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9999A -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9999A
KR20140129999A KR20130102652A KR20130102652A KR20140129999A KR 20140129999 A KR20140129999 A KR 20140129999A KR 20130102652 A KR20130102652 A KR 20130102652A KR 20130102652 A KR20130102652 A KR 20130102652A KR 20140129999 A KR20140129999 A KR 20140129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dvertisement
network environment
network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헌
Original Assignee
케이피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피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김미경 filed Critical 케이피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0380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78618A1/ko
Priority to KR1020140051924A priority patent/KR101625531B1/ko
Publication of KR20140129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통화요청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지속시간 동안에, 상기 이동 단말기로 임의의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를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Bidirectioal advertising moving picture matching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실시 예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요청신호의 발신 또는 수신 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매칭되는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기 용이한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단순히 전화만을 사용하기 위한 휴대 전화가 아니라, 인터넷, 동영상, 음악 및 사진 촬영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술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노트북 및 PDA 등이 보급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전화 기능뿐만 아니라, 웹서핑을 하고, 동영상을 다운로드하여 감상하고, 음악을 감상할 수 있으며, 사진 촬영, 편집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단말기로 제공한다. 특히 이동 단말기가 일반 휴대폰과 근본적으로 다른 부분은 용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일반적으로 '앱'으로 약칭 됨)을 추가 설치해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하던 기존의 광고 시스템에서 발전하여 이동 단말기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에 인터넷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있었는데, 인터넷을 통한 광고 서비스의 경우 광고를 접하는 대상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고, 그 광고 효과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요청신호의 발신 또는 수신 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매칭되는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기 용이한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은, 통화요청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지속시간 동안에, 상기 이동 단말기로 임의의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를 포함한다.
실시 예의 이동 단말기는,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광고 컨텐츠 앱이 설치된다.
실시 예의 이동 단말기는, 상기 광고 컨텐츠 앱 실행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광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나이, 성별, 관심 상품 및 직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 예의 광고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복수의 광고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수신 또는 발신시, 상기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실시 예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광고 컨텐츠가 네트워크 환경별로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실시 예의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수신 또는 발신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하는 네트워크 확인부 및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네트워크 확인부에서 확인한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칭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선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의 네트워크 확인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값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값 정보가 전송되는 시점까지의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한다.
실시 예의 네트워크 확인부는, 상기 소요시간이 설정된 설정시간 범위 내에 속하면 3G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하고, 상기 소요시간이 상기 설정시간 범위 내에 속하지 않으면 4G 네트워크 환경 또는 WIFI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한다.
실시 예의 네트워크 값 정보는, ER(Encoding Rate), VFS(Video File Size), TVD(Total Video Duration) 및 PTR(Packet Tim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 예의 네트워크 확인부는, 상기 ER이 100kbps, 상기 VFS가 128KB 및 상기 TVD가 55sec 중 적어도 하나이면 3G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하고, 상기 ER이 300kbps, 상기 VFS가 256KB, 상기 TVD가 105sec 이면 4G 네트워크 환경 또는 WIFI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한다.
실시 예의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설정된 광고 컨텐츠 매칭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한다.
실시 예의 광고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시작 명령 또는 상기 통화종료 명령 입력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 종료한다.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통화요청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와 연동되는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지속시간 동안, 상기 이동 단말기로 임의의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전송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의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광고 컨텐츠 앱을 실행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광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의 전송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며, 네트워크 환경별로 저장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의 확인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값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값 정보가 전송되는 시점까지의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한다.
실시 예의 확인 단계는, 상기 소요시간이 설정된 설정시간 범위 내에 속하면 3G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하고, 상기 소요시간이 상기 설정시간 범위 내에 속하지 않으면 4G 네트워크 환경 또는 WIFI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한다.
실시 예의 선택 및 전송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설정된 광고 컨텐츠 매칭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한다.
