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079A -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079A
KR20140126079A KR1020130044152A KR20130044152A KR20140126079A KR 20140126079 A KR20140126079 A KR 20140126079A KR 1020130044152 A KR1020130044152 A KR 1020130044152A KR 20130044152 A KR20130044152 A KR 20130044152A KR 20140126079 A KR20140126079 A KR 20140126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antenna pattern
radiator
plat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720B1 (ko
Inventor
홍하룡
남현길
이대규
김남기
전대성
임대기
박현도
배상우
조성은
안찬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4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720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신호가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 송신 또는 수신되도록 하는 연결 단자부가 구비되는 방사체 및 상기 방사체가 고정 장착되도록 몰드 사출에 의해 성형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전자장치 케이스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는 방사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부는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접속판과 상기 접속판으로부터 절곡되며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판을 구비하며, 상기 방사체 프레임은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Antenna pattern frame for manufacturing case of electronic device and case of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핸드폰, PDA, 네비게이션, 노트북 컴퓨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사회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장치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CDMA, 무선랜, GSM, DMB 등의 기능이 부가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들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가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로드 안테나나 헬리컬 안테나와 같은 외장형 타입에서 단말기 내부에 배치하는 내장형 타입으로 발전되는 경향이다.
외장형 타입은 외부의 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으며, 내장형 타입은 단말기 자체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일체화한 안테나가 내장된 전자장치 케이스가 현재 제조되고 있다.
한편, 안테나와 전자장치 케이스에 설치되는 회로기판과의 연결을 위해 전자장치 케이스에는 연결 단자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몰드 사출 시 연결 단자부가 수지재에 의해 덮여 회로기판과 연결 단자부의 접촉이 방해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연결 단자부와 수지재의 재질의 차이에 따라 외부 충격시 연결 단자부가 들뜨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70038호
연결 단자부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신호가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 송신 또는 수신되도록 하는 연결 단자부가 구비되는 방사체 및 상기 방사체가 고정 장착되도록 몰드 사출에 의해 성형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전자장치 케이스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는 방사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부는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접속판과 상기 접속판으로부터 절곡되며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판을 구비하며, 상기 방사체 프레임은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사체 프레임은 상기 접속판과 상기 고정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부는 상기 고정판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접촉판과 상기 안테나 패턴부를 연결하는 연결판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속판과 상기 고정판은 내부면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며 외부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과 상기 삽입돌기의 단면은 원형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고정판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과 상기 삽입돌기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신호가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 송신 또는 수신되도록 하는 연결 단자부가 구비되는 방사체와, 상기 방사체가 고정 장착되도록 몰드 사출에 의해 성형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전자장치 케이스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는 방사체 프레임 및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일면을 덮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방사체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매립되도록 하는 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부는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접속판과 상기 접속판으로부터 절곡되며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판을 구비하며, 상기 방사체 프레임은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판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지지부의 삽입돌기가 삽입 결합되므로 접속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판과 접속판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수지재에 의한 접속판과 회로기판의 접속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의 변형 실시예에는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의 저면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100)은 일예로서, 방사체(120) 및 방사체 프레임(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방사체(120)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도전재로 이루어져 외부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와 같은 전자장치의 신호 처리장치(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방사체(120)는 다양한 대역의 외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미앤더 라인(Meander line)을 이루는 안테나 패턴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방사체(120)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122)와, 신호가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 송신시되도록 하는 연결 단자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안테나 패턴부(122)는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의 일부 영역 형상에 대응되는 3차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패턴부(122)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안테나 패턴부(122)는 전자장치 케이스로 성형 시 전자장치 케이스에 매립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연결 단자부(124)는 전자장치 케이스로 성형 시 회로기판과의 연결을 위해 전자장치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연결 단자부(124)는 수신된 외부신호를 전자장치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안테나 패턴부(122)의 제조 시 일체로 절곡, 포밍(forming), 드로잉(drawing)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단자부(124)는 별도로 제조된 후 안테나 패턴부(12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연결 단자부(124)는 안테나 패턴부(122)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판(125), 연장판(125)으부터 절곡되어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접속판(126) 및 접속판(126)으로부터 절곡되며 관통홀(127a)이 형성되는 고정판(127)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 단자부(124)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고정판(127)과 연장판(125)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접속판(126)은 고정판(127)과 연장판(125)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장판(125)은 방사체 프레임(140) 내에 매립되며, 접속판(126)과 고정판(127)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관통홀(127a)은 고정판(127)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27a)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홀(127a)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방사체 프레임(140)은 방사체(120)가 고정 장착되도록 몰드 사출에 의해 성형되며, 안테나 패턴부(122)가 전자장치 케이스에 매립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방사체 프레임(140)도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의 일부 영역 형상에 대응되는 3차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방사체 프레임(140)은 상기한 접속판(126)과 고정판(127)을 지지하는 지지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42)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지지부(142)의 상면과 일 측면에 상기한 접속판(126)과 고정판(127)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연장판(125)은 지지부(142)의 내부에 매립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방사체 프레임(140)은 고정판(127)에 형성되는 관통홀(127a)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44)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돌기(144)는 고정판(127)이 접촉되는 지지부(142)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144)는 단면이 원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돌기(144)의 형상은 관통홀(127a)의 형상에 따라 변경 가능할 것이다.
