko
Priority to US14/264,861 priority patent/US20140337793A1/en
Publication of KR2014013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간단한 제스쳐(gesture)를 통해 변형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복수의 윈도우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윈도우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윈도우가 표시된 영역에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의 형상을 변형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간단한 제스쳐(gesture)를 통해 변형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커지고 해상도가 향상됨에 따라 모바일 장치에서도 종래의 PC(personal computer)와 같이 복수의 윈도우들을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모바일 장치에서는 대부분 하나의 윈도우만 표시된다. 또한, 복수의 윈도우들이 표시되더라도 표시된 윈도우들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거나 표시된 윈도우들 중에서 어느 하나만 활성화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간단한 제스쳐를 통해 변형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복수의 윈도우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윈도우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윈도우가 표시된 영역에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의 형상을 변형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이 복수의 터치 포인트들로 인가되고 인가된 터치 포인트들이 드래그(drag)될 때,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크기 변형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크기 변형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윈도우들 각각의 크기를 변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이 기준 시간 이상 인가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닫을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이콘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에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닫기 위한 윈도우 종료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윈도우 종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닫고 나머지 윈도우들의 크기를 변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이 기준 시간 이상 인가된 후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치 포인트가 드래그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상기 터치 포인트의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동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나머지 윈도우들을 반투명하게 표시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상기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윈도우들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윈도우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윈도우의 표시 영역에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의 형상을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이 복수의 터치 포인트들로 인가된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 포인트들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이 하나의 터치 포인트로 인가된 경우, 상기 터치 포인트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이 기준 시간 이상 인가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닫을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에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이 기준 시간 이상 인가된 후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치 포인트가 드래그되는 경우, 나머지 윈도우들을 반투명하게 표시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상기 터치 포인트의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간단한 제스쳐를 통해 변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변형하는 제1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변형하는 제1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folwchart)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변형하는 제2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변형하는 제2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변형하는 제3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변형하는 제3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변형하는 제4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프로세서(120), 및 터치 스크린 패널(130)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10)와 터치 스크린 패널(130)을 서로 다른 장치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 자체가 터치 스크린 패널(13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윈도우 추가 아이콘(112)을 터치하여 새로운 윈도우를 추가적으로 표시하도록 모바일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은 서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 패널(130)로부터 출력되는 좌표값(CV)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의 형상을 변형하기 위한 제어 신호(CS)를 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입력의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 지속 시간, 또는 드래그 방향 등에 따라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의 형상 변화의 종류, 예를 들어, 확대/축소, 종료 또는 이동 등을 선택한다.
프로세서(120)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의 형상을 변형하는 과정은 도 3 내지 도 9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130)은 디스플레이부(110)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130)은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좌표값(CV)을 프로세서(120)로 출력한다.
다시 말해, 터치 스크린 패널(130)은 디스플레이부(110)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의 터치 포인트의 좌표값(CV)을 프로세서(12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 패널(130)로부터 출력된 좌표값(CV)에 응답하여 좌표값(CV)에 대응하는 윈도우, 즉,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윈도우의 형상을 변형하기 위한 제어 신호(CS)를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CS)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윈도우의 형상을 변형한다. 이때,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 중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되지 않은 윈도우들의 형상도 함께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변형하는 제1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변형하는 제1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을 표시하고(S100), 터치 스크린 패널(130)은 디스플레이부(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S110). 프로세서(120)는 터치 입력이 복수의 터치 포인트들로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판단 결과에 따라, 터치 입력이 하나의 터치 포인트로 인가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터치 포인트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130). 반대로, 터치 입력이 복수의 터치 포인트들로 인가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터치 포인트들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터치 입력이 인가된 윈도우를 확대 또는 축소한다(S140).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 중에서 제1윈도우(111-1)가 표시된 영역에 복수의 터치 포인트들(TP1 및 TP2)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인가된 경우를 가정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130)은 복수의 터치 포인트들(TP1 및 TP2)에 대한 좌표값(CV)을 프로세서(12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 패널(130)로부터 출력된 좌표값(CV)에 기초하여, 복수의 터치 포인트들(TP1 및 TP2)의 드래그 방향(화살표 방향)에 따라 제1윈도우(111-1)의 크기를 변형하기 위한 크기 변형 제어 신호(CS)를 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출력된 크기 변형 제어 신호(CS)에 응답하여 제1윈도우(111-1)를 확대 또는 축소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윈도우(111-1)의 확대 또는 축소에 대응하여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 중에서 나머지 윈도우들(111-2 내지 112-5)의 크기도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나머지 윈도우들(111-2 내지 112-5) 간의 크기 비율을 유지하면서 나머지 윈도우들(111-2 내지 112-5)의 크기를 변형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변형하는 제2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변형하는 제2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을 표시하고(S200), 터치 스크린 패널(130)은 디스플레이부(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S210). 프로세서(120)는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판단 결과에 따라,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터치 포인트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230). 반대로,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터치 입력이 인가된 윈도우를 닫을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한다(S240).
