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197A -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197A
KR20140127197A KR1020140138361A KR20140138361A KR20140127197A KR 20140127197 A KR20140127197 A KR 20140127197A KR 1020140138361 A KR1020140138361 A KR 1020140138361A KR 20140138361 A KR20140138361 A KR 20140138361A KR 20140127197 A KR20140127197 A KR 20140127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cover
cushion
right end
left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558B1 (ko
Inventor
이주성
Original Assignee
이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성 filed Critical 이주성
Priority to KR1020140138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558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쿠션을 갖는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밀봉가능하도록 개폐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개폐부가 밀봉가능하게 구비된 밀봉부재;와 상기 커버 내부에 삽입부재를 삽입하여 밀봉한 뒤, 상기 커버를 의자 등받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내부에 쿠션재를 삽입하여 밀봉한 뒤, 커버를 의자 등받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서로 결합 가능한 두 개의 스트랩으로 이루어져 밀봉부재와 고정부재의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복합기능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의자 등받이에 고정부재를 감아 용이하게 탈부착을 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때, 쿠션을 통해 안락함 및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그 제조방법{Detachable cushion on the chair backres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삽입부재를 커버에 삽입한 뒤, 의자 등받이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직장들은 대부분 주5일제 근무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학교 역시 격주로 토요일을 쉬는 학교들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직장인이나 학생들 모두 주말에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아져 근교로 나가 오토캠핑을 하거나 레저활동 등 다양한 취미 활동을 즐기고 있다.
이때, 야외에서 사용하는 의자의 경우 휴대성을 강조하기 위해 구조가 단순하고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의자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의자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 대부분 머리와 목을 받쳐 주는 기능의 목 받침대나 베개 등이 없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접이식 의자에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낚시 등의 레저를 즐길 때, 머리를 편안하게 기댈 수 없어 자극을 받게 되므로 불편한 자세로 앉아 휴식을 취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가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목과 어깨에 통증이 유발되어 도리어 휴식에 방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의자 등받이에 부착하는 쿠션은 벨크로테이프나, 걸쇠부나, 고무밴드와 같은 것으로 의자 등받이에 고정하였다.
먼저, 벨크로테이프는 의자 등받이에 부착하는 쿠션 양 끝단에 구비되어, 의자 등받이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출시되었으나, 벨크로테이프를 천에 재봉한 것으로 일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쉽게 실밥이 터지는 등으로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고자, 쿠션을 의자 등받이에 고정시킬 때, 쿠션에 볼트를 연결하여 걸쇠부를 고정한 뒤, 의자 등받이에 걸쇠부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는데, 걸쇠부를 쿠션에 고정시킬 때 번거로움이 있으며, 걸쇠부가 의자로부터 쉽게 이탈되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쿠션 후면부에 고무밴드가 구비되어, 의자 등받이에 고무밴드로 끼워 고정하는 것은 일정기간 사용한 뒤에는 늘어짐 현상이 생기거나, 견고하게 쿠션을 의자 등받이에 고정할 수 없어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1627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 내부에 쿠션재를 삽입하여 밀봉한 뒤, 커버를 의자 등받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서로 결합 가능한 두 개의 스트랩으로 이루어져 밀봉부재와 고정부재의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복합기능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와 크기의 의자 등받이에 고정부재를 감아 용이하게 탈부착을 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때, 쿠션을 통해 안락함 및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쿠션을 갖는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밀봉가능하도록 개폐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개폐부가 밀봉가능하게 구비된 밀봉부재;와 상기 커버 내부에 삽입부재를 삽입하여 밀봉한 뒤, 상기 커버를 의자 등받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상면과 하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과 하면이 서로 중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와 고정부재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기능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복합기능부재는, 서로 결합 가능한 두 개의 스트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복합기능부재가 상기 개폐부에 배치되되, 제1스트랩의 좌측끝단과 우측끝단과, 제2스트랩의 좌측끝단과 우측끝단과,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좌측끝단과 우측끝단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하면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의 좌측끝단에 상기 제1스트랩의 좌측끝단이 결합된 후 상기 커버의 우측끝단을 지나 더 연장형성되어 결합된 제1스트랩; 상기 커버의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의 우측끝단에 상기 제2스트랩의 우측끝단이 결합된 후 상기 커버의 좌측끝단을 지나 더 연장형성되어 결합된 제2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밀봉부재 부위의 제1스트랩과 제2스트랩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하면 우측끝단에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은 상측을 향하고, 상기 커버의 상면 좌측끝단에 더 연장형성된 제2스트랩은 하측을 향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트랩에는, 암결합부 또는 수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스트랩에는, 수결합부 또는 암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기능부재는, 상기 개폐부의 하면과 상면이 중첩되게 구비됨에 따라, 상기 밀봉부재에 해당되는 상기 제1스트랩의 암결합부와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를 밀봉시킴으로써 상기 밀봉부재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복합기능부재는,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의 암결합부와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히되, 더 연장형성된 상기 제2스트랩이 먼저 접혀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그 다음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의 암결합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접혀 상기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와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가 밀봉된 커버를 의자 등받이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스트랩 및 제2스트랩은, 밀봉부재 기능을 수행하는 밀봉부재부위와 고정부재의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부재부위가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의 양 끝단 부분에 구비되어 의자 등받이에 감아서 고정시킨다.
