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592A -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592A
KR20140128592A KR20130047183A KR20130047183A KR20140128592A KR 20140128592 A KR20140128592 A KR 20140128592A KR 20130047183 A KR20130047183 A KR 20130047183A KR 20130047183 A KR20130047183 A KR 20130047183A KR 20140128592 A KR20140128592 A KR 20140128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temperature
heating
combus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7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9278B1 (ko
Inventor
이현철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7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278B1/ko
Publication of KR20140128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35Three-way-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이 "온"되면 제어부에서 키입력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온수 또는 난방모드 중 어느 운전모드를 선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난방 또는 온수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에서 난방 또는 온수운전 지시를 하여 삼방변을 난방 배관 또는 온수 배관 측으로 절체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난방운전 지시 후 사용자 설정온도와 써미스터를 통해 검출되는 난방수의 출탕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난방연소를 대기하되,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난방연소를 실시하고, 상기에서 온수운전 지시 후 온수배관 내에 설치된 수류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여 "오프"상태이면 온수연소를 대기하되, 수류 스위치가 "온"상태이면 온수연소를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보일러의 온수 및 난방운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에서 난방연소가 실시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난방 배관에 설치된 난방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를 통해 검출되는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여, 만약 정해진 시간 후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으면 표시부에 삼방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소비자 또는 서비스맨이 삼방변의 이상상태를 즉시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어 불필요한 서비스 요청을 막을 있고, 불필요한 가스 소비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고온의 온수가 사용자에게 공급됨으로 인한 화상 등과 같은 안전상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Method for detecting fixed three way valve and misoperation of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운전모드 선택에 대응하여 온수 또는 난방운전을 지시함과 동시에 삼방변에 대한 절체신호를 출력한 다음 온수가 사용되거나 또는 난방수의 현재온도가 사용자의 설정온도보다 낮아 각각의 운전모드에서 연소를 시작한 후 정해진 시간 내에 온수 및 난방수 배관에 설치된 써미스터들을 통해 검출되는 온수 또는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으면 삼방변이 고착 또는 오동작을 하여 버너에 의해 가열된 온수 또는 난방수가 온수용 수도꼭지 측 또는 난방 배관으로 공급 및 순환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에 삼방변 이상상태를 표시해 주어 소비자 또는 서비스맨이 삼방변의 이상상태를 즉시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서비스 발생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한 가스 소비 감소와 고온 출탕 등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난방과 온수의 공급을 위하여 설치되는 장치로, 각종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데우고, 데워진 물을 직접 이용하거나, 가정 또는 각종 건물들의 난방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크기에 따라 가정용으로 이용되는 소형 보일러에서부터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대형 보일러까지 널리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서 기름보일러 및 가스보일러 등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종류의 보일러가 개발되고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온수 및 난방 겸용 보일러에는 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된 온수 또는 난방수를 온수용 수도꼭지 측 또는 난방 배관으로 공급 및 순환시켜 주기 위해 하나의 입구와 두 개의 출구가 구비된 삼방변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운전모드 선태에 대응하여 제어부에서 상기 삼방변을 온수 측 또는 난방 측으로 자동 절체시켜 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보일러에서 사용되고 있는 삼방변의 주요역할은 난방회로와 온수회로에 대한 순환경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부품인데도 불구하고, 종래 대부분의 보일러에서는 상기한 삼방변이 난방회로 측으로 정확하게 절체되었는지 또는 온수회로 측으로 정확하게 절체되었는지를 각각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 대부분의 보일러에서는 삼방변이 고착 또는 고장 등으로 오동작을 하더라도 난방 또는 온수모드에 따른 연소가 계속해서 진행되는 형태를 나타내게 되어 불필요하게 가스가 소비됨은 물론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고 있고, 또한 사용자의 의사와 달리 고온의 온수가 사용자에게 공급됨으로 인해 화상 등과 같은 안전상의 위험요소가 있고, 특히 사용자가 어떤 고장상태인지를 정확히 몰라 불필요한 서비스 요청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부 