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649A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6649A KR20140126649A KR1020130071570A KR20130071570A KR20140126649A KR 20140126649 A KR20140126649 A KR 20140126649A KR 1020130071570 A KR1020130071570 A KR 1020130071570A KR 20130071570 A KR20130071570 A KR 20130071570A KR 20140126649 A KR20140126649 A KR 201401266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fibrillator
- smart device
- unit
- controller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장 자동 제세동기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스마트 티비 등의 스마트 기기의 운영체제(OS)및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를 심장 자동 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의 진단 및 전기자극 작용의 컨트롤러 및 동작부로 사용함으로써 범용적인 사용 및 외부지원 기능을 향상함과 동시에 제작 단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심장 자동 제세동기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스마트 티비 등의 스마트 기기의 운영체제(OS)및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를 심장 자동 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의 진단 및 전기자극 작용의 컨트롤러 및 동작부로 사용함으로써 범용적인 사용 및 외부지원 기능을 향상함과 동시에 제작 단가를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 자동제세동기(심장 충격기)는 심장이 박동을 멈추고 산소공급이 중단될때 자동으로 환자의 심장 상태를 분석하고 필요에 따라 전기 충격을 전달하여 심장의 기능을 회복하는데 사용되는 응급 의료기기이다.
상기 심장 자동제세동기는 필요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공공기간 및 특정 시설에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으나, 심장 정지와 같은 응급 상황에 사용된다는 점에서 사용빈도가 낮으며,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데에 일정 이상의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고, 진단과 전기자극 작용을 위한 고기능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전용칩이나 전용 프로세서 어셈블리 등의 제작 단가가 높기 때문에 기기의 보급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심장 자동 제세동기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기에 알맞은 컴퓨팅 파워와 입출력 단자 및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고,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통신 역시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심장자동제세동기의 핵심부분을 제외한 판단 및 컨트롤러, 디스플레이를 대체할 수 있고, 스마트 기기에 포함된 인터넷과 GPS칩셋으로 심장 자동제세동기의 사용성과 외부지원 기능을 향상함과 동시에 가격을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티비와 같은 스마트 기기를 전용 심장 자동 제세동기와 동일한 리드타임으로 안정적으로 구동시키며, 지원 및 사용성을 향상하며 가격을 저감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심장 자동 제세동기의 절대조건인 보급대수와 설치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의 환자에게 빠르게 적용되기 위해 배터리를 갖는 기존의 패러다임과는 다르게 상시전원에 연결되어 있으며, 빠른 판단부와 동시에 적용될 경우 빠른 충전이 가능하며 심부압박 휴지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하여, 병원에서 사용하는 제세동 전용기와 같이 휴대기기 대비 생존율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이 주요한 해결 과제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는 생체신호를 감지하고, 심장 정지시 고전압의 전기 충격을 인가하는 제세동기 본체와 상기 제세동기 본체의 구동을 제어하고 심장파형을 분석하는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는 제세동기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세동기 본체는 고압의 전기 충격을 위한 에너지를 충전하는 축전부와 인체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고압의 전기 충격을 인가하는 전극 패드와 상기 축전부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고압의 전기 충격을 상기 전극 패드를 통해 인체에 방전하기 위한 기전력 구동부 및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에 의해 자연 세동 회복으로 진단된 경우 방전 개시신호에 따라 상기 축전부를 통해 충전된 에너지를 강제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는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세동기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제세동기 본체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생체 신호로부터 심장 파형을 생성하여 심장 리듬을 분석하는 파형 분석부와 상기 파형 분석부가 심장 정지로 진단할 경우 전기 충격과 함께 시행되는 심폐 소생술 안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제세동기 몸체와 스마트 기기가 연결되어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가 활성화되면 상기 파형 분석부의 진단과 관계없이 상기 제세동기 몸체의 축전부에 설정된 에너지로 충전을 시작하는 충전 개시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파형 분석부의 진단 결과 세동의 자연 회복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충전된 에너지를 강제 방전하기 위해 방전부에 방전 