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519A -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519A
KR20140127519A KR1020130045924A KR20130045924A KR20140127519A KR 20140127519 A KR20140127519 A KR 20140127519A KR 1020130045924 A KR1020130045924 A KR 1020130045924A KR 20130045924 A KR20130045924 A KR 20130045924A KR 20140127519 A KR20140127519 A KR 20140127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account
subcontracting
subcontract
subcon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167B1 (ko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은행
Priority to KR1020130045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16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electronic recei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은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로 하도급 대금 지급 시 상기 원청 업체로부터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조달청 서버로부터 수신한 대금 지급 계획 정보에서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에 해당하는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원청 업체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원청 업체에 의해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에 있는 특정 항목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특정 항목의 속성을 지급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발주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원청 업체에 의한 상기 특정 항목의 지급 사실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로 하도급 대금 지급 시 비금융 데이터인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이용한 상세 조회를 통해 하도급 대금을 납부하도록 함으로써, 금융실명법을 위배하지 않음과 동시에 원청 업체 및 하청 업체가 은행에 제출해야 하는 금융정보제공동의서를 생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SUBCONTRACT MANAGEMENT SYSTEM AND PERFORMING MEHT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의 일반적인 순서는 발주자가 설계와 적산을 통해 예정가격을 결정한 후 입찰 공고 하는 발주단계, 수급자가 발주자의 요구조건을 검토하여 설계에 따라 적산한 후 견적하는 입찰단계, 그리고 낙찰되면 계약한 후 시공하는 시공단계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발주자는 공사계획을 수립한 후 현장실사를 거쳐 설계를 하고, 이 설계에 따라 공사비용(예정가격)을 산출하기 위한 적산을 하여 입찰 공고한다. 수급자는 수주계획에 따라 입찰공고를 본 후 현장설명과 설계도 및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적산하여 입찰가격을 산정한다. 입찰 후 낙찰되면 발주자와 수급자 사이에 계약이 체결되며, 수급자는 계약에 따라 시공하고 발주자는 공사를 감독한다. 이때, 수급자는 하도급 체계에 따라 하수급자에게 시공을 맡겨 공사를 진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발주자가 수급자에게 대금을 지급하면, 수급자는 발주자로부터 지급받은 대금 중 일부 대금을 15일 이내에 하수급자에게 지급해야 하며, 발주자는 수급자가 하수급자에게 대금을 지급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위해서, 발주자, 수급자 및 하수급자 사이의 대금 지급 과정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로 하도급 대금 지급 시 비금융 데이터인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이용한 상세 조회를 통해 하도급 대금을 납부하도록 함으로써, 금융실명법을 위배하지 않음과 동시에 원청 업체 및 하청 업체가 은행에 제출해야 하는 금융정보제공동의서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청 업체에 의해 하도급 대금 지급 시 발생하는 대금 결제 계좌에 하도급 대금의 입출금 거래내역에 거래 상세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원청 업체와 하청 업체 사이의 계약별 대금 송수신 내역을 명확화할 수 있고, 결제 계좌 입출금 내역에 대한 발주자의 감사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주자 계좌에 하도급 대금이 입금되면 발주자 계좌에서 하도급 대금을 출금하여 원청 업체의 계좌에 하도급 대금을 입금함과 동시에 출금하여 하청 업체의 계좌에 입금시킴으로써, 원청 업체에 의한 하도급 대금 미지급을 방지할 수 있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주자 계좌에 하도급 대금이 입금되면 하도급 대금 전체 또는 일부 금액을 출금하여 에스크로우(Escrow) 계좌에 입금시키고 특정 기간 이내에 하청 업체의 계좌에 입금시킴으로써, 원청 업체의 압류 등과 같은 상황에도 하청 업체가 하도급 대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금융 기관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를 전산화하여 발주자, 원청 업체 및 하청 업체 사이의 전자세금계산서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은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로 하도급 대금 지급 시 상기 원청 업체로부터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조달청 서버로부터 수신한 대금 지급 계획 정보에서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에 해당하는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원청 업체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원청 업체에 