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736A - 생체 신호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신호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736A
KR20140128736A KR1020130047547A KR20130047547A KR20140128736A KR 20140128736 A KR20140128736 A KR 20140128736A KR 1020130047547 A KR1020130047547 A KR 1020130047547A KR 20130047547 A KR20130047547 A KR 20130047547A KR 20140128736 A KR20140128736 A KR 20140128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line
connector
sensor electrode
base film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0002B1 (ko
Inventor
박익로
Original Assignee
박익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익로 filed Critical 박익로
Priority to KR102013004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002B1/ko
Priority to PCT/KR2013/004001 priority patent/WO2014178467A1/ko
Publication of KR2014012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7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 A61B5/259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using conductive adhesive means, e.g.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1Arrangements of electrodes with cords, cables or leads, e.g. single leads or patient cord assemblies
    • A61B5/273Connection of cords, cables or leads to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3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 A61B5/26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containing electrolytes, conductive gels or pas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5Connectors or couplings
    • A61B2562/227Sensors with electrical conne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전극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하도록 하여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가의 센서전극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전극부가 아닌, 리드어댑터에 구비되므로, 센서전극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유지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극부의 전도성피막층이 리드어댑터의 센서전극에 견고하게 부착되므로, 상호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체결되어, 전도성피막층에서 읽어들인 생체 신호가 리드어댑터로 안전하게 전도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체 신호 감지 장치{BIO-SIGNAL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생체 신호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전극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하도록 하여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피검체(예, 인체의 심장, 근육)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활동 전류의 전기적 변화 등을 수집하는 것으로, 검사 대상인 피검체에 전극을 부착시키고, 상기 전극을 통해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근전도(Electromyogram, EMG) 등을 측정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0)은 절연성을 가지며 원형으로 형성된 베이스(11)와, 베이스(11)의 일면에 위치되는 하이드로겔 점착제(12)와, 베이스(11)의 타면에 위치되며 하이드로겔 점착제(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 재질의 연결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외부의 표시기기(20)와 연결된 연결선(15)의 커넥터(16)가 연결부(13)에 결합되고, 전극(10)이 부착된 피검체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신호가 표시기기(20)에 표시되어 외부로 출력된다.
이러한 종래 생세 신호 감지용 전극(10)에는 비교적 고가인 Ag 또는 AgCl로 형성되는 연결부(13)가 구비되고, 연결선(15)에는 상기 연결부(13)에 결합되기 위한 커넥터(16)가 구비되는바,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극(10)의 연결부(13)와 연결선(15)의 커넥터(16) 사이가 단순 끼움식으로 체결되는바,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체결되지 않아, 전기적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약간의 움직임에도 전극(10)의 연결부(13)가 연결선(15)의 커넥터(16)에서 쉽게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고실용신안 제1990-0006903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전극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하도록 하여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통공을 갖는 베이스필름과, 상기 관통공을 덮도록 상기 관통공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부착되어 그 상면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도성 피막층을 구비하는 전극부; 및 상기 피막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센서전극과,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수용된 상기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선을 구비하는 리드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1 라이너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피막층은 하이드로겔(Hydrog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센서전극의 측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하측에는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상기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방에서 상기 연결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선이 내삽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센서전극에서 멀어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선의 하측에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측부 방향으로 구비되는 집게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필름의 측부에는 상기 집게부재에 물리도록 돌출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집게부재에 물릴때, 상기 돌출부의 상기 삽입홀에 상기 집게부재에 형성되는 탭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집게부재는, 상기 커넥터에서 상기 연결선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1 집게부의 하방에 대향 위치되며, 상기 제 1 집게부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 2 집게부와,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일측이 상기 커넥터 방향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타측이 상호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집게부 또는 제 2 집게부의 일측에는 상기 탭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일측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물릴 때, 상기 탭이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필름의 일측에는 그 외측 방향으로 날개부가 더 구비되되, 인체와 대향되는 상기 날개부의 하면에는 점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선은 상기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일측에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수용부 방향으로 관통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그 일측은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그 타측은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 삽입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의 타측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센서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 재질의 전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상기 관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소켓부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선의 일측은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선의 타측은 결합부가 구비되며, 외부의 표시기기와 연결된 보조연결선이 상기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필름은 다수 개가 병렬 또는 직렬로 상호 연결되도록 배열되어 하나의 시트로 구성되되, 서로 인접한 상기 베이스필름은 절취선에 의하여 상호 커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라이너 및 상기 제 2 라이너는 하나의 상기 시트에 부착되도록 각각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고가의 센서전극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전극부가 아닌, 리드어댑터에 구비되므로, 센서전극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유지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극부의 전도성피막층이 리드어댑터의 센서전극에 견고하게 부착되므로, 상호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체결되어, 전도성피막층에서 읽어들인 생체 신호가 리드어댑터로 안전하게 전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리드어댑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집게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집게부재에 의하여 전극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가 인체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소켓부에 연결선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소켓부에 연결선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 등의 피검체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으로,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전극부(100)에서 감지한 인체의 전기 신호를 외부의 모니터링 장치 등의 표시기기(미도시)로 출력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전극부(100)는 베이스필름(120)과, 전도성피막층(130)과, 제 1 라이너(110)와, 제 2 라이너(140)를 포함한다.
