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484A - Combustion devise of pyrolysis gas - Google Patents

Combustion devise of pyrolysis ga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484A
KR20140131484A KR20140066894A KR20140066894A KR20140131484A KR 20140131484 A KR20140131484 A KR 20140131484A KR 20140066894 A KR20140066894 A KR 20140066894A KR 20140066894 A KR20140066894 A KR 20140066894A KR 20140131484 A KR20140131484 A KR 20140131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air
supply pip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68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주
Original Assignee
피티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티엘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티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66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1484A/en
Publication of KR20140131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4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20Dewatering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device of carbonization gas that can completely combust the flammable carbonization gas obtained by carbonizing biomass fuel which is one of alternative energy sources, or industrial and household waste not to discharge pollutants, without preheating a combustion chamber,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n which since the carbonization gas is maintained in the state of saturated vapor (relative humidity of RH 100%) due to evaporation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waste, the carbonization gas supplied at the initial combustion is not combusted. The combustion device includes a combustion container having a combustion chamber therein,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connecting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outside; an outer container installed at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ontainer and provided with a gas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and the carbonization gas pyrolyzed by a carbonization unit, and a mixed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outside air; a mixing chamber formed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combustion container to mix the air and the pyrolyzed carbonization gas which are supplied from the outer container; and a combustion air supply pipe connected to a burner to supply air to an inlet hole into which flame of the burner comes.

Description

건류가스 연소장치{Combustion devise of pyrolysis gas}[0001] Combustion devise of pyrolysis gas [0002]

본 발명은 미래의 대체에너지 중의 하나인 바이오매스 연료, 산업 및 생활 폐기물을 건류하여 얻은 가연성 건류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는 건류가스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작동시 공급되는 건류가스는 폐기물 중의 수분이 증발하여 수분이 포화(상대습도 RH100%)되어 초기 작동시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에 의해 건류가스가 연소되지 않고 진화됨으로 연소실을 예열시키지 않고서도 바로 완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공해물질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건류가스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e gas fired combustion apparatus for completely burning a flammable flue gas obtained by carburizing biomass fuel, industrial and municipal waste, which is one of future alternative energies, and more particularly, (Relative humidity RH 100%) due to the evaporation of water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gas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evolves the combustion gas without burning by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gas, so that the combustion chamber can be completely burned without preheating the combustion chamber. And is not discharged.

화석 연료의 고갈로 대체에너지의 필요성과 지구 환경에 대한 오염이 증가하면서 지구 온난화, 각종 유해물질의 증가 등 에너지와 환경문제가 국가적인 차원을 넘어 중요한 국제적 현안으로 대두 되었다. 지구 문명의 발달로 부생되는 지구 환경오염 주범인 산업, 생활 페기물을 대체 에너지 자원화하고 또한 대체 에너지 개발이라는 차원에서 바이오매스(Biomass)의 에너지 자원화 개발과 이용이 중시되어 오고 있다With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the need for alternative energy and the pollu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 have increased, and global warming and the increase of various harmful substances have become important international issues beyond the national level. The development and use of biomass energy resources has been emphasized as an alternative energy resource for industrial and living waste that is the main cause of global environmental pollution, which i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global civilization, and also for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즉 자연 순환식 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각종 폐기물을 에너지 자원화 하고 이를 통해 순환 사회의 구축, 나아가 친환경적인 농업과 농촌 구현이라는 목표의 실현을 통해 곡물, 식물, 가축분뇨, 농작물과 각종음식물 쓰레기, 산업및 생활 페기물등의 에너지 자원화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In other word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natural circulation system, various wastes are converted into energy resources, and through the realization of a cyclical society and the realiza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e and rural realiza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nergy resources such as household waste.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에너지의 안정적 확보, 폐기물의 매립지 부족, 지구온난화 대응 등의 문제에 심각하게 당면하고 있으므로 이의 대처수단으로 폐기물과 바이오매스를 중시하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여전히 폐기물과 바이오매스의 에너지화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the case of Korea, we are facing serious problems such as securing of energy, lack of waste landfill, and response to global warming. Therefore, waste and biomass must be emphasized as countermeasures. Nevertheless, Korea still has not been able to activate the energy of waste and biomass