의해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에 있는 특정 항목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특정 항목의 속성을 지급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발주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원청 업체에 의한 상기 특정 항목의 지급 사실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은 발주자, 하청 업체 또는 원청 업체 각각의 계좌에 대한 하도급 대금의 입출금을 관리하고, 상기 대금의 입출금 과정에서 상기 하도급 대금의 지급 사실을 상기 발주자 또는 상기 조달청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통보되는 것에 대한 동의여부를 상기 원청 업체에게 확인하는 계좌 관리부 및 복수의 금융 기관들 각각으로부터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중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에게 하도급 대금을 지급했음을 증빙하는 증빙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조달청 서버에 제공하는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은 발주자, 원청 업체 및 하청 업체 사이의 하도급 대금 결제 과정을 관리하는 대금 결제 관리부 및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로 하도급 대금 지급 시 상기 원청 업체로부터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조달청 서버로부터 수신한 대금 지급 계획 정보에서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에 해당하는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원청 업체에 제공하고, 원청 업체에 의해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에 있는 특정 항목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특정 항목의 속성을 지급 완료로 변경하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발주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원청 업체에 의한 상기 특정 항목의 지급 사실을 알리는 대금 지급 리스트 관리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로 하도급 대금 지급 시 비금융 데이터인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이용한 상세 조회를 통해 하도급 대금을 납부하도록 함으로써, 금융실명법을 위배하지 않음과 동시에 원청 업체 및 하청 업체가 은행에 제출해야 하는 금융정보제공동의서를 생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청 업체에 의해 하도급 대금 지급 시 발생하는 대금 결제 계좌에 하도급 대금의 입출금 거래내역에 거래 상세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원청 업체와 하청 업체 사이의 계약별 대금 송수신 내역을 명확화할 수 있고, 결제 계좌 입출금 내역에 대한 발주자의 감사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주자 계좌에 하도급 대금이 입금되면 발주자 계좌에서 하도급 대금을 출금하여 원청 업체의 계좌에 하도급 대금을 입금함과 동시에 출금하여 하청 업체의 계좌에 입금시킴으로써, 원청 업체에 의한 하도급 대금 미지급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주자 계좌에 하도급 대금이 입금되면 하도급 대금 전체 또는 일부 금액을 출금하여 에스크로우(Escrow) 계좌에 입금시키고 특정 기간 이내에 하청 업체의 계좌에 입금시킴으로써, 원청 업체의 압류 등과 같은 상황에도 하청 업체가 하도급 대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금융 기관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를 전산화하여 발주자, 원청 업체 및 하청 업체 사이의 전자세금계산서 업무를 지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하도급 대금”은 발주자, 원청 업체 및 하청 업체 간에 주고받는 대금으로서, 선급금, 기성금, 준공금으로 지급되는 대금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조달청 서버(200), 발주자 단말(300), 원청 업체 단말(400) 및 하청 업체 단말(500)와 통신망(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발주자, 원청 업체 및 하청 업체 사이의 대금 지급 과정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일 실시예에서,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은행 서버(예를 들어, 우리은행 서버)에 위치하여 발주자, 원청 업체 및 하청 업체 사이의 대금 지급 과정을 관리하고 대금 지급 사실을 조달청 서버(200) 또는 발주자 단말(300)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러한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조달청 서버(200)에 위치하며, 은행 서버(예를 들어, 우리은행 서버)에는 조달청 서버(200)에 있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주자는 은행 서버에 접속하여 원청 업체의 계좌에게 하도급 대금을 입금하고, 원청 업체는 계좌에 있는 하도급 대금을 출금하여 하청 업체의 계좌에 하도급 대금을 입금할 수 있다. 이러한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조달청 서버(200)는 정부의 주요 시설 공사계약에 사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예를 들어, 나라장터)와 연관된 서버로서, 예를 들어 PC,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서버이다.
발주자 단말(300)은 건설공사 전부를 최초로 위탁하는 사용자 또는 공사를 공사업자에게 도급하는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로서, 예를 들어 PC,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단말이다.
원청 업체 단말(400)은 건설 공사를 건축주로부터 직접 청부하는 건설 업자와 연관된 단말로서, 예를 들어 PC,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단말이다.
하청 업체 단말(500)은 원청 업체에서 업무를 도급받는 업체와 연관된 단말로서, 예를 들어 PC,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단말이다.