베이스필름(120)은 종이, 부직포, 절연성 수지 등의 비도전성 또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관통공(120a)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필름(120)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전도성피막층(130)이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되고, 베이스필름(12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제 2 라이너(140)가 점착되도록 점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필름(120)의 측부, 상세하게는 리드어댑터(200)의 연결선(230) 방향으로 돌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에는 전도성피막층(130)이 구비되지 않아, 사용자가 돌출부(122)를 잡고 전극부(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전도성피막층(130)은 신체의 미세 전기를 후술하는 리드어댑터(200)로 전도(Conduction)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체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점착성 및 도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면, 하이드로겔(Hydrogel)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피막층(130)은 베이스필름(120)의 관통공(120a)을 덮도록 관통공(120a)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대량생산에 용이하도록 베이스필름(120)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베이스필름(120)의 하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전도성피막층(130)의 상면 중앙은 베이스필름(120)의 관통공(120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제 1 라이너(110)는 베이스필름(120)의 하면, 상세하게는 전도성피막층(130)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전도성피막층(130)의 하면을 보호한다. 그리고 제 2 라이너(140)는 베이스필름(12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전도성피막층(130)의 노출된 상면을 보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리드어댑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드어댑터(200)는 센서전극(220), 커넥터(210), 소켓부(216) 및 연결선(230)을 포함한다.
센서전극(220)은 Ag 또는 AgCl 전극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베이스필름(120)의 관통공(120a)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관통공(120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전도성피막층(130)에 밀착되고, 그 타단부는 후술하는 몸체(212)에 수용된다. 이러한 센서전극(220)은 신체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활동 전류의 전기적 변화 등을 전도성피막층(130)으로부터 읽어들인다.
커넥터(210)는 몸체(212)와 소켓부(216)를 포함한다. 몸체(212)는 센서전극(220)을 수용하도록 하부에 수용부(214)가 형성되며, 상부에 지지부(2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219)의 내부에는 수용부(214) 방향으로 관통부(219a)가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212)의 수용부(214)에 센서전극(220)이 수용될 때, 센서전극(220)의 측방에는 걸림부(222)가 형성되고 몸체(212)의 수용부(214)에는 상기 걸림부(222)에 삽입되도록 고정부(215)가 형성되어, 센서전극(220)의 걸림부(222)가 수용부(214)의 고정부(215)에 견고하게 걸림 위치된다. 소켓부(216)는 지지부(219)의 관통부(219a)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그 일측은 관통부(219a)의 내주연에 밀착되고 그 타측은 수용부(214)의 저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부(216b)가 구비된다. 그리고 소켓부(216)의 내부에는 그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소켓홀(216a)이 형성된다.
전선부(218)는 다수의 전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소켓부(216)의 연장부(216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수용부(214)의 저면과 센서전극(220)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수용부(214)에 수용된 센서전극(220)이 전선부(218)의 타측에 밀착되어, 숄더링되며, 이에 따라 소켓부(216)의 연장부(216b)와, 수용부(214)에 수용된 센서전극(220)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선(230)은 전기가 통전되는 전선 등으로 구성되어, 일측은 소켓부(216)의 소켓홀(216a)에 삽입되도록 돌출부(232)가 형성되고 타측은 외부에 위치한 상기 표시기기와 유선 등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기기는 전극부(100)와 리드어댑터(200)를 통해 읽어들인 신호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에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극부(100)의 베이스필름(120)은 다수 개가 병렬 또는 직렬로 상호 연결되도록 배열되어 하나의 시트(50)로 구성되고, 각각의 베이스필름(120)의 하면에 전도성피막층(130)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베이스필름(120) 및 전도성피막층(130)은 절취선(125)에 의하여 커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라이너(110) 및 상기 제 2 라이너(140)는 상기 시트(5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시트(50)로 구성된 다수의 베이스필름(12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부착된다.
