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002A -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002A
KR20140127002A KR1020130045441A KR20130045441A KR20140127002A KR 20140127002 A KR20140127002 A KR 20140127002A KR 1020130045441 A KR1020130045441 A KR 1020130045441A KR 20130045441 A KR20130045441 A KR 20130045441A KR 20140127002 A KR20140127002 A KR 20140127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absolute
mode
sensor
silen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철
김민호
민경욱
양철형
한용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5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7002A/ko
Publication of KR2014012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은, 휴대용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환경을 확인하여, 능동적으로 상기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절대무음모드임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FOR SETTING VOLUME OPERATION MODE OF MOBILE DE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보다 용이하게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휴대용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휴대용 장치에는 해당 장치의 제조사에 의해 제작되어 해당 장치에 설치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들과, 인터넷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추가 어플리케이션들 등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어플리케이션들은 일반 개발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상기 판매 웹사이트에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든지 자신이 개발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를 통하여 자유롭게 상기 휴대용 장치의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휴대용 장치에는 그 제품에 따라 수만에서 수십 만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장치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휴대용 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음성/영상 통화뿐 아니라, 웹 서핑, 동영상 시청, 음악 감상 등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벨소리, 효과음, TV 소리, 또는 강한 진동음 등으로 인해 각종 소음문제가 대두되었다. 예컨대, 다른 사람과 함께 영화를 감상하는 극장이나, 조용히 공부를 하거나 수업을 듣는 독서실/도서관/강의실, 지하철 등의 공공장소에서 빈번하게 들리는 벨소리, 크게 설정된 수화음, 휴대용 장치에 구비되는 게임이나 뮤직, TV 소리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필요 시에 따라 수시로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수동으로 '소리 모드', '진동 모드', '무음 모드'로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장치에서 제공하는 설정 메뉴로 진입하거나, 휴대용 장치에 볼륨운영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버튼을 마련하고, 이렇게 마련된 버튼을 조작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볼륨운영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버튼을 구성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보다 간단하게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은, 휴대용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환경을 확인하여, 능동적으로 상기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절대무음모드임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용 장치는, 휴대용 장치 주변의 환경을 확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 및 적어도 절대무음모드 설정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대무음모드 설정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환경을 확인하여, 능동적으로 상기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절대무음모드를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휴대용 장치 주변의 환경을 확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휴대용 장치 주변의 환경을 확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능동적으로 상기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절대무음모드를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절대무음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메뉴를 통해 절대무음모드로 진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는 빠르고 간편하게 절대무음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빠르고 간편하게 절대무음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절대무음모드를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의실이나, 극장, 공연장 등에 진입하더라도 보다 신속하게 절대무음모드로 전환하거나, 예측되지 않은 음성신호(또는 진동신호)의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의 예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용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에서 사용되는 볼륨운영모드의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에서 사용되는 볼륨운영모드를 표시하는 아이콘의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에 의해 설정된 절대무음모드를 표시한 홈 스크린의 예시도,
도 7은 전술한 도 3의 310단계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에 의해 휴대용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3의 320단계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에 의해 절대무음모드의 설정을 표시하는 알림 창의 일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에 포함되는 절대무음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용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모듈(120), 입/출력 모듈(130), 센서 모듈(140), 저장부(150), 전원공급부(160), 터치스크린(171),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를 포함한다.
우선, 제어부(110)는 CPU(111), 휴대용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휴대용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용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모듈(120), 입/출력 모듈(130), 센서 모듈(140), 저장부(150), 전원공급부(160), 터치스크린(171),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싱글코어로 이루어지거나,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 등과 같이 복수의 코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코어의 수는 휴대용 장치의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신모듈(120)은 셀룰러 모듈,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휴대용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셀룰러 모듈은 휴대용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랜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무선랜 모듈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랜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WPS(Wi-Fi Positioning System)를 구동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장치(100)와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모듈로써,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30)은 버튼(131), 스피커(132), 및 진동모터(1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31)은 상기 휴대용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3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셀룰러 모듈,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휴대용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32)는 상기 휴대용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3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피커(132) 및 진동모터(133)는 휴대용 장치(100)의 볼륨운영모드의 설정 상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장치(100)의 볼륨운영모드는 소리모드, 진동모드, 소리&진동모드, 무음모드, 절대무음모드로 운영될 수 있으며, 이들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설정된 모드에 기초하여, 휴대용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스피커(132) 또는 진동모터(133)의 동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소리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셀룰러 모듈(또는 무선랜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에 의한 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호 수신을 알리는 음성신호를 스피커(132)에 제공함으로써, 스피커(132)가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진동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셀룰러 모듈(또는 무선랜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에 의한 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호 수신을 알리는 진동신호를 진동모터(133)에 제공함으로써, 진동모터(133)가 상기 진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호 수신에 대응하여 스피커(132) 및 진동모터(133)의 동작을 제어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터치스크린(171)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71)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는 출력(예컨대, 음성신호 또는 진동신호)을 제공할 수도 있다.
