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698B1 - 내장형 안테나,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장형 안테나,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698B1
KR101132698B1 KR1020090057665A KR20090057665A KR101132698B1 KR 101132698 B1 KR101132698 B1 KR 101132698B1 KR 1020090057665 A KR1020090057665 A KR 1020090057665A KR 20090057665 A KR20090057665 A KR 20090057665A KR 101132698 B1 KR101132698 B1 KR 101132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antenna
built
radiation patter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252A (ko
Inventor
류병훈
성원모
양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09005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6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내장형 안테나,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단말기에 포함되는 내장형 안테나로서, 캐리어(carrier), 및 상기 캐리어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관통 부재로서, 일단이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형성되는 방사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관통 부재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가 제공된다.
내장형 안테나, 접속, 방사 패턴, 관통 부재, 캐리어

Description

내장형 안테나,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INTERNAL ANTENNA,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장형 안테나,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의 상면에 형성되는 방사 패턴이 캐리어에 관통삽입되는 전기 전도성 부재를 통해 이동식 단말기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사 패턴을 캐리어의 측면과 하면에 걸쳐 연장하지 아니하여도 캐리어 상면의 방사 패턴이 기판과 직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내장형 안테나,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식 단말기에 대한 소형화의 필요성에 따라, 내장형 안테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내장형 안테나는 이동식 단말기 내부에 장착되어 소정의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으로/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에 따라, 내장형 안테나와 기판 간의 전기적 접속, 또는 내장형 안테나와 접지면 등과의 전기적 접속을 효율적으로 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내장형 안테나와 기판 간의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장형 안테나(10)는 소정의 유전율을 갖는 캐리어(11) 상에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방사체(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방사체(12)는 접속 단자(30; 예를 들면, 포고핀 또는 C-클립(clip) 등일 수 있음)를 통해 기판(20;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룬다.
이동식 단말기의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방사체(12)는 캐리어(11)의 상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캐리어(11)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판(20)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서는 방사체(12)가 캐리어(11)의 하면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즉, 캐리어(1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방사체(12)가 캐리어(11)의 측면을 타고 캐리어(11)의 하면까지 연장되어 접속 단자(30)와 접속되어야 기판(20)과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방사체(12) 중 이동식 단말기의 안테나로서 실질적으로 기능하는 부분은, 캐리어(11)의 상면에 소정 패턴으로 형성된 부분일 뿐인데, 단지 기판(20)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방사체(12)가 캐리어(11)의 하면까지 연장되어야 하는 불리함이 생긴다.
예를 들어, 내장형 안테나(10)는 PDS(Printing Direct Structuring) 공법으로 형성되는 안테나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내장형 안테나(10)의 제조를 위한 공정 수율이 저하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출물로 형성되는 캐리어(11) 상에 패드(pad) 인쇄를 통해 선택적 도금을 함으로써 방사체(12)를 형성시키는 PDS 공법을 이용할 시에는, 방사체(12)를 캐리어(11)의 하면까지 연장시키기 위해, 캐리어(11)의 상면, 측면, 하면 모두에 인쇄 공정을 행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방사체와 기판 간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그 접속을 위한 구조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함과 동시에 제조 단가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캐리어의 상면에 형성되는 방사 패턴이 캐리어에 관통삽입되는 전기 전도성 부재를 통해 이동식 단말기의 기판과 직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PDS 공법으로 제조되는 내장형 안테나에 있어서, 종래 방사 패턴과 기판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캐리어의 측면과 하면에 걸쳐 인쇄를 수행함으로써 캐리어 상면의 방사 패턴을 캐리어 하면까지 연장하여야 했던 문제점, 즉, 인쇄 공정을 최소 3번 수행하여야 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캐리어 상면의 한 번의 인쇄만으로도 해당 인쇄 공정으로 형성된 방사 패턴이 기판과 직접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캐리어의 상면에 형성되는 방사 패턴이 캐리어에 관통삽입되는 전기 전도성 부재를 통해 이동식 단말기의 기판과 직접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제조 공정 수와 제조 단가의 감소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단말기에 포함되는 내장형 안테나로서, 캐리어(carrier), 및 상기 캐리어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관통 부재로서, 일단이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인쇄 공법으로 형성되는 방사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관통 부재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가 제공된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단말기에 포함되는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로서, 캐리어(carrier), 상기 캐리어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관통 부재로서, 일단이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인쇄 공법으로 형성되는 방사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관통 부재, 및 상기 캐리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의 