보일러에서는 별도의 마이크로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삼방변 자체의 작동을 감시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28345호(2000년 05월 25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보일러의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운전모드 선택에 대응하여 온수 또는 난방운전을 지시함과 동시에 삼방변에 대한 절체신호를 출력한 다음 온수가 사용되거나 또는 난방수의 현재온도가 사용자의 설정온도보다 낮아 각각의 운전모드에서 연소를 시작한 후 정해진 시간 내에 온수 및 난방수 배관에 설치된 온수 및 난방수 온도 검출용 써미스터를 통해 검출되는 온수 또는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여, 만약 상승하지 않으면 삼방변이 고착 또는 오동작을 일으켜 열교환기를 통해 가열된 온수 또는 난방수가 온수용 수도꼭지 측 또는 난방 배관으로 공급 및 순환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에 삼방변 이상상태를 표시해 줌으로써 소비자 또는 서비스맨이 삼방변의 이상상태를 즉시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많이 발생하는 서비스 요청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한 가스 소비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또 고온의 온수가 사용자에게 공급됨으로 인한 화상 등과 같은 안전상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이 "온"되면 제어부에서 키입력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온수 또는 난방모드 중 어느 운전모드를 선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난방 또는 온수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에서 난방 또는 온수운전 지시를 하여 삼방변을 난방 배관 또는 온수 배관 측으로 절체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난방운전 지시 후 사용자 설정온도와 써미스터를 통해 검출되는 난방수의 출탕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난방연소를 대기하되,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난방연소를 실시하고, 상기에서 온수운전 지시 후 온수배관 내에 설치된 수류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여 "오프"상태이면 온수연소를 대기하되, 수류 스위치가 "온"상태이면 온수연소를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보일러의 온수 및 난방운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에서 난방연소가 실시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난방 배관에 설치된 난방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를 통해 검출되는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여, 만약 정해진 시간 후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으면 표시부에 삼방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온수연소가 실시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온수 배관에 설치된 온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를 통해 검출되는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여, 만약 정해진 시간 후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으면 표시부에 삼방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난방연소 실시 후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는 정해진 시간을, 온수연소 실시 후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는 정해진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에 의하면, 보일러의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운전모드 선택에 대응하여 온수 또는 난방운전을 지시함과 동시에 삼방변에 대한 절체신호를 출력한 다음 온수가 사용되거나 또는 난방수의 현재온도가 사용자의 설정온도보다 낮아 각각의 운전모드에서 연소를 시작한 후 정해진 시간 내에 온수 및 난방수 배관에 설치된 온수 및 난방수 온도 검출용 써미스터를 통해 검출되는 온수 또는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여, 만약 상승하지 않으면 삼방변이 고착 또는 오동작을 일으켜 열교환기를 통해 가열된 온수 또는 난방수가 온수용 수도꼭지 측 또는 난방 배관으로 공급 및 순환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에 삼방변 이상상태를 표시해 줌으로써 소비자 또는 서비스맨이 삼방변의 이상상태를 즉시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많이 발생하는 서비스 요청을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가스 소비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또 고온의 온수가 사용자에게 공급됨으로 인한 화상 등과 같은 안전상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원이 "온"되면 제어부(5)에서 키입력부(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온수 또는 난방모드 중 어느 운전모드를 선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와; 사용자가 난방 또는 온수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5)에서 난방 또는 온수운전 지시를 하여 삼방변(6)을 난방 배관 또는 온수 배관 측으로 절체하는 단계(S2, S3)와; 상기에서 난방운전 지시(S2) 후 사용자 설정온도(Tset)와 써미스터(2)를 통해 검출되는 난방수의 출탕온도(Tout)를 상호 비교(S4)하여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난방연소를 대기(S5)하되,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난방연소를 실시(S6)하고, 상기에서 온수운전 지시(S3) 후 온수배관 내에 설치된 수류 스위치(4)의 상태를 검출(S7)하여 "오프"상태이면 온수연소를 대기(S8)하되, 수류 스위치(4)가 "온"상태이면 온수연소를 실시(S9)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보일러의 온수 및 난방운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에서 난방연소가 실시(S6)되면 상기 제어부(5)에서 정해진 시간(t1)이 경과한 후 난방 배관에 설치된 