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199A -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199A
KR20140132199A KR20130051420A KR20130051420A KR20140132199A KR 20140132199 A KR20140132199 A KR 20140132199A KR 20130051420 A KR20130051420 A KR 20130051420A KR 20130051420 A KR20130051420 A KR 20130051420A KR 20140132199 A KR20140132199 A KR 20140132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box
moving
sliding
wire
dis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남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51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199A/ko
Publication of KR2014013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박스와 크레인 사이에서 포장박스를 리프팅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며, 포장박스를 리프팅하기 위한 와이어의 간격이 포장박스의 너비에 자연스럽게 대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박스에 대한 안정적인 해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 이동부를 제공하는 몸체;상기 몸체의 슬라이딩 이동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며, 하부에는 포장박스의 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한 쌍의 이동체;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에 걸림되는 걸림부;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이동체의 과도한 주행을 구속하여 몸체로부터 이동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A lifting apparatus for large packing box separation}
본 발명은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고된 자재의 포장 박스를 안정적으로 해체할 수 있도록 한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수주된 선박의 종류별(상선, 특수선등), 크기별(배수량) 등에 따라 영업 설계를 시작함과 아울러 생산 계획에서 대일정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영업 설계가 수립되면 상세 설계를 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구매 일정을 수립하고, 다시 상기한 구매 일정과 연동하도록 중일정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상기한 상세 설계 및 중일정 계획이 수립되면 다시 생산에 필요한 생산 설계를 함과 아울러 생산에 필요한 소일정 계획을 부서별, 공종별로 수립함과 아울러 구매 자재가 입고되고, 생산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생산 일정 및 생산 계획을 수립하여 선박 건조 일정에 소요되는 인력 배치, 도크(DOCK) 배치, 작업장 배치, 건조 설비 일정 조절, 외주 업체 일정 조절등을 하게 된다.
상기한 생산의 일정계획은 대략 1년 정도의 중일정 계획을 세우고, 이를 다시 부서별, 공종별로 시수에 따른 상세한 소일정 계획을 수립하게 되는 바, 상기한 소일정 계획을 주간실행 계획등으로 세분화하여 선박 건조 생산 계획을 실행하게 되는것이다.
상기한 중일정 계획에 따라 구매부서에 자재 구입 요청을 한 후 소일정계획에 따라 자재가 입고되는 바, 상기한 자재의 입고 시에는 소정의 납품 검사 공정을 거치게 된다.
즉, 자재 입고시에는 사외 협력사의 납품서를 확인하여 입고 물품에 대해 확인을 함과 아울러 상기한 입고 자재를 즉시 생산에 투입하게 된다.
이때, 입고되는 자재의 종류 및 크기는 다양하며, 포장박스에 의해 포장된 상태로 입고된다.
입고된 자재를 생산 현장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포장박스를 해체한 후 자재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때, 자재의 포장 단위가 큰 경우, 나무 재질의 포장 박스에 의해 포장되는데, 상기 포장박스를 벗겨 내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포장박스를 벗겨내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에 대한 우려가 크게 발생하였으며,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포장 해체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크레인을 이용하여 대형 포장 박스를 벗겨 냄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생산성을 늘릴 수가 있었다.
이를 위해, 포장박스의 하단부를 톱으로 절단한 후, 크레인의 후크를 포장박스에 연결된 와이어와 연결하여 포장박스를 상방으로 벗겨냈던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크레인을 이용한 포장박스 해체 작업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포장 박스(10)를 벗겨내는 과정에서, 크레인의 후크(H)에 걸린 포장 박스(10)의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치우칠 경우 포장박스(10)가 크레인의 후크(H)로부터 낙하되어 2차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즉, 크레인을 이용함으로써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는 있었으나, 무게 중심을 맞추기가 어려워 안전사고 발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05-006450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대형 포장박스를 벗겨내는 작업에 대한 작업성을 높이되, 포장박스를 리프팅 하기 위한 한 쌍의 와이어 간격이 포장박스의 너비에 자연스럽게 대응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포장박스 해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대형 포장 박스 해체용 인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이동부를 제공하는 몸체;상기 몸체의 슬라이딩 이동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며, 하부에는 포장박스의 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한 쌍의 이동체;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에 걸림되는 걸림부;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이동체의 과도한 주행을 구속하여 몸체로부터 이동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 이동부는, 수직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이동체는, 슬라이딩 이동부의 각 상면에 대응된 상면부와, 각 상면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저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면부에는 슬라이딩 이동부의 상면을 따라 구름되는 롤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와 걸림부는 패드아이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자재로부터 대형 포장박스를 해체하는 작업에 