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541A - Cu-C nano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u-C nano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541A
KR20140127541A KR1020130045993A KR20130045993A KR20140127541A KR 20140127541 A KR20140127541 A KR 20140127541A KR 1020130045993 A KR1020130045993 A KR 1020130045993A KR 20130045993 A KR20130045993 A KR 20130045993A KR 20140127541 A KR20140127541 A KR 20140127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carbon
nanofibers
nanofiber
pre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2613B1 (en
Inventor
주영창
남대현
이지훈
김나래
Original Assignee
엘에스니꼬동제련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니꼬동제련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에스니꼬동제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5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613B1/en
Publication of KR2014012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5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6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by decomposition of organic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4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1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 H01B1/16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2Constituents or additiv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 C04B2235/5208F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Fi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copper-carbon nanofiber capable of providing oxidation-resistant properties and realizing the simplification of a process, and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copper-carbon nanofib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copper precursor-organic material nanofiber containing a copper precursor and an organic material; and performing selective oxidative-heat treatment on the copper precursor-organic material nanofiber to oxidize carbon of the organic material and reduce copper of the copper precursor, thereby forming a copper-carbon nanofiber.

Description

구리-탄소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Cu-C nano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0001] Copper-carbon nanofiber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구리-탄소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nofib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pper-carbon nanofib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투명전극은 일정 수준 이상의 투과도와 전기 전도도를 충족시키는 전극물질로 주로 빛과 관련된 광전자소자에 응용되고 있다. 투명전극이 실제 소자에 응용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90% 투과도(transmittance)에서 10Ω/□ 수준의 면저항(sheet resistance)을 충족해야 한다. 지금까지 투명전극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연구되었던 재료는 ITO(indium tin oxide)이다. 하지만, 이러한 ITO는 인듐(In)의 고갈로 인한 가격상승과 유연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퍼터를 통해 증착하기 때문에 진공 및 고온의 제작환경을 요구한다는 공정상의 문제점도 있다. 이외에 반사도가 높거나, ITO 자체의 고유한 전도도 자체가 적다는 점, 용액화 되었을 때 전도도가 감소하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Transparent electrodes are electrode materials that satisfy a certain level of transparenc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re applied to optoelectronic devices mainly related to light. In order for a transparent electrode to be applied to an actual device, for example, a sheet resistance of 10? /? At 90% transmittance must be satisfied. So far, ITO (indium tin oxide) has been the most widely used and studied material for transparent electrodes. However, such ITO has a problem that the price rise due to the depletion of indium (In) and flexibility are not good. In addition, since deposition is performed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there is also a process problem that requires a manufacturing environment of a vacuum and a high temperature. In addition, there are problems such as high reflectivity, low inherent conductivity of ITO itself, and reduced conductivity when dissolved.

이러한 배경에서 CNT(carbon nanotube)와 그래핀(graphene)을 투명전극에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CNT의 경우는 나노튜브 간의 큰 접촉저항(contact resistance)으로 인해 전기 전도도 특성이 좋지 않았다. CVD로 형성한 그래핀의 경우는 90%의 투과도에서 30Ω/□의 높은 전기전도도를 보였으나, 낮은 공정비 및 저온 공정을 이용해 대량생산이 용이한 용액공정으로 그래핀을 제조하였을 때에는 물성이 좋지 않아 한계점을 가진다. In this backgrou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apply CNT (carbon nanotube) and graphene to transparent electrodes. However, in the case of CN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not good due to the larg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nanotubes. In the case of graphene formed by CVD,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of 30 Ω / □ was observed at a transmittance of 90%. However, when the graphene was produced by a solution process which is easy to mass-produce using a low process ratio and a low temperature process, Have a limit.

이러한 상황에서 CNT와 그래핀 외에 나노 스케일의 금속이 투명전극으로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투명전극에 응용이 가능한 나노 스케일의 금속은 금속 박막(metal thin film), 금속 나노그리드(metal nanogrid), 금속 나노와이어(metal nanowire), 금속 나노섬유(metal nanofiber) 등으로 크게 나뉜다.In this situation, besides CNTs and graphenes, nanoscale metals have attracted great interest as transparent electrodes. Nanoscale metals that can be applied to transparent electrodes are largely divided into metal thin films, metal nanogrid, metal nanowires, and metal nanofibers.

도 1을 참조하면, 금속 박막은 수십 나노미터 두께의 막으로, 얇은 막을 통해 일정 수준의 투과도와 함께 금속 자체의 높은 전기 전도도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금속 박막의 투과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두께가 얇아져야 하는데, 15 나노미터의 두께를 기준으로 이보다 더 얇아질수록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이는 F-S(Fuchs-Sondheimer) 및 M-S(Mayadas-Shatzkes) 모델에서와 같이 두께가 얇아질수록 금속의 표면(surface)이나 결정립계(grain boundary)에서 전자의 산란이 많이 되기 때문이다. 결국 금속 박막에서는 일정수준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충족하면서도 동시에 고투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두께 조절이 필요한데, 이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투명전극 응용에 한계가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etal thin film is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several tens of nanometers, and has a merit that a high level of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metal itself can be realized with a certain degree of transmittance through a thin film.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the metal thin film, the thickness has to be thinned. As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than 15 nm, the resistance increases sharply. This is because as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as in the Fu-S (Fuchs-Sondheimer) and M-S (Mayadas-Shatzkes) models, electrons scatter more on the surface or grain boundary of the metal.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to satisfy a certain level of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t the same time ensure high transparency. However, since this is not easy, application of transparent electrodes is limited.

도 2를 참조하면, 금속 나노그리드(nanogrid)는 나노미터 선폭의 그리드를 증착하여 만드는 것으로 투명전극용 금속 박막에 비해 훨씬 더 두꺼운 두께를 지닌다. 이로 인해 전자의 산란이 감소하여 높은 투과도(90%)에서 매우 높은 전기 전도도(1.6Ω/□)를 보인다. 하지만 나노그리드의 경우 증착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공정 자체가 진공을 필요로 하고 복잡하다. 그러므로 나노그리드 공정은 다른 나노 스케일 금속들의 제작 공정에 비해서 훨씬 비싸고 대량 생산이 어렵다는 단점을 지닌다.Referring to FIG. 2, a metal nanogrid is formed by depositing a grid having a nanometer line width, which is much thicker than a metal thin film for a transparent electrode. As a result, the scattering of electrons is reduced, and a very high electric conductivity (1.6 Ω / □) is obtained at a high transmittance (90%). However, in the case of nano-grid, the process itself requires vacuum and is complicated because it is fabricated by deposition. Therefore, the nanogrid process is much more expensive than other nanoscale metals, and it is difficult to mass-produce.

도 3을 참조하면, 금속 나노와이어는 금속 전구체(metal precursor)가 함유된 용액 내에서 나노입자의 이방성 성장(anisotropic growth)을 통해 생성된다. 금속 나노와이어의 두께는 수십 나노미터 내지 수백 나노미터이며 길이는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이는 용액 내에 첨가되는 EDA(ethylene diamine) 등과 같은 용질의 농도에 영향을 받는다. 금속 나노와이어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는 은(Ag)으로 85% 투과도에서 13Ω/□ 정도의 면저항을 보인다. 현재 은 나노와이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실제 대기 중에서 H2S에 의한 은의 부식, EM(electromigration) 현상에 대한 응용 연구까지도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은의 경우, 투과성과 전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지니지만 가격 면에서 ITO와 비교했을 때 이점이 크지 않다는 단점을 보인다. 결국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봤을 때 은 나노와이어 만큼의 우수한 특성을 보이면서도 가격이 낮은 금속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리고 이를 제일 잘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 바로 구리(Cu)이다. 구리는 은에 비해 매우 가격이 낮으면서도 비저항 자체를 비교했을 때 1.68x10-8Ωㆍm으로 은(1.59x10-8Ωㆍm)과 비교했을 때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구리를 나노와이어 구조로 만들었을 때에는, 은 나노와이어에서 보다 훨씬 더 응집(agglomeration)이 잘되기 때문에 투과도와 면저항(60%, 20Ω/□)에서 차이를 보인다. 나노와이어에서의 전기적 특성은 와이어 자체의 저항과 와이어 사이의 컨택 저항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나노와이어의 구조상 길고 얇을수록 전기 전도도가 좋다. 나노와이어의 전기 전도 메커니즘은 퍼콜레이션(percolation) 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나노구조체가 길수록 일정 거리 내에 직렬로 존재하는 컨택의 수가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얇을수록 일정 거리 내에 병렬로 존재하는 컨택의 수는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컨택의 직렬, 병렬 분포에 따라 전체 저항의 감소를 유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용액 공정을 이용하여 나노와이어를 만들 때에는 와이어 자체의 두께와 길이를 용액 내 용질의 농도로 정하기 때문에 조절이 용이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나노와이어 자체의 길이 또한 10 마이크로미터 수준이기 때문에 종횡비(aspect-ratio)가 크지 않아 나노 구조체 자체의 전기 전도도 측면에서 한계점을 보인다. Referring to FIG. 3, metal nanowires are produced through anisotropic growth of nanoparticles in a solution containing a metal precursor. The thickness of the metal nanowires is from several tens of nanometers to several hundred nanometers, and the length is several tens of micrometers, which is influenced by the concentration of solute such as EDA (ethylene diamine) added in the solution. The most commonly used material for metal nanowires is silver (Ag), which shows a sheet resistance of about 13 Ω / □ at 85% transmittance. Researches on nanowires are currently being conducted, and application studies on the corrosion of silver by H 2 S and EM (electromigration) phenomenon in actual atmospheric air have been reported. However, silver has the advantages of excellent permeability and conductivity, but it has disadvantages in that it is less advantageous than ITO in terms of price. Finally, in terms of price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study metals that are as good as the nanowires but at a low price. And copper (Cu) is the best that can be met. Copper is very low in price compared to silver, but when it is compared with resistivity itself, it is 1.68x10 -8 Ω ㆍ m and there is little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silver (1.59x10 -8 Ω ㆍ m). However, when copper is made into a nanowire structure, it differs in permeability and sheet resistance (60%, 20 Ω / □) because it is much more agglomeration than silver nanowires.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nanowire are influenced by the resistance of the wire itself and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wires. The longer and thinner the nanowire is, the bett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The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 of nanowires is based on the percolation theory. More specifically, as nanostructures grow longer, the number of contacts present in series within a certain distance decreases. The thinner the contact, the greater the number of contacts present in parallel within a certain distance, and the effect of inducing a reduction of the total resistance according to the series and parallel distribution of such contacts can be obtained. However, when making nanowires using a solution process, 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wires themselves are determined by the concentration of the solute in the solution. Since the length of the nanowire is also 10 micrometers, the aspect ratio is not so large and the nanostructure itself has a limit in electrical conductivity.

이러한 배경에서 구리를 이용하여 가격을 낮추면서도 동시에 은나노와이어 만큼의 특성을 낼 수 있게 연구되는 것이 나노섬유 구조(도 4 참조)이다. 즉, 금속 나노섬유(metal nanofiber)는 기존의 나노와이어가 보이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나노섬유는 두께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고 길이 또한 100 마이크로미터 이상이기 때문에 종횡비가 크다. 이뿐만 아니라 나노섬유의 배열을 통해 투과도와 전도도를 더욱 높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In this background, it is the nanofiber structure (see FIG. 4) that is studied so as to simultaneously obtain the characteristics of silver nano wire while lowering the price by using copper. In other words, metal nanofibers are important because they can provide solutions tha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nanowires. Nanofibers can be easily adjusted in thickness and have an aspect ratio of more than 100 micrometers.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permeability and conductivity through the arrangement of nanofibers.