개시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세 동기 본체와 스마트 기기는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입력 포트에 유선 연결되거나, Wi-Fi, NFC, 블루투스 중 선택된 하나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동기화되어 무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세동기 본체와 스마트 기기가 연결된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의 위치 추적 모듈로부터 송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스마트 기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관리하는 원격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의 동작 방법은 제세동기 본체와 스마트 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스마트 기기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고 제세동기 컨트롤러가 활성화되는 단계와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의 파형 분석부가 상기 제세동기 본체로부터 감지된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심장 리듬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의 활성화와 동시에 제세동기 본체의 축전부가 설정된 에너지로 충전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파형 분석부가 심장 정지로 진단한 경우 기전력 구동부가 상기 축전부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극 패드에 전기 충격을 인가하여 에너지를 방전시켜 쇼크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파형 분석부가 심장 리듬을 분석한 결과 세동 자연 회복으로 진단한 경우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가 방전부에 방전 개시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축전부에 충전된 에너지를 강제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고가인 판단부, 또는 프로세서부나 PLDC(프로그래머블로직디바이스칩셋)부, 또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전력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스마트 기기로 대체 함으로, 현저한 성능개선과 단가 저감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심장 정지의 진단 이전에 원격으로 미리 충전을 실시하여 쇼크 제공까지의 리드 타임을 최소화하여 응급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제세동실시자가 휴대용기기를 가지러가기위해 제세동기위 비치장소 까지가서 돌아오는 왕복시간이 소요되는 기존 기기와 비교할 때, 설치 밀도를 향상하는 본 발명상의 이점이 환자가 기기앞까지 갈 수 있는 짧은 편도이동의 경우로 대체할 수 있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wifi 혹은 이동통신망에 연동될 수 있으며,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황 발생시 기기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스마트티비 등의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대체하므로 보다 상세한 사용자경험을 제공하며, 상황에 대한 대응을 정확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제세동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의 구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의 구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전용 제세동기와 비교할때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TV와 같은 스마트 기기는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이나, 화면 입력소스의 선택 등 복잡하거나 전용 제세동기의 구동과 상이한 환경에 있을 수 있으며, 구동시간에 지체가 없어야 하므로, 다른 프로그램 때문에 응답성에 장애를 받거나, 사용자의 의사결정을 기다리거나, 사용자의 의사결정 이후 어플리케이션이 반응하는 등의 리드타임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범용기의 리드타임 최소화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간의 혼조 작용이나 버그등 제세동기의 일부로 사용되기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는 데에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상 특징들을 통해 AED의 판단 분석 및 안내 등에 대해 동작 안정성과 빠른 반응속도가 구현될 수 있다.
전용 제세동기와 비교할때, 본 발명상의 특징을 가진 기기는 소프트웨어 적인 복잡도로 인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있을 수 있어, 유지보수 및 즉각 사용이 어려울 수 있어 별도의 해결책이 요구된다.
전용 제세동기와 비교하여, 본 발명상의 주요한 해결과제는 판단부 및 메모리, 화면부, 음성부가 탁월한 성능이라는 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전용기 대비 개선된 사용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용 제세동기는 그 위치를 빠르게 알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위치를 미리 파악해놓지 않으면, 실제의 환자 발생시 대응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상의 특징을 가진 기기는, 또한 인터넷에 상시, 혹은 간헐적, 혹은 필요시 연동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빠르게 기기에 접근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TV의 경우 기존의 환자에게 빠르게 적용되기 위해 배터리를 갖는 기존의 패러다임과는 다르게 상시전원에 연결되어 있으며, 빠른 판단부와 동시에 적용될 경우 빠른 충전이 가능하며 심부압박 휴지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하여, 병원에서의 전용기와 같이 휴대기기 대비 생존율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이 주요한 해결 과제이다.