상기 폐기물과 바이오매스 열화학적으로 분해하여 열분해가스발생(Pyrolysis gas generator)장치를 발명한 바 있다. 이 가스 발생장치는 상부 뚜껑에 마련된 페기물 투입구를 통해 보온층과 내화층이 마련된 열분해 가스발생로에 폐기물과 바이오매스를 투입하고 가스발생로 내에 투입된 폐기물과 바이오매스는 하방측 공기유입구에 부착된 송풍기를 통해 소량의 공기를 공급하고 하부 맨홀(Manhole)을 통해 점화 수단에 의해 점화시키고, 연소(산화)반응 건류(치환)반응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생성된 일산화탄소(CO), 수소(H2) 및 소량의 메탄(CH4)가 혼합된 혼합가스는 가스배출관을 통해 연소기로 유입된다. 이 연소기의 열은 2차 연소실에서 완전연소하고 보일러로 유입된 후 증기를 발생하고 증기터빈을 가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는데 이용된다. The pyrolysis gas generator device has been invented by thermochemical decomposition of the waste and biomass. The gas generating apparatus is configured such that waste and biomass are introduced into a pyrolysis gas generating furnace provided with a warming layer and a refractory layer through a waste input port provided in an upper lid and the waste and biomass introduced into the gas generating furnace are introduced into a blower (CO), hydrogen (H 2 ), and a small amount of hydrogen (H 2 ) generated by a combustion (oxidation) reaction and a small amount of air are supplied through a lower manhole Of methane (CH 4 ) is mixed into the combustor through the gas discharge pipe. The heat of this combustor is completely burned in the secondary combustion chamber, and it is used to generate steam after entering the boiler and to operate the steam turbine to produce electricity.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9046호인 가스버너 및 그 가스버너를 사용한 바이오매스 연료 처리장치를 제안한바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에 있어서 가스버너(30)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제1의 원통형 연소관(33)을 가지고 있으며, 제1의 원통형 연소관(33)의 내부는 열분해 가스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연소공간을 이루게 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 gas burner, which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9046, and a biomass fuel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gas burner have been proposed. In the Korean patent registration, the gas burner 30 has a structure shown in FIG. 1 And a first cylindrical combustion tube 33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1B. The interior of the first cylindrical combustion tube 33 forms a combustion space for burning the mixed gas supplied from the pyrolysis gas generator.

상기 가스버너(30)의 일측 상부에는 가스발생장치로부터 가스도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를 공급받기 위해 가스도관에 연결되는 가스유입관(31)이 제1의 원통형 연소관(33)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실(37)이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공기공급실(37)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유입관(34)이 마련되어 있다. A gas inlet pipe 31 connected to the gas conduit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gas burner 30 to receive air supplied from the gas generator through the gas conduit, And an air inlet pipe 34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supply chamber 37 is provided.

그리고 제1의 원통형 연소관(33)의 일측 끝 부분에는 가스버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관(3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의 원통형 연소관(33)의 내부 즉, 연소공간에 공기를 불어 넣기 위해 공기공급실(37)과 연소공간 사이에 통기공(32)이 뚫려 있다.A fixing pipe 35 for fixing the gas burner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cylindrical combustion pipe 33. A vent hole 32 is formed between the air supply chamber 37 and the combustion space to blow air into the first cylindrical combustion tube 33, that is, the combustion space.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가스버너(30)는 불꽃이 점화되어 제1의 원통형 연소관(33) 내측으로 분사되었을 경우 가스유입관(31)을 통해 공급된 가연성 건류가스가 폐기물 중의 수분증발로 인하여 포화증기 상태로 유지되므로 점화가 잘 이루어 지지 않아 불이 잘 붙지 않는 문제점 있으며 특히 수분이 많은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를 건류시 발생하는 가연성 건류 가스는 전혀 불이 붙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gas burner 30 having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flame is ignited and injected into the first cylindrical combustion tube 33, the flammable dry gas supplied through the gas inlet pipe 31 is prevented from evaporating due to moisture in the waste It is difficult to ignite so that the flame does not adhere well.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flammable carbon dioxide gas generated in the case of dry water containing waste and biomass is not ignited at all.