유망한 투명전극 재료로 각광받고 있는 구리 나노섬유는 기존의 ITO와 은 나노와이어에 비견될 만큼의 전도도와 투과도 특성을 보이지만, 아직 여러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구리 나노섬유의 한계에 대해 크게 대두되고 있는 것이 우선 구리라는 재료의 고유한 특성에서 야기되는 산화문제이다. 일반 박막 구리에 비해서 나노섬유는 부피당 표면적 비율이 크기 때문에 특히 더 산화문제에 취약하다. 구리 나노섬유의 문제점으로 산화 반응성과 함께 대두되는 것이 금속 나노섬유를 만드는데 필요한 산화, 환원 두 단계의 열처리 과정이다. 동일한 나노섬유는 산화와 환원의 반대되는 두 단계의 열처리를 순차적으로 거치므로 극심한 열적 손상을 받을 수 있다. Copper nanofiber,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promising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exhibits conductivity and transmittance characteristic comparable to conventional ITO and silver nanowires, bu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One of the limitations of these copper nanofibers is the oxidation problem caused by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copper. Nanofiber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oxidative problems because of their large surface area per volume compared to conventional thin film copper. The problem with copper nanofibers is that they are oxidized and reduced in two steps, which is necessary to make metal nanofibers. The same nanofibers are subject to extreme thermal damage as they are subjected to two successive heat treatments of oxidation and redu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산화 특성과 공정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는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copper-carbon nanofibers capable of realizing oxidation resistance characteristics and process simplification.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은 구리전구체 및 유기물(有機物)을 포함하는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물의 탄소를 산화하고, 동시에, 상기 구리전구체를 구리로 환원하도록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선택적 산화 열처리함으로써, 구리-탄소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선택적 산화 열처리는 복수의 열처리 단계가 아닌 하나의 열처리 단계로 수행된다. 하나의 열처리 단계라 함은 다단계의 열처리 단계가 아니라 단일한 하나의 조건 하에서 수행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process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pper-carbon nanofiber includes: forming a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 including a copper precursor and an organic material; And forming the copper-carbon nanofibers by selectively oxidizing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so as to oxidize the carbon of the organic materials and simultaneously reduce the copper precursor to copper. Further,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one heat treatment step rather than a plurality of heat treatment steps. One heat treatment step may include a heat treatment step performed under a single condition rather than a multi-step heat treatment step.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선택적 산화 열처리는 제 1 산소분압 내지 제 2 산소분압의 분위기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 1 산소분압(탄소의 산화점)보다 낮은 산소분압의 분위기에서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열처리하는 경우, 상기 구리전구체의 구리가 환원되고 상기 유기물의 탄소도 환원되며, 상기 제 2 산소분압(구리의 산화점)보다 높은 산소분압의 분위기에서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열처리하는 경우, 상기 구리전구체의 구리가 산화되고 상기 유기물의 탄소도 산화될 수 있다. In the copper-carbon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n atmosphere of a first oxygen partial pressure to a second partial pressure of oxygen, and in the atmosphere of oxygen partial pressure lower than the first oxygen partial pressure (oxidation point of carbon) When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 is heat-treated, the copper of the copper precursor is reduced and the carbon of the organic material is reduced, and the copper precursor-organic matter When the nanofibers are heat-treated, the copper of the copper precursor may be oxidized and the carbon of the organic material may be oxidized.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 1 산소분압 내지 제 2 산소분압의 분위기에서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열처리하는 경우, 상기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 중의 탄소가 산화되고 남은 잔류탄소는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구조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산소분압보다 높은 산소분압의 분위기에서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열처리하는 경우, 상기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 중의 탄소가 산화되고 남은 잔류탄소는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구조를 지지할 수 없다. When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 is heat-treated in the atmosphere of the first oxygen partial pressure to the second partial pressure of oxygen, the carbon in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 is oxidized and the remaining The residual carbon may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copper-carbon nanofibers. When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are annealed in an atmosphere having an oxygen partial pressure higher than the second oxygen partial pressure, the copper precursor- The residual carbon remaining after the carbon is oxidized can not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copper-carbon nanofiber.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구리전구체는 구리아세테이트(Cu(CH3COO)2)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은 구리전구체와 수소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비닐알콜(PVA, poly vinyl alcohol)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유기물의 탄소를 산화하고, 동시에, 상기 구리전구체를 구리로 환원하도록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선택적 산화 열처리함으로써, 구리-탄소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리전구체의 아세테이트 작용기로부터, 상기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 의하여, 발생한 일산화탄소(CO)를 환원제로 하여 상기 구리전구체를 구리로 자가환원(Auto-reduction)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copper precursor includes copper acetate (Cu (CH 3 COO) 2 ), and the organic material is polyvinyl alcohol (PVA) that forms a hydrogen bond with a copper precursor, ). The step of forming the copper-carbon nanofibers by selectively oxidizing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so as to oxidize the carbon of the organic material and simultaneously reduce the copper precursor to copper may include the steps of: Reducing the copper precursor to copper by using the generated carbon monoxide (CO) as a reducing agent by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는, 구리의 산화를 방지하도록, 탄소로 구성된 나노섬유 내에 상기 구리의 나노입자가 내부에 나노섬유의 방향으로 일정하게 응집되어 형성된 구조체이며, 상기 탄소로 구성된 나노섬유는 상기 유기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I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copper-carbon nanofiber, the copper-carbon nanofiber is formed by coagulating the nanoparticles of the copper uniformly in the direction of the nanofiber in the nanofiber composed of carbon so as to prevent oxidation of the copper Structure, and the nanofiber composed of the carbon may be formed from the organic material.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선택적 산화 열처리함으로써 구리-탄소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구성하는 탄소의 일부를 열분해(pyrolysis)가 아닌 연소(combustion)로 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pper-carbon nanofiber, the step of forming the copper-carbon nanofiber by selectively oxidizing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may include a step of thermally decomposing a part of carbon constituting the copper precursor- pyrolysis) into combustion that is not combustion.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구리전구체 및 유기물을 포함하는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리전구체, 상기 유기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용액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형성된 정전기적 반발력을 이용한 전기방사(electrospinning)를 통해 상기 용액으로부터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pper-carbon nanofiber, the step of forming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 including the copper precursor and the organic matter may include: providing a solution including the copper precursor, the organic material, and a solvent; And forming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from the solution by electrospinning using an electrostatic repulsion force formed by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solution.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한 구리-탄소 나노섬유가 제공된다.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는 상술한 제조방법들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는, 구리의 산화를 방지하도록, 산화 방지막 역할을 하는 비정질 탄소로 구성된 나노섬유 내부에 구리의 나노입자가 나노섬유의 방향으로 일렬로 응집되어 형성된 구조체이다. There is provided a copper-carbon nanofib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pper-carbon nanofiber may be formed by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s. The copper-carbon nanofiber may include copper in the nanofiber composed of amorphous carbon serving as an oxidation preventing layer to prevent oxidation of copper. Nanoparticles are aggregates formed in the direction of nanofibers in a line.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에서, 구리의 산화를 방지하도록, 비정질 탄소 매트릭스에 구리 나노입자들이 분산되어 배치되며, 상기 구리 나노입자들은 상기 나노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응집되면서 상기 나노섬유의 코어(core) 부분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밀도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나노섬유의 코어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구리의 나노입자들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e copper-carbon nanofiber, copper nanoparticles are dispersed in an amorphous carbon matrix so as to prevent oxidation of copper. The copper nanoparticles aggregat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anofiber, core portion of the substrate. Furthermore, the nanoparticles of copper disposed in the core portion of the nanofiber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산화 특성과 공정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는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copper-carbon nanofibers that can realize oxidation resistance and process simplification.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투명 전극에 사용되는 금속 나노구조체로서 금속 박막의 사진이다.
도 2는 투명 전극에 사용되는 금속 나노구조체로서 금속 나노그리드의 사진이다.
도 3은 투명 전극에 사용되는 금속 나노구조체로서 금속 나노와이어의 사진이다.
도 4는 투명 전극에 사용되는 금속 나노구조체로서 금속 나노섬유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도해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전기방사(electrospinning)를 통해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상기 비교예1로서, 구리 나노섬유를 구현하기 위하여 구리전구체-탄소 나노섬유를 2단계 열처리하는 방법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1단계 열처리에서의 산소분압제어를 통한 선택적 산화 열처리 공정의 개념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 공정의 환원제로 작용하는 CO의 산화반응에 대한 깁스 자유 에너지를 탐색하는 과정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 공정이 가능한 압력 구간을 엘링감 도표(Ellingham diagram)를 이용하여 탐색하는 과정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전기방사 용액의 점도와 표면장력과 같은 용액변수에 의한 나노섬유의 형태 변화를 촬영한 FE-SEM 사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 구간에서 나타나는 구리의 상변화 양상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 의해 형성된 나노섬유 내 비정질 탄소의 형태 및 구조 분석을 위한 TEM 회절패턴(diffraction pattern) 분석 및 라만분석(raman analysis)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산소 기체를 이용한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서의 압력에 따른 저항 및 나노섬유 구조 변화를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통해 형성된 구리-탄소(Cu-C) 나노섬유의 내산화성 평가결과를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통해 제작된 내산화성 구리-탄소(Cu-C) 나노섬유의 전도도, 투과도 특성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1 is a photograph of a metal thin film as a metal nano structure used in a transparent electrode.
2 is a photograph of a metal nano-grid as a metal nanostructure used for a transparent electrode.
3 is a photograph of a metal nanowire as a metal nanostructure used for a transparent electrode.
4 is a photograph of a metal nanofiber as a metal nanostructure used for a transparent electrod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pper-carbon nano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forming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through electrospinning in the method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wo-step heat treatment of a copper precursor-carbon nanofiber in order to realize copper nanofibers as Comparative Example 1 for comparis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a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process by controlling the partial pressure of oxygen in the one-step heat treatment in the method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arching for Gibbs free energy for oxidation reaction of CO serving as a reducing agent 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process in the method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pressure section capable of performing a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process in a process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n Ellingham diagram.
11 is a photograph of FE-SEM photographs of nanofiber morphological changes due to solution variables such as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of an electrospinning solution in the method of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ase change pattern of copper in a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sec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TEM diffraction pattern analysis for analyzing the morphology and structure of amorphous carbon in nanofibers formed by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n the process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nd Raman analysis results.
FIGS. 15 and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changes in resistance and nanofiber structure according to pressure 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using oxygen gas in the process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oxidation resistance of copper-carbon (Cu-C) nanofibers formed by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n the method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graph showing conductivity and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of the oxidation-resistant copper-carbon (Cu-C) nanofiber fabricated by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n the method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user. Also,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도해하는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pper-carbon nano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은 구리전구체, 유기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S10), 상기 용액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형성된 정전기적 반발력(electrostatic repulsion)을 이용한 전기방사(electrospinning)를 통해 상기 용액으로부터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S20), 및 상기 유기물의 탄소를 산화하고, 동시에, 상기 구리전구체를 구리로 환원하도록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선택적 산화 열처리함으로써, 구리-탄소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선택적 산화 열처리는 복수의 열처리 단계가 아닌 하나의 열처리 단계로 수행된다. 상기 하나의 열처리 단계라 함은 다단계의 열처리 단계가 아니라 단일한 하나의 조건 하에서 수행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method of fabricating a copper-carbon nanofib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oviding a solution including a copper precursor, an organic material, and a solvent (S10) (S20) of forming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from the solution by electrospinning using electrostatic repulsion; and oxidizing the carbon of the organic substance and simultaneously oxidizing the copper precursor to copper (S30) by selectively oxidizing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to reduce the copper-carbon nanofibers. In particular,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one heat treatment step rather than a plurality of heat treatment steps. The one heat treatment step may include a heat treatment step performed under a single condition rather than a multi-step heat treatment step.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전기방사(electrospinning)를 통해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해하는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forming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through electrospinning in the method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전기방사를 위한 시린지(syringe, 10) 내에 금속 전구체, 유기물 및 용매를 혼합하여 만든 용액(22)을 담는다. 전기방사(electrospinning)는 용액(22)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정전기적 반발력(electrostatic repulsion)을 이용해 나노섬유(24)를 만드는 간단하면서도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다. 나노섬유(24)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용액(22)은 금속 전구체와 같은 금속 고용체, 유기 매트릭스(유기물), 및 용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금속 고용체는 만들고자 하는 금속 나노섬유(24)의 이온이 포함된 물질로 고용체 내의 작용기와 유기 매트릭스 사이의 조합이 중요하다. 그래서 되도록 서로 같거나 비슷한 종류의 작용기를 가진 물질을 선택하고 금속 고용체의 분산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전구체는 구리 나노섬유를 만들기 위해 구리아세테이트(Cu(CH3COO)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물, 즉, 유기 매트릭스는 전기방사를 통해 처음 형성되는 나노섬유(24)의 뼈대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구리 나노섬유를 만들기 위해 유기 매트릭스는 구리아세테이트(CuAc)의 아세테이트기(-CH3COO-)와 수소 결합을 형성하고 분해 온도가 비교적 낮은 폴리 비닐 알콜(PVA, poly vinyl alcoho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용매는 금속 고용체와 유기 매트릭스를 모두 용해시킬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구리 나노섬유를 만들기 위해 상기 용매는 구리아세테이트와 폴리 비닐 알콜이 물에 대한 용해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증류수(distilled water)를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solution 22 made by mixing a metal precursor, organic matter, and a solvent in a syringe 10 for electrospinning is placed. Electrospinning is a simple and highly efficient method of making the nanofibers 24 by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solution 22 and using electrostatic repulsion. The solution 22 used to produce the nanofibers 24 may comprise a metal solid solution such as a metal precursor, an organic matrix (organic), and a solvent. The metal solid solution is a material containing the ions of the metal nanofiber 24 to be formed, and the combination between the functional groups in the solid solution and the organic matrix is important. Thus, it may be desirable to select materials having the same or similar types of functional groups and to make the dispersion of the metal solid solution uniform. For example, the metal precursor may comprise copper acetate (Cu (CH 3 COO) 2 ) to make copper nanofibers. The organic material, that is, the organic matrix, acts as a skeleton of the nanofiber 24 that is first formed through electrospinning. For example, to make copper nanofibers, the organic matrix forms a hydrogen bond with an acetate group (-CH 3 COO-) of copper acetate (CuAc) and a polyvinyl alcohol (PVA) with a relatively low decomposition temperature . The solvent should be able to dissolve both the metal solid solution and the organic matrix. For example, to make copper nanofibers, the solvent may use distilled water because the solubility of copper acetate and polyvinyl alcohol in water is relatively high.

