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423A -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rolled steel sheet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s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rolled steel sheet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423A
KR20140132423A KR20130050219A KR20130050219A KR20140132423A KR 20140132423 A KR20140132423 A KR 20140132423A KR 20130050219 A KR20130050219 A KR 20130050219A KR 20130050219 A KR20130050219 A KR 20130050219A KR 20140132423 A KR20140132423 A KR 2014013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plex stainless
stainless steel
lean duplex
steel sheet
roll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0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6000B1 (en
Inventor
김지수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05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000B1/en
Publication of KR2014013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4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0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 B21B1/463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in a continuous process, i.e. the cast not being cut befor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21B3/02Rolling special iron alloys, e.g. stainless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specific alloys
    • B22D11/002Stainless stee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1/00Special rolling modes
    • B21B2201/02Austenitic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ean duplex stainless hot rolled steel sheet. The disclose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ean duplex stainless hot rolled steel sheet comprises: a step of thinly casting molten metal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 in the form of a board and rapidly cooling the molten metal; and a step of continuous annealing and heat treating the rapidly cooled material. The rapid cooling step includes a step of rolling the material thinly casted in the form of a board at a first temperature during the rapid cooling step to maintain acicular-shaped austenite inside a ferrite matrix structure of the rapidly cooled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the same or greater elongation at room temperature when compared to the existing lean duplex stainless steel.

Description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hot rolled steel sheet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온 연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capable of improving room temperature elongation.

듀플렉스(duplex)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 상과 페라이트 상이 각각 35~65%의 분율을 가지는 스테인리스 강이다. Duplex stainless steel is a stainless steel having a percentage of austenite phase and ferrite phase of 35 to 65%, respectively.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기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대비 동등한 내식성을 확보하면서 Ni 함량이 적어 경제적이고 고강도의 확보가 용이하여, 내식성을 요하는 담수설비, 펄프, 제지, 화학설비 등의 산업설비용 강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Duplex stainless steel is economical because it is low in Ni content and easy to secure high strength, while securing the corrosion resistance equivalent to that of conventional austenitic stainless steel. It is a steel material for industrial facilities such as desalination equipment, pulp, It is in the limelight.

최근에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중에서도 Ni 및 Mo 등의 고가의 합금원소를 배제하고 이들 원소를 대신하여 저원가의 합금원소를 첨가하여 낮은 합금 비용의 장점을 더욱 증대시킨 린 듀플렉스(lean duplex) 스테인리스 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attention has been paid to lean duplex stainless steels, which eliminate the expensive alloying elements such as Ni and Mo among the duplex stainless steels and add low cost alloying elements instead of these elements to further increase the advantages of low alloy cost Is an increasing trend.

이러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일본 특허출원공개소61-56267호 공보 및 WO 2002/27056호 공보, 혹은 WO 96/1875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Such lean duplex stainless steel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1-56267 and WO 2002/27056, or WO 96/18751.

한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두께가 감소할수록 상온 연신율이 낮아지므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상온 연신율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thickness of the linseed duplex stainless steel decreases, the room temperature elongation becomes lower. Therefor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improve the room temperature elongation of the linseed duplex stainless steel.

종래 연구에서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상온 연신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미세조직 내에 변형에 의한 마르텐사이트 조직(TRIP, 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이 생성되도록 유도하였으며, 이를 위해 Mn 및 Ni, N 등의 성분원소를 제어하였다. In order to improve the room temperature elongation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s, conventional researches have led to the formation of TRIP (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in the microstructure. For this purpose, Mn and Ni and N were controlled .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변형에 의한 마르텐사이트 상의 생성으로 성형 후 자연 균열(season cracking) 현상 발생 등의 문제를 수반하기 때문에, TRIP 현상을 이용한 상온 연신율의 향상 외의 방법으로 상온 연신율을 개선하는 것이 요구된다. However, such a method involves problems such as occurrence of a season cracking phenomenon after molding due to the formation of a martensite phase due to deformation, an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rove room temperature elongation by a method other than improvement of room temperature elongation using TRIP phenomenon .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온 연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inless steel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capable of improving room temperature elong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의 용강을 판재 형태로 얇게 주조하여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급속 냉각된 소재를 연속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는, 상기 급속 냉각된 소재의 페라이트 기지조직 내에 오스테나이트가 침상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판재 형태로 얇게 주조되는 소재를 상기 급속 냉각시키는 과정 중 제1 온도에서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asting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thinly in a plate form and rapidly cooling the same; And rapidly cooling the rapidly cooled material, wherein the rapid cooling step includes a step of cooling the rapidly cooled material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o that the austenite is cast into the sheet material in the form of a plate so that the austenite remains in the ferrite matrix structure of the rapidly cooled material And rolling the material at a first temperature during the rapid cooling proces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inless steel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상기 얇게 주조하여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는 800 ~ 1200℃/s의 평균 냉각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n casting and rapid cooling may be performed at an average cooling rate of 800 to 1200 ° C / s.