또한 가연성 건류가스와 연소공기 공급 위치가 이격되어 있어 균일한 가스 조성이 아니므로 완전연소가 어려워 미연소에 의한 공해물질을 다소 배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flammable gas and the combustion air supply posi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gas is not uniformly gas-fir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burn the gas.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904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9046.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초기 점화시 가연성 건류가스와 공기가 일정체적을 같은 공간으로 동시 공급하여 혼합시켜 가연 건류 가스의 습도를 낮게 형성시키고 또한 균등한 가스조성을 만들고 도한 습도를 낮게 형성토록 함으로 초기점화를 원활히 하며 완전 연소에 의한 공해물질을 최소화하는 건류가스 연소장치이다. 필요 시 습도를 낮추기 위하여 공급공기를 가열하므로써 건류가스의 습도를 최소화함으로 건류가스를 완전연소시킬 수 있어 공해물질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건류가스 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foregoing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mbusting a flammable dry gas and an air in the same space at the same time, This is a gas-fired gas-fired combustion system that facilitates initial ignition by minimizing the humidity of the exhaust gas and minimizes pollutants by complete combustion. And to minimize the humidity of the dry gas by heating the supply air in order to lower the humidity when necessary, so that the dry gas can be completely burned and the pollutant can not be discharged.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류가스 연소장치에 있어서, 연소실을 구비하며 연소실과 외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한 연소통과; 상기 연소통 외측면으로는 공기와 건류기에서 열분해된 건류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과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여 응축수를 형성시키는 혼합 공기 공급관을 형성하며,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출공을 하단에 구비한 외통과; 상기 외통과 연소통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공기와 가연성 열분해 건류가스가 혼합되는 혼합실과; 버너와 연결되어 버너의 불꽃 화염이 인입되는 유입공에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 공기 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가스 연소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ue gas combus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mbustion passage having a combustion cha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air holes connecting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outside; A gas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and a gas mixture pyrolyzed in the gasifier, and a mixed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external air to form a condensed water, and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An outer tube; A mixing chamber formed between the outer cylinder and the combustion cylinder to mix the supplied air with the combustible pyrolysis gas; And a combustion ai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burner for supplying air to the inflow hole into which the flame flame of the burner is introduc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연성 열분해 건류 가스의 연소장치는 초기 작동시 가연성 열분해 건류 가스가 공기와 일정 체적을 갖는 혼합실로 동시에 공급 혼합하여 가연성 열분해 건류 가스 습도를 낮고 균일하게 형성시킨 후 연소실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서 초기 점화 및 연소가 보다 잘 이루어져 완전연소에 의한 공해 물질 발생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 시 가열 공기를 공급하므로 공기가 가지는 수분을 최대화하여 초기점화 및 연소를 극대화할 수도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The flammable pyrolysis gas combus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supplies and combusts flammable pyrolysis gas with air and a mixing chamber having a constant volume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so that the gas humidity of the combustible pyrolysis gas is uniformly formed and then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initial ignition and combustion are better performed, thereby reducing the generation of pollutants by complete combustion. In addition, since the heating air is supplied when necessar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air, thereby maximizing the initial ignition and combustion.