한편, 삽입돌기(144)는 지지부(142)의 일측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돌기(144a)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 단자부(124)의 접속판(126)과 고정판(127)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므로, 몰드 사출 시 수지재가 접속판(126) 상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판(126)과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의 접속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접속판(126)과 전자장치의 회로기판은 일반적으로 C-클립(C-clip) 또는 포고 핀(Pogo pin)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고정판(127)이 방사체 프레임(140)에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수지재가 접속판(126)의 상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C-클립(C-clip) 또는 포고 핀(Pogo pin)이 접속판(126)의 상면으로 유입된 수지재에 접촉되어 C-클립(C-clip) 또는 포고 핀(Pogo pin)과 접속판(126)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고정판(127)이 방사체 프레임(1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몰드 사출 시 수지재가 접속판(126)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접속판(126)과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의 연결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삽입돌기(144)가 관통홀(127a)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연결 단자부(124)가 지지부(142)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연결 단자부(122)의 고정판(127)과 방사체 프레임(140)의 지지부(142)가 삽입돌기(144)와 관통홀(127a)에 의해 결합되지 않는 경우, 고정판(127)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방사체 프레임(140)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결합력을 가지지 못한다.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판(127)과 접속판(126)이 외부 충격 시 지지부(142)로부터 이격되는 들뜸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돌기(144)가 관통홀(127a)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연결 단자부(124)가 지지부(142)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의 저면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장치 케이스(200)는 케이스 프레임(220), 방사체(120) 및 방사체 프레임(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방사체 프레임(140)은 지지부(142)를 제외하고는 케이스 프레임(220)의 내부에 매립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5에는 지지부(142)를 제외한 방사체 프레임(140)이 도시되지 않았으며, 지지부(142)를 제외한 방사체 프레임(140)에 대한 도면에의 도시 및 자세한 설명은 상기한 도면 및 설명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케이스 프레임(220)은 방사체 프레임(140)의 일면을 덮어, 안테나 패턴부(120)가 방사체 프레임(140)과의 사이에 매립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자부(124)와 지지부(142)는 케이스 프레임(220)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연결 단자부(124)의 접속판(126)과 고정판(127) 및 지지부(142)가 케이스 프레임(220)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몰드 사출 시 수지재가 접속판(126)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접속판(126)과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의 접속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접속판(126)과 전자장치의 회로기판은 일반적으로 C-클립(C-clip) 또는 포고 핀(Pogo pin)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고정판(127)이 방사체 프레임(140)에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수지재가 접속판(126)의 상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C-클립(C-clip) 또는 포고 핀(Pogo pin)이 접속판(126)의 상면으로 유입된 수지재에 접촉되어 C-클립(C-clip) 또는 포고 핀(Pogo pin)과 접속판(126)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고정판(127)이 방사체 프레임(1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몰드 사출 시 수지재가 접속판(126)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접속판(126)과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의 연결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삽입돌기(144)가 관통홀(127a)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연결 단자부(124)가 지지부(142)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 단자부(122)의 고정판(127)과 방사체 프레임(140)의 지지부(142)가 삽입돌기(144)와 관통홀(127a)에 의해 결합되지 않는 경우, 고정판(127)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방사체 프레임(140)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결합력을 가지지 못한다.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판(127)과 접속판(126)이 외부 충격 시 지지부(142)로부터 이격되는 들뜸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돌기(144)가 관통홀(127a)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연결 단자부(124)가 지지부(142)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안테나 패턴 프레임
120 : 방사체
140 : 방사체 프레임
200 : 전자장치 케이스
220 : 케이스 프레임

Claims (7)

  1.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신호가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 송신 또는 수신되도록 하는 연결 단자부가 구비되는 방사체; 및
    상기 방사체가 고정 장착되도록 몰드 사출에 의해 성형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전자장치 케이스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는 방사체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부는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접속판과, 상기 접속판으로부터 절곡되며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판을 구비하며,
    상기 방사체 프레임은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 프레임은 상기 접속판과 상기 고정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부는 상기 고정판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접촉판과 상기 안테나 패턴부를 연결하는 연결판를 더 구비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판과 상기 고정판은 내부면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며 외부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과 상기 삽입돌기의 단면은 원형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고정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과 상기 삽입돌기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 배치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7.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신호가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 송신 또는 수신되도록 하는 연결 단자부가 구비되는 방사체;