상기 제1 온도는 1000 ~ 1150℃일 수 있다. The first temperature may be 1000 to 1150 < 0 > C.

상기 압연하는 단계는 20 ~ 35%의 압하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olling step may be performed at a reduction ratio of 20 to 35%.

상기 연속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는 1050 ~ 1100℃ 온도로 3 ~ 4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nnealing step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050 to 1100 ° C for 3 to 4 minutes.

상기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은 상온 연신율이 40% 이상일 수 있다.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may have an elongation at room temperature of 40% or more.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대비 동등 이상의 상온 연신율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room temperature elongation equal to or higher than that of the existing lean duplex stainless steel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공정 조건에 따라 생산된 소재의 미세조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공정 조건에 따라 생산된 소재의 상온 연신율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microstructure of a material produced according to a lean-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room temperature elongation of a material produced according to a lean-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nseed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중량 %로, C: 0.06% 이하, Si: 1.5% 이하, Mn: 2% 이하, Cr: 19 ~ 23%, Ni: 1.8 ~ 3.5%, Mo: 0.5 ~ 1.0%, N: 0.16 ~ 0.30%, Cu: 0.5 ~ 1.0%,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고, 부피분율로 40 ~ 60%의 페라이트와 40 ~ 60%의 오스테나이트로 구성된 2상 조직(듀플렉스)으로 구성되며, 아래와 같은 수학식으로 계산되는 Creq 및 Nieq를 가지도록 성분원소를 조성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rritic stainless steel comprising, by weight%, C: 0.06% or less, Si: 1.5% or less, Mn: 2% or less, Cr: 19-23%, Ni: 1.8-3.5% (Duplex) composed of 0.30% of Cu, 0.5 to 1.0% of Cu, the balance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and 40 to 60% of ferrite and 40 to 60% of austenite in a volume fra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in which constituent elements are formed to have Cr eq and Ni eq calculated by the same formula.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중량 %로 C: 0.06% 이하, Si: 1.5% 이하, Mn: 2% 이하, Cr: 19 ~ 23%, Ni: 1.8 ~ 3.5%, Mo: 0.5 ~ 1.0%, N: 0.16 ~ 0.30%, Cu: 0.5 ~ 1.0%,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의 미세조직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음의 두 가지 방법으로 열연 강판을 생산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of C is 0.06% or less, the content of Si is 1.5% or less, the content of Mn is 2% or less, the content of Cr is 19-23%, the content of Ni is 1.8-3.5%, the content of Mo is 0.5-1.0% To 0.30%, Cu: 0.5 to 1.0%, and the balance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in order to control the microstructure of the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by the following two methods.

1)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해, 종래의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으로서, 통상적인 제강 및 연주 공정을 통하여 두께 150 ~ 200 mm의 연속 주조 슬라브로 생산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열간압연 및 권취하여 그 두께를 3.5 ~ 5.0 mm로 제어하고, 연속 소둔 공정에서 1050℃ 이상, 1100℃ 이하의 온도에서 6 ~ 7분간 연속 소둔 열처리를 실시하고, 일반적인 냉각 속도 (5 ~ 25℃/sec)로 냉각하는 제조 방법. 1) For comparis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tional lean-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is produced as a continuous casting slab having a thickness of 150 to 200 mm through ordinary steel-making and casting processes, hot rolled and wound by a usual method The thickness thereof is controlled to 3.5 to 5.0 mm and the continuous annealing process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050 ° C to 1100 ° C for 6 to 7 minutes in the continuous annealing step and is then cooled at a normal cooling rate (5 to 25 ° C / sec) Gt;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으로서, 용강 상태에서 두께 3.0 ~ 3.5 mm의 판재 형태로 급속 냉각시킨 후 1000 ~ 1150℃ 온도에서 압하율 30%를 가하여 최종적으로 2.1 ~ 2.5 mm의 두께로 열간압연한 후, 연속 소둔 공정에서 1050℃ 이상, 1100℃ 이하의 온도에서 3 ~ 4분간 연속 소둔 열처리를 실시하고, 일반적인 냉각 속도 (5 ~ 25℃/sec)로 냉각하는 제조 방법. 2)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rapidly cooling the steel sheet into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of 3.0 to 3.5 mm in a molten steel state and then applying a reduction rate of 30% at a temperature of 1000 to 1150 ° C, After the hot-rolling to a thickness of ~ 2.5 mm, continuous annealing is performed for 3 to 4 minutes at a temperature of 1050 ° C or more and 1100 ° C or less in a continuous annealing step and cooling is performed at a normal cooling rate (5 to 25 ° C / sec) Gt;

상기 두 가지의 방법으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 강판을 생산하고, 종래의 방법과는 다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 공정에 의한 미세조직적 특이성으로 인해 열연 강판의 상온 연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대해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by the above-described two methods and improve the room temperature elongation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due to the microstructural specificity of the produ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먼저,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강 조성의 한정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성분에 대한 %는 질량 %를 의미한다. First, the reason for limiting the steel composition of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t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Here,% of the component means% by mass.