도 1은 종래 바이오매스 가연성 열분해 건류가스 연소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산업, 생활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 가연성 열분해 건류가스 연소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산업, 생활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 가연성 열분해 건류가스 연소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산업, 생활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 가연성 열분해 건류가스 연소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설치상태 예시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iomass flammable pyrolysis gas fired device.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dustrial, municipal waste and biomass flammable pyrolysis gas fired combustion apparatus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dustrial, municipal waste and biomass flammable pyrolysis gas fired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stalled state of an industrial, municipal waste, and biomass combustible pyrolysis gas fired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산업, 생활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 가연성 열분해 건류가스 연소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산업, 생활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 가연성 열분해 건류가스 연소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가연성 열분해 건류가스 연소장치(1)의 구조는 내측으로 연소실(22)을 구비하며 연소실(22)과 외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통기공(21)을 형성한 연소통(20)과 상기 연소통(20) 외측면으로는 공기와 가연성 열분해 건류가스가 공급되는 가스 공급관(11)과 혼합 공기 공급관(12)을 형성한 외통(10)과 상기 외통(10)과 연소통(20)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공기와 가연성 열분해 건류가스가 혼합되는 혼합실(30)과 버너와 연결되어 버너의 불꽃 화염이 인입되는 유입공(14)에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 공기 공급관(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dustrial, municipal waste, and biomass flammable pyrolysis gas fired combustion apparatus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dustrial, municipal waste and biomass flammable pyrolysis gas fired combustion apparatus The combustible pyrolysis gas combus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bustion chamber 22 inside and has a plurality of vent holes 21 connecting the combustion chamber 22 to the outside An outer tube 10 having a gas supply pipe 11 and a mixed air supply pipe 12 through which air and combustible pyrolysis gas are supplied to the outer side of the combustion cylinder 20 and the combustion cylinder 20, A mixing chamber 30 formed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20 and the combustion chamber 20 in which the supplied air and the combustible pyrolysis gas are mixed and an air inlet 14 connected to the burner for introducing the flame of the burner It is a structure formed of, including a combustion air supply line (15).

상기 연소 공기 공급관(15)은 점화 완료 후 버너의 냉각작용도 하는 구조이다.The combustion air supply pipe 15 also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urner is cooled after completion of the ignition.

상기 외통(10)에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출공(16)을 형성하며, 상기 통기공(21)이 동심원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outer cylinder 1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16 for discharging condensed water, and a plurality of the air holes 21 are formed concentrically at regular intervals.

그 이유는 통기공(21)의 개수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의 양이 조절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가스 공급관(11)과 혼합 공기 공급관(12)이 연소통(20)의 상부의 접선방향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gas supplied by the number of vent holes 21 is regulate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gas supply pipe 11 and the mixed air supply pipe 12 are form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ylinder 20.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공급관(11)의 선단에 공급되는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수단(40)을 설치하여 혼합실에서 가스와 유입되는 공기가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the gas supply pipe 11 may be provided with an injecting means 40 for injecting a gas supplied to the front end of the gas supply pipe 11 so that the gas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ixing chamber can be easily mix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는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뚜껑이 마련된 연료투입구(110)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단열층과 내화층이 마련된 열분해 가스발생로(Pyrolysis gas generator)(爐)(120)에 연료투입구(110)를 통하여 산업, 생활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 연료를 투입하고, 하부에 마련된 공기유입관에 부착된 송풍기(130)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거나 완전히 차단한 상태에서 아래쪽 문(140)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점화수단에 의하여 점화시키면, 300 ~ 400℃에서 일차적으로 연소(산화) 반응이 일어나고 다시 상부의 탄소와 건류(치환)반응이 일어나 일산화탄소(CO) 수소(H2) 미량의 메탄(CH4) 등 가연성 열분해 건류가스가 배출관(150)을 통해 배출한다.5, a pyrolysis gas generator furnace having a heat insulating layer and a refractory layer not shown through a fuel inlet 110 having a cylindrical lid is provided. Municipal wastes and biomass fuel are supplied to the air inlet pipe 120 through the fuel inlet 110 and th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blower 130 attached to the air inlet pipe provided at the bottom or completely shut off from the lower door (CO) hydrogen (H 2 ) at a temperature of 300 ° C to 400 ° C due to ignition by an ignition means (not shown ) The flammable pyrolysis gas such as methane (CH 4 )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50.

상기 가스도관(200)의 수직 하단에는 상기 건류가스 연소장치(1)가 연결되어 있다. 건류가스 연소장치(1)의 하부에는 건류가스 연소장치(1)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공급관(160)이 마련되어 있고, 가스발생로(120)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30)에 연결되어 있다. And the dry gas combustion apparatus 1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lower end of the gas conduit 200. An air supply pipe 160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dry gas combustion apparatus 1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y gas combustion apparatus 1 and is connected to a blower 130 for supplying air to the gas generating furnace 120 .