    상기 방사체가 고정 장착되도록 몰드 사출에 의해 성형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전자장치 케이스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는 방사체 프레임; 및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일면을 덮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방사체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매립되도록 하는 케이스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부는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접속판과, 상기 접속판으로부터 절곡되며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판을 구비하며,
    상기 방사체 프레임은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KR1020130044152A 2013-04-22 2013-04-22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 KR101942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152A KR101942720B1 (ko) 2013-04-22 2013-04-22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152A KR101942720B1 (ko) 2013-04-22 2013-04-22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79A true KR20140126079A (ko) 2014-10-30
KR101942720B1 KR101942720B1 (ko) 2019-04-17

Family

ID=5199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152A KR101942720B1 (ko) 2013-04-22 2013-04-22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7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598A (ko) * 2014-11-25 2016-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 제조방법
CN108713277A (zh) * 2017-03-20 2018-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天线及移动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909A (ko) * 2009-08-10 2011-02-17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1070038B1 (ko) 2010-08-12 2011-10-04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의 제조금형, 전자장치 케이스
KR20120002278A (ko) * 2010-06-30 2012-01-05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이의 제조방법,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 금형 및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909A (ko) * 2009-08-10 2011-02-17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KR20120002278A (ko) * 2010-06-30 2012-01-05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이의 제조방법,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 금형 및 전자장치
KR101070038B1 (ko) 2010-08-12 2011-10-04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의 제조금형, 전자장치 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598A (ko) * 2014-11-25 2016-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 제조방법
CN108713277A (zh) * 2017-03-20 2018-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天线及移动终端
CN108713277B (zh) * 2017-03-20 2021-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天线及移动终端
US11069955B2 (en) 2017-03-20 2021-07-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tenna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720B1 (ko)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3314B2 (en) Antenna pattern frame, case of electronic device and mou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035847B2 (en) Antenna pattern frame and mol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case including the same
KR20070033465A (ko) 휴대 무선 통신장치용 안테나 배열부 및 그 안테나배열부을 포함하는 휴대 무선 통신장치
KR101133405B1 (ko) 케이블 커넥션 핀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매립형 전자 장치
JP5655239B2 (ja) 電子装置ケース及び移動通信端末機
JP2011229130A (ja) アンテナパターンフレーム、アンテナパターンフレームを備える電子装置ケース、及び電子装置ケースを含む電子装置
KR101132698B1 (ko) 내장형 안테나,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US8358777B2 (en) Wireless telephone having support with built-in antenna
KR101942720B1 (ko)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
WO2008082088A1 (en) A multi-layered internal antenna
KR101179357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안테나 패턴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및 전자장치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070038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의 제조금형, 전자장치 케이스
KR20130134111A (ko)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
KR20130134299A (ko) 전자장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598293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123792B1 (ko) 내장형 안테나의 접점 구조 및 이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29978B1 (ko) 안테나 조립구조
US2014001571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 mechanism
KR20150101281A (ko)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US20090325414A1 (en) Secure digital memory card retaining mechanism
US921951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277029A1 (en) Antenna module
KR100966981B1 (ko) 안테나 일체형 케이스
KR200456331Y1 (ko) 내장형 안테나의 결합 구조
KR101609115B1 (ko) 안테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