C: C는 고용강화에 의한 재료 강도 증가에 유효한 원소이나, 함량이 과다 시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상 경계에서 내식성에 유효한 Cr과 같은 탄화물 형성 원소화 쉽게 결합하여 결정립계 주위의 Cr 함량을 낮추어 부식 저항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내식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C의 함량을 0.06%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C is an element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strength of materials by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However, when the content is excessive, carbide formation such as Cr which is effective for corrosion resistance at the ferrite-austenite phase boundary is easily combined and lowers the Cr content around the grain boundar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of C is 0.06% or less in order to maximize the corrosion resistance.

Si: Si는 탈산 효과를 위하여 일부 첨가되나, 또한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로도 작용하기 때문에 일부 첨가한다. 과다할 경우 충격인성과 관련된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키므로 1.5% 이하로 제한한다. Si: Si is partially added for the deoxidation effect, but some is added because it also acts as a ferrite stabilizing element. If it is excessive, the mechanical properties related to impact toughness are lowered, so it is limited to 1.5% or less.

Mn: Mn은 용탕 유동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약 1.5% 정도 함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고가의 Ni 대치용으로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부수적으로 열간가공성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함량이 과다하면 강 중의 S와 결합하여 MnS를 형성하고 내식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열간가공성도 나빠지므로, Mn의 함량을 2% 이하로 제한한다. Mn: Mn is generally contained at about 1.5% in order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molten metal. However, the content can be increased for replacing expensive Ni and in this case, the hot work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If the content is excessive, Mn is combined with S in the steel to form MnS, which not only deteriorates corrosion resistance but also deteriorates hot workability, so that the content of Mn is limited to 2% or less.

Cr: Cr은 Mo와 함께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로 duplex 스테인리스 강의 페라이트상 확보에 주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내식성 확보를 위한 필수 원소이다. 함량을 증가시키면 내식성이 증가하나 상분율 유지를 위하여 고가의 Ni 함량도 비례적으로 증가 되어야 하므로, lean duplex 스테인리스강의 상분율을 유지하면서 적정한 내식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서 Cr의 함량을 19 ~ 23%로 제한한다. Cr: Cr together with Mo plays a major role in securing ferrite phase of duplex stainless steels as a ferrite stabilizing element, and is an essential element for securing corrosion resistance. As the content increases, the corrosion resistance increases. However, in order to maintain the phase fraction, the amount of expensive Ni must also be proportionally increased.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phase fraction of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nd obtain the adequate corrosion resistance, Limit.

Ni: Ni은 Mn 및 N와 함께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duplex 스테인리스 강의 오스테나이트 상의 상분율 확보에 주된 역할을 한다. 원가절감을 위하여 가격이 비싼 Ni 함량 감소는 다른 오스테나이트 상 형성 원소인 Mn과 N 의 함량 증가로 상쇄될 수 있으나, 과도한 Ni 함량 감소는 Mn 및 N 함량의 과다로 오히려 내식성 및 열간가공성 감소 또는 Cr 및 Mo의 함량 감소로 인해 내식성 확보가 곤란하므로, Ni의 함량을 1.8 ~ 3.5%로 제한한다. Ni: Ni, together with Mn and N, plays a major role in securing phase fraction of austenite phase of duplex stainless steel as an austenite stabilizing element. In order to reduce cost, the high Ni content reduction can be offset by the increase of Mn and N contents of other austenite forming elements, but excessive Ni content decrease is excessive in Mn and N content,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corrosion resistance due to the decrease of the content of Mo, so the content of Ni is limited to 1.8 to 3.5%.

Mo: Mo는 Cr과 같이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인 동시에 강력한 부식저항성 향상 원소이다. 그러나 매우 고가의원소이고, 함량이 과다하면 열처리시 쉽게 시그마상을 형성하여 내식성 및 충격인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Mo의 역할을 상분율 확보를 위한 Cr의 보조 역할 및 적정 내식성 확보이며, 제조원가의 절감을 위해 Mo의 함량을 0.5 ~ 1.0%로 제한한다. Mo: Mo is a ferrite stabilizing element like Cr and a strong corrosion resistance improving element. However, it is a very expensive element. When the content is excessive, a sigma phase is easily formed upon heat treatment, which causes a deterioration in corrosion resistance and impact toughnes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e of Mo is to assure the auxiliary role of Cr and proper corrosion resistance for securing the phase fraction,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the Mo content is limited to 0.5 to 1.0%.

Cu: Cu는 Ni, Mn 및 N와 같이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는 원소로 알려져 있으며, 황산 분위기에서 스테인리스 강의 내식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1% 이상의 Cu 함량은 공식저항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테인리스강의 열간가공성을 저하시키는 원소로 알려져 있으므로, Cu의 함량을 0.5 ~ 1.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u: Cu is known to stabilize the austenite phase such as Ni, Mn and N, and is known to increas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stainless steel in a sulfuric acid atmosphere. However, it is known that the Cu content of 1% or more reduces the formal resistance and is known as an element that lowers the hot workability of the stainless stee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content of Cu to 0.5 to 1.0%.

