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135A - 알긴산 올리고당의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용도 - Google Patents

알긴산 올리고당의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135A
KR20140128135A KR1020130046935A KR20130046935A KR20140128135A KR 20140128135 A KR20140128135 A KR 20140128135A KR 1020130046935 A KR1020130046935 A KR 1020130046935A KR 20130046935 A KR20130046935 A KR 20130046935A KR 20140128135 A KR20140128135 A KR 20140128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inic acid
alginate
cholesterol
alginate oligosaccharide
k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기
방영배
도정룡
조경현
임소정
임상동
김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리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리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리쏘스
Priority to KR1020130046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8135A/ko
Publication of KR20140128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4Alg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2Spore-forming bacteria, e.g. Bacillus coagulans, Bacillus subtilis, clostridium or Lactobacillus sporog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긴산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긴산 올리고당의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용도{Anti-cholesterol and anti-obesity use of alginic acid oligosaccharide}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호남권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R&D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고유번호: R0001535, 과제명: 해조류 알긴산 올리고당 함유 기능성 식품개발 및 사업화]
본 발명은 알긴산 올리고당의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알긴산은 해조 다당류의 일종이고, β-1,4 결합의 D-만누론산과 α-1,4 결합의 L-글루론산이 연결된 사슬구조를 갖는다. 알긴산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만누론산과 글루론산의 비율 및 세그먼트의 배열 상태에 의해 결정되고, 분자량의 차이에 의해 점도, 용해도, 유화능, 이온교환능, 보수성, 및 피막형성능 등의 물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긴산은 점성으로 인해 식품첨가제, 유화제 등에 이용되며, 섬유화하여 수술용 실로도 이용되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는 알긴산의 형태는 알긴산의 나트륨염으로서 물에 가용성이며 점성, 겔화성, 수화성, 보수성, Ca2 +과 같은 금속이온과의 반응성, 결착성, 필름형성 등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어, 아이스크림, 시럽, 수우프, 젤리, 푸딩, 잼, 어육 연제품, 등에 널리 이용되며, 식품 산업에서뿐만 아니라 의약 산업에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수용성 알긴산은 상온에서 용해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알코올류가 포함되어 있는 용매에는 잘 용해되지 않으며, 침전을 일으키는 특성이 있다. 또한 알긴산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강한 점성을 갖게 되며, 특히 액상 식품의 경우는 0.5% 이상의 농도로 첨가되면 식품 고유의 특성을 잃게 하는 단점을 가져서 사용에 큰 제한을 받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알긴산은 저분자화된 알긴산의 형태로 제조되어 이용되고 있다. 생체이용률의 측면에서도, 포유동물은 알긴산 분해효소를 갖지 않기 때문에 알긴산은 그 자체로 이용될 수 없고, 생체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알긴산의 중합도를 낮추기 위해 저분자화되어야 한다. 저분자 알긴산, 또는 알긴산 올리고당은 지방축적 억제 및 지방대사 촉진에 의한 항비만 효과 및 IL-6, TNF-α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분비 촉진을 통한 면역기능강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알긴산의 다양한 생리 활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알긴산의 분해에 의해 제조된 알긴산 올리고당에 의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와 중성지방 축적 감소의 우수한 효과를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알긴산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콜레스테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알긴산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알긴산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콜레스테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알긴산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알긴산 올리고당은 저분자량 알긴산 올리고당이다.