예를 들어, 구리전구체-탄소 나노섬유(24)는 용액(22)에 정전기적 반발력을 가해 섬유를 만드는 전기방사를 통해서 제작된다. 이렇게 전기방사로 형성된 구리전구체-탄소 나노섬유(24)에 산화, 환원의 후속 열처리(calcination)를 가하면 구리 나노섬유를 얻을 수 있다. 전기방사에서는 용액(22)에 가하는 수십 kV에 달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생성되는 나노섬유의 두께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고 길이 또한 100μm 이상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나노섬유의 배열을 통해 투과도와 전도도를 더욱 높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이러한 금속 나노섬유는 기존의 나노와이어가 보이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For example, the copper precursor-carbon nanofibers 24 are fabricated through electrospinning, which produces fibers by applying electrostatic repulsion to the solution 22. The copper precursor-carbon nanofiber 24 formed by electrospinning is subjected to oxidation and reduction followed by calcination to obtain a copper nanofiber. In the electrospinning, 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f several tens kV applied to the solution 22 can be easily controlled, and the length can also be more than 100 μm. Further, the nanofiber array has an advantage that the transmittance and the conductivity can be further improved. These metal nanofibers are important because they can provide a solution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nanowires.

나노섬유(24)를 형성하는 공정은 용액(22)의 변수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용액(22)의 점성도(viscosity), 표면장력, 유기물의 농도, 분자량, 용매의 전도도에 따라 전기방사로 생성된 나노섬유(24)의 형태가 달라진다. 이 중에서 용액(22)의 점성도가 용액 변수 내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점성도가 매우 낮거나 매우 높은 경우에는 나노섬유(24)에 비드(bead)가 생성되어 투명전극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가 된다. 그러므로 투명전극에 알맞은 나노섬유의 형태를 얻기 위해서는 점성도와 함께 다른 용액 변수들을 조절하여 조건을 최적화 시켜야 한다.The process of forming the nanofibers 24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parameters of the solution 22. The shape of the nanofibers 24 produced by electrospinning depends on the viscosity of the solution 22, the surface tension, the concentration of the organic matter,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conductivity of the solvent. Among them, the viscosity of the solution (22) may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olution variables. If the viscosity is very low or very high, a bead is formed in the nanofiber 24, which is not suitable for the transparent electrode.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the shape of the nanofiber suitable for the transparent electrode,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conditions by adjusting the viscosity of the solution and other solution parameters.

나노섬유(24)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용액 변수 외에 전기방사 공정 변수와 환경 변수가 있다. 환경 변수에는 습도와 온도가 있는데 이는 전기방사를 위한 최적의 조건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분위기 변수를 조절할 수 있다. 환경 변수보다 더 직접적으로 나노섬유(24)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전기방사 공정 변수이다. 전기방사 공정 변수에는 고전압소스(12)에 의하여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팁(11)과 콜렉터(14) 사이의 거리, 용액(22)을 주입하는 속도(feeding rate)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인가전압은 용액(22)에서 나노섬유(24)의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전기적 반발력과 관련된다. 인가전압이 클수록 나노섬유(24)의 직경이 감소하게 되지만 너무 커지게 되면 전기방사 자체에 불안정성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액 변수와 공정 변수의 조건 확립을 통해 투명전극에 응용이 가능한 최적화된 나노섬유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nanofibers 24, besides the solution variables, there are electrospinning process variabl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Environmental variables include humidity and temperature, because the optimal conditions for electrospinning are fixed, so that the atmosphere can be controlled by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can meet them. The variables affecting the nanofibers (24) more directly than the environmental variables are electrospinning process variables. The electrospinning process parameters includ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by the high voltage source 12,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11 and the collector 14, and the feeding rate of the solution 22. Of these, the applied voltage is related to the electrostatic repulsive force which directly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nanofibers 24 in the solution 22. The larger the applied voltage is, the smaller the diameter of the nanofiber 24 is, but if it is too large, it causes instability in the electrospinning itself.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optimized nanofibers that can be applied to transparent electrodes by establishing the condition of these solution variables and process variables.

계속하여, 내산화성 구리-탄소 나노섬유를 1단계 열처리로 구현하기 위하여, 구리전구체-탄소 나노섬유(24)를 선택적 산화 열처리 하는 공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선택적 산화 열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이전에, 산화 열처리와 환원 열처리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2단계의 열처리 방법을 비교예1로서, 탄소와 산소를 모두 환원하는 자가환원 열처리 방법을 비교예2로서, 이하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Next, a process for selectively oxidizing the copper precursor-carbon nanofibers 24 in order to realize oxidation-resistant copper-carbon nanofibers by a one-step heat treatment will be described. First, before describing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two-step heat treatment method in which an oxidation heat treatment and a reduction heat treatment are sequentially performed is referred to as Comparative Example 1, and a self-reduction heat treatment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as Comparative Example 2.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상기 비교예1로서, 구리 나노섬유를 구현하기 위하여 구리전구체-탄소 나노섬유를 2단계 열처리하는 방법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리전구체-탄소 나노섬유(24)는 금속전구체(24a)인 구리아세테이트와 유기물(24b)인 폴리 비닐 알콜로 이루어진 복합체 나노섬유이다. 구리전구체-탄소 나노섬유(24)를 구리 나노섬유(26)로 만들기 위해서는 후속 열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구리전구체-탄소 나노섬유(24) 내에 존재하는 유기물(24b)을 산화시켜 분해하기 위해 공기 중에서 열처리를 진행한다. 이로 인해서 금속전구체(24a) 중의 구리는 산화되어 산화구리(CuO)가 되고, 유기물(24b)의 탄소는 산화되어 모두 분해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산화구리(CuO) 나노섬유(25)가 된다. 이 산화구리 나노섬유(25)를 다시 환원시켜 순수한 구리 나노섬유(26)로 만들어야 한다. 그러므로 환원을 위해 수소(H2)가스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진행해 최종적인 구리 나노섬유(26)를 만들 수 있다. 즉 금속 나노섬유(26)를 만들기 위해서는 산화, 환원의 두 단계의 열처리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산화와 환원이 필요한 원인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산화는 전기방사에서 나노섬유 구조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유기 매트릭스 형태의 유기물(24b)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구리가 같이 산화되어 형성되는 산화구리를 다시 환원하기 위하여 수소 가스가 이용된다. 동일한 나노섬유는 산화와 환원의 반대되는 두 단계의 열처리를 순차적으로 거치므로 극심한 손상을 받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나아가, 제조 측면에서도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wo-step heat treatment of a copper precursor-carbon nanofiber in order to realize copper nanofibers as Comparative Example 1 for comparis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copper precursor-carbon nanofiber 24 is a composite nanofiber comprising copper acetate as the metal precursor 24a and polyvinyl alcohol as the organic material 24b. Subsequent heat treatment is required to make the copper precursor-carbon nanofibers 24 into the copper nanofibers 26.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the air to oxidize and decompose the organic precursor 24b present in the copper precursor-carbon nanofiber 24. As a result, the copper in the metal precursor 24a is oxidized to copper oxide (CuO), and the carbon of the organic material 24b is oxidized to be completely decomposed. Thus, copper oxide (CuO) nanofiber 25 is finally formed. This copper oxide nanofiber 25 should be reduced again to make pure copper nanofiber 26. Therefore,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in a hydrogen (H 2 ) gas atmosphere for reduction to produce the final copper nanofiber 26. That is, in order to produce the metal nanofibers 26, a two-step heat treatment process of oxidation and reduction is required. The reasons for the oxidation and reduc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oxidation is to remove the organic material 24b in the form of an organic matrix used to make the nanofiber structure in electrospinning. In this process, hydrogen gas is used to reduce the copper oxide formed by oxidizing the copper together. The same nanofibers are subjected to two successive heat treatments opposite to each other for oxidation and reduction, resulting in severe damage. Further,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manufacturing costs are increased.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상기 비교예2로서, 탄소와 산소를 모두 환원하는 자가환원 열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비교예2는 상기 비교예1에서의 첫번째 열처리에서 산소분압을 매우 낮추어서 산화가 일어나지 않는 분위기에서 자가환원(Auto-reduction)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가환원은 구리아세테이트와 같은 아세테이트 작용기가 붙은 전구체를 이용하여 바로 구리로 환원시키는 열처리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가환원이 가능한 금속은 구리를 비롯한 니켈, 코발트, 철 등 탄소보다 산화반응성이 작아야 하는 조건을 만족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리전구체(CuAc)를 자가환원하여 나노섬유의 제작 과정에 적용한 기초 실험을 진행하였다. 아르곤 가스를 이용해 산소분압을 구리와 탄소가 산화될 수 있는 기준 이하로 낮춘 상태에서 열처리를 하면 탄소는 열분해(pyrolysis) 반응을 하고, 구리는 자가환원에 의해 산화물로 되지 않고 바로 구리가 된다. 이를 통해 만든 나노섬유는 일반 전도체와 마찬가지로 저항이 일정한 오믹 콘택(ohmic contact) 거동을 보인다. 하지만 상기 비교예1에서의 2단계의 열처리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구리 나노섬유에 비해 자가환원에 의해 만들어진 구리 나노섬유는 탄소가 산화되지 않기 때문에 완전히 분해되지 않아, 잔류탄소(residual carbon)의 영향력으로 전기 전도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지닌다. As a method for solving this, as a comparative example 2 for comparis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lf-reduction heat treatment method for reducing both carbon and oxygen will be described. Comparative Example 2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irst heat treatment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oxygen partial pressure is extremely lowered to induce auto-reduction in an atmosphere where oxidation does not occur. Self-reduction refers to a heat treatment method in which a precursor with an acetate functional group, such as copper acetate, is used to directly reduce to copper. Such self-reducible metals satisfy the conditions that the oxidation reactivity is lower than that of carbon such as nickel, cobalt, and iron, including copp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basic experiment in which a copper precursor (CuAc) was autolored and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nanofibers was conducted. When argon gas is used to heat the oxygen partial pressure lower than the copper and the carbon can be oxidized, the carbon undergoes a pyrolysis reaction, and the copper becomes copper directly without being oxidized by the self-reduction. The nanofibers produced by this method exhibit a constant ohmic contact behavior as in a conventional conductor. However, the copper nanofibers produced by the autothermal reduction compared to the copper nanofibers produced through the two-step heat treatment in Comparative Example 1 were not completely decomposed because the carbon was not oxidized. As a result of the residual carbon, It has a disadvantage that conductivity is low.

본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택적 산화 열처리 공정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입된다. 즉, 본원의 일실시예에서는 전기방사 이후의 열처리 과정에서 산소분압을 조절하여 높은 산화 안정성을 지니는 나노섬유를 한 단계의 열처리 과정으로 만드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산소분압에 따른 구리와 탄소의 산화 반응성과 변화를 완전히 이해하고 응용함으로써 가능하다. 기존의 2단계 열처리(비교예1)에서, 산화를 위해 열처리를 진행한 조건에서는 구리와 탄소가 모두 산화된다. 이로 인해 탄소는 모두 산화되지만 구리마저 산화되기 때문에 환원을 위한 추가적인 열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작된 보통의 구리 나노섬유는 결정질 구리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특히 부피당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산화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troduced to solve these problems. 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king a nanofiber having a high oxidation stability by a single step of a heat treatment process by controlling the oxygen partial pressure in the heat treatment after the electrospinning is proposed. This is possible by fully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oxidation reactivity and change of copper and carbon with oxygen partial pressure. In the conventional two-stage heat treatment (Comparative Example 1), copper and carbon are both oxidized under the condition of heat treatment for oxidation. As a result, all of the carbon is oxidized, but the copper is oxidized, which requires additional heat treatment for reduction. The ordinary copper nanofibers produced through such a process are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rystalline copper, and the oxidation proceeds very rapidly because the surface area per volume is large.