그리고 시트(50)에 위치된 다수의 전극부(100) 중 절취선(125)에 의하여 절취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전극부(100)를 시트(50)에서 떼어낸 후, 상기 전극부(100)를 피부에 접착시킨다. 그 후, 전극부(100)의 관통공(120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전도성피막층(130)의 상면에 리드어댑터(200)의 센서전극(220)을 부착시켜서, 전극부(100)의 전도성피막층(130)에서 읽어들인 신체의 미세 전기 신호를 리드어댑터(200)를 통하여 외부에 위치한 표시기기(미도시)로 전달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고가의 센서전극(220)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전극부(100)가 아닌, 리드어댑터(200)에 구비되므로, 센서전극(220)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유지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극부(100)의 전도성피막층(130)이 리드어댑터(200)의 센서전극(220)에 견고하게 부착되므로, 상호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체결되어, 전도성피막층(130)에서 읽어들인 생체 신호가 리드어댑터(200)로 안전하게 전도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집게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집게부재(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드어댑터(200)의 지지부(219) 하측에 베이스필름(120) 방향으로 집게부재(240)가 더 구비된다.
집게 부재는 커넥터(210)의 몸체(212)에서 연결선(23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집게부(242)와, 상기 제 1 집게부(242)의 하방에 대향 위치되며 상기 제 1 집게부(242)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 2 집게부(244)와, 상기 제 1 집게부(242)와 상기 제 2 집게부(244)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부(246)를 포함한다. 그리고 탄성부(246)는 탄성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며, 제 1 집게부(242)와 상기 제 2 집게부(244)의 일측이 상기 커넥터(210) 방향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집게부(242)와 상기 제 2 집게부(244)의 타측이 상호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집게부(242)와 대향되는 제 2 집게부(244)의 내측에는 탭(245)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탭(245)이 베이스필름(120)의 돌출부(122)에 형성되는 삽입홀(122a)에 삽입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집게부재에 의하여 전극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극부(100)가 리드어댑터(200)의 커넥터(210)에 수용된 센서전극(220)에 부착될 때, 베이스필름(120)의 돌출부(122)가 제 1 집게부(242)와 제 2 집게부(244)의 일측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집게부(242)와 제 2 집게부(244)가 베이스필름(120)의 돌출부(122)를 물게 된다. 이때, 제 2 집게부(244)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탭(245)이 베이스필름(120)의 돌출부(122)에 형성되는 삽입홀(122a)에 삽입되어, 베이스필름(120)이 제 1 집게부(242)와 제 2 집게부(244) 사이에 견고하게 걸림 위치된다.
이처럼 베이스필름(120)이 제 1 집게부(242)와 제 2 집게부(244)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장시간 사용하거나 또는 환자의 이동 등에 의하여 전극부(100)가 리드어댑터(200)의 커넥터(210)에서 탈거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지지부(219')가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드어댑터(200)의 커넥터(210)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부(219')는 연결선(230)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결선(230)이 지지부(219')에 내삽된다. 이때, 지지부(219')는 리드어댑터(200)의 센서전극(220)에서 멀어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전극부(100)가 인체의 피부에 부착되면, 연결선(230)은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부(219')에 의하여 인체의 피부에서 상방으로 'h' 만큼 이격되어, 인체의 피부에 연결선(230)이 직접 닿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전극부(100)가 부착된 환자 등은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에서 연결선(230)이 피부에 닿지 않으므로,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생체 신호를 감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가 인체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베이스필름(120)에 날개부(123)를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의 피부(S)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극부(100)의 베이스필름(120)의 둘레를 따라 그 외측 방향으로 날개부(123)가 더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필름(120)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4개의 측부에 각각 날개부(12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인체와 대향되는 날개부(123)의 하면에는 점착부가 구비되어, 전극부(100)의 전도성피막층(130)이 굴곡진 인체의 피부(S) 등에 부착될 때, 베이스필름(120)의 점착부가 보조적으로 인체에 부착되어, 전도성피막층(130)이 잘 떨어지지 않고, 인체의 피부(S)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리드어댑터(200)의 연결선(230)이 외부의 표시기기와 연결된 보조연결선(250)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드어댑터(200)는 전극부(100)가 결합되는 커넥터(210)와, 커넥터(210)에 연결되는 연결선(230)을 포함하며, 연결선(230)의 일측은 커넥터(210)를 통하여 센서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선(230)의 타측은 외부의 표시기기와 연결된 보조연결선(25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연결선(230)의 타측에 결합부(234)가 구비되고 보조연결선(250)의 상기 결합부(234)와 대향되는 단부에 보조결합부(252)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234)와 상기 보조결합부(252)는 핀 타입으로 암수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결합부(234)와 보조결합부(252)가 핀 타입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 연결선(230)의 회전 및 이동이 용이하여, 연결선(230)의 위치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연결선(230)과 