하면에 노출되는 상기 관통 부재의 타단과 상기 이동식 단말기에 포함되는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단말기에 포함되는 기판과 직접적인 전기적 접속을 달성하기 위한 내장형 안테나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관통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방사 패턴을 인쇄 공정으로 형성시키되,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노출되는 상기 관통 부재의 일단에 접속되도록 상기 방사 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장형 안테나에 있어서, 캐리어의 상면에 형성되는 방사 패턴이 캐리어에 관통삽입되는 전기 전도성 부재를 통해 이동식 단말기의 기판과 직접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제조 공정의 수가 줄어들 수 있으며, 그 제조 단가 또한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PDS 공법으로 제조되는 내장형 안테나에 있어서, 방사 패턴과 기판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불필요한 인쇄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즉, 캐리어의 상면에 방사 패턴을 인쇄하는 한번의 인쇄 공정만으로도, 방사 패턴이 캐리어에 관통삽입되는 전기 전도성 부재를 통해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내장형 안테나 접속 구조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평면도에서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장형 안테나(100)는 관통홀(111)을 갖는 캐리어(110), 상기 캐리어(110) 상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111)을 덮도록 형성되는 방사 패턴(120), 및 상기 관통홀(111) 내부에 형성되어 방사 패턴(120)과 연결되고 캐리어(110)의 하면에 노출되는 관통 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장형 안테나(100)는 캐리어(110)의 하면에 노출되어 있는 관통 부재(130)에 접속되는 소정의 접속 단자(300)를 통해 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장형 안테나(100)는 PDS(Printing Direct Structuring) 공법으로 형성되는 안테나일 수 있다. 즉, 사출물인 캐리어(110) 상에 패드(pad) 인쇄로 방사 패턴(120)이 형성된 안테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장형 안테나(100)가 PDS 공법으로 형성되는 안테나임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겠으나, 본 발명의 내장형 안테나(100)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 또는 여러가지 공법으로 형성되는 안테나일 수 있다.
캐리어(110)에는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111)은 캐리어(110) 상에 형성되는 방사 패턴(120)과 캐리어(110) 하부에 배치되는 접속 단자(300)를 직접 접속하는 관통 부재(13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다. 후술할 바와 같이, 관통홀(111)은 캐리어(110) 형성을 위한 사출 시에 관통 부재(130)를 삽입하여 사출하는 인서트 사출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반 사출 방식에 따라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캐리어(110)만을 따로 제조하는 방식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관통홀(111)의 단면 형상으로서 원형이 예시되었으나, 관통홀(111)의 단면 형상은 이와는 다른 형태(예를 들면, 다각형)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방사 패턴(120)은 캐리어(110) 상면에 형성되며 외부로/로부터 소정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송수신하고 기판과도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 함으로써 실질적인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관통 부재(130)는 캐리어(110)의 관통홀(111)을 통해 캐리어(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방사 패턴(120)과 캐리어(110) 하부에 배치되는 접속 단자(300)를 전기적 으로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관통 부재(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캐리어(110)와 함께 형성될 수도 있으며, 관통홀(130)이 형성된 캐리어(110)를 준비한 후, 추후 관통홀(130)에 끼움 또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시킴으로써 형성시킬 수도 있다. 관통 부재(130)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도성 금속이라면 어떠한 금속으로 구현되더라도 무방하다.
기판(200)은 이동식 단말기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로서, 단말기의 다양한 동작을 위한 소정의 회로를 포함한다. 기판(200)은 접속 단자(300)를 통해 내장형 안테나(100)의 방사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방사 패턴(12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방사 패턴(120)이 이동식 단말기의 안테나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판(200)은 통상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접속 단자(300)는 캐리어(110)의 관통홀(111)을 통해 방사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관통 부재(130)와 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접속 단자(300)는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상의 포고 핀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상의 C-클립(clip)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접속 단자(300)는 여타의 다른 터미널 단자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접속 구조를 통해 이동식 단말기의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장형 안테나의 제조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내장형 안테나의 제조 과정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장형 안테나의 제조 과정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도 내장형 안테나가 PDS 공법에 의해 제조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내장형 안테나가 PDS 공법에 의해 형성되는 안테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과정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내장형 안테나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도 3a, 도 3b 및 도 4a를 참조하여 이에 따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캐리어(110)와 관통 부재(130)를 형성시킨다(S411). 캐리어(110)와 관통 부재(130)를 동시에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인서트 사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캐리어(110) 형성을 위한 사출 시에 관통 부재(130)를 삽입하여 함께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관통 부재(130)가 삽입된 캐리어(110)가 얻어질 수 있다. 이 때, 관통 부재(130)는 캐리어(11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되어야 한다.