실시 예의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상기 재생 단계 이후,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발신 또는 수신에 대한 통화시작명령 또는 통화종료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에서 통화요청신호의 발신 또는 수신시,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개인적인 취향 또는 관심을 갖는 분야, 예를 들어 스포츠, 의상, 영화, 여행 등에 매칭되는 광고 컨텐츠를 통화요청신호의 지속시간 동안, 즉 통화 대기시간 동안 이동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통화 대기시간 동안에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이동 단말기가 통화요청신호 송신시,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이동 단말기가 통화요청신호 수신시,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 및 광고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스마트 폰 이외에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는 광고 서버(20)에 접속하는 광고 컨텐츠 앱을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광고 컨텐츠 앱 설치 또는 실행시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광고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상기 광고 컨테츠 앱을 실행시킨 후, 임의의 다른 이동 단말기(미도시)로 음성 통화를 위한 통화요청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음성 통화를 위한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하면, 광고 서버(20)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 컨텐츠를 전송받아 재생할 수 있다.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에 설치된 상기 광고 앱 컨텐츠 설치 또는 실행한 후, 이동 단말기(10)에서 상기 통화요청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수신할 때, 이동 단말기(10)에서 전송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환경를 고려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에서 상기 통화요청신호를 발신 또는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지속시간, 즉 통화대기시간 동안 이동 단말기(10)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며, 이동 단말기(10)에서 상기 통화요청신호에 대한 통화시작명령 또는 통화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이동 단말기(10)로 전송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 및 광고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2), 통신 인터페이스(14), 제어 모듈(16)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2)은 복수의 기능 앱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다른 이동 단말기(미도시)와 음성 통화를 위한 통화시작명령 및 통화종료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2)은 상기 통화시작명령 및 상기 통화종료명령을 터치 입력할 수 있으나, 물리적인 버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복수의 기능 앱 각각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될 수 있으며, 복수의 기능 앱 중 광고 서버(20)와 연동되는 광고 컨텐츠 앱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이동 단말기(10)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조작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설치 및 실행시킬 수 있으며, 상기 광고 컨텐츠 앱 실행 후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와 상기 통화요청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경우, 광고 서버(20)와 연동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2)은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설치 또는 실행시키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4)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광고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나이, 성별, 관심 상품 및 직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설치 또는 실행시 광고 서버(2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아이디 및 암호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입력한 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통신 인터페이스(14)는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14_1) 및 광고 서버(2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14_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제1, 2 통신 인터페이스(14_1, 14_2)로 나누어 설명하지만,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 모듈(16)은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2)로부터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설치 또는 실행시키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 앱에 대응하는 화면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광고 컨텐츠 앱 실행 시 제2 통신 인터페이스(14_2)를 통하여 광고 서버(20)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접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고, 제2 통신 인터페이스(14_2)에서 광고서버(20)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면,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고 서버(20)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며,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광고 컨텐츠 앱 실행 후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와 상기 통신요청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통신요청신호의 지속시간 동안에 이동 단말기(10) 및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상기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임의의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며,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에도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복수의 광고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서버(22) 및 이동 단말기(10)에서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시, 데이터베이스 서버(22)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임의의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24)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22)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22_1) 및 상기 복수의 광고 컨텐츠가 네트워크 환경별로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22_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데이터베이스(22_1)는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설치 또는 실행 시,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22_1)는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최초 설치시,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실행시 상기 로그인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4)에 제공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 정보 변경시 업데이트하여 재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베이스(22_2)는 상기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상기 네트워크 환경별, 즉 WIFI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및 4G 네트워크 등으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 서버(24)로 저장된 상기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때, 제2 데이터 베이스(22_2)는 상기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방송국, 광고 제공 서비스 서버 등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컨텐츠 제공 서버(24)는 네트워크 확인부(24_2) 및 컨텐츠 전송부(24_4)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확인부(24_2)는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실행한 후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발신)시,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한다.
즉, 네트워크 확인부(24_2)는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시, 이동 단말기(10)로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상기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값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값 정보가 전송되는 시점까지의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확인부(24_2)는 이동 단말기(10)로 상기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시점에서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값 정보가 전송되는 시점까지의 상기 소요시간이 설정된 설정시간 범위 내에 속하면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환경이 3G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하고, 상기 소요시간이 상기 설정시간 범위 내에 속하지 않으면 4G 네트워크 환경 또는 WIFI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상기 네트워크 값 정보는 ER(Encoding Rate), VFS(Video File Size), TVD(Total Video Duration) 및 PTR(Packet Tim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확인부(24_2)는 상기 ER이 100kbps, 상기 VFS가 128KB 및 상기 TVD가 55sec 중 적어도 하나이면 3G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하고, 상기 ER이 300kbps, 상기 VFS가 256KB, 상기 TVD가 105sec 이면 4G 네트워크 환경 또는 WIFI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컨텐츠 전송부(24_4)는 이동 단말기(10)에서 상기 통화요청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 시, 데이터베이스 서버(22)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광고 컨텐츠 매칭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매칭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고, 네트워크 확인부(22_2)에서 확인된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22)에 저장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컨텐츠 매칭 알고리즘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나이, 성별, 관심 상품 및 직업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매칭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때, 컨텐츠 전송부(24_2)는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시, 사용자가 통화시작 명령 또는 통화종료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광고 컨텐츠의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는 설치된 광고 컨텐츠 앱을 실행시키고(S110), 통화요청신호를 송신(발신) 또는 수신한다(S120).