이후, 상기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S250의 YES 브랜치), 프로세서(120)는 상기 윈도우를 종료한다(S260).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 중에서 제1윈도우(111-1)가 표시된 영역에 인가된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를 가정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130)은 터치 포인트(TP)에 대한 좌표값(CV)을 프로세서(12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 패널(130)로부터 출력된 좌표값(CV)에 응답하여 제1윈도우(111-1)를 닫을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 제어 신호(CS)를 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아이콘 표시 제어 신호(CS)에 응답하여 제1윈도우(111-1)를 닫을 수 있는 아이콘을 제1윈도우(111-1)가 표시된 영역 중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한다.
이후에, 상기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프로세서(120)는 제1윈도우(111-1)를 종료하기 위한 종료 제어 신호(CS)를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130)는 종료 제어 신호(CS)에 응답하여 제1윈도우(111-1)를 종료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윈도우(111-1)의 종료에 대응하여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 중에서 나머지 윈도우들(111-2 내지 112-5)의 크기도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나머지 윈도우들(111-2 내지 112-5) 간의 크기 비율을 유지하면서 나머지 윈도우들(111-2 내지 112-5)의 크기를 변형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변형하는 제3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변형하는 제3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을 표시하고(S300), 터치 스크린 패널(130)은 디스플레이부(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S310). 프로세서(120)는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판단 결과에 따라,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터치 포인트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330). 반대로,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터치 포인트의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윈도우를 이동한다(S340).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 중에서 제1윈도우(111-1)가 표시된 영역에 인가된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를 가정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130)은 터치 포인트(TP)에 대한 좌표값(CV)을 프로세서(12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 패널(130)로부터 출력된 좌표값(CV)에 응답하여 터치 포인트(TP)의 드래그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제1윈도우(111-1)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 제어 신호(CS)를 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이동 제어 신호(CS)에 응답하여 제1윈도우(111-1)를 상기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들의 형상을 변형하는 제4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윈도우들(111-1 내지 111-5) 중에서 제1윈도우(111-1)가 표시된 영역에 인가된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윈도우(111-1)를 이동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 영역,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영역에 연결 아이콘들(113-1 내지 113-3)을 표시한다.
연결 아이콘들(113-1 내지 113-3)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윈도우, 즉, 터치 입력이 인가된 제1윈도우(111-1)를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연결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즉, 사용자는 제1윈도우(111-1)를 연결 아이콘들(113-1 내지 113-3) 중에서 어느 하나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윈도우(111-1)와 관련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윈도우(111-1)를 제1연결 아이콘(113-1)으로 이동시키면, 프로세서(120)는 제1윈도우(111-1)의 인터넷 페이지 주소를 즐겨찾기에 추가한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윈도우(111-1)를 제2연결 아이콘(113-2)으로 이동시키면, 프로세서(120)는 제1윈도우(111-1)에 표시된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윈도우(111-1)를 제3연결 아이콘(113-3)으로 이동시키면, 프로세서(120)는 제1윈도우(111-1)에 표시된 화면을 편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100; 모바일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프로세서
130; 터치 스크린 패널

Claims (13)

  1. 복수의 윈도우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윈도우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윈도우가 표시된 영역에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의 형상을 변형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이 복수의 터치 포인트들로 인가되고 인가된 터치 포인트들이 드래그(drag)될 때,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크기 변형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크기 변형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윈도우들 각각의 크기를 변형하는 모바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이 기준 시간 이상 인가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닫을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이콘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에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닫기 위한 윈도우 종료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윈도우 종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닫고 나머지 윈도우들의 크기를 변형하는 모바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이 기준 시간 이상 인가된 후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치 포인트가 드래그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상기 터치 포인트의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동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나머지 윈도우들을 반투명하게 표시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상기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모바일 장치.