본 명세서에서 "알긴산"은 β(1→4)-D-만누론산과 α(1→4)-L-글루론산 잔기로 구성된 직쇄형의 우론산 중합체로 화학식은 (C6H8O)n이며 대표적 분자량은 20,000-240,000인 다당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알긴산 올리고당"은 고분자의 알긴산을 분해하여 저분자량화하거나 (C6H8O)의 반복 단위의 갯수가 10개 이하로 감소된 알긴산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항콜레스테롤 조성물"은 콜레스테롤의 체내 흡수를 억제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준 저하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항비만 조성물"은 지방축적 억제 및 지방대사 촉진에 의해 비만 감소 및 예방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저분자량 알긴산 올리고당"은 분자량이 1 kDa 이하인 알긴산 올리고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의 총 알긴산 올리고당 중 분자량이 1 kDa 이하인 저분자량 알긴산 올리고당의 비율이 50% 이상이다. 알긴산 자체는 고분자 다당류로서 인체에서 이용될 수 없으며, 알긴산의 생체 이용을 위해서는 저분자화가 요구된다. 알긴산 올리고당이 생체 내에서 흡수되고 이용되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저분자량 올리고당의 비율이 충분히 높아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알긴산 올리고당 총량 중 50% 이상, 또는 60 내지 70%, 또는 그 이상이 저분자량 알긴산 올리고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알긴산 올리고당은 알긴산 분해활성을 갖는 미생물을 알긴산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여 수득된 배양물 또는 그의 동결건조물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미생물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CTC11872BP이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CTC11872BP는 본 발명자들이 해수로부터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의 존재 여부에 의해 분리하고,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과 16s rRNA 서열에 근거하여 동정하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지원센터의 생물자원(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에 2011년 2월 21일자로 수탁번호 KCTC11872BP로 기탁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의미한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CTC11872BP의 알긴산 분해효소는 pH 7 내지 8에서 높은 활성을 가지며, 식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의 알긴산 분해 미생물에 비해 저분자 알긴산이나 알긴산 올리고당의 제조에 매우 적합하다. 상기 균주는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대한민국특허 제1248191호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또는 콜레스테롤 저하 또는 비만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능성 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 식품은 어류, 육류, 곡류, 음료, 초콜렛, 스낵류, 과자류,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체, 발효식품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에서 허용가능한 통상적인 식품 첨가제, 예를 들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기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오로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마그네슘 스테라에리트 및 광물유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캡슐, 과립제, 현탁액, 시럽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알긴산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콜레스테롤 또는 항비만 조성물은 높은 생체이용률로 알긴산 올리고당이 이용될 수 있게 하여 우수한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험군별 6주간의 체중 변화 추이를 보여준다. 정상 식이군(Normal), 고콜레스테롤 식이군(CH), 5% 알긴산 올리고당 식이군(AOL), 10% 알긴산 올리고당 식이군 (AOH), 및 알긴산 소다 식이군(ASH)에서 각 식이를 6주간 급여하면서 실험군별로 체중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도 2a 내지 2d는 고콜레스테로 식이에 알긴산 올리고당(AOL 및 AOH) 또는 알긴산 소다(ASH)를 6주간 동시 급여한 후 측정된 혈중 총 콜레스테롤, 혈중 중성지방, 혈중 HDL-콜레스테롤, 및 혈중 LDL-콜레스테롤을 각각 보여준다.
도 3a 내지 3c는 6주 간의 급여 및 분석 종료 후 수득된 각 실험군의 간 조직 중 총 지방,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을 각각 보여준다.
도 4a 내지 4d는 6주 간의 급여 및 분석 종료 후 각 실험군으로부터 수득된 분변의 수분 함량, 총 지방, 총 콜레스테롤, 및 총 중성지방을 각각 보여준다.
실시예 1. 알긴산 올리고당의 항콜레스테롤 항비만 효과
본 출원인이 제조한 알긴산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CTC11872BP 발효 상등액의 동결건조 분말을 알긴산 올리고당으로 이용하여 수컷 마우스에서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1) 실험 재료 및 방법
알긴산 올리고당의 항콜레스테롤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식이
정상 식이(normal diet), 고 콜레스테롤 식이(cholesterol diet) 및 실험 식이(experimental diet), 즉 알긴산 소다 식이 및 알긴산 올리고당 식이의 구성으로 실험동물의 식이를 조제하였다. 고 콜레스테롤 식이는 정상 식이에 콜레스테롤 1%를 첨가한 양만큼 사료의 양을 줄여 조제하고, 실험 식이는 정상 식이에 콜레스테롤 1%와 알긴산소다(ASH) 10%, 알긴산 올리고당 5%(AOL)와 10%(AOH)에 해당하는 양만큼을 각각 줄인 수준에서 각각 조제한다. 정상 식이의 조성이 하기 표 1에 기재된다. 실험군은 제공된 식이에 따라, 정상 식이군(Normal), 콜레스테롤 식이군(HC), 5% 알긴산 올리고당 식이군(AOL), 10% 알긴산 올리고당 식이군(AOH) 및 알긴산 소다군(ASH)로 구성했다.