발주자 단말(300), 원청 업체 단말(400) 및 하청 업체 단말(500) 각각은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 또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서버(즉, 금융사 서버)에 접속 또는 통신을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주자 단말(300), 원청 업체 단말(400) 및 하청 업체 단말(500) 각각은 모바일 뱅킹 엔진의 적어도 일부를 적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도급 대금의 입출금에 필요한 소정의 연산 중 적어도 일부는 빠른 처리를 위하여 발주자 단말(300), 원청 업체 단말(400) 및 하청 업체 단말(500) 각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발주자 단말(300), 원청 업체 단말(400) 및 하청 업체 단말(500)은 자체로 구비한 모바일 뱅킹 엔진에서 연산된 결과를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 또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은 은행 서버(예를 들어, 우리은행 서버)에 위치하여 발주자, 원청 업체와 하청 업체 사이의 대금 지급 과정을 관리하고 대금 지급 사실을 조달청 또는 발주자에게 알릴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계좌 관리부(120),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관리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조달청 서버(200), 발주자 단말(300), 원청 업체 단말(400) 및 하청 업체 단말(50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환경을 설정 또는 유지할 수 있다.
계좌 관리부(120)는 발주자, 하청 업체 또는 원청 업체의 요청에 따라 하도급 대금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계좌의 종류는 자유입출금, 적금, 신탁 및 예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계좌 관리부(120)는 발주자, 하청 업체 또는 원청 업체로부터 계좌의 부가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하여 계좌에 적용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계좌의 부가 정보는 계좌에 대한 이체 한도 금액 및 출금 한도 금액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좌가 투자성 금융 상품과 연결된 계좌인 경우, 즉 계좌가 적금, 신탁 및 예금 중 적어도 하나의 계좌인 경우 계좌와 연결된 금융 상품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좌 관리부(120)는 하도급 대금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계좌 개설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계좌 개설 이력은 해당 계좌와 연관된 사용자(즉, 발주자, 하청 업체 또는 원청 업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국가 코드, 고객 분류, 고객 이름, 고객 주소, 지역 구분 코드, 전화 번호, 회사 주소, 회사 전화 번호, 계좌 번호, 최초 거래일 및 최종 거래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계좌 관리부(120)는 발주자, 하청 업체 또는 원청 업체의 요청에 따라 계좌와 카드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좌 관리부(120)는 계좌와 카드(예를 들어, 현금 카드, 체크 카드, 직불 카드 및 신용 카드)를 1:1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좌 관리부(120)는 카드 A가 사용되면 계좌 B에서 출금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계좌 관리부(120)는 발주자, 하청 업체 또는 원청 업체 명의의 계좌와 카드를 1:N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좌 관리부(120)는 카드 A 또는 카드 C가 사용되면 계좌 D에서 출금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계좌 관리부(120)는 발주자, 하청 업체 또는 원청 업체 각각의 계좌에 대한 입출금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좌 관리부(120)는 발주자 계좌에 하도급 대금이 입금되면, 발주자 계좌에서 하도급 대금을 출금하여 원청 업체의 계좌에 하도급 대금을 입금함과 동시에 출금하여 하청 업체의 계좌에 하도급 대금을 입금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좌 관리부(120)는 발주자 계좌에 하도급 대금 1,000만원이 입금되면, 1,000만원을 원청 업체의 계좌에 입금함과 동시에 출금하여 하청 업체의 계좌에 입금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계좌 관리부(120)는 발주자 계좌에 하도급 대금이 입금되면, 하도급 대금 전체 또는 일부 금액을 출금하여 에스크로우(Escrow) 계좌에 입금시키고, 기 설정된 기간이 후에 에스크로우 계좌에 있는 하도급 대금을 출금하여 하청 업체의 계좌에 입금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좌 관리부(120)는 발주자 계좌에 하도급 대금이 입금되면, 하도급 대금 중 노무비에 해당하는 대금을 출금하여 하청 업체의 계좌에 입금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좌 관리부(120)는 발주자 계좌에 하도급 대금 1,000만원이 입금되면, 1,000만원 중 노무비 300만원을 출금하여 에스크로우 계좌에 입금시키고, 15일 이내에 에스크로우 계좌에서 300만원을 출금하여 하청 업체의 계좌에 입금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청 업체의 압류 등과 같은 상황에도 하청 업체가 하도급 대금을 수월하게 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계좌 관리부(120)는 에스크로우 계좌에 예치된 하도급 대금을 특정 기간 동안 후에 하도급 대금을 하청 업체의 계좌에 지급할 때, 예치 기간 동안의 이자를 산출하여 원청 업체의 계좌에 이체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좌 관리부(120)는 에스크로우 계좌에 적수(잔액×일수)를 적용하여 에스크로우 계좌의 이자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계좌 관리부(120)는 발주자, 하청 업체 또는 원청 업체 각각의 계좌에 대한 입출금을 내역을 조달청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계좌 관리부(120)는 발주자, 하청 업체 또는 원청 업체 각각에 의한 계좌 입출금 시 입출금 거래내역에 거래 상세 정보를 기록한다. 