N: Duplex 스테인리스 강에서 N은 Ni와 함께 오스테나이트 상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는 원소 중의 하나이며, N 함량 증가는 부수적으로 내식성 증가 및 고강도화를 꾀할 수 있다. 그러나 N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열간가공성을 감소시켜 실수율을 저하시키고, 반면에 N 함량이 너무 낮으면 상분율 확보를 위해 Cr 및 Mo 함량도 낮추어야 하며 용접부 강도 및 상 안정성 확보가 곤란하다. 따라서 N 함량은 0.16 ~ 0.3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 Duplex In stainless steel, N is one of the elements contributing to the stabilization of austenite phase together with Ni, and the increase of N content can additionally increase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enhance the strength. However, if the content of N is too high, the hot workability is lowered to reduce the rate of water loss. On the other hand, if the N content is too low, the Cr and Mo contents must be lowered to secure the phase fraction. Therefore, the N content is preferably limited to 0.16 to 0.3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Creq값의 한정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때, 성분에 대한 %는 질량 %를 의미한다. Next, reasons for limiting the Cr eq value of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 of the component means% by mass.

하기의 수학식에서의 Creq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에 있어서 페라이트 생성 원소인 Cr, Mo, Si, Nb의 영향을 Cr의 영향으로 환산한 지수로서 알려져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합금 성분 중 Nb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Creq 식에서 Nb항을 제외하였다.
Creq in the following formula is generally known as an index obtained by converting the influence of ferrite generating elements Cr, Mo, Si and Nb into the influence of Cr in stainless steel. At this time, since Nb is not contained in the alloy compon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b term is excluded in the Creq equation.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상기의 수학식 3에 의해, Cr, Mo, Si의 합금원소가 페라이트 상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정도를 지수화할 수 있으며, Ni 함량을 저감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 있어서 페라이트 상과 오스테나이트 상 간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Creq의 값을 19.5 이상, 26.3 이하 범위로 제한한다.
Equation (3) can be used to index the degree of contribution of the alloying elements of Cr, Mo, and Si to the stability of the ferrite phase. In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in which the Ni content is reduced, the balance between the ferrite phase and the austenite phase The value of Creq is limited to a range of not less than 19.5 and not more than 26.3 in the present invention.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Nieq값의 한정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때에도, 성분에 대한 %는 질량 %를 의미한다. The reasons for limiting the Ni eq value of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At this time,% of the component means% by mass.

상기의 수학식 3과 마찬가지로, 하기의 수학식에서의 Nieq는 스테인리스강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 생성 원소인 C, Mn, Ni, Cu, N의 영향을 Ni의 영향으로 환산한 지수이다.
As in Equation (3), Nieq in the following equation is an index obtained by converting the influence of the austenite generating elements C, Mn, Ni, Cu and N into the influence of Ni in the stainless steel.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Ni 함량을 1.8 ~ 3.5%로 제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페라이트 상과 오스테나이트 상 간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각 합금 원소의 함량을 조절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서의 Nieq값을 6.9 이상, 15.8 이하 범위로 제한한다.
In the case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Ni is limited to 1.8 to 3.5%, and the content of each alloy element is adjusted so as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the ferrite phase and the austenite phase . 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ieq value in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is limited to the range of 6.9 to 15.8.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열연 강판의 제조 조건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of the linseed duplex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통상적으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열연 강판 제조를 위해서는, 용강을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몰드에 부어 느린 냉각속도로 상온까지 냉각시켜 슬라브를 제조하고, 제조된 슬라브를 1200? 이상의 고온에서 장시간 재가열한 후 일정 두께까지 열간압연 및 권취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 강판은 압연 방향을 따라 길게 연신된 미세조직을 갖게 된다. Generally, in order to manufacture hot-rolled steel sheets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 molten steel is poured into molds having a constant size to cool them to room temperature at a slow cooling rate to produce slabs, Or more and then hot rolled and rolled up to a certain thickness. The thus-produced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has a microstructure elongated along the rolling direction.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무작위 방향성을 가지는 미세조직을 얻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용강을 두께를 얇게 주조하여 빠른 냉각 속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btain a microstructure having a random orientation, the molten steel of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thinned to obtain a fast cooling 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얇게 주조하여 급속 냉각시키는 과정은 800 ~ 1200℃의 평균 냉각 속도를 만족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thin casting and rapid coo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y an average cooling rate of 800 to 1200 ° C.