이와 반대로, 자가환원을 유도하기 위해 산소분압을 매우 낮춰서 구리와 탄소가 모두 환원되는 분위기에서는, 1단계 열처리를 통해 바로 순수 구리를 얻을 수 있다(비교예2). 하지만 탄소가 산화되어 연소(combustion)로 완전히 분해되는 것이 아니라, 열분해(pyrolysis)를 통하여 분해되므로, 잔류 탄소가 어느 정도 남아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나노섬유는 구리 나노입자가 비정질의 탄소 안에 촘촘히 분산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비정질 탄소 매트릭스에 배열된 구리 나노입자의 전기 전도는 전자의 호핑(hopping)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 저항을 측정하였을 때, 오믹 콘택(ohmic contact)이 됨을 확인하였지만 자가환원을 통해 형성된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경우, 잔류 탄소의 양이 많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비교적 높아 전도도가 좋지 않다는 단점을 지닌다.Conversely, pure copper can be obtained immediately after the first stage heat treatment (Comparative Example 2) in an atmosphere in which copper and carbon are both reduced by lowering the oxygen partial pressure to induce self-reduction. However, since carbon is not oxidized and completely decomposed into combustion, but decomposed by pyrolysis, residual carbon remains to a certain extent. The nanofibers produced by this method are formed in such a structure that the copper nanoparticles are densely dispersed in the amorphous carbon. It is known that the electrical conduction of the copper nanoparticles arranged in the amorphous carbon matrix is achieved by electron hopping. When the actual resistance is measured, it is confirmed that the ohmic contact is formed. However, the copper-carbon nanofiber formed through the self-reduction has a disadvantage that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relatively high because the amount of the residual carbon is large and the conductivity is not good.

앞서 비교예들에서 소개한 두 종류의 후속 열처리 방법은 구리와 탄소를 모두 산화시키거나, 환원시킨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열처리 방법과는 차이점을 보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탄소와 구리의 산화반응성이 다른 점을 이용하여, 구리는 환원시키고 탄소만을 산화하여 분해하는 선택적 산화 열처리(selective oxidation)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기존의 공기 분위기에서의 열처리가 지니던 장점과 자가환원을 통한 열처리가 지니던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기에 큰 의의가 있다. 즉 자가환원을 통해 구리를 1단계의 열처리를 통해서 바로 환원시키면서도, 산화를 통해 탄소를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잔류 탄소 양이 줄어들게 된다. 즉, 이로 인해서 구리가 내부에 나노섬유와 평행한 방향의 축을 따라 일렬로 응집되고, 그 표면을 산화 방지막 역할을 하는 비정질 탄소가 감싸는 구조를 개발하게 되었다. 이러한 비교예들에서 구리 나노섬유가 지니지 못했던 산화 방지 기능과 함께 자가환원보다 향상된 전기 전도성을 지니는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The two types of subsequent heat treatment methods introduced in the above comparative examples are different from the heat treatment methods propo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copper and carbon are both oxidized or reduc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lective oxidation method is proposed in which copper is reduced and carbon is oxidized and decomposed using the difference in oxidation reactivity between carbon and copper. This is significant because it has both advantages of heat treatment in air atmosphere and advantages of heat treatment through self reduction. That is, the copper is directly reduced through the first-stage heat treatment by self-reduction, and the amount of residual carbon is reduced because the carbon can be decomposed through oxidation. That is, the copper is cohered in a line along the axis parallel to the nanofiber, and the surface of the copper is surrounded by the amorphous carbon serving as the oxidation preventing film. In these comparative examples, it is possible to produce nanofibers having an electrical conductivity higher than that of the self-reduction, together with an antioxidant function not possessed by the copper nanofibers.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 공정의 개념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8 is a view illustrating the concept of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process in the method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구리전구체 및 유기물(有機物)을 포함하는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형성한 이후에, 상기 유기물의 탄소를 산화하고, 동시에, 상기 구리전구체를 구리로 환원하도록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복수의 열처리 단계가 아닌 하나의 열처리 단계로 구성되는 선택적 산화 열처리함으로써 구리-탄소 나노섬유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선택적 산화 열처리는 제 1 산소분압 내지 제 2 산소분압의 분위기(즉 제 1 산소분압 이상 제 2 산소분압 이하)에서 수행되는데, 제 1 산소분압보다 낮은 산소분압의 분위기에서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열처리하는 경우, 상기 구리전구체의 구리가 환원되고 상기 유기물의 탄소도 환원되며, 제 2 산소분압보다 높은 산소분압의 분위기에서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열처리하는 경우, 상기 구리전구체의 구리가 산화되고 상기 유기물의 탄소도 산화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산소분압은 탄소의 산화점에 해당하는 산소분압이며, 상기 제 2 산소분압은 구리의 산화점에 해당하는 산소분압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fter forming a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 including a copper precursor and an organic material,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 is oxidized to oxidize the carbon of the organic material and simultaneously reduce the copper precursor to copper. The organic nanofibers are selectively oxidized by a single heat treatment step rather than a plurality of heat treatment steps to form the copper-carbon nanofibers. In this case,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n atmosphere of a first oxygen partial pressure to a second oxygen partial pressure (i.e., a first oxygen partial pressure or more and a second oxygen partial pressure or less), wherein in the atmosphere of the oxygen partial pressure lower than the first oxygen partial pressure, In the case where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are heat-treated in an atmosphere having an oxygen partial pressure higher than the second oxygen partial pressure, when the organic precursor-organic nanofibers are heat-treated, the copper of the copper precursor is reduced and the carbon of the organic substances is reduced. The copper of the organic material is oxidized and the carbon of the organic material is also oxidized. For example, the first oxygen partial pressure may be an oxygen partial pressure corresponding to an oxidation point of carbon, and the second oxygen partial pressure may be an oxygen partial pressure corresponding to an oxidation point of copper.

상기 제 1 산소분압 내지 제 2 산소분압의 분위기에서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열처리하는 경우,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 중의 탄소가 산화되고 남은 잔류탄소(residual carbon)는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구조를 지지할 수 있으나, 만약, 상기 제 2 산소분압보다 높은 산소분압의 분위기에서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열처리하는 경우,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 중의 탄소가 모두 산화되기 때문에 나노섬유의 구조가 붕괴되거나, 나노섬유가 형성되어도 구리가 외부에 직접 접촉하여 내산화성이 취약해진다.When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are heat-treated in the atmosphere of the first oxygen partial pressure to the second partial pressure of oxygen, residual carbon remaining in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 is oxidized by the copper- If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 i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in an atmosphere having an oxygen partial pressure higher than the second partial pressure of oxygen, since the carbon in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 is oxidized, Even if the structure of the fiber is collapsed or the nanofiber is formed, the copper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outside and the oxidation resistance becomes wea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탄소와 구리의 산화반응성이 다른 점을 이용하여, 구리는 환원시키고 탄소만을 산화하여 분해하는 선택적 산화 열처리(selective oxidation) 방법을 제시하며, 기존의 공기 분위기에서의 열처리가 지니던 장점과 자가환원을 통한 열처리가 지니던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기에 큰 의의가 있다. 선택적 산화 열처리로 구현되는 구리-탄소 나노섬유는 구리의 산화를 방지하도록, 비정질 탄소로 구성된 나노섬유 내부에 구리의 나노입자가 나노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응집되어 형성된 구조체를 포함한다. 나아가, 구리-탄소 나노섬유에 배치된 구리의 나노입자는, 나노섬유의 코어(core) 부분에 해당하는 나노섬유 내부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밀도를 가지며 상기 코어를 감싸는 테두리 부분에 상대적으로 더 낮은 밀도를 가지도록 분산배치될 수 있다. 또한, 내부(코어)에 일렬로 응집되는 구리의 나노입자들은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나노섬유의 전기 전도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posed a selective oxidation method in which copper is reduced and only carbon is oxidized and decomposed using the difference in oxidation reactivity between carbon and copper. In a conventional air atmosphere, It has a great significance because it has both the advantages of heat treatment and the advantages of heat treatment through self-reduction. The copper-carbon nanofiber realized by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nanoparticles of copper are aggre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anofibers in a line in the nanofiber composed of amorphous carbon so as to prevent oxidation of copper. Furthermore, the copper nanoparticles disposed on the copper-carbon nanofibers have a relatively higher density inside the nanofiber corresponding to the core portion of the nanofiber, and a relatively low density As shown in Fig. Further, the copper nanoparticles agglomerating in a line in the core (core) ar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by secur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nanofibers.

이에 반하여, 자가환원 열처리로 구현되는 구리-탄소 나노섬유에서는 구리의 나노입자들이 섬유의 코어에 높은 분산밀도를 가지지 않고 섬유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분포되는 양상이 나타난다(도 8에 도시된 자가환원 열처리로 구현된 섬유에서 상대적으로 진하게 나타나는 부분은 시편인 섬유들이 서로 겹쳐져서 나타나는 것이며, 이를 감안할 때, 섬유 전체에 걸쳐 구리의 나노입자들은 일정하게 분산되어 분포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나아가, 자가환원 열처리로 구현되는 구리-탄소 나노섬유에서는 구리의 나노입자들의 분포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양상이 상대적으로 많아, 섬유 내부에 서로 연결되도록 일렬로 응집되는 구리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선택적 산화 열처리로 구현된 나노섬유보다, 전기 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로 구현되는 구리-탄소 나노섬유는 이러한 비교예들에서 구리 나노섬유가 지니지 못했던 산화 방지 기능과 함께 자가환원보다 향상된 전기 전도성을 지닐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pper-carbon nanofiber realized by the autothermal reduction treatment, the copper nanoparticles are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fiber without having a high dispersion density in the core of the fiber (see the self-reduction heat treatment The nanoparticles of the copper are uniformly dispersed throughout the fiber, considering that the fiber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Further, in the copper-carbon nanofiber realized by the autothermal reduction treatment, the copper nanoparticles are relatively unevenly distributed and are arranged in a relatively large size, so that the copper nanoparticles are aggregated in a line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ib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nanofiber realized by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Therefore, the copper-carbon nanofibers realized by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can have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self-reduction with the antioxidant function that copper nanofibers have in these comparative exampl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산화 열처리 공정에서 구리를 환원하는 공정은 앞서 설명한 자가환원 방식의 적어도 일부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전구체로는 구리아세테이트, 폴리머 매트릭스로는 폴리 비닐 알콜(PVA), 용매로는 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부터 만들어진 나노섬유를 산소의 분압이 매우 작은 고진공(10-5 내지 10-6 Torr)이나 아르곤 기체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하게 되면 금속 전구체에서는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와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The copper reduction process 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t least a part of the self reduction method described above. For example, nanofibers made from a solution containing copper acetate as a metal precursor, polyvinyl alcohol (PVA) as a polymer matrix, and water as a solvent are mixed in a high vacuum (10 -5 to 10 -6 Torr) or argon gas atmosphere, a reaction as shown in Chemical Formulas 1 to 4 occurs in the metal precursor.

(화학식 1)(Formula 1)

Cu(CH3COO)2 → CuCO3 + CH3COCH3 Cu (CH 3 COO) 2 - > CuCO 3 + CH 3 COCH 3

(화학식 2)(2)

CuCO3 → CuO + CO2 CuCO 3 - > CuO + CO 2

(화학식 3)(Formula 3)

CH3COCH3 → CO + C2H6 CH 3 COCH 3 - > CO + C 2 H 6

(화학식 4)(Formula 4)

CuO + CO → Cu + CO2 CuO + CO → Cu + CO 2

이러한 반응에 의해, 아세테이트에서 자동적으로 환원제(예를 들어, 일산화탄소(CO))가 발생하여 열처리 과정 중에 순수한 구리 상을 얻을 수 있다. By this reaction, a reducing agent (for example, carbon monoxide (CO)) is automatically generated in the acetate, and a pure copper phase can be obtained dur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 공정이 가능함을 열역학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from the thermodynamic point of view that a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process can be performed in the process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 공정의 환원제로 작용하는 CO의 산화반응에 대한 깁스 자유 에너지를 탐색하는 과정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서 이용되는 금속전구체인 구리아세테이트(CuAc)가 환원되는 것은 아세테이트 작용기에서 열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제인 일산화탄소(CO) 때문이다. 즉 선택적 산화 열처리 과정에서도 자가환원에 의해서 구리가 환원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열처리에서 요구되는 산소분압을 찾기 위해서는 자가환원에서 발생하는 구리의 반응을 고려해야 한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arching for Gibbs free energy for oxidation reaction of CO serving as a reducing agent 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process in the method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duction of copper acetate (CuAc), which is a metal precursor used 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s due to carbon monoxide (CO), which is a reducing agent generated during the heat treatment in the acetate functional group. That is, copper is reduced by self-reduction even 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process. Therefore, in order to find the oxygen partial pressure required in this heat treatment, the reaction of copper generated in the autothermal reduction should be considered.

