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665B1 - 자동 적정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하도급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하도급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적정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하도급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하도급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665B1
KR102649665B1 KR1020230071585A KR20230071585A KR102649665B1 KR 102649665 B1 KR102649665 B1 KR 102649665B1 KR 1020230071585 A KR1020230071585 A KR 1020230071585A KR 20230071585 A KR20230071585 A KR 20230071585A KR 102649665 B1 KR102649665 B1 KR 102649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contract
adequacy
similar
ordering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티에스
Priority to KR102023007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은, 상대자 - 발주기관이 발주한 사업인 대상사업을 수행하는 자 -가 주관하는 하도급을 상기 발주기관이 관리하기 위한 하도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도급정보를 상기 상대자로부터 수신받는 송수신모듈; 상기 하도급정보를 이용하는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수급예정자가 도급을 수행하는데 적정한지에 대한 평가인 통합적정성을 산출하는 적정성산출모듈; 및 상기 통합적정성을 표시하고 상기 발주기관이 하도급을 승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하는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적정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하도급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하도급 관리 시스템 {A SUBCONTRACT MANAGEMENT METHOD BASED ON AUTOMATIC ADEQUACY ASSESSMENT AND A SUBCONTRAC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하도급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하도급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자동적으로 적정성 평가를 수행하여 발주기관과 상대자가 하도급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정부기관을 포함하는 공공기관은 정책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에 한해 사업을 경쟁 입찰을 하여, 이를 대신 수행할 상대자를 선별한다. 발주기관은 상대자와 계약을 진행하고, 상대자는 계약에서 약속한 기한 내, 예산 범위 내, 계약한 업무 내용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대자는 계약한 내용을 직접 수행할 수 있지만,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다른 업체(수급자)에 도급을 주어 협업할 수 있다. 이 때, 상대자는 도급을 줄 경우 도급에 대해서 발주기관에 미리 허락을 받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만, 기존의 경우 발주기관의 담당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도급 허용 여부에 대해서 결정하였기에, 객관적인 평가와 판단이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가 존재하였으며, 새로운 공직 비리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객관화된 방법을 기반으로 수급예정자를 평가하고, 발주기관과 상대자가 도급 상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하도급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은, 상대자 - 발주기관이 발주한 사업인 대상사업을 수행하는 자 -가 주관하는 하도급을 상기 발주기관이 관리하기 위한 하도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도급정보를 상기 상대자로부터 수신받는 송수신모듈; 상기 하도급정보를 이용하는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수급예정자가 도급을 수행하는데 적정한지에 대한 평가인 통합적정성을 산출하는 적정성산출모듈; 및 상기 통합적정성을 표시하고 상기 발주기관이 하도급을 승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하는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방법은, 미리 정해진 자격평가 방법을 기초로 산출되며 상기 수급예정자의 수행 자격과 관련된 것인 자격적정성과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을 기초로 산출되며 상기 수급예정자의 수행 능력과 관련된 것인 능력적정성을 기초로 상기 통합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은, 상기 수급예정자가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수행한 경험 또는 상기 수급예정자의 전체 수행 인력 중에서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수행한 경험을 가지는 수행 인력의 비율을 선택적으로 반영하여 산출되는 실현성을 고려하여 상기 능력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은, 상기 상대자가 상기 수급예정자에게 하도급의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이 상기 발주기관이 상기 상대자에게 대상사업의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통해 산출되는 일치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능력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은, 상기 발주기관과 상기 상대자가 상기 대상사업을 계약할 당시에 예정된 하도급의 계약금액과 하도급 금액과 상기 상대자와 상기 수급예정자가 진정으로 이루어진 하도급의 계약금액을 서로 비교하여 산출되는 공정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능력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대상사업으로부터 기준유사한도 이내로 유사한지 여부를 통해,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유사판단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주 인터페이스는, 상기 하도급정보 중에서 상기 대상사업과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된 사업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하고, 상기 유사판단모듈은, 미리 정해진 유사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유사설정 방법은, 임의의 기간동안 진행되었던 사업들 중에 상기 대상사업과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사업의 비중을 기초로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주기관의 담장자의 상급자인 관리자의 성향을 분석하여 관리자가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는 성향분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주 인터페이스는, 관리자가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가 적용되어 상기 하도급정보 중에서 상기 대상사업과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된 사업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도급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진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적정성산출모듈은, OCR 기법을 이용하여 증빙파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 방법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방법은, 하도급 관리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며, 상대자 - 발주기관이 발주한 사업인 대상사업을 수행하는 자 - 가 주관하는 하도급을 발주기관이 관리하기 위한, 하도급 관리 방법에 있어서, 송수신모듈에 의해, 하도급정보가 상기 상대자로부터 수신받는 단계; 적정성산출모듈에 의해, 상기 하도급정보를 이용하는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수급예정자가 도급을 수행하는데 적정한지에 대한 평가인 통합적정성이 산출되는 단계; 및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에 의해, 상기 통합적정성이 표시되고 상기 발주기관의 담당자에게 승인을 요청하는 인터페이스가 산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도급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하도급 관리 시스템은 공공기관의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주기관의 도급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대자의 도급 승인 요청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의 관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하도급 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의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의 상대 인터페이스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의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의 발주 인터페이스 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100)의 관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100)은 발주기관의 컴퓨팅장치(200)(이하, 발주기관으로 포괄하여 칭함)와 상대자의 컴퓨팅장치(300)(이하, 상대자로 포괄하여 칭함) 유/무선으로 정보 통신 가능하게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네트워크라 함은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컴퓨팅 장치는 정보 처리 연산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단말기 등이 포함되는 이동 단말기 및/또는 스마트 TV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발주기관은 대상사업을 발주하여 상대자에게 상응하는 대가(현금)을 지불하는 기관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발주기관은 공공기관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발주기관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대자는 발주기관과 대상사업에 대해서 계약하는 개인, 회사 및/또는 기관을 의미할 수 있다.
