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993A - 전력 케이블 - Google Patents

전력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993A
KR20140126993A KR1020130045408A KR20130045408A KR20140126993A KR 20140126993 A KR20140126993 A KR 20140126993A KR 1020130045408 A KR1020130045408 A KR 1020130045408A KR 20130045408 A KR20130045408 A KR 20130045408A KR 20140126993 A KR20140126993 A KR 20140126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emiconductive layer
parts
power cable
metal in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922B1 (ko
Inventor
유익현
남진호
김웅
조호숙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5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922B1/ko
Priority to PCT/KR2014/001199 priority patent/WO2014126404A1/ko
Publication of KR2014012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7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composed of semi-conduc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면서 노화 특성이 개선된 반도전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내부 반도전층을 포함하는 전력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 케이블{Power cable}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면서 노화 특성이 개선된 반도전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내부 반도전층을 포함하는 전력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고압용 또는 초고압용 전력 케이블은 도체를 중심으로 내부 반도전층, 절연층, 외부 반도전층, 쉬스층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내부 반도전층은 케이블 제조시 도체와 절연층 사이의 계면조도를 향상시키고, 절연저항의 구배(gradient)를 형성하여,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강화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고전압 케이블을 구성하는 내부 반도전층의 연속 사용 온도가 90℃급에서 110℃도급으로 향상되면서, 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노화 특성이 개선된 내부 반도전층을 제조하기 위한 반도전 재료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종래에는 90℃급 반도전 재료를 구성하는 기재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과 전도성 무기 입자인 카본블랙을 혼합한 것을 가교시킨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반도전 재료를 구성하는 기재 수지로 사용되어 온 상기 가교 폴리에틸렌 등은 가교 형태이기 때문에 재활용이 곤란한 등 환경 친화적이지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고분자 자체의 녹는점이 160℃ 이상으로서 가교하지 않고도 내부 반도전층의 연속 사용 온도를 110℃급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폴리프로필렌을 기재 수지로 사용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내부 반도전층은 사용목적상 도체를 구성하는 금속성 물질과의 접촉을 피할 수 없는데,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폴리에틸렌과 다르게 고분자 주쇄 내에 3차 탄소(tertiary carbon)를 다량 포함하고 있어, 금속성 물질에 의한 열화 문제가 매우 치명적인 단점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전력 케이블에 있어서, 도체를 구성하는 금속성 물질과의 접촉에 의한 열화가 일어나지 않거나 최소화되는 등 노화 특성이 개선되는 동시에 친환경적인 반도전성 재료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반도전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노화 특성이 개선되어 케이블의 연속 사용 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전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내부 반도전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체를 구성하는 금속성 물질과의 접촉에 의한 열화를 유발하지 않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반도전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내부 반도전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반도전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내부 반도전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도체, 상기 각각의 도체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 상기 내부 반도전층을 감싸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 및 상기 외부 반도전층을 감싸는 쉬스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도전층은, 비가교 폴리프로필렌계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재 수지, 상기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전도성 입자 30 내지 70 중량부 및 금속비활성 첨가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반도전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는 하나의 금속원자와 2개 이상의 배위결합을 이루는 킬레이트 리간드(chelate legand) 형태의 분자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는 분자구조 내에 