상기에서와 같이 가연성 건류가스가 생성되면 점화용 버너에 점화 후 연소공기 공급용 송풍기(130)를 가동 공기 공급관(12)을 통하여 외통(10)과 연소통(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혼합실(30)에 공급한다.When the combustible carbon dioxide gas i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combustion air supply blower 130 for ignition after ignition is supplied to the ignition burner through the movable air supply pipe 12, and the mixture formed between the outer cylinder 10 and the combustion cylinder 20 To the yarn (30).

상기 버너의 점화 확인 후 열분해 건류가스를 가스 공급관(11)을 통해 서서히 외통(10)과 연소통(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혼합실(30)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혼합 공기 공급관(12)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고온일수록 바람직하며 일반적인 상온의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After confirming ignition of the burner, pyrolysis gas is supplied to the mixing chamber 30 formed between the outer cylinder 10 and the combustion cylinder 20 through the gas supply pipe 11. At this time, the higher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mixed air supply pipe 12 is, the more preferable it is to supply air of normal room temperature.

이는 건류가스가 폐기물 중의 수분증발로 인하여 포화증기 상태로 유지되는데 이때 연소공기를 공급하면 희석되는 효과가 발생되며, 연소공기의 온도가 높을 수록 많은 수분(절대습도)을 함유할 수 있으므로 응축수 발생량이 적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dry gas is kept in a saturated vapor state due to the evaporation of water in the waste. In this case, dilution effect is produced by supplying the combustion air. The higher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air, the more moisture (absolute humidity) Because it is small.

상기 혼합실(30)에 열분해 건류가스와 공기가 공급되면 가연성 건류가스는 습도가 포화상태로 되어 있다가 혼합실(30)에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면서 일부가 응축수되고 기화하여 습도가 조절되면서 손쉽게 점화 연소되어 연소효율이 증대된다.When the pyrolysis gas and air are supplied to the mixing chamber 30, the flammable gas is saturated with the air and mixed wit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ixing chamber 30. As a result, the condensed water is vaporized and the humidity is controlled. So that the combustion efficiency is increased.

상기 습도가 조절된 가연성 건류가스는 연소통(20)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공(21)을 이용하여 연소실(22)로 가연성 건류가스와 공기를 혼합 공급하게 된다.The flammable dry gas of which the humidity is controlled mixes and supplies the flammable dry gas and air to the combustion chamber 22 by using the air holes 21 formed in the combustion chamber 20.

이때 점화된 버너의 불꽃 화염이 인입되는 유입공(14)을 통해 연소실(22)로 화염이 유입되면 화염이 꺼지지 않도록 연소 공기 공급관(15)을 이용하여 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점화 완료시 버너의 점화 노즐의 냉각용으로 이용된다. At this time, when the flame flow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22 through the inflow hole 14 into which the flame flame of the ignited burner is introduced, air is supplied using the combustion air supply pipe 15 so that the flame does not turn off. It is also used for cooling the ignition nozzle of the burner upon completion of the ignition.

상기 통기공(21)이 동심원상에 일정 간격으로 2 ~ 60개가 동심원 상에 형성되며 이러한 통기공(21)이 일정한 간격을 갖는 동심원 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기공(21)이 2줄로 이루어진 이유는 혼합실(30)에서 연소실(22)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공급되는 가스의 분포를 넓게 형성시켜 연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ventilation holes 21 are concentrically formed in a concentric circle with 2 to 60 concentric circle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ventilation holes 21 are formed on concentric circles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reason why the air holes 21 are formed in two lines is that the amount of ga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22 from the mixing chamber 30 can be increased and the distribution of the supplied gas can be widened, .