평균 냉각 속도가 800℃ 미만일 경우에는 냉각 속도가 느려 판재의 국부적인 온도 상승이 우려되고, 이 경우 페라이트의 부피 분율이 60%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어 요구되는 상온 연신율(일례로, 40% 이상)을 가질 수 없게 된다. 그리고, 평균 냉각 속도가 1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재의 과응고 현상으로 소재 내 페라이트 분율이 40% 이하가 되어 요구되는 항복강도를 만족할 수 없게 되므로, 얇게 주조하여 급속 냉각시키는 과정은 800 ~ 1200℃의 평균 냉각 속도를 만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average cooling rate is less than 800 ° C, the cooling rate is slow, which may raise the local temperature of the plate. In this case, the volume fraction of the ferrite is increased to 60% or more and the required room temperature elongation (for example, 40% Can not. If the average cooling rate exceeds 1200 ° C., the ferrite fraction in the material becomes less than 40% due to excessive coagulation of the material, so that the required yield strength can not be satisfied. Therefore, Lt; 0 > C.

다음으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성분 중 질소의 함량이 0.16% 이상인 고질소 강으로서, 주조 시 미세조직 내 질소 pore 또는 응고 불균일에 의한 기공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미세조직의 건전성을 위하여 응고되는 과정에서 1000~1150? 사이의 온도에서 30%의 압하율을 소재에 부여한다. Next,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is a high nitrogen steel having a nitrogen content of 0.16% or more in the composition. Since nitrogen pores in the microstructure or pores due to the coagulation nonuniformity may exist during casting, the process of solidifying for the integrity of the microstructure 1000 to 1150? The material is given a reduction ratio of 30%.

응고되는 과정 중에서 압연이 이루어지는 온도가 1000℃ 미만일 경우에는 설비 압연 하중 이상으로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압연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11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재의 냉각 속도가 느려야 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요구되는 상온 연신율을 만족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는 점에서, 1000 ~ 1150℃에서 압연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rolling is performed in the solidification process is less than 1000 ° C, the rolling itself is not performed because the load is applied more than the facility rolling load. If the temperature exceeds 1150 ° C, the cooling rate of the material must be slow.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ing is carried out at 1000 to 1150 占 폚 in that the same room temperature elongation as required can not be satisfied.

요컨대, 용강을 얇게 주조하여 평균 냉각 속도 800 ~ 1200℃로 급속 냉각시키는 과정 중 1000 ~ 1150℃의 온도 범위에서 30%의 압하율로 소재를 압연할 수 있다.That is, the material can be rolled at a reduction ratio of 30%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000 to 1150 ° C during the process of casting molten steel thinly and cooling rapidly at an average cooling rate of 800 to 1200 ° C.

또한, 소재에 부여되는 압하율이 20% 이하인 경우에는 주조시 발생하는 주조 결함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고, 35% 이상인 경우에는 압연 하중이 과도하게 작용하여 소재 형상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압하율의 범위는 20 ~ 35%로 설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0%의 압하율을 적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In addition, when the reduction rate applied to the material is 20% or less, casting defects occurring during casting can not be completely removed. When the reduction rate is 35% or more, the rolling load excessively acts to adversely affect the work shape, Can be set in the range of 20 to 35%.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reduction ratio of 30% is appli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러한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소재는 최종 두께가 2.1 ~ 2.5 mm로서 추가적인 재가열이나 열간압연 없이 연속주조로 생산되는 종래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대비 얇은 두께를 갖는다. The material produced through this process has a final thickness of 2.1 to 2.5 mm, which is thinner than conventional lean duplex stainless steel produced by continuous casting without additional reheating or hot rolling.

상기 급속 냉각을 통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주조 및 30% 압하 후 연속 소둔 라인에서 종래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과 마찬가지로 1060℃에서 3 ~ 4분간 소둔 열처리될 수 있으며, 소둔 열처리 후 산세를 통한 소둔 스케일 제거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through the rapid cooling can be annealed at 1060 ° C. for 3 to 4 minu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linseed duplex stainless steel in a continuous annealing line after casting and 30% reduction. The annealing scale removal process through pickling after annealing heat treatment ≪ / RTI >

연속 소둔 열처리를 위한 온도 범위와 관련하여, 1050℃ 미만인 경우에는 요구되는 재결정율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고, 1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재의 형상이 불량하게 된다는 점에서, 연속 소둔은 1050 ~ 110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로 3 ~ 4분 동안 연속 소둔 열처리함으로써 소재 내 미세조직의 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 상의 재결정이 완료되고 요구되는 40% 이상의 상온 연신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range for the continuous annealing process,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1050 ° C, the required recrystallization ratio is not ensured.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1100 ° C, the shape of the material becomes poor. Therefore, continuous annealing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050 to 1100 ° C And the continuous annealing for 3 to 4 minutes at the above temperature can complete the recrystallization of the austenite and ferrite phase of the microstructure in the material and ensure the required room temperature elongation of 40% or more.

계속하여, 통상 조건으로 제조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조건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production conditions of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produced under normal conditions will be described.

1500? 이상의 고온에서 완전 용해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용강을 두께 150 ~ 200 mm의 슬라브로 연속 주조하여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1200? 이상의 고온에서 장시간 숙열하여 두께 2.5 mm까지 열간압연할 수 있다. 1500? The molten steel of the completely dissolved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as continuously cast into a slab having a thickness of 150 to 200 mm,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can be hot-rolled to a thickness of 2.5 mm.