정상 식이 조성
조 단백질 단위 함량
지방(에테르 추출물) % 18.6
탄수화물 % 44.2
조 섬유 % 3.5
중성 디터전트 섬유(Neutral detergent fiber) % 14.7
회분 % 5.3
에너지 밀도 kcal/g 3.1
단백질 열량 % 24
지방 열량 % 18
탄수화물 열량 % 58
미네랄
% 3.5
mg/kg 391.23
아미노산 % 18.8
비타민

IU/g 32
IU/kg 135
mg/kg 1735.05
지방산 % 11.1
실험동물의 사육
실험동물의 급이 실험측정 시험은 저분자 알긴산 올리고당에 대한 실험동물 군을 대상으로 했다. 실험 동물은 한림실험동물에서 분양받은 4주령의 수컷 아포이 마우스(체중 20±3 g)였다. 실험군을 분류하여 연립식 사육 케이지에 넣고 일반사료로서 7일간 순치 예비사육한 후 평균체중이 유사하도록 난괴법(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에 의해 대조군과 실험으로 나눈 후 각각 정상 식이와 고 콜레스테롤 식이, 알긴산 올리고당과 알긴산 소다를 함유하는 실험 식이를 급여하여 4주간 사육했다. 실험기간 중 식이는 4℃에서 보관하였으며, 물과 식이는 일주일에 2번 공급하여 자유로이 섭취하게 하였다. 사육실의 온도는 18±2℃, 상대습도 50±10%로 유지하였으며 조명은 12시간 주기로 조절하였다. 체중은 일주일에 한 번씩 일정시간에 측정하였으며, 식이 섭취량은 일주일에 두 번씩 측정하였다.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은 전 체중 증가량을 같은 기간 동안의 식이 섭취량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실험 동물의 처리
실험사육 최적일에 안구채혈하고 각 혈액시료는 냉장에서 1시간 방치한 후에 원심분리(7,000 rpm, 10 분)하여 채취한 혈청을 저온(-70 ℃)에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했다. 실험사육 종료 후, 간장, 고환지방과 신장지방도 별도로 적출하여 그 무게를 칭량했다. 실험동물의 분변은 실험식이 급여기간 중 실험 첫날과 6주째에 3일간 대사 케이지(metabolic cage)에서 수집했다. 분변의 수집 후 즉시 습부량을 측정하고, 항량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시킨 다음 건조 중량을 측정하여 습부량과의 차이를 수분함량으로 했다.
지질분석용 시료의 추출
총콜레스테롤, HDL-과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분석하기 위해, 대상시료 중 혈청은 저온보관 중의 시료를 그대로 분석용으로 이용했다. 간의 분석 시료는 간장 0.5 g을 취하여 증류수 7mL을 넣고 1분간 균질기(homogenizer)로 균질화하여 분석용 시료를 준비했다. 균질화시킨 간 시료를 클로로포름:메탄올 (1:2, v/v) 7.5 mL로 지질을 추출하고 여액을 회수하여 N2 기체로 용매를 증발시킨 후 지질 함량을 구하고, 10 mg당 클로로포름:메탄올(1:4, v/v) 혼합액을 1 mL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여액을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분석용 시료로 혈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분변 분석용 시료의 추출
채취 후, 건조시킨 분변 시료 중 0.5 g을 취하여 증류수 7mL을 넣고 1분간 균질화시킨 후, 클로로포름:메탄올 (1:2, v/v) 7.5 mL로 지질을 추출하고 여액을 회수하여 N2 기체로 용매를 증발시킨 후 지질함량을 구하고, 10 mg당 클로로포름:메탄올(1:4, v/v) 혼합액을 1 mL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여액을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분석용 시료로 혈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2) 알기산 올리고당의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효과
체중,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효율
고 콜레스테롤 식이, 알긴산 올리고당 식이 및 알긴산 소다 식이의 6주간 급여 후 마우스의 체중,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효율을 측정하였다. 도 1은 실험군별 6주간의 체중 변화 추이를 보여준다.
하기 표 2는 실험군별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효율(FER)을 비교한다.
실험군 체중 증가량(g/일) 식이 섭취량 (g/일) 식이 효율(FER)
정상 식이(Normal) 0.39±0.01 6.25±0.56 0.063±0.001
고 콜레스테롤 식이 (HC) 0.41±0.02 8.05±0.38 0.051±0.002
5% 알긴산 올리고당 (AOL) 0.37±0.03 9.26±0.74 0.040±0.004
10% 알긴산 올리고당 (AOH) 0.34±0.06 9.39±0.81 0.036±0.007
알긴산 소다 (ASH) 0.34±0.03 5.50±0.63 0.062±0.005
표 2의 결과는 알긴산 올리고당을 급여한 군은 높은 식이 섭취량에도 불구하고, 체중 증가량은 낮아서 식이 효율이 낮고, 알긴산 올리고당이 항비만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혈액 생화학적 검사
고 콜레스테롤 식이에 알긴산 올리고당과 알긴산 소다를 6주간 급여하고, 각 실험군의 혈액을 0주, 4주, 및 6주에 채취하여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긴산 올리고당과 알긴산 소다를 고 콜레스테롤 식이와 함께 투여한 실험군은 혈액 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L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인 고콜레스테롤 식이 군에 비해 낮고, H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이 결과는 알긴산 올리고당 및 알긴산 소다가 체내에서 지방 대사를 개선하여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고 지방의 분해를 촉진하는 항 비만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의 무게
6주간의 정해진 식이의 급여 및 분석 종료 후, 각 실험군별 간, 부고환 지방 조직 및 신장 지방 조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하기의 표 3은 그 결과를 보여준다.