한편 상기 혼합실(30)에서 공기와 열분해 건류가스가 혼합될 때 고온 상태의 가스는 습도가 높으므로 저온의 공기와 만나게 되므로 응축수가 형성되고 응축수는 외통(10)의 저면에 모여지게 되고 상기 외통(10)에 형성된 응축수는 배출공(16)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and the pyrolysis gas are mixed in the mixing chamber 30, the gas in the high temperature state is high in humidity, so that the condensation water is formed and the condensed water is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10, The condensed water formed in the condenser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discharge hole 16.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공급관(11)의 선단에 공급되는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수단(40)을 설치하여 가스를 미립자로 분사시키면 응축수를 현저히 증대시켜 가스의 습도 즉 응축의 효율을 증대시켜 가스의 습도를 낮출 수 있으며, 공기와의 혼합을 촉진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gas injection means 40 for injecting the gas supplied to the tip of the gas supply pipe 11 is provided and the gas is injected into the fine particles, the condensed water is remarkably increased to improve the humidity of the gas The humidity of the gas can be lowered and the mixing with the air can be promoted.

또한 혼합실(30)로 공급되는 건류가스의 연소 및 습도 조절 목적으로 공급되어지는 공기의 공급은 연소통(20)에 대하여 접선방향에서 공급된다. 상기 열분해 건류가스와 공기를 접선방향에 대하여 공급하는 이유는 혼합실(30) 내에 와류가 발생하여 열분해 건류가스와 공기의 혼합을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The supply of air to be supplied to the mixing chamber 30 for the purpose of regulating the combustion and the humidity of the dry gas is suppli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ylinder 20. The reason why the pyrolysis gas and air are suppli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is that a vortex is generated in the mixing chamber 30 and the pyrolysis gas and air are easily mix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산업, 생활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 열분해 건류기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열분해 건류가스를 접선방향으로 공급된 공기와 일정 체적을 같는 혼합실(30)에서 와류에 의해 잘 혼합되고 낮은 습도를 유지하므로써 초기 점화를 원활히 하고 보다 효율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분해 건류가스 연소장치이다. 초기 작동시 예열시키지 않고서도 바로 연소 및 완전 연소를 시킬 수 있어 공해물질의 배출이 거의 이루어 지지않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mmable pyrolysis gas generated from the industrial, municipal waste, and biomass pyrolysis dryers is mixed well by the vortex in the mixing chamber 30 having the same volume as the air suppli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mooth the initial ignition and to perform more efficient combustion.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having an effect such that combustion and complete combustion can be carried out immediately without preheating in the initial operation and almost no discharge of pollutants is caused.

1 : 건류가스 연소장치 10 : 외통
11 : 가스 공급관 12 : 혼합 공기 공급관
14 : 유입공 15 : 연소 공기 공급관
20 : 연소통 21 : 통기공
22 : 연소실 40 : 분사수단
1: Carrying gas combustion apparatus 10:
11: gas supply pipe 12: mixed air supply pipe
14: Inflow hole 15: Combustion air supply pipe
20: Communication pipe 21:
22: combustion chamber 40: injection means

Claims (1)