또한, 고정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스트랩조절구가 구비된다.
그리고 (a) 천을 일정크기로 재단하는 천 재단단계; (b) 상기 천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복합기능부재를 구비시키는 복합기능부재 구비단계; (c) 상기 재단된 천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천의 상측면방향으로 접고, 접힌 천의 양쪽을 재봉하여 개폐부가 형성된 커버를 제조하는 커버제조단계; 및 (d) 상기 커버의 개폐부를 통해 상기 커버의 내부에 쿠션을 갖는 삽입부재를 삽입시키는 삽입부재 구비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합기능부재 구비단계는, (b1) 상기 재단된 천의 일측의 하부면에 제1스트랩을 구비하는 제1스트랩 구비단계; 및 (b2) 상기 재단된 천의 타측의 상부면에 제2스트랩을 구비하는 제2스트랩 구비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제조단계는, (c1) 상기 제1스트랩이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천의 일측을 상측면방향으로 접어 하면을 형성시키고, 상기 상면의 양쪽을 재봉하는 제1재봉단계; 및 (c2) 상기 제2스트랩이 하측을 향하며 상기 제1스트랩과 마주하도록 상기 천의 타측을 상측면방향으로 접어 상면을 형성시키고, 상기 상면의 양쪽을 재봉하는 제2재봉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합기능부재가 상기 개폐부에 배치되되, 제1스트랩의 좌측끝단과 우측끝단과, 제2스트랩 좌측끝단과 우측끝단과,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좌측끝단과 우측끝단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스트랩 구비단계는, 상기 하면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의 좌측끝단에 상기 제1스트랩의 좌측끝단이 결합된 후 상기 커버의 우측끝단을 지나 더 연장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스트랩 구비단계는, 상기 커버의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의 우측끝단에 상기 제2스트랩의 우측끝단이 결합된 후 상기 커버의 좌측끝단을 지나 더 연장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밀봉부재 부위의 제1스트랩과 제2스트랩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하면 우측끝단에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은 상측을 향하고, 상기 커버의 상면 좌측끝단에 더 연장형성된 제2스트랩은 하측을 향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트랩에는, 암결합부 또는 수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스트랩에는, 수결합부 또는 암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기능부재는, 상기 개폐부의 하면과 상면이 중첩되게 구비됨에 따라, 상기 밀봉부재에 해당되는 상기 제1스트랩의 암결합부와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를 밀봉시킨다.