우선 구리아세테이트가 분해될 때에는, 산화구리(CuO)가 형성된 이후에, 산화구리가 일산화탄소(CO)에 의해 환원되게 된다. 그러므로 엘링감 도표에서 일산화탄소의 산화반응에 대한 깁스 자유에너지를 확인해야 한다. 실제 엘링감 도표에서는 일산화탄소의 산화 반응이 나타나 있지 않기 때문에 탄소가 산화되어,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가 형성되는 반응을 이용해야 한다. 이산화탄소가 형성되는 반응(도 9의 적색선)에서 일산화탄소가 형성되는 반응(도 9의 녹색선)을 역으로 바꾸어 합하게 되면, 주어진 온도와 압력에서 실제 일산화탄소가 산화되어 이산화탄소가 되는 반응(도 9의 황색선)에서의 깁스에너지를 알 수 있게 된다. 한 가지 유의해야 할 점은, 자가환원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일산화탄소의 산화반응성 그래프는 기울기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엘링감 도표에서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의 비율에 따라 달라지는데, 자가환원에 의해 일산화탄소가 소비되어 이산화탄소가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거동을 보이는 것이다.  First, when copper acetate is decomposed, copper oxide is reduced by carbon monoxide (CO) after copper oxide (CuO) is formed. Therefore, the Gibbs free energy for the oxidation reaction of carbon monoxide must be confirmed in the Elling diagram. In the actual E-ring diagram, the oxidation reaction of carbon monoxide is not shown, so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reaction in which carbon is oxidized to form carb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When the reaction in which carbon monoxide is formed (the green line in Fig. 9) is reversed in the reaction in which carbon dioxide is formed (the red line in Fig. 9), the actual carbon monoxide is oxidized at a given temperature and pressure to become carbon dioxide The yellow line). It should be noted that as the autoregression proceeds, the graph of the oxidation reactivity of carbon monoxide increases. This is due to the ratio of carb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in the Elling diagram, which is the result of carbon monoxide being consumed by autothermal reduction, resulting in carbon dioxide.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 공정이 가능한 압력 구간을 엘링감 도표를 이용하여 탐색하는 과정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하기 위한 산소분압을 찾기 위해서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얻은 일산화탄소의 산화반응에 대한 깁스 자유에너지를 엘링검 다이어그램에 표시한 뒤, 이를 실제 구리의 산화반응과 비교해야 한다. 나노섬유와 같은 나노구조체는 일반 재료(bulk) 시스템과는 달리 부피당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면적 에너지(surface energy)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수학식 1에 의해 전체 깁스 자유에너지를 증가시키는 영향을 미친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pressure section capable of performing a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process in the process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ind the oxygen partial pressure for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the Gibbs free energy for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carbon monoxide obtain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should be indicated in the Ellingham diagram and then compared with the actual oxidation reaction of copper. Unlike bulk systems, nanostructures such as nanofibers increase the surface energy because of the large surface area per volume.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total Gibbs free energy by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이로 인해, 깁스 자유에너지는 벌크(bulk)보다 일정 수준만큼 커지기 때문에, 산화반응 에너지를 y축 방향으로 평행이동 시킬 수 있다. 기초실험에서 구리의 상변화 경향을 확인했던 압력과 그 때의 산소분압을 엘링감 도표에 표시하면 도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기초실험 첫번째 결과에서는, 500℃(도 10의 녹색선)에서 PO2=10-6atm의 산소분압에서 열처리를 했을 때, Cu2O와 Cu 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조건에서 산소분압을 더 낮추게 되면 순수 Cu 상을 얻을 수 있는데, 이 때의 온도와 산소분압은 500℃와 PO2=10-9atm이다. 이러한 조건이 이번 연구에서 진행하고자 하는 선택적 산화 열처리 구간에 있다는 것을 기초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산소분압 압력의 범위 내에서 조건을 잡아 열처리를 진행하여, 구리와 탄소의 상변화 및 분해양상을 확인하는 방향으로 실험을 진행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제일 좋은 전도도 특성과 산화방지 효과를 보이는 조건을 찾을 수 있다. Because of this, the Gibbs free energy is larger than the bulk by a certain amount, so that the oxidation reaction energy can be translated in the y-axis direction. The pressure at which the phase change tendency of the copper was confirmed in the basic experiment and the oxygen partial pressure at that time can be expressed as shown in FIG. Basic Experiments In the first result, Cu 2 O and Cu phases were obtained when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500 ° C (green line in FIG. 10) at an oxygen partial pressure of PO 2 = 10 -6 atm. If the oxygen partial pressure is further lowered under this condition, a pure Cu phase can be obtained. The temperature and oxygen partial pressure at this time are 500 ° C. and P O2 = 10 -9 atm. The basic experiment shows that these conditions are 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section to be studied in this study. Then,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experiment in the direction of confirming the phase change and the decomposition of copper and carbon by proceeding the heat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 of the oxygen partial pressure, and finally, the best conductivity characteristic and the antioxidant effect The condition can be found.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험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아래의 실험예들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xperimental example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다양한 조건의 실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an experimental method of various conditions will be described.

최적화된 용액 및 공정 변수 조건 확립Establish optimized solution and process parameter conditions

나노섬유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용액 및 공정 변수에 따른 경향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고자 한다. 높은 가격경쟁력과 전기 전도도를 보여 투명전극용 재료로 각광받는 재료 중에 하나인 구리 나노섬유를 만들기 위해 금속 전구체로는 구리아세테이트(Cu(CH3COO)2)를 사용한다. 그리고 유기매트릭스는 아세테이트기(-CH3COO-)와 수소 결합을 형성하고 분해 온도가 비교적 낮은 PVA (poly vinyl alcohol)을 이용해 나노섬유의 뼈대를 구성하고자 한다. 이 두 물질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증류수(distilled water)를 사용하여 용액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t is aimed to establish the optimal conditions by analyzing the tendency depending on the solution and the process parameters affecting the morphology of nanofibers. Copper acetate (Cu (CH 3 COO) 2 ) is used as a metal precursor to make copper nano fiber, which is one of the materials which is seen as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because it shows high price competitiveness and electric conductivity. The organic matrix is intended to constitute the skeleton of nanofibers using poly vinyl alcohol (PVA), which forms a hydrogen bond with an acetate group (-CH 3 COO-) and has a relatively low decomposition temperature. Both of these material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ke solutions using distilled water because of their relatively high solubility in water.

<용액변수><Solution variable>

나노섬유의 형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용액의 점성도를 변화시켜 용액 변수 조건을 확립하고자 한다. 유기 매트릭스인 PVA의 분자량, 농도를 조절하여 점성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점성도의 변화에 따른 나노섬유의 형태를 FE-SEM을 이용해 분석하고 최적 형태의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점성도 조건을 제시한다. We try to establish the solution condition by changing the viscosity of the solution which directly affects the morphology of nanofibers. The molecular weight and concentration of the organic matrix PVA are controlled to control the viscosity. The shape of nanofibers according to the change of viscosity is analyzed by FE-SEM and the conditions of viscosity in which the nanofibers are formed in the optimal form are presented.

<공정변수><Process Variables>

전기방사 용액을 담는 시린지(syringe)내 용액에 가하는 인가전압, 시린지 팁과 콜렉터 간의 거리, 용액 주입 속도에 따른 나노섬유 형태의 변화를 FE-SEM을 이용해 분석하고 투명전극에 최적화된 형태의 나노섬유를 만들 수 있는 공정변수 조건을 확립한다.
The change of the nanofiber shape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to the solution in the syringe containing the electrospinning solu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yringe tip and the collector, and the solution injection speed was analyzed by FE-SEM, The process parameter condition is established.

후속 열처리 과정: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위한 산소분압 설정Subsequent heat treatment process: oxygen partial pressure setting for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후속 열처리가 수행되는 챔버 내의 산소 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엘링감 도표에서의 추론을 바탕으로 압력을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된 금속 전구체 + 유기 매트릭스 나노섬유를 CVD 혹은 전기로(furnace)에서 진공 펌프로 압력을 조절하여 후속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t is important to adjust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chamber in which the subsequent heat treatment is performe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setting the pressure on the basis of inference in the E-ring diagram. The metal precursor formed by electrospinning + organic matrix nanofibers was subjected to a subsequent heat treatment by controlling the pressure in a CVD or electric furnace using a vacuum pump Respectively.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서 구리와 탄소의 상변화 및 분해Phase change and decomposition of copper and carbon in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열처리 과정을 거친 뒤 나노섬유 내 구리의 상변화는 XRD를 통해 분석하였다. 전기방사를 통해 용액에서 만들어진 금속전구체와 유기 매트릭스 나노섬유의 경우 결정성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XRD에서의 결정 피크(peak)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후속 열처리를 통해 얻어지는 산화구리나 구리 나노섬유의 경우는 확실한 결정성을 보이고 각각의 종류에 따라 XRD에서 나타나는 결정 피크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열처리를 통해 얻어지는 나노섬유의 종류를 구분하는데 XRD가 적합하다. 그리고 나노섬유의 형태 및 미세조직 분석을 위해 FE-SEM과 TEM을 이용하였다.
After the heat treatment, the phase change of copper in nanofiber was analyzed by XRD. In the case of metal precursors and organic matrix nanofibers made in solution by electrospinning, crystal peaks are not seen in XRD because they show no crystallinity. However, XRD is suitable for distinguishing the types of nanofibers obtained through heat treatment because the crystal nuclei or copper nanofibers obtained through the subsequent heat treatment show definite crystallinity and the crystal peak positions appearing in XRD are different depending on each kind. FE-SEM and TEM were used for the morphology and microstructure analysis of nanofibers.

탄소의 구조 및 산화에 의한 분해 현상 분석Analysis of decomposition phenomenon by carbon structure and oxidation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서는 탄소가 산화(combustion)에 의해 분해가 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탄소가 분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이 진행되어야 한다. 우선 진공도를 10-6Torr로 낮추거나 아르곤 가스를 이용하여 산소 분압을 매우 낮게 만든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진행하였을 때, 나노섬유에서 탄소가 어떠한 구조로 결정성을 지니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탄소의 결정성 및 상을 알기 위하여 TEM 이미지와 회절패턴 분석, Raman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탄소가 어떠한 형태로 나노 섬유 내에 존재하는지 검증한 이후에, 실제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서 탄소가 분해된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FE-SEM EDS을 이용하여 구리와 탄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방법을 통해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서 탄소가 분해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t is premised that carbon is decomposed by combustion. Therefore, an experiment should be conducted to confirm that the carbon has been decompose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tructure of carbon in the nanofibers when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n atmosphere in which the degree of vacuum is reduced to 10 -6 Torr or the oxygen partial pressure is made very low using argon gas. TEM images, diffraction pattern analysis and Raman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crystallinity and phase of carbon. After verifying the presence of such carbon in the nanofibers, the amount of copper and carbon was measured using FE-SEM EDS to analyze the degree of carbon decomposition in the actual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Through this analytical method, the decomposition of carbon 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can be confirmed.