그리고, 열간압연 후 권취하여 연속 소둔 설비에서 1060?에서 3 ~ 4분간 연속 소둔 열처리를 하였으며 소둔 열처리 후 산세를 통한 소둔 스케일 제거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Then, after hot rolling, the steel sheet can be manufactured by continuously annealing at 1060? For 3 to 4 minutes in a continuous annealing facility, annealing after heat treatment, and annealing scale removal through pickling.

다음의 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분 조성범위를 갖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시편들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The following table shows the component analysis results for specimens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s having component composition rang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시편들은 앞서 설명한 조성 범위를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1, the specimens of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y the composition ranges described above.

그리고, 다음의 표는 상기의 표 1의 성분조성을 갖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시편들에 대한 공정조건을 나타낸다. 이때, 표 1에 나타난 5개의 시편 중 임의의 하나의 시편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공정조건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표 1에서의 위에서 네 번째, 다섯 번째 시편에 대해 하기의 공정조건이 적용될 수 있다.
The following table shows the process conditions for lean duplex stainless steel specimens having the composition of Table 1 above. At this time, the following process conditions may be applied to any one of the five specimens shown in Table 1, and for example, the following process conditions may be applied to the fourth and fifth specimens from Table 1 have.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그리고, 도 1은 상기의 표 2에 나타난 공정 조건에 따라 생산된 소재의 미세조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때, 도 1a와 도 1b는 표 2에 나타낸 비교예 A와 B 조건을 이용하여 생산된 소재의 미세조직을, 도 1c와 도 1d는 표 2에 나타낸 발명예 C와 D 조건을 이용하여 생산된 소재의 미세조직을 각각 도시한다. 1 is a view showing the microstructure of a material produced according to the process conditions shown in Table 2 above. 1A and 1B show the microstructure of the material produced using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A and B shown in Table 2 and FIGS. 1C and 1D show the microstructure of the material produced using the inventive C and D conditions shown in Table 2 And the microstructure of the material, respectively.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오스테나이트와 페라이트가 각각 54:46, 52:48의 비율로 공존하는 미세조직을 보여주고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S. 1A and 1B, microstructures in which austenite and ferrite coexist at a ratio of 54:46 and 52:48, respectively.

두 상 모두 압연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큰 종횡비(aspect ratio)를 가지고 길게 연신된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으며, 오스테나이트는 결정립 내에 소둔에 의한 소둔 쌍정 및 재결정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 페라이트의 경우에는 조대한 결정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both phases have a long elongated shape with a large aspect ratio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ustenite has annealing twinning and recrystallization by annealing in the crystal grain, while ferrite It can be seen that coarse crystal grains are formed.

한편,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면, 급속 응고를 통해 생산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미세조직을 나타내고 있다. Referring to FIGS. 1C and 1D, the microstructure of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produced through rapid solidification is shown.

오스테나이트와 페라이트의 분율은 조성된 성분의 범위가 동일하기 때문에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며, 각각 50:50, 52:48의 상분율을 보이고 있다. The fraction of austenite and ferrit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cause of the same range of constituents, and the fraction of 50:50 and 52:48, respectively, is shown.

또한, 도 1a 및 도 1b와는 달리 한 방향으로 연신된 형태의 결정립이 아닌 방향성이 없는 결정립 형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통상 공정과는 달리, 열연 재가열 공정이 생략되었고, 열간압연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총 압하율이 30%로서 통상 공정 대비 상당히 적은 양이기 때문에 급속 응고 시에 형성된 미세조직이 방향성을 가지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In addition, unlike FIGS. 1A and 1B, it can be seen that the crystal grains are not oriented in one direction but are not oriented. This is because the hot rolling reheating process is omitted and the hot rolling is performed, unlike the ordinary process, the total rolling reduction is 30%, which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the ordinary process, so that the microstructure formed at the time of rapid solidification was not directio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적 형상을 갖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에 대하여 ASTM 규격에 의거하여 상온 기계적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의 표에 나타난 바와 같다.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ASTM standard for the linseed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s having microstructural shap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그리고, 도 2는 상기의 표 2에 나타난 공정 조건에 따라 생산된 소재의 상온 연신율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2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room temperature elongation of a material produced according to the process conditions shown in Table 2 above.

도 2 및 상기의 표 3을 참조하면, 공정조건에 따라 항복강도는 약 520 ~ 550 MPa, 인장강도는 약 680 ~ 700 MPa 정도로 유사한 반면, 연신율의 경우에는 A 및 B 공정의 소재가 평균적으로 약 36%, C 및 D 공정의 소재가 평균적으로 42 ~ 43% 정도의 연신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공정조건에 따라 약 6 ~ 8% 정도의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nd Table 3, the yield strength is about 520 to 550 MPa and the tensile strength is about 680 to 700 MPa according to the process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longation, 36%, and C and D processes have an average elongation of about 42 ~ 43%,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of about 6 ~ 8% depending on process conditions.

상기 기계적 물성의 차이는 각 소재의 미세조직적 형상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difference in mechanical properties can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the microstructure of each material.