즉, 제세동기는 동작부와 판단 제어부로 구분하고, 상기 동작부는 제세동기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판단 제어부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함으로써 기기 단가가 획기적으로 저렴해질 수 있으며, 상기 판단 제어부는 제세동기 컨트롤러가 담당하고,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마트 기기에 어플리케이션 또는 펌웨어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제세동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는 제세동기 본체(10)와 상기 제세동기 본체의 구동을 제어하고 심장파형을 분석하는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는 제세동기 컨트롤러(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세동기 본체(10)는 고압의 전기 충격을 생성하는 축전부(110)와 인체의 파형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상기 고압의 전기 충격을 인가하는 전극 패드(130)와 상기 축전부에서 생성된 전류를 상기 전극 패드를 통해 인체에 방전하기 위한 기전력 구동부(120) 및 상기 축전부를 통해 충전된 전압을 강제 방전시키는 방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210)는 스마트 폰과 스마트 TV와 같은 스마트 기기(20)에 설치되고,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세동기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1)와 심장 파형을 분석하는 파형 분석부(212)와 상기 심장 파형과 전기 충격과 함께 시행되는 심폐 소생술 안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인터넷 접속 또는 3G 혹은 LTE등과 같은 이동통신망에 가입할 수 있는 무선장치가 포함되고, 운영체에(OS)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PU)를 구비하고, 정보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기기는 무엇이나 가능하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심장 자동 제세동기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기에 알맞은 컴퓨팅 파워와 입출력 단자 및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고,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하므로 심장 자동제세동기의 핵심부분을 제외한 판단 및 컨트롤러, 디스플레이를 대체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티비는 공중파 수신을 그 주요한 특징으로 하며, 화면 입력소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MPU와 RAM 등 어플리케이션 모드를 가지고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기기가 스마트 티비인 경우 종래의 전용 제세동기가 배터리로 구동되는 것과 달리 상시 전원에 연결되어 빠른 충전이 가능하며 심부압박 휴지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마트 기기에 임베디드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외부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세동기 본체는 스마트 기기와 연결 케이블을 통해 유선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Wi-Fi, NFC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세동기 본체와 스마트 기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세동기 본체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와 동기화되어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세동기 본체와 스마트 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세동기 본체와의 연결을 감지하고, 기존 화면 입력소스를 하드웨어적 혹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인디케이팅 화면으로 자동 전환 된다.
그리고 스마트 기기에 기존 작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중단되고 메모리 언로드가 실행되고 본 발명에 따른 제세동기 제어가 수행되기 위한 제세동기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는 기기의 정상작동을 체크하여 정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를 갖고, 현재의 사운드 모드, 볼륨크기를 감지하고, 진동 모드 또는 무음모드, 또는 낮은 음량을 강제로 조정하게 된다.
상기 제세동기 본체는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는 제세동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전기 충격을 위한 고전압을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의 파형 분석부는 상기 제세동기 본체의 전극 패드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초로 심장 리듬을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파형 분석부가 환자의 상태를 진단이 시작되면 상기 제세동기 본체의 축전부에 동작 개시 신호를 전송하여 축전부의 충전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종래의 제세동기는 환자의 심장 상태를 확인하고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비로서 축전부의 충전을 개시하게 되므로 충전을 완료하여 전기 충격을 시행할때 소요되는 리드 타임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은 환자 상태 진단 시작과 동시에 축전부를 충전이 개시되므로 상기 리드 타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응급 상황에서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전부가 충전을 수행한 상태에서 상기 파형 분석부의 진단 결과 세동 자연 회복으로 전기 충격이 필요 없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방전부에 방전 개시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축전부의 전압을 강제 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제세동기는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비로소 충전을 개시하고, 인체에 전기 충격을 가하여 방전하게 되므로 별도의 방전부가 필요없지만, 본 발명은 진단 이전에 충전을 시작하므로 진단 결과 전기 충격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 축전부에 충전된 전압을 강제 방전할 필요가 있으므로 방전부가 반드시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위치 추적 모듈(220)로부터 송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스마트 기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원격 관리 서버(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전용 제세동기는 그 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신속한 위치 파악이 되지 않을 경우 실제의 환자 발생시 신속한 초기 대응이 불가능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원격 관리 서버(30)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위치 추적 모듈(220)을 통해 신속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므로 실제 응급 환자 발생시 신속한 초기 대응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30)는 스마트 기기와 와이파이 디텍팅에 따라, 와이파이 포지셔닝 시스템을 적용하거나, GPS가 작동하는 경우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을 적용하여 위치를 추적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3)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관리부와 제세동기 본체의 소모품의 교체 시기 정보를 제공하는 소모품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모품 관리부는 전극과 센서 패드와 같은 소모품의 교체 시기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하고, 소모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원하는 소모품에 대한 구매와 결제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의 구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응급 환자 발생시 제세 동기 본체와 제세동기 컨트롤러가 설치된 스마트 기기를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세 동기 본체와 스마트 기기는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입력 포트에 유선 연결되거나, Wi-Fi, NFC,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을 통해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세 동기 본체와 스마트 기기가 연결되면, 제세동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세 동기 본체의 연결을 감지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메모리를 언로드한 후,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가 활성화된다.