난방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2)를 통해 검출되는 난방수의 출탕온도(Tout)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S10)하여, 만약 정해진 시간(t1) 후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으면 표시부(8)에 삼방변 이상상태임을 표시(S11)해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온수연소가 실시(S9)되면 상기 제어부(5)에서 정해진 시간(t2)이 경과한 후 온수 배관에 설치된 온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3)를 통해 검출되는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S13)하여, 만약 정해진 시간(t2) 후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으면 표시부(8)에 삼방변 이상상태임을 표시(S14)해주는 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난방연소 실시(S6) 후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 예를 들어 5∼15℃)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S10)하는 정해진 시간(t1)이, 온수연소 실시(S9) 후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 예를 들어 5∼15℃)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S13)하는 정해진 시간(t2)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예를 들어 t1은 5∼15분으로 설정하고, t2는 5∼15초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상기에서 난방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2)를 통해 검출되는 난방수의 출탕온도(Tout)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S10)한 결과 정해진 시간(t1) 후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면 정상적인 난방연소 운전을 지속(S12)하고, 또한 상기에서 온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3)를 통해 검출되는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S13)한 결과 정해진 시간(t2) 후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면 정상적인 온수연소 운전을 지속(S15)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온수 또는 난방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모드 선택 키를 포함하여 난방 및 온수설정온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설정키 등을 포함한 각종 키들이 설치된 키입력부(1)가 구비되어 있다.
또, 도시 생략한 열교환기에서 배출된 다음 삼방변(6)을 통해 난방 배관 또는 온수용 수도꼭지 측으로 공급되는 온수 및 난방수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5)로 전달하는 난방수 및 온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2)(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시 생략한 온수배관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류 스위치(4)도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키입력부(1)와 난방수 및 온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2)(3) 및 수류 스위치(4) 등에서 출력되는 각종 정보를 입력받고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삼방변(6)을 포함한 도시 생략한 버너나 송풍팬 및 순환펌프 등의 구동을 제어함을 물론 표시부(8)에 표시되는 정보를 출력해 주는 제어부(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삼방변(6)의 방향을 절체해 주는 삼방변 구동부(7)를 포함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해 주는 표시부(8)도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것으로, 보일러에 전원이 "온"되면 상기 제어부(5)에서는 먼저, 키입력부(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온수 또는 난방모드 중 어느 운전모드를 선택하는지 판단하게 된다(S1).
상기와 같이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난방 또는 온수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5)에서 사용자의 선택 운전모드에 대응하여 난방 또는 온수운전 지시를 하여 삼방변(6)을 난방 배관 또는 온수 배관 측으로 각각 절체시켜 주게 된다(S2, S3).
상기 단계(S1)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난방모드를 선택함으로 인해 S2 단계에서 난방운전 지시와 더불어 삼방변 구동부(7)를 통해 상기 삼방변(6)을 난방 배관 측으로 절체시킨 상기 제어부(5)에서는 이어서, 사용자 설정온도(Tset)와 써미스터(2)를 통해 검출되는 난방수의 출탕온도(Tout)를 상호 비교하게 된다(S4).
그 결과 현재온도(즉, 현재 난방수의 출탕온도(Tout))가 사용자의 설정온도(Tset)보다 높으면, 난방연소를 대기(S5)하고, 이와 반대로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난방연소를 실시(S6)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계(S1)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온수모드를 선택함으로 인해 S3 단계에서 온수운전 지시와 더불어 삼방변 구동부(7)를 통해 상기 삼방변(6)을 온수 배관 측으로 절체시킨 상기 제어부(5)에서는 이어서, 온수배관 내에 설치된 수류 스위치(4)의 상태를 검출(S7)하여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수류 스위치(4)가 "오프"상태이면 온수연소를 대기(S8)하고,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함으로 인해 수류 스위치(4)가 "온"상태이면 온수연소를 실시(S9)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5)에서 사용자의 난방모드 운전 선택으로 인해 난방운전 지시 후 비교 판단한 결과 난방수의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아 난방연소를 실시(S6)한 후에는, 자체 내에 기 정해진 시간(t1)이 경과 되기를 기다렸다가 정해진 시간(t1)이 경과 되면, 난방 배관에 설치된 난방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2)를 통해 검출되는 난방수의 출탕온도(Tout)가 난방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S10)하게 된다.