센서 모듈(140)은 휴대용 장치(100)의 주변 환경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특히, 센서모듈(140)은 사용자의 휴대용 장치(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141), 휴대용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142), 및 RGB 센서(143)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140)은 휴대용 장치(100)의 동작(예, 휴대용 장치(100)의 회전, 휴대용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14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45)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 또는 제2 카메라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는 상기 휴대용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는 상기 휴대용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는 인접(예,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카메라 모듈(145)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신호를 통해 주변 환경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휴대용 장치(100)의 주변 환경을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40)에 구비되는 센서는 본 발명에서 예시하는 센서 이외의 센서가 휴대용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모듈(120), 입/출력 모듈(130), 센서모듈(140), 터치스크린(171)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휴대용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50), 제어부(110) 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용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용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휴대용 장치(100)에 구비된 커넥터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용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용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휴대용 장치(100)의 운영체제(OS; Operation System)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71)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는 제어부(110)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터치스크린(171)에 표시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171)의 출력값을 제어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는 터치스크린(171)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7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71)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용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휴대용 장치(100)의 전면(100a) 중앙에는 터치스크린(171)이 배치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71)은 휴대용 장치(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된다. 도 2a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71)에 락 스크린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락 스크린은 휴대용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171)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보안정보(예컨대, 비밀번호, 보안패턴 등)를 입력하여, 휴대용 장치(100)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화면이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보안정보(예컨대, 비밀번호, 보안패턴 등)의 유효성을 확인한 후, 락 스크린의 해제를 진행하여 홈 스크린(도 2b, 170b)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진행한다.
또한, 락 스크린은 비밀번호를 입력받거나, 보안 패턴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별도의 보안정보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비밀번호 또는 보안 패턴을 입력받지 않고 사용자의 터치입력 또는 드레그 입력에 의해 홈 스크린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홈 스크린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스크린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스크린들 중 첫 번째 홈 스크린은 메인 홈 스크린일 수 있다. 홈 스크린에는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71a, 171b, 171c), 메인메뉴 전환키(171d),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인메뉴 전환키(171d)는 상기 터치스크린(171)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71)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 볼륨운영모드와 같은 휴대용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 17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71)의 하부에는 홈 버튼(131a), 메뉴 버튼(131b), 및 뒤로 가기 버튼(131c)이 형성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홈 버튼(131a)은 터치스크린(171)에 메인 홈 스크린(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71)에 상기 메인 홈 스크린과 다른 홈 스크린(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키(131a)가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71)에 메인 홈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71) 상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71a)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스크린(171)상에는 도 3에 도시된 메인 홈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31a)은 상기 터치스크린(171)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31b)은 터치스크린(171)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3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휴대용 장치(100)의 전면(100a) 상부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145a)와 조도 센서(141) 및 근접 센서(142)가 배치될 수 있고, 추가로, 휴대용 장치(100)의 전면(100a) 상부 중앙부분에는 스피커(133)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장치(100)의 측면(100b)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131d), 볼륨버튼(131e)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전술한 휴대용 장치(100)의 저장부(150)에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의 실행을 위해 제어부(110) 내에 포함된 램(RAM, 113)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에 따른 상기 프로그램 명령에 대응하여, 휴대용 