상기와 같이 제세동기 컨트롤러가 활성화되고, 상기 제세 동기 본체의 전극 패드가 응급 환자의 신체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전극 패드에 형성된 센서가 생체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생체신호를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의 파형 분석부로 전송하고, 전송된 파형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가 활성화되면, 스탠바이 모드가 작동하고 상기 파형 분석부의 진단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제세동기 본체에 충전 개시신호를 전송하고, 제세동기 본체의 축전부가 전기 충격을 위한 설정된 에너지로 충전을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스탠바이 모드는 설정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의 파형 분석부가 전송된 파형을 통해 심장 리듬을 분석하여 심장 정지로 제세동이 필요하다고 진단하면 상기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되자마자 기전력 구동부가 전극 패드를 통해 고전압의 전기 충격을 심장에 인가하여 방전시켜 쇼크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에 의해 작동되는 기전력 구동부는 상기 충전된 에너지에 대하여 mono-phasic, Bi-phasic 뿐 아니라, tri-phasic 등 고등위상성 파형으로 충격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제세동기는 심장 정지 진단 후에 충전을 시작하게 되므로 쇼크전달 단계까지 9-14초의 흉부압박 휴지기가 발생하게 되나, 본 발명은 진단 이전에 무조건 충전을 수행하게 되므로 휴지기를 이를 5초 이내로 줄일 수 있게 되어 응급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만일, 상기 파형 분석부의 심장 리듬 분석결과 세동을 자연 회복한 경우에는 전기 충격이 필요 없으므로 상기 축전부에 충전된 에너지를 방전부를 통해 강제 방전시킨다.
상기 축전부에 고전압이 충전된 상태에서 방전을 행하지 않을 경우 제세동기 본체 취급시 감전 등의 안전상의 문제나 누설 전류에 의해 기기에 손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세동을 자연 회복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방전부를 통해 신속하게 고전압을 방전시킨다.
한편, 심장 정지시 2분마다 심장리듬 분석을 반복해서 시행하며, 이러한 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및 심폐소생술의 시행은 환자의 상태가 회복되었거나 119 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지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기 충격에 의한 쇼크와 함께 심폐 소생술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하므로 상기 파형 분석부를 통해 심장 정지로 진단한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심폐 소생술 안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전용 제세동기가 실시간 신호로 판단하는 것과는 달리, 구동부인 제세동기 몸체와 판단부인 제세동기 컨트롤러가 양측부간 신호의 압축 및 변 복조를 할 수 있으며, 실시간 또는 비 실시간, 단일동작 또는 시분할 동작으로 진단, 충격 제어등을 가능하게 한다. 종래의 전용 제세동기는 2단 충격을 최대로 하나, 본 발명상 고전류를 분할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명령을 축약하여 양측 모듈간에 상호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이 들어온 시각부터 파형 및 접촉여부를 실시간으로 컨택 하고, 컨트롤러의 처리 속도가 빠르며, 반응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이 두가지를 시분할하여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세동기 본체 20 : 스마트 기기
210 : 제세동기 컨트롤러 30 : 원격 관리 서버
210 : 제세동기 컨트롤러 30 : 원격 관리 서버
Claims (8)
- 생체신호를 감지하고, 심장 정지시 고전압의 전기 충격을 인가하는 제세동기 본체와;
상기 제세동기 본체의 구동을 제어하고 심장파형을 분석하는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는 제세동기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세동기 본체는
고압의 전기 충격을 위한 에너지를 충전하는 축전부와;
인체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고압의 전기 충격을 인가하는 전극 패드와;
상기 축전부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고압의 전기 충격을 상기 전극 패드를 통해 인체에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기전력 구동부 및;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에 의해 자연 세동 회복으로 진단된 경우 방전 개시신호에 따라 상기 축전부를 통해 충전된 에너지를 강제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는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세동기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제세동기 본체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생체 신호로부터 심장 파형을 생성하여 심장 리듬을 분석하는 파형 분석부와;
상기 파형 분석부가 심장 정지로 진단할 경우 전기 충격과 함께 시행되는 심폐 소생술 안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제세동기 몸체와 스마트 기기가 연결되어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가 활성화되면 상기 파형 분석부의 진단과 관계없이 상기 제세동기 몸체의 축전부에 설정된 에너지로 충전을 시작하는 충전 개시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파형 분석부의 진단 결과 세동의 자연 회복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충전된 에너지를 강제 방전하기 위해 방전부에 방전 개시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세 동기 본체와 스마트 기기는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입력 포트에 유선 연결되거나, Wi-Fi, NFC, 블루투스 중 선택된 하나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동기화되어 무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세동기 본체와 스마트 기기가 연결된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의 위치 추적 모듈로부터 송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스마트 기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관리하는 원격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세동기 본체와 스마트 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스마트 기기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고 제세동기 컨트롤러가 활성화되는 단계와;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의 파형 분석부가 상기 제세동기 본체로부터 감지된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심장 리듬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의 활성화와 동시에 제세동기 본체의 축전부가 설정된 에너지로 충전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파형 분석부가 심장 정지로 진단한 경우 기전력 구동부가 상기 축전부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극 패드에 전기 충격을 인가하여 에너지를 방전시켜 쇼크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의 동작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분석부가 심장 리듬을 분석한 결과 세동 자연 회복으로 진단한 경우 상기 제세동기 컨트롤러가 방전부에 방전 개시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축전부에 충전된 에너지를 강제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4773 | 2013-04-23 | ||