전자주개(electron donor) 역할을 하는 루이스 염기 사이트(Lewis-base site)를 2곳 이상 보유하고, 상기 루이스 염기는 아민기, 아미드기 또는 카르복실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는 N,N'-비스(살리실리덴)-1,2-프로판디아민, 1,2-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신나모일)히드라진 또는 N,N'-1,2-에탄 디일비스-(N-(카르복시메틸)글리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의 파라핀 오일에 대한 20℃에서의 용해도가 0.01g/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입자는 카본블랙, 그래파이트 또는 그래핀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반도전 조성물은, 상기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민계, 디알킬에스테르계, 티오에스테르계 또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0.2 내지 3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은 반도전층을 구성하는 기재 수지로서 녹는점이 높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노화 특성이 개선되고, 이로써 연속 사용 온도가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은 반도전층이 금속비활성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도체를 구성하는 금속성 물질과의 접촉에 의한 열화를 유발하지 않거나 최소화하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은 반도전층을 구성하는 기재 수지로서 비가교 형태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한 등 친환경적인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도체(1), 절연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절연층(3), 상기 도체(1)와 상기 절연층(3) 사이에 위치하여 도체(1)와의 계면에서의 부분방전을 억제하고, 상기 도체(1)와 상기 절연층(3) 사이의 공기층을 없애주며, 국부적인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주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내부 반도전층(2), 케이블의 차폐 역할 및 절연체에 균등한 전계가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외부 반도전층(4), 케이블 보호를 위한 쉬스층(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1), 절연층(3), 반도전층(2,4), 쉬스층(5) 등의 규격은 케이블의 용도, 송전압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3), 반도전층(2,4), 쉬스층(5)을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내부 반도전층(2)을 형성하는 반도전 조성물은 기재 수지로서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구성하는 중합체는 적어도 50 중량% 이상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의미하고,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탄소수 4 내지 12의 α-올레핀, 예를 들어,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공단량체 등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총 몰 수를 기준으로 15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일 수 있다. 특히,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α-올레핀이 규칙성 없이 중합된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최고 결정화 온도가 110 내지 125℃(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고 결정화 온도가 110℃ 미만인 경우 IEC 국제 규격에서 요구하는 노화(aging) 시험 조건(135 또는 150℃)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가 용융되어 케이블의 연속사용 온도인 110℃ 조건을 만족할 수 없으며, 상기 최고 결정화 온도가 125℃를 초과하는 경우 냉각 중 결정화 속도가 빨라져 상온에서의 인장 신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200,000 내지 45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Mw)이 200,000 미만인 경우 가열 전후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450,000 초과인 경우 높은 점도로 인하여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분자량 분포(Mw/Mn)가 2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 분포(Mw/Mn)가 2 미만인 경우 높은 점도로 인하여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8 초과인 경우 가열 전후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용융지수가 0.01 내지 1000 dg/분(ASTM D-1238에 의해 측정됨), 녹는점(Tm)이 140 내지 175℃(시차주사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됨), 용융엔탈피가 30 내지 85 J/g(DSC에 의해 측정됨), 실온에서의 굴곡탄성률이 30 내지 1400 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0 MPa(ASTM D790-00에 따라 측정됨)일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녹는점이 높아,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내부 반도전층(2)의 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개선된 노화 특성을 나타내고, 이로써 연속 사용 온도가 향상된 전력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가교 형태이므로 재활용이 가능한 등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내부 반도전층(2)을 형성하는 반도전 조성물 기재 수지인 비가교 형태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달리 