장치(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수행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면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또는 지속적으로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의 실행에 필요한 UI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31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센서모듈(140)을 통해 검출되는 휴대용 장치(100)의 주변 환경에 기초하여, 휴대용 장치(100)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용 장치(100)는 상기 볼륨운영모드를 도 4에 예시되는 모드로 설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절대무음모드를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소리모드, 진동모드, 소리&진동모드, 및 무음모드를 모두 지원하거나, 이들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리모드는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스피커(132)를 통해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이고, 진동모드는 진동모터(133)를 통해 진동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이고, 소리&진동 모드는 스피커(132)를 통한 음성신호와, 진동모터(133)를 통한 진동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모드이고, 무음모드는 음성신호나,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대신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장치에 구비된 랜프 등을 통해 광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이고, 절대무음모드는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볼륨운영모드는 휴대용 장치(100)의 알람 운영방식에 기초하여, 알람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알람 이벤트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알람 이벤트가 발생됨에 대응하여, 현재 설정된 상기 볼륨운영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볼륨운영모드에 따라 스피커(133)나, 진동모터(134)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알람 이벤트에 대응되는 신호(예컨대, 음성신호, 또는 진동신호 등)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10)는 휴대용 장치(10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현재 설정된 볼륨운영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홈 스크린에 구비되는 상태 표시바 등을 통해 상기 현재 설정된 볼륨운영모드를 아이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설정된 볼륨운영모드를 표시하는 아이콘은 도 5a 내지 도 5e와 같이 예시될 수 있다. 예컨대, 소리모드는 5a에 예시되는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진동모드는 5b에 예시되는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소리&진동모드는 5c에 예시되는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무음모드는 5d에 예시되는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절대무음모드는 5e에 예시되는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32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상기 절대무음모드로 설정되었음을 표시한다. 상기 절대무음모드의 표시는 전술한 아이콘(도 6a,601) 형태로 상태 표시바(도 6a, 602) 등에 제공되거나, 이벤트 입력(예컨대, 볼륨 조절키 입력, 호 수신 알림 이벤트 입력, 메시징 알림 이벤트 입력, 메신저 알람 이벤트 입력 등) 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팝업 창(도 6a,603)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전술한 도 3의 310단계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310단계는, 311 내지 315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언락 스크린 이벤트 입력과, 센서모듈(140)을 통해 검출되는 휴대용 장치(100)의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휴대용 장치(100)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11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언락 스크린 이벤트를 입력받는다. 예컨대, 상기 언락 스크린 이벤트 입력은, 락 스크린이 터치스크린(171)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락 스크린의 해제를 요청하는 입력이 발생되는 동작일 수 있다(도 8a 참조). 락 스크린의 해제를 요청하는 입력은 휴대용 장치(100)의 지원 및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또는 제조사)에 의해 미리 설정된 보안번호의 입력, 미리 설정된 터치스크린 보안패턴의 입력, 미리 정해진 영역의 터치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영역의 드레그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312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센서모듈(140)을 활성화시켜, 휴대용 장치(100)의 주변 환경을 확인한다. 즉,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센서모듈(14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예컨대, 근접 센서(141), 또는 조도 센서(142) 등이 위치한 영역을 터치 또는 근접하거나, 조도센서(142)나 RGB 센서(143)가 위치한 영역을 가리는 거나, 카메라(미 도시)가 위치한 영역을 가리게 됨에 따라(도 8b 참조),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RGB 센서(143), 또는 카메라(미 도시)를 통해 검출되는 데이터 값에 변화가 발생된다. 이를 고려하여, 제어부(110)는 센서모듈(140)(예컨대,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RGB 센서(143), 또는 카메라(미 도시) 등)을 통해 검출되는 데이터를 통해 휴대용 장치(100)의 주변 환경을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상기 확인된 주변 환경이, 사용자가 근접 센서(141), 또는 조도 센서(142) 등이 위치한 영역을 터치 또는 근접하거나, 조도센서(142)나 RGB 센서(143)가 위치한 영역을 가리는 거나, 카메라(미 도시)가 위치한 영역을 가리는 동작에 대응되는 환경이면(313단계-예), 자동으로, 휴대용 장치(100)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하는 동작(S314단계)을 진행한다. 반면, 제어부(110)는 상기 확인된 주변 환경이, 사용자가 근접 센서(141), 또는 조도 센서(142) 등이 위치한 영역을 터치 또는 근접하거나, 조도센서(142)나 RGB 센서(143)가 위치한 영역을 가리는 거나, 카메라(미 도시)가 위치한 영역을 가리는 동작에 대응되는 환경으로 확인되지 않으면(313단계-아니오), 314단계의 이후 단계(예컨대, 315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한편, 315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전술한 311단계에서 입력받은 언락 스크린 이벤트에 대응하여, 락 스크린을 해제하는 언락 스크린 동작, 즉, 락 스크린 화면을 홈 스크린으로 전환하게 된다(도 8c 참조).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315단계가, 314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315단계는 312 내지 314단계의 진행 동작과는 별도로 분리되어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315단계는 311단계가 진행된 이후에 312 내지 314단계와 병렬적으로 진행되거나, 311단계와 312단계의 사이, 312단계와 313단계의 사이, 또는 313단계와 314단계의 사이에서 진행될 수도 있다.