즉,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가 광고 컨텐츠 앱을 실행시킨 후 다른 이동 단말기로 통화요청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광고 서버(20)는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이 실행되고 상기 통화요청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광고 컨텐츠 앱 실행시,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의 실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하며(S130), (S130)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며, 네트워크 환경별로 저장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 컨텐츠를 선택 및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한다(S140).
즉, 광고 서버(20)는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시, 이동 단말기(10)로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네트워크 값을 기반으로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환경은 3G 네트워크 환경, 4G 네트워크 환경 및 WIFI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상기 네트워크 값을 기반으로 3G 네트워크 환경, 4G 네트워크 환경 및 WIFI 네트워크 환경 중 최적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 상기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시점과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값이 전송된 시점 사이의 소요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술한 2가지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후, 광고 서버(20)는 확인된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여 저장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임의의 광고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여기서, 광고 서버(20)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설정된 광고 컨텐츠 매칭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S140) 단계 이후, 이동 단말기(10)는 광고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재생시키고(S150),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통화시작명령 또는 통화종료명령 입력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 종료한다(S160).
즉,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 선택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며, 이동 단말기(10)는 상기 광고 컨텐츠 앱에 의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재생한다.
이때,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통화시작명령 또는 통화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전송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도 4는 이동 단말기가 통화요청신호 송신시,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좀더 자세하게 나타낸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는 설치된 광고 컨텐츠 앱을 실행시키고(S210), 다른 이동 단말기로 통화요청신호의 송신 여부를 판단한다(S220).
즉,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가 광고 컨텐츠 앱을 실행시킨 후 다른 이동 단말기로 통화요청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광고 서버(20)는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이 실행되고 상기 통화요청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광고 컨텐츠 앱 실행시,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의 실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하고(S230), 확인된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며, 네트워크 환경별로 저장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 컨텐츠를 선택 및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한다(S240).
즉, 광고 서버(20)는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시, 이동 단말기(10)로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네트워크 값을 기반으로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환경은 3G 네트워크 환경, 4G 네트워크 환경 및 WIFI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상기 네트워크 값을 기반으로 3G 네트워크 환경, 4G 네트워크 환경 및 WIFI 네트워크 환경 중 최적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 상기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시점과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값이 전송된 시점 사이의 소요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술한 2가지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후, 광고 서버(20)는 확인된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여 저장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임의의 광고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여기서, 광고 서버(20)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설정된 광고 컨텐츠 매칭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S240) 단계 이후, 광고 서버(20)는 상기 광고 컨텐츠가 설정시간 내에 이동 단말기(10)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하고(S250), 상기 광고 컨텐츠가 전송되지 않았으면 재전송을 실시하고(S260), 이동 단말기(10)는 광고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재생한다(S270).
즉,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 선택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며, 상기 광고 컨텐츠가 설정시간 내에 이동 단말기(10)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한다.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 상기 광고 컨텐츠가 전송되지 않았으며, 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는 광고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며, 재생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통화시작명령 또는 통화종료명령 입력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 종료한다(S280).
즉,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통화시작명령 또는 통화종료명령의 입력 유무를 확인하여, 통화시작명령 또는 통화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광고 컨텐츠의 전송을 종료한다.
도 5는 이동 단말기가 통화요청신호 수신시,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좀더 자세하게 나타낸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는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하고(S310),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가 광고 컨텐츠 앱의 실행 여부를 확인한다(S320).
즉,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가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에서 설치된 광고 컨텐츠 앱에 대한 실행 여부를 확인한다.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실행시킨 경우,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하며(S330), 확인된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며, 네트워크 환경별로 저장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사용자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 컨텐츠를 선택 및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한다(S340).