  9. 복수의 윈도우들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윈도우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윈도우의 표시 영역에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의 형상을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이 복수의 터치 포인트들로 인가된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 포인트들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이 하나의 터치 포인트로 인가된 경우, 상기 터치 포인트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이 기준 시간 이상 인가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닫을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에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이 기준 시간 이상 인가된 후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치 포인트가 드래그되는 경우, 나머지 윈도우들을 반투명하게 표시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윈도우를 상기 터치 포인트의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30052633A 2013-05-09 2013-05-09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40133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2633A KR20140133072A (ko) 2013-05-09 2013-05-09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4/264,861 US20140337793A1 (en) 2013-05-09 2014-04-29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2633A KR20140133072A (ko) 2013-05-09 2013-05-09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072A true KR20140133072A (ko) 2014-11-19

Family

ID=5186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2633A KR20140133072A (ko) 2013-05-09 2013-05-09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337793A1 (ko)
KR (1) KR201401330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2713B2 (en) * 2012-09-26 2017-04-04 Google Inc. Intelligent window management
US9648062B2 (en) 2014-06-12 2017-05-0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tasking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CN106155676B (zh) * 2015-04-27 2020-04-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访问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06020597A (zh) * 2016-05-12 2016-10-12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展示信息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966578B2 (en) 2018-06-03 2024-04-2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video with user interface navigation
KR102570827B1 (ko) * 2018-07-17 202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상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CN113168251A (zh) * 2018-12-24 2021-07-23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助服务设备的控制方法及自助服务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0315A (en) * 1996-07-17 1999-07-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ane window with recoiling workspaces
US6008809A (en) * 1997-09-22 1999-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iewing multiple windows within a dynamic window
US7480872B1 (en) * 2003-04-06 2009-01-20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resizing windows
US8527907B2 (en) * 2006-07-31 2013-09-03 Adobe Systems Incorporated Screen relayout
JP4982505B2 (ja) * 2007-01-25 2012-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ウィンドウ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並びに情報処理装置
US20090019383A1 (en) * 2007-04-13 2009-01-15 Workstone Llc User interface for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JP4858313B2 (ja) * 2007-06-01 2012-01-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ワークスペース管理方式
US8302026B2 (en) * 2008-11-28 2012-10-30 Microsoft Corporation Multi-panel user interface
US20100293501A1 (en) * 2009-05-18 2010-11-18 Microsoft Corporation Grid Windows
KR101636570B1 (ko) * 2009-10-28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EP2354914A1 (en) * 2010-01-19 2011-08-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58186B2 (en) * 2010-04-07 2015-06-1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GB201109339D0 (en) * 2011-06-03 2011-07-20 Firestorm Lab Ltd Computing device interface
US9268457B2 (en) * 2012-07-13 2016-02-23 Google Inc. Touch-based fluid window management
US9069434B1 (en) * 2012-10-24 2015-06-30 Google Inc. Adjusting sizes of attached windows
US9588674B2 (en) * 2012-11-30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 automated split-screen user interface on a device
KR20140073398A (ko) *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13212B1 (ko) * 2014-01-02 202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139993B2 (en) * 2014-01-22 2018-11-27 Google Llc Enhanced window control flows
US10042547B2 (en) * 2014-06-17 2018-08-07 Vmware, Inc. User interface control based on pinch gestures
JP2016035705A (ja) * 2014-08-04 2016-03-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37793A1 (en)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3072A (ko)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8276085B2 (en) Image navigation for touchscreen user interface
US20150199125A1 (en) Displaying an application image on two or more displays
KR101915615B1 (ko) 모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US8525854B2 (en) Display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CN111273838B (zh) 触摸显示装置中悬浮工具栏的移动方法及触摸显示装置
JP56641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8144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9266127A (ja)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73329B2 (en) Interaction with a graph for device control
KR102117086B1 (ko) 단말기 및 그의 조작 방법
US20090135152A1 (en) Gesture detection on a touchpad
US20150153925A1 (en) Method for operating gestures and method for calling cursor
JP6087608B2 (ja) 携帯可能な装置、携帯可能な装置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028769A (ja) 情報処理装置
KR20200087742A (ko)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CN108132721B (zh) 生成拖动手势的方法、触控装置以及便携式电子设备
JP2004206541A (ja) グラフ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22021A (ko) 디스플레이 대상의 이동 방향 조절 방법 및 단말기
US10838570B2 (en) Multi-touch GUI featuring directional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graphical content
US20180173362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used in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50098366A (ko)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CN111273802A (zh) 一种在屏幕上移动对象的方法及触摸显示装置
KR101692848B1 (ko) 호버링을 이용하는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KR102049259B1 (ko) 모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