이상, 도 7을 통해, 도 3의 310단계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면서, 제어부(110)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언락 스크린 이벤트 입력과, 센서모듈(140)을 통해 검출되는 휴대용 장치(100)의 주변 환경을 고려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언락 스크린 이벤트 입력 외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다른 이벤트, 예컨대, 볼륨 키, 전원 키, 홈 키 등과 같은 버튼(131)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이벤트와, 센서모듈(140)을 통해 검출되는 휴대용 장치(100)의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휴대용 장치(100)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는 전술한 도 3의 320단계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320단계는, 321 내지 32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321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이벤트 입력, 예컨대, 볼륨 조절키 입력, 호 수신 알림 이벤트 입력, 메시징 알림 이벤트 입력, 메신저 알람 이벤트 입력 등을 수신한다. 그리고, 32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볼륨운영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절대무음모드로 설정되어 있지않은 경우(322단계-아니오), 현재 설정되어 있는 볼륨운영모드를 반영하여, 상기 수신된 이벤트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진행한다(S323). 예컨대, 현재 설정되어 있는 볼륨운영모드가 소리모드인경우, 이벤트 입력, 예컨대, 볼륨 조절키 입력, 호 수신 알림 이벤트 입력, 메시징 알림 이벤트 입력, 메신저 알람 이벤트 입력 등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163)를 통해 출력한다. 반면,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절대무음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322단계-예), 상기 수신된 이벤트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진행하지 않고,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절대무음모드로 설정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알림 창(1001)을 디스플레이한다(324단계)(도 10 참조).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은 절대무음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에 포함되는 절대무음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절대무음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은 1101, 1102, 및 1103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1101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절대무음모드의 해제를 요청하는 이벤트를 입력받는다. 상기 절대무음모드의 해제를 요청하는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이벤트로써, 예컨대, 볼륨 키, 전원 키, 홈 키 등과 같은 버튼(131)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다음으로, 1102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절대무음모드가 설정되기 전에 사용되고 있던 이전 볼륨운영모드를 확인한다. 상기 이전 볼륨운영모드는 상기 절대무음모드가 설정되는 과정에서 저장부(150) 등에 임시 저장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10)는 임시 저장된 상기 이전 볼륨운영모드를 저장부(150)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이전 볼륨운영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1103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볼륨운영모드를 상기 이전 볼륨운영모드로 설정함으로써, 절대무음모드의 해제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대무음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상기 이전 볼륨운영모드로 전환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는데, 예컨대, 홈 스크린에 구비되는 상태 표시바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절대무음모드를 지시하는 아이콘에서, 상기 이전 볼륨운영모드를 지시하는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상기 이전 볼륨운영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안내하는 알림창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상기 이전 볼륨운영모드로 전환되었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예시한 두 가지 방식을 조합하여, 즉, 제어부(110)는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상기 이전 볼륨운영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안내하는 알림창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홈 스크린에 구비되는 상태 표시바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절대무음모드를 지시하는 아이콘에서, 상기 이전 볼륨운영모드를 지시하는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절대무음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메뉴를 통해 절대무음모드로 진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빠르고 간편하게 절대무음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빠르고 간편하게 절대무음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절대무음모드를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의실이나, 극장, 공연장 등에 진입하더라도 보다 신속하게 절대무음모드로 전환하거나, 예측되지 않은 음성신호(또는 진동신호)의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용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프로그램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휴대용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제공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휴대용 장치에 상기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휴대용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제공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장치가 특정 장소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휴대용 장치에 상기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휴대용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환경을 확인하여, 능동적으로 상기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절대무음모드임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동작을 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환경을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된 상기 환경이, 미리 정해진 조건에 대응됨에 따라, 상기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은,
    스크린 해제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환경은, 사용자의 휴대용 장치에 접근 정도, 및 휴대용 장치 주위의 명암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사용자의 휴대용 장치 접근 여부를 확인하는 근접 센서, 휴대용 장치 주위의 조도를 확인하는 조도 센서, 및 카메라모듈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무음모드임을 표시하는 과정은,
    사운드를 출력과 관련있는 이벤트의 발생을 확인하는 과정과,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절대무음모드임에 대응하여, 상기 절대무음모드임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볼륨 조절키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알람에 의해 발생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에 의해 발생되는 이벤트는, 호 수신 이벤트, 메시지 수신 이벤트, 및 어플리케이션의 푸시 알람 이벤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무음모드임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절대무음모드임을 지시하는 팝업 메시지를 휴대용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
  11.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무음모드임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절대무음모드임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휴대용 장치에 구비된 램프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상기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확인 및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무음모드를 해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절대무음모드를 상기 확인된 볼륨운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무음모드를 해제하는 입력은,
    스크린 진입을 요청하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무음모드 설정 방법.