즉, A 및 B 공정 소재의 경우, 이미 열간압연 공정에서 압연 방향으로 길게 연신된 형태의 미세조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온에서 같은 방향으로 인장응력을 가할 경우 미세조직이 어느 정도 연신이 되다가 소재가 받을 수 있는 임계 에너지를 초과하면 파단이 일어나게 된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A and B process materials, since the microstructure is already elongated in the rolling direction in the hot rolling process, when the tensile stress is applied in the same direction at room temperature, the microstructure is stretched to some extent, When the threshold energy that can be received is exceeded, breakage occurs.

반면, 방향성이 없는 미세조직에 일정한 방향으로 인장응력이 가해지면, 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미세조직의 회전이 발생하게 되며, 결정립의 회전에 의한 일부 에너지의 상쇄로 소재가 받을 수 있는 임계 에너지가 A, B 공정 소재보다 높아져 더 향상된 연신율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a tensile stress is applied to a microstructure having no directionality in a certain direction, microstructure rotation occurs in a direction in which stress acts, and a critical energy that can be received by the material due to the cancellation of some energy due to the rotation of the grains A and B process materials, and thus the elongation rate is improv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 비해 우수한 상온 연신율을 확보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 강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품질 개선 및 수요 창출에 의한 경제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which has superior room temperature elongation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lean duplex stainless steel,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by improving quality and deman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nseed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은, 용강을 주조하여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S310), 및 연속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S3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310 of casting molten steel and rapidly cooling it, and a step S320 of continuous annealing.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S3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작위 방향성의 미세조직이 획득될 수 있도록 빠른 냉각 속도로 이루어지며, 일례로, 적어도 800 ~ 1200℃/s의 평균 냉각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apid cooling step S310 is performed at a rapid cooling rate so as to obtain randomly oriented microstructure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cooling rate may be at least 800 to 1200 占 폚 / s.

이때, 빠른 냉각 속도를 위해서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의 용강이 두께 3.0 ~ 3.5 mm를 갖는 판재 형태로 주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lten steel of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is cast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thickness of 3.0 to 3.5 mm for a fast cooling rat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S3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급속 냉각된 소재의 페라이트 기지조직 내에 오스테나이트가 침상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판재 형태로 얇게 주조되는 소재를 급속 냉각시키는 과정 중 소정의 온도에서 압연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apid cooling step S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rapidly cooling a material that is thinly cast in the form of a plate so that the austenite can maintain its shape in the ferrite matrix structure of the rapidly cooled material (Not shown)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uring the rapid cooling process.

이때, 압연하는 단계(미도시)는 판재 형태로 얇게 주조되는 소재에 대해 급속 냉각시키는 과정 중 1000 ~ 1150℃의 온도에서 30%의 압하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olling step (not shown)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000 to 1150 DEG C at a reduction ratio of 30% during a rapid cooling process for a thin cast material in the form of a plate.

이는 기존의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 즉, 느린 속도로 상온까지 냉각시켜 슬라브를 제조하고, 제조된 슬라브를 1200℃ 이상의 고온에서 장시간 재가열한 후 일정 두께까지 열간압연 및 권취하는 것과는 달리, 용강을 얇게 주조하여 급속 냉각시키는 과정 중 1000 ~ 1150℃ 온도에서 상당히 작은 압하율로 압연하는 것으로서, 소재가 압연하는 단계(미도시)를 거치더라도 급속 응고 시에 형성된 미세조직이 방향성을 갖지 않도록 한다.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that is, a slab i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t a slow speed, and the produced slab is reheated at a high temperature of 1200 ° C or higher for a long time and then hot- Is rolled at a considerably small rolling reduction rate at a temperature of 1000 to 1150 DEG C during the process of thin casting and rapid cooling so that the microstructure formed at the time of rapid solidification does not have a directionality even when the material is subjected to a rolling step (not shown).

그리고, 압연 후, 급속 냉각된 소재는 연속 소둔 장비를 통해 연속 소둔 열처리된다(S320). After the rolling, the rapidly cooled material is continuously annealed by continuous annealing equipment (S3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소둔 열처리 단계(S320)는 1050 ~ 1100℃ 온도로 3 ~ 4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inuous annealing heat treatment step (S320)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050 to 1100 ° C for 3 to 4 minutes.