비정질Amorphous 탄소막에On the carbon film 의한  by CuCu -C 나노섬유의 산화 방지 특성 평가-C Evaluation of Antioxidant Properties of Nanofibers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통해 제작한 나노섬유의 구조는 비정질 탄소 매트릭스에 구리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있다. 구리 나노입자 기준에서 봤을 때, 외부에 구리보다 산화 반응성이 큰 탄소막이 덮고 있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나노섬유의 산화 방지 성능을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상온, 공기 분위기에서 28일 동안 면저항을 측정하고 변화정도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대조군을 비교예1에서 설명한 2단계의 열처리 과정을 거쳐 만든 구리 나노섬유로 설정하여,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통해 만들어진 구리-탄소(Cu-C) 나노섬유와 같이 비교하여 실험을 하였다.
The structure of the nanofiber fabricated by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s in the form of copper nanoparticles dispersed in the amorphous carbon matrix. From the standpoint of copper nanoparticles, it can be said that the outer surface is covered with a carbon film having higher oxidation reactivity than copper. Based on this structur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performance of nanofibers. The test was carried out by measuring the sheet resistance for 28 days at room temperature and air, and observing the degree of change. The control was set to copper nanofibers prepared by the heat treatment in the two-step process described in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ed with copper-carbon (Cu-C) nanofibers produced by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산화 방지 특성을 지닌 나노섬유의 투과도 및 면저항 측정Measurement of permeability and sheet resistance of nanofiber with antioxidant properties

투명전극에 응용하기 위한 금속 나노섬유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투과도와 전기전도도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투과도는 자외선에서 가시광선 영역까지의 빛을 이용하여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UV-Vis spectroscopy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전기방사와 후속 열처리 공정을 거쳐 만든 나노섬유의 광학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나노섬유의 전도도 특성은 반데포(van der pauw)법을 이용하여 4점 접촉(4 point contact)으로 측정한 면저항을 통해 분석한다. 기판은 산화규소(SiO2) 웨이퍼 또는 쿼츠(guartz) 유리를 이용하였다. 이렇게 측정한 투과도와 면저항을 통해 기존 구리 나노섬유 제작 공정과 본 실험예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공정으로 만든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투명전극에서 필요로 하는 물성을 비교하였다.Since it is a metal nanofiber for application to a transparent electrode,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transmittanc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thereof. The transmittance was measured by UV-Vis spectroscopy, which measures the absorbance of the sample using light from ultraviolet to visible light. Thi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optical properties of nanofibers made by electrospinning and subsequent heat treatment processes.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of nanofibers are analyzed by surface resistance measured by 4 point contact using van der pauw method. The substrate was a silicon oxide (SiO 2 ) wafer or a quartz glass. Through the measured permeability and sheet resistance, we compared the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the conventional copper nanofiber fabricating process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copper - carbon nanofiber fabricated by the new process.

이하에서는, 상술한 다양한 조건의 실험방법에 의하여 도출된 실험결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experimental results derived by the above-described experimental methods of various conditions will be described.

용액변수 제어를 통한 최적의 나노섬유 구조 형성Formation of optimal nanofiber structure by solution variable control

도 11은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점도와 표면장력과 같은 용액변수에 의한 나노섬유의 형태 변화를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되는 나노섬유의 구조는 전기방사 용액의 점도, 표면장력, 전도도 등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 용액의 점도는 나노섬유 자체에 비드(bead)를 만드는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용액의 점도를 제어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점도는 용액에 넣어주는 폴리머 매트릭스의 분자량 또는 농도에 영향을 받는데, 본 실험예에서는 농도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을 때 15 wt%의 농도에서 제일 좋은 나노섬유 형태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뿐만이 아니라, 용액 자체의 표면장력을 제어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이는 실제 용액을 이용해 전기방사를 할 때, 시린지 바늘(도 6의 11)의 끝에서 뭉치지 않게 하기 위함과 나노섬유의 형태 제어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물보다 표면장력이 작은 에탄올을 섞어줌으로써 전기방사 용액의 표면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물과 에탄올의 혼합 비율에 따라서 최적의 조건을 본 실험예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용액 제조 비율을 최적화한 뒤에, 전기방사를 진행하였고, 그 다음 본 실험예에서 중점적으로 강조하는 후속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였다.
FIG. 11 is a photograph of the morphological change of nanofibers due to solution parameters such as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in the process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the structure of nanofibers formed through electrospinning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viscosity, surface tension, conductivity, etc. of the electrospinning solution. Among them, the viscosity of the solution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beads in the nanofiber itself, so that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viscosity of the solution first. The viscosity is affected by the molecular weight or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matrix in the solution. In this example, the concentration was controlled.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e best nanofiber morphology was obtained at the concentration of 15 wt%. In addition to this,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surface tension of the solution itself is also required. It is also necessary to control the morphology of the nanofibers and to prevent aggregation at the end of the syringe needle (11 in FIG. 6) when electrospinning with the actual solution. The surface tension of the electrospinning solution can be reduced by mixing ethanol having a smaller surface tension than that of water. Optimum conditions can be found in this experiment depending on the mixing ratio of water and ethanol. After optimizing the solution production rate, the electrospinning was carried out, and then a subsequent heat treatment process, which was emphasized in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서 구리의 상변화 거동Phase Change Behavior of Copper in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도 12는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 구간에서 나타나는 구리의 상변화 양상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전기방사를 통해 구리아세테이트(CuAc)와 유기물 매트릭스(PVA)의 나노섬유를 제작한 뒤에, 후속 열처리 과정에서 진공도를 조절하면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서는 구리가 환원되는 산소 분압이기 때문에, 구리가 환원되어 산화구리가 형성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열처리에 앞서 엘링감 도표를 근거로 하여 설정했던 압력 내에서 실행한 후 XRD 분석을 통해 구리의 상을 분석하였다. 선택적 산화 열처리가 가능한 압력(3.8x10-3Torr)에서 Cu2O상이 형성되었으나, 점차적으로 압력을 감소시켜 8x10-4Torr까지 진공도를 높이면 산화구리는 형성되지 않고 점차 순수 구리상만 형성되게 된다. 즉,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하였을 때, 기존에 의도했던 방향대로, 구리는 산화되지 않고 환원된다는 점을 XRD 분석을 통해서 밝혀낼 수 있었다.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ase change pattern of copper in a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sec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Nanofibers of copper acetate (CuAc) and organic matrix (PVA) were prepared by electrospinning, and then selective oxidation treatment was performed while controlling the degree of vacuum in the subsequent heat treatment process. 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since copper is a reduced oxygen partial pressure, copper should be reduced so that copper oxide is not formed. In order to confirm this, the copper phase was analyzed by XRD analysis after executing the pressure within the set pressure based on the Elling diagram before the heat treatment. The Cu 2 O phase was formed at a pressure capable of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3.8 × 10 -3 Torr). However, when the pressure was gradually decreased to increase the degree of vacuum up to 8 × 10 -4 Torr, copper oxide was not formed but gradually pure copper phase was formed. In other words, whe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was carried out, the XRD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pper was reduced without being oxidized in the intended direction.

선택적 산화 열처리 내 탄소의 분해(combustion)The combustion of carbon 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combustion)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열분해에 의해 형성된 나노섬유 내 비정질 탄소의 형태 및 구조 분석을 위한 TEM 회절패턴(diffraction pattern) 분석, 및 라만분석(raman analysis)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FIGS. 13 and 14 illustrate TEM diffraction pattern analysis for the morphology and structure analysis of amorphous carbon in nanofibers formed by pyrolysis in the process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the drawings showing the results of the raman analysis.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 중의 하나는 나노섬유 내 탄소를 산화시켜서 분해하는 과정이다. 상술한 비교예2에서와 같이 1단계의 후속 열처리로 바로 구리를 만들었던 자가환원에서는 탄소가 연소(combustion)가 아닌 열분해(pyrolysis)로 분해되기 때문에 잔류 탄소의 양이 매우 많았다. 하지만 탄소를 산화반응의 종류인 연소를 통해 분해할 수 있다면, 잔류탄소 양이 매우 많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이는 자동적으로 전기 전도도의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다.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s the decomposition of carbon in the nanofiber by oxidizing it. As in Comparative Example 2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residual carbon was very large in the case of the self-reducing copper that was directly formed by the subsequent heat treatment in the first step, because carbon decomposed into pyrolysis rather than combustion. However, if carbon can be decomposed by burning, which is a type of oxidation reaction, the amount of residual carbon can be greatly reduced, which can lead to automatic improvement of electrical conductivity.

나노섬유에 존재하는 탄소의 결정상 및 구조를 살펴보기 위하여 TEM 회절패턴 (diffraction pattern)을 분석하였다(도 13 참조). 그 결과 결정성을 지니는 물질의 패턴이 아닌, 비결정질의 탄소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라만분석(Raman analysis) 결과(도 14 참조)를 살펴보면, CNT, 그래핀, 흑연과 같은 결정질 탄소이기 위해서는 2D 피크가 있어야 하지만 본 실험예를 통해 얻은 탄소에서는 2D 피크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 의해 분해되기 전의 탄소는 비결정질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비결정질 탄소를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서 분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A TEM diffraction pattern was analyzed to examine the crystal phase and structure of carbon present in the nanofibers (see FIG. 13). As a result, an amorphous carbon pattern was confirmed, not a pattern of a substance having crystallinity. Also, the results of the Raman analysis (see FIG. 14) reveal that there is a 2D peak for a crystalline carbon such as CNT, graphene, and graphite, but no 2D peak is found for the carbon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al example. From these analyzes, it can be seen that the carbon before decomposition by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s amorphous. The amorphous carbon is to be decomposed 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산소의 압력에 따른 나노섬유의 전도도 및 구조 변화Conductivity and structural change of nanofiber with oxygen pressure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산소 기체를 이용한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서의 압력에 따른 저항 및 나노섬유 구조 변화를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FIGS. 15 and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changes in resistance and nanofiber structure according to pressure 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using oxygen gas in the process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통해 제일 높은 전기 전도도를 보이는 압력을 탐색하기 위해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전기 전도도 향상을 위해 산소 기체 열처리에서의 압력을 10-2Torr에서 10-1Torr의 범위로 설정하여 각 조건에 따른 면저항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각 조건에서 형성된 나노섬유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FE-SEM 분석도 동시에 진행하였다.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ssure with the highest electrical conductivity through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n order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the pressure in the oxygen gas heat treatment was set in the range of 10 -2 Torr to 10 -1 Torr to confirm the sheet resistance according to each condition. The FE-SEM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confirm the structure of the nanofibers formed under each condition.

면저항의 변화는 2.5x10-2Torr를 기준으로 다른 거동을 보였다. 10-2Torr에서 2.5x10-2Torr까지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서 저항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잔류탄소의 연소에 의한 분해가 더 원활해진다는 점에서 이러한 원인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FE-SEM 이미지에서도 2.5x10-2Torr에서 나노섬유 구조가 잘 형성된 상태에서 구리가 나노섬유의 내부에서 일렬로 응집되고, 겉이 비정질 탄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이미 도 13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도 13 참조).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2.5x10-2Torr에서 산소분압이 더 증가하여 잔류탄소의 분해가 더 많이 되는 경우에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서 저항이 증가하는 거동을 보였다. 이는 잔류탄소가 나노섬유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한계점을 넘어서서 더 많이 분해되었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나노섬유 구조가 붕괴되어 저항이 증가하였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I-V 커브를 통해 확인해봤을 때, 산소분압이 계속 증가할수록, 6 x 10-2 Torr까지는 완전한 오믹 콘택 거동을 보였지만, 점차 이러한 거동이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change of sheet resistance showed different behavior based on 2.5 × 10 -2 Torr. Were thus resistance is reduced as 10 -2 Torr, the pressure increased up to 2.5x10 -2 Torr in, which can be thought of these causes in that it is decomposed by combustion of the residual carbon more smoothly with increasing pressure. It can also be seen from FIG. 13 that the copper is agglomerated in the nanofibers in a line and the surface is composed of amorphous carbon in a well-formed nanofiber structure at 2.5 × 10 -2 Torr in the FE-SEM image 13). On the contrary, when the oxygen partial pressure is further increased at 2.5 × 10 -2 Torr and the decomposition of the residual carbon is further increased, the resistance increases as the pressure increases. This is because the residual carbon is decomposed more and more beyond the limit of maintaining the nanofiber structure, so the nanofiber structure is gradually collapsed and the resistance is expected to increase. The IV curves showed that the oxygen partial pressures continued to increase, but the behavior was not observed until 6 × 10 -2 Torr.