하도급 관리 시스템(100)은 발주기관과 상대자가 하도급 계약을 효과적으로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 연산 및 인터페이스를 발주기관과 상대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하도급 관리 시스템(100)에 및 하도급 관리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100)은 상대자 - 발주기관이 발주한 사업인 대상사업을 수행하는 자 -가 주관하는 하도급을 상기 발주기관이 관리하기 위한 하도급 관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하도급정보를 상기 상대자로부터 수신받는 송수신모듈(110), 상기 하도급정보를 이용하는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수급예정자가 도급을 수행하는데 적정한지에 대한 평가인 통합적정성을 산출하는 적정성산출모듈(120) 및 상기 통합적정성을 표시하고 상기 발주기관이 하도급을 승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하는 발주 인터페이스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약정보, 하도급정보 등 하도급 관리 방법이 구현되는데 필요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모듈(140), 하도급 관리 방법이 구현되는데 필요한 연산을 처리하는 연산모듈(150) 및 상대자 컴퓨팅 장치에 제공되며 상대자가 하도급정보를 입력하고, 도급과 관련된 정보들을 관리하고 살펴볼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하는 상대 인터페이스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모듈(110)은 다른 컴퓨팅 장치, 서버 및/또는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저장모듈(140)은 하도급 관리 방법이 구현되는데 필요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상대자가 그 동안에 수행했었던 사업에 대한 정보, 상대자가 하도급을 진행했었던 내역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발주기관과 상대자가 하도급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도 저장모듈(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발주기관의 아이디와 비번, 발주기관의 직원들의 신상정보, 발주기관이 발주했었던 사업 리스트, 발주기관이 현재 발주하여 진행 중인 사업들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모듈(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대자의 아이디와 비번, 상대자의 직원들의 신상정보, 상대자가 수행했었던 사업 리스트, 상대자가 현재 담당하여 진행 중인 사업들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모듈(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저장 모듈은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내장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산모듈(150)은 각각의 모듈이 수행하는 연산 이외에 발주기관과 상대자가 하도급을 관리하고 운영하는데 필요한 정보처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발주 인터페이스모듈(130)은 발주기관이 하도급을 승인하고, 하도급의 진행상황과 하도급의 기본정보를 살펴볼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하여 송수신모듈(110)을 통해 발주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
발주기관의 담당자 또는 관리자는 발주 인터페이스모듈(130)로부터 제공받는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장치에서 동작시켜, 필요한 하도급정보를 검색하고, 하도급을 승인하고, 하도급에 대한 통계를 살펴보는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대 인터페이스모듈(160)은 상대자가 하도급의 승인을 요청하고, 하도급 변경신청을 수행하고, 하도급 신청 처리 상태를 살펴볼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하여 송수신모듈(110)을 통해 발주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대 인터페이스모듈(160)은 하도급정보를 입력하고 업로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하여 상대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하도급정보는 하도급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하도급정보는 텍스트 자체와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대자의 담당자는 상대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장치에서 동작시켜, 하도급정보를 입력하고, 하도급의 승인/변경을 요청하고, 하도급의 신청처리 상태를 살펴보는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적정성산출모듈(120)은 하도급정보를 이용하는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수급예정자가 도급을 수행하는데 적정한지에 대한 평가인 통합적정성을 산출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방법은 미리 정해진 자격평가 방법을 기초로 산출되며 상기 수급예정자의 수행 자격과 관련된 것인 자격적정성과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을 기초로 산출되며 상기 수급예정자의 수행 능력과 관련된 것인 능력적정성을 기초로 상기 통합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방법은 상기 자격적정성과 상기 능력적정성을 기초로 평가값을 산출하여 상기 통합적정성이 인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일 수 있다.
통합적정성은 평가값이 소정 값 이상일 경우에 통합적정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일례로, 통합적정성은 평가값이 85점 이상일 경우에 인정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합적정성이 인정되는 평가값의 구체적인 수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미리 정해진 자격평가방법은 수급예정자가 부정당업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판단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정성산출모듈(120)은 공공기관 서버에 수급예정자가 부당업체인지 여부를 확인 요청할 수 있으며,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자격적정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공공기관은 조달청일 수 있다.