그리고 상기 복합기능부재는,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의 암결합부와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히되, 더 연장형성된 상기 제2스트랩이 먼저 접혀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그 다음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의 암결합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접혀 상기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와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가 밀봉된 커버를 의자 등받이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제1스트랩 및 제2스트랩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내부에 쿠션재를 삽입하여 밀봉한 뒤, 커버를 의자 등받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서로 결합 가능한 두 개의 스트랩으로 이루어져 밀봉부재와 고정부재의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복합기능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의자 등받이에 고정부재를 감아 용이하게 탈부착을 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때, 쿠션을 통해 안락함 및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의 특정 위치에만 고정할 수 있도록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섬세한 가변부착이 가능하여 남녀노소 모두가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스트랩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부재를 이용하여 의자에 탈착이 용이하며, 밀봉부재와 고정부재가 일체로 이루어진 복합기능부재의 밀봉부재부위가 커버에 재봉됨에 따라 쿠션 사용중에 무리한 힘을 가해도 복합기능부재가 재봉된 부위의 실밥 터짐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복합기능부재를 의자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어 복합기능부재가 의자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쿠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에 쿠션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개로도 사용할 수 있는 쿠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의 의자에 부착된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의 정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쿠션을 의자 등받이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은 커버 내부에 쿠션을 갖는 삽입부재를 삽입하여 밀봉한 뒤, 상기 커버를 의자 등받이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의 의자에 부착된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을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의 정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은 삽입부재(110), 커버(120), 밀봉부재(130) 및 고정부재(140)를 포함한다.
삽입부재(110)는 쿠션(100)을 갖으며, 후술할 커버(120)에 삽입된다.
커버(120)는 삽입부재(110)가 삽입되어 밀봉가능하도록 개폐부(132)가 형성된다.
개폐부(132)는 상면과 하면으로 이루어져 서로 중첩되어 형성된다.
밀봉부재(130)는 커버(120)의 개폐부(132)가 밀봉가능하게 구비된다.
고정부재(140)는 커버(120) 내부에 삽입부재(110)를 삽입하여 밀봉한 뒤, 커버(120)를 의자(200) 등받이에 고정시킨다.
이때, 밀봉부재(130)와 고정부재(140)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기능부재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또한, 복합기능부재는 서로 결합 가능한 두 개의 스트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복합기능부재는 개폐부(132)에 배치되며, 제1스트랩(142)과 제2스트랩(14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스트랩(142)의 좌측끝단과 우측끝단과 제2스트랩(144)의 좌측끝단과 우측끝단과 커버(120)의 길이방향으로 좌측끝단과 우측끝단을 기준으로 할 때, 제1스트랩(142)은 하면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120)의 좌측끝단에 상기 제1스트랩(142)의 좌측끝단이 결합된 후 상기 커버(120)의 우측끝단을 지나 더 연장형성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제1스트랩(142)의 좌측끝단이 커버(120)의 좌측끝단에 결합되지 않고, 커버(120)의 좌측끝단과 우측 끝단 사이 중 어느 한 위치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스트랩(144)은 커버(120)의 상면에 구비되되, 커버(120)의 우측끝단에 상기 제2스트랩(144)의 우측끝단이 결합된 후 상기 커버(120)의 좌측끝단을 지나 더 연장형성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제2스트랩(144)의 우측끝단이 커버(120)의 우측끝단에 결합되지 않고, 커버(120)의 좌측끝단과 우측 끝단 사이 중 어느 한 위치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스트랩(142)과 제2스트랩(144)이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스트랩(142) 및 제2스트랩(144)은 밀봉부재(130) 기능을 수행하는 밀봉부재(130)부위와 고정부재(140)의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부재(140)부위가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부(132)는 밀봉부재(130) 부위의 제1스트랩(142)과 제2스트랩(144)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커버(120)의 하면 우측끝단에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142)은 상측을 향하고, 상기 커버(120)의 상면 좌측끝단에 더 연장형성된 제2스트랩(144)은 하측을 향한다.