여기에서, 거래 상세 정보는 계약구분코드 및 회계코드를 포함한다.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관리부(130)는 하도급 대금 지급 사실을 증빙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관리부(130)는 복수의 금융 기관들(미도시됨) 각각으로부터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금융 기관들 각각은 국세청, 카드 회사, 다른 은행들(예를 들어, 우리은행 이외의 다른 은행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는 전자세금계산서, 간이영수증, 카드 사용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관리부(130)는 원청 업체 단말(400)로부터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관리부(130)는 원청 업체 단말(400)의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증빙 자료(예를 들어, 전자세금계산서, 간이영수증, 카드 사용 내역 등)를 원청 업체 단말(4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관리부(130)는 은행 서버(예를 들어, 우리은행 서버)로부터 수신한 하청 업체의 하도급 대금 입금 완료 사실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원청 업체 단말(4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관리부(130)는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중 특정 증빙 데이터를 추출하여 허위 사실을 검증한 후에 조달청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관리부(130)는 기 수신되어 저장된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중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에게 하도급 대금을 지급했음을 증빙하는 증빙 데이터를 추출하여 허위 사실을 검증한 후에 조달청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관리부(130)는 국세청으로부터 한달 동안 발급된 전자세금계산서를 수신하고, 전자세금계산서에서 하청 업체 A가 원청 업체 B에게 발행한 전자세금계산서를 추출하여 허위 사실을 검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관리부(130)는 위탁 회계 법인을 통해 증빙 자료에 대한 허위 사실을 검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에 있는 다른 구성 요소, 즉 통신부(110), 계좌 관리부(120) 및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관리부(130)를 제어하여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다른 일 실시예 따른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은 조달청 서버에 위치하며, 은행 서버(예를 들어, 우리은행 서버)에는 조달청 서버에 있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주자는 은행 서버에 접속하여 원청 업체의 계좌에게 하도급 대금을 입금하고, 원청 업체는 계좌에 있는 하도급 대금을 출금하여 하청 업체의 계좌에 하도급 대금을 입금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통신부(210), 대금 결제 관리부(220), 대금 지급 리스트 관리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은행 서버(미도시됨)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환경을 설정 또는 유지할 수 있다.
대금 결제 관리부(210)는 발주자, 원청 업체 및 하청 업체 사이의 하도급 대금 결제 과정을 관리한다.
대금 지급 리스트 관리부(230)는 대금 지급 계획 정보 중 원청 업체가 하도급 대금을 지급해야 리스트를 추출하여 원청 업체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대금 지급 리스트 관리부(230)는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로 하도급 대금 지급 시 원청 업체로부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수신하면,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에 해당하는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를 원청 업체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는 원청 업체의 사업자 번호 또는 유관기관의 구분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금 지급 리스트 관리부(230)는 원청 업체로부터 사업체 번호인 1234-5678을 수신하면, 조달청 서버(200)에 있는 대금 지급 계획 정보 중 사업체 번호가 1234-5678에 해당하는 복수의 대금 지급 항목을 포함하는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를 원청 업체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원청 업체로부터 유관기관의 구분키인 KAYT을 수신하면, 조달청 서버(200)에 있는 대금 지급 계획 정보 중 KAYT에 해당하는 하나의 대금 지급 항목을 포함하는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를 원청 업체에 제공할 수 있다.