그 결과, 만약 정해진 시간(t1) 후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으면 표시부(8)에 삼방변 이상상태임을 표시(S11)해 줌으로써 소비자 또는 서비스맨이 삼방변(6)의 이상상태를 상기 표시부(8)에 표시되는 문자 또는 에러 코드 등을 통해 즉시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많이 발생하는 서비스 요청을 해결할 수 있다.
물론, 상기에서 난방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2)를 통해 검출되는 난방수의 출탕온도(Tout)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S10)한 결과 정해진 시간(t1) 후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면 정상적인 난방연소 운전을 지속(S12)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에서 사용자의 온수모드 운전 선택으로 인해 온수운전을 지시하고 난 다음, 온수배관 내에 설치된 수류 스위치(4)의 상태를 검출(S7)한 결과 수류 스위치(4)가 "온"상태이어서 온수연소를 실시(S9)한 후에는, 자체 내에 정해진 시간(t2)이 경과 되기를 기다렸다가, 온수연소 이후 정해진 시간(t2)이 경과 되면, 온수 배관에 설치된 온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3)를 통해 검출되는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S13)하게 된다.
그 결과, 만약 정해진 시간(t2) 후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으면 표시부(8)에 삼방변 이상상태임을 표시(S14)해 줌으로써 소비자 또는 서비스맨이 삼방변(6)의 이상상태를 상기 표시부(8)에 표시되는 문자 또는 에러 코드 등을 통해 즉시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많이 발생하는 서비스 요청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난방 및 온수운전시 연소동작 후 정해진 시간(t1, t2) 후 써미스터(2)(3)들을 통해 검출되는 난방수 및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으면 표시부(8)에 삼방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 주어 필요한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면 전술한 효과 이외에도 불필요한 가스 소비를 방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온수가 사용자에게 공급됨으로 인한 화상 등과 같은 안전상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에서 온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3)를 통해 검출되는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S13)한 결과 정해진 시간(t2) 후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면 정상적인 온수연소 운전을 지속(S15)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난방연소 실시(S6) 후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 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S10)하는 정해진 시간(t1)과, 온수연소 실시(S9) 후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S13)하는 정해진 시간(t2)은, 난방모드 또는 온수모드로 작동할 때의 버너의 연소열량 및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 능력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게 되는데, 난방수의 가열은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제공해야만 하는 특성을 가진 온수 가열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연소를 실시하는 점을 감안하여 결정하였다.
즉, 난방연소 실시(S6) 후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S10)하는 정해진 시간(t1)이 온수연소 실시(S9) 후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T℃)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S13)하는 정해진 시간(t2)보다 비교적 긴 시간으로 설정하였는데, 예를 들어 난방연소시의 정해진 시간(t1)은 5∼15분으로 설정하고, 온수연소시의 정해진 시간(t2)은 5∼15초로 설정하였다.