있어서, 크레인과 대형 포장박스 사이에 연결 매개체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대형 포장박스의 무게중심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대형 포장박스의 너비에 따라 이동체가 슬라이딩 이동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대형 포장 박스에 걸리는 한 쌍의 와이어 간격이 자연스럽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포장 박스의 무게 중심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대형 포장박스가 인양되는 과정에서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음에 따라 대형 포장박스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대형 포장박스를 인양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사이즈가 다른 포장박스를 인양하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는 포장박스 사이즈에 따라 상기 포장박스를 걸어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와이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사이즈에 관계없이 대형 포장박스의 무게 중심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포장박스의 안정적인 해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이동체(200)와, 걸림부(300)와, 스토퍼(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크레인의 후크(H)에 걸리는 부위이며, 이동체(200)가 슬라이딩 되는 부위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100)는 슬라이딩 이동부(110)를 형성한다.
슬라이딩 이동부(110)는 이동체(200)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편평한 면을 형성한다.
슬라이딩 이동부(110)는 수직부(12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는, 이동체(200)가 슬라이딩 이동부(1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매달리도록 구성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120)를 기준으로 양측의 슬라이딩 이동부(110)에 이동체(200)가 매달려 결합됨으로써, 안정감 있는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몸체(100)는 H빔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이동체(200)는 몸체(100)의 슬라이딩 이동부(110)를 따라 이동되면서, 포장박스(10)의 너비에 대응되는 간격을 조절한다.
즉, 이동체(200)에는 포장박스(10)를 인양하기 위한 한 쌍의 와이어(W)가 결합되는데, 이 와이어(W) 사이의 간격이 포장박스(10)의 너비에 따라 자연스럽게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체(200)는 한 쌍으로 제공되며, 슬라이딩 이동부(110)에 매달리도록 결합된다.
이동체(200)는 수직부(120)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슬라이딩 이동부(110) 상면에 각각 대응된 상면부(210)와, 각 상면부(210)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절곡된 측면부(220)와, 이 측면부(220)를 서로 이어 이동체(200)를 일체화하는 저면부(2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면부(2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11)가 설치된다.
롤러(211)는 슬라이딩 이동부(110)의 상면을 따라 구름되면서 이동체(2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한 쌍의 이동체(200) 각각의 저면부(230)에는 고정부(240)가 설치된다.
고정부(240)는 포장박스(10)를 걸어 인양하기 위한 와이어(W)를 걸어 고정시키는 부위이다,
이때, 고정부(240) 역시 패드아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걸림부(300)는 크레인 후크(H)의 와이어(W)에 결합되는 부위로서, 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즉, 몸체(100)가 크레인 후크(H)의 와이어(W)에 매달려 지지될 때, 안정적으로 매달려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걸림부(300)는 한 쌍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300)는 패드아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스토퍼(400)는 슬라이딩 이동부(110) 상에서 이동체(200)의 과도한 이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400)는 슬라이딩 이동부(200)의 양단부 각각에 설치된다.
즉, 상기와 같이 스토퍼(400)가 설치됨으로써, 이동체(200)가 슬라이딩 이동부(200)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퍼(400)에 걸려 몸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포장된 자재가 입고되면, 크레인을 이용하여 자재를 포장하고 있는 대형 포장박스(10)를 해체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먼저, 와이어(W)를 이용해 몸체(100)를 크레인의 후크(H)에 걸어 결합시킨다.
이때, 와이어(W)는 몸체(100)의 걸림부(300)를 통해 크레인의 후크(H)에 고정이 된다.
다음으로, 이동체(200)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부(240)에 와이어(W)의 일단부를 고정시킨 후, 와이어(W)의 타단부를 포장박스(10)에 고정시킨다.
이때, 한 쌍의 와이어(W)는 각각, 포장박스(10)의 양단부에 고정이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각각의 와이어(W)는 이동체(200)의 이동에 의해 이동되어 포장박스(10)의 양단부에 각각 대응이 된다.
즉, 한 쌍의 와이어 간격(W)은 이동체(200)의 이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벌어지면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10)의 너비에 대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포장 박스(10)에 대한 와이어(W)의 고정이 완료되면, 크레인을 작동하여 포장박스(10)를 상방으로 리프팅 시킨다.
이때, 각 이동체(200)의 고정부(240)에 고정된 와이어(W)는 포장박스(10)의 양단부를 균형있게 잡아 지지하므로, 포장박스(10)가 리프팅 되는 과정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포장박스(10)가 리프팅 되는 과정에서 하방으로 낙하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으며, 포장박스(10)에 대한 해체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는 포장박스를 걸어 고정하는 한 쌍의 와이어 간격이 포장박스 너비에 자연스럽게 대응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포장박스를 리프팅하는 과정에서 포장박스의 균형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포장박스 낙하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슬라이딩 이동부
120 : 수직부 130 : 걸림부
200 : 이동체 210 : 상면부
220 : 측면부 230 : 저면부
240 : 고정부 300 : 걸림부
400 : 스토퍼