대금 지급 리스트 관리부(230)는 원청 업체에 의한 하도급 대금 지급이 완료됨에 따라 해당 항목에 대한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금 지급 리스트 관리부(230)는 원청 업체에 의해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에 있는 특정 항목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특정 항목의 속성을 지급 완료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급 예정 항목 A, 지급 예정 항목 B, 지급 예정 항목 C을 포함하는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에서 원청 업체에 의해 지급 예정 항목 A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 대금 지급 리스트 관리부(230)는 지급 예정 항목 A의 속성을 지급 완료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에 있는 다른 구성 요소, 즉 통신부(210), 대금 결제 관리부(220) 및 대금 지급 리스트 관리부(230)를 제어하여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은 전술한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므로, 서로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으나, 당업자는 전술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로 하도급 대금 지급 시 상기 원청 업체로부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수신한다(단계 S410).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조달청 서버(200)에 있는 대금 지급 계획 정보에서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에 해당하는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를 추출하여 원청 업체에 제공한다(단계 S420).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원청 업체에 의해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에 있는 특정 항목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특정 항목의 속성을 지급 완료로 변경한다(단계 S430).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발주자 단말에 제공하여 원청 업체에 의한 상기 특정 항목의 지급 사실을 알린다(단계 S440).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원청 업체는 하청 업체로 하도급 대금 지급 시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제공하면, 원청 업체는 도 5와 같이 대급 지급 식별자 번호에 해당하는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은 도 5와 같이 원청 업체가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하면, 사업자등록번호에 해당하는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를 할 수 있다. 원청 업체는 도 5의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에서 특정 항목(예를 들어, 첫 번째 항목)을 선택하여 결제함으로써 하청 업체에 하도급 대금을 지급할 수 있다. 하도급 대금 결제 과정에서,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은 도 6과 같이 하도급 대금의 지급 사실을 발주자 및 조달청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통보되는 것에 대한 동의여부를 원청 업체에 확인할 수 있다.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은 도 7과 같이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에게 하도급 대금을 지급한 결과를 제공하여 발주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은 도 8과 같이 발주자로부터 지원 받은 항목별 예산 대비 지급율을 제공하여 원청 업체가 미지급 건에 대해 15일 이내에 지급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110, 210: 통신부
120: 계좌 관리부
130: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관리부
140, 240: 제어부
220: 대금 결제 관리부
230: 대금 지급 리스트 관리부
200: 조달청 서버
300: 발주자 단말
400: 원청 업체 단말
500: 하청 업체 단말

Claims (15)

  1. 조달청 서버와 연동되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로 하도급 대금 지급 시 상기 원청 업체로부터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조달청 서버로부터 수신한 대금 지급 계획 정보에서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에 해당하는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원청 업체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원청 업체에 의해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에 있는 특정 항목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특정 항목의 속성을 지급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발주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원청 업체에 의한 상기 특정 항목의 지급 사실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는
    상기 원청 업체의 사업자 번호 또는 유관기관의 구분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자 계좌에 하도급 대금이 입금되면, 상기 발주자 계좌에서 하도급 대금을 출금하여 상기 원청 업체의 계좌에 상기 하도급 대금을 입금함과 동시에 출금하는 단계; 및
    상기 하청 업체의 계좌에 상기 하도급 대금을 입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자 계좌에 하도급 대금이 입금되면, 상기 하도급 대금을 출금하여 에스크로우(Escrow) 계좌에 입금시키는 단계;
    기 설정된 기간이 후에 상기 에스크로우 계좌에 있는 하도급 대금을 출금하여 상기 하청 업체의 계좌에 입금하는 단계; 및
    상기 하도급 대금을 하청 업체의 계좌에 지급할 때 상기 에스크로우 계좌에 적수를 적용하여 상기 에스크로우 계좌의 이자 금액을 산출하여 상기 원청 업체의 계좌에 입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청 업체에 의해 하청 계좌에 하도급 대금이 입금 완료되면, 상기 하도급 대금의 지급 사실을 상기 발주자 단말 및 상기 조달청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통보되는 것에 대한 동의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금융 기관들 각각으로부터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중 상기 원청 업체가 특정 하청 업체에게 하도급 대금을 지급했음을 증빙하는 증빙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증빙 데이터의 허위 사실을 검증한 후에 상기 증빙 데이터를 상기 조달청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는
    전자세금계산서, 간이영수증, 카드 사용 내역 및 타 은행에서 발생된 입출금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방법.