이러한 본 발명의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은 기존의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과 성분의 범위는 동일하나 통과 공정 조건 차이에 의한 미세조직 제어로 상온 연신율을 기존 소재 대비 동등 이상으로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advantages as that of a conventional lean duplex stainless steel but improves the room temperature elongation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steel sheet by controlling the microstructure by a difference in passing process condition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6)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의 용강을 판재 형태로 얇게 주조하여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급속 냉각된 소재를 연속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는, 상기 급속 냉각된 소재의 페라이트 기지조직 내에 오스테나이트가 침상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판재 형태로 얇게 주조되는 소재를 상기 급속 냉각시키는 과정 중 제1 온도에서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ainless steel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Casting the molten steel of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thinly in the form of a sheet to rapidly cool the molten steel; And
And subjecting the rapidly cooled material to a continuous annealing heat treatment,
Wherein the rapid cooling step comprises rolling the material being thinly cast in the form of a sheet material at a first temperature during the rapid cooling process so that the austenite remains in the ferrite matrix structure of the rapidly cooled material Wherein the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has a thickness of 10 m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얇게 주조하여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는 800 ~ 1200℃/s의 평균 냉각 속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n casting and rapid cooling step is performed at an average cooling rate of 800 to 1200 DEG C / 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1000 ~ 1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is 1000 to 1150 ° C.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하는 단계는 20 ~ 35%의 압하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olling step is performed at a reduction ratio of 20 to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는 1050 ~ 1100℃ 온도로 3 ~ 4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inuous annealing step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050 to 1100 占 폚 for 3 to 4 minu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은 상온 연신율이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has an elongation at room temperature of 40% or more.
KR20130050219A 2013-05-03 2013-05-03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rolled steel sheet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s KR1014960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0219A KR101496000B1 (en) 2013-05-03 2013-05-03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rolled steel sheet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0219A KR101496000B1 (en) 2013-05-03 2013-05-03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rolled steel sheet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423A true KR20140132423A (en) 2014-11-17
KR101496000B1 KR101496000B1 (en) 2015-02-25

Family

ID=5245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0219A KR101496000B1 (en) 2013-05-03 2013-05-03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rolled steel sheet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000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370A (en) * 2014-12-22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Twin roll strip caster, method for manufacturing duplex stainless thin steel sheet by using the same and duplex stainless thin steel sheet
WO2017111437A1 (en) * 2015-12-21 2017-06-29 주식회사 포스코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90092493A (en) * 2016-12-07 2019-08-07 회가내스 아베 (피유비엘) Stainless Steel Powder for Manufacturing Duplex Sintered Stainless Steel
CN110695123A (en) * 2019-10-18 2020-01-17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Preparation process of duplex stainless steel medium plate
CN110773569A (en) * 2019-10-18 2020-02-11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Preparation process of S32750 super duplex stainless steel coiled plate
CN112779403A (en) * 2020-12-28 2021-05-11 山西中阳钢铁有限公司 Double-phase stainless steel rolling process sche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8694B2 (en) * 1989-03-17 1998-09-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thin cast slab
JP2527105B2 (en) * 1992-11-12 1996-08-21 日本鋼管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plate duplex stainless steel slab
JPH07100594A (en) * 1993-10-05 1995-04-18 Nippon Steel Corp Twin roll type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3445994B2 (en) * 1998-09-10 2003-09-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22% Cr duplex stainless steel hot rolled steel strip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370A (en) * 2014-12-22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Twin roll strip caster, method for manufacturing duplex stainless thin steel sheet by using the same and duplex stainless thin steel sheet
WO2017111437A1 (en) * 2015-12-21 2017-06-29 주식회사 포스코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90092493A (en) * 2016-12-07 2019-08-07 회가내스 아베 (피유비엘) Stainless Steel Powder for Manufacturing Duplex Sintered Stainless Steel
CN110695123A (en) * 2019-10-18 2020-01-17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Preparation process of duplex stainless steel medium plate
CN110773569A (en) * 2019-10-18 2020-02-11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Preparation process of S32750 super duplex stainless steel coiled plate
CN112779403A (en) * 2020-12-28 2021-05-11 山西中阳钢铁有限公司 Double-phase stainless steel rolling process sche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000B1 (en)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35015C (e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toughness, ductility and streng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212956B2 (en)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bending workability and wear resist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49600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rolled steel sheet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s
JP2011184758A (en) High strength pressed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7002774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sheet obtained
KR20180072967A (en) High manganese steel with superior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yield streng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03174B1 (en) Low alloy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ngth and ductility
JP2010156016A (en)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superior in bendability and anisotropy of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221475B2 (en) High-strength steel material with excellent ductility and low-temperature toughnes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2912527B (en) Steel sheet for pressure vessel having excellent low-temperature toughness and excellent duct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903181B1 (e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and form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112489A (en) St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67052B1 (en) Ultra-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85336B1 (en) STEEL PLATE WITH HIGH STRENGTH OF 500MPa GRADE AND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64098B1 (en) Hot rolled steel sheet for pressure vessel,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118313A (en) Hot-rolled st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42696B1 (en) High manganese light weight steel with excellent wear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4918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IGH STRENGTH STRUCTURAL STEEL OF TENSILE STRENGTH OF 750MPa GRADE AND HIGH STRENGTH AND THE STEEL USING THEREOF
KR101957601B1 (en) Cold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15040B1 (en) High carbon hot-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12354B1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99939B1 (en) Thick plate having high strength and tough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34205A (en) Shape st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hape steel
KR101267624B1 (en) Structural st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ructural steel
KR20110130972A (en) High strength line pipe steel with excellent low temperature dwtt proper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igh strength line pipe st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