KR1020130044773 | 2013-04-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6649A true KR20140126649A (ko) | 2014-10-31 |
Family
ID=5199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1570A KR20140126649A (ko) | 2013-04-23 | 2013-06-21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26649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57580B2 (en) | 2015-05-08 | 2017-09-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ntroller, and patch typ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for controlling defibrillation using the same |
KR101872882B1 (ko) | 2017-03-24 | 2018-06-29 |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 구동전류 절감을 위한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및 이의 구동방법 |
KR20180108332A (ko) | 2017-03-24 | 2018-10-04 |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 충전전압의 조절이 가능한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및 이의 구동방법 |
WO2019194444A1 (ko) * | 2018-04-02 | 2019-10-10 | 주식회사 메디아나 | 전원 켜짐부터 전기충격 지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및 그 구동방법을 이용한 제세동기 |
-
2013
- 2013-06-21 KR KR1020130071570A patent/KR2014012664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57580B2 (en) | 2015-05-08 | 2017-09-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ntroller, and patch typ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for controlling defibrillation using the same |
KR101872882B1 (ko) | 2017-03-24 | 2018-06-29 |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 구동전류 절감을 위한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및 이의 구동방법 |
KR20180108332A (ko) | 2017-03-24 | 2018-10-04 |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 충전전압의 조절이 가능한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및 이의 구동방법 |
WO2019194444A1 (ko) * | 2018-04-02 | 2019-10-10 | 주식회사 메디아나 | 전원 켜짐부터 전기충격 지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및 그 구동방법을 이용한 제세동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350375B2 (ja) | 自動体外式除細動器および使用の方法 | |
US11839770B2 (en) | Defibrillator communications architecture | |
JP7257681B2 (ja) | 除細動器 | |
US20230310876A1 (en) | Modular defibrillator architecture | |
JP7019625B2 (ja) | 自動体外式除細動器のための符号化ステータスインジケータ | |
US20140093853A1 (en) | Cpr training system and methods | |
US9717925B2 (en) | Motion actuated AED communicator | |
RU2017124896A (ru) | Кнопка с функцией анализа дл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наружного дефибриллятора (анд) с двумя алгоритмами анализа электрокардиограммы | |
KR102589544B1 (ko) |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RU2017124903A (ru) |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наружный дефибриллятор (анд) с двумя алгоритмами анализа электрокардиограммы | |
RU2013146945A (ru) | Универсальный обучающий адаптер авд | |
KR20140126649A (ko)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 | |
CN104853804A (zh) | 医学设备的自适应自测试和应力分析 | |
JP2023090888A (ja) | モジュール式除細動器アーキテクチャ | |
US11311457B2 (en) | Automated detec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hest compressions | |
CN110917498A (zh) | 状态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自动体外除颤器 | |
JP2020534049A (ja) | 救助者のcprパフォーマンスを改善するためのスマートなプロンプト | |
US11324951B2 (en) | Electrical treatment device, control method, and treatment system | |
JP2023523261A (ja) | 蘇生装置 | |
CN110124132B (zh) | 心室辅助装置供电方法及相关产品 | |
KR101859322B1 (ko) | 제세동 시스템 | |
US20240001130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optimizing shock delivery time using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
KR20120042607A (ko) |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 |
CN114681799A (zh) | 一种控制除颤放电的方法与设备 | |
KR20190011480A (ko)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제세동기 제어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