Claims (3)

  1. 슬라이딩 이동부를 제공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 이동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며, 하부에는 포장박스의 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한 쌍의 이동체;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에 걸림되는 걸림부;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이동체의 과도한 주행을 구속하여 몸체로부터 이동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 이동부는,
    수직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이동체는,
    슬라이딩 이동부의 각 상면에 대응된 상면부와, 각 상면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저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면부에는 슬라이딩 이동부의 상면을 따라 구름되는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걸림부는 패드아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





KR20130051420A 2013-05-07 2013-05-07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 KR20140132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1420A KR20140132199A (ko) 2013-05-07 2013-05-07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1420A KR20140132199A (ko) 2013-05-07 2013-05-07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199A true KR20140132199A (ko) 2014-11-17

Family

ID=52453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1420A KR20140132199A (ko) 2013-05-07 2013-05-07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21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078A (ko) * 2018-07-26 2020-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라이저 인스텔레이션용 리프팅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078A (ko) * 2018-07-26 2020-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라이저 인스텔레이션용 리프팅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2554A1 (en) Packaging case
CN201261559Y (zh) 物料开袋机
KR20140132199A (ko) 대형 포장박스 해체용 인양장치
JP6723119B2 (ja) 天井クレーン用墜落防止設備
CN104229602B (zh) 一种平衡吊笼
CN205222427U (zh) 一种用于托盘装建筑材料的吊料装置
CN104944001B (zh) 一种玻璃快速打包与拆解包装箱及包装方法
KR20140073179A (ko)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CN203959135U (zh) 一种物料同步升降输送装置
CN206705108U (zh) 一种皮带机配重滚筒检修支架系统
CN204453696U (zh) 一种带挡板的输送装置
CN205634691U (zh) 一种标签纸凸印上料车
KR101001825B1 (ko) 판넬 포장장치
JP6152466B1 (ja) 荷揚用ゴンドラ及びこれを使用する荷揚方法
CN204847774U (zh) 一种大片玻璃吊架
CN209871477U (zh) 重锤式皮带机的皮带张紧部件定位装置
US2931678A (en) Spacer shoe for a lift magnet
CN204588440U (zh) 一种彩钢瓦运输吊架
CN204713865U (zh) 食品灭菌输送设备
ES1123305U (es) Elevador de cesta de compra en supermercados y similares
PH12018502448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nd weighing a shipping container
US3600030A (en) Materials handling device with guides
CN203237917U (zh) 一种三角形平板玻璃吊具
CN205217611U (zh) 一种压平辊更换装置
CN211338033U (zh) 货车装货安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