또한, 제1스트랩(142)의 상측면에는 암결합부가 형성될 때 제2스트랩(144)의 하측면에는 수결합부가 형성되고, 제1스트랩(142)의 상측면에 수결합부가 형성될 때 제2스트랩(144)의 하측면에 암결합부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합기능부재는 노출되는 노출면이 서로 암수결합될 수 있는 벨크로테이프 또는 똑딱단추 또는 자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기능부재는 개폐부(132)의 하면과 상면이 중첩되게 구비됨에 따라, 밀봉부재(130)에 해당되는 제1스트랩(142)의 암결합부와 제2스트랩(144)의 수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어 개폐부(132)를 밀봉시킴으로써 밀봉부재(130)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복합기능부재는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142)의 암결합부와 제2스트랩(144)의 수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히되, 더 연장형성된 상기 제2스트랩(144)이 먼저 접혀 제2스트랩(144)의 수결합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그 다음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142)의 암결합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접혀 제2스트랩(144)의 수결합부와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110)가 밀봉된 커버(120)를 의자(200) 등받이에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부재(140)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고정부재(140)는 커버(120)의 양 끝단 부분에 구비되어 의자(200) 등받이에 감아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재(140)의 길이를 조절하는 스트랩조절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의자(200) 등받이에 밀봉된 커버(1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스트랩조절구로 고정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쿠션을 의자 등받이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제조방법은 천 재단단계(S110), 복합기능부재 구비단계(S120), 커버제조단계(S130) 및 삽입부재 구비단계(S140)를 포함한다.
천 재단단계(S110)는 천을 일정크기로 재단한다.
복합기능부재 구비단계(S120)는 천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복합기능부재를 구비시킨다.
이때, 복합기능부재 구비단계(S120)는 제1스트랩(142) 구비단계 및 제2스트랩(144) 구비단계를 포함한다.
제1스트랩(142) 구비단계는 재단된 천의 일측의 하부면에 제1스트랩(142)을 구비한다.
제2스트랩(144) 구비단계는 재단된 천의 타측의 상부면에 제2스트랩(144)을 구비한다.
또한, 복합기능부재가 개폐부(132)에 배치되되, 제1스트랩(142)의 좌측끝단과 우측끝단과, 제2스트랩(144) 좌측끝단과 우측끝단과, 커버(120)의 길이방향으로 좌측끝단과 우측끝단을 기준으로 할 때, 제1스트랩(142) 구비단계는, 상기 하면에 구비되되, 커버(120)의 좌측끝단에 제1스트랩(142)의 좌측끝단이 결합된 후 상기 커버(120)의 우측끝단을 지나 더 연장되어 결합된다.
제2스트랩(144) 구비단계는, 커버(120)의 상면에 구비되되, 커버(120)의 우측끝단에 제2스트랩(144)의 우측끝단이 결합된 후 커버(120)의 좌측끝단을 지나 더 연장형성되어 결합된다.
즉, 개폐부(132)는, 밀봉부재(130) 부위의 제1스트랩(142)과 제2스트랩(144)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되고, 커버(120)의 하면 우측끝단에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142)은 상측을 향하고, 커버(120)의 상면 좌측끝단에 더 연장형성된 제2스트랩(144)은 하측을 향한다.
이때, 제1스트랩(142) 및 제2스트랩(144)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제조단계(S130)는 재단된 천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천의 상측면방향으로 접고, 접힌 천의 양쪽을 재봉하여 개폐부(132)가 형성된 커버(120)를 제조한다.
이때, 커버제조단계(S130)는 제1재봉단계 및 제2재봉단계를 포함한다.
제1재봉단계는 제1스트랩(142)이 상측을 향하도록 천의 일측을 상측면 방향으로 접어 하면을 형성시키고, 상면의 양쪽을 재봉한다.
제2재봉단계는 제2스트랩(144)이 하측을 향하며 제1스트랩(142)와 마주하도록 천의 타측을 상측면방향으로 접어 상면을 형성시키고, 상면의 양쪽을 재봉한다.