실험군 간 (g) 부고환 지방 조직 (g) 신장 지방 조직 (g)
정상 식이(Normal) 2.51±0.11 1.46±0.06 0.68±0.03
고콜레스테롤 식이 (HC) 2.54±0.13 1.40±0.04 0.35±0.01
5% 알긴산 올리고당 (AOL) 2.48±0.12 0.74±0.02 0.25±0.01
10% 알긴산 올리고당 (AOH) 2.14±0.14 0.51±0.01 0.13±0.01
알긴산 소다 (ASH) 2.28±0.15 0.36±0.02 0.13±0.01
이 결과는 알긴산 올리고당 또는 알긴산 소다를 급여한 실험군은 정상 식이 또는 고콜레스테롤 식이 군에 비해 간, 부고환 지방 조직 및 신장 지방 조직의 무게가 더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간 조직 내 지방 함량, 중성 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각 실험군별 간 조직 내 지방 함량,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양을 측정하였다. 도 3a 내지 3c는 각각 간의 총 지방, 간의 중성지방 및s 간의 총 콜레스테롤 양을 보여준다. 알긴산 올리고당 또는 알긴산 소다를 급여한 실험군은 정상 식이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실험군에 비해 낮은 중성 지방 함량 및 총콜레스테롤 양을 보였다.
분변의 수분 함량, 지방 함량, 중성 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각 실험군으로부터 수득된 분변의 수분 함량, 지방 함량, 중성 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도 4a 내지 4d는 6주 간의 급여 및 분석 종료 후 각 실험군으로부터 수득된 분변의 수분 함량, 총 지방, 총 콜레스테롤, 및 총 중성지방을 각각 보여준다.
실시예 2. 알긴산 올리고당의 분자량 분포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알긴산 올리고당의 분자량 분포를 한외여과장치(Amicon C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알긴산 올리고당의 분자량 분포를 분석하기 위해 1 kDa, 3 kDa, 및 10 kDa 막 (YM 1, 3, 및 10, Amicon Co.)을 사용하여 한외여과장치에서 1차 분획하였다. 증류수 200 ml에 동결건조 분말 10 g을 첨가하여 충분히 용해시킨 후 여과를 시작하였다. 첫번째로 10 kDa 이상과 10 kDa 이하를 분획하고, 그 다음에는 3 내지 10 kDa과 3 kDa 이하를 분획하였다. 마지막에는 1 내지 3 kDa과 1 kDa 이하를 분획하였다. 분획은 10 kDa 이상 → 10-3 kDa → 3-1 kDa →1 kDa 이하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각 분획 단계마다 약 100-200 m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여과가 용이하게 하였다. 분획에 의해 수득된 4개의 여과액은 -80℃에서 냉동시킨 후 동결건조시켜 수율을 측정하였다.
알긴산 올리고당 분자량 분포도를 2차 조사하기 위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분획하였다. 증류수 100 ml에 동결건조 분말 5 g을 첨가하여 충분히 용해시킨 후 여과를 다시 시작하였다. 첫번째로 1 kDa 이하와 1 kDa 이상을 분획하였고, 그 다음에는 1 내지 3 kDa과 3 kDa 이상을 분획하였다. 마지막에는 3 내지 10 kDa과 10 kDa 이상을 분획하였다. 즉, 1 kDa 이하 → 1-3 kDa → 3-10 kDa → 10kDa 이상의 순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분획 단계마다 약 100-200 m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여과가 용이하게 하였다. 분획하여 얻은 4개의 여과액은 -80℃에서 냉동시킨 후 동결건조시켜 수율을 측정하였다.