건류가스 연소장치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소실을 구비하며, 연소실과 외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통기공을 상기 연소실의 중앙부에 형성한 원통형의 연소통과;
상기 연소통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통과의 사이에는 건류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실을 이루는 원통형의 외통을 포함하고,
상기 건류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과 상기 공기를 공급하는 혼합 공기 공급관이 상기 연소통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상기 외통의 일 단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실은 상기 가스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건류가스와 상기 혼합 공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와류형태로 혼합하고, 상기 와류형태로 공기가 혼합되는 건류가스는 상기 다수의 통기공을 통하여 상기 연소통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건류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며,
상기 응축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상기 외통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소통의 일 단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연소통으로 공급되는 건류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버너와 연결되어 버너의 불꽃 화염이 인입되는 유입공이 마련되
며, 상기 연소통의 일 단부의 중심부에 마련된 상기 유입공에는 상기 버너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점화 완료 후에 상기 버너의 냉각작용을 하도록 하는 연소 공기 공급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가스 연소장치.
In a dry-gas combustion apparatus,
A cylindrical combustion passage having a combustion chamber inside and having a plurality of air holes connecting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outside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cylindrical outer cylinder which is provided outside the combustion cylinder and which forms a mixing chamber in which the gas and the air are mixed,
A gas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carbon monoxide gas and a mixed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air are provided at one end side of the outer cylinder in a tang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ylinder,
Wherein the mixing chamber mixes the mixed gas supplied from the gas supply pipe and the mixed air supplied from the mixed air supply pipe in a vortex form and the mixed gas in which the air is mixed in the vortex form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 holes Condens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arbonized gas,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condensed water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And an inflow hole connected to a burner for igniting the carbon monoxide ga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anister at a central portion of the one end of the combustion barrel to receive the flame of the burner
Wherein a combustion air supply pipe is provided in the inflow hole provided at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combustion cylinder for supplying air to the burner or for cooling the burner after completion of ignition.
KR20140066894A 2014-06-02 2014-06-02 Combustion devise of pyrolysis gas KR201401314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6894A KR20140131484A (en) 2014-06-02 2014-06-02 Combustion devise of pyrolysis g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6894A KR20140131484A (en) 2014-06-02 2014-06-02 Combustion devise of pyrolysis ga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471 Division 2013-05-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484A true KR20140131484A (en) 2014-11-13

Family

ID=5245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6894A KR20140131484A (en) 2014-06-02 2014-06-02 Combustion devise of pyrolysis ga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1484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956B1 (en) * 2018-06-25 2019-11-12 비엔지코리아(주) Combustor capable of reducing nitrogen oxide contained in boiler combustion gas and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KR20210022936A (en) 2019-08-21 2021-03-04 한미진 Combustion device of carbonization gas
KR20240023361A (en) 2022-08-14 2024-02-21 에코링크 주식회사 Direct fire high temperature oxidation deodorization combustion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956B1 (en) * 2018-06-25 2019-11-12 비엔지코리아(주) Combustor capable of reducing nitrogen oxide contained in boiler combustion gas and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KR20210022936A (en) 2019-08-21 2021-03-04 한미진 Combustion device of carbonization gas
KR20240023361A (en) 2022-08-14 2024-02-21 에코링크 주식회사 Direct fire high temperature oxidation deodorization combus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147B1 (en) Power plant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by biomass
CN106090927A (en) Innoxious incinerator
KR20130084913A (en) Heating water boiler with multiple combustion chamber
KR20140131484A (en) Combustion devise of pyrolysis gas
KR101029046B1 (en) Gas burner and dry distillation system for biomass fuel using thereof
CN205825044U (en) Innoxious incinerator
CN105066110B (en) The chain furnace compound combustion system that the combustion of coal cinder layer is combined with gasification of biomass spray combustion
WO2014204198A1 (en) Combustion device for flammable powder
KR20170023689A (en) Burner burner system using pyrolysis
CN106062481B (en) For lighting the equipment with burn synthesis gas
KR20160006908A (en) steam generating system having ultra high temperature sludge drying apparatus
CN210267248U (en) Garbage gasification primary and secondary furnace equipment with upward flame-throwing combustion stove
CN103773506B (en) Double-cracking integrated furnace for biomasses
ES2581602T3 (en) Heating of a process exhaust gas
RU2510414C1 (en) Gas generator
KR100539728B1 (en) Apparatus for pyrolysis burning waste tires
CN201373554Y (en) New energy gasified no-chimney energy-saving environment-friendly boiler
CN105805756A (en) Environment-friendly efficient pyrolysis device for garbage
US11821624B2 (en) Multi-fuel isolated impulse initiator
KR102477514B1 (en) Gasification Combustion Device for Waste Using Microwave
RU2553748C1 (en) Fuel combustion method
KR200328305Y1 (en) Water Heating Apparatus for Purifying Pollutant Gases
US1128199A (en) Heat-generating furnace.
KR101184926B1 (en) combustion system using dry distillation gas and method for combustion using the same
CA3194702A1 (en) Multi-fuel isolated impulse initiator and multi-autoclave lateral conversion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