보조연결선(250)이 분리되므로, 연결선(230) 또는 보조연결선(250)이 꼬였을 경우, 이를 신속하게 풀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제 5 실시예에서, 연결선(230)의 타측에 구비되는 결합부(235)와 보조연결선(250)에 구비되는 보조결합부(254)의 결합 방식이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드어댑터(200)는 전극부(100)가 결합되는 커넥터(210)와, 커넥터(210)에 연결되는 연결선(230)을 포함하며, 연결선(230)의 일측은 커넥터(210)를 통하여 센서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선(230)의 타측은 외부의 표시기기와 연결된 보조연결선(25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연결선(230)의 타측에 결합부(235)가 구비되고 보조연결선(250)의 상기 결합부(235)와 대향되는 단부에 보조결합부(254)가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선(230)의 결합부(235)는 평평하게 판형으로 형성되고, 보조연결선(250)의 보조결합부(254)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조결합부(254)가 결합부(235)를 물게 되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소켓부에 연결선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리드어댑터(200)의 커넥터(210)와 연결선(230)이 상호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드어댑터(200)는 전극부(100)가 결합되는 커넥터(210)와, 커넥터(210)에 연결되는 연결선(230)을 포함하며, 연결선(230)의 일측은 커넥터(210)를 통하여 센서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선(230)의 타측은 외부의 표시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넥터(210)는 몸체(212)와 소켓부(216)와 전선부(218)를 포함한다. 몸체(212)는 센서전극(220)을 수용하도록 하부에 수용부(214)가 형성되며, 상부에 인체와 수평하도록 지지부(2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219)의 내부에는 수용부(214) 방향으로 관통부(219a)가 형성된다. 소켓부(216)는 지지부(219)의 관통부(219a)에 삽입되고, 전선부(218)는 소켓부(216)의 연장부(216b)와 수용부(214)에 수용된 센서전극(220)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연결선(230)은 전기가 통전되는 전선 등으로 구성되며, 일측은 소켓부(216)의 소켓홀(216a)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돌출부(232)가 형성되고, 타측은 외부에 위치한 상기 표시기기와 유선 등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연결선(230)이 소켓부(2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선(230)이 용이하게 회전되므로, 소켓부(216) 또는 연결선(230)의 위치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연결선(230)과 소켓부(216)가 분리되므로, 연결선(230)이 꼬였을 경우, 이를 신속하게 풀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소켓부에 연결선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 7 실시예에서, 몸체(212)에 형성되는 지지부(219'')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부(100)와,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는 리드어댑터(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드어댑터(200)는 전극부(100)가 결합되는 커넥터(210)와, 커넥터(210)에 연결되는 연결선(230)을 포함하며, 연결선(230)의 일측은 커넥터(210)를 통하여 센서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선(230)의 타측은 외부의 표시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텍터는 몸체(212)와 소켓부(216)와 전선부(218)를 포함한다. 몸체(212)는 센서전극(220)을 수용하도록 하부에 수용부(214)가 형성되며, 상부에 인체와 수직하게 지지부(219'')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219'')의 내부에는 수용부(214) 방향으로 관통부(219a'')가 형성된다. 소켓부(216)는 지지부(219'')의 관통부(219a'')에 삽입되고, 전선부(218)는 소켓부(216)의 연장부(216b)와 수용부(214)에 수용된 센서전극(220)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연결선(230)은 전기가 통전되는 전선 등으로 구성되며, 일측은 센서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켓부(216)의 소켓홀(216a)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돌출부(232)가 형성되고, 타측은 외부에 위치한 상기 표시기기와 유선 등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전극부 110: 제 1 라이너
120: 베이스필름 120a: 관통공
122: 돌출부 122a: 삽입홀
123: 날개부 125: 절취선
130: 전도성피막층 140: 제 2 라이너
200: 리드어댑터 210: 커넥터
212: 몸체 214: 수용부
215: 고정부 216: 소켓부
216a: 소켓홀 216b: 연장부
218: 전선부 219, 219', 219'': 지지부
219a, 219a'': 관통부 220: 센서전극
222: 걸림부 230: 연결선
232: 돌출부 234, 235: 결합부
240: 집게부재 242: 제 1 집게부
244: 제 2 집게부 245: 탭
246: 탄성부 250: 보조연결선
252, 254: 보조결합부

Claims (12)

  1. 관통공을 갖는 베이스필름과, 상기 관통공을 덮도록 상기 관통공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부착되어 그 상면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도성 피막층을 구비하는 전극부; 및
    상기 피막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센서전극과,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수용된 상기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선을 구비하는 리드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1 라이너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피막층은 하이드로겔(Hydrog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이서,
    상기 센서전극의 측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하측에는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상기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방에서 상기 연결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선이 내삽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센서전극에서 멀어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의 하측에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측부 방향으로 구비되는 집게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필름의 측부에는 상기 집게부재에 물리도록 돌출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집게부재에 물릴때, 상기 돌출부의 상기 삽입홀에 상기 집게부재에 형성되는 탭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재는,