자격적정성이 흠결일 경우, 평가값이 25점 깍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자격적정성이 흠결일 경우, 마이너스 되는 평가값의 구체적인 수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능력적정성은 실현성, 수행성, 공정성, 일치성, 가점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은 상기 수급예정자가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수행한 경험 또는 상기 수급예정자의 전체 수행 인력 중에서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수행한 경험을 가지는 수행 인력의 비율을 선택적으로 반영하여 산출되는 실현성을 고려하여 상기 능력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적정성산출모듈(120)은 상기 수급예정자가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수행한 경험에 의한 평가값과 상기 수급예정자의 전체 수행 인력 중에서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수행한 경험을 가지는 수행 인력의 비율에 의한 평가값 중에서 높은 평가값으로 능력적정성에 반영할 수 있다.
실현성으로 최대 30점 평가값이 부여될 수 있다.
일례로, 수급예정자가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수행한 경험은 하도급 계약금액 대니 최근 3년간 유사사업 수행 실적 합산액의 비율로서 평가될 수 있다.
만일, 해당 비율이 100%이상일 경우 평가값이 30점이고, 100% 미만 80% 이상일 경우 평가값이 28점이고, 80% 미만 60% 이상일 경우 평가값이 26점이고, 60% 미만 50% 이상일 경우 평가값이 16점 내지 25점이고, 50% 미만일 경우 평가값이 15점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급예정자의 전체 수행 인력 중에서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수행한 경험을 가지는 수행 인력의 비율이 70%이상일 경우 평가값이 30점이고, 70%미만 60% 이상일 경우 평가값이 28점이고, 60% 미만 50% 이상일 경우 평가값이 26점이고, 50% 미만 40% 이상일 경우 16점 내지 25점이고, 40% 미만일 경우 평가값이 15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구체적인 비율과 이에 대응되는 평가값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은 수급예정자의 수행인력들의 고용 상태를 기반으로 하도급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인 수행성을 고려하여 상기 능력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수행성으로 최대 10점 평가값이 부여될 수 있다.
일례로, 수행성은 일반근로자의 경우 근로보험 가입여부, 파견근로자일 경우 근로자파견사업허가업체에 고용보험가입여부, 고용보험법이 적용되지 않는 인력의 경우 신분 증명 가능 여부로 평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급예정자는 근로 보험 가입 여부를 증명하는 서류, 고용보험법이 적용되지 않는 인력의 경우 신분을 증명하는 서류, 대표자일 경우 사업자등록증을 하도급 관리 시스템(1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적정성산출모듈(120)은 수행성에서 요구되는 사항들이 모두 만족될 경우 수행성 평가값을 10점 부여하고, 하나라도 만족되지 않을 경우 수행성 평가값을 0점 처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행성 평가값의 구체적인 수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은 상기 발주기관과 상기 상대자가 상기 대상사업을 계약할 당시에 예정된 하도급의 계약금액과 하도급 금액과 상기 상대자와 상기 수급예정자가 진정으로 이루어진 하도급의 계약금액을 서로 비교하여 산출되는 공정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능력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공정성은 최대 30점 평가값이 부여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주기관과 상기 상대자가 상기 대상사업을 계약할 당시에 예정된 하도급의 계약금액 대비 하도급 금액과 상기 상대자와 상기 수급예정자가 진정으로 이루어진 하도급의 계약금액의 비율이 95% 이상일 공정성 평가값이 30점이고, 95% 미만 09% 이상일 경우 평가값이 25점이고, 90% 미만 85% 이상일 경우 20점이고, 85% 미만 80%이상일 경우 15점이고, 80% 미만 70% 이상일 경우 10점이고, 70% 미만일 경우 5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구체적인 비율과 이에 대응 되는 평가값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은 상기 상대자가 상기 수급예정자에게 하도급의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이 상기 발주기관이 상기 상대자에게 대상사업의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통해 산출되는 일치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능력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일치성은 대금지급 방식(현금/어음 등), 지급 시기 및 지급률(선금/중도금/잔금)을 모두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일치성으로 최대 30점 평가값이 부여될 수 있다.
일례로, 대금지급 방식, 지급시기 및 지급률이 전부 일치할 경우 일치성의 평가값은 30점일 수 있다. 대금지급 방식이 불일치 할 경우 일치성의 평가값은 0점일 수 있다. 대금지급 방식은 일치하고 지급시기 및 지급률 중 하나만 일치할 경우 일치성의 평가값은 15점일 수 있다. 대금지급 방식은 일치하나 지급시기와 지급률 모두 불일치 할 경우, 일치성의 평가값은 0점일 수 있다.
여기서, 발주기관이 상대자에게 대상사업의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보다 상대자가 수급예정자에게 하도급의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이 더 유리할 경우, 지급시기와 지급율이 서로 일치된다고 판단될 수 있다.