또한, 난방수의 출탕온도 또는 온수의 출탕온도가 정해진 시간(즉, t1 또는 t2) 후 연소시작 이전보다 온도보다 얼마나 높은 온도를 나타내는지 판단하는 기준인 정해진 온도(△T℃)는 난방운전시나 온수운전시에 무관하게 예를 들어 5∼15℃로 설정하였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키입력부
2, 3 : 써미스터
4 : 수류 스위치
5 : 제어부
6 : 삼방변
7 : 삼방변 구동부
8 : 표시부

Claims (3)

  1. 전원이 "온"되면 제어부에서 키입력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온수 또는 난방모드 중 어느 운전모드를 선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난방 또는 온수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에서 난방 또는 온수운전 지시를 하여 삼방변을 난방 배관 또는 온수 배관 측으로 절체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난방운전 지시 후 사용자 설정온도와 써미스터를 통해 검출되는 난방수의 출탕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난방연소를 대기하되,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난방연소를 실시하고, 상기에서 온수운전 지시 후 온수배관 내에 설치된 수류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여 "오프"상태이면 온수연소를 대기하되, 수류 스위치가 "온"상태이면 온수연소를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보일러의 온수 및 난방운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에서 난방연소가 실시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난방 배관에 설치된 난방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를 통해 검출되는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여, 만약 정해진 시간 후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으면 표시부에 삼방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에서 온수연소가 실시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온수 배관에 설치된 온수온도 검출용 써미스터를 통해 검출되는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여, 만약 정해진 시간 후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으면 표시부에 삼방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난방연소 실시 후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는 정해진 시간을, 온수연소 실시 후 온수의 출탕온도가 연소시작 이전보다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지를 판단하는 정해진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




KR1020130047183A 2013-04-29 2013-04-29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 KR101459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183A KR101459278B1 (ko) 2013-04-29 2013-04-29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183A KR101459278B1 (ko) 2013-04-29 2013-04-29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592A true KR20140128592A (ko) 2014-11-06
KR101459278B1 KR101459278B1 (ko) 2014-11-07

Family

ID=5228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183A KR101459278B1 (ko) 2013-04-29 2013-04-29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2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1394A (zh) * 2016-06-29 2016-11-09 无锡锡能锅炉有限公司 一种锅炉燃烧过程的控制工艺
KR101976646B1 (ko) 2017-11-30 2019-05-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난방전용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고장 검지방법
KR20190059671A (ko) * 2017-11-23 2019-05-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난방전용 보일러의 온수 난방 자동전환 제어방법
KR102522032B1 (ko) 2021-12-15 2023-04-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삼방변 고장 검출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581B1 (ko) 2005-09-22 2007-04-2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보일러내 삼방밸브의 이상 감지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1394A (zh) * 2016-06-29 2016-11-09 无锡锡能锅炉有限公司 一种锅炉燃烧过程的控制工艺
KR20190059671A (ko) * 2017-11-23 2019-05-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난방전용 보일러의 온수 난방 자동전환 제어방법
KR101976646B1 (ko) 2017-11-30 2019-05-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난방전용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고장 검지방법
KR102522032B1 (ko) 2021-12-15 2023-04-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삼방변 고장 검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278B1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646B1 (ko)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난방전용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고장 검지방법
KR101459278B1 (ko)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
JP5705332B2 (ja) 瞬間湯沸器
KR101582083B1 (ko) 보일러 온도조절기의 스위치 온 고장 시 안전 제어방법
KR101579440B1 (ko) 가스 보일러의 온수 재 출탕시 온수온도 편차 보정방법
KR100742942B1 (ko) 보일러의 자동 시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679818B1 (ko) 보일러의 과열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731533B1 (ko) 보일러의 온수 과열 방지방법
KR102522032B1 (ko) 보일러의 삼방변 고장 검출장치 및 방법
JP5988080B2 (ja) 熱源装置
KR20160133189A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3579440B2 (ja) 複合熱源器を備えた大能力給湯システムにおける温度センサのセルフチェック方法
KR102522024B1 (ko) 보일러의 삼방변 고장 검출장치 및 방법
JP5795275B2 (ja) 温水暖房装置
KR101039932B1 (ko)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KR101635897B1 (ko) 유량조절밸브를 가진 보일러 및 온수기의 온수누수 차단방법
KR100551194B1 (ko) 보일러의 정전보상 이상감지 제어시스템
KR101488182B1 (ko) 보일러의 초기 운전시 써미스터 오결선 검출방법
KR20190059671A (ko)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난방전용 보일러의 온수 난방 자동전환 제어방법
KR20140128591A (ko) 초기전원 공급시 보일러의 완전동결 판단방법
KR101976649B1 (ko) 캐스케이드 시스템에서의 온도측정장치 고장시 난방운전 제어방법
JP2001248895A (ja) 給湯暖房機の制御装置
JP2014103782A (ja) 熱源機
JP2773641B2 (ja) 給湯装置
KR20000032723A (ko) 가스 보일러의 3방향밸브 고장 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