비정질 탄소막에 의한 구리 나노섬유의 산화 방지 효과Anti-oxidation effect of copper nanofiber by amorphous carbon film

도 17은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통해 형성된 구리-탄소(Cu-C) 나노섬유의 내산화성 평가결과를 도해하는 도면이다. 1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oxidation resistance of copper-carbon (Cu-C) nanofibers formed by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n the method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산소기체를 이용한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서, 2.5x10-2Torr가 최적의 전기 전도성을 보이는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만든 나노섬유는 내산화막 역할을 하는 비정질 탄소의 나노섬유 매트릭스에 구리 나노입자가 안쪽으로 나노섬유의 방향으로 일렬로 응집된 형태로 되어있다. 그렇기 때문에 순수 구리 나노섬유와는 달리 외부 환경과 직접적인 접촉에서 보호받을 수 있다는 구조적인 이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구리-탄소(Cu-C) 나노섬유의 산화방지 특성을 측정해 보았다. 조건은 일반적인 소자의 사용환경과 유사한 상온, 공기 분위기에서 진행하였으며 28일 동안 면저항을 측정하여 변화를 살펴보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기존에 사용되던 구리 나노섬유를 이용하였다. 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using oxygen gas, it was confirmed that 2.5 x 10 -2 Torr is the optimum electrical conductivity. The nanofibers made by this method are composed of a nanofiber matrix of amorphous carbon which acts as an oxide film, and copper nanoparticles are aggregated in a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nanofibers. Therefore, unlike pure copper nanofiber, it has the structural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protected from direct contac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Based on this structure, the anti-oxi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pper-carbon (Cu-C) nanofiber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measured. The conditions were the same as the normal environment of the device, and the temperature was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and air for 28 days. As a control, copper nanofibers were used.

두 나노섬유에서 구리의 산화에 의한 저항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조군으로 설정한 구리 나노섬유와는 달리 구리-탄소(Cu-C) 나노섬유에서는 28일 동안 10% 내외의 범위까지만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대조군으로 설정한 구리 나노섬유의 경우는 저항이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기존보다 12배 정도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istance change caused by the oxidation of copper in the two nanofibers, it was found that the resistance increases only to about 10% for 28 days in the copper-carbon (Cu-C) nanofiber unlike the copper nanofiber set as the control I could confirm. In the case of the copper nanofiber set as the control group, the resistance increased at a very rapid rate, which is 1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copper nanofiber.

대조군 뿐만 아니라 구리 나노섬유의 산화를 방지하기 ALD 공법을 활용해 코팅 막을 씌워 산화를 방지한 연구 데이터를 참고하여 비교해 보았다. 이 실험예에서도 똑같이 상온, 상압, 공기 분위기에서 산화를 진행하였는데, 여기에서 순수 구리 나노섬유는 28일이 지났을 때 60% 정도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렇기에 이러한 대조군들을 확인해 보았을 때도, 본 발명에 의한 구리-탄소(Cu-C) 나노섬유는 확실히 산화방지 성능을 지닌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oxidation of copper nanofibers as well as the control group, we compared the results with reference to the research data on the prevention of oxidation by covering the coating film with ALD method. In this experiment, oxidation was also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atmospheric pressure, and air atmosphere, where the pure copper nanofibers increased by 60% after 28 days. Therefore, when these control groups are checke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pper-carbon (Cu-C) nano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rtain antioxidant ability.

Cu-C 나노섬유 같은 경우에는, 나노섬유 구조를 제작하기 위해 용액에 첨가되었던 PVA로부터 산화방지막을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내산화성을 위해 다른 연구에서와 같이 ALD를 통해 외부 막을 씌우는 경우는 공정이 더 추가된다는 점과 함께 재료적인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이지만, 본 실시예들에서 제시한 방법은, 전기방사로 형성된 나노섬유의 탄소막을 완전히 분해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를 산화방지에 효율적인 구조와 두께로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통해 조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e case of Cu-C nanofibers,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an antioxidant film is formed from PVA added to the solution to make the nanofiber structure. In the case of covering the outer layer with ALD as in other studies for oxidation resistance, the process is further added and inefficient in terms of material. However, the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s is not limited to the carbon fiber of the nanofiber formed by electrospinning But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controlled by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n an effective structure and thickness to prevent oxidation.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통해 형성된 나노섬유의 전도도 및 투과도Conductivity and permeability of nanofibers formed by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도 18은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따른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통해 제작된 내산화성 구리-탄소(Cu-C) 나노섬유의 전도도, 투과도 특성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18 is a graph showing conductivity and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of the oxidation-resistant copper-carbon (Cu-C) nanofiber fabricated by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n the method for producing copper-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산화방지 특성을 보이는 구리-탄소(Cu-C) 나노섬유의 투과도와 전기 전도도(면저항)를 측정하였다. 구리-탄소(Cu-C) 나노섬유의 투과도와 면저항을 측정했을 때, 기존에 제시된 순수 구리 나노섬유의 제일 좋은 특성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투과도와 면저항을 결정짓는 것은 나노섬유 자체의 고유한 전기 전도도와 관련된다. 이를 다시 생각해보면, 나노섬유 자체의 전도도가 높은 경우에는 더 적은 개수의 나노섬유가 있어도 나노섬유 막의 전도도가 확보된다. 나노섬유 구조에서는 나노섬유가 있지 않은 면적으로 빛이 투과한다. 즉 이는, 단위 면적에 개수가 적다는 것이 투과도가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봤을 때, 구리-탄소(Cu-C) 나노섬유의 투과도와 전도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나노섬유 자체의 전도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후속 열처리가 아닌, 용액을 만드는 공정으로 다시 접근하여 구리아세테이트와 유기물(PVA)의 비율을 조절하거나, PVA 대신 결정성을 지니는 다른 폴리머를 이용하여 나노섬유를 만들 수 있다. The permeabil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sheet resistance) of copper-carbon (Cu-C) nanofiber with anti-oxidation properties were measured. The permeability and sheet resistance of copper-carbon (Cu-C) nanofibers were lower than those of pure copper nanofibers. Determining permeability and sheet resistance is related to the inherent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nanofiber itself. Again, if the conductivity of the nanofiber itself is high, the conductivity of the nanofiber membrane is assured even with a smaller number of nanofibers. In the nanofiber structure,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an area where there is no nanofiber.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smaller the number in the unit area, the better the permeability.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ductivity of the nanofiber itself in order to increase the permeability and conductivity of the copper-carbon (Cu-C) nanofiber. Therefore, nanofibers can be made using other polymers with crystallinity instead of PVA, or by controlling the ratio of copper acetate to organic material (PVA) by approaching the process of making the solution again, not by subsequent heat treatment.

이하에서는, 상술한 다양한 조건의 실험방법 및 결과를 요약하고자 한다.
Hereinafter, experimental methods and results of the various conditions described above will be summarized.

열역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후속 열처리 공정 제시Present a new heat treatment process based on thermodynamic theory

본 실험예에서는 투명전극으로 각광받고 있는 구리 나노섬유의 공정, 신뢰성에서의 문제점 해결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전기방사는 금속 전구체(CuAc), 폴리머 매트릭스(PVA), 용매(물)를 혼합하여 만든 용액을 시린지에 넣은 뒤, 고전압을 인가하여 나노섬유를 만드는 공정이다. 이렇게 형성된 CuAc+PVA 나노섬유를 구리 나노섬유로 만들기 위해서는 산화를 위한 공기 분위기에서의 열처리와 구리의 환원을 위한 수소 분위기에서의 열처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드는 공정은 탄소를 산화에 의해 분해시키고, 순수 구리를 얻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이는 산화와 환원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에 반대되는 반응을 순차적으로 일으킨다는 점에서 나노섬유에 극심한 데미지를 가하게 된다. 또한 수소 가스를 이용한다는 점과 함께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였다. In this experimental exampl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ocess and reliability of the copper nanofiber, which is a transparent electrode. Electrospinning is a process for preparing nanofibers by applying a solution made by mixing a metal precursor (CuAc), a polymer matrix (PVA) and a solvent (water) into a syringe and applying a high voltage. In order to make CuAc + PVA nanofiber thus formed into copper nanofiber, it is necessary to heat treatment in air atmosphere for oxidation and heat treatment in hydrogen atmosphere for copper reduction. The process of making this method has the purpose of decomposing carbon by oxidation and obtaining pure copper. This causes extreme damage to the nanofibers in that it causes the opposite reactions to occur sequentially because of repeated oxidation and reduction processes. In addition, since hydrogen gas is used and it is inefficient, a solution was needed.

이러한 공정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나노섬유의 열처리 과정에 열역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기존에는 높은 산소분압에서 구리와 탄소를 모두 산화시켰다면, 본 실험예에서 제안하는 것은 구리와 탄소의 산화반응성 차이를 이용하여 열처리를 하는 방법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탄소가 구리보다 산화가 더 잘되기 때문에, 탄소만 산화되고 구리는 환원될 수 있는 조건에서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즉 선택적으로 탄소만 산화시키는 전략적인 열처리 방법을 개발한 것이라 볼 수 있고, 이를 선택적 산화 열처리로 정의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cess problems, we have approached the heat treatment process of nanofibers from a thermodynamic point of view. Conventionally, if both copper and carbon are oxidized at a high oxygen partial pressu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heat treatment using difference in oxidation reactivity between copper and carbon. In this experimental example, since carbon is oxidized more easily than copper, heat treatment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only carbon is oxidized and copper can be reduced. In other words, this is a strategic heat treatment method that selectively oxidizes carbon, which is defined as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선택적 산화 열처리를 통해 구리의 상변화와 탄소의 연소에 의한 분해를 기초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엘링검 다이어그램을 통해서 선택적 산화 열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 압력 범위 내에서, XRD를 통해서 확인해 보았을 때 구리가 환원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탄소는 나노섬유 내에서 비정질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TEM 회절패턴, 라만분석을 통해서 밝혀냈다. 이러한 탄소를 선택적 산화 열처리 했을 때, 완전히 분해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Through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the phase change of copper and the decomposition by combustion of carbon were proved through basic experiments. Within the pressure range expected to allow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through the Ellingham diagram, the copper reduction was confirmed by XRD. And we have found through the TEM diffraction pattern, Raman analysis, that carbon exists in amorphous form in nanofiber. It was also found that when the carbon was selectively oxidized, it could be completely decomposed.

본 실험예에서 제시한 선택적 산화 열처리는 기존에 나노섬유를 열처리하는 방법을 최초로 열역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열역학적인 관점에서 접근을 통해, 2단계를 통해 순수 구리 나노섬유를 만들지 않고, 1단계의 열처리 방법으로 수소 가스를 쓰지도 않고 단순히 압력 조절을 통해서 탄소만을 산화시켰다는 점은 앞으로 응용처가 매우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즉 이러한 나노섬유 열처리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여러 분야에서도 이러한 이론을 적용하여 열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proposed in this experiment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the first time that the method of heat treatment of nanofibers is approached from the thermodynamic point of view. From the thermodynamic point of view, there will be a lot of applications in the future because it does not make pure copper nanofibers through two steps and oxidizes only carbon through pressure control without using hydrogen gas as a first step heat treatment method It is expecte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not only to use these nanofiber heat treatments but also to apply heat treatment by applying these theories to various other fields.

한 단계 열처리를 통해 형성된 내산화성 Cu-C 나노섬유 개발Development of oxidation-resistant Cu-C nanofibers formed through one-step heat treatment

본 실험예에서 얻은 결과 중에서 가장 큰 성과로 생각하는 것이 내산화성 구리-탄소(Cu-C) 나노섬유를 개발했다는 점이다. 이는 앞서 언급했던 선택적 산화 열처리 방법을 통해서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1단계의 열처리 방법만으로 내산화성을 지닌다는 것 또한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구리-탄소(Cu-C) 나노섬유의 구조에 대해서 다시 살펴보면, 이 나노섬유는 비정질 탄소가 매트릭스로 나노섬유의 뼈대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탄소 매트릭스 안쪽에 구리 나노입자가 촘촘히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즉 구리 나노입자 하나의 차원에서 보면, 입자하나하나 전부 막이 씌워져 있는 구조라고 볼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입자들이 나노섬유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어져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이점에 대해서 살펴보면, 우선 앞서 설명했듯이 탄소가 구리보다 산화반응성이 더 크기 때문에 산화가 먼저 일어난다. 이는 산화가 될 수 있는 조건에 나노섬유가 있을 때, 탄소가 구리 대신 산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다른 한 가지 이점은, 이 나노섬유의 전기 전도 메커니즘이다. 일반 구리 나노섬유는 전자가 이동하는 매개체 자체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결정질 구리이다. 그러므로 구리가 산화되는 것이 실제 전자의 이동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험예에서 제시한 구리-탄소(Cu-C) 나노섬유에서는 전자가 구리 나노입자 사이사이를 호핑(hopping)으로 이동하는 메커니즘을 따른다. 그러므로 이는 구리 나노입자 간 거리에 큰 영향을 받을 뿐, 그 중간에 있는 탄소의 산화 정도에는 전자의 이동이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전도 메커니즘 또한 내산화성에 최적화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Among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experimental example, the most significant achievement is the development of oxidation-resistant copper-carbon (Cu-C) nanofiber. It is also very meaningful that the oxidation-resistance is achieved only by the one-step heat treatment method in that it can be produced by the above-mentioned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method. Regarding the structure of the copper-carbon (Cu-C) nanofiber, the nanofiber is a matrix of amorphous carbon and forms the skeleton of the nanofiber. And copper nanoparticles are densely arranged inside the carbon matrix. In other words, copper nanoparticles can be seen as a structure in which all the particles are covered by one particle, and these particles are continuously connected in the form of nanofibers. Taking a look at the advantages of this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oxidation occurs first because carbon is more oxidative than copper. This means that when nanofibers are present in conditions that can be oxidized, carbon is oxidized instead of copper. Another advantage is the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 of the nanofibers. Common copper nanofibers are crystalline copper in which the medium through which electrons are transferred is continuous. Therefore, the oxidation of copper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ansfer of electrons. However, in the copper-carbon (Cu-C) nanofiber proposed in this experimental example, electrons follow a mechanism of hopping between the copper nanoparticles. Therefore, thi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copper nanoparticles, and the electron migration is not greatly influenced by the degree of oxidation of carbon in the middle. This conduction mechanism is also an optimal form for oxidation resistance.