    상기 커넥터에서 상기 연결선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1 집게부의 하방에 대향 위치되며, 상기 제 1 집게부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 2 집게부와,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일측이 상기 커넥터 방향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타측이 상호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집게부 또는 제 2 집게부의 일측에는 상기 탭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일측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물릴 때, 상기 탭이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일측에는 그 외측 방향으로 날개부가 더 구비되되,
    인체와 대향되는 상기 날개부의 하면에는 점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상기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측에 상기 센서전극이 수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수용부 방향으로 관통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그 일측은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그 타측은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 삽입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의 타측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센서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 재질의 전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상기 관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소켓부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의 일측은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선의 타측은 결합부가 구비되며,
    외부의 표시기기와 연결된 보조연결선이 상기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은 다수 개가 병렬 또는 직렬로 상호 연결되도록 배열되어 하나의 시트로 구성되되, 서로 인접한 상기 베이스필름은 절취선에 의하여 상호 커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라이너 및 상기 제 2 라이너는 하나의 상기 시트에 부착되도록 각각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감지 장치.
KR1020130047547A 2013-04-29 2013-04-29 생체 신호 감지 장치 KR101530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547A KR101530002B1 (ko) 2013-04-29 2013-04-29 생체 신호 감지 장치
PCT/KR2013/004001 WO2014178467A1 (ko) 2013-04-29 2013-05-08 생체 신호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547A KR101530002B1 (ko) 2013-04-29 2013-04-29 생체 신호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736A true KR20140128736A (ko) 2014-11-06
KR101530002B1 KR101530002B1 (ko) 2015-06-19

Family

ID=5184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547A KR101530002B1 (ko) 2013-04-29 2013-04-29 생체 신호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0002B1 (ko)
WO (1) WO20141784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8142A (en) * 1996-12-17 1999-07-27 Ndm, Inc. Biomedical electrode having a disposable electrode and a reusable leadwire adapter that interfaces with a standard leadwire connector
KR200278492Y1 (ko) * 2002-03-23 2002-06-20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테크 심전도용 생체전극
JP4709672B2 (ja) * 2006-03-22 2011-06-22 株式会社メッツ 心電計用電極
KR101028584B1 (ko) * 2008-08-27 2011-04-12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테크 일회용 유도전극 및 이에 접속되는 리드선
KR101008879B1 (ko) * 2009-03-17 2011-01-17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잡음 획득용 전극을 구비한 심전도 전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8467A1 (ko) 2014-11-06
KR101530002B1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13957B2 (en) Electrode system
US5626135A (en) Medical electrode
JP6214786B2 (ja) 持続血糖採取装置及び本体
KR101028584B1 (ko) 일회용 유도전극 및 이에 접속되는 리드선
KR101747858B1 (ko) 생체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JP2012508619A5 (ko)
JP2015534495A (ja) 監視デバイス
KR101674579B1 (ko) 생체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JP2002325740A (ja) 心電図電極パッチ
KR20110066953A (ko) 전극에 전기 리드를 연결하는 커넥터 조립체
WO2011038103A1 (en) Electrode system with rigid-flex circuit
CN110536633B (zh) 心电图传感器
WO2012026638A1 (ko) 스포이트가 체결된 생체 의료용 전극
KR101530002B1 (ko) 생체 신호 감지 장치
US10357171B2 (en) Adjustable ECG sensor and related method
JP2023022298A (ja) 生体情報取得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66516B1 (ko) 착용형 인터페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CN216854692U (zh) 一种小儿无线心电血氧采集贴片及心电血氧监护系统
AU2015200129B2 (en) Electrode system
CN210355678U (zh) 便携三导电极贴
CN213640934U (zh) 电子听诊器
CN211962042U (zh) 一种电极贴、脑电采集装置及系统
KR20190067596A (ko)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CN215191644U (zh) 一种可反复使用心电图电极固定装置
US202303098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brid bio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