대금지급 방식에서 현금, 카드, 어음 순으로 유리할 수 있다. 즉, 현금 지급 방식이 가장 유리할 수 있다.
지급시기에서 지급시기가 먼저인 방법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지급률에서 선금의 비율이 더 높은 방법이 더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발주기관이 상대자에게 대상사업의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과 상대자가 수급예정자에게 하도급의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 중에서, 세 가지의 지급방법(대금지급 방식, 지급시기, 지급률) 중에서 더 많은 유리한 지급방법을 가진 방법이 더 유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유리함을 판단하는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은 미리 정해진 가점 사항이 있는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능력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정해진 가점 사항은 최근 3년간 수급예정자가 유효기간 내에 있는 소프트웨어 관련 인증을 획득하였는지 여부, 최근 3년간 수급예정자의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수상 경력이 존재하는지 여부일 수 있다.
일례로, 최근 3년간 수급예정자가 유효기간 내에 있는 소프트웨어 관련 인증을 획득하였다면 평가값 2점이 가점될 수 있다.
일례로, 소프트웨어 관련 인증은, 소프트웨어프로세스(SP), 소프트웨어 품질인증(GS 1등급, 2등급), 정보보호시스템인증(CC), 국가정보원 검증/지정, 신기술인증(NET), 신제품인증(NEP) 등 국가인증 및 국제표준인증일 수 있다.
일례로, 최근 3년간 수급예정자의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수상 경력이 존재한다면, 1회당 평가값 1점이 가점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 중에 최근 3년을 판단하는 기산점은 적정성산출모듈(120)이 통합적정성을 산출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적정성산출모듈은 능력적정성을 판단하는 능력모델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능력모델을 상기 능력적정성을 자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능력모델은 과거의 하도급에 대한 정보와 능력적정성에 대한 평가값 및 능력적정성 평가 방법에 대한 정보를 기계학습 및/또는 딥러닝하여 생성될 수 있다.
기계학습 및/또는 딥러닝 알고리즘은 오픈소스를 활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능력모델은 일치성의 평가값을 자동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능력모델은 대금지급 방식이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 지급 시기 및 지급률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능력모델은 발주기관이 상대자에게 대상사업의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 과 상대자가 수급예정자에게 하도급의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을 서로 비교하여, 어느 방법이 더욱 유리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능력모델 학습 시에, 과거의 발주기관이 상대자에게 대상사업의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 상대자가 수급예정자에게 하도급의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 및 어느 방법이 유리한지에 대한 결과값도 함께 기계학습 및/또는 딥러닝될 수 있다.
다만, 이에 능력모델의 기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능력모델은 실현성, 수행성, 공정성 및 가점도 자동적으로 판단하고 산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와 정보들이 수집되고 입력되어 기계학습 및/또는 딥러닝될 수 있다.
이하, 하도급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구현되는 하도급 관리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하도급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방법은, 하도급 관리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며, 상대자 - 발주기관이 발주한 사업인 대상사업을 수행하는 자 - 가 주관하는 하도급을 발주기관이 관리하기 위한, 하도급 관리 방법에 있어서, 송수신모듈에 의해, 하도급정보가 상기 상대자로부터 수신받는 단계, 적정성산출모듈에 의해, 상기 하도급정보를 이용하는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수급예정자가 도급을 수행하는데 적정한지에 대한 평가인 통합적정성이 산출되는 단계 및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에 의해, 상기 통합적정성이 표시되고 상기 발주기관의 담당자에게 승인을 요청하는 인터페이스가 산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의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담당자와 관리자가 하도급 관리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은 대상사업의 담당자 및 담당자의 관리자에게 발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대상사업 담당자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기본정보들을 발주 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제공받는 인터페이스에 입력하여, 하도급 관리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일례로, 대상사업과 관련된 기본정보는 사업명, 계약금액, 계약기간, 사업유형, 계약관련서류, 수행사(상대자) 담당자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술한 기본정보의 예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의 상대 인터페이스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상대자는 상대 인터페이스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자신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도급 관리 시스템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발주기관과 상대자가 대상사업에 대해서 계약 체결 이후, 상대자는 계약과 관련된 정보 및 자료를 하도급 관리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대자는 하도급으로 신청하고자 하는 수급예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도급정보를 입력하고, 발주기관으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하도급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진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하도급정보는 수급예정자에 대한 정보, 하도급에 대한 정보 및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정보와 증빙서류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수급예정자에 대한 정보는 기업명, 법인번호, 사업자등록번호, 하도급 계약 금액, 하도급 계약기간, 사업범위, 하자담보 책임지간, 하도급 관련 계약 서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정보와 증빙서류는 대상사업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는 사업수행실적 정보, 하도급에 참여하는 인력의 고용보험 가입에 대한 정보, 하도급의 대금지급 방식을 입증하는 정보, 가점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대상사업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는 사업수행실적 내용은 수급예정자가 최근 3년간 유사 사업을 수행한 실적으로서, 사업명, 계약기간, 계약금맥 및 계약증빙서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사업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는 사업수행실적 내용은 최근 3년간 대상 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수행한 인력에 대한 실적으로서, 참여인력의 성명, 참여기간, 사업수행 증빙 서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도급에 참여하는 인력의 고용보험 가입에 대한 정보는 투입인력의 고용보험증명서, 예외서류, 사업자등록증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하도급의 대금지급 방식을 입증하는 정보는 대금지급방식이 어음, 현금 등인지 여부, 지급시기, 지급률(선금, 중도금 및 잔금의 비율)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가점에 대한 정보는 3년 이내 소프트웨어 관련 인증을 받은 정보로서 인증서 이름과 인증 관련 증빙서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점에 대한 정보는 3년 이내 수상 경력과 관련된 정보로서 3년 이내 수상한 수상명과 수상을 입증할 수 있는 증빙서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자가 하도급 관리 시스템에 업로드한 하도급정보를 기초로 적정성산출모듈은 통합적정성을 자동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적정성산출모듈은 OCR 기법을 이용하여 증빙파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 방법에 활용할 수 있다.