여기서, 복합기능부재는 개폐부(132)의 하면과 상면이 중첩되게 구비됨에 따라, 밀봉부재(130)에 해당되는 제1스트랩(142)의 암결합부와 제2스트랩(144)의 수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어 개폐부(132)를 밀봉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기능부재는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142)의 암결합부와 제2스트랩(144)의 수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히되, 더 연장형성된 제2스트랩(144)이 먼저 접혀 제2스트랩(144)의 수결합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그 다음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142)의 암결합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접혀 제2스트랩(144)의 수결합부와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삽입부재(110)가 밀봉된 커버(120)를 의자(200) 등받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복합기능부재는 노출되는 노출면이 서로 암수결합될 수 있는 벨크로테이프 또는 똑딱단추 또는 자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삽입부재 구비단계(S140)는 커버(120)의 개폐부(132)를 통해 커버(120)의 내부에 쿠션(100)을 갖는 삽입부재(110)를 삽입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은 커버(120) 내부에 삽입부재(110)를 삽입하여 밀봉한 뒤, 커버(120)를 의자(200) 등받이에 고정킬 때, 서로 결합 가능한 두 개의 스트랩으로 이루어져 밀봉부재(130)와 고정부재(140)의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복합기능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의자(200) 등받이에 고정부재(140)를 감아 용이하게 탈부착을 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의자(200)에 앉을 때, 쿠션(100)을 통해 안락함 및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쿠션 110: 삽입부재
120: 커버 130: 밀봉부재
132: 개폐부 140: 고정부재
142: 제1스트랩 144: 제2스트랩
200: 의자

Claims (19)

  1. 쿠션을 갖는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밀봉가능하도록 개폐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개폐부가 밀봉가능하게 구비된 밀봉부재;와
    상기 커버 내부에 삽입부재를 삽입하여 밀봉한 뒤, 상기 커버를 의자 등받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면과 하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과 하면이 서로 중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와 고정부재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기능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부재는,
    서로 결합 가능한 두 개의 스트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부재가 상기 개폐부에 배치되되,
    제1스트랩의 좌측끝단과 우측끝단과, 제2스트랩의 좌측끝단과 우측끝단과,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좌측끝단과 우측끝단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하면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의 좌측끝단에 상기 제1스트랩의 좌측끝단이 결합된 후 상기 커버의 우측끝단을 지나 더 연장형성되어 결합된 제1스트랩;
    상기 커버의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의 우측끝단에 상기 제2스트랩의 우측끝단이 결합된 후 상기 커버의 좌측끝단을 지나 더 연장형성되어 결합된 제2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밀봉부재 부위의 제1스트랩과 제2스트랩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하면 우측끝단에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은 상측을 향하고, 상기 커버의 상면 좌측끝단에 더 연장형성된 제2스트랩은 하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랩에는, 암결합부 또는 수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스트랩에는, 수결합부 또는 암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부재는,
    상기 개폐부의 하면과 상면이 중첩되게 구비됨에 따라, 상기 밀봉부재에 해당되는 상기 제1스트랩의 암결합부와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를 밀봉시킴으로써 상기 밀봉부재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부재는,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의 암결합부와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히되, 더 연장형성된 상기 제2스트랩이 먼저 접혀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그 다음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의 암결합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접혀 상기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와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가 밀봉된 커버를 의자 등받이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랩 및 제2스트랩은,
    밀봉부재 기능을 수행하는 밀봉부재부위와 고정부재의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부재부위가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의 양 끝단 부분에 구비되어 의자 등받이에 감아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11.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스트랩조절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12. (a) 천을 일정크기로 재단하는 천 재단단계;
    (b) 상기 천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복합기능부재를 구비시키는 복합기능부재 구비단계;
    (c) 상기 재단된 천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천의 상측면방향으로 접고, 접힌 천의 양쪽을 재봉하여 개폐부가 형성된 커버를 제조하는 커버제조단계; 및
    (d) 상기 커버의 개폐부를 통해 상기 커버의 내부에 쿠션을 갖는 삽입부재를 삽입시키는 삽입부재 구비단계;를 포함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부재 구비단계는,
    (b1) 상기 재단된 천의 일측의 하부면에 제1스트랩을 구비하는 제1스트랩 구비단계; 및
    (b2) 상기 재단된 천의 타측의 상부면에 제2스트랩을 구비하는 제2스트랩 구비단계;를 포함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제조단계는,