종래의 가교 형태의 중합체는 재활용이 어려워 친환경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도전층(2) 제조시 가교 결합 또는 스코치(scorch)가 조기에 발생하면 균일한 생산 능력을 발휘할 수 없는 등 장기 압출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내부 반도전층(2)을 형성하는 반도전 조성물은 상기 내부 반도전층(2)의 전기전도도를 조절하기 위해 전도성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입자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퍼니스 블랙(furnace black), 아세틸렌 블랙 등과 같은 카본블랙, 또는 그래파이트, 그래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 등의 전도성 입자는 그 형상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구형, 플레이트형, 막대형, 튜브형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입자의 표면적은 20㎡/g 이상, 예를 들어, 40 내지 1,200 ㎡/g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발포성 중합물질의 체적저항이 500 Ω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Ωm 미만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카본블랙 등의 전도성 입자 함량은 상기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7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 등의 전도성 입자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인 경우 목적한 반도전 특성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고, 7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압출가공이 불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내부 반도전층(2)을 형성하는 반도전 조성물은 상기 전력 케이블의 도체(1)로부터 상기 내부 반도전층(2)으로 유입되는 금속성 물질을 비활성화시키는 첨가제인 금속비활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성 물질, 예를 들어, 구리 이온과 같은 전이금속 이온 원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큰 원자반경으로 인하여 주어진 이온차수에 의한 이온결합 이외에 추가적인 배위결합(coordinate bond)을 이룰 수 있으므로, 이러한 큰 원자반경을 가지는 전이금속 이온의 비활성화를 위해선 하나의 금속원자와 2개 이상의 배위결합을 이루는 킬레이트 리간드(chelate legand) 형태의 분자구조를 가지는 첨가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는 분자구조 내에 전자주개(electron donor) 역할을 하는 루이스 염기 사이트(Lewis-base site)를 2곳 이상 보유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루이스 염기는 아민, 아미드, 카르복실 등의 관능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는 파라핀 오일 등의 절연유에 대한 용해도가 0.01g/100㎖(20℃에서 용매 100㎖에 용해된 용질의 그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가 포함된 내부 반도전층(2)과 맞닿아 있는 절연층(3)에 파라핀계 절연유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의 상기 파라핀계 절연유에 대한 용해도가 크면,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가 바깥으로 용출되거나 절연층(3)으로 이행될 수 있어,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의 본래 특성구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금속비활성 참가제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일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N,N'-비스(살리실리덴)-1,2-프로판디아민(N,N'-bis(salicylidene)-1,2-propanediamine),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1,2-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신나모일)히드라진(1,2-bis(3,5-di-tert-butyl-4-hydroxycinnamoyl)hydrazine),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은 N,N'-1,2-에탄 디일비스-(N-(카르복시메틸)글리신(N,N'-1,2-ethane diylbis-(N-(carboxymethyl)glycine)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는 상기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목적한 효과, 즉 도체(1)로부터 유입되는 금속 물질의 비활성화에 의한 내부 반도전층(2)의 열화방지 효과를 달성할 수 없고, 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압출 후 기재 수지와의 상용성 문제로 인한 백화현상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내부 반도전층(2)을 형성하는 반도전 조성물은 상기 기재 수지, 전도성 입자 및 금속비활성 첨가제 이외에 산화방지제, 활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아민계, 디알킬에스테르계, 티오에스테르계, 페놀계 산화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3-[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파노일옥시]-2,2-비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파노일옥시메틸]프로필], 3-(3,5-디-3차 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파노에이트, 티오디에틸렌 비스(3,5-디-3차 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피온산 옥타데실 에스테르, 프로피온산, 3,3'티오비스-1,1'디옥타데실 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제는 예를 들어 수평균 분자량(Mn)이 1,000 내지 10,000인 폴리프로필렌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 활제 등의 기타 첨가제 각각의 함량은 상기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 내지 3 중량부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아래 표 1에 나타난 구성성분 및 함량으로 반도전 조성물을 제조하고, 일정한 규격의 구리도체 위에 용융된 상기 반도전 조성물을 각각 압출 코팅한 후,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절연유로서 파라핀 오일을 첨가한 절연 조성물을 각각 압출 코팅함으로써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2의 케이블 시편을 각각 제작했다. 여기서, 구성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구성성분 실시예 1 비교예1 비교예2