1차 분획한 알긴산 올리고당을 포함한 발효 상등액 동결건조분말의 수율은 1 kDa 이하 (52.90%), 1 내지 3 kDa (21.29%), 3 내지 10 kDa (15.51%), 10 kDa 이상 (10.30%)으로 나타나 동결건조 분말에 저분자 알긴산올리고당이 다량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2차 실험한 알긴산 올리고당을 포함한 발효상등액 동결건조분말의 수율은 1 kDa 이하 (64.90%), 1 내지 3 kDa (20.18%), 3 내지 10 kDa (5.05%), 10 kDa (9.86%) 로 나타나 1차 실험 결과와 동일하게 동결건조 분말에 알긴산 올리고당이 다량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3 내지 10 kDa이 10 kDa의 수율보다 낮게 나타나 1차 실험의 수율과 차이를 보였다. 1차 및 2차 실험 결과, 알긴산 올리고당의 분자량 분포는 1000 이하가 58.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000 내지 10,000이 10.3%, 10,000 이상이 10.1%로 나타났다.

Claims (8)

  1. 알긴산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콜레스테롤 조성물.
  2. 알긴산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 올리고당은 저분자량 알긴산 올리고당인 것인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알긴산 올리고당은 분자량이 1 kDa 이하인 알긴산 올리고당인 것인 조성물.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총 알긴산 올리고당 중 분자량이 1 kDa 이하인 저분자량 알긴산 올리고당의 비율이 50% 이상인 것인 조성물.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 올리고당은 알긴산 분해활성을 갖는 미생물을 알긴산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여 수득된 배양물 또는 그의 동결건조물인 것인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CTC11872BP인 것인 조성물.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되는 것인 조성물.
KR1020130046935A 2013-04-26 2013-04-26 알긴산 올리고당의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용도 KR20140128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935A KR20140128135A (ko) 2013-04-26 2013-04-26 알긴산 올리고당의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935A KR20140128135A (ko) 2013-04-26 2013-04-26 알긴산 올리고당의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135A true KR20140128135A (ko) 2014-11-05

Family

ID=5245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935A KR20140128135A (ko) 2013-04-26 2013-04-26 알긴산 올리고당의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81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3929A (zh) * 2015-07-31 2015-12-09 青岛博智汇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胆固醇的褐藻寡糖乳制品
KR20190000337U (ko) 2017-07-27 2019-02-11 주식회사 제이케이윅스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
KR20220051988A (ko) 2020-10-20 2022-04-27 주경준 두피 보호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3929A (zh) * 2015-07-31 2015-12-09 青岛博智汇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胆固醇的褐藻寡糖乳制品
CN105123929B (zh) * 2015-07-31 2019-07-02 青岛博智汇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胆固醇的褐藻寡糖乳制品
KR20190000337U (ko) 2017-07-27 2019-02-11 주식회사 제이케이윅스 방향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기능 거치대
KR20220051988A (ko) 2020-10-20 2022-04-27 주경준 두피 보호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Dietary roles of non-starch polysachharides in human nutrition: a review
Patel et al. Functional oligosaccharides: produc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AU2018251694B2 (en) Multifiber prebiotic composition for digestive health, weight control, boosting immunity and improving health
JP5249817B2 (ja) フルクタン含有食品からの免疫賦活発酵食品
US6747015B2 (en) Low molecular weight polymannuronate
KR20020076311A (ko) 영양 특성이 개선된 이눌린 제품
TW200904340A (en) Processing of natural polysaccharides by selected non-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6320257A (ja) 海藻発酵エキス、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EP2282648A2 (en) Prebiotic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0959866A (zh) 一种含有益生菌的高纤维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20140128135A (ko) 알긴산 올리고당의 항콜레스테롤 및 항비만 용도
JP2002223727A (ja) 機能性食品
CN112691115A (zh) 预防/治疗胃肠粘膜和肝脏损伤的阿拉伯木聚糖及复合物
KR100457270B1 (ko) 효모변이주 아이에스투 유래 수용성 글루칸 올리고머를함유하는 면역활성용 또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9656B1 (ko) 면역증강효과를 갖는 수용성 다당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US10729164B2 (en) Immune-enhancing composition comprising arabinoxylan from corn or corn processing by-product
Wichienchot et al. Recent researches on prebiotics for gut health in Thailand
KR20200000956A (ko) 프로피오니바크테리움 후레우덴레이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74348B1 (ko) 녹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CN111406928B (zh) 具有改善慢性腹泻功能的红枣发酵食品及其制备方法与用途
CN112979835B (zh) 杂多糖和多糖制品以及石斛多糖及其制备方法和它们的应用
JP2001112438A (ja) アガリクス茸エキスの製造方法
HAYASHI et al. Soy sauce-like seasoning enhances the growth of Agathobacter rectalis and the production of butyrate, propionate, and lactate
WO202406207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uts of cereal straw
KR20140041627A (ko) 새우젓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