캐리어(110)와 관통 부재(130)가 형성되면, 캐리어(110) 상면에 방사 패턴(120)을 형성시킨다(S412). 방사 패턴(120)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패드(pad) 인쇄 등의 인쇄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방사 패턴(120)의 형태는 사용하고자 하는 동작 주파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다.
설명에서는 생략되었지만, 캐리어(110)의 상면에서 관통 부재(130)와 그 주변의 캐리어(110) 사이에 단차가 생길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그 단차를 없애기 위 한 공정(예를 들면, 연마 등의 공정)이 단계 S412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리어(110), 방사 패턴(120) 및 관통 부재(130)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100)가 제조되면, 관통 부재(130)에 접속 단자(300)를 접속시켜 방사 패턴(120)가 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과정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내장형 안테나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도 3a, 도 3b 및 도 4b를 참조하여 이에 따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과정에서는 먼저, 관통홀(111)을 갖는 캐리어(110)를 형성시킨다(S421). 캐리어(110)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통상적인 사출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사출 시에 추후 사용할 관통 부재(130)에 대응하는 형태의 관통홀(111)을 형성시킨다. 즉, 형성시키고자 하는 관통홀(111)에 대응되도록 금형을 준비하여 사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캐리어(110)를 제조한다.
캐리어(110)가 제조되면, 그 상면에 방사 패턴(120)을 형성시킨다(S422). 방사 패턴(120)의 형성 방법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422 후에는, 캐리어(110)의 관통홀(111)에 관통 부재(130)를 삽입하여, 관통 부재(130)가 방사 패턴(120)에 접하도록 한다(S423). 전기 전도성을 갖는 관통 부재(130)는 억지 끼움 방식 등에 의해 관통홀(11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도 역시 이러한 방식으로 캐리어(110), 방사 패턴(120) 및 관 통 부재(130)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100)가 제조되면, 관통 부재(130)에 접속 단자(300)를 접속시켜 방사 패턴(120)가 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과정
도 4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내장형 안테나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도 3a, 도 3b 및 도 4c를 참조하여 이에 따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과정은 방사 패턴(120)을 형성시키는 과정이 관통 부재(130)를 형성시키는 과정보다 후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다르다.
즉, 관통홀(111)을 갖는 캐리어(110)를 형성시키고(S431), 캐리어(110)의 관통홀(111)에 관통 부재(130)를 삽입한 후(S432), 관통 부재(130)가 삽입된 캐리어(110)의 상면에 방사 패턴(120)을 형성시킴으로써(S433), 내장형 안테나가 제조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내장형 안테나(100)를 제조하고 관통 부재(130)와 접속 단자(300)를 통해 방사 패턴(120)과 기판(200)이 직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 패턴(120)과 접속 단자(300)를 접속시키기 위해 캐리어(110)의 측면과 하면에 걸쳐 방사 패턴(120)을 연장하여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특히, PDS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내장형 안테나(100)에 있어서는, 종래 방사 패턴(120)과 기판(200)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캐리어(110)의 상면 뿐만 아니라, 측면과 하면에도 인쇄 공정을 실시하여야 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캐리어(110) 상면의 방사 패턴(120)을 캐리어(110) 하면까지 연장시키기 위해 캐리어(110)의 상면, 측면, 하면에 대해 모두 인쇄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 패턴(120)을 캐리어(110)의 상면에만 형성시켜도 기판(200)과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한 번만의 인쇄 공정만으로도 내장형 안테나(100)과 기판(200) 간의 전기적 접속이 달성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평면도에서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내장형 안테나
110: 관통홀
120: 방사 패턴
130: 관통 부재
200: 기판
300: 접속 단자

Claims (17)

  1. 이동식 단말기에 포함되는 내장형 안테나로서,
    캐리어(carrier), 및
    상기 캐리어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관통 부재로서, 일단이 상기 캐리어의 상면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일단이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인쇄 공법으로 형성되는 방사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관통 부재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부재의 타단은 상기 캐리어의 하면에 노출되어, 상기 이동식 단말기에 포함되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장형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부재는 별도의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장형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사출 방식으로 형성되는 사출물인 내장형 안테나.