1단계의 열처리 과정을 통해 형성된 내산화성의 구리-탄소(Cu-C) 나노섬유는, 기존에 구리라는 재료가 가져오던 산화라는 매우 큰 문제점을 간단히 해결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중요성을 보인다. 그리고 이 방법은 기존에 산화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외부에서 코팅막을 씌워 새로운 공정을 추가하는 것과는 달리, 나노섬유를 만들기 위해 필요했던 재료를 다시 이용해서 내산화성 기능을 부여했다는 것이 큰 장점으로 생각된다. 이 기술은 투명전극뿐만이 아니라, 현재 구리가 전극으로 쓰일 수 있는 여러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본다.The oxidation-resistant copper-carbon (Cu-C) nanofiber formed through the first-stage heat treatment process is of great importance in that it solves the very large problem of oxidation that copper has previously brought about. And this method is a great advantage that the oxidation resistance function is given by reusing the material that was necessary to make the nanofiber,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coating process is added by coating the outer surface in order to solve the oxidation problem. This technology is very likely to be applied not only to transparent electrodes but also to various fields where copper can be used as an electrode now.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시린지
22 : 용액
24 : 구리전구체-탄소 나노섬유
24a : 금속전구체
24b : 유기물
25 : 산화구리(CuO) 나노섬유
26 : 구리 나노섬유
10: Syringe
22: solution
24: Copper precursor-carbon nanofibers
24a: metal precursor
24b: organic matter
25: Copper oxide (CuO) nanofiber
26: Copper nanofiber

Claims (10)

구리전구체 및 유기물(有機物)을 포함하는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물의 탄소를 산화하고, 동시에, 상기 구리전구체를 구리로 환원하도록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선택적 산화 열처리함으로써, 구리-탄소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 산화 열처리는 복수의 열처리 단계가 아닌 하나의 열처리 단계로 수행되는,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Forming a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 comprising a copper precursor and an organic material; And
Forming copper-carbon nanofibers by selectively oxidizing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to oxidize carbon of the organic material and simultaneously reduce the copper precursor to copper,
Wherein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one heat treatment step rather than a plurality of heat treatment step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산화 열처리는 제 1 산소분압 내지 제 2 산소분압의 분위기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 1 산소분압보다 낮은 산소분압의 분위기에서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열처리하는 경우, 상기 구리전구체의 구리가 환원되고 상기 유기물의 탄소도 환원되며,
상기 제 2 산소분압보다 높은 산소분압의 분위기에서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열처리하는 경우, 상기 구리전구체의 구리가 산화되고 상기 유기물의 탄소도 산화되는,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n atmosphere of a first oxygen partial pressure to a second oxygen partial pressure,
When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are heat-treated in an atmosphere having an oxygen partial pressure lower than the first oxygen partial pressure, copper of the copper precursor is reduced and carbon of the organic material is reduced,
Wherein when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are heat-treated in an atmosphere having an oxygen partial pressure higher than the second oxygen partial pressure, the copper of the copper precursor is oxidized and the carbon of the organic precursor is also oxidiz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산소분압 내지 제 2 산소분압의 분위기에서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열처리하는 경우, 상기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 중의 탄소가 산화되고 남은 잔류탄소는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구조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산소분압보다 높은 산소분압의 분위기에서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열처리하는 경우, 상기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 중의 탄소가 산화되고 남은 잔류탄소는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구조를 지지할 수 없는,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are heat-treated in the atmosphere of the first oxygen partial pressure to the second partial pressure of oxygen, the carbon remaining in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 is oxidized and the residual carbon is removed from the structure of the copper- Lt; / RTI &gt;
When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are heat-treated in an atmosphere having an oxygen partial pressure higher than the second oxygen partial pressure, the carbon remaining in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 is oxidized and the residual carbon remains in the structure of the copper-carbon nanofiber / RTI &gt;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pper-carbon nanofibers are suppo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전구체는 구리아세테이트(Cu(CH3COO)2)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은 구리전구체와 수소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비닐알콜(PVA, poly vinyl alcohol)을 포함하는,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pper precursor comprises copper acetate (Cu (CH 3 COO) 2 ) and the organic material comprises a copper-carbon nanofiber including polyvinyl alcohol (PVA) forming a hydrogen bond with a copper precursor G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의 탄소를 산화하고, 동시에, 상기 구리전구체를 구리로 환원하도록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선택적 산화 열처리함으로써, 구리-탄소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리전구체의 아세테이트 작용기로부터, 상기 선택적 산화 열처리에 의하여, 발생한 일산화탄소(CO)를 환원제로 하여 상기 구리전구체를 구리로 자가환원(Auto-reduction)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of forming the copper-carbon nanofibers by selectively oxidizing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to oxidize the carbon of the organic material and simultaneously reduce the copper precursor to copper,
Carbon-nanofiber, comprising the step of autoclaving the copper precursor to copper from the acetate functionality of the copper precursor using the generated carbon monoxide (CO) as a reducing agent by the selective oxidation heat treatment.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탄소 나노섬유는, 구리의 산화를 방지하도록, 탄소로 구성된 나노섬유 내에 상기 구리의 나노입자가 내부에 나노섬유의 방향으로 일정하게 응집되어 형성된 구조체이며,
상기 탄소로 구성된 나노섬유는 상기 유기물로부터 형성된,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pper-carbon nanofiber is a structure in which the nanoparticles of copper are uniformly aggregated in the direction of the nanofibers in the nanofiber composed of carbon so as to prevent oxidation of copper,
Wherein the carbon nanofiber is formed from the organic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선택적 산화 열처리함으로써 구리-탄소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구성하는 탄소의 일부를 열분해(pyrolysis)가 아닌 연소(combustion)로 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forming the copper-carbon nanofibers by selective oxidation treatment of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may include decomposing a part of carbon constituting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into combustion, not pyrolysis Carbon nanofibers. &Lt; Desc / Clms Page number 20 &g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전구체 및 유기물을 포함하는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리전구체, 상기 유기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용액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형성된 정전기적 반발력을 이용한 전기방사(electrospinning)를 통해 상기 용액으로부터 상기 구리전구체-유기물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리-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forming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 including the copper precursor and the organic material
Providing a solution comprising the copper precursor, the organic material and a solvent; And
And forming the copper precursor-organic nanofibers from the solution by electrospinning using an electrostatic repulsion force formed by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solution.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구리-탄소 나노섬유로서,
구리의 산화를 방지하도록, 비정질 탄소 매트릭스에 구리 나노입자들이 분산되어 배치되며,
상기 구리 나노입자들은 상기 나노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응집되면서 상기 나노섬유의 코어(core) 부분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밀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구리-탄소 나노섬유.
9. A copper-carbon nanofiber form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Copper nanoparticles are dispersed and arranged in an amorphous carbon matrix so as to prevent oxidation of copper,
Wherein the copper nanoparticles are arranged so as to have a relatively higher density in a core portion of the nanofiber while aggregat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anofiber,
Copper-carbon nanofiber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의 코어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구리의 나노입자들은 상기 나노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구리-탄소 나노섬유.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nanoparticles of copper disposed on the core portion of the nanofibers are arranged to b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anofibers.
KR20130045993A 2013-04-25 2013-04-25 Cu-C nano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4826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993A KR101482613B1 (en) 2013-04-25 2013-04-25 Cu-C nano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993A KR101482613B1 (en) 2013-04-25 2013-04-25 Cu-C nano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541A true KR20140127541A (en) 2014-11-04
KR101482613B1 KR101482613B1 (en) 2015-01-14

Family

ID=5245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5993A KR101482613B1 (en) 2013-04-25 2013-04-25 Cu-C nano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61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556A1 (en) * 2015-07-28 2017-02-02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al-carbon nanofib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WO2017023032A3 (en) * 2015-08-03 2017-06-0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Chalcogenide-carbon nanofib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170126413A (en) * 2016-05-09 2017-11-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Copper-carbon nanofiber having silver particles, method of manufactruing the same, and transparent electrode having the same
KR102136367B1 (en) * 2019-04-04 2020-07-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NiP2-carbon nanofiber complex and NiP2-carbon nanofiber complex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524B1 (en) 2007-11-16 2010-02-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 fiber and metal fiber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1610782B1 (en) * 2009-11-20 2016-04-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Fabricating Metal Wire Using Electrospinning Process
KR101308739B1 (en) * 2010-06-30 2013-09-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Copper oxide embedded carbon nano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1310094B1 (en) * 2010-10-26 2013-09-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arbon nanofiber including copper particles, nanoparticles, dispersed solution and the fabrication methods ther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556A1 (en) * 2015-07-28 2017-02-02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al-carbon nanofib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10682698B2 (en) 2015-07-28 2020-06-16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Metal-carbon nanofib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WO2017023032A3 (en) * 2015-08-03 2017-06-0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Chalcogenide-carbon nanofib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US11008673B2 (en) 2015-08-03 2021-05-18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Chalcogenide-carbon nanofib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170126413A (en) * 2016-05-09 2017-11-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Copper-carbon nanofiber having silver particles, method of manufactruing the same, and transparent electrode having the same
KR102136367B1 (en) * 2019-04-04 2020-07-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NiP2-carbon nanofiber complex and NiP2-carbon nanofiber comple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613B1 (en)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i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2D nanomaterials for chemiresistive-type gas sensors
Zhang et al. Large-size graphene microsheets as a protective layer for transparent conductive silver nanowire film heaters
Wang et al. Synthesis of copper nanowires and its application to flexible transparent electrode
Xu et al. Preparation and cold welding of silver nanowire based transparent electrodes with optical transmittances> 90% and sheet resistances< 10 ohm/sq
Guo et al. Copper nanowires as fully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Xu et al. Fabrication of CuO pricky microspheres with tunable size by a simple solution route
Wang et al. Design of α-Fe2O3 nanorods functionalized tubular NiO nanostructure for discriminating toluene molecules
Chu et al. Fabrication of sintering-free flexible copper nanowire/polymer composite transparent electrodes with enhanced chemical and mechanical stability
Zhang et al. Synthesis of ultralong copper nanowires for high-performance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the effects of polyhydric alcohols
KR101482613B1 (en) Cu-C nano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Wang et al. Facile synthesis of ultralong and thin copper nanowires and its application to high-performance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KR101587532B1 (en) Carbon hybrid fiber including conductive complex,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functional textile assembly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EP3197901A1 (en) Methods to produce ultra-thin metal nanowires for transparent conductors
Woo et al. Highly flexible and transparent film heater with electrospun copper conductive network via junction-free structure
US10682698B2 (en) Metal-carbon nanofib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532578B1 (en) Preparation method of thin silver nanowires using ionic liquids and production method of transparent electrode film using this
KR101336276B1 (en) Preparation of thermoelectric nanotube
KR101249958B1 (en) Hybrid carbonaceous nanotube,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KR101605155B1 (en) Methods of fabricating metal-carbon nanofiber
KR101560595B1 (en) Carbon hybrid fiber including conductive particle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functional textile assembly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KR101191959B1 (en) Dye 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83797B1 (en) Metal-carbon nanofiber
EP3912963A1 (en) Transition metal chalcogenide for preparing metal nanostructures, metal nanostructures obtained thereby, electronic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15498B1 (en) Preparation method of ultra thin silver nanowires and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 film product thereof
KR20210091555A (en) Fabrication Method of Patterned Flexible Electr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