일례로, 하도급정보는 증빙서류 파일로만 이루어지고, 적정성산출모듈은 OCR 기법을 활용하여 하도급정보들을 추출하여,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 방법에 활용할 수 있다.
일례로, 적정성산출모듈은 OCR 기법을 활용하여 하도급정보들을 추출하여, 상대자가 입력한 텍스트 정보와 비교하여, 텍스트 정보가 옳바른지 비교 판단하고, 두 정보들이 상이할 경우, 상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를 상대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대자의 하도급 승인 요청에 대해 발주기관의 담당자는 하도급에 대한 평가와 정보들을 살펴보고 이를 승인할 수 있다.
이하, 승인 과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의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는 발주기관이 진행하고 있는 사업에 대한 리스트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사업들에 대한 기본 계약정보를 등록하고 살펴볼 수 있으며, 하도급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승인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사업들에 대한 통계와 현황들을 살펴볼 수 있으며, 이력들을 관리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담당자가 도 6의 '적정성 검토' UI를 활성화하면, 적정성 검토 결과에 대해서, 대상사업 담당자가 살펴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격 적정 여부와 수행능력 적성 평가 결과를 살펴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실현성'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결과(평가값)와 상대자가 입력하고 업로드한 텍스트 정보와 증빙서류들을 발주기관 담당자가 살펴볼 수 있다.
담당자는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실현성' 평가와 관련된 결과값과 수급정보들을 최종 검토하여 '실현성' 평가에 대해서 '승인'하거나 '반려'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수행성'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결과(평가값)과 상대자가 입력하고 업로드한 텍스트 정보와 증빙서류들을 발주기관 담당자가 살펴볼 수 있다.
담당자는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수행성' 평가와 관련된 결과값과 수급정보들을 최종 검토하여 '수행성' 평가에 대해서 '승인'하거나 '반려'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정성'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결과(평가값)과 상대자가 입력하고 업로드한 텍스트 정보와 증빙서류들을 발주기관 담당자가 살펴볼 수 있다.
담당자는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서 '공정성' 평가와 관련된 결과값과 수급정보들을 최종 검토하여 '공정성' 평가에 대해서 '승인'하거나 '반려'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치성'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결과(평가값)과 상대자가 입력하고 업로드한 텍스트 정보와 증빙서류들을 발주기관 담당자가 살펴볼 수 있다.
담당자는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일치성' 평가와 관련된 결과값과 수급정보들을 최종 검토하여 '일치성' 평가에 대해서 '승인'하거나 '반려'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가점'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결과(평가값)과 상대자가 입력하고 업로드한 텍스트 정보와 증빙서류들을 발주기관 담당자가 살펴볼 수 있다.
담당자는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서 '가점' 평가와 관련된 결과값과 수급정보들을 최종 검토하여 '가점' 평가에 대해서 '승인'하거나 '반려'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모든 항목에 대해서 담당자가 승인하면,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은 앞서 적정성산출모듈이 평가한 각 항목들에 대한 평가값 및 감점된 사유가 기재된 통합표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하여 관리자 컴퓨팅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합표는 상대자의 컴퓨팅 장치로도 전달되어, 상대자도 통합표를 살펴보고, 감점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다.
모든 항목에 대해서 담당자가 승인하면,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은 관리자에게 최종 승인을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하여 관리자 컴퓨팅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가 최종 승인을 함으로써, 상대자의 하도급이 승인될 수 있으며, 하도급 관리 시스템에 의해 상대자도 승인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대자는 발주기관에 하도급을 요청하기 전에 하도급이 적정한지를 자가 진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대 인터페이스모듈(160)은 자가 진단 프로세스를 상대자에 제공하며, 상재자는 하도급정보를 입력하고 업로드 하여, 하도급의 적정성 여부를 미리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도 13과 같이 평가값과 감점된 사유가 기재된 통합표로 표현될 수 있다.