    (c1) 상기 제1스트랩이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천의 일측을 상측면방향으로 접어 하면을 형성시키고, 상기 상면의 양쪽을 재봉하는 제1재봉단계; 및
    (c2) 상기 제2스트랩이 하측을 향하며 상기 제1스트랩과 마주하도록 상기 천의 타측을 상측면방향으로 접어 상면을 형성시키고, 상기 상면의 양쪽을 재봉하는 제2재봉단계;를 포함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부재가 상기 개폐부에 배치되되, 제1스트랩의 좌측끝단과 우측끝단과, 제2스트랩 좌측끝단과 우측끝단과,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좌측끝단과 우측끝단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스트랩 구비단계는, 상기 하면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의 좌측끝단에 상기 제1스트랩의 좌측끝단이 결합된 후 상기 커버의 우측끝단을 지나 더 연장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스트랩 구비단계는, 상기 커버의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의 우측끝단에 상기 제2스트랩의 우측끝단이 결합된 후 상기 커버의 좌측끝단을 지나 더 연장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밀봉부재 부위의 제1스트랩과 제2스트랩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하면 우측끝단에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은 상측을 향하고, 상기 커버의 상면 좌측끝단에 더 연장형성된 제2스트랩은 하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랩에는, 암결합부 또는 수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스트랩에는, 수결합부 또는 암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제조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부재는,
    상기 개폐부의 하면과 상면이 중첩되게 구비됨에 따라, 상기 밀봉부재에 해당되는 상기 제1스트랩의 암결합부와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를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부재는,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의 암결합부와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히되, 더 연장형성된 상기 제2스트랩이 먼저 접혀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그 다음 더 연장형성된 제1스트랩의 암결합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접혀 상기 제2스트랩의 수결합부와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가 밀봉된 커버를 의자 등받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제조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랩 및 제2스트랩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제조방법.
KR1020140138361A 2014-10-14 2014-10-14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그 제조방법 KR101589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361A KR101589558B1 (ko) 2014-10-14 2014-10-14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361A KR101589558B1 (ko) 2014-10-14 2014-10-14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197A true KR20140127197A (ko) 2014-11-03
KR101589558B1 KR101589558B1 (ko) 2016-01-28

Family

ID=5245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361A KR101589558B1 (ko) 2014-10-14 2014-10-14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527B1 (ko) * 2018-11-14 2020-03-20 마준표 경추 스트레칭용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261B1 (ko) 2018-05-24 2019-08-29 김정률 의자장착용 등받이쿠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788B1 (ko) * 2006-06-08 2007-07-19 김태우 낚시의자용 시트커버
KR200461627Y1 (ko) 2010-05-07 2012-07-26 이주성 의자에 탈부착이 가능한 베개
US8708416B2 (en) * 2011-03-17 2014-04-29 Charles J Stronconi Rotatable cervical pillow for heavy equipment and other vehic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788B1 (ko) * 2006-06-08 2007-07-19 김태우 낚시의자용 시트커버
KR200461627Y1 (ko) 2010-05-07 2012-07-26 이주성 의자에 탈부착이 가능한 베개
US8708416B2 (en) * 2011-03-17 2014-04-29 Charles J Stronconi Rotatable cervical pillow for heavy equipment and other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527B1 (ko) * 2018-11-14 2020-03-20 마준표 경추 스트레칭용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558B1 (ko)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290Y1 (ko) 휴대용 목베개
US10750879B2 (en) Carrying device
US8336964B2 (en) Beanbag sofa with retractable headrest
CN102595976B (zh) 装配有动态靠背的用于小孩的容纳结构
US20110101761A1 (en) Head restraint
KR101589558B1 (ko) 의자 등받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그 제조방법
US20090160231A1 (en) Bucket style outdoor swing seat cover
JP2014037236A (ja) 前部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JP2012135492A (ja) 椅子及びこれを構成する座又は背
JP3128833U (ja) ネックレスト付きヘッドレストカバー
KR200461627Y1 (ko) 의자에 탈부착이 가능한 베개
KR200484976Y1 (ko) 목받침대
KR101459043B1 (ko) 실내외에 사용하는 다용도 해먹
JP3112924U (ja) 防災頭巾カバー
TWI543734B (zh) Improved back
JP5668615B2 (ja) 車両用シートカバー構造
EP3158892B1 (en) Bag body
JP3103630U (ja) 椅子の背もたれクッション装置
JP3186116U (ja) 座布団カバー
CN209863138U (zh) 一种便携头枕
KR200476071Y1 (ko) 접이식 매트리스
TWM563228U (zh) 複合型枕具
JP3222984U (ja) 安眠用顔カバー
JP6097501B2 (ja) マフ
EP4241623A1 (en) Dual use device and furniture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