즉,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실행하고 있으면, 이동 단말기(10)로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네트워크 값을 기반으로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환경은 3G 네트워크 환경, 4G 네트워크 환경 및 WIFI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상기 네트워크 값을 기반으로 3G 네트워크 환경, 4G 네트워크 환경 및 WIFI 네트워크 환경 중 최적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 상기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시점과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값이 전송된 시점 사이의 소요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술한 2가지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후, 광고 서버(20)는 확인된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여 저장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임의의 광고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여기서, 광고 서버(20)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설정된 광고 컨텐츠 매칭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S320) 단계 이후,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화면을 전송한다(S350).
즉,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전송하여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설치 및 실행하도록 하거나, 이동 단말기(10)가 설치된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화면을 전송하여,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상기 광고 컨텐츠 앱을 설치 또는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340) 단계 이후, 광고 서버(20)는 상기 광고 컨텐츠가 설정시간 내에 이동 단말기(10)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하고(S360), 상기 광고 컨텐츠가 전송되지 않았으면 재전송을 실시하고(S370), 이동 단말기(10)는 광고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재생한다(S380).
즉,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 선택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며, 상기 광고 컨텐츠가 설정시간 내에 이동 단말기(10)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한다.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 상기 광고 컨텐츠가 전송되지 않았으며, 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는 광고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며, 재생시간 및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광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정보는 광고주 등록번호, 광고에 나타낸 물품에 대한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동 단말기(10)는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통화시작명령 또는 통화종료명령 입력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 종료한다(S390).
즉,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통화시작명령 또는 통화종료명령의 입력 유무를 확인하여, 통화시작명령 또는 통화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광고 컨텐츠의 전송을 종료한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S410), 이동 단말기(10)로부터 네트워크 값이 전송된 시점까지의 소요시간이 설정된 설정시간범위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420).
즉,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한 시점과 이동 단말기(10)로부터 네트워크 값이 전송된 시점까지의 소요시간을 확인한다.
광고 서버(20)는 상기 소요시간이 상기 설정시간범위 내에 존재하면 이동 단말기(10)가 3G 네트워크 환경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소요시간이 상기 설정시간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10)가 4G 네트워크 환경 또는 WIFI 네트워크 환경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며(S430),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상기 네트워크 값으로 최종적으로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한다(S440).
즉, 광고 서버(20)는 상기 소요시간이 상기 설정시간범위 내에 존재하면 3G 네트워크 환경에 이동 단말기(10)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설정시간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4G 네트워크 환경 또는 WIFI 네트워크 환경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광고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네트워크 값, 즉 ER이 100kbps, VFS가 128KB 및 TVD가 55sec 중 적어도 하나이면 3G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하고, 상기 ER이 300kbps, 상기 VFS가 256KB, 상기 TVD가 105sec 이면 4G 네트워크 환경 또는 WIFI 네트워크 환경으로 최종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가 광고 앱에 접속시 사용자 정보를 광고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광고 서버는 설정 시간 동안에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통화요청신호에 대해 재생 예정인 복수의 광고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목록을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후 통화요청신호 발생시 상기 복수의 광고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시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와 다른 종류의 전자기기, 예를 들면 템플릿 PC, 스마트 TV 등과 연동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이동 단말기 20: 광고 서버

Claims (21)

  1. 통화요청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지속시간 동안에, 상기 이동 단말기로 임의의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를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광고 컨텐츠 앱이 설치된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광고 컨텐츠 앱 실행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광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나이, 성별, 관심 상품 및 직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광고 컨텐를 재생하는 광고 컨텐츠 앱 실행시, 상기 광고 서버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복수의 광고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수신 또는 발신시, 상기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광고 컨텐츠가 네트워크 환경별로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수신 또는 발신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하는 네트워크 확인부; 및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네트워크 확인부에서 확인한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칭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선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확인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값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값 정보가 전송되는 시점까지의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확인부는,
    상기 소요시간이 설정된 설정시간 범위 내에 속하면 3G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하고, 상기 소요시간이 상기 설정시간 범위 내에 속하지 않으면 4G 네트워크 환경 또는 WIFI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값 정보는,