상대자는 하도급의 통합적정성 판단을 미리 시뮬레이션 해볼 수 있어, 진정으로 하도급 신청할 때 더욱 완벽히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은 대상사업으로부터 기준유사한도 이내로 유사한지 여부를 통해,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유사판단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도급 관리 시스템은 상기 발주기관의 담장자의 상급자인 관리자의 성향을 분석하여 관리자가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는 성향분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관리 시스템의 발주 인터페이스 모듈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은 상기 하도급정보 중에서 상기 대상사업과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된 사업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실현성' 판단 시에 유사 사업 수행 실적에 해당되지 않는 사업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대자는 유사 사업 수행 실적이라고 주장하나, 유사판단모듈이 실질적으로 유사한 사업이 아니라고 판단한 것으로서, 담당자의 재 확인이 필요한 사항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유사판단모듈은 미리 정해진 유사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유사설정 방법은 임의의 기간동안 진행되었던 사업들 중에 상기 대상사업과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사업의 비중을 기초로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일례로, 사업은 3가지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업은 대분류 카테고리, 중분류 카테고리 및 소분류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대분류 카테고리는 사업의 업무분야를 구분하는 카테고리일 수 있다.
일례로, 교육분야, 건설분야, 법률분야 등으로 구분되는 카테고리일 수 있다.
중분류 카테고리는 대분류 카테고리를 세분화하는 카테고리로서, 대분류 카테고리의 하위 개념 카테고리일 수 있다.
일례로, 대분류 카테고리가 교육분야라면, 중분류 카테고리는 소프트웨어, 수학, 과학, 공학, 철학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대분류 카테고리가 법률분야라면, 중분류 카테고리는 민법, 형법, 지재권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소분류 카테고리는 중분류 카테고리를 세분화하는 카테고리로서, 중분류 카테고리의 하위 개념 카테고리로서 업무를 구체화하는 카테고리일 수 있다.
일례로, 중분류 카테고리가 소프트웨어라면, 하위 카테고리는 실무교육, 이론교육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준유사한도는 총 3단계로 구분되어, 제1 한도, 제2 한도 및 제3 한도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한도는 대분류 카테고리만 동일할 경우 유사하다고 판단되도록 하는 유사한도일 수 있다.
제2 한도는 대분류 카테고리, 중분류 카테고리 모두 동일할 경우 유사하다고 판단되도록 하는 유사한도 일 수 있다.
제3 한도는 대분류 카테고리, 중분류 카테고리 및 소분류 카테고리 모두 동일할 경우 유사하다고 판단되도록 하는 유사한도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유사설정방법은 판단 시점으로부터 역산하여 최근 3년 동안 국내에서 진행된 공공기관 사업들 중에서 대상사업과 대,중,소분류 카테고리가 동일한 사업의 비율을 기초로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대상사업과 대,중,소분류 카테고리가 동일한 사업의 비율이 낮을수록 기준유사한도가 높아지고, 대상사업과 대,중,소분류 카테고리가 동일한 사업의 비율이 높을수록 기준유사한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일례로, 대상사업과 대,중,소분류 카테고리가 동일한 사업의 비율이 0% 이상 내지 3% 미만 일 경우 기준유사한도는 제1 한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대상사업과 대,중,소분류 카테고리가 동일한 사업의 비율이 3% 이상 내지 6% 미만 일 경우 기준유사한도는 제2 한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대상사업과 대,중,소분류 카테고리가 동일한 사업의 비율이 6% 이상 내지 10% 미만 일 경우 기준유사한도는 제3 한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새로운 사업일 경우, 유사 사업 실적이 없을 가능성이 너무 높기에, 사업 내용과 관계없이 일률적인 유사 판단 기준을 제시할 경우, 상대자에게 너무 가혹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고자, 유사판단모듈은 기준유사한도를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효과적인 하도급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성향분석모듈은 관리자가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를 추가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저장모듈에는 관리자의 최종 승인 히스토리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성향분석모듈은 관리자의 최종 승인 히스토리들을 기반으로 관리자가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는 제1 선호파악모델을 딥러닝하여 생성할 수 있다.
딥러닝 알고리즘은 오픈소스를 활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선호파악모델을 유사판단모듈이 판단한 기준유사한도가 제3 한도 또는 제2 한도일 경우, 관리자가 이를 승인하는지 승인하지 않는지를 기초로, 관리자가 선호나는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한도 및 제3 한도의 경우, 관리자가 이를 승인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만일, 저장모듈에는 관리자의 최종 승인 히스토리들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관리자가 승진한지 얼마되지 않을 경우일 수 있다.
성향분석모듈은 관리자가 하도급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식과 패턴을 기반으로 관리자의 안정성과 효율성 성향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는 제2 선호파악모델을 딥러닝하여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의 성향은 안정성 성향과 효율성 성향의 합이 100으로 하여 분석될 수 있다.
안정성 성향이 높을수록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는 낮아지고, 효율성 성향이 높을수록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는 높아질 수 있다.