  15. 휴대용 장치 장치에 있어서,
    휴대용 장치 주변의 환경을 확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 및
    적어도 절대무음모드 설정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대무음모드 설정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환경을 확인하여, 능동적으로 상기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절대무음모드를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무음모드 설정 프로그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동작 실행을 지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환경을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환경이, 미리 정해진 조건에 대응됨에 따라, 상기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하는 명령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무음모드 설정 프로그램은,
    락 스크린 해제를 요청하는 입력이 검출됨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동작 실행을 지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환경을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환경이, 미리 정해진 조건에 대응됨에 따라, 상기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하는 명령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환경은, 사용자의 휴대용 장치에 접근 정도, 및 휴대용 장치 주위의 명암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사용자의 휴대용 장치 접근 여부를 확인하는 근접 센서, 휴대용 장치 주위의 조도를 확인하는 조도 센서, 및 카메라모듈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20.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휴대용 장치 주변의 환경을 확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휴대용 장치 주변의 환경을 확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능동적으로 상기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를 절대무음모드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절대무음모드를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KR1020130045441A 2013-04-24 2013-04-24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40127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441A KR20140127002A (ko) 2013-04-24 2013-04-24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441A KR20140127002A (ko) 2013-04-24 2013-04-24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02A true KR20140127002A (ko) 2014-11-03

Family

ID=5245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441A KR20140127002A (ko) 2013-04-24 2013-04-24 휴대용 장치의 볼륨운영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70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1181A (zh) * 2017-01-17 2017-05-31 上海与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情景模式调节方法及装置
CN110995933A (zh) * 2019-12-12 2020-04-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音量调节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1181A (zh) * 2017-01-17 2017-05-31 上海与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情景模式调节方法及装置
CN110995933A (zh) * 2019-12-12 2020-04-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音量调节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74611A1 (zh) 应用程序的设置方法及移动终端
KR102127640B1 (ko) 휴대 단말 및 보청기와 휴대 단말에서 음원의 위치를 제공하는 방법
KR101457632B1 (ko) 프로그램 알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알림 방법
KR10208018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잠금 해제 방법
EP2464084B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95145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out image using image recognition
US9232035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received sound
WO2021109958A1 (zh) 应用程序分享方法及电子设备
KR20160001602A (ko)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그 폴더블 전자 장치
KR20150026109A (ko)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20150022599A (ko) 전자장치의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40092722A (ko)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KR20140030671A (ko) 이동 단말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KR20180089229A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20130106511A (ko) 휴대 단말기의 위급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50001957A (ko) 펜 입력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CN106951143B (zh) 隐藏应用图标的方法及装置
US201502887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terminal
KR20140112911A (ko) 표시부 미확인 모드에서 액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753350A (zh) 一种资源管理方法及终端设备
US1031125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access control method thereof
CN108153460B (zh) 一种图标隐藏方法及终端
JP5823934B2 (ja) 携帯通信端末、データ受け取り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受け取り方法
CN111026477B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9815678B (zh) 一种权限配置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