기재 수지 100 100 100
전도성 입자 55 55 55
금속비활성 첨가제1 0.3 - -
금속비활성 첨가제2 - - 0.3
산화방지제 1 0.5 0.5 0.5
산화방지제 2 0.3 0.3 0.3
활제 1 1 1
- 기재 수지 :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제조사 : 바젤(Basell); 제품명 : CA-7441)
- 전도성 입자 : 카본블랙(아세틸렌블랙)
- 금속비활성 첨가제 1 : 1,2-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신나모일)히드라진(제조사 : 바스프(Basf); 제품명 : IR-MD1024; 파라핀 오일에 대한 용해도 : 0.01g/100㎖(20℃))
- 금속비활성 첨가제 2 : 스테아릴-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제조사 : 바스프(Basf); 제품명 : IR-1076; 파라핀 오일에 대한 용해도 : 31g/100㎖(20℃))
- 산화방지제 1 : Ciba IR-1035
- 산화방지제 2 : Ciba PS-802
- 활제 : 수평균 분자량 7,000의 폴리프로필렌 왁스(제조사 : 미츠이케이칼; 제품명 : NP056)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2의 케이블 시편은 각각 IEC 60811-1-1에 준하여 인장속도 250 mm/분으로 인장강도 및 신장률을 측정했고, 150℃에서 168시간 동안 가열 노화한 후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측정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물성 실시예 1 비교예1 비교예2
인장강도(kgf/㎟) 1.45 1.44 1.44
신장률(%) 550 550 550
노화 후 인장강도 잔율(%) 95 132 117
노화 후 신장률 잔율(%) 90 45 6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 반도전층에 본 발명에 따른 특정 금속비활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케이블 시편은 노화 후 인장강도 잔율과 신장률 잔율이 각각 95% 및 90%로서 규격에 따른 기준인 75% 이상이므로, 반도전층의 노화특성이 현저히 개선된 것으로 확인된 반면, 내부 반도전층에 금속비활성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케이블 시편은 노화 후 내부 반도전층의 열화에 의해 인장강도는 증가하면서 신장률은 기준인 75%에 크게 못 미치는 등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음을 확인했다.
또한, 내부 반도전층에 본 발명에 따른 특정 금속비활성 첨가제가 아닌 다른 금속비활성 첨가제로서 파라핀 오일에 대한 용해도가 31 g/100㎖(20℃)인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2의 케이블 시편은 이의 내부 반도전층에 포함된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가 상기 내부 반도전층에 맞닿은 절연층에 함침된 파라핀 오일에 용출-이행되어 본래의 금속비활성 첨가제의 특성이 구현되지 못함으로써, 인장강도는 증가하고 신장률은 기준인 75%에 못 미치는 등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었음을 확인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 : 도체 2 : 내부 반도전층
3 : 절연층 4 : 외부 반도전층
5 : 쉬스층

Claims (7)

  1. 하나 이상의 도체, 상기 각각의 도체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 상기 내부 반도전층을 감싸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 및 상기 외부 반도전층을 감싸는 쉬스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도전층은, 비가교 폴리프로필렌계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재 수지, 상기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전도성 입자 30 내지 70 중량부 및 금속비활성 첨가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반도전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는 하나의 금속원자와 2개 이상의 배위결합을 이루는 킬레이트 리간드(chelate legand) 형태의 분자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는 분자구조 내에 전자주개(electron donor) 역할을 하는 루이스 염기 사이트(Lewis-base site)를 2곳 이상 보유하고, 상기 루이스 염기는 아민기, 아미드기 또는 카르복실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는 N,N'-비스(살리실리덴)-1,2-프로판디아민, 1,2-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신나모일)히드라진 또는 N,N'-1,2-에탄 디일비스-(N-(카르복시메틸)글리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비활성 첨가제의 파라핀 오일에 대한 20℃에서의 용해도가 0.01g/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입자는 카본블랙, 그래파이트 또는 그래핀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전 조성물은, 상기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민계, 디알킬에스테르계, 티오에스테르계 또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0.2 내지 3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KR1020130045408A 2013-02-14 2013-04-24 전력 케이블 KR102018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408A KR102018922B1 (ko) 2013-04-24 2013-04-24 전력 케이블