성향분석모듈은 저장모듈에 관리자의 최종 승인 히스토리들이 저장되어 있을 경우 제1 선호파악모델을 통해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고, 저장모듈에 관리자의 최종 승인 히스토리들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2 선호파악모델을 통해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관리자가 승진하기 전에는 담당자로서 하도급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였기 때문에, 최종 승인 히스토리가 없을 경우 운영 패턴을 기반으로 선호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은 관리자가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가 적용되어 상기 하도급정보 중에서 상기 대상사업과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된 사업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자는 자신의 상급자인 관리자가 승인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실적과 AI 기반 시스템이 예측하여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사업실적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관적으로 인터페이스(빗금친 부분)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관리자는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기반으로 '실현성'에 대해서 승인 또는 반려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110 : 송수신모듈 120 : 적정성산출모듈
130 : 발주 인터페이스모듈 140 : 저장모듈

Claims (10)

  1. 상대자 - 발주기관이 발주한 사업인 대상사업을 수행하는 자 -가 주관하는 하도급을 상기 발주기관이 관리하기 위한 하도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도급정보를 상기 상대자의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받는 송수신모듈;
    상기 하도급정보를 이용하는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 방법에 기초하여 수급예정자가 도급을 수행하는데 적정한지에 대한 평가인 통합적정성을 산출하는 적정성산출모듈;
    상기 통합적정성을 표시하고 상기 발주기관이 하도급을 승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하는 발주 인터페이스모듈;
    상기 대상사업으로부터 기준유사한도 이내로 유사한지 여부를 통해,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유사판단모듈; 및
    상기 발주기관의 담당자의 상급자인 관리자의 성향을 분석하여 관리자가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는 성향분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방법은,
    미리 정해진 자격평가 방법을 기초로 산출되며 상기 수급예정자의 수행 자격과 관련된 것인 자격적정성과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을 기초로 산출되며 상기 수급예정자의 수행 능력과 관련된 것인 능력적정성을 기초로 상기 통합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은,
    상기 수급예정자가 상기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수행한 경험에 의한 평가값과 상기 수급예정자의 전체 수행 인력 중에서 상기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수행한 경험을 가지는 수행 인력의 비율에 의한 평가값 중에서 높은 평가값을 반영하여 산출되는 실현성을 고려하여 상기 능력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이며,
    상기 유사판단모듈은,
    미리 정해진 유사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여 적용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유사설정 방법은,
    임의의 기간동안 진행되었던 사업들 중에 상기 대상사업과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사업의 비중을 기초로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사업과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사업의 비율이 낮을수록 기준유사한도가 높아지고, 상기 대상사업과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사업의 비율이 높을수록 기준유사한도가 낮아지게 상기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는 방법이며,
    상기 성향분석모듈은,
    관리자가 하도급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식과 패턴을 기반으로 관리자의 안정성과 효율성 성향을 분석하고, 관리자의 안정성 성향이 높을수록 기준유사한도를 낮추고, 관리자의 효율성 성향이 높을수록 기준유사한도를 높여, 관리자가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고,
    상기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은,
    관리자가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가 적용되어 상기 하도급정보 중에서 상기 대상사업과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된 사업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하는,
    하도급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은,
    상기 상대자가 상기 수급예정자에게 하도급의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이 상기 발주기관이 상기 상대자에게 상기 대상사업의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통해 산출되는 일치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능력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인,
    하도급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은,
    상기 발주기관과 상기 상대자가 상기 대상사업을 계약할 당시에 예정된 하도급의 계약금액과 하도급 금액과 상기 상대자와 상기 수급예정자가 진정으로 이루어진 하도급의 계약금액을 서로 비교하여 산출되는 공정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능력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인,
    하도급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급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진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적정성산출모듈은,
    OCR 기법을 이용하여 증빙파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 방법에 활용하는,
    하도급 관리 시스템.