    ER(Encoding Rate), VFS(Video File Size), TVD(Total Video Duration) 및 PTR(Packet Tim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확인부는,
    상기 ER이 100kbps, 상기 VFS가 128KB 및 상기 TVD가 55sec 중 적어도 하나이면 3G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하고, 상기 ER이 300kbps, 상기 VFS가 256KB, 상기 TVD가 105sec 이면 4G 네트워크 환경 또는 WIFI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설정된 광고 컨텐츠 매칭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통신요청신호의 발신 또는 수신 시, 통화시작 명령 또는 통화종료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통화시작 명령 또는 상기 통화종료 명령 입력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 종료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13. 이동 단말기가 통화요청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와 연동되는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지속시간 동안, 상기 이동 단말기로 임의의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전송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광고 컨텐츠 앱을 실행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광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며, 네트워크 환경별로 저장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네트워크 값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값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값 정보가 전송되는 시점까지의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단계는,
    상기 소요시간이 설정된 설정시간 범위 내에 속하면 3G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하고, 상기 소요시간이 상기 설정시간 범위 내에 속하지 않으면 4G 네트워크 환경 또는 WIFI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값 정보는,
    ER(Encoding Rate), VFS(Video File Size), TVD(Total Video Duration) 및 PTR(Packet Tim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단계는,
    상기 ER이 100kbps, 상기 VFS가 128KB 및 상기 TVD가 55sec 중 적어도 하나이면 3G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하고, 상기 ER이 300kbps, 상기 VFS가 256KB, 상기 TVD가 105sec 이면 4G 네트워크 환경 또는 WIFI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인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및 전송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설정된 광고 컨텐츠 매칭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단계 이후,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통화요청신호의 발신 또는 수신에 대한 통화시작명령 또는 통화종료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130102652A 2013-04-29 2013-08-28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29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3802 WO2014178618A1 (ko) 2013-04-29 2014-04-29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0140051924A KR101625531B1 (ko) 2013-04-29 2014-04-29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7682 2013-04-29
KR1020130047682 2013-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999A true KR20140129999A (ko) 2014-11-07

Family

ID=524551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652A KR20140129999A (ko) 2013-04-29 2013-08-28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0140051924A KR101625531B1 (ko) 2013-04-29 2014-04-29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924A KR101625531B1 (ko) 2013-04-29 2014-04-29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1299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387B1 (ko) * 2016-10-13 2019-05-15 네이버 주식회사 온라인 광고 컨텐츠의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서버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898B1 (ko) * 2010-07-30 2012-02-14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대한 패킷 데이터의 사용을 절감하는 서버 시스템
KR101138595B1 (ko) * 2010-11-17 2012-05-03 주식회사 미르도르 스마트폰의 통화 발신 대기 상태에 광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289721B1 (ko) * 2011-01-28 2013-07-26 (주)네오위즈게임즈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208463B1 (ko) * 2012-02-07 2012-12-24 강민성 광고를 차단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531B1 (ko) 2016-06-13
KR20140130065A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9384B2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US8750677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media playback from a different device
JP6293269B2 (ja) コンテンツ視聴確認装置及びその方法
JP6665200B2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処理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US20160323654A1 (en) Rendering advertisements in a client device for uninterrupted media content
US8845337B1 (en) Sharing demonstration information by a network connected demonstration device and system
JP2017510223A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内容表示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ショートメッセージ表示決定方法及び装置
US8905763B1 (en) Managing demonstration sessions by a network connected demonstration device and system
US107015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CN101784011A (zh) 一种在移动终端中根据触发信息发布广告的控制装置及方法
KR20130005776A (ko) 씨아이디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수신 단말기, 씨아이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WO2023072296A1 (zh) 多媒体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4052796A (zh) 处理插件的方法、装置、系统及终端
US10291967B2 (en) Function upgrade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04881304A (zh) 资源下载方法及装置
JP5467245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紹介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紹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129999A (ko)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20042733A (ja) コンテンツ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626305A (zh) 交互式廣告影像匹配系統及其操作方法
WO2016127888A1 (zh) 一种多媒体文件下载的方法与装置
CN112291602A (zh) 视频播放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799882B1 (ko) 모바일 컨텐츠에 연동한 부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US20180131736A1 (en) Stream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TW201424349A (zh) 支援群組基礎計費制的影片播放系統及相關的電腦程式產品
JP6293347B1 (ja) 視聴判定装置、および視聴判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