PCT/KR2014/001199 WO2014126404A1 (ko) 2013-02-14 2014-02-13 전력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408A KR102018922B1 (ko) 2013-04-24 2013-04-24 전력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993A true KR20140126993A (ko) 2014-11-03
KR102018922B1 KR102018922B1 (ko) 2019-09-05

Family

ID=5245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408A KR102018922B1 (ko) 2013-02-14 2013-04-24 전력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9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1556A (zh) * 2016-09-23 2018-04-03 江苏亨通电力电缆有限公司 高载流量的架空绝缘电缆及其制造工艺
KR101880534B1 (ko) 2017-08-02 2018-07-23 주식회사 디와이엠 솔루션 전력케이블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626260B2 (en) 2017-08-04 2020-04-21 Dym Solution Co., Ltd. Semiconductive composition for cab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022A (ja) * 1999-04-15 2000-10-24 Hitachi Cable Ltd リサイカブル電力ケーブル
US20060182961A1 (en) * 2003-03-27 2006-08-17 Person Timothy J Power cable compositions for strippable adhesion
KR20090064664A (ko) *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디와이엠 초고압 전력 케이블용 반도전성 조성물
KR20110123275A (ko) * 2009-03-30 2011-11-14 보레알리스 아게 노화 후 고도의 파괴 강도를 갖는 케이블
KR20120070589A (ko) * 2009-09-22 2012-06-29 유니온 카바이드 케미칼즈 앤드 플라스틱스 테크날러지 엘엘씨 가요성 성형품 또는 압출품 및 그의 제조를 위한 반도체 화합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022A (ja) * 1999-04-15 2000-10-24 Hitachi Cable Ltd リサイカブル電力ケーブル
US20060182961A1 (en) * 2003-03-27 2006-08-17 Person Timothy J Power cable compositions for strippable adhesion
KR20090064664A (ko) *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디와이엠 초고압 전력 케이블용 반도전성 조성물
KR20110123275A (ko) * 2009-03-30 2011-11-14 보레알리스 아게 노화 후 고도의 파괴 강도를 갖는 케이블
KR20120070589A (ko) * 2009-09-22 2012-06-29 유니온 카바이드 케미칼즈 앤드 플라스틱스 테크날러지 엘엘씨 가요성 성형품 또는 압출품 및 그의 제조를 위한 반도체 화합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1556A (zh) * 2016-09-23 2018-04-03 江苏亨通电力电缆有限公司 高载流量的架空绝缘电缆及其制造工艺
KR101880534B1 (ko) 2017-08-02 2018-07-23 주식회사 디와이엠 솔루션 전력케이블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442923B2 (en) 2017-08-02 2019-10-15 Dym Solution Co., Ltd. Semiconductive composition for power cable
US10626260B2 (en) 2017-08-04 2020-04-21 Dym Solution Co., Ltd. Semiconductive composition for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922B1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3391B1 (en) Thermoplastic blend formulations for cable insulations
KR102003567B1 (ko) 전력 케이블
AU2010366056B2 (en) Energy cable having stabilized dielectric resistance
US11257607B2 (en) Electric cable with improved temperature ageing resistance
AU2012379976B2 (en) Process for producing an energy cable having a thermoplastic electrically insulating layer
JP2016050288A (ja) 電線被覆材用組成物、絶縁電線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102018922B1 (ko) 전력 케이블
KR102003568B1 (ko) 전력 케이블
JP6012508B2 (ja) 表面平滑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
KR102020069B1 (ko) 증가된 용량을 갖는 컴팩트 전력케이블
KR102097237B1 (ko) 전력 케이블
JP2015193689A (ja) 難燃性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絶縁電線
KR102020068B1 (ko) 전력 케이블
KR102003565B1 (ko) 전력 케이블
EP3033390B1 (en) Thermoplastic blend formulations for cable insulations
KR102097236B1 (ko) 전력 케이블
KR20190072194A (ko) 고유연성 비가교 케이블용 절연층 조성물 및 고유연성 비가교 케이블
JP7197671B1 (ja) 電力ケーブル用絶縁性樹脂組成物、電力ケーブルおよび電力ケーブル接続部
KR20190003079A (ko) 반도전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반도전층을 갖는 전력 케이블
KR101942790B1 (ko) 배전급 케이블용 반도전층 조성물 및 친환경 배전급 케이블
KR20190087346A (ko) 전력 케이블
KR100291669B1 (ko) 고압 내열 케이블용 반도전 재료
KR20100090050A (ko) 박리와 가교가 가능한 반도전 수지 조성물
KR20180113269A (ko) 내열성이 우수한 절연 케이블
WO2016005791A1 (en) Energy cable having a thermoplastic electrically insulating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