  10. 하도급 관리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며, 상대자 - 발주기관이 발주한 사업인 대상사업을 수행하는 자 - 가 주관하는 하도급을 발주기관이 관리하기 위한, 하도급 관리 방법에 있어서,
    송수신모듈에 의해, 하도급정보가 상기 상대자의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받는 단계;
    적정성산출모듈에 의해, 상기 하도급정보를 이용하는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 방법에 기초하여 수급예정자가 도급을 수행하는데 적정한지에 대한 평가인 통합적정성이 산출되는 단계;
    유사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대상사업과 기준유사한도 이내로 유사한지 여부를 통해, 상기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성향분석모듈에 의해, 상기 발주기관의 상급자인 관리자의 성향이 분석되어 관리자가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가 산출되는 단계; 및
    발주 인터페이스모듈에 의해, 상기 통합적정성이 표시되고 상기 발주기관의 담당자에게 승인을 요청하는 인터페이스가 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통합평가방법은,
    미리 정해진 자격평가 방법을 기초로 산출되며 상기 수급예정자의 수행 자격과 관련된 것인 자격적정성과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을 기초로 산출되며 상기 수급예정자의 수행 능력과 관련된 것인 능력적정성을 기초로 상기 통합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능력평가 방법은,
    상기 수급예정자가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수행한 경험에 의한 평가값과 상기 수급예정자의 전체 수행 인력 중에서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수행한 경험을 가지는 수행 인력의 비율에 의한 평가값 중에서 높은 평가값을 반영하여 산출되는 실현성을 고려하여 상기 능력적정성을 산출하는 방법이며,
    상기 대상사업과 유사한 사업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는,
    상기 유사판단모듈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유사설정 방법이 이용되어 기준유사한도가 산출되고 적용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유사설정 방법은,
    임의의 기간동안 진행되었던 사업들 중에 상기 대상사업과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사업의 비중을 기초로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사업과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사업의 비율이 낮을수록 기준유사한도가 높아자고, 상기 대상사업과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사업의 비율이 높을수록 기준유사한도가 낮아지게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는 방법이며,
    관리자가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가 산출되는 단계는,
    성향분석모듈에 의해, 관리자가 하도급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식과 패턴을 기반으로 관리자의 안정성과 효율성 성향이 분석되고, 관리자의 안정성 성향이 높을수록 기준유사한도가 낮아지고, 관리자의 효율성 성향이 높을수록 기준유사한도를 높여, 관리자가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를 산출하고,
    인터페이스가 산출되는 단계는,
    발주 인터페이모듈에 의해, 관리자가 선호하는 기준유사한도가 적용되어 상기 하도급정보 중에서 상기 대상사업과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된 사업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산출되는 단계인,
    하도급 관리 방법.
KR1020230071585A 2023-06-02 2023-06-02 자동 적정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하도급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하도급 관리 시스템 KR102649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585A KR102649665B1 (ko) 2023-06-02 2023-06-02 자동 적정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하도급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하도급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585A KR102649665B1 (ko) 2023-06-02 2023-06-02 자동 적정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하도급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하도급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665B1 true KR102649665B1 (ko) 2024-03-20

Family

ID=9048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585A KR102649665B1 (ko) 2023-06-02 2023-06-02 자동 적정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하도급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하도급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6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727A (ko) * 2011-12-15 2013-07-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온라인 입찰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7519A (ko) * 2013-04-25 2014-11-04 주식회사 우리은행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1904690B1 (ko) * 2018-03-05 2018-10-04 이영호 프로젝트 통합 관제 방법 및 시스템
JP2020135098A (ja) * 2019-02-14 2020-08-31 三機工業株式会社 施工管理システムおよび施工管理方法
KR20230060128A (ko) * 2021-10-27 2023-05-04 유홍태 적격심사엔진을 이용한 전자입찰정보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727A (ko) * 2011-12-15 2013-07-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온라인 입찰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7519A (ko) * 2013-04-25 2014-11-04 주식회사 우리은행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1904690B1 (ko) * 2018-03-05 2018-10-04 이영호 프로젝트 통합 관제 방법 및 시스템
JP2020135098A (ja) * 2019-02-14 2020-08-31 三機工業株式会社 施工管理システムおよび施工管理方法
KR20230060128A (ko) * 2021-10-27 2023-05-04 유홍태 적격심사엔진을 이용한 전자입찰정보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3935B2 (en) Automated recommendations for task automation
JP6612820B2 (ja) 人材プラットフォーム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U2009324521B2 (en) Construction project prequalification
US201401491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trategic sourcing and vendor management
US201200959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Information to Identify, and Act Upon, Intellectual Property Issues
US201300070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Identification and Matching of Funding and/or Advisory Seekers and Funding and/or Advisory Providers
US2020039472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fficient delivery of accounting and corporate planning services
US201200958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racts and Contract Bids
US10621535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onboard resources
US20170011325A1 (en) Provisioning An Integrated Recruiting, Training and Financing Service Via A Network
US201900268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Electronic Marketplace for Secure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 Contractors, Grantees, and Grant and Proposal Professionals
Gurung et al. Use of RegTech by Central Banks and its impact on financial inclusion
US20200097882A1 (en) Monitoring system for employment postings and applications and other transactions
KR102649665B1 (ko) 자동 적정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하도급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하도급 관리 시스템
Le Clair et al. The Forrester Wave™: Dynamic Case Management, Q1 2011
Susan et al. The widening horizons of information audit
Melik The rise of the project workforce: Managing people and projects in a flat world
US20230316197A1 (en) Collaborative, multi-user platform for data integration and digital content sharing
US20210224900A1 (en) Stress testing and entity planning model execu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a
US117979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ment and negotiation of compensation
US20200272963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s for audit management
US8346582B1 (en) System for facilitating a project between contractors and owners
Jasimin et al. An exploratory survey on the adop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 streamlining Malaysia real estate during covid-19 pandemic
KR102491666B1 (ko) 기업-프리랜서의 매칭률 향상을 위한 에이전트 시스템
Bradfield Investigating successful federal government performance-based service contracts: a multiple-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