  5. 이동식 단말기에 포함되는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로서,
    캐리어(carrier),
    상기 캐리어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관통 부재로서, 일단이 상기 캐리어의 상면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일단이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인쇄 공법으로 형성되는 방사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관통 부재, 및
    상기 캐리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의 하면에 노출되는 상기 관통 부재의 타단과 상기 이동식 단말기에 포함되는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포고 핀 또는 C-클립(clip)인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사출 방식으로 형성되는 사출물인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8. 이동식 단말기에 포함되는 기판과 직접적인 전기적 접속을 달성하기 위한 내장형 안테나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관통 부재로서, 일단이 상기 캐리어의 상면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관통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방사 패턴을 인쇄 공정으로 형성시키되,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노출되는 상기 관통 부재의 일단에 접속되도록 상기 방사 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인서트 사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캐리어와 상기 관통 부재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공정은 패드(pad) 인쇄 공정인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사출 방식을 통해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캐리어의 관통홀에 관통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는 억지 끼움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90057665A 2009-06-26 2009-06-26 내장형 안테나,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1132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665A KR101132698B1 (ko) 2009-06-26 2009-06-26 내장형 안테나,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665A KR101132698B1 (ko) 2009-06-26 2009-06-26 내장형 안테나,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252A KR20110000252A (ko) 2011-01-03
KR101132698B1 true KR101132698B1 (ko) 2012-04-03

Family

ID=4360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665A KR101132698B1 (ko) 2009-06-26 2009-06-26 내장형 안테나,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874A (ko) 2015-05-29 2016-12-07 주식회사 수콘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579B1 (ko) * 2009-08-14 2012-01-19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내장형 안테나의 접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장형 안테나
KR20120103028A (ko) * 2011-03-09 2012-09-19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101400846B1 (ko) * 2012-12-04 2014-05-29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방수용 휴대폰에 내장되는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2056500B1 (ko) * 2014-10-24 2019-12-16 주식회사 두산 커버레이용 금속박 적층체 및 커버레이 비포함 다층 연성 인쇄회로기판
KR20200139977A (ko) * 2019-06-05 2020-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지 부재의 도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02812B1 (ko) * 2020-09-29 2022-05-27 주식회사 케이아이씨텍 벽이나 천장에 내장되는 안테나 케이블이 없는 무선 ap 및 이의 안테나 접속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583A (ko) * 2006-05-18 2007-11-22 (주)파트론 위성신호 수신용 비정방형 패치 안테나 및 일체형 안테나모듈
KR20080032485A (ko) * 2006-10-10 2008-04-15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안테나 모듈,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단말기
KR20090124042A (ko) * 2008-05-29 2009-12-03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복층의 연결 구조를 가진 패턴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583A (ko) * 2006-05-18 2007-11-22 (주)파트론 위성신호 수신용 비정방형 패치 안테나 및 일체형 안테나모듈
KR20080032485A (ko) * 2006-10-10 2008-04-15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안테나 모듈,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단말기
KR20090124042A (ko) * 2008-05-29 2009-12-03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복층의 연결 구조를 가진 패턴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874A (ko) 2015-05-29 2016-12-07 주식회사 수콘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252A (ko) 201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698B1 (ko) 내장형 안테나,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US733432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radio frequency connector
US20100159718A1 (en) Coaxial Connector
JP4775423B2 (ja) アンテナ装置
CN106063030B (zh) 不同种类的天线交叉连接的天线辐射体及其制造方法
CN113054472A (zh) 基板配合连接器
KR10140085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심카드 커넥터 장치
US20130057452A1 (en) High-frequency module and high-frequency device using the same
WO2008082088A1 (en) A multi-layered internal antenna
KR101632205B1 (ko) 갈바닉 내부식특성을 향상시킨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작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EP3046183B1 (en) Usb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42050B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엔에프씨-심 카드
KR101942720B1 (ko)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
KR101123515B1 (ko) 접속 구조가 개선된 내장형 안테나
KR20170084794A (ko) 안테나 모듈
KR100829978B1 (ko) 안테나 조립구조
KR101624192B1 (ko) 금속 테두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작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EP4277029A1 (en) Antenna module
KR200390497Y1 (ko) 내장형 안테나의 방사체 구조
KR20110083302A (ko) 휴대 단말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KR200456331Y1 (ko) 내장형 안테나의 결합 구조
KR100580778B1 (ko) 장착형 피씨비 안테나 및 그 장착형 피씨비 안테나의 제조방법
KR200345684Y1 (ko) 장착형 피씨비 안테나의 터미널 구조
KR1008917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CN109039356A (zh) 一种射频通信模块、移动终端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