  8. 조달청 서버와 연동된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발주자, 하청 업체 또는 원청 업체 각각의 계좌에 대한 하도급 대금의 입출금을 관리하고, 상기 대금의 입출금 과정에서 상기 하도급 대금의 지급 사실을 상기 발주자 또는 상기 조달청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통보되는 것에 대한 동의여부를 상기 원청 업체에게 확인하는 계좌 관리부; 및
    복수의 금융 기관들 각각으로부터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중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에게 하도급 대금을 지급했음을 증빙하는 증빙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조달청 서버에 제공하는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 관리부는
    상기 발주자 계좌에 하도급 대금이 입금되면, 상기 발주자 계좌에서 하도급 대금을 출금하여 상기 원청 업체의 계좌에 상기 하도급 대금을 입금함과 동시에 출금하여 상기 하청 업체의 계좌에 상기 하도급 대금을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 관리부는
    상기 발주자 계좌에 하도급 대금이 입금되면, 상기 하도급 대금을 출금하여 에스크로우(Escrow) 계좌에 입금시키고, 기 설정된 기간이 후에 상기 에스크로우 계좌에 있는 하도급 대금을 출금하여 상기 하청 업체의 계좌에 입금하고, 상기 하도급 대금을 하청 업체의 계좌에 지급할 때 상기 에스크로우 계좌에 적수를 적용하여 상기 에스크로우 계좌의 이자 금액을 산출하여 상기 원청 업체의 계좌에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 관리부는
    발주자, 하청 업체 또는 원청 업체 각각의 계좌에 대한 하도급 대금의 입출금시 입출금 거래내역에 거래 상세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거래 상세 정보는 계약구분코드 및 회계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금 지급 사실 증빙 데이터는
    전자세금계산서, 간이영수증, 카드 사용 내역 및 타 은행에서 발생된 입출금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13. 발주자, 원청 업체 및 하청 업체 사이의 하도급 대금 결제 과정을 관리하는 대금 결제 관리부; 및
    원청 업체가 하청 업체로 하도급 대금 지급 시 상기 원청 업체로부터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조달청 서버로부터 수신한 대금 지급 계획 정보에서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에 해당하는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원청 업체에 제공하고, 원청 업체에 의해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리스트에 있는 특정 항목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특정 항목의 속성을 지급 완료로 변경하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를 발주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원청 업체에 의한 상기 특정 항목의 지급 사실을 알리는 대금 지급 리스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급 대금 지급 식별자 번호는
    상기 원청 업체의 사업자 번호 또는 유관기관의 구분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청 업체에 의해 하청 계좌에 하도급 대금이 입금 완료되면, 상기 하도급 대금의 지급 사실을 상기 발주자 단말 및 상기 조달청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통보되는 것에 대한 동의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130045924A 2013-04-25 2013-04-25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1520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924A KR101520167B1 (ko) 2013-04-25 2013-04-25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924A KR101520167B1 (ko) 2013-04-25 2013-04-25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519A true KR20140127519A (ko) 2014-11-04
KR101520167B1 KR101520167B1 (ko) 2015-05-13

Family

ID=5245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924A KR101520167B1 (ko) 2013-04-25 2013-04-25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1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146A (ko) 2018-06-15 2021-07-19 홍종열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KR102649665B1 (ko) * 2023-06-02 2024-03-20 주식회사 앤티에스 자동 적정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하도급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하도급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233B1 (ko) * 2011-03-16 2011-06-07 엠씨지컨설팅(주) 업체간 거래대금 확인 및 투입ㆍ거래내역 관리시스템
KR101219079B1 (ko) * 2012-07-03 2013-01-17 웹케시 주식회사 노무비 지급을 보증하는 실시간 노무비 지급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146A (ko) 2018-06-15 2021-07-19 홍종열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KR102649665B1 (ko) * 2023-06-02 2024-03-20 주식회사 앤티에스 자동 적정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하도급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하도급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167B1 (ko)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03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network transactions
RU2645293C2 (ru) Использование инфраструктуры мобильных кошельков для поддержки множества поставщиков мобильных кошельков
US201003060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circulating a currency
US202200699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ying token validity to a task executed in a computing system
JP65685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017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a user with a task executed in a computing system
KR101303300B1 (ko) 담보거래 서비스 방법
KR20210090146A (ko)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JP202007184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媒体アクセス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20167B1 (ko)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140010588A (ko) 은행에 의한 과제비 중개 서비스 방법 및 은행 과제비 중개 서버
KR20130083050A (ko)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기관납부대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86759B1 (ko) 대금 수납 대행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US20220230154A1 (en) Method and system to dynamically route funding to virtual payment cards to resell subscription merchandise
US11810205B1 (en) Autom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n electronic ledger
KR20140127518A (ko) 원천징수 대행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JP5852636B2 (ja) マンション管理会社向け振込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0116337A1 (ja) 決済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決済業務支援方法
JP7432895B2 (ja) 暗号資産の買取・引取システム
KR101733836B1 (ko) 부동산 개발 자금 관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10082981A (ko) 등록금 신용카드 납부 시스템 및 방법
AU2007240205A1 (en) Automated Reconciliation of Transaction Records
KR20230133156A (ko) 금융 시스템 및 그의 금융 서비스 방법
US20130173328A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jection of resources into a flow of multiple resource utilization events
